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2778B1 - 부유식 해양원전 핵연료 장전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부유식 해양원전 핵연료 장전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2778B1
KR101692778B1 KR1020150136718A KR20150136718A KR101692778B1 KR 101692778 B1 KR101692778 B1 KR 101692778B1 KR 1020150136718 A KR1020150136718 A KR 1020150136718A KR 20150136718 A KR20150136718 A KR 20150136718A KR 101692778 B1 KR101692778 B1 KR 101692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nuclear
nuclear fuel
floating
re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6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4431A (ko
Inventor
이필승
김재민
이강헌
이채민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ublication of KR20160134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4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2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2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9/00Arrangements for treating, for handling, or for facilitating the handling of, fuel or other materials which are used within the reactor, e.g. within its pressure vessel
    • G21C19/18Apparatus for bringing fuel elements to the reactor charge area, e.g. from a storage pl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 B63B2035/4446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for converting nuclear energy into electric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Architecture (AREA)
  • Plasma & Fus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유식 해양원전 핵연료 장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유식 해양원전 장치 내부에, 주변 바닷물과 접촉함 없이 핵연료를 주입해 넣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해양원전을 부상시키거나 또는 내부에 구비된 장전 케이스를 통하여, 주변 바닷물과 접촉함 없이 핵연료를 해양원전 내부로 장전하도록 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부유식 해양원전 핵연료 장전 시스템 및 방법{NUCLEAR FUEL LOADING SYSTEM AND METHOD IN FLOATING TYPE NUCLEAR PLANT}
본 발명은 부유식 해양원전 핵연료 장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유식 해양원전 장치 내부에, 주변 바닷물과 접촉함 없이 핵연료를 주입해 넣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부유식 해양원전 기술에서는 외부로부터 핵연료를 해양원전 내부로 장전하는 구체적 기술이 개시되지 않았다. 그러나 부유식 해양원전에서 핵연료를 해수와의 접촉없이 해양원전 내부로 주입하는 방법은, 안전을 최우선의 요소로 하는 해양원전의 운용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따라서 이에 대하여 안전을 담보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다.
KR 10-2015-0012421 A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해양원전을 부상시키거나 또는 내부에 구비된 장전 케이스를 통하여, 주변 바닷물과 접촉함 없이 핵연료를 해양원전 내부로 장전하도록 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해양원전의 부상형 핵연료 장전 시스템은, 핵연료를 달아 내리는 크레인이 설치되며, 핵연료를 주입하기 위한 핵연료 출입구를 구비하는 상판; 하부 시스템 위에 설치되어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기둥; 원자로 수용 공간을 내부에 구비하는 하부 시스템; 및 상기 하부 시스템과 해수면 하부 지면을 연결하여 상기 해양원전을 지지하는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시스템은, 상기 하부 시스템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원자로 수용 공간까지 핵연료를 이송하기 위한 핵연료 이송 통로; 및 핵연료 주입시 상기 핵연료 이송 통로의 상단 핵연료 출입구가 해수면 위로 올라오도록 상기 해양원전의 부상형 핵연료 장전 시스템을 부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케이블을 풀고, 상기 핵연료가 원자로에 장전된 경우 상기 핵연료 이송 통로의 상단 핵연료 출입구가 해수면 아래로 잠수하도록 상기 해양원전의 부상형 핵연료 장전 시스템을 하강시키기 위하여 케이블을 감는데 이용되는 윈치(winch)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일단이 해저 지면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 시스템의 윈치와 직접 연결되며, 상기 상판의 핵연료 출입구, 상기 하부 시스템의 핵연료 이송 통로의 상단 핵연료 출입구 및, 원자로 수용 공간과 연결되는 하단 핵연료 출입구는 핵연료 주입시 개방되고, 핵연료의 원자로 장전 완료 후 닫히도록 제어되되, 상기 윈치에 의하여 상기 해양원전의 부상형 핵연료 장전 시스템이 부상하여 상기 핵연료 이송 통로의 상단 핵연료 출입구가 해수면 위로 올라온 후에 상기 핵연료 출입구들이 개방되도록 제어되고, 핵연료가 원자로에 장전된 경우 상기 핵연료 이송 통로의 상단 핵연료 출입구를 닫은 후, 상기 핵연료 이송 통로의 상단 핵연료 출입구가 해수면 아래로 잠수하기 위하여 상기 해양원전의 부상형 핵연료 장전 시스템이 하강하도록 제어된다.
상기 해양원전의 부상형 핵연료 장전 시스템은, 상기 핵연료 이송 통로의 상단 핵연료 출입구가 해수면 위로 올라왔는지를 감지하여 올라온 경우 핵연료 출입구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며, 원자로에 핵연료 장전이 완료되었는지를 감지하여 완료된 경우 핵연료 출입구를 닫도록 제어하는 핵연료 출입구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해양원전의 부상형 핵연료 장전 시스템이 원자로에 핵연료를 장전하는 방법은, (a) 핵연료 이송선으로부터 크레인으로 핵연료를 전달받는 단계; (b) 윈치를 제어하여 케이블을 풀어 상기 해양원전의 부상형 핵연료 장전 시스템을 부상시키는 단계; (c) 핵연료 이송 통로의 상단 핵연료 출입구가 해수면 위로 올라왔는지를 감지하여 올라온 경우 핵연료 출입구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d) 핵연료를 주입하여 이송시킨 후 원자로에 장전하는 단계; (e) 원자로에 핵연료 장전이 완료되었는지를 감지하여 완료된 경우 핵연료 출입구를 닫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f) 핵연료 장전이 완료됨에 따라 핵연료 출입구를 닫은 후, 윈치를 제어하여 핵연료 이송 통로의 상단 핵연료 출입구가 해수면 아래로 잠수하도록 상기 해양원전의 부상형 핵연료 장전 시스템을 하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해양원전의 케이싱형 핵연료 장전 시스템은, 핵연료를 달아 내리는 크레인이 설치되며, 핵연료를 주입하기 위한 핵연료 출입구를 구비하는 상판; 하부 시스템 위에 설치되어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기둥; 원자로 수용 공간을 내부에 구비하고, 상단으로부터 상기 원자로 수용 공간까지 핵연료를 이송하기 위한 핵연료 이송 통로를 구비하는 하부 시스템; 상기 상판의 핵연료 출입구와 상기 하부 시스템의 핵연료 이송 통로의 상단 핵연료 출입구를 연결하는 통로로서, 외부 해수와 격리된 상태로 핵연료를 상기 핵연료 이송 통로로 전달하기 위한 케이싱(casing); 상기 하부 시스템과 해수면 하부 지면을 연결하여 상기 해양원전을 지지하는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일단이 해저 지면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 시스템과 직접 연결되며, 상기 케이싱형 핵연료 장전 시스템의 부상 또는 하강을 위한 풀림 또는 감김 없이 고정된 길이를 유지한다.
상기 해양원전의 케이싱형 핵연료 장전 시스템은, 상기 핵연료 장전시 핵연료 출입구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며, 원자로에 핵연료 장전이 완료되었는지를 감지하여 완료된 경우 핵연료 출입구를 닫도록 제어하는 핵연료 출입구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해양원전을 부상시키거나 또는 내부에 구비된 장전 케이스를 통하여, 주변 바닷물과 접촉함 없이 핵연료를 해양원전 내부로 장전하도록 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부유식 해양원전의 개념도.
도 2는 부유식 해양원전의 부상형 핵연료 장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부상형 핵연료 장전 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부유식 해양원전의 케이싱형 핵연료 장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케이싱형 핵연료 장전 절차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부유식 해양원전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부유식 해양원전의 부상형 핵연료 장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부상형 핵연료 장전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핵연료 이송선(100)은, 해상을 통해 핵연료(209)를 운반하고 부상형 핵연료 장전 방식의 부유식 해양원전(200)에 이를 전달한다(S301). 부상형 핵연료 장전 방식의 부유식 해양원전(200)은, 크레인(210)에 핵연료를 장착하여 해양원전 내부로 달아내리게 된다.
이때 핵연료(209)가 해수(10)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윈치(winch)(207)를 이용하여 케이블(208)을 풀어 해양원전을 위로 부상시킴으로써, 해양원전의 핵연료 이송 통로(205)의 상부쪽 핵연료 출입구가 도면(S302)과 같이 해수면 위로 올라오도록 한다. 이때 핵연료 출입구(206)을 개방하고, 이를 통하여 핵연료(209)가 핵연료 이송 통로로 들어오고(S303), 최종적으로 원자로(204) 내부에 핵연료(209)가 장전된다(S304).
도 4는 부유식 해양원전의 케이싱형 핵연료 장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케이싱형 핵연료 장전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의 부상형 핵연료 장전 시스템(200)과 마찬가지로, 핵연료 이송선(100)은, 해상을 통해 핵연료(409)를 운반하고 케이싱형 핵연료 장전 방식의 부유식 해양원전(400)에 이를 전달한다(S501). 케이싱형 핵연료 장전 방식의 부유식 해양원전(400)은, 크레인(410)에 핵연료를 장착하여 해양원전 내부로 달아내리게 된다.
케이싱형 핵연료 장전 방식의 부유식 해양원전(400)은, 상부시스템(401) 상부면에 위치한 핵연료 출입구와 핵연료 이송통로(405) 상부쪽의 핵연료 출입구를 연결하는 케이싱(407)을 구비한다. 따라서, 케이싱형 핵연료 장전 방식의 부유식 해양원전(400)은, 부상형 핵연료 장전 시스템(200)과 같이 부상하여 올라올 필요가 없으며, 모든 핵연료 출입구(406)를 개방한 후(S502), 상부시스템(401) 상부면에 위치한 핵연료 출입구를 통해 케이싱(407) 내부로 핵연료를 주입하고, 케이싱을 통과하여 핵연료 이송 통로(405)로 핵연료(409)가 통과하여(S503), 최종적으로 원자로(404) 내부에 핵연료(409)가 장전된다(S504).
10: 해수
100: 핵연료 이송선
200: 부상형 부유식 해양원전 시스템
201: 부상형 상부시스템(topside)
202: 부상형 기둥(column)
203: 부상형 하부시스템(nuclear power plant)
204: 부상형 원자로(reactor)
205: 부상형 핵연료 이송통로
206: 부상형 핵연료 출입구(hatch)
207: 부상형 윈치(winch)
208: 부상형 케이블(cable)
209: 핵연료
210: 부상형 크레인
400: 케이싱형 부유식 해양원전 시스템
401: 케이싱형 상부시스템(topside)
402: 케이싱형 기둥(column)
403: 케이싱형 하부시스템(nuclear power plant)
404: 케이싱형 원자로(reactor)
405: 케이싱형 핵연료 이송통로
406: 케이싱형 핵연료 출입구(hatch)
407: 케이싱형 케이싱(casing)
408: 케이싱형 케이블(cable)
409: 핵연료
410: 케이싱형 크레인

Claims (6)

  1. 해양원전의 부상형 핵연료 장전 시스템으로서,
    핵연료를 달아 내리는 크레인이 설치되며, 핵연료를 주입하기 위한 핵연료 출입구를 구비하는 상판;
    하부 시스템 위에 설치되어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기둥;
    원자로 수용 공간을 내부에 구비하는 하부 시스템; 및
    상기 하부 시스템과 해수면 하부 지면을 연결하여 상기 해양원전을 지지하는 케이블
    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시스템은,
    상기 하부 시스템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원자로 수용 공간까지 핵연료를 이송하기 위한 핵연료 이송 통로; 및
    핵연료 주입시 상기 핵연료 이송 통로의 상단 핵연료 출입구가 해수면 위로 올라오도록 상기 해양원전의 부상형 핵연료 장전 시스템을 부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케이블을 풀고, 상기 핵연료가 원자로에 장전된 경우 상기 핵연료 이송 통로의 상단 핵연료 출입구가 해수면 아래로 잠수하도록 상기 해양원전의 부상형 핵연료 장전 시스템을 하강시키기 위하여 케이블을 감는데 이용되는 윈치(winch)
    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일단이 해저 지면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 시스템의 윈치와 직접 연결되며,
    상기 상판의 핵연료 출입구, 상기 하부 시스템의 핵연료 이송 통로의 상단 핵연료 출입구 및, 원자로 수용 공간과 연결되는 하단 핵연료 출입구는 핵연료 주입시 개방되고, 핵연료의 원자로 장전 완료 후 닫히도록 제어되되,
    상기 윈치에 의하여 상기 해양원전의 부상형 핵연료 장전 시스템이 부상하여 상기 핵연료 이송 통로의 상단 핵연료 출입구가 해수면 위로 올라온 후에 상기 핵연료 출입구들이 개방되도록 제어되고,
    핵연료가 원자로에 장전된 경우 상기 핵연료 이송 통로의 상단 핵연료 출입구를 닫은 후, 상기 핵연료 이송 통로의 상단 핵연료 출입구가 해수면 아래로 잠수하기 위하여 상기 해양원전의 부상형 핵연료 장전 시스템이 하강하도록 제어되는,
    해양원전의 부상형 핵연료 장전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핵연료 이송 통로의 상단 핵연료 출입구가 해수면 위로 올라왔는지를 감지하여 올라온 경우 핵연료 출입구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며, 원자로에 핵연료 장전이 완료되었는지를 감지하여 완료된 경우 핵연료 출입구를 닫도록 제어하는 핵연료 출입구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원전의 부상형 핵연료 장전 시스템.
  4. 청구항 1의 해양원전의 부상형 핵연료 장전 시스템이 원자로에 핵연료를 장전하는 방법으로서,
    (a) 핵연료 이송선으로부터 크레인으로 핵연료를 전달받는 단계;
    (b) 윈치를 제어하여 케이블을 풀어 상기 해양원전의 부상형 핵연료 장전 시스템을 부상시키는 단계;
    (c) 핵연료 이송 통로의 상단 핵연료 출입구가 해수면 위로 올라왔는지를 감지하여 올라온 경우 핵연료 출입구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d) 핵연료를 주입하여 이송시킨 후 원자로에 장전하는 단계;
    (e) 원자로에 핵연료 장전이 완료되었는지를 감지하여 완료된 경우 핵연료 출입구를 닫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f) 핵연료 장전이 완료됨에 따라 핵연료 출입구를 닫은 후, 윈치를 제어하여 핵연료 이송 통로의 상단 핵연료 출입구가 해수면 아래로 잠수하도록 상기 해양원전의 부상형 핵연료 장전 시스템을 하강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해양원전의 부상형 핵연료 장전 방법.
  5. 해양원전의 케이싱형 핵연료 장전 시스템으로서,
    핵연료를 달아 내리는 크레인이 설치되며, 핵연료를 주입하기 위한 핵연료 출입구를 구비하는 상판;
    하부 시스템 위에 설치되어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기둥;
    원자로 수용 공간을 내부에 구비하고, 상단으로부터 상기 원자로 수용 공간까지 핵연료를 이송하기 위한 핵연료 이송 통로를 구비하는 하부 시스템;
    상기 상판의 핵연료 출입구와 상기 하부 시스템의 핵연료 이송 통로의 상단 핵연료 출입구를 연결하는 통로로서, 외부 해수와 격리된 상태로 핵연료를 상기 핵연료 이송 통로로 전달하기 위한 케이싱(casing);
    상기 하부 시스템과 해수면 하부 지면을 연결하여 상기 해양원전을 지지하는 케이블
    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일단이 해저 지면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 시스템과 직접 연결되며, 상기 케이싱형 핵연료 장전 시스템의 부상 또는 하강을 위한 풀림 또는 감김 없이 고정된 길이를 유지하는,
    해양원전의 케이싱형 핵연료 장전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핵연료 장전시 핵연료 출입구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며, 원자로에 핵연료 장전이 완료되었는지를 감지하여 완료된 경우 핵연료 출입구를 닫도록 제어하는 핵연료 출입구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원전의 케이싱형 핵연료 장전 시스템.
KR1020150136718A 2015-05-13 2015-09-25 부유식 해양원전 핵연료 장전 시스템 및 방법 KR1016927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66802 2015-05-13
KR1020150066802 2015-05-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4431A KR20160134431A (ko) 2016-11-23
KR101692778B1 true KR101692778B1 (ko) 2017-01-04

Family

ID=57541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6718A KR101692778B1 (ko) 2015-05-13 2015-09-25 부유식 해양원전 핵연료 장전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27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76944A (zh) * 2018-06-07 2019-12-17 中集海洋工程研究院有限公司 自升式核发电平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804Y2 (ja) * 1988-12-13 1996-03-29 日本原子力発電株式会社 鉛直保持式核燃料移送設備
US20020154725A1 (en) * 2001-04-23 2002-10-24 Hayman W. Z. (Zack) Seafloor power station
KR100973255B1 (ko) * 2008-06-26 2010-08-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상에서의 부유식 구조물 제작방법
KR20130062823A (ko) * 2011-12-05 2013-06-1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상 원자력 플랜트의 높이 감소 구조 및 방법
KR20150012421A (ko) 2013-07-25 2015-02-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원자력 발전 설비가 탑재된 부유식 해양 구조물 및 그의 냉각수 배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4431A (ko) 2016-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9374B1 (ko) 잠수정용 가변부력 제어장치
KR101577157B1 (ko)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 및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의 계류 방법
EP2927489A1 (en) Floating-body type wind power generation device and method for transporting components of same
AU2017382982B2 (en) A device and method to regulate a breeding pen in sea, and applications thereof
JP2016059381A (ja) 水上生簀用耐圧調整式水中上向飼料供給装置
EP3147200B1 (en) Marine structure installation vessel and method of installing marine structure
KR20140125955A (ko) 해양 부유 구조물의 자가 부력 조절장치
JP5690116B2 (ja) 水流発電設備
KR101692778B1 (ko) 부유식 해양원전 핵연료 장전 시스템 및 방법
JP2017141593A (ja) メタンハイドレートの移送
CN203145023U (zh) 一种管节沉放的压载水系统
EP3078846B1 (en) Wind turbine parts handling method and device
KR100952910B1 (ko) 부양식 수문 독 및 그의 선박 건조방법
CN103963931B (zh) 大型构件半潜式水上出运安装系统及施工方法
CN111377039A (zh) 自由站立式水下基站支持系统
JP2019216639A (ja) 水中給餌装置及び水中給餌システム
JP2010007356A (ja) 可動式防波堤及び可動式防波堤の作動方法
CN103205754A (zh) 浮升悬挂式外加电流阴极保护装置
KR101750270B1 (ko) 부력체를 이용한 침몰선 인양 방법
JPS63251394A (ja) 水中機器の浮沈方法
KR100958346B1 (ko) 항만용 스톱로그의 설치 및 제거장치
KR20150049808A (ko) 바지선을 이용한 해상구조물 진수공법
AU2014217987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charging a waste fluid
RU2564271C1 (ru) Способ подъема затонувшего судна и комплекс для подъема 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ания затонувших подводных лодок и других судов
GB2560006A (en) Installation of mono-p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