KR101694483B1 -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백모 방지용 및 백반증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백모 방지용 및 백반증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4483B1
KR101694483B1 KR1020100064367A KR20100064367A KR101694483B1 KR 101694483 B1 KR101694483 B1 KR 101694483B1 KR 1020100064367 A KR1020100064367 A KR 1020100064367A KR 20100064367 A KR20100064367 A KR 20100064367A KR 101694483 B1 KR101694483 B1 KR 101694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extract
hair
present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4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3649A (ko
Inventor
이진영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00064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4483B1/ko
Priority to US13/808,021 priority patent/US20130101689A1/en
Priority to PCT/KR2011/004890 priority patent/WO2012002784A2/ko
Priority to CN201180038032.5A priority patent/CN103037880B/zh
Priority to JP2013518270A priority patent/JP5944896B2/ja
Publication of KR20120003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649A/ko
Priority to US14/464,044 priority patent/US20140356468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4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44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7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drying, e.g. sun-drying or wil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모 방지용 및 백반증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멜라노사이트의 MITF 발현을 증가시켜 멜라노사이트를 활성화시키고 멜라닌 합성을 촉진함으로써 백모의 유발을 사전에 예방하고 흑모 유발을 촉진하며, 또한 백반증 치료에 효과적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백모 방지용 및 백반증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containing Broussonetia extract for preventing gray hair and for treatment of leukoplakia}
본 발명은 백모 방지용 및 백반증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멜라노사이트의 MITF 발현을 증가시켜 멜라노사이트를 활성화시키고 멜라닌 합성을 촉진함으로써 백모의 유발을 사전에 예방하고 흑모 유발을 촉진하며, 또한 백반증 치료에 효과적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백모는 일반적으로 노화가 진행되면서 발생하는 것으로 노령이라는 인상을 강하게 주기 때문에, 생성된 백모를 감추기 위하여 백모를 검게 염색하는 염색제가 많이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염색은 일시적인 방법으로 백모의 성장에 의해 다시 염색해야 하고, 또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산화형 흑발염색제는 산화제 등의 사용에 의해 피부에 손상을 준다.
백모억제제로서, 검정참깨, 호도살, 한련초, 꿀에 보조성분으로 숙지황, 천문동, 맥문동을 배합하여 이용하거나, 적하수오, 측백나무잎, 여정자, 한련초, 석염과 숙지황, 천문동, 맥문동과 함께 검정콩과 함께 용기에 넣은 후 50℃의 온도에서 끓여 약액이 검정콩을 흑모 유지하는 방법, 검정깨, 흑송잎, 다시마를 이용한 것, 오갈피추출 엑기스를 이용한 것, 뇌하수체 호르몬을 이용한 것, C-AMP(아데노신-3,5’, 사이클릭 포스페이트)를 이용한 것, 비타민 D3을 이용한 것 등이 개시되어 있으나, 체감할 수 있는 효과는 발휘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꾸준히 천연물 추출물 중에서 닥나무 추출물이 형질 전환 세포주 멜라노사이트에서 MITF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백반증 모델 마우스에서 백모 진행을 억제시켜 주는 효과가 있음을 관찰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백모 방지용 및 백반증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닥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백모 방지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닥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백반증 치료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멜라노사이트의 MITF 발현을 증가시켜 멜라노사이트를 활성화시키고 멜라닌 합성을 촉진함으로써 백모의 유발을 사전에 예방하고 흑모유발을 촉진하며, 또한 백반증 치료에 효과적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백모 방지용 및 백반증 치료용 조성물은 닥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닥나무속에는 닥나무(Broussonetia kazinoki Sieb), 꾸지나무(Broussonetia papyrifera Vent), 애기닥나무(Broussonetia kazinoki var. humilis) 등이 있으며, 낙엽활엽성의 관목으로 한국의 대부분 지역(주로 남부에 많이 분포됨), 중국, 대만, 일본 등에 분포하며 지리적으로 산기슭 양지쪽, 밭둑 등에 난다. 닥나무는 그 인피섬유가 제지의 원료로 사용되어 오고 있으며 또한 여러 가지 약효를 갖고 있어 강장, 명목(明目)작용, 음위, 수종, 익기, 이뇨 등에 효과가 있고 풍을 제거하며, 피를 맑게하고 시력감퇴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닥나무 추출물은 닥나무로부터 침출, 전출하여 얻은 침출액 뿐 아니라 침출액을 다시 일부 또는 전부 농축하여 얻은 농축물 또는 상기의 농축물을 다시 건조시켜 제조한 침체, 전제, 정기, 유동엑기스 및 닥나무 중에 함유되어 주 효과를 발휘하는 화학 물질은 물론 식물 그 자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줄기, 뿌리, 잎, 꽃, 열매 등 닥나무의 모든 부분으로부터의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어느 특정 부분의 추출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닥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으로는 공지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닥나무를 자연 건조 또는 강제 건조 등 임의의 방법으로 건조하여 잘게 자른 후, 물, 에탄올, 부탄올, 아세톤 등의 극성 용매; 에테르, 헥산, 벤젠,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등의 비극성 용매; 상기 비극성 용매와 극성 용매의 혼합 용매; 알칼리 수 등의 용매, 또는 콩기름, 참기름 등의 식물유 등을 사용하여 냉침, 페르콜레이션(percolation), 온침 등의 임의의 방법에 의해서 치출 처리하여 유효 성분을 함유한 침출물을 얻는다. 침출 처리는 냉침과 페르콜레이션의 경우 12~96 시간 정도, 온침의 경우는 사용하는 용매 등의 종류와 온도에 따라 상이하나 바람직하게는 용매의 환류 온도에 가까운 온도로 0.5~24시간 정도 수행하는 것이 좋다. 특히, 함수 알코올에 침출한 틴크나 유동 엑기스 또는 엑기스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닥나무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50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닥나무 추출물의 함량이 0.001중량% 미만이면 상기 추출물에 의한 효능, 효과가 미약하고, 50중량%를 초과하면 피부 안전성 또는 제형상의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백모의 발생원인으로는 멜라노사이트의 줄기세포 소실, 및 멜라노사이트의 활성 저하가 제기되고 있다. 특히 노화로 인한 백모는 주로 줄기세포의 소실에 의하여 발생하고, 새치를 포함한 백모 발생은 현대 사회의 환경적, 정신적인 스트레스로 인한 멜라노사이트의 활성 저하에 의한다고 알려져 있다.
멜라노사이트의 멜라닌 합성 활성은 MITF의 활성에 크게 영향을 받는데, 본 발명에 따른 닥나무 추출물 함유 조성물은 멜라노사이트에서 MITF의 발현을 현저히 상승시켜 백모를 억제하며 흑모 유발을 촉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화장품에 적용할 경우에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또는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조성물은 두피 또는 모발에 도포하는 샴푸, 린스, 컨디셔닝, 토닉 또는 두피에센스의 제형으로 쉽게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들 보조제는 화장품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의약품에 적용할 경우에는, 닥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상용되는 무기 또는 유기의 담체를 가하여, 고체, 반고체 또는 액상의 형태로 비경구 투여제(경피 투여 또는 외용도포)로 제제화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로는 연고, 로션, 스프레이, 현탁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서 제제화될 수 있으며, 계면활성제, 부형제, 착색료, 향신료, 보존료, 안정제, 완충제, 현탁제, 기타 상용하는 보조제를 적당히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량은 치료 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경로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백모 또는 백반증이 발생되는 부위에 외용 도포하는 식으로 당업자의 수준에서 적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투여량은 0.001mg/kg/일 내지 대략 2000mg/kg/일의 범위이다. 바람직한 투여량은 200㎍/kg/일 내지 5mg/kg/일이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닥나무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닥나무 전초 1kg을 정제수 10L에 가한 후 끓을 때까지 가열하고 10분간 더 가열한 다음 물을 제거하여 세척한 후 따로 정제수 10L를 가하여 다시 한 번 세척하였다. 잔류물을 풍건한 후 70% 에탄올 20L에 가한 다음 환류장치를 연결한 후 가온하여 24시간 환류 추출하였다. 80메쉬의 체를 이용하여 고형분을 제거한 후 남은 여액을 다시 여과한 후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여액 중의 용매를 증류 제거하여 약 50g의 녹색 고형분을 얻었다.
[시험예 1] 형질전환 세포주를 이용한 닥나무 추출물의 MITF 발현 촉진 효과
백모 방지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닥나무 추출물의 MITF 발현 촉진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서 [형질 전환 세포주와 백반증 마우스를 이용한 백모 방지물질 스크리닝 방법 및 그 백모 방지 물질을 함유하는 백모방지용 조성물](출원번호10-2007-0072182)을 이용하였다. 발현벡터 pMITF-GLuc로 형질전환된 Melan-a 멜라노사이트 세포주 MITF-GLuc(기탁번호: KCLRF-BP-00162)를 10%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이하 FBS), 100unit/ml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Gibco), 0.1μM TPA(Sigma), 400μg/ml G418이 들어 있는 RPMI 1640 배지에서 37℃, 10% CO2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양성 대조군인 IBMX은 Sigma에서 구입하여 100μM의 농도로 사용하였다. 형질변환 멜라닌 세포(melan-a)를 24웰플레이트(24-well microtiter plate)에 50,000세포/웰이 되도록 분주하였다. 다음날 분주된 세포에 시험 물질로서 상기 실시예 1의 닥나무 추출물(1000x 스톡)을 최종농도 10, 50ppm으로 처리하고, 음성 대조군으로는 0.1% DMSO를, 양성 대조군으로는 100μM IBMX를 처리한 후에 37℃ 온도에서 3일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GLuc의 양을 정량하기 위해서는 소량의 배지만 측정 플레이트로 옮겨 기질과 반응 시켰다. 구체적으로는 세포 배양 접시에서 소량의 배지를 따서 측정 플레이트로 옮긴 후, 이 배지에 1X GLuc asssy working solution(NEB)을 4:1의 비율로 넣고 루미노미터를 이용해서 470nM에서 발생하는 빛의 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냈다.
항목 음성 대조군에 대한 Gluciferase 생성 비율 (%)
음성 대조군 (DMSO) 100
양성 대조군 (100μM IBMX) 180
닥나무 추출물 (10ppm) 120
닥나무 추출물 (50ppm) 145
상기 표 1를 보면, 닥나무 추출물이 형질 변환 멜라노사이트의 MITF발현을 촉진시켰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백모 발생이 촉진된 백반증 마우스를 이용한 생체 내 닥나무 추출물의 백모 방지 및 흑모 유발 효능 평가
백반증 마우스(C57bl/6-Mitf mi - vit)는 미국의 The Jackson Lab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백모발생이 촉진된 마우스를 이용한 백모 방지 물질 효과 실험 방법은 하기와 같다. 12주령된 마우스의 등쪽 털을 털뽑기(depilation)로 제거하였다. 단, 털을 제거하는 부위의 넓이는 각 개체마다 동일하게 조절하였다. 털을 뽑은 다음날부터 하루에 두 번씩 백모 방지 물질들을 털을 뽑은 부위에 발라주었다. 백모 방지 물질의 운반체(vehicle)로는 EtOH:1,3-BG:DW = 3:2:5(부피비)의 혼합물을 사용하고, 상기 운반체를 음성 대조군으로, 여기에 IBMX 50mM를 첨가한 액을 양성 대조군으로, 그리고 상기 실시예 1의 닥나무 추출물을 2.5% 첨가한 액을 시험군으로 사용하였다. 약 3주가 지난 후 각 물질들 간의 백모 방지 효능 차이가 육안으로 식별되면, 새로 자라난 털들을 수집하고 모발 내 멜라닌 양을 측정하였다. 모발 내 멜라닌 양은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인 에스페라제(Esperase, Novozyme)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버퍼(50mM Tris-HCl, 5mM DTT, pH 9.3)에 에스페라제를 1NPU/ml의 농도가 되게 녹여서 반응버퍼를 제조하였다. 반응버퍼 1ml에 마우스 모발 5mg을 넣고 37℃에서 1,000rpm의 속도로 흔들어 주면서 13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순간적인 원심 분리로 모발과 반응액을 분리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반응액을 96 웰플레이트에 담고, 405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면 반응액 내의 멜라닌 양을 측정할 수 있다. 백모 박생이 촉진된 백반증 마우스 모델에 음성대조군, 양성대조군, 시험군 물질을 처리하였을 경우, 그 효능을 육안 관찰 및 모발 내 멜라닌 정량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항목 음성 대조군에 대한 모발 내 멜라닌 정량 비율 (%)
음성 대조군 100
양성 대조군 (IBMX) 105.9
닥나무 추출물 110.1
표 3에 의하면, 닥나무 추출물은 백모 발생이 촉진된 마우스 생체 내에서 백모를 억제해주고 모발 내 멜라닌 양을 증가시켜 흑모 유발을 촉진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8)

  1. 닥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백모 방지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닥나무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50중량%의 양으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백모 방지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멜라노사이트의 MITF(melanogenesis 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의 발현을 촉진함으로써 모발의 멜라닌 생성을 촉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백모 방지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멜라노사이트의 티로시나제의 발현을 촉진함으로써 모발의 멜라닌 생성을 촉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백모 방지용 조성물.
  5. 닥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백반증 치료용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닥나무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50중량%의 양으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백반증 치료용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멜라노사이트의 MITF(melanogenesis 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의 발현을 촉진함으로써 모발의 멜라닌 생성을 촉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백반증 치료용 조성물.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멜라노사이트의 티로시나제의 발현을 촉진함으로써 모발의 멜라닌 생성을 촉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백반증 치료용 조성물.
KR1020100064367A 2010-07-02 2010-07-05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백모 방지용 및 백반증 치료용 조성물 KR101694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367A KR101694483B1 (ko) 2010-07-05 2010-07-05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백모 방지용 및 백반증 치료용 조성물
US13/808,021 US20130101689A1 (en) 2010-07-02 2011-07-04 Composition containing paper mulberry extracts
PCT/KR2011/004890 WO2012002784A2 (ko) 2010-07-02 2011-07-04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CN201180038032.5A CN103037880B (zh) 2010-07-02 2011-07-04 含有构树的提取物的组合物
JP2013518270A JP5944896B2 (ja) 2010-07-02 2011-07-04 コウゾ抽出物を含有する組成物
US14/464,044 US20140356468A1 (en) 2010-07-02 2014-08-20 Composition containing paper mulberry extrac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367A KR101694483B1 (ko) 2010-07-05 2010-07-05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백모 방지용 및 백반증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649A KR20120003649A (ko) 2012-01-11
KR101694483B1 true KR101694483B1 (ko) 2017-01-10

Family

ID=45610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4367A KR101694483B1 (ko) 2010-07-02 2010-07-05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백모 방지용 및 백반증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4483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0548B1 (ko) * 1991-05-27 1993-10-28 주식회사 태평양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미백화장료
KR100702519B1 (ko) * 2005-05-24 2007-04-0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애기닥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1600957B1 (ko) * 2008-11-25 2016-03-09 (주)아모레퍼시픽 백화사설초, 대황,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00067802A (ko) * 2008-12-12 2010-06-22 (주)아모레퍼시픽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649A (ko) 2012-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4770B1 (ko) 적하수오 부정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705847B1 (ko) 보리 추출물 또는 에리오딕티올을 포함하는 콜라겐 분해 방지 또는 콜라겐 합성 촉진용 조성물
KR102434209B1 (ko) 천연 오일을 함유한 발모촉진 및 탈모방지용 조성물
KR20180036347A (ko) 극차광 재배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955388B1 (ko) 염증 및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88815B1 (ko) 프로판노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백모 방지용 및 백반증 치료용 조성물
KR101512811B1 (ko) 붉은호장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612017B1 (ko)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23481B1 (ko) 플라보노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백모 방지용 및 백반증 치료용 조성물
KR101694483B1 (ko)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백모 방지용 및 백반증 치료용 조성물
KR102611916B1 (ko)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30860B1 (ko)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123490A (ko) 다릅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119511B1 (ko)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202554B1 (ko) 삼백초잎 추출물, 포도씨 추출물, 마치현 추출물 및 고두밥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53800B1 (ko) 갈근을 함유하는 백모 방지용 및 백반증 치료용 조성물
KR100466379B1 (ko)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1837422B1 (ko) 진세노사이드 f1과 닥나무 추출물 또는 백화사설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6969A (ko) 당류를 이용한 천연 추출물 제조 방법
KR100416400B1 (ko) 천화분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외용제 조성물
KR20170018880A (ko)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백모 방지용 및 백반증 치료용 조성물
KR20210131598A (ko) 동백나무 과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JP3466243B2 (ja) 美白化粧料
KR102491296B1 (ko) 배과피를 이용한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47044B1 (ko) 항산화용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