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0270B1 - 부력체를 이용한 침몰선 인양 방법 - Google Patents

부력체를 이용한 침몰선 인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0270B1
KR101750270B1 KR1020170035846A KR20170035846A KR101750270B1 KR 101750270 B1 KR101750270 B1 KR 101750270B1 KR 1020170035846 A KR1020170035846 A KR 1020170035846A KR 20170035846 A KR20170035846 A KR 20170035846A KR 101750270 B1 KR101750270 B1 KR 101750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t body
buoyant
buoyancy
lifting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5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완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디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디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디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70035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02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0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0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02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in which the lifting is done by hauling
    • B63C7/04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in which the lifting is done by hauling using pontoon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02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in which the lifting is done by hau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28Refloating stranded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1/00Conveying articles through pipes or tubes by fluid flow or pressure; Conveying articles over a flat surface, e.g. the base of a trough, by jets located in the surface
    • B65G51/01Hydraulic transport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5/00Tethers
    • B63B2205/08Tethers with means for recovering submerged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41/00Design characteristics
    • B63B2241/20Designs or arrangements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63B2738/02
    • B63B2738/1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06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in which lifting action is generated in or adjacent to vessels or objects
    • B63C7/12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in which lifting action is generated in or adjacent to vessels or objects by bringing air or floating bodies or material into vessels or objects
    • B63C2007/125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in which lifting action is generated in or adjacent to vessels or objects by bringing air or floating bodies or material into vessels or objects using buoyant masses, e.g. foams, or a large plurality of small buoyant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Underground Or Underwater Handling Of Build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몰선 내로 부력체를 공급하여 자체 부력을 갖도록 함으로써 대형 크레인을 동원하지 않고 용량이 작은 크레인을 이용하고, 해저에서의 작업을 최소화하여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인양할 수 있어 인양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부력체를 이용한 침몰선 인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양에 필요한 최소 설계인양 부력량을 계산하여 마련하는 설계인양 부력량 마련 단계; 상기 침몰 선박에 인양을 위한 체인 및 체인 부표를 설치하는 체인 설치 단계; 인양 설비가 갖춰진 폰툰투입 플로팅 바지나 별도의 부력체 투입용 설비 바지선에 설치된 부력체 투입 설비를 통해 부력체를 상기 침몰 선박의 선내로 투입하는 부력체 선내 투입 단계; 상기 부력체가 투입된 침몰 선박을 상기 인양 설비를 이용하여 수면까지 리프트-업 하는 리프트 업 단계; 상기 리프트 업 된 침몰 선박을 해수면 아래에 위치되는 플로팅타입 케이슨 도크 내로 도크-인하는 도크 인 단계; 상기 침몰 선박이 도크 인된 플로팅타입 케이슨 도크를 일정 높이 부양시키고, 체인을 해체한 다음, 상기 폰툰타입 플로팅 바지를 케이슨 도크 밖으로 이동시키는 도크 아웃 단계; 및 상기 폰툰타입 플로팅 바지가 도크 아웃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슨 도크를 해수면까지 부양시킨 다음, 목적지까지 이동시키는 예인 단계;를 포함하는 침몰선박의 인양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부력체를 이용한 침몰선 인양 방법{SALVING METHOD FOR SUNKEN VESSEL USING BUOYANT}
본 발명은 부력체를 이용한 침몰선 인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침몰선 내로 부력체를 공급하여 자체 부력을 갖도록 함으로써 대형 크레인을 동원하지 않고 용량이 작은 크레인을 이용하고, 해저에서의 작업을 최소화하여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인양할 수 있어 인양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부력체를 이용한 침몰선 인양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해상 교통이 활발해지고 어업활동이 증가함에 따라 선박이 침몰되는 사건이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인데, 선박이 침몰하는 경우에는 연료의 유출에 따라 해양을 광범위하게 요염시켜 해양 생태계의 파괴로 인한 어장 및 어민에게 막대한 피해를 주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2014년 4월에 전라남도 진도 해역에서 일어난 대형 여객선인 세월호 침몰 사고와 관련하여 후속 조치로써 세월호를 인양하는 방안과 관련하여 대형 침몰선박의 인양방법 및 인양에 따른 막대하게 소요되는 비용 등과 관련하여 크게 이슈화되고 있기도 하다.
이처럼 선박 침몰 사고시 선박이 완전히 침몰하여 수장되기 전에 침몰선박이 수장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부득이 선박이 완전히 침몰하여 해저에 수장된 이후에는 빠른 시간내에 인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것이다.
예를 들어, 선박 좌초 사고 후 선박이 수장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으로는 공기주머니를 침몰선박의 둘레에 설치하여 부상하도록 하거나, 좌초 선박의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여 부력을 발생시키는 플로트, 공기 또는 부재에 의한 방법 등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지의 예들은 침몰 전의 선체에 적용될 뿐이고, 침몰 후 인양시에는 별도의 방법을 적용해야 된다. 예를 들어, 종래 침몰된 선박을 인양하는 공지의 방법으로는, 수중의 선체에 인양 와이어를 감고 인양선박(즉, 모선)을 이용하여 윈치의 견인력에 의해 인양하는 방법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인양 와이어를 이용하여 침몰선박을 인양하는 종래의 통상적인 방법은, 인양선박의 크레인으로부터 인출되는 인양 와이어를 침몰선박에 걸고, 상기 크레인의 작동으로 인양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크레인 인양방식은 침몰선박을 크레인만으로 인양하므로 선박을 인양하기 위해서 크레인 시설 등 장비의 대형화가 요구되고, 침몰선박이 대형 선박인 경우에는 크레인 인양방식을 적용하는 데 다소 어려움이 있는 경우가 있을 뿐만 아니라 선박의 인양에 너무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전술한 침몰된 세월호와 같은 대형 선박과 같은 경우에는 크레인 인양방식을 적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세월호가 침몰된 진도 해역의 맹골수로의 경우는 조류가 매우 거세기 때문에 잠수부가 작업하는데 어려움이 뒤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 크레인을 통한 인양와이어를 이용하여 침몰선박을 인양하는 방법의 경우에는 선박이 침몰한 물의 깊이가 깊지 않아서 잠수부가 잠수할 수 있을 정도의 깊이 이면, 주로 잠수부가 물속으로 들어가 침몰선박 등의 밑으로 터널을 파서 인양 와이어를 통과시켜 인양 와이어를 묶어서 침몰선박을 인양할 수 있는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잠수부의 안전을 위하여 해저에서의 작업량을 최소화하는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침몰체에 인양 와이어(혹은, 인양케이블)를 장착하여 인양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에서 인양 와이어를 장착하여 침몰 선박을 인양하는 인양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인양 장치를 이용하여 침몰 선박을 인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일 예의 침몰 선박 인양 방법은, 수면에 정박한 기중기선(6)의 크레인(7)에 와이어로프(8)로 매달은 중량추(9)를 침몰체(25) 주위의 해저면(5)으로 침강시키는 중량추 해저침강단계와, 상기 중량추(9)를 침몰체(25)의 주위로 이동시키면서 중량추(9)에 장착된 해저면 굴착기(12)의 고압유체 분사기에서 고압의 유체를 침몰체(25) 주위의 해저면(5)으로 분사시켜서 침몰체(25) 주위의 해저 토사가 파헤치며 토사펌핑수단으로 파헤쳐지는 토사를 수중 상부로 상향 펌핑시켜 침몰체의 전후방 해저면(5)에 구덩이를 형성하게 하는 해저구덩이 형성단계와, 침몰체(25) 하부의 전후방 구덩이로 인양체인(15)을 가로질러 삽입시켜 침몰체(25)의 하부를 "∪"형으로 감싸도록 하는 인양체인 거는 단계와, 상기 침몰체(25)의 전후방에 "∪"형으로 감싸도록 걸은 인양체인(15)을 수면에 정박한 기중기선(6)의 크레인(7)으로 걸어 침몰체(25)을 인양하는 침몰체 인양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중량추 해저 침강단계에서 중량추(9)를 침강시킬 때는 수면 위에 떠 있는 부표(13)와 중량추(9)의 사이에 길이가 매우 긴 와이어로프(14)로 연결되어 와이어로프(14)가 해저바닥에 늘어트려지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인양체인 거는단계는 해저면(5)에 구덩이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중량추(9)에 연결되어 해저에 늘어 트려진 와이어로프(14)가 침몰체(25) 하부의 해저면(5)에 형성된 구덩이를 통하여 침몰체(25)의 하부를 가로지르도록 한 뒤에 중량추(9)를 수면위로 끌어 올려 와이어로프(14)가 침몰체(25)의 하부를 "∪"형으로 감싸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수면으로 올라온 와이어로프(14)의 단부에 굵은 인양체인(15)을 연결하고 부표(13)에 연결되었던 와이어로프(14)의 타단을 당겨서 굵은 인양체인(15)이 침몰체(25)의 하부를 "∪"형으로 재차 감싸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도 1에 도시된 미설명부호 10, 11은 기중기선(6)에 탑재된 콤푸레셔(10) 또는 발전기(11)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인양와이어(혹은, 인양케이블)를 이용하여 인양하는 방법은, 심해나 잠수부가 작업하기 어려운 환경 하에서 잠수부의 작업없이도 선박을 인양할 때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종래 크레인 인양방식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으로 제시되고 있는 선박을 인양하기 위해서 크레인시설 등 장비의 대형화가 요구되고, 침몰선박이 대형 선박인 경우에는 크레인 인양방식을 적용하는 데 다소 어려움이 있는 경우가 있을 뿐만 아니라 선박의 인양에 너무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다. 여기에서, 대형 크레인을 이용하여 인양시킬 수 있는데, 대형 크레인은 인양 중 큰 하중을 견뎌내야 하므로 환경변화에 즉각 대등하기 어려워 사고 위험의 우려가 있고, 침몰 선박에 감긴 인양줄에 의해 배가 절단되거나 부분적인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한편, 도 3은 부력을 이용한 침몰 인양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해저에 침몰된 선박(10)에 부력을 제공하여 인양하는 장치로써, 내부가 밀폐된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수중의 수압을 견딜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부력을 형성할 수 있는 콘테이너(20)를 갖추고 있다.
상기 콘테이너(20)는 침몰된 선박(10)의 해상에서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콘테이너(20)에는 일방향으로만 유체를 공급하는 체크밸브(22)가 일체로 설치된 주입구(24)와 배출구(26)가 구비되어 있다. 특히, 상기 콘테이너(20)의 내부에는 압축공기가 수용된 공기통과, 상기 공기통과 연결된 팽창튜브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공기통으로는 불활성기체 또는 압축공기가 수용되어 있으며, 공기통에 일체로 형성된 취출구는 팽창튜브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콘테이너(20)의 저면으로는 인양되는 선박(10)의 하중 및 수압을 충분히 결딜 수 있는 강도를 가지고 있는 인양와이어(30)가 다수개로 설치된 후 그 말단을 묶거나 개별적으로 연장시키고, 그 말단이 침몰된 선박(10)에 걸리도록 하는 걸림고리(40)와 결합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콘테이너(20)의 상면으로는 견인 와이어(45)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견인와이어(45)는 수면위에 떠 있는 인양선(70)과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인양선(70)은 수면 위에서 콘테이너(20)에 압축공기를 공급하거나, 해수를 공급 및 토출시켜 콘테이너(20)에 부력을 공급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장비들이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인양선(70)에는 구동펌프(80)가 두 개 이상으로 설치되어 있고, 고압의 압축공기를 발생시키는 콤프레서(82)가 두개 이상 구비되어 있으며, 콘테이너(20) 내부의 해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펌프(9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동펌프(80)는 해수를 펌핑한 후 콤프레샤(82a)에 의해서 토출되는 해수를 고압으로 콘테이너(20)에 공급하고, 다른 콤프레샤(82b)는 고압의 압축공기를 발생시키며, 상기 배출펌프(90)는 팽창튜브(60)의 배출구(26)에 연결되어 콘테이너(20) 내에 수용된 해수를 배출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선체인양용 부력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선박을 인양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인양선(70)으로부터 콘테이너(20)를 해수면에 부유시키고, 이때 부유되는 콘테이너(20)는 침몰된 선박(1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며, 별도의 파이프를 콘테이너(20)의 주입구(24)와 배출구(26)에 연결시킨다. 상기 콘테이너(20)를 수중으로 투입하기 위하여 인양선(70)에 구비된 구동펌프(80)를 가동시켜 해수를 펌핑한 후 콤프레샤(82a)를 통해 해수를 고압으로 콘테이너(20)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콘테이너(20)는 해수의 유입에 따라 수중으로 가라 않고, 이때 상기 구동펌프(80)의 작동을 중지시킨 후 견인와이어(45)의 장력을 조절하여 콘테이너(20)의 투입 깊이를 조절한다.
이렇게 투입된 콘테이너(20)가 선박(1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면, 잠수부 등 인력에 의해서 걸림고리(40)를 선박(10)에 체결한다. 그리고 체결이 끝난 다음에는 배출펌프(90)를 가동시켜 콘테이너(20)의 배출구(26)를 통해 해수를 배출시킨다. 상기와 같이 해수가 배출되면, 콘테이너(20) 내부는 진공 상태가 유지되고, 이 진공상태의 콘테이너(20) 내부에 고압의 압축공기를 콤프레샤(82b)를 통해 공급한다. 이때, 콘테이너(20) 내부는 부력이 유지되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압축공기로 충만하게 되고, 더 이상 해수가 배출되지 않으면 배출펌프(90)의 가동을 중단시켜 고압의 압축공기를 콘테이너(20) 내부에 저장시킨다.
상기 콘테이너(20) 내부에 저장된 압축공기는 콘테이너(20)에 부력을 유도하고, 이 부력은 콘테이너(20)를 상승시키고, 이렇게 상승된 콘테이너(20)는 걸림고리(40)와 체결된 선박(10)을 부유시키고, 이때 견인 와이어(45)를 작동시키면 선박(10)은 손쉽게 수면 위로 상승되어 인양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체인양용 부력발생장치를 이용하는 인용 방법은 인양과정에서 선박의 균형을 잡는데 어려움이 있고, 침몰 선박에 맞는 최적의 부력량을 갖지 못하며, 콘테이너 장비를 필요로 하여 설비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공지의 예로서, 침몰된 화물창 또는 구획된 내부에 공기를 직접 주입하여 부력을 방생시켜 침몰된 선체를 부양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직접공기주입방식은 화물창과 같은 개구부를 밀폐시켜야 하고, 정교하게 이러한 개구부를 밀폐하는 것은 불가능하여 주입되는 압축공기를 무한정 공급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02432호(2017.02.13. 공고) (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96354호(2015.08.24. 공개) (문헌 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51888호(2015.09.09. 공고) (문헌 4) 일본 특허공개공보 특개2002-255093호(2002.09.11. 공개)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침몰선 내로 부력체를 공급하여 자체 부력을 갖도록 함으로써 대형 크레인을 동원하지 않고 용량이 작은 크레인을 이용하고, 해저에서의 작업을 최소화하여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인양할 수 있어 인양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부력체를 이용한 침몰선 인양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인양에 필요한 최소 설계인양 부력량을 계산하여 마련하는 설계인양 부력량 마련 단계; 상기 침몰 선박에 인양을 위한 체인 및 체인 부표를 설치하는 체인 설치 단계; 인양 설비가 갖춰진 폰툰투입 플로팅 바지(pontoon type floating barge)나 별도의 부력체 투입용 설비 바지선에 설치된 부력체 투입 설비를 통해 부력체를 상기 침몰 선박의 선내로 투입하는 부력체 선내 투입 단계; 상기 부력체가 투입된 침몰 선박을 상기 인양 설비를 이용하여 수면까지 리프트-업(lift up)하는 리프트 업 단계; 상기 리프트 업 된 침몰 선박을 해수면 아래에 위치되는 플로팅타입 케이슨 도크(floating type cassion dock) 내로 도크 인(dock-in)하는 도크 인 단계; 상기 침몰 선박이 도크 인된 플로팅타입 케이슨 도크를 일정 높이 부양시키고, 체인을 해체한 다음, 상기 폰툰타입 플로팅 바지를 케이슨 도크 밖으로 이동시키는 도크 아웃 단계; 및 상기 폰툰타입 플로팅 바지가 도크 아웃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슨 도크를 해수면까지 부양시킨 다음, 목적지까지 이동시키는 예인 단계;를 포함하는 침몰선박의 인양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업 단계에서 이용되는 인양 설비는 상기 체인과 연결되는 스트랜드 잭을 포함하고, 상기 도크 아웃 단계에서 케이슨 도크의 부양은 상기 스트랜드 잭에 작용하는 하중이 0이 될 때까지 모니터링하면서 부양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 선내 투입 단계는 해수 공급 파이프의 일단부로부터 침몰 선박 내에 위치되는 타단부로 해수를 공급하는 해수 공급 단계; 해수가 공급되는 상기 해수 공급 파이프로 부력체를 투입하는 부력체 투입 단계; 상기 부력체 투입 단계에서 투입되는 부력체를 카운트하는 부력체 수량 카운트 단계; 상기 부력체 수량 카운트 단계에서 카운트된 값에 기초하여 부력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부력량이 상기 설계인양 부력량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하는 부력량 산출 단계; 및 상기 부력체 수량 카운트 단계에서 카운트되는 값과 상기 부력량 산출 단계에서 산출되는 부력량을 표시하고, 산출된 부력량이 상기 설계인양 부력량에 도달하는 경우 부력체의 투입과 해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산출된 부력량이 상기 설계인양 부력량에 도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부력체의 투입을 중단시키고, 부력체 투입의 중단과 동시 또는 부력체 투입의 중단 후 일정시간 동안 해수의 공급을 유지시킨 이후에 해수 공급을 중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 선내 투입 단계는 상기 부력체가 수용되는 투입부 하우징의 상부로부터 내부로 공기압을 인가하며,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하향 경사지게 구성되는 부력체 투입관로를 통해 투입되되, 부력체가 해수 흐름의 순방향으로 투입되게 이루어지도록 하향 경사지게 구성되는 부력체 투입관로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 선내 투입 단계는 부력체를 투입하는 부력체 투입 설비를 이용하되, 일단부로부터 해수를 흡입하여 타단부에서 침몰 선박으로 해수를 공급하기 위한 해수 공급부; 상기 해수 공급부로 부력체를 투입하여 그 해수 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해수를 운반 매개로 하여 상기 침몰 선박 내로 부력체가 공급되도록 하는 부력체 투입부; 상기 침몰 선박으로 투입되는 부력체를 카운트하여 설계인양 부력량을 산출하는 부력체 투입 산출부; 및 상기 부력체 투입 산출부로부터 정보를 제공받아 부력체의 투입 수량과 설계인양 부력량을 표시하고, 설계인양 부력량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해수 공급부와 부력체 투입부를 제어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부력체 투입 설비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 선내 투입 단계에서 이용되는 상기 부력체 투입 설비의 상기 해수 공급부는 일단부가 해수를 흡인하도록 위치되고, 중간부는 상기 설비 설치용 바지선에 구비되며, 타단부는 침몰 선박의 내측에 위치되는 해수 공급 파이프, 및 상기 해수 공급 파이프에 구비되는 수중 워터 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부력체 투입 설비의 모니터링부는 상기 부력체 투입 산출부로부터 제공받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부력체 투입 산출부로부터 산출된 투입 부력체의 부력량이 미리 설계된 설계인양 부력량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부력체 투입부에서 투입되는 부력체의 공급을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부력체 투입 제어부, 및 상기 해수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해수의 공급 동작을 제어하는 해수공급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해수 공급 파이프의 타단부가 단일관으로 이루어지거나 하나 이상 분지되어 둘 이상의 분지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타단부는 플렉시블(flexible)한 관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부력체 투입 설비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 선내 투입 단계에서 이용되는 상기 부력체 투입 설비의 부력체 투입부는, 다수의 부력체가 수용 저장되는 부력체 공급부로부터 부력체를 제공받도록 주입구가 형성되는 투입부 하우징; 일단부는 상기 투입부 하우징의 하면 일측에 연통하고, 타단부는 상기 해수 공급 파이프에 연통되어 부력체가 상기 해수 공급 파이프로 투입되도록 가이드하는 부력체 투입관로; 상기 부력체 투입관로에 구비되어 그 부력체 투입관로를 개폐하며, 상기 부력체 투입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개폐부재; 및 상기 투입부 하우징의 상측에 연결되어 상기 투입부 하우징의 내부로 공기압을 제공하는 에어 콤프레서를 갖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 투입관로는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하향 경사지게 구성되되, 부력체가 해수 흐름의 순방향으로 투입되게 이루어지도록 하향 경사지게 이루어져서 그 부력체 투입관로로부터 상기 해수 공급 파이프로 부력체가 투입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부력체 투입 산출부는 상기 부력체 투입관로의 중간부 또는 끝단에 구비되어 그 부력체 투입관로를 통과하는 부력체와 접촉하여 회동한 후 복원되는 회동바; 상기 회동부의 회동과 복원으로 온-오프(on/off)되는 스위치 접점; 및 상기 스위치 접점의 온-오프 신호를 제공받아 카운트하고, 이 카운트 값에 기초하여 부력량을 산출하며, 산출된 부력량이 미리 설정된 설계인양 부력량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하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부력체를 이용한 침몰선 인양 방법은, 침몰선 내로 부력체를 공급하여 침몰선이 소정의 자체 부력을 갖도록 함으로써 대형 크레인을 동원하지 않고, 용량이 작은 크레인을 이용하여 인양할 수 있어 인양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인양에 필요한 해저에서의 수작업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할 수 있어 잠수부의 안전사고를 현저히 줄이고 상대적으로 깊은 해역에서도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인양에 요구되는 인양 설계 중량을 고려하여 이에 맞는 부력체의 공급량을 제어하여 신뢰성 있고 효율적인 인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서 인양 와이어를 장착하여 침몰 선박을 인양하는 인양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인양 장치를 이용하여 침몰 선박을 인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부력을 이용한 침몰 인양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력체를 이용한 침몰선 인양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력체를 이용한 침몰선 인양 방법에 포함되는 상기 체인 설치 단계에서 체인 및 체인 부표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력체를 이용한 침몰선 인양 방법에 포함되는 부력체 선내 투입 단계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침몰선박 인양 방법의 부력체 선내 투입 단계에서 이용되는 부력체 투입 설비를 블록화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침몰선박 인양 방법의 부력체 선내 투입 단계에서 이용되는 부력체 투입 설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침몰선박 인양 방법의 부력체 선내 투입 단계에서 이용되는 부력체 투입 설비를 구성하는 일부 구성요소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침몰선박의 인양 방법에 포함되는 리프트-업 단계에서 실행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침몰선박의 인양 방법에 포함되는 도크 인 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침몰선박의 인양 방법에 포함되는 도크 아웃 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침몰선박의 인양 방법에 포함되는 예인 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부력체를 이용한 침몰선 인양 방법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력체를 이용한 침몰선 인양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부력체를 이용한 침몰선 인양 방법은, 해저(sea bed)에 침몰된 침몰 선박을 인양하기 위한 인양 방법으로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압, 조류, 선박 무게를 포함한 수중 중량 등을 포함하는 필요 인양 인자에 기초하여 인양에 필요로 되는 최소 설계인양 부력량을 계산하여 마련하는 설계인양 부력량 마련 단계(S100); 상기 침몰 선박에 인양을 위한 체인 및 체인 부표를 설치하는 체인 설치 단계(S200); 상기 침몰 선박의 해수면 위에 인양 설비가 갖춰진 폰툰투입 플로팅 바지(pontoon type floating barge)나 별도의 부력체 투입용 설비 바지선(설비 설치용 바지선)에 설치된 부력체 투입 설비를 통해 부력체를 침몰 선박의 선내로 투입하는 부력체 선내 투입 단계(S300); 상기 부력체 선내 투입 단계(S300)에서 부력체가 투입된 침몰 선박을 상기 폰툰타입 플로팅 바지에 갖춰진 인양 설비를 이용하여 수면까지 리프트-업(lift up)하는 리프트 업 단계(S400); 상기 리프트 업 단계(S400)에서 수면까지 리프트 업된 침몰 선박을 해수면 아래에 위치되는 플로팅타입 케이슨 도크(floating type cassion dock) 내로 도크 인(dock-in)하는 도크 인 단계(S500); 상기 침몰 선박이 도크 인된 플로팅타입 케이슨 도크를 일정 높이 부양시키고, 체인 해체한 다음, 상기 폰툰타입 플로팅 바지를 케이슨 도크 밖으로 이동시켜 도크 아웃(dock-out)하는 도크 아웃 단계(S600); 및 상기 폰툰타입 플로팅 바지가 도크 아웃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슨 도크를 해수면까지 부양시킨 다음, 목적지(부두)까지 이동시키는 예인 단계(S700);를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력체를 이용한 침몰선 인양 방법에 포함되는 상기 체인 설치 단계(S200)에서 체인 및 체인 부표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 침몰 선박(V)의 선미와 선수 측에 체인(C)이 감싸지도록 설치되고, 체인의 단부에는 체인 부표(B)가 결합된다.
여기에서, 상기 체인 설치 단계(S200)는 침몰 선박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해저면에 싱커(S)를 설치 고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력체를 이용한 침몰선 인양 방법에 포함되는 부력체 선내 투입 단계(S300)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상기 부력체 선내 투입 단계(S300)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부력체 선내 투입 단계(S300)는 폰툰투입 플로팅 바지(pontoon type floating barge)나 별도의 부력체 투입용 설비 바지선에 설치된 해수 공급 파이프의 일단부로부터 침몰 선박 내에 위치되는 타단부로 해수를 공급하는 해수 공급 단계(S310); 상기 해수 공급 단계(S310)에서 해수가 공급되는 해수 공급 파이프로 부력체를 투입하는 부력체 투입 단계(S320); 상기 부력체 투입 단계(S320)에서 투입되는 부력체를 카운트하는 부력체 수량 카운트 단계(S330); 상기 부력체 수량 카운트 단계(S330)에서 카운트된 값에 기초하여 부력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부력량이 미리 설정된 설계인양 부력량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하는 부력량 산출 단계(S340); 및 상기 부력체 수량 카운트 단계(S330)에서 카운트되는 값과 상기 부력량 산출 단계(S340)에서 산출되는 부력량을 표시하고, 산출된 부력량이 미리 설계된 설계인양 부력량에 도달하는 경우 부력체의 투입과 해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 단계(S35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 단계(S350)는 산출된 부력량이 미리 설계된 설계인양 부력량으로 판단되는 경우, 부력체의 투입을 중단시키고, 부력체 투입의 중단 이후 일정 시간 동안 해수의 공급을 유지시킨 다음 해수 공급을 중단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어는 최종 카운트된 부력체가 해수 공급 파이프 상에 존재하고 있으므로 최종 남아있는 부력체를 그 해수 공급 파이프로부터 침몰 선박으로 투입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만, 상기 제어 단계(S350)는 상기 부력체 수량 카운트 단계(S330)에서 부력체를 카운트하기 위한 카운트 장치가 해수 공급 파이프의 공급 말단에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한 펌프 제어는 부력체 투입의 중단 제어와 동시 또는 약간의 시간차만 두고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부력체 선내 투입 단계(S300)는 부력체 투입 설비를 이용하여 상기 침몰 선박으로 부력체를 투입하게 된다. 본 발명의 침몰선박 인양 방법에서 이용되는 일 실시 형태의 부력체 투입 설비를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침몰선박 인양 방법의 부력체 선내 투입 단계에서 이용되는 부력체 투입 설비를 블록화하여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침몰선박 인양 방법의 부력체 선내 투입 단계에서 이용되는 부력체 투입 설비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침몰선박 인양 방법의 부력체 선내 투입 단계에서 이용되는 부력체 투입 설비를 구성하는 일부 구성요소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부력체 선내 투입 단계(S300)에서 이용되는 부력체 투입 설비는,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단부로부터 해수를 끌어올려 타단부에서 침몰된 선박(10)으로 해수를 투입하기 위한 해수 공급부(100); 상기 해수 공급부(100)로 부력체(210)를 제공하여 그 해수 공급부(100)를 통해 공급되는 해수가 운반 매개가 되어 상기 침몰 선박(10) 내로 부력체(210)가 투입되도록 하는 부력체 투입부(200); 상기 침몰 선박(10)으로 투입되는 부력체의 수량을 카운트하여 침몰 선박의 설계인양 부력량(침몰 선박과 수중 중량 등의 인자들을 고려하여 인양하는데 필요로 되는 부력량)을 산출하는 부력체 투입 산출부(300); 및 상기 부력체 투입 산출부(300)로부터 정보를 제공받아 부력체의 투입 수량과 설계인양 부력량을 표시하고, 설계인양 부력량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해수 공급부(100)와 부력체 투입부(300)를 제어하는 모니터링부(400);를 포함한다. 이들 각 구성요소들(즉, 해수 공급부(100), 부력체 투입부(200), 부력체 투입 산출부(300) 및 모니터링부(400))은 설치되는 설비 설치용 바지선(500);에 설치된다.
상기 해수 공급부(100)는 일단부는 해수를 끌어올리도록 위치되고, 중간부는 상기 설비 설치용 바지선(500)에 고정되며, 타단부는 침몰 선박(10)의 내측에 위치되는 해수 공급 파이프(110), 및 상기 해수 공급 파이프(110)에 구비되어 그 해수 공급 파이프(110)를 통해 해수가 공급되도록 펌핑하는 수중 워터 펌프(120)를 포함한다.
상기 해수 공급 파이프(110)의 타단부는 소정 길이가 벨로우즈(bellows) 타입의 플렉시블(flexible) 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해수 공급 파이프(110)의 타단부는 단일관으로 이루어지거나, 하나 이상 분지되어 둘 이상의 분지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수 공급 파이프(110)의 타단에는 카메라 장치가 설치되고, 촬영 영상을 상기 모니터링부(400)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해수 공급 파이프(110)의 타단부는, 예를 들면 침몰 선박(10)의 RO-RO 데크(벽이 견고하게 이루어진 선내 공간)로 안내되어 그 내부 공간으로 부력체가 투입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부력체 투입부(200)는 다수의 부력체(210)가 수용 저장되는 부력체 공급부(미도시)와, 상기 부력체 공급부로부터 부력체를 제공받는 주입구(221)가 형성되는 투입부 하우징(220)과, 일단부는 상기 투입부 하우징(200)의 하면 일측에 연통하고, 타단부는 상기 해수 공급 파이프(110)에 연통되어 부력체(210)가 해수 공급 파이프(110)로 투입되도록 가이드하는 부력체 투입관로(230), 상기 부력체 투입관로(230)에 구비되어 그 부력체 투입관로(230)를 개폐하도록 상기 모니터링부(400)에 의해 제어되는 개폐부재(미도시), 및 상기 투입부 하우징(220)의 상측에 연결되어 상기 투입부 하우징(220)의 내부로 공기압을 제공하는 에어 콤프레서(240)를 포함한다.
상기 부력체 투입관로(230)는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부력체가 해수 흐름의 순방향으로 투입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부력체 투입관로(230)가 구성되므로써 해수의 흐름에 의해 원활하게 투입되어 공급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부력체 투입관로(230)가 연통되는 부위에서 소정 길이의 해수 공급 파이프(110)의 단면적은 그 연통 부위 전후의 해수 공급 파이프(110)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력체(210)의 투입에 있어서 상기 에어 콤프레서(240)의 가압력에 더하여, 상기 부력체 투입관로(230)의 연통 부위의 해수 공급 파이프(110)에서는 다른 부위에 비하여 유체의 유속이 빨라지면서 압력이 낮아져서, 부력체 투입관로(230)로부터 부력체의 투입은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부력체 투입 산출부(300)는 부력체 투입관로(230)를 통과하는 부력체(210)를 카운트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부력체 투입 산출부(30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력체 투입관로(230)의 타단부 측에 구비되어 부력체 투입관로(230)를 통과하는 부력체(210)와 접촉하여 회동한 후 복원되는 회동바(310)와, 상기 회동부(310)의 회동과 복원으로 온-오프(on/off)되는 스위치 접점(320), 및 상기 스위치 접점(320)의 온-오프 신호를 제공받아 카운트하고, 이러한 카운트 값을 기초하여 부력량을 산출하며, 산출된 부력량이 미리 설정된 설계인양 부력량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하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MCU)(330)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상기 모니터링부(400)는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330)으로부터의 정보를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410)와,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330)으로부터 산출된 부력량이 미리 설계된 설계인양 부력량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개폐부재를 폐쇄하도록 제어하는 부력체 투입 제어부(즉, 개폐부재 제어부)(420), 및 상기 수중 에어 펌프(120)의 동작을 제어하는 해수공급 제어부(즉, 펌프 제어부)(43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펌프 제어부는 상기 개폐부재 제어부에 의해 개폐부재가 폐쇄 제어된 다음,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수중 에어 펌프의 동작을 중단시키도록 제어한다, 이는 최종 카운트된 부력체(210)가 해수 공급 파이프(110) 상에 존재하고 있으므로 최종 남아있는 부력체를 그 해수 공급 파이프(110)로부터 침몰 선박(10)으로 투입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만, 상기 부력체 투입 산출부(300)가 해수 공급 파이프의 타단부의 끝단에 구성되는 경우, 상기한 펌프 제어는 부력체 투입의 중단 제어와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부력체(210)는 수압에 관계없이 일정한 부력량을 갖는 볼 형태의 부력체(예를 들면, 원양어선 등에 사용되는 중성 부력체)를 이용하는 것으로, 이는 침몰 선박이 인양되면서 수압의 변화에 무관하게 부력량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부력체가 이용된다.
계속해서, 본 발명에 따른 침몰선박의 인양 방법에 포함되는 리프트-업 단계(S400)를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침몰선박의 인양 방법에 포함되는 리프트-업 단계에서 실행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리프트-업 단계(S400)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침몰 선박으로부터 싱커(S)를 해체하고, 폰툰타입 플로팅 바지(F)에 설비되는 스트랜드 잭 타워 서포트에 설치된 스트랜드 잭의 스트랜드잭 와이어에 체인을 연결하여 침몰선박을 상승시킨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침몰선박의 인양 방법에 포함되는 도크 인 단계와, 도크 아웃 단계 및 예인 단계를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침몰선박의 인양 방법에 포함되는 도크 인(dock-in) 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침몰선박의 인양 방법에 포함되는 도크 아웃 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침몰선박의 인양 방법에 포함되는 예인 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리프트 업 단계(S400)에서 수면까지 리프트 업된 침몰 선박을 해수면 아래에 위치되는 플로팅타입 케이슨 도크(floating type cassion dock)(D) 내로 도크 인(dock-in)하는 도크 인 단계(S500)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인선으로 폰툰타입 플로팅 바지(F)를 예인하여 해저에 있는 플로팅타입 케이슨 도크(D) 내로 안내하여 위치시킨다.
여기에서, 상기 도크 인 단계(S500)에서 플로팅타입 케이슨 도크(D)는 조류나 바람 등이 기상조건이 좋고 안전한 지역의 해저에 위치시키고, 상기 폰툰타입 플로팅 바지(F)를 플로팅타입 케이슨 도크(D)가 위치된 안전한 지역으로 이동시켜 도크 인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 다음, 상기 도크 아웃 단계(S600)는 상기 침몰 선박이 도크 인 된 플로팅타입 케이슨 도크(D)를 일정 높이 부양시키고, 체인을 해체한 다음에 상기 폰툰타입 플로팅 바지(F)를 케이슨 도크(D) 밖으로 이동시켜 도크 아웃(dock-out)한다.
여기에서, 상기 케이슨 도크(D)의 부양은 스트랜드 잭(Strand Jack)의 하중률이 0%가 될 때까지 모니터링하면서 부양시킨다.
이후 툰타입 플로팅 바지(F)가 도크 아웃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슨 도크(D)를 해수면까지 완전히 부양시킨 다음, 케이슨 도크(D)를 목적지(부두)까지 안전하게 이동시킨다(예인 단계(S700)).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부력체를 이용한 침몰선 인양 방법은, 침몰선 내로 부력체를 공급하여 침몰선이 소정의 자체 부력을 갖도록 함으로써 대형 크레인을 동원하지 않고, 용량이 작은 크레인을 이용하여 인양할 수 있어 인양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고, 인양에 필요한 해저에서의 수작업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할 수 있어 잠수부의 안전사고를 현저히 줄이고 상대적으로 깊은 해역에서도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인양에 요구되는 인양 설계 중량을 고려하여 이에 맞는 부력체의 공급량을 제어하여 신뢰성 있고 효율적인 인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S100: 설계인양 부력량 마련 단계
S200: 체인 및 체인부표 설치 단계
S300: 부력체 선내 투입 단계
S310: 해수 공급 단계
S320: 부력체 투입 단계
S330: 부력체 수량 카운트 단계
S340: 부력량 산출 단계
S350: 제어 단계
S400: 선박 리프트 업 단계
S500: 침몰선박 도크 인 단계
S600: 플로팅바지 도크 아웃 단계
S700: 케이슨 도크 예인 단계
V: 침몰 선박
C: 체인
B: 체인 부표
S: 싱커
F: 폰툰타입 플로팅 바지
D: 플로팅타입 케이슨 도크
100: 해수 공급부
110: 해수 공급 파이프
120: 수중 워터 펌프
200: 부력체 투입부
210: 부력체
220: 투입부 하우징
230: 부력체 투입관로
240: 에어 콤프레서
300: 부력체 투입 산출부
310: 회동바
320: 스위치 접점
330: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
400: 모니터링부
410: 디스플레이부
420: 개폐부재 제어부
430: 펌프 제어부
500: 설비 설치용 바지선

Claims (10)

  1. 인양에 필요한 최소 설계인양 부력량을 계산하여 마련하는 설계인양 부력량 마련 단계;
    침몰 선박에 인양을 위한 체인 및 체인 부표를 설치하는 체인 설치 단계;
    인양 설비가 갖춰진 폰툰타입 플로팅 바지(pontoon type floating barge)나 별도의 부력체 투입용 설비 바지선에 설치된 부력체 투입 설비를 통해 부력체를 상기 침몰 선박의 선내로 투입하는 부력체 선내 투입 단계;
    상기 부력체가 투입된 침몰 선박을 상기 인양 설비를 이용하여 수면까지 리프트-업(lift up)하는 리프트 업 단계;
    상기 리프트 업 된 침몰 선박을 해수면 아래에 위치되는 플로팅타입 케이슨 도크(floating type cassion dock) 내로 도크 인(dock-in)하는 도크 인 단계;
    상기 침몰 선박이 도크 인된 플로팅타입 케이슨 도크를 일정 높이 부양시키고, 체인을 해체한 다음, 상기 폰툰타입 플로팅 바지를 케이슨 도크 밖으로 이동시키는 도크 아웃 단계; 및
    상기 폰툰타입 플로팅 바지가 도크 아웃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슨 도크를 해수면까지 부양시킨 다음, 목적지까지 이동시키는 예인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부력체 선내 투입 단계는
    해수 공급 파이프의 일단부로부터 침몰 선박 내에 위치되는 타단부로 해수를 공급하는 해수 공급 단계;
    해수가 공급되는 상기 해수 공급 파이프로 부력체를 투입하는 부력체 투입 단계;
    상기 부력체 투입 단계에서 투입되는 부력체를 카운트하는 부력체 수량 카운트 단계;
    상기 부력체 수량 카운트 단계에서 카운트된 값에 기초하여 부력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부력량이 상기 설계인양 부력량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하는 부력량 산출 단계; 및
    상기 부력체 수량 카운트 단계에서 카운트되는 값과 상기 부력량 산출 단계에서 산출되는 부력량을 표시하고, 산출된 부력량이 상기 설계인양 부력량에 도달하는 경우 부력체의 투입과 해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부력체 선내 투입 단계는 상기 부력체가 수용되는 투입부 하우징의 상부로부터 내부로 공기압을 인가하며,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하향 경사지게 구성되는 부력체 투입관로를 통해 투입되되, 부력체가 해수 흐름의 순방향으로 투입되게 이루어지도록 하향 경사지게 구성되는 부력체 투입관로를 통해 이루어지는
    침몰선박의 인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업 단계에서 이용되는 인양 설비는 상기 체인과 연결되는 스트랜드 잭을 포함하고,
    상기 도크 아웃 단계에서 케이슨 도크의 부양은 상기 스트랜드 잭에 작용하는 하중이 0이 될 때까지 모니터링하면서 부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침몰 선박의 인양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산출된 부력량이 상기 설계인양 부력량에 도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부력체의 투입을 중단시키고, 부력체 투입의 중단과 동시 또는 부력체 투입의 중단 후 일정시간 동안 해수의 공급을 유지시킨 이후에 해수 공급을 중단하도록 이루어지는
    침몰선박의 인양 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 선내 투입 단계는 부력체를 투입하는 부력체 투입 설비를 이용하되, 일단부로부터 해수를 흡입하여 타단부에서 침몰 선박으로 해수를 공급하기 위한 해수 공급부; 상기 해수 공급부로 부력체를 투입하여 그 해수 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해수를 운반 매개로 하여 상기 침몰 선박 내로 부력체가 공급되도록 하는 부력체 투입부; 상기 침몰 선박으로 투입되는 부력체를 카운트하여 설계인양 부력량을 산출하는 부력체 투입 산출부; 및 상기 부력체 투입 산출부로부터 정보를 제공받아 부력체의 투입 수량과 설계인양 부력량을 표시하고, 설계인양 부력량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해수 공급부와 부력체 투입부를 제어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부력체 투입 설비를 이용하는
    침몰선박의 인양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 선내 투입 단계에서 이용되는 상기 부력체 투입 설비의 상기 해수 공급부는 일단부가 해수를 흡인하도록 위치되고, 중간부는 상기 설비 설치용 바지선에 구비되며, 타단부는 침몰 선박의 내측에 위치되는 해수 공급 파이프, 및 상기 해수 공급 파이프에 구비되는 수중 워터 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부력체 투입 설비의 모니터링부는 상기 부력체 투입 산출부로부터 제공받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부력체 투입 산출부로부터 산출된 투입 부력체의 부력량이 미리 설계된 설계인양 부력량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부력체 투입부에서 투입되는 부력체의 공급을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부력체 투입 제어부, 및 상기 해수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해수의 공급 동작을 제어하는 해수공급 제어부를 포함하는
    침몰선박의 인양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 공급 파이프의 타단부가 단일관으로 이루어지거나 하나 이상 분지되어 둘 이상의 분지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타단부는 플렉시블(flexible)한 관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부력체 투입 설비가 이용되는
    침몰선박의 인양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 선내 투입 단계에서 이용되는 상기 부력체 투입 설비의 부력체 투입부는, 다수의 부력체가 수용 저장되는 부력체 공급부로부터 부력체를 제공받도록 주입구가 형성되는 투입부 하우징; 일단부는 상기 투입부 하우징의 하면 일측에 연통하고, 타단부는 상기 해수 공급 파이프에 연통되어 부력체가 상기 해수 공급 파이프로 투입되도록 가이드하는 부력체 투입관로; 상기 부력체 투입관로에 구비되어 그 부력체 투입관로를 개폐하며, 상기 부력체 투입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개폐부재; 및 상기 투입부 하우징의 상측에 연결되어 상기 투입부 하우징의 내부로 공기압을 제공하는 에어 콤프레서를 갖는 포함하는
    침몰선박의 인양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 투입관로는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하향 경사지게 구성되되, 부력체가 해수 흐름의 순방향으로 투입되게 이루어지도록 하향 경사지게 이루어져서 그 부력체 투입관로로부터 상기 해수 공급 파이프로 부력체가 투입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부력체 투입 산출부는 상기 부력체 투입관로의 중간부 또는 끝단에 구비되어 그 부력체 투입관로를 통과하는 부력체와 접촉하여 회동한 후 복원되는 회동바; 상기 회동바의 회동과 복원으로 온-오프(on/off)되는 스위치 접점; 및 상기 스위치 접점의 온-오프 신호를 제공받아 카운트하고, 이 카운트 값에 기초하여 부력량을 산출하며, 산출된 부력량이 미리 설정된 설계인양 부력량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하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을 포함하는
    침몰선박의 인양 방법.
KR1020170035846A 2017-03-22 2017-03-22 부력체를 이용한 침몰선 인양 방법 KR101750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5846A KR101750270B1 (ko) 2017-03-22 2017-03-22 부력체를 이용한 침몰선 인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5846A KR101750270B1 (ko) 2017-03-22 2017-03-22 부력체를 이용한 침몰선 인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0270B1 true KR101750270B1 (ko) 2017-06-27

Family

ID=59514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5846A KR101750270B1 (ko) 2017-03-22 2017-03-22 부력체를 이용한 침몰선 인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02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55273A (zh) * 2019-05-23 2019-08-23 大连海事大学 立式双驳抬撬钢绞线液压同步提升沉船打捞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55273A (zh) * 2019-05-23 2019-08-23 大连海事大学 立式双驳抬撬钢绞线液压同步提升沉船打捞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783970A (en) Apparatus for underwater oil well drilling
KR101551888B1 (ko) 침몰선박 인양장치 및 그 인양방법
EP0011894A1 (en) A method for installing a tubular element in the bottom of a body of water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is method
EP0653994B1 (en) A method of raising objects form the sea bed
GB2486029A (en) Offshore oil spill clean up
RU2390460C1 (ru) Комплекс для подъема 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ания затонувших подводных лодок и других судов
KR102076497B1 (ko) 소형 선박 침몰 방지 및 인양용 부유식 도크
KR101750270B1 (ko) 부력체를 이용한 침몰선 인양 방법
KR101643730B1 (ko) 침몰선박 인양장치
US20220227467A1 (en) Deployment of Unmanned Underwater Vehicles
WO2008032918A1 (en) Buoyancy occurring device for vessel salvage
GB2144375A (en) Floating dock
KR101686228B1 (ko) 리프트백을 이용한 수중 구조물 이송 방법
JPH0710080A (ja) 潜水式タンクバージ及び輸送方法
KR101750267B1 (ko) 침몰선 인양을 위한 부력체 투입 설비 및 부력체 공급 방법
CN2546327Y (zh) 船艇快速打捞救助装置
US5666898A (en) Equipment for raising sunken vessels
KR101699056B1 (ko) 반잠수식 구난 인양선 및 이를 이용한 침몰 선체 인양공법
KR101621086B1 (ko) 침몰선박 인양장치
CN214451742U (zh) 一种拖拽式救援设备
CN115709785B (zh) 一种无动力大型潜水器水下试验保障方法
JP7193265B2 (ja) 運搬システム及び運搬方法
CN219406804U (zh) 一种双层甲板船舶锚泊系统
CN114771771B (zh) 一种水下重载起吊打捞装置
KR20080018772A (ko) 부력을 이용한 선박인양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