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5388B1 - 염증 및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염증 및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5388B1
KR100955388B1 KR1020090046228A KR20090046228A KR100955388B1 KR 100955388 B1 KR100955388 B1 KR 100955388B1 KR 1020090046228 A KR1020090046228 A KR 1020090046228A KR 20090046228 A KR20090046228 A KR 20090046228A KR 100955388 B1 KR100955388 B1 KR 100955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water extract
distillate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6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록
이경록
모상현
정대현
이정훈
김수정
김형식
서효현
배연자
임창일
이승준
정애진
박미영
김상미
Original Assignee
(주)바이오에프디엔씨
이상록
이경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이오에프디엔씨, 이상록, 이경록 filed Critical (주)바이오에프디엔씨
Priority to KR1020090046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53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5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53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3Oleaceae (Olive family), e.g. jasmine, lilac or ash 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6Violaceae (Violet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7Vitaceae or Ampelidaceae (Vine or Grape family), e.g. wine grapes, muscadine or pepperv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증 및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팬지 추출물, 포도 추출물, 서양수수꽃다리 추출물 및 가지 추출물의 증류액을 함유하는 염증 및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염증 및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세포의 증식을 촉진하고, 항산화 효능이 있으며, 염증을 개선시키고, 콜라겐 합성의 촉진에 의한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있어 피부 노화를 방지할 수 있다.
팬지, 포도, 가지, 서양수수꽃다리

Description

염증 및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Cosmetic Composition for Anti-inflammation and Anti-aging and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팬지 추출물, 포도 추출물, 서양수수꽃다리 추출물 및 가지 추출물의 증류액을 함유하는 염증 및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가장 큰 기관으로서 전체 인체 부피의 약 16%를 차지하고 있는 피부는 외부환경과 직접 접해 있으면서, 인체 안으로 침입하려는 치명적인 많은 유해인자, 예를 들면, 온도, 습도 및 자외선 등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중요한 보호막 역할을 담당한다. 그러나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각종 오염물질, 강한 자외선, 스트레스 및 영양결핍 등으로 인해 피부 세포들이 손상을 입게 되고, 세포 증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피부에 주름, 탄력 손실 및 각질화 등이 발생한다.
피부의 노화는 내인적 노화(intrinsic aging)와 외인적 노화(extrinsic aging)로 나뉘는데, 내인적 노화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피부의 생리적 기능이 점차 저하되어 자연적으로 나타나는 노화 현상을 임상학적으로 탄력이 감소하고, 피부결이 거칠어지며, 깊은 주름이 생기며 색소가 침착되는 특징이 있다(Arch Dermatol., 130:87-95(1994)). 외인적 노화는 자외선, 활성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및 스트레스 등의 외인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노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요인들에 의해 피부의 노화가 급속히 진행되며, 그 결과 피부 표면에 거친 주름이 생성되고 탄력이 현저히 감소하게 된다.
피부의 노화 기작을 규명하기 위한 여러 연구들이 진행되어 여러 가지 피부노화의 원인들이 밝혀졌다. 피부가 온도의 변화, 습도의 저하 또는 바람 등에 의해 건조하게 되면 외부에 대한 방어벽으로서의 피부 생리 활성이 저하되어 노화가 촉진된다. 또한, 유해 활성 산소종 또는 자유 라디칼에 피부가 노출되면 체내의 산화작용에 의해 과산화 지질이 생성되고 피부를 구성하는 여러 단백질들의 변형을 유발하게 된다. 한편, 피부 진피의 대부분 (피부 전체 건조 중량의 약 70-80%)을 차지하는 콜라겐과 신축성이 큰 엘라스틴 단백질은 섬유아세포에서 생성되는 주요 단백질로 피부 진피층에서 피부의 기계적 견고성, 조직의 결합력 및 탄력성 등에 관여한다(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dermatology, 21:610-613(1989)). 콜라겐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그리고 자외선에 노출이 많이 될수록 양적 감소를 보인다. 콜라겐은 형태와 구조적 특징에 따라서 분류되는데 이들 중에서, 가장 특징이 잘 알려진 것은 타입 I, II, III 그리고 IV이다. 피부의 주요 구조적 성분인 콜라겐과 엘라스틴은 자연적 또는 외부 자극에 의해 구조가 변성되거나 생합성량이 감소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피부 노화가 가속화된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피부 노화 방지를 위해, 천연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을 연구하던 중에, 팬지, 포도, 가지 등이 항노화 활성 및 항염 활성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팬지 추출물, 포도 추출물, 서양수수꽃다리 추출물 및 가지 추출물의 증류액을 함유하는 염증 및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염증 및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팬지 추출물의 증류액, 포도 추출물의 증류액, 서양수수꽃다리 추출물의 증류액 및 가지 추출물의 증류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및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팬지 추출물, 포도 추출물, 서양수수꽃다리 추출물 및 가지 추출물로 구성된 혼합 추출물의 증류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및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a) 팬지, 포도, 서양수수꽃다리 및 가지를 혼합하여 열수추출한 다음 상기 열수추출물을 가열하여 생성된 증기를 냉각시켜 증류액을 수득하는 단계; 또는 (b) 팬지, 포도, 서양수수꽃다리 및 가지 각각을 열수추출한 다음, 상기 각각의 열수추출물을 가열하여 생성된 증기를 냉각시켜 각각의 증류액을 얻은 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증 및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염증 및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세포의 증식을 촉진하고, 항산화 효능이 있으며, 염증을 개선시키고, 콜라겐 합성의 촉진에 의한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있어 피부 노화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염증 및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팬지 추출물, 포도 추출물, 서양수수꽃다리 추출물 및 가지 추출물의 증류액을 함유하는 염증 및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팬지 추출물의 증류액, 포도 추출물의 증류액, 서양수수꽃다리 추출물의 증류액 및 가지 추출물의 증류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및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팬지 추출물의 증류액, 포도 추출물의 증류액, 서양수수꽃다리 추출물의 증류액 및 가지 추출물의 증류액의 함량 비율은 제한되어 있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각각 10∼30중량부, 20∼40중량부, 10∼30중량부, 및 20∼40중량부일 수 있다.
여기서,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각각의 증류액은 0.0001 내지 30중량부를 함유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20 중량부로 함유할 수 있다. 일 예시로써, 상기 각각의 증류액을 혼합한 혼합액이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 에 대하여 0.0001 내지 30중량부 함유될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의 함량은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효과를 기대하기가 힘들며, 30 중량부 초과일 경우에는 제형 안정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팬지, 포도, 서양수수꽃다리, 가지의 추출물들은 열수추출하거나, 에탄올 추출하여 얻을 수 있고, 예컨대,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또는 1,3-부틸렌글리콜 등을 이용하여, 또는 기타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다른 추출방법에 의해서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팬지 추출물, 포도 추출물, 서양수수꽃다리 추출물 및 가지 추출물로 구성된 혼합 추출물의 증류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및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혼합추출물에 있어서, 팬지 추출물, 포도 추출물, 서양수수꽃다리 추출물 및 가지 추출물의 함량 비율은 각각 10∼30중량부, 20∼40중량부, 10∼30중량부, 및 20∼40중량부일 수 있다.
여기서,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혼합추출물의 증류액은 0.0001 내지 30중량부를 함유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20 중량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혼합추출물의 증류액 함량이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효과를 기대하기가 힘들며, 30 중량부 초과일 경우에는 제형 안정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팬지, 포도, 서양수수꽃다리 및 가지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팬지(Viola tricolor L.)는 측막태좌목 제비꽃과 한해살이풀로 삼색제비꽃이라고도 한다. 높이는 10∼15cm이며 줄기는 곧게 자라거나 옆으로 뻗으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밑부분 잎은 둥근 달걀꼴이며 윗부분의 잎은 약간 가늘고 긴 주걱꼴이다. 잎자루는 길고 큰 턱잎이 있다. 꽃은 3∼6월에 잎겨드랑이에서 긴 꽃자루가 나와 그 끝에 1개씩 달린다. 꽃잎은 5개이고, 꽃의 지름은 3∼12cm이며, 소륜종(小輪種)·중륜종(中輪種)·대륜종(大輪種)이 있다. 흰색·노란색·자주색의 3색으로 피나 원예품종은 단색이나 오렌지색·갈청색·적색·청색 등 변화가 많다. 열매는 삭과이며 달걀꼴이다.
포도(Vitis vinifera L.)는 원산지가 서부아시아의 반사막지대로서 재배역사가 대단히 오래된 과일중 하나이다. 형태는 덩굴성 목본으로 수피(樹皮)는 조각으로 떨어져 나간다. 잎은 원형(圓形) 혹은 원난형(圓卵形)이며 3∼5갈래로 갈라져 있고 뒷면에는 항상 거미줄 같은 면모(綿毛)로 덮여있다. 꽃은 잡성이며 자웅이주이고 원추화서(圓錐花序)를 이루어 잎과 마주나며, 화서(花序)자루에는 말려있는 수염이 없고, 꽃잎은 5장이며 선단은 붙어서 펴지지 않고 기부(基部)는 분리되어 있으며 꽃이 필 때에 모자 모양의 정괴(整塊)가 떨어져 나간다. 포도의 주요성분은 glucose, 과당, 소량의 자당과 xylose, 주석산, 수산, 구연산, maslic acid와 각종 anthocyanidin인 monoglycoside와 diglyside가 들어 있다. 포도의 껍질에는 cyanidin, peonidin, delphinidin, petunidin, malyidin, malyidin-3-β-oenin이 들어있다.
서양수수꽃다리(Syringa vulgaris L.)는 양정향나무라고도 하고,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라일락이다. 원산지는 유럽 남부의 카프카스와 아프카니스탄이다. 형태적으로는 밑에서 새로운 싹이나 가지가 돋아서 포기가 되며 높이 5 m 정도로 자란다. 잎은 마주나고 달걀 모양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가을에도 빛깔이 변하지 않는다. 꽃은 4∼5월에 자주색으로 피고 커다란 원추꽃차례를 이루며 향기가 있고, 씨방은 상위(上位)이고 2실이며, 열매는 삭과이다. 한국에서 주로 심는 것은 대부분 꽃이 흰색이며 흰서양수수꽃다리(var. alba)라고 한다.
가지(Solanum Melongena L.)의 높이는 60 ∼ 100 cm로, 식물 전체에 별 모양의 회색털이 나고 가시가 나기도 한다. 줄기는 검은빛이 도는 짙은 보라색이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이며 길이 15 ∼ 35 cm로 잎자루가 있고 끝이 뾰족하다. 꽃은 6 ∼ 9월에 피는데, 줄기와 가지의 마디 사이에서 꽃대가 나와 여러 송이의 연보라색 꽃이 달리며 꽃받침은 자줏빛이다. 열매의 모양은 달걀 모양, 공 모양, 긴 모양 등 품종에 따라 다양하며 한국에서는 주로 긴 모양의 긴 가지를 재배한다. 많은 원예품종이 있는데, 각 품종은 세포 유전학적으로 매우 가까워서 잡종을 만들기 쉽다. 1대 잡종은 세력이 왕성하고 질병에 강할 뿐만 아니라 수확량이 많고 교배도 간단하므로 많이 이용한다. 열을 내리게 하고 혈액순환을 도우며 통증을 멈추고 부은 것을 내리게 한다.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작용, 이뇨작용 등이 있다. 가지의 효능에는 수분 93 %, 단백질 1.2 g, 지질 0.4 g, 탄수화물 6.8 g, 칼슘 26 mg, 인 45 mg, 비타민A 301.U., 비타민 C 8 mg 등이 함유되어 있으나 과실류 중에서는 영 양가가 낮은 편에 속한다. 가지의 특유한 색은 안토시안계 색소인 나스닌(자주색)과 히아신(적갈색)이라는 배당체가 나타내는 색이다. 이 색소는 지방질을 잘 흡수하고 혈관 안의 노폐물을 용해, 배설시키는 성질이 있어서 피를 맑게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염증 및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서, 추가적으로, 첨가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는 알코올, 착색제, 방향제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염증 및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a) 팬지, 포도, 서양수수꽃다리 및 가지를 혼합하여 열수추출한 다음 상기 열수추출물을 가열하여 생성된 증기를 냉각시켜 증류액을 수득하는 단계; 또는 (b) 팬지, 포도, 서양수수꽃다리 및 가지 각각을 열수추출한 다음, 상기 각각의 열수추출물을 가열하여 생성된 증기를 냉각시켜 각각의 증류액을 얻은 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팬지, 포도, 서양수수꽃다리 및 가지 각각 10∼30중량부, 20∼40중량부, 10∼30중량부 및 20∼40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는데, 예컨대, 에멀젼, 로션, 크림(수중유적형, 유중수적형, 다중상), 용액, 현탁액(무수 및 수계), 무수 생성물(오일 및 글리콜계), 젤, 마스크, 팩, 분말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염증 및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전술 한 제조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제조방법을 일부 변형시킨 방법으로도 본 발명에 따른 염증 및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 제제에 있어서 수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화장품 제제에 있어서 수용가능한 담체"란 화장품 제제에 포함될 수 있는 이미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는 화합물 또는 조성물이거나 앞으로 개발될 화합물 또는 조성물로서 피부와의 접촉시 인체가 적응 가능한 이상의 독성, 불안정성 또는 자극성이 없는 것을 말한다.
상기 담체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그것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약 1 중량 % 내지 약 99.99 중량 %,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중량의 약 90 중량% 내지 약 99.99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비율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제조되는 전술한 바의 제형에 따라 또 그것의 구체적인 적용 부위(얼굴, 목 등)나 그것의 바람직한 적용량 등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비율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한편, 상기 담체로서는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 차단제, 발색제, 향료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상기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 차단제, 발색제, 향료로 사용될 수 있는 화합물/조성물 등은 이미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당업자라면 적절한 해당 물질/조성물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써,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팬지, 포도, 서양수수꽃다리, 가지 추출물들 이외에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키롤,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에탄올, 트리에탄올아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방부제, 항료, 색소, 정제수 등을 필요에 따라 미량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에 특별히 개시된 제조방법 이외에도, 통상적으로 알려진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유화 제형의 화장품으로는 영양화장수, 크림, 에센스 등이 있으며,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으로는 유연화장수가 있다. 또한, 피부과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함으로써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국소적용 또는 전신적용할 수 있는 보조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적합한 화장품의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포말(foam)의 형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염료, 안료, 친수 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성분들은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 본 발명에 따른 염증 및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1) 열수 추출 증류액 조성물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염증 및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혼합물 열수 추출 증류액 조성물을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표 1]
Figure 112009502040318-pat00001
상기 표 1의 성분들을 정제수에 충분히 세척한 후, 상기에 제시된 함량비대로 혼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팬지 200g, 포도 300g, 서양수수꽃다리 200g 및 가지 300g을 정제수에 충분히 세척한 후, 혼합하였다. 열탕증류기에서 20L의 정제수 를 이용하여 8 ∼48시간 정도, 80 ∼ 100℃로 가열하여 열수 추출물을 얻었다. 추출 후, 사용된 팬지나 포도 서양수수꽃다리 또는 가지를 꺼내고, 상기 열수 추출물을 90 ∼ 100℃로 한번 더 가열하면서, 4 ∼ 10℃의 냉수 냉각관을 이용하여 증류액을 획득하였다. 구체적으로 열수 추출 중 휘발되는 증기들은 냉수 냉각관을 통과하는 동안 응결되어 열탕 증류기로 회수되도록 하였다. 획득된 혼합물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을 12000 rpm에서 4℃, 30분간 원심분리하여 고형분을 제거하고, 상등액을 아래의 실험에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수추출물 증류액을 정제수에 다양한 농도(0.05 내지 5% 함유)로 혼합시켜 본 발명에 따른 염증 및 피부 노화방지용 조성물을 제조하여 하기 실험예에서 사용하였다.
또한, 각각의 구성성분들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먼저 증류액을 획득한 후, 표 1에 제시된 함량비 각각의 열수추출물의 증류액들을 혼합하여도 하기 실험예에서 동일한 항염 및 항노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1: 피부세포의 증식 활성 시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에 대한 피부 세포의 증식 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인간섬유아세포(Human Skin Fibroblast, CCD-986Sk)는 ATCC(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에서 분주 받아서 배양하였다. 각 세포를 1×104cells/ml의 농도로 하여 24 well 배양판에 접종하였다. 배지는 10 % FBS를 함유한 DMEM(Dubelcco'S Modified Eagle Medium, BRL,USA)을 사용하였다. 10% FBS를 함유 하는 DMEM에서 48시간 배양하여 배양용기 표면적의 25 ∼ 30%만큼 배양되면,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조성물이 0.05 ∼ 5 %가 함유된 FBS-free DMEM으로 교체하여 24시간 더 배양하였다. 배양 후 3-(4,5-디메틸티아졸-2-일)-2,5-디페닐 테트라졸리움 브롬화물 (MTT, Sigma M5655, USA) 용액 (2.5 mg/ml)을 50㎕ 첨가하고 3시간동안 추가로 배양한 후 상등액을 제거하고, 각 well 당 200 ㎕의 Dimethylsulfoxide (DMSO, Sigma D2650, USA)용액을 가한 후 20분간 교반하여 형성된 포르마잔(formazan) 결정을 녹인 다음, 100㎕ 씩을 96 well 로 취하여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로 570 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피부 세포의 증식 활성 정도는 순수한 물을 사용한 대조군의 흡광 강도를 기준으로 하기 수학식에 따라 계산하여 백분율로 표시하였고,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았다.
[수학식 1]
세포증식효과(%) = [(실험군 흡광도 - 대조군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 × 100
[표 2]
Figure 112009502040318-pat00002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본 발명에 따른 염증 및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실시예 1 에서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염증 및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매우 높은 섬유아세포 증식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혼합 추출물 증류액의 함량이 높은 조성물일 수록 우수한 세포 증식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2: DPPH를 이용한 항산화 시험
화합물 1,1-diphenyl-2-picryl hydrazyl (DPPH, Sigma D9132-1G, USA)는 에탄올 내에서 자유라디칼을 발생하는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생성된 자유라디칼의 양이 어느 정도 감소하는지(자유라디칼 소거활성 시험)를 확인함으로써 항산화 효과를 갖는지를 알아보았다. 자유라디칼 소거활성 실험은 Kim 등 (Kor. J. Pharmacogn., 24(4), 299-303(1993))의 방법을 변형한 것으로써, 안정한 자유라디칼인 DPPH(1,1-diphenyl-2-picryl hydrazyl, Sigma D9132-1G, USA)시약을 사용하였다.
0.2 mM DPPH 용액(Blank인 경우는 에탄올) 150 ㎕에 혼합 추출물 증류액을 다양한 농도로 함유하도록 제작하여, 이들을 각각 150 ㎕ 첨가하여 혼합하고, 실온에서 30분간 방치한 후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이에 대한 대조군은 정제수를 이용한 경우로 설정하였다. 상기 실험군과 대조군에 대한 흡광도 측정 후, 항산화능의 정도는 순수한 물을 사용한 대조군의 흡광 강도를 기준으로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하기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자유라디칼 소거활성 효과를 구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2]
자유 라디칼 소거 효과 (%) = 100 - [(실험군 흡광도-Blank 흡광도)/대조군 의 흡광도] × 100
[표 3]
Figure 112009502040318-pat00003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염증 및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우수한 항산화능을 나타내었으며, 혼합 추출물 증류액의 함량이 높은 조성물일수록 더욱 우수한 항산화능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3: 콜라겐 합성 증진효과 실험
인간섬유아세포(Human Skin Fibroblast)를 37℃, 5% CO2 배양기에서 일정한 습도를 유지하는 세포 배양기내에서 10% FBS, Penicillin(50U/ml), Streptomycin(50㎍/ml)를 함유하는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Gibco, USA)으로 배양하여, 1×105개/ml로 24 well plate에 500 ㎕씩 분주한 다음 24시간 배양하였다. 대조군(DMEM 배지 자체)과 0.05 ∼ 5 %의 다양한 농도의 혼합 추출물 증류액을 함유한 새로운 배지(DMEM 배지에 혼합추출물증류액을 함유) 넣고 48시간동안 37℃,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48시간 후, 배지의 상층액을 각각 20 ㎕을 취해 Procollagen Type I C-Peptide EIA Kit(PICP, Takara, Cat No. MK101)를 이용하여 측정함으로써 새로 합성된 콜라겐 양을 측정하였다. PICP양은 ng/1×105세포로 환산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4에 나타나 있다.
[표 4]
Figure 112009502040318-pat00004
상기 표 4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조성물 내 혼합 추출물 증류액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콜라겐의 합성이 증가함을 알 수 있고, 이에 본 발명의 조성물이 탁월한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iNOS 활성 저해 시험
생쥐의 대식세포인 Raw264.7 세포를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유발시킨 염증의 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iNOS가 들어있지 않은 10% FBS-DMEM(Fetal Bovine Serum, 소태아혈청,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GIBCO사) 배지에 1×105세포를 현탁시켜 24 well plate에 접종하여 부착시켰다. 하루 후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혼합 추출물 증류액을 농도별로 처리(DMEM 배지에 다양한 농도의 혼합 추출물 증류액을 포함한 것)하여 18시간 배양한 후 1 ㎍/ml의 Lipopolysaccharide (Sigma사)를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상층액을 회수하여 96 well plate에 100 ㎕씩 넣고 Griess reagent (Sigma사)을 동량 첨가하여 상온에서 10분간 가볍게 흔들어 주어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했다. Sodium Nitrite를 표준품으로 하 여 검량선을 작성하고 각 시료를 배양액 중의 Nitric Oxide의 생성량을 구하였다. Lipopolysaccharide를 처리한 군의 Nitric Oxide의 생성량을 100%로 하여 각 시료의 % 수득율을 구하였다.
[표 5]
Figure 112009502040318-pat00005
상기 표 5에서와 같이, iNOS의 활성을혼합 추출물 증류액의 농도에 따라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시켰다.

Claims (6)

  1. 팬지 열수 추출물을 90~100℃로 가열하여 생성된 증기를 4~10℃의 냉수 냉각관을 이용하여 냉각시켜 얻은 증류액, 포도 열수 추출물을 90~100℃로 가열하여 생성된 증기를 4~10℃의 냉수 냉각관을 이용하여 냉각시켜 얻은 증류액, 서양수수꽃다리 열수 추출물을 90~100℃로 가열하여 생성된 증기를 4~10℃의 냉수 냉각관을 이용하여 냉각시켜 얻은 증류액 및 가지 열수 추출물을 90~100℃로 가열하여 생성된 증기를 4~10℃의 냉수 냉각관을 이용하여 냉각시켜 얻은 증류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및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2. 팬지 열수 추출물, 포도 열수 추출물, 서양수수꽃다리 열수 추출물 및 가지 열수 추출물로 구성된 혼합 열수 추출물을 90~100℃로 가열하여 생성된 증기를 4~10℃의 냉수 냉각관을 이용하여 냉각시켜 얻은 증류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및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각각의 증류액은 0.0001 내지 30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 및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혼합 열수 추출물의 증류액은 0.0001 내지 30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 및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5.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염증 및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a) 팬지, 포도, 서양수수꽃다리 및 가지를 혼합하여 열수추출한 다음 상기 열수추출물을 90~100℃로 가열하여 생성된 증기를 4~10℃의 냉수 냉각관을 이용하여 냉각시켜 증류액을 수득하는 단계; 또는
    (b) 팬지, 포도, 서양수수꽃다리 및 가지 각각을 열수추출한 다음, 상기 각각의 열수추출물을 90~100℃로 가열하여 생성된 증기를 4~10℃의 냉수 냉각관을 이용하여 냉각시켜 각각의 증류액을 얻은 후 혼합하는 단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팬지, 포도, 서양수수꽃다리 및 가지는 각각 10~30중량부, 20~40중량부, 10~30중량부 및 20~40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90046228A 2009-05-25 2009-05-25 염증 및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955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6228A KR100955388B1 (ko) 2009-05-25 2009-05-25 염증 및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6228A KR100955388B1 (ko) 2009-05-25 2009-05-25 염증 및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5388B1 true KR100955388B1 (ko) 2010-04-29

Family

ID=42220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6228A KR100955388B1 (ko) 2009-05-25 2009-05-25 염증 및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538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5844A (ko) * 2019-11-07 2021-05-18 재단법인 전주농생명소재연구원 수수꽃다리 캘러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조성물
KR20220125841A (ko) * 2021-03-04 2022-09-15 재단법인 전주농생명소재연구원 수수꽃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및 피부 재생용 조성물
WO2023277224A1 (ko) * 2021-07-01 2023-01-05 주식회사 네이처 보타닉스 금화규를 포함하는 한방 추출물 및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88009A (ja) * 1989-12-18 1991-08-16 Ichimaru Pharcos Co Ltd 植物の水蒸気蒸留により水層部に溜った水を用いてなる化粧料配合用植物水
JPH05255060A (ja) * 1992-03-11 1993-10-05 Eikoudou:Kk 化粧料
JP2001220312A (ja) 2000-02-09 2001-08-14 Ichimaru Pharcos Co Ltd 植物水蒸気蒸留水含有化粧料組成物
JP2001226219A (ja) 2000-02-17 2001-08-21 Ichimaru Pharcos Co Ltd 植物水蒸気蒸留水含有化粧料組成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88009A (ja) * 1989-12-18 1991-08-16 Ichimaru Pharcos Co Ltd 植物の水蒸気蒸留により水層部に溜った水を用いてなる化粧料配合用植物水
JPH05255060A (ja) * 1992-03-11 1993-10-05 Eikoudou:Kk 化粧料
JP2001220312A (ja) 2000-02-09 2001-08-14 Ichimaru Pharcos Co Ltd 植物水蒸気蒸留水含有化粧料組成物
JP2001226219A (ja) 2000-02-17 2001-08-21 Ichimaru Pharcos Co Ltd 植物水蒸気蒸留水含有化粧料組成物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5844A (ko) * 2019-11-07 2021-05-18 재단법인 전주농생명소재연구원 수수꽃다리 캘러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조성물
KR102287728B1 (ko) 2019-11-07 2021-08-09 재단법인 전주농생명소재연구원 수수꽃다리 캘러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조성물
KR20220125841A (ko) * 2021-03-04 2022-09-15 재단법인 전주농생명소재연구원 수수꽃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및 피부 재생용 조성물
KR102604076B1 (ko) 2021-03-04 2023-11-21 재단법인 전주농생명소재연구원 수수꽃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및 피부 재생용 조성물
WO2023277224A1 (ko) * 2021-07-01 2023-01-05 주식회사 네이처 보타닉스 금화규를 포함하는 한방 추출물 및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4908B1 (ko) 모시풀(Boehmeria nive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장벽강화용 조성물
KR101387308B1 (ko)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800213B1 (ko) 청시닥나무, 개시닥나무 또는 시닥나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02138B1 (ko) 탈색소제로서의 머틀 추출물 용도
KR102250462B1 (ko) 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다기능 화장료 조성물
KR20120003238A (ko) 닥나무의 꽃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827771B1 (ko)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63686B1 (ko) 콩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955388B1 (ko) 염증 및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93500A (ko) 노루오줌 추출물
KR100903654B1 (ko) 하고초 추출물과 아데노신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092229A (ko) 조직 배양한 유채와 석류, 산삼의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12017B1 (ko)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107943A (ko) 산닥나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6969A (ko) 당류를 이용한 천연 추출물 제조 방법
EP3052198B1 (fr) Composition huileuse contenant un extrait d'hemerocalle et utilisations
KR101081585B1 (ko) 광나무 및 원추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83415B1 (ko) 오죽 잎 및 우엉씨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70117B1 (ko) 금모구척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유라디칼 소거용 화장료
KR102463745B1 (ko) 미백 및 항산화기능을 가지는 화장품 조성물
KR101820881B1 (ko) 두메닥나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38009B1 (ko) 개오동나무 및 싸리나무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94483B1 (ko)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백모 방지용 및 백반증 치료용 조성물
KR20220070759A (ko) 우방자와 루핀 펩타이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콜라겐 및 지질 생합성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30169597A (ko) 식물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