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3471B1 - 아스팔트를 이용한 바닥재구조 - Google Patents

아스팔트를 이용한 바닥재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3471B1
KR101693471B1 KR1020150022696A KR20150022696A KR101693471B1 KR 101693471 B1 KR101693471 B1 KR 101693471B1 KR 1020150022696 A KR1020150022696 A KR 1020150022696A KR 20150022696 A KR20150022696 A KR 20150022696A KR 101693471 B1 KR101693471 B1 KR 101693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eve
aggregate
mixed
asphalt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2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0126A (ko
Inventor
진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리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리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리기술
Priority to KR1020150022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3471B1/ko
Publication of KR20160100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0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3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3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2Flooring or floor layers made of masses in situ, e.g. seamless magnesite floors, terrazzo gypsum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54Roof garden systems; Roof coverings with high solar reflect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내부와 외부에 적용되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바닥재에 개질혼합재, 채움혼합재, 충진혼합재를 첨가하여 방수 효과와 내구성을 증진시켜, 동일한 바닥재를 이용하여 건물의 내부와 외부의 바닥면 처리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건물 내부에 사용될 때는 바닥면 처리용으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타일의 하부에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건물 외부에 적용시에는 소음과 미끄럼에 의한 문제를 발생하지 않으며, 일반 아스팔트 포장과 같이 차량의 하중에 효과적으로 견딜 수 있는 바닥재를 제시한다.

Description

아스팔트를 이용한 바닥재구조{Flooring material structure using asphalt}
본 발명은 아스팔트를 이용한 바닥재구조에 관한 것으로, 통상적인 아스팔트 포장 기술 및 장비를 이용하여 기저층을 시공할 수 있으며, 기저층에 개질혼합재, 채움혼합재, 충진혼합재를 첨가하여 방수 효과와 내구성을 증진시켜, 동일한 기저층를 이용하여 건물의 내부와 외부의 바닥면 처리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내부와 외부는 서로 다른 바닥재를 사용하여 바닥면을 처리하게 된다. 건물 내부는 일반 콘크리트 건물인 경우 특별한 처리없이 접착제를 바른 다음 아스타일, 데코타일, 폴리싱타일, 우드타일 등 바닥재들의 가장자리면을 맞대어주는 방법으로 시공하게 된다. 이 때, 접착제가 균일하게 도포되지 않을 경우, 타일 바닥재간에 미세한 틈새가 형성될 수 있으며, 미세한 틈새에 이물질이 끼이게 되는데, 이렇게 시공된 타일 바닥재들의 이음부 틈새에 끼인 이물질은 검게 변하여 바닥을 더럽게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나아가 타일 바닥재로 시공된 바닥을 물청소할 경우에는 이음부 틈새를 통해 물기가 스며들게 되어 접착제로 접착된 타일 바닥재 자체가 들뜨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건물 외부, 즉 지하 주차장이나 건물의 옥상과 같은 곳은 빗물과 태양으로부터 열등 외부 환경에 노출에 따른 저항성을 개선시키고자 노력을 많이 하였다. 주로 고무 바닥재를 사용하였으나, 고무바닥재는 주행소음과 미끄럼 방지에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또한 차량이나 사람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견디지 못하였다. 또한 바닥과 바닥재 사이가 들떠서 공간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러한 공간은 결국 바닥재를 보수하거나 재설치해야 했다.
공개특허 10-2001-0049402
본 발명은 앞서 제시된 건물 내부와 외부에 적용되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바닥재의 기저층에 개질혼합재, 채움혼합재, 충진혼합재를 첨가하여 방수 효과와 내구성을 증진시켜, 동일한 기저층을 이용하여 건물의 내부와 외부의 바닥면 처리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건물 내부에 사용될 때는 바닥면 처리용으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각종 타일의 하부에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건물 외부에 적용시에는 소음과 미끄럼에 의한 문제를 발생하지 않으며, 일반 아스팔트 포장과 같이 차량의 하중에 효과적으로 견딜 수 있는 바닥재구조를 제시한다.
발명은 앞서 제시된 건물 내부와 외부에 적용되는 바닥재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기저층(100) 조성물은 석유아스팔트, 천연아스팔트, 골재, 개질혼합재, 채움혼합재, 충진혼합재로 이뤄지고, 석유아스팔트는 침입도 기준 85~100이며, 천연아스팔트는 트리니대드 레이크 아스팔트이다.
골재는 4.75mm 체에 잔류하는 굵은골재, 4.75mm체를 통과하는 잔골재로 구분하여 포함되며, 굵은골재는 골재와 아스팔트의 접착성이 좋은 화강암 또는 석회암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을 동시에 사용하며, 잔골재는 골재파쇄분, 모래, 규사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되어 포함된다.
골재의 입도는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 개발되었으며, 입도예1은 통과중량백분율(%)로 19mm체 100%, 13mm체 95~100%, 4.75mm체 65~80%, 2.36mm체 50~65%, 600체 25~40%, 300체 12~27%, 150체 8~20%, 75체 4~10%이며, 입도예2는 통과중량백분율(%)로 19mm체 100%, 13mm체 95~100%, 4.75mm체 60~80%, 2.36mm체 45~65%, 600체 40~60%, 300체 20~45%, 150체 10~25%, 75체 8~13%이며, 입도예3은 통과중량백분율(%)로 19mm체 100%, 13mm체 95~100%, 4.75mm체 75~90%, 2.36mm체 65~80%, 600체 40~65%, 300체 20~45%, 150체 15~30%, 75체 8~15%이다.
개질혼합재는 고무류와 플라스틱류를 포함하며, 고무류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스티렌부타디엔러버, 천연고무. 폐타이어 고무분말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고, 플라스틱류는 에칠 비닐 아세테이트, 염화폴리비닐, 폴리오레핀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고, 개질혼합재가 액상일 경우, 상기 석유아스팔트와 습식혼합되고, 개질혼합재가 분말일 경우, 상기 골재와 혼합되는 건식혼합되되, 상기 개질혼합재의 양을 골재 일부와 대체하는 방법으로 혼합된다.
채움혼합재는 수분저항성이 강한 석회 및 산화경화에 대한 취성을 감소하시키기 위해 카본블랙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을 동시에 사용하고, 채움혼합재는 상기 골재와 혼합되는 건식혼합되되, 상기 채움혼합재의 양을 골재 일부와 대체하는 방법으로 혼합되다.
충진혼합재는 유리조각 또는 금속조각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을 동시에 사용하고, 충진혼합재는 상기 골재와 혼합되는 건식혼합되되, 충진혼합재의 양을 골재 일부와 대체하는 방법으로 혼합되어 포설된다. 유리조각은 폐유리병 조각, 글래스비즈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을 동시에 사용하며, 금속조각은 폐알루미늄 조각, 철, 크롬, 망간, 티탄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포함된다.
기저층(100)의 두께는 2~3cm로 하고, 기저층(100)의 생산온도는 180~200이며, 현장포설온도는 230~260에서 포설하는 것이 특징이다.
기저층(100) 포설 후에는 이스타일, 데코타일, 폴리싱타일, 우드타일(200) 중 어느 하나를 설치하거나, 투명 또는 유색의 마모층(300)을 형성할 수도 있다. 마모층(300)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계, 우레탄계, 아크릴계, 스티렌계, 폴리카보네이트계, 불소계, 폴리에스테르계, 염화 비닐계, 폴리올레핀계, 폴리아크릴레이트계, 에폭시계, 셀룰로스계, 폴리에틸렌계, 폴리프로필렌계의 수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된 수지로 형성되며, 또한 코코넛 오일, 포도씨 오일, 너츠 오일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된 식물성 오일이 첨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의 바닥재구조는 방수 효과와 내구성이 뛰어나며, 기저층에 마모층을 형성하여 바닥재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스타일의 사용시 그 하부에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건물 외부에 사용될 때는 차량의 이동에 따른 소음을 감소시키며, 미끄럼 저항성도 증진시킬 수 있으며 바닥과 기저층 사이에 공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닥재구조는 차량이나 사람의 하중에도 견딜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 : 본 발명의 바닥재 구조(실시예1)
도 2 : 본 발명의 바닥재 구조(실시예2)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내용을 기술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반적으로 건물 내부와 외부는 서로 다른 바닥재를 사용하여 바닥면을 처리하게 되고, 건물 내부는 일반 콘크리트 건물인 경우 특별한 처리없이 접착제를 바른 다음 아스타일, 데코타일, 폴리싱타일, 우드타일 등 바닥재들의 가장자리면을 맞대어주는 방법으로 주로 시공하게 된다.
또한 건물 외부, 즉 지하 주차장이나 건물의 옥상과 같은 곳은 빗물과 태양으로부터 열등 외부 환경에 노출에 따른 저항성을 개선시키고자 노력을 많이 하였다. 주로 고무 바닥재를 사용하였으나, 고무바닥재는 주행소음과 미끄럼 방지에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또한 차량이나 사람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견디지 못하였다. 또한 바닥과 바닥재 사이가 들떠서 공간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러한 공간은 결국 바닥재를 보수하거나 재설치해야 했다.
본 발명은 건물 내부와 외부에 적용되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기저층(100)에 개질혼합재, 채움혼합재, 충진혼합재를 첨가하여 방수 효과와 내구성을 증진시켜, 동일한 기저층(100)을 이용하여 건물의 내부와 외부의 바닥면 처리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건물 내부에 사용될 때는 바닥면 처리용으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각종 타일의 하부에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건물 외부에 적용시에는 소음과 미끄럼에 의한 문제를 발생하지 않으며, 일반 아스팔트 포장과 같이 차량의 하중에 효과적으로 견딜 수 있는 바닥재구조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닥재 구조는 건물의 내부 및 외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두가지의 실시예가 가능하다. 실시예1은 기저층(100) 조성물 포설 후 상부에 이스타일, 데코타일, 폴리싱타일, 우드타일(200)을 형성하는 바닥재구조이며, 실시예2는 기저층(100) 조성물 포설 후 상부에 마감층(300)을 형성하는 바닥재구조이다.
우선 기저층(100)의 조성물과 포설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기저층(100) 조성물은 석유아스팔트, 천연아스팔트, 골재, 개질혼합재, 채움혼합재, 충진혼합재로 이뤄지고, 석유아스팔트는 침입도 기준 85~100이며, 천연아스팔트는 트리니대드 레이크 아스팔트이다. 석유아스팔트의 침입도 기준은 이에 상응하는 점도 기준, 노화점도 기준, PG 등급 기준으로 대체가 가능하다는 것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트리니대드 레이크 아스팔트는 천연아스팔트의 일종으로, 천연아스팔트는 품질이 일정하지 않은 단점이 있지만, 엄격한 품질 검사를 통해 본 발명에 적용하였다.
골재는 4.75mm 체에 잔류하는 굵은골재, 4.75mm체를 통과하는 잔골재로 구분하여 포함되며, 굵은골재는 골재와 아스팔트의 접착성이 좋은 화강암 또는 석회암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을 동시에 사용하며, 잔골재는 골재파쇄분, 모래, 규사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며, 경우에 따라 슬래그, 패각파쇄분, 석회, 석고 등도 포함될 수 있다.
골재의 입도는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 개발되었으며, 입도예1은 통과중량백분율(%)로 19mm체 100%, 13mm체 95~100%, 4.75mm체 65~80%, 2.36mm체 50~65%, 600체 25~40%, 300체 12~27%, 150체 8~20%, 75체 4~10%이며, 입도예2는 통과중량백분율(%)로 19mm체 100%, 13mm체 95~100%, 4.75mm체 60~80%, 2.36mm체 45~65%, 600체 40~60%, 300체 20~45%, 150체 10~25%, 75체 8~13%이며, 입도예3은 통과중량백분율(%)로 19mm체 100%, 13mm체 95~100%, 4.75mm체 75~90%, 2.36mm체 65~80%, 600체 40~65%, 300체 20~45%, 150체 15~30%, 75체 8~15%이다.
개질혼합재는 고무류와 플라스틱류를 포함하며, 고무류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스티렌부타디엔러버, 천연고무. 폐타이어 고무분말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고, 플라스틱류는 에칠 비닐 아세테이트, 염화폴리비닐, 폴리오레핀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고무류 개질혼합재는 고온에서 아스팔트 포장에 발생하는 소성변형 저항에 효과적이며, 플라스티류 개질혼합재는 저온과 상온에서 아스팔트 포장에 발생하는 균열 저항성을 증진시킬 수 있어, 아스팔트 바닥재구조 제작시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개질혼합재는 액상과 분말형태로 사용될 수 있는데, 개질혼합재가 액상일 경우, 석유아스팔트와 습식혼합되고, 개질혼합재가 분말일 경우, 골재와 혼합되는 건식혼합되되, 개질혼합재의 양을 골재 일부와 대체하는 방법으로 혼합되거나, 골재의 일부를 대체하지 않고 골재 100중량부에 일정 비율을 더 첨가하여 혼합할 수 있다. 개질혼합재가 액상일 경우, 석유아스팔트와 습식혼합되고, 개질혼합재가 분말일 경우, 골재와 혼합되는 건식혼합되되, 상기 개질혼합재의 양을 골재 일부와 대체하는 방법으로 혼합된다.
채움혼합재는 수분저항성이 강한 석회 및 산화경화에 대한 취성을 감소하시키기 위해 카본블랙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고, 경우에 따라 나무칩, 톱밥, 볏집, 왕겨 등 식물성 채움혼합재와 바텀애쉬와 플라이애쉬와 같은 애쉬류도 사용할 수 있다. 채움혼합재는 골재와 혼합되는 건식혼합되되, 채움혼합재의 양을 골재 일부와 대체하는 방법으로 혼합되거나, 골재의 일부를 대체하지 않고 골재 100중량부에 일정 비율을 더 첨가하여 혼합할 수 있다.
충진혼합재는 유리조각 또는 금속조각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을 동시에 사용하고, 유리조각은 폐유리병 조각, 글래스비즈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을 동시에 사용하고, 금속조각은 폐알루미늄 조각, 철, 크롬, 망간, 티탄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포함한다. 유리조각 및 금속조각은 태양으로부터의 열에 의한 저항성을 높여 기저층의 온도가 너무 높게 올라가지 않는 기능을 한다. 충진혼합재는 골재와 혼합되는 건식혼합되되, 충진혼합재의 양을 골재 일부와 대체하는 방법으로 혼합되거나, 골재의 일부를 대체하지 않고 골재 100중량부에 일정 비율을 더 첨가하여 혼합할 수 있다.
상기 기저층(100) 조성물로 기저층(100)을 형성하게 되는데, 기저층(100)의 두께는 2~3cm로 하고, 기저층(100)의 생산온도는 180~200이며, 현장포설온도는 230~260에서 포설한다.
상기 기저층(100)이 포설 후에는 앞서 언급했던 것과 같이 두가지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1)
기저층(100) 포설 후, 기저층(100) 상부에 이스타일, 데코타일, 폴리싱타일, 우드타일(200) 중 어느 하나를 설치하는 것이다. 이 경우는 주로 건물 내부에 적용될 수 있으며, 기저층(100)이 양생되기전에 타일을 설치한다.
(실시예2)
기저층(100) 포설 후, 기저층(100) 상부에 투명 또는 유색의 마모층(300)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 경우는 주로 건물의 외부에 적용될 수 있으나, 건물 내부에 적용해도 무방하다. 마모층(300)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계, 우레탄계, 아크릴계, 스티렌계, 폴리카보네이트계, 불소계, 폴리에스테르계, 염화 비닐계, 폴리올레핀계, 폴리아크릴레이트계, 에폭시계, 셀룰로스계, 폴리에틸렌계, 폴리프로필렌계의 수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된 수지로 형성되며, 또한 코코넛 오일, 포도씨 오일, 너츠 오일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된 식물성 오일이 첨가될 수 있다.
100 : 기저층
200 : 이스타일, 데코타일, 폴리싱타일, 우드타일
300 : 마모층

Claims (11)

  1. 건물 내부와 외부에 적용되는 바닥재구조에 있어서,
    기저층 조성물은 석유아스팔트, 천연아스팔트, 골재, 개질혼합재, 채움혼합재, 충진혼합재로 이뤄지고,
    상기 석유아스팔트는 침입도 기준 85~100이며,
    상기 천연아스팔트는 트리니대드 레이크 아스팔트이며,
    상기 골재는 4.75mm 체에 잔류하는 굵은골재, 4.75mm체를 통과하는 잔골재로 구분하여 포함되며,
    골재의 입도는 통과중량백분율(%)로 19mm체 100%, 13mm체 95~100%, 4.75mm체 65~80%, 2.36mm체 50~65%, 600체 25~40%, 300체 12~27%, 150체 8~20%, 75체 4~10%인 것 이거나,
    골재의 입도는 통과중량백분율(%)로 19mm체 100%, 13mm체 95~100%, 4.75mm체 60~80%, 2.36mm체 45~65%, 600체 40~60%, 300체 20~45%, 150체 10~25%, 75체 8~13%인 것을 특징이거나,
    골재의 입도는 통과중량백분율(%)로 19mm체 100%, 13mm체 95~100%, 4.75mm체 75~90%, 2.36mm체 65~80%, 600체 40~65%, 300체 20~45%, 150체 15~30%, 75체 8~15%인 것을 특징 중 하나를 선택하여 포함하며,
    상기 굵은골재는 골재와 아스팔트의 접착성이 좋은 화강암 또는 석회암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을 동시에 사용하며,
    상기 잔골재는 골재파쇄분, 모래, 규사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되어 포함되며,
    상기 개질혼합재는 고무류와 플라스틱류를 포함하며,
    상기 고무류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스티렌부타디엔러버, 천연고무. 폐타이어 고무분말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고,
    상기 플라스틱류는 에칠 비닐 아세테이트, 염화폴리비닐, 폴리오레핀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고,
    상기 개질혼합재가 액상일 경우, 상기 석유아스팔트와 습식혼합되고,
    상기 개질혼합재가 분말일 경우, 상기 골재와 혼합되는 건식혼합되되, 상기 개질혼합재의 양을 골재 일부와 대체하는 방법으로 혼합되고,
    상기 채움혼합재는 수분저항성이 강한 석회 및 산화경화에 대한 취성을 감소화시키기 위해 카본블랙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을 동시에 사용하고,
    상기 채움혼합재는 상기 골재와 혼합되는 건식혼합되되, 상기 채움혼합재의 양을 골재 일부와 대체하는 방법으로 혼합되고,
    상기 충진혼합재는 유리조각 또는 금속조각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을 동시에 사용하는 데, 상기 유리조각은 폐유리병 조각, 글래스비즈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을 동시에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금속조각은 폐알루미늄 조각, 철, 크롬, 망간, 티탄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며,
    상기 충진혼합재는 상기 골재와 혼합되는 건식혼합되되, 상기 충진혼합재의 양을 골재 일부와 대체하는 방법으로 혼합되어 포설되고,
    상기 기저층의 두께는 2~3cm로 하고, 기저층의 생산온도는 180~200이며, 기저층 포설 후, 타일 또는 마모층을 선택하여 형성하되, 타일은 이스타일, 데코타일, 폴리싱타일, 우드타일 중 어느 하나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마모층은 코코넛 오일, 포도씨 오일, 너츠 오일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하여 선택된 식물성오일이 포함된, 투명 또는 유색의 마모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현장포설 온도는 230~260에서 포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를 이용한 바닥재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50022696A 2015-02-13 2015-02-13 아스팔트를 이용한 바닥재구조 KR101693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2696A KR101693471B1 (ko) 2015-02-13 2015-02-13 아스팔트를 이용한 바닥재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2696A KR101693471B1 (ko) 2015-02-13 2015-02-13 아스팔트를 이용한 바닥재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0126A KR20160100126A (ko) 2016-08-23
KR101693471B1 true KR101693471B1 (ko) 2017-01-17

Family

ID=56875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2696A KR101693471B1 (ko) 2015-02-13 2015-02-13 아스팔트를 이용한 바닥재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347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20891A1 (fr) * 1995-12-04 1997-06-12 Kao Corporation Emulsion d'asphalte
JP2003301112A (ja) * 2002-04-09 2003-10-21 Asahi Kasei Corp 変性重合体含有アスファルト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6559A (ja) 1999-05-31 2000-12-05 Precision Fukuhara Works Ltd パイル、鹿の子及び天竺を含む編地とその製造方法
JP4555460B2 (ja) * 2000-12-13 2010-09-29 大成ロテック株式会社 透水性ブロック舗装及び透水性ブロック舗装の施工方法
BR112012015181B1 (pt) * 2009-12-21 2020-03-10 Basf Se Processo para fabricar uma estrutura de pavimento de compósito, e, estrutura de pavimento de compósito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20891A1 (fr) * 1995-12-04 1997-06-12 Kao Corporation Emulsion d'asphalte
JP2003301112A (ja) * 2002-04-09 2003-10-21 Asahi Kasei Corp 変性重合体含有アスファルト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0126A (ko) 2016-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1070B1 (ko) 초고강도 폴리머수지를 이용한 도로의 그루빙 표면강화 및 보강을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058231B1 (ko) Mma 레진을 이용한 혼합용 교면 방수재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및 강상판 무이음 교면 방수 시공방법
KR20100036162A (ko) 탄성 포장용 가공코르크 칩과 그 시공방법
KR101623081B1 (ko) 건축 구조물의 복합방수 시공방법
KR101012968B1 (ko) 바텀애쉬 골재를 이용한 미끄럼 방지기능을 가진 블록 및 그 제조방법
CN102431246A (zh) 防滑透水路垫及其制作工艺
KR101523660B1 (ko) 흙-아스팔트를 이용한 주차장용 바닥재 구조
KR101693471B1 (ko) 아스팔트를 이용한 바닥재구조
KR101334319B1 (ko) 친환경 흙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포장방법
KR101442536B1 (ko) 미끄럼 방지 포장재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KR100947888B1 (ko) 보행도로 및 자전거 전용 도로용 도로 포장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포장공법
US20090196690A1 (en) Anti-slip composition and method of forming anti-slip layer using the same
KR101693475B1 (ko) 아스팔트 보도블록 및 그 설치방법
KR102271974B1 (ko) 차열 성능이 우수한 미끄럼방지포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CN202208874U (zh) 防滑透水路垫
KR20100093183A (ko) 폴리머 칼라 콘크리트 포장재 및 그 포장방법
KR20150018356A (ko) 보강층을 이용한 배수성 아스팔트 포장의 내구성 증진 포장공법
KR20160004705A (ko) 연속 기공 구조의 폐세라믹을 이용한 투수성 포장 블록
KR101693474B1 (ko) 보강층을 이용한 보도블록 설치방법
KR101188707B1 (ko) 포장용 탄성바닥재 및 탄성바닥재 포장시공방법
KR100877352B1 (ko) 도로표지도료용 유리알을 이용한 탄성포장층의 포장방법
KR101477055B1 (ko) 규사 및 화산석을 이용한 투수 포장 조성물
KR101693472B1 (ko) 방수층과 스톤 매스틱 아스팔트를 이용한 시공방법
US20140131228A1 (en) Silicone-Based Building Material, Building Kit, and Method
KR102340719B1 (ko) 아스팔트 도로 방수코팅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