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3480B1 - 헤드레스트의 위치조절 구조 - Google Patents

헤드레스트의 위치조절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3480B1
KR101693480B1 KR1020150182543A KR20150182543A KR101693480B1 KR 101693480 B1 KR101693480 B1 KR 101693480B1 KR 1020150182543 A KR1020150182543 A KR 1020150182543A KR 20150182543 A KR20150182543 A KR 20150182543A KR 101693480 B1 KR101693480 B1 KR 101693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y
headrest
slide
main body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2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찬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씨엔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씨엔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씨엔에프
Priority to KR1020150182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34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3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3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0N2/4805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B60N2/4811

Landscapes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좌석 상부에 설치되어 탑승자의 머리를 받쳐주는 헤드레스트의 위치조절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헤드레스트의 전후방향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단순하게 형성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헤드레스트의 위치조절 구조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 양단부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수직부로 구성되는 스테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되고 좌우가 개방된 슬라이드공간을 구비하여, 상기 슬라이드공간 내에 좌우방향으로 스테이의 수평부가 삽입되도록 배치되는 슬라이드본체; 양단부에 스테이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각각의 스테이관통공 내에 스테이의 수직부가 삽입되도록 배치되는 받침부; 양단부가 슬라이드본체와 받침부에 각각 핀결합되는 링크; 상기 스테이에 부착되는 것으로, 상하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상·하 가이드판을 구비하여, 상기 상·하 가이드판이 각각 슬라이드본체의 슬라이드공간 상하면에 면접하도록 배치되는 가이드; 및 상기 받침부를 스테이 수직부의 일정 높이 상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헤드레스트의 위치조절 구조{Position control structure for headres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좌석 상부에 설치되어 탑승자의 머리를 받쳐주는 헤드레스트의 위치조절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헤드레스트의 전후방향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단순하게 형성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헤드레스트의 위치조절 구조에 관한 것이다.
헤드레스트는 자동차의 좌석 상부에 설치되어 탑승자의 머리를 받쳐줌으로써 탑승자가 좌석에 앉았을 때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하고,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에는 머리가 급격하게 뒤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하여 목 부상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준다.
탑승자에 따라 신체 규격 및 앉는 자세가 다르기 때문에 헤드레스트의 위치가 조절될 필요가 있는데, 보통은 헤드레스트의 스테이에 상하로 다수 개의 홈을 형성하고 스테이가 끼워지는 좌석의 삽입구 내에서 돌기가 돌출되도록 하여,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조절하고 헤드레스트를 일정한 높이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탑승자의 편안함을 위해서는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상하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모두 조절해줄 필요가 있다.
공개번호 10-2011-0026180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에서는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전후방향으로 조절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기는 하나, 상기 종래기술은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전후방향으로 조절하는 수단의 작동방법이 번거롭고 구성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11-0026180 A
본 발명은 상기한 것과 같은 종래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헤드레스트의 전후방향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면서도 단순한 구성을 가지는 헤드레스트의 위치조절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것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 양단부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수직부로 구성되는 스테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되고 좌우가 개방된 슬라이드공간을 구비하여, 상기 슬라이드공간 내에 좌우방향으로 스테이의 수평부가 삽입되도록 배치되는 슬라이드본체; 양단부에 스테이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각각의 스테이관통공 내에 스테이의 수직부가 삽입되도록 배치되는 받침부; 양단부가 슬라이드본체와 받침부에 각각 핀결합되는 링크; 상기 스테이에 부착되는 것으로, 상하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상·하 가이드판을 구비하여, 상기 상·하 가이드판이 각각 슬라이드본체의 슬라이드공간 상하면에 면접하도록 배치되는 가이드; 및 상기 받침부를 스테이 수직부의 일정 높이 상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의 위치조절 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스테이의 수직부에서 상하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다수 개의 걸림홈, 상기 받침부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걸림홈에 맞물리는 형상의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걸림부재 및 상기 걸림부재의 걸림돌기가 걸림홈에 걸리는 방향으로 걸림부재를 가압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의 위치조절 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걸림홈의 단면은 하부 외측이 직각인 직각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의 위치조절 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가이드의 상·하 가이드판은 스테이의 수직부와 둔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의 위치조절 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헤드레스트 위치조절 구조는 단순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하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헤드레스트 위치조절 구조는 슬라이드본체에 힘을 가하는 것으로 헤드레스트의 전후방향 위치를 쉽게 조절할 수 있으면서도 받침부 및 고정수단에 의해 스테이 수직부의 일정 높이에 고정될 수 있고, 가이드에 의하여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가이드의 상·하 가이드판이 스테이의 수직부와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경우,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전후방향 뿐만 아니라 상하방향으로도 조절할 수 있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에 의한 헤드레스트 위치조절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헤드레스트 위치조절 구조의 작동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4는 상기 헤드레스트 위치조절 구조를 구성하는 고정수단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한 설명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고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좌석 상부에 설치되어 탑승자의 머리를 받쳐주는 헤드레스트의 위치조절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헤드레스트의 전후방향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단순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헤드레스트 위치조절 구조의 결합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헤드레스트의 위치조절 구조는, 스테이(10), 슬라이드본체(20), 받침부(30), 링크(40), 가이드(50) 및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스테이(10)는, 헤드레스트를 지지하는 동시에 자동차의 좌석에 고정해주기 위한 것으로, 수평부(11)와 상기 수평부(11) 양단부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수직부(12)로 구성되어 전체적인 형상이 'ㄷ'자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부(11) 및 수직부(12)의 상단부에는 헤드레스트의 다른 구성부들이 결합되며, 수직부(12)의 하단부는 자동차의 좌석 상단부에 삽입된다.
슬라이드본체(20)는, 헤드레스트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재(미도시)가 부착되는 부분으로, 상기 스테이(10)를 기준으로 하여 헤드레스트 위치조절 구조의 다른 구성들과 상호작용을 하며 위치가 조절된다. 상기 슬라이드본체(20)는 전후방향으로 형성되고 좌우가 개방된 슬라이드공간(21)을 구비하여, 상기 슬라이드공간(21) 내에 좌우방향으로 스테이(10)의 수평부(11)가 삽입되도록 배치된다.
받침부(30)는 양단부에 스테이관통공(31)이 형성되어 상기 각각의 스테이관통공(31) 내에 스테이(10)의 수직부(12)가 삽입되도록 배치되고, 링크(40)는 그 양단부가 슬라이드본체(20)와 받침부(30)에 각각 핀결합된다.
위와 같이 서로 결합된 슬라이드본체(20), 받침부(30) 및 링크(40)는 스테이(10)를 기준으로 움직일 때 서로 영향을 주게 된다. 즉, 도 3의 (a)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받침부(30)가 스테이 수직부(12)의 하부쪽에 위치할 때에는 상기 받침부(30)와 슬라이드본체(20)를 연결하는 링크(40)의 각도가 거의 수직에 가깝게 형성되어 슬라이드본체(20)가 상대적으로 후방에 위치하게 되고, 도 3의 (b)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받침부(30)가 스테이 수직부(12)의 상부쪽에 위치할 때에는 링크(40)의 각도가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슬라이드본체(20)가 상대적으로 전방에 위치하게 된다.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조절하고자 할 때에는, 헤드레스트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재(미도시)에 힘을 가하여 슬라이드본체(2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가이드(50)는, 상기 스테이(10)에 부착되는 것으로, 상하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상·하 가이드판(51)을 구비한다. 이러한 가이드(50)는 상기 상·하 가이드판(51)이 각각 슬라이드본체(20)의 슬라이드공간(21) 상하면에 면접하도록 배치되어, 상·하 가이드판(51)의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본체(20)의 움직임이 가이드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본체(20)가 전후방향으로 움직일 때 스테이(10)의 수평부(11)를 기준으로 하여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고정수단은, 상기 받침부(30)를 스테이 수직부(12)의 일정 높이 상에 고정하여, 링크(40)에 의해 연결되어 받침부(30)와 함께 움직이는 슬라이드본체(20)가 일정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테이(10)의 수직부(12)에서 상하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다수 개의 걸림홈(61), 상기 받침부(30)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걸림홈(61)에 맞물리는 형상의 걸림돌기(62a)를 구비하는 걸림부재(62) 및 상기 걸림부재(62)의 걸림돌기(62a)가 걸림홈(61)에 걸리는 방향으로 걸림부재(62)를 가압하는 스프링(6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4에는 이러한 고정수단에 관한 설명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고정수단은 평소에는 도 4의 (a)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걸림부재(62)가 스프링(63)에 의해 가압되어 걸림부재(62)의 걸림돌기(62a)가 걸림홈(61)에 삽입되므로 스테이(10)의 수직부(12) 상에서 받침부(30)가 고정되며, 이에 따라 슬라이드본체(20) 또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슬라이드본체(20)의 위치를 조절하고자 할 때에는 도 4의 (b)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걸림부재(62)에 스프링(63)의 탄성력 이상의 힘을 가하면 걸림부재(62)의 걸림돌기(62a)가 걸림홈(61)에 걸리지 않게 되어 받침부(30)를 스테이 수직부(1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걸림부재(62)의 일부분은, 헤드레스트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재(미도시) 밖으로 돌출되어 탑승자가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조절하고자 할 때 걸림부재(62)를 쉽게 누를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상기 걸림홈(61)의 단면은 하부 외측이 직각인 직각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걸림홈(61)은, 받침부(30)를 상부로, 즉 슬라이드본체(2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 걸림부재(62)에 스프링(63)의 탄성력 이상의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슬라이드본체(20)를 전방으로 당기어 받침부(30)에 상부방향의 힘이 가해지는 것만으로 걸림돌기(62a)가 걸림홈(61) 단면에서 빗변을 형성하는 면(f1)을 타고 넘으며 슬라이드본체(20)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반면, 받침부(30)에 하부방향의 힘을 가하더라도 걸림돌기(62a)가 걸림홈(61) 단면에서 하변을 형성하는 면(f2)을 타고 넘을 수는 없으므로, 걸림부재(62)에 탄성력 이상의 힘을 가하지 않는 이상 헤드라이너 자체의 하중이나 탑승자의 머리가 헤드라이너에 가하는 하중에 의하여 슬라이드본체(20)가 후방으로 이동하지는 않는다.
상기 가이드(50)의 상·하 가이드판(51)은 스테이(10)의 수직부(12)와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50)의 상·하 가이드판(51)에 의해 움직임이 가이드되는 슬라이드본체(20)는 상·하 가이드판(51)의 각도에 맞추어 수직부(12)와 둔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슬라이드본체(20)에 힘을 가했을 때 전후방향 뿐만 아니라 상하방향으로도 헤드레스트의 위치가 조절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헤드레스트의 위치조절 구조는, 상기와 같은 구성들 외에도 일반적인 헤드레스트에서와 같이 스테이(10)의 수직부(12) 중 자동차의 좌석 상단부로 삽입되는 부분에 상하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다수 개의 스테이홈(13)을 형성하여 헤드레스트의 위치가 상하방향으로 조절되는 정도를 증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청구범위의 기재에 따라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스테이 11 : 수평부
12 : 수직부 20 : 슬라이드본체
21 : 슬라이드공간 30 : 받침부
31 : 스테이관통공 40 : 링크
50 : 가이드 51 : 상·하 가이드판
61 : 걸림홈 62 : 걸림부재
62a : 걸림돌기 63 스프링

Claims (4)

  1. 수평부(11)와 상기 수평부(11) 양단부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수직부(12)로 구성되는 스테이(10);
    전후방향으로 형성되고 좌우가 개방된 슬라이드공간(21)을 구비하여, 상기 슬라이드공간(21) 내에 좌우방향으로 스테이(10)의 수평부(11)가 삽입되도록 배치되는 슬라이드본체(20);
    양단부에 스테이관통공(31)이 형성되어, 상기 각각의 스테이관통공(31) 내에 스테이(10)의 수직부(12)가 삽입되도록 배치되는 받침부(30);
    양단부가 슬라이드본체(20)와 받침부(30)에 각각 핀결합되는 링크(40);
    상기 스테이(10)에 부착되는 것으로, 상하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상·하 가이드판(51)을 구비하여, 상기 상·하 가이드판(51)이 각각 슬라이드본체(20)의 슬라이드공간(21) 상하면에 면접하도록 배치되는 가이드(50); 및
    상기 받침부(30)를 스테이 수직부(12)의 일정 높이 상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의 위치조절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스테이(10)의 수직부(12)에서 상하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다수 개의 걸림홈(61), 상기 받침부(30)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걸림홈(61)에 맞물리는 형상의 걸림돌기(62a)를 구비하는 걸림부재(62) 및 상기 걸림부재(62)의 걸림돌기(62a)가 걸림홈(61)에 걸리는 방향으로 걸림부재(62)를 가압하는 스프링(6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의 위치조절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61)의 단면은 하부 외측이 직각인 직각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의 위치조절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50)의 상·하 가이드판(51)은 스테이(10)의 수직부(12)와 둔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의 위치조절 구조.
KR1020150182543A 2015-12-21 2015-12-21 헤드레스트의 위치조절 구조 KR101693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2543A KR101693480B1 (ko) 2015-12-21 2015-12-21 헤드레스트의 위치조절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2543A KR101693480B1 (ko) 2015-12-21 2015-12-21 헤드레스트의 위치조절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3480B1 true KR101693480B1 (ko) 2017-01-06

Family

ID=57832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2543A KR101693480B1 (ko) 2015-12-21 2015-12-21 헤드레스트의 위치조절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348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5552A (ja) * 1992-07-23 1994-02-18 Nec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9321464A (ja) * 1996-05-28 1997-12-12 Kel Corp 基板等のスライドガイドレール部材及びその取付ピッチ調整具
WO2010123173A1 (ko) * 2009-04-09 2010-10-28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향입력장치용 슬라이드 모듈
KR20110026180A (ko) 2009-09-07 2011-03-15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WO2011162440A1 (ko) * 2010-06-24 2011-12-29 (주)케이에이치바텍 휴대단말기용 틸트 업 모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5552A (ja) * 1992-07-23 1994-02-18 Nec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9321464A (ja) * 1996-05-28 1997-12-12 Kel Corp 基板等のスライドガイドレール部材及びその取付ピッチ調整具
WO2010123173A1 (ko) * 2009-04-09 2010-10-28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향입력장치용 슬라이드 모듈
KR20110026180A (ko) 2009-09-07 2011-03-15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WO2011162440A1 (ko) * 2010-06-24 2011-12-29 (주)케이에이치바텍 휴대단말기용 틸트 업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12302A (zh) 交通工具座椅的头枕支撑结构
CN107640072B (zh) 具有可调节的头部约束组件的座椅组件
US20140028074A1 (en) Vehicular seats
JP6102771B2 (ja) 可動式ヘッドレスト
JP5956592B2 (ja) 車両用シート
EP2261075B1 (en) Cushion mat assembly for use in a vehicle seat
JP2015221599A (ja) 車両用シート
CN107953804B (zh) 座椅滑动装置
US20060138841A1 (en) Seat back structure and seat for vehicle
KR101693480B1 (ko) 헤드레스트의 위치조절 구조
KR101791106B1 (ko)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
JP6149722B2 (ja) 乗物用シートのシートバック構造
CN106828228B (zh) 一种可前后移动调节的四向头枕
JP6440307B2 (ja) 椅子
JP6030391B2 (ja) 椅子
JP6483762B2 (ja) 椅子の背凭れ装置及び椅子
JP6715731B2 (ja) 椅子
JP7330781B2 (ja) 什器
KR102419987B1 (ko) 헤드레스트 모듈
JP6192039B2 (ja) 枕スライド機構
JP7280737B2 (ja) 荷重支持機構、背凭れおよび椅子
JP5956594B2 (ja) 車両用シート
US11192482B2 (en) Headrest assembly including locking arrangement reducing BSR
JP5956593B2 (ja) 車両用シート
JP2018127016A (ja) 乗物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