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6228B1 - 리프트백을 이용한 수중 구조물 이송 방법 - Google Patents
리프트백을 이용한 수중 구조물 이송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86228B1 KR101686228B1 KR1020150020335A KR20150020335A KR101686228B1 KR 101686228 B1 KR101686228 B1 KR 101686228B1 KR 1020150020335 A KR1020150020335 A KR 1020150020335A KR 20150020335 A KR20150020335 A KR 20150020335A KR 101686228 B1 KR101686228 B1 KR 1016862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ft bag
- air
- rope
- lift
- ba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63B9/00—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20—Building or assembling prefabricated vessel modules or parts other than hull blocks, e.g. engine rooms, rudders, propellers, superstructures, berths, holds or tan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6—Towing or pushing equipment
- B63B21/66—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owing underwater objects or vessels, e.g. fairings for tow-cab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02—Buoys specially adapted for mooring a vessel
- B63B22/021—Buoys specially adapted for mooring a vessel and for transferring fluids, e.g. liquids
- B63B22/025—Buoys specially adapted for mooring a vessel and for transferring fluids, e.g. liquids and comprising a restoring force in the mooring connection provided by means of weight, float or spr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04—Fixations or other anchoring arrangements
- B63B22/06—Fixations or other anchoring arrangements with means to cause the buoy to surface in response to a transmitted sign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18—Buoys having means to control attitude or position, e.g. reaction surfaces or teth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22—Inflatable buoys with gas generat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24—Buoys container type, i.e. having provision for the storage of material
- B63B22/26—Buoys container type, i.e. having provision for the storage of material having means to selectively release contents, e.g. swivel couplings
-
- B63B27/02—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08—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winch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66—Tugs
- B63B35/665—Floating propeller units, i.e. a motor and propeller unit mounted in a floating box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66—Tugs
- B63B35/68—Tugs for tow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30—Moving or transporting modules or hull blocks to assembly sites, e.g. by rolling, lifting or flo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6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ools or equipment; characterised by automation, e.g. use of robo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02—Buoys specially adapted for mooring a vessel
- B63B2022/028—Buoys specially adapted for mooring a vessel submerged, e.g. fitting into ship-borne counterpart with or without rotatable turret, or being releasably connected to moored vesse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7/00—Buoyancy or ballast means
- B63B2207/04—Pressure equalising or adjus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ansportation (AREA)
- Robotic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 구조물을 이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계류 또는 정박되어 있는 선박을 이동시키지 않아도 리프트백의 부력을 이용하여 수중에서 구조물을 이송할 수 있어 선저부에 탑재물을 설치하거나 선박의 아래에 위치한 구조물을 인양하는데 소모되는 시간, 비용이 현저하게 줄어들 수 있고, 선박의 건조 일정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계류 또는 정박되어 있는 선박을 이동시키지 않아도 리프트백의 부력을 이용하여 수중에서 구조물을 이송할 수 있어 선저부에 탑재물을 설치하거나 선박의 아래에 위치한 구조물을 인양하는데 소모되는 시간, 비용이 현저하게 줄어들 수 있고, 선박의 건조 일정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중 구조물을 이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가 충전되면 수중에서 부양하는 리프트백의 부력을 이용하여 해저에서 수중 구조물을 부양시켜 이송하는 리프트백을 이용한 수중 구조물 이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상의 안벽은 선박의 정박을 목적으로 설치된 시설물에 해당한다. 이러한 안벽 시설물은 필요시 선박을 보다 안정적으로 접안시켜 보호하기 위해 무어링 장비를 고정할 수 있는 별도의 설치물을 부가하고 있다. 특히, 선박을 건조하거나 운항하는 과정 중에서 태풍과 같은 자연재해의 요소가 예상될 경우에는 안벽으로 선박을 피항 시킨 다음, 무어링 장비를 통해 선체를 견고하게 고정시켜야 한다.
즉, 안벽에 건조 상태의 선박이나 운항 중인 선박을 계류하기 위해서는 기 설치되어 있는 무어링 장비를 사용한 접안이 이루어지게 되는 데, 태풍과 같은 천재지변의 자연재해가 예상될 경우에는 기존의 무어링 장비 외에도 무어링 로프(Mooring Rope), 스탠드 롤러(Stand Roller), 볼라드(Bollard), 및 초크(Chock) 등과 같은 무어링 설비를 추가로 배치하여 안벽에 계류되는 선박의 안전을 도모하게 된다. 또한, 그 외에도 선박을 외항으로 피항시켜 위험요소로부터 선박을 보호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안벽에 계류되어 있는 선박은 계류되어 있는 선박에 프로펠러와 같은 탑재물을 장착할 때, 선박의 하부에 크레인이 와이어가 들어갈 수 없기 때문에 선박의 무어링 설비를 해제하고 예인선으로 선박을 다른 곳으로 이동한 다음 장착할 크래들(cradle)에 안착시킨 탑재물을 물 속 바닥에 위치시킨 후 다시 선박을 정위치에 이동시켜 선박의 크레인 와이어로 끌어올려 장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즉, 이런 방식은 계류 또는 선박 건조 중에 있는 선박을 두 번 이상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쉽지 않고, 다시 선박을 안벽에 계류하는데 비용이 들며, 다른 곳으로 이동시켜야 함에 있어 선박 내부 작업에 방해가 된다.
따라서, 계류된 선박에 탑재물을 장착하는데 있어 필요이상의 시간과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리프트백의 부력을 이용하여 수중에서 구조물을 이송할 수 있어 계류 또는 정박되어 있는 선박을 이동시키지 않아도 탑재물을 장착할 수 있는 수중 구조물의 이송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저에서 구조물을 이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에 복수개의 리프트백을 설치하는 설치단계, 상기 리프트백에 공기공급수단으로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구조물을 부양하는 부양단계 및 부양된 상기 구조물을 이송하는 이송단계를 포함하는 리프트백을 이용한 수중 구조물 이송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리프트백은, 적어도 하나에 부양로프를 포함하고, 상기 설치단계는, 상기 부양로프를 상기 구조물에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치단계는, 상기 구조물 또는 상기 리프트백 중 적어도 하나에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공급수단은, 에어호스 또는 수중공기공급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부양단계는, 상기 공기공급수단으로 상기 리프트백에 공기를 주입하여 해저면으로부터 상기 구조물을 부양시킬 수 있다.
이때, 부양된 상기 구조물을 이송하는 이송단계; 이전에, 상기 리프트백의 공기를 조절하여 상기 구조물의 중성부력과 균형을 셋팅하는 조절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프트백은, 일부에 에어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단계는,
상기 에어밸브를 이용하여 상기 리프트백에 주입된 공기를 선택적으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리프트백은, 상기 부양로프와의 사이에 길이조절로프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단계는, 상기 길이조절로프를 이용하여 상기 리프트백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단계는, 수중에서 부양된 상기 구조물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예인로프 일단을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예인로프는, 타단이 예인수단에 연결되고, 상기 예인수단은, 예인선박 또는 인양장비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며, 상기 이송단계는, 상기 예인수단에 상기 예인로프를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백을 이용한 수중 구조물에 안착된 탑재물 장착 방법 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에 복수개의 리프트백을 설치하는 설치단계, 상기 리프트백에 공기공급수단으로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구조물을 부양하는 부양단계, 부양된 상기 구조물을 이송하는 이송단계 및 선저부에 상기 탑재물을 장착하는 장착단계를 포함하는 리프트백을 이용한 수중 구조물에 안착된 탑재물 장착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리프트백은, 적어도 하나에 부양로프를 포함하고, 상기 설치단계는, 상기 부양로프를 상기 구조물에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치단계는, 상기 구조물 또는 상기 리프트백 중 적어도 하나에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공급수단은, 에어호스 또는 수중공기공급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부양단계는, 상기 공기공급수단으로 상기 리프트백에 공기를 주입하여 해저면으로부터 상기 구조물을 부양시킬 수 있다.
이때, 부양된 상기 구조물을 이송하는 이송단계, 이전에, 상기 리프트백의 공기를 조절하여 상기 구조물의 중성부력과 균형을 셋팅하는 조절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프트백은, 일부에 에어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단계는,
상기 에어밸브를 이용하여 상기 리프트백에 주입된 공기를 선택적으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리프트백은, 상기 부양로프와의 사이에 길이조절로프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단계는,상기 길이조절로프를 이용하여 상기 리프트백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단계는, 수중에서 부양된 상기 구조물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예인로프 일단을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예인로프는, 타단이 예인수단에 연결되고, 상기 예인수단은, 예인선박 또는 인양장비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며, 상기 이송단계는, 상기 예인수단에 상기 예인로프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단계는, 상기 탑재물이 장착될 위치로 상기 구조물을 상기 선저부의 하측으로 이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단계는, 상기 리프트백의 공기 및 길이조절로프를 조절하여 상기 탑재물이 장착될 상기 선저부 위치로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중 구조물에 리프트백을 설치함으로써, 선저부에 장착될 탑재물을 안착한 구조물을 수중에서 이송할 수 있고, 계류된 선박의 선저부에 탑재물을 설치하는데 소모되는 시간 및 경제적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벽에 계류된 선저부 하측에 위치한 구조물의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구조물에 리프트백을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리프트백을 설치한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리프트백을 설치한 구조물이 부양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부양된 구조물을 예인수단과 예인로프로 연결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예인수단과 연결된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백을 이용한 구조물 이송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이 이송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백을 이용한 수중 구조물에 안착된 탑재물 장착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재물이 안착된 구조물이 해저면에 가라앉은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탑재물이 안착된 구조물에 리프트백을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구조물이 부양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구조물이 예인수단과 예인로프로 연결되어 이송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14은 도 12에 도시된 구조물이 추진수단으로 이송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재물이 안착된 구조물이 선저부 하측에 위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재물이 선저부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구조물에 리프트백을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리프트백을 설치한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리프트백을 설치한 구조물이 부양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부양된 구조물을 예인수단과 예인로프로 연결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예인수단과 연결된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백을 이용한 구조물 이송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이 이송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백을 이용한 수중 구조물에 안착된 탑재물 장착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재물이 안착된 구조물이 해저면에 가라앉은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탑재물이 안착된 구조물에 리프트백을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구조물이 부양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구조물이 예인수단과 예인로프로 연결되어 이송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14은 도 12에 도시된 구조물이 추진수단으로 이송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재물이 안착된 구조물이 선저부 하측에 위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재물이 선저부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벽에 계류된 선저부 하측에 위치한 구조물을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구조물에 리프트백을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3은 도2에 도시된 리프트백을 설치한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100)은, 안벽(W)에 계류된 선박의 선저부(S)에 탑재물(180)을 장착한 후 해저면에 가라앉아 위치하며, 탑재물(180)은 선박에 장착되는 추진 설비의 일종인 스러스터(Thruster)를 예로 할 수 있다.
탑재물(180)을 선박의 선저부(S)에 장착하는 방법은 도 9 이하에서 상세히 후설하기로 한다.
구조물(100)은 크래들(Cradle)을 예로할 수 있고, 탑재물(180)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구조의 제한이 없이 마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각 프레임 형태를 예로 설명한다.
구조물(100)은 수중에서 이송 중 발생하는 해수로부터의 저항을 줄이기 위해 탑재물(18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가지는 범위 내에서 바닥이 개구된 구조를 가진다.
구조물(100)에는 일면에 중앙부가 개구된 링(ring)형상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결합고리(101)가 마련된다.
이러한 돌출된 결합고리(101)에는 후술하는 여러 종류의 로프 또는 체결부재(111)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구조물(100)에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고리(101)에 결합되는 체결부재(111)를 포함한다.
여기서, 체결부재(111)는 샤클(shakle)과 같은 구조를 예로 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구조물(100)의 결합고리(101)와 착탈이 용이한 것으로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백(110)은 구조물(100)과 체결부재(111)로 상호 결합되어 마련되고, 구조물(100)을 부양하는 부양로프(120)와 리프트백(1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로프(130)를 포함한다.
그리고, 공기가 주입되는 공기주입구(150)와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에어밸브(140)를 포함한다.
리프트백(1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조물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프트백(110)의 일부에 마련된 부양로프(120)는 적어도 두 개가 구비되어 구조물(100)과 연결된다. 여기서, 부양로프(120)는 구조물(100)의 무게 중심이 맞도록 구조물(100)의 양측에 설치된다.
아울러, 부양로프(120)는 구조물(100)의 결합고리(101)에 장착된 체결부재(111)에 묶여 연결되나, 부양로프(120)에는 일단에 체결부재(111)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고, 일체로 구비된 경우 구조물(100)의 결합고리(101)와 직접 연결될 수 있으며, 결합고리(101)에 체결부재(111)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 체결부재(111)끼리 결합하여 리프트백(110)을 설치할 수 있다. 이로써, 수중에서 구조물(100)과 결합된 리프트백(110)의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리프트백(110)의 길이조절로프(130)는, 일단이 리프트백(110)에 연결되고 타단이 부양로프(120) 사이에 연장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길이조절로프(130)와 부양로프(120)가 연결되는 연결부위에 체결부재(111)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이는, 부양로프(120)를 연결할 수 없는 협소한 공간에서도 리프트백(110)을 구조물(100)에 설치할 수 있기 위함이다.
한편, 부양로프(120)와 길이조절로프(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로프(rope)로 한정하지 않고, 체인(chain) 또는 와이어(wire)로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리프트백(110)은 리프트백(110)의 일부에 공기주입구(150)를 마련하여 리프트백(110) 내부로 공기가 주입될 있다.
한편, 리프트백(110)의 일부에는 에어밸브(140)가 마련되고, 리프트백(110) 내부에 충전된 공기를 선택적으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하, 에어밸브는 통상적으로 실시하는 공지된 기술로 상세한 설명은 여기서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백(110)은 부양시킬 대상의 무게에 대응 가능한 부양용량이 충분하도록 고려하여 마련해야 하고, 상기 대상이 해저면과 흡착된 상태의 경우, 상기 대상을 해저면으로부터 부양하는데 필요한 추가 부양력 또한 고려하여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리프트백을 설치한 구조물이 부양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백(110)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해 공기공급수단을 구비한다.
공기공급수단은 공기공급장치(160)와 일단이 연결된 에어호스(161)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에어호스(161)의 일단을 공기공급장치(160)에 연결하고 타단을 구조물(100)에 설치된 리프트백(110)의 공기주입구(150)에 연결하여 리프트백(110)으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공기공급장치는(160)는 육상에 마련될 수 있고, 후술하는 예인선박(170)에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리프트백(110)에 연결되는 측의 에어호스(161)의 일부에 에어호스밸브(16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수중에서 리프트백(110)에 공기를 주입할 때 공기의 주입량을 조절하기 위함이며, 과도한 공기 주입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에어호스(161)는 구조물(100)의 양측에 설치된 적어도 두 개의 리프트백(110)에 각각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서로 다른 리프트백(110)에 공기를 동일하게 주입하여 구조물(100)의 무게 중심이 맞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수중에 있는 구조물(100)의 리프트백(110)이 에어호스(161)와 연결될 수 없는 경우, 공기공급수단은 수중에 투입된 상태에서 리프트백(110)으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수중공기주입장치(미도시)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에어호스(161)를 사용하는 것으로 예로 하나, 수중에 서 리프트백(110)에 공기를 주입하는 수단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부양된 구조물을 예인수단과 예인로프로 연결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6은 예인수단과 연결된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부양된 구조물(100)을 예인할 수 있는 예인수단을 마련한다.
예인수단으로는 예인선박(170)이 마련될 수 있는데, 예인선박(170)과 구조물(100)을 상호 연결할 예인로프(171)를 포함한다.
예인로프(171)의 일단은 예인선박(170)의 일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구조물(100)의 결합고리(101) 또는 결합고리(101)에 장착된 체결부재(111)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예인선박(170)이 이동함에 따라 구조물과 상호 연결된 예인로프(171)에 당겨지는 장력이 발생하여 구조물이 이송될 수 있다.
아울러, 도 6과 같이, 예인선박(170)의 예인로프(17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조물(100)의 양측에 연결되어 구조물(100)이 수중에서 이송될 때 무게 중심이 맞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예인선박(170)에는 크레인(미도시)이 구비되어, 구조물(100)을 인양하여 수중으로 투입시킬 수 있다.
한편, 안벽(W)과 선박의 거리가 충분히 크거나, 해수의 수심이 충분히 깊은 경우, 예인수단은 권취부(175) 또는 육상 크레인(미도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권취부(175)는 안벽(W)의 하부에 마련되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권취부는(175) 예인로프(171)의 일단이 일부에 연결되어 연장되고, 타단이 구조물(100)과 상호 연결되며, 권취부가 회전함에 따라 예인로프(171)가 당겨져 구조물(100)을 이송시킬 수 있다.
그리고 육상 크레인(미도시)은 육상 크레인(미도시)에 구비된 와이어를 연결하여 구조물(100)과 연결하여 구조물(100)을 이송 시킬 수 있다.
이하, 육상 크레인은 통상적으로 실시하는 공지된 기술로 상세한 설명은 여기서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도 14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백(110)으로 부양된 구조물(100)은 추진수단(177)이 구조물(100)의 일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추진수단(177)의 추진력을 이용하여 수중에서 부양된 구조물(100)을 이송시킬 수 있다.
추진수단(177)은 구조물(100)과 일체로 결합될 수 있고, 추진수단(177) 또는 구조물(100) 중 어느 하나에 장착 및 제거가 가능한 결합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백을 이용한 구조물을 이송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리프트백을 이용한 구조물 이송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양된 구조물의 이송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백(110)을 이용한 구조물(100) 이송 방법에 있어서, 먼저, 설치단계(S100)는 선박의 선저부(S) 아래에 위치한 구조물(100)의 위치를 확인한다.
한편, 탐색 및 후술하는 단계는 숙련된 다수의 다이버(Diver)가 투입되어 설치 및 부양을 실행하고, 이송을 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구조물(100)에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고리(101)에 체결부재(111)를 장착한다. (S101)
이때, 체결부재(111)는 구조물(100)에 설치될 리프트백(110)에 대응되는 수량이 장착된다.
한편, 결합고리(101)에 체결부재(111)를 장착하는 단계는 체결부재(111)가 리프트백(110)의 일부에 일체로 마련되어 있을 경우 생략될 수 있다.
이어서, 구조물(100)에 장착된 체결부재(111)에 리프트백(110)을 설치한다. (S102) 리프트백(110)은 구조물(100)을 들어 올릴 수 있는 부양력을 계산하여 적어도 두 개 이상을 구조물(100)의 양측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참조하면, 부양단계(S110)는, 구조물(100)에 설치된 리프트백(110)에 공기를 주입하는 에어호스(161)를 리프트백(110)의 공기주입구(150)로 연결한다. (S111) 이어서, 에어호스(161)가 연결된 리프트백(110)에 공기를 천천히 주입하여 리프트백(110)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한다. (S112)
이때, 구조물(100)의 양측에 설치된 적어도 두 개의 리프트백(110)에 동시에 공기를 주입하여 무게 중심이 맞도록 한다.
다음, 구조물(100)이 중성부력을 유지할 수 있게 리프트백(110)의 부력 및 구조물(100)의 균형을 조절하는 조절단계(S120)를 실행한다.
즉, 구조물(100)을 해저면으로부터 부양시키는데 있어 리프트백(110)에 공기가 과도하게 주입된 경우, 리프트백(110)에 구성된 에어밸브(140)를 개방하여 리프트백(110)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길이조절로프(130)를 이용하여 구조물(100)의 양측에 설치된 각각의 리프트백(11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구조물(100)의 균형을 조절하여 중성부력을 유지한다.
참고로, 중성부력(Neutral Buoyancy)이란 부력과 중력의 힘이 동일한 상태로, 중성부력을 유지하면 물에서 뜨지도 가라앉지도 않는 상태를 말하며, 부력체의 평균밀도(비중)와 주위 해수의 평균밀도가 균형을 이루게 되는 것을 말한다.
도 5와 도6을 참조하면, 이송단계(S130)는 예인선박(170)의 예인로프(171)를 구조물(100)에 형성된 결합고리(101) 또는 결합고리(101)에 장착되어있는 체결부재(11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하되, 구조물(100)의 양측으로 연결한다. (S131)
도 8을 참조하면, 리프트백(110)에 연결된 에어호스(161)를 제거한 다음 예인선박(170)을 이동시킨다.
중성부력을 유지하며 해저면과 이격된 구조물(100)은 예인선박(170)이 이동함에 따라 예인로프(171)에 장력이 발생하여 이송될 수 있다. (S132)
이때, 예인선박(170)은 저속으로 구동 또는 이동하여 수중에서 이송되는 구조물(100)의 저항을 최소화하고, 예인로프(171)에 과한 장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이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구조물(100)이 수중에서 이송되는 중 해저면에 흡착되거나 해저면의 상태에 따라 추가적인 구조물(100)의 부양이 필요할 때를 고려하여 비상공기통(미도시)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로, 이송되는 구조물(100)의 바닥이 해저면의 진흙과 흡착된 경우, 비상공기통(미도시)을 이용하여 구조물(100)에 설치된 양측의 리프트백(110) 중 일측의 리프트백(110)에 먼저 공기를 주입하여 구조물(100)의 일측을 띄운 후 타측의 리프트백(110)에 공기를 주입하여 구조물(100)을 다시 부양시킨다.
마지막으로, 이송이 완료된 후 구조물(100)에 연결된 리프트백(110)과 예인로프(171)를 제거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통해 행해지는 리프트백을 이용한 수중 구조물에 안착된 탑재물 장착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리프트백을 이용한 수중 구조물에 안착된 탑재물 장착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10 내지 도 16은 후술하는 각 단계에 따른 과정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9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백(110)을 이용한 수중 구조물(100)에 안착된 탑재물(180) 장착 방법에 있어서,
먼저, 설치단계(S200)는 도 10과 도11과 같이, 탑재물은 구조물에 안착 된 후 예인선박(170)에 마련된 크레인 또는 육상 크레인(미도시)중 어느 하나로 인양되어 수중으로 투입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해저면에 위치한 탑재물(180)이 안착된 구조물(100)의 위치를 확인한다.
한편, 탐색 및 후술하는 단계는 숙련된 다수의 다이버(Diver)가 투입되어 설치 및 부양을 실행하고, 이송을 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조물(100)에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고리(101)에 체결부재(111)를 장착한다. (S201)
이때, 체결부재(111)는 구조물(100)에 설치될 리프트백(110)에 대응되는 수량이 장착된다.
한편, 결합고리(101)에 체결부재(111)를 장착하는 단계는 체결부재(111)가 리프트백(110)의 일부에 일체로 마련되어 있을 경우 생략될 수 있다.
이어서, 도 11을 참조하면, 구조물(100)에 장착된 체결부재(111)에 리프트백(110)을 설치한다. (도 3 참조) (S202)
리프트백(110)은 구조물(100)을 들어 올릴 수 있는 부양력을 계산하여 적어도 두 개 이상이 구조물(10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를 참조하면, 부양단계(S210)는, 구조물(100)에 설치된 리프트백(110)에 공기를 주입하는 에어호스(161)을 리프트백(110)의 공기주입구(150)로 연결한다. (S211)
이어서, 에어호스(161)가 연결된 리프트백(110)에 공기를 천천히 주입하여 리프트백(110)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한다.(S212)
이때, 구조물(100)의 양측에 설치된 적어도 두 개의 리프트백(110)에 동시에 공기를 주입하여 무게 중심이 맞도록 한다.
다음, 구조물(100)이 중성부력을 유지할 수 있게 리프트백(110)의 부력 및 구조물(100)의 균형을 조절하는 조절단계(S220)를 실행한다.
즉, 구조물(100)을 해저면으로부터 부양시키는데 있어 리프트백(110)에 공기가 과도하게 주입된 경우, 리프트백(110)에 구성된 에어밸브(140)를 개방하여 리프트백(110)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길이조절로프(130)를 이용하여 구조물(100)의 양측에 설치된 각각의 리프트백(11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구조물(100)의 균형을 조절하여 중성부력을 유지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이송단계(S230)는 권취부(175)의 예인로프(171)를 구조물(100)에 형성된 결합고리(101) 또는 결합고리(101)에 장착되어있는 체결부재(11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하되, 구조물(100)의 양측으로 연결한다. (도 6참조) (S231)
다음, 리프트백(110)에 연결된 에어호스(161)를 제거한 다음 권취부(175)를 작동시켜 예인로프(171)를 당겨 구조물(100)을 이송한다. (S232)
이때, 권취부(175)는 저속으로 작동하여 수중에서 이송되는 구조물(100)의 저항을 최소화하고, 예인로프(171)에 과한 장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이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구조물(100)이 수중에서 이송되는 중 해저면에 흡착되거나 해저면의 상태에 따라 추가적인 구조물(100)의 부양이 필요할 때를 고려하여 비상공기통(미도시)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로, 이송되는 구조물(100)의 바닥이 해저면의 진흙과 흡착된 경우, 비상공기통(미도시)을 이용하여 구조물(100)에 설치된 양측의 리프트백(110) 중 일측의 리프트백(110)에 먼저 공기를 주입하여 구조물(100)의 일측을 띄운 후 타측의 리프트백(110)에 공기를 주입하여 구조물(100)을 다시 부양시킨다.
한편, 수중에서 부양된 구조물(100)을 이송하는 수단으로 도 14와 같이, 추진수단(177)을 구조물(100)에 구비하여 부양된 구조물(100)을 이송시킬 수 있다.
도 15와 도16을 참조하면, 장착단계(S240)는 해저면에 위치한 탑재물(180)을 선저부(S)에 장착하기 위해 예인로프(171)를 제거한 후 에어호스(161)를 전술한 부양단계(S210)와 같이 연결한 다음 리프트백(110)에 공기를 주입한다. 이때, 선저부(S)에 장착될 탑재물(180)이 안전하게 위치될 수 있게 천천히 주입한다.
여기서, 전술한 조절단계(S220)와 같이, 리프트백(110)에 구비된 에어밸브(140)와 길이조절로프(130)을 조절하여 탑재물(180)의 수평을 유지하며 부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탑재물(180) 설치가 가능한 위치까지 선저부(S)에 밀착시킨다.
마지막으로, 탑재물(180)을 선저부(S)에 설치한 후 에어호스(161)를 제거하고, 리프트백(110)의 내부공기를 배출한 다음 구조물(100)이 해저면에 안착된 후 리프트백(110)을 분리하면, 도 1 상태와 같이 구조물(100)은 탑재물(180)을 장착한 후 선저부(S) 하측에 가라앉아 위치한다.
이상에서는 탑재물을 선저부에 장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고, 탑재물을 분리하고자 할 때 또는 선저부 아래에 안착되어 있는 구조물을 인양할 위치로 이송 하고자 할 때 에는 전술한 해저에서 구조물을 이송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분리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구조물
101; 결합고리
110; 리프트백
120; 부양로프
130; 길이조절로프
140; 에어밸브
150; 공기주입구
160; 공기공급장치
161: 에어호스
162: 에어호스밸브
170; 예인선박
171; 예인로프
175: 권취부
177: 추진수단
180; 탑재물
101; 결합고리
110; 리프트백
120; 부양로프
130; 길이조절로프
140; 에어밸브
150; 공기주입구
160; 공기공급장치
161: 에어호스
162: 에어호스밸브
170; 예인선박
171; 예인로프
175: 권취부
177: 추진수단
180; 탑재물
Claims (20)
- 해저에서 구조물을 이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에 복수개의 리프트백을 설치하는 설치단계;
상기 리프트백에 공기공급수단으로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구조물을 부양하는 부양단계; 및
부양된 상기 구조물을 이송하는 이송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백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양로프를 포함하며, 상기 설치단계는 상기 부양로프를 상기 구조물에 결합하고,
상기 부양단계와 상기 이송단계 사이에, 상기 리프트백의 공기를 조절하여 상기 구조물의 중성부력과 균형을 셋팅하는 조절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리프트백은 상기 부양로프와의 사이에 길이조절로프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단계는 상기 길이조절로프를 이용하여 상기 리프트백의 높낮이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구조물의 균형을 조절하여 중성부력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백을 이용한 수중 구조물 이송 방법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 또는 상기 리프트백 중 적어도 하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설치단계는 상기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구조물과 상기 리프트백이 상호 결합되는,
리프트백을 이용한 수중 구조물 이송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수단은 에어호스 또는 수중공기공급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부양단계는 상기 공기공급수단으로 상기 리프트백에 공기를 주입하여 해저면으로부터 상기 구조물을 부양시키는,
리프트백을 이용한 수중 구조물 이송 방법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백은 일부에 에어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단계는 상기 에어밸브를 이용하여 상기 리프트백에 주입된 공기를 선택적으로 외부로 배출하는,
리프트백을 이용한 수중 구조물 이송 방법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단계는 수중에서 부양된 상기 구조물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예인로프 일단을 연결하는,
리프트백을 이용한 수중 구조물 이송 방법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예인로프는 타단이 예인수단에 연결되고,
상기 예인수단은 예인선박 또는 육상 크레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송단계는 상기 예인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예인로프를 당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백을 이용한 수중 구조물 이송 방법
- 해저에 위치한 구조물을 이송하여 선박의 선저부에 탑재물을 장착하는 방법에 있어서,
탑재물이 안착된 상기 구조물에 복수개의 리프트백을 설치하는 설치단계;
상기 리프트백에 공기공급수단으로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구조물을 부양하는 부양단계;
부양된 상기 구조물을 이송하는 이송단계; 및
선저부에 상기 탑재물을 장착하는 장착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백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양로프를 포함하며, 상기 설치단계는 상기 부양로프를 상기 구조물에 결합하고,
상기 부양단계와 상기 이송단계 사이에, 상기 리프트백의 공기를 조절하여 상기 구조물의 중성부력과 균형을 셋팅하는 조절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리프트백은 상기 부양로프와의 사이에 길이조절로프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단계는 상기 길이조절로프를 이용하여 상기 리프트백의 높낮이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구조물의 균형을 조절하여 중성부력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백을 이용한 수중 구조물에 안착된 탑재물 장착 방법
- 삭제
-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단계는,
상기 구조물 또는 상기 리프트백 중 적어도 하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설치단계는 상기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구조물과 상기 리프트백이 상호 결합되는,
리프트백을 이용한 수중 구조물에 안착된 탑재물 장착 방법
-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수단은 에어호스 또는 수중공기공급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부양단계는 상기 공기공급수단으로 상기 리프트백에 공기를 주입하여 해저면으로부터 상기 구조물을 부양시키는,
리프트백을 이용한 수중 구조물에 안착된 탑재물 장착 방법
- 삭제
-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백은 일부에 에어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단계는 상기 에어밸브를 이용하여 상기 리프트백에 주입된 공기를 선택적으로 외부로 배출하는,
리프트백을 이용한 수중 구조물에 안착된 탑재물 장착 방법
- 삭제
-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단계는 수중에서 부양된 상기 구조물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예인로프 일단을 연결하는,
리프트백을 이용한 수중 구조물에 안착된 탑재물 장착 방법
-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예인로프는 타단이 예인수단에 연결되고,
상기 예인수단은 상기 선박을 기준으로 상기 구조물의 반대편에 위치된 권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이송단계는 상기 권취부를 이용하여 상기 예인로프를 당기는,
리프트백을 이용한 수중 구조물에 안착된 탑재물 장착 방법
-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단계는 상기 탑재물이 장착될 위치로 상기 구조물을 상기 선저부의 하측으로 이송하는,
리프트백을 이용한 수중 구조물에 안착된 탑재물 장착 방법
-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단계는 상기 리프트백의 공기 및 길이조절로프를 조절하여 상기 탑재물이 장착될 상기 선저부 위치로 안내하는,
리프트백을 이용한 수중 구조물에 안착된 탑재물 장착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20335A KR101686228B1 (ko) | 2015-02-10 | 2015-02-10 | 리프트백을 이용한 수중 구조물 이송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20335A KR101686228B1 (ko) | 2015-02-10 | 2015-02-10 | 리프트백을 이용한 수중 구조물 이송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97891A KR20160097891A (ko) | 2016-08-18 |
KR101686228B1 true KR101686228B1 (ko) | 2016-12-13 |
Family
ID=56874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20335A KR101686228B1 (ko) | 2015-02-10 | 2015-02-10 | 리프트백을 이용한 수중 구조물 이송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8622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52950B1 (ko) * | 2017-01-02 | 2019-02-27 |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 수중취수터널 벌크헤드 해체 방법 |
KR200487527Y1 (ko) * | 2017-04-06 | 2018-10-01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로어링 장치 |
KR102611486B1 (ko) * | 2021-11-23 | 2023-12-07 |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 자재 인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재 인양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70940A (ko) * | 2011-12-20 | 2013-06-28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핫 탭핑 장비의 리프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리프팅 방법 |
-
2015
- 2015-02-10 KR KR1020150020335A patent/KR101686228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97891A (ko) | 2016-08-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MX2011002875A (es) | Metodo y aparato para instalaciones submarinas. | |
KR20110009671A (ko) | 파동 에너지 변환장치의 전개 및 회수용 시스템 및 방법 | |
EP3186141B1 (en) | A multi-vessel process to install and recover subsea equipment packages | |
KR101686228B1 (ko) | 리프트백을 이용한 수중 구조물 이송 방법 | |
US9409631B2 (en) | Loading hose | |
US4624645A (en) | Rapid deployment mooring and discharge system and method | |
US4632663A (en) | Mooring and transfer system and method | |
KR101281652B1 (ko) | 케이슨 파이프를 구비한 선박을 이용한 해양플랜트 앵커링 방법 | |
RU2483969C1 (ru) | Разборный судоподъемный понтон | |
CN213784866U (zh) | 一种用于辅助海上养殖网箱拖带的聚乙烯纤维气囊 | |
KR101324118B1 (ko) | 케이슨 파이프를 구비한 선박을 이용한 유빙 관리 방법 | |
KR101281654B1 (ko) | 케이슨 파이프를 구비한 선박의 앵커링 방법 | |
CN109237124B (zh) | 海底悬空管道治理用砂袋堆砌施工装置 | |
KR101346258B1 (ko) | 케이슨 파이프를 구비한 선박 | |
JP2006240594A (ja) | 浮体式鋼管運搬装置及び浮体式鋼管運搬方法 | |
US20240253743A1 (en) | Mooring assembly | |
RU2479461C1 (ru) | Система подъема затонувшего судна | |
KR101281645B1 (ko) | 케이슨 파이프를 구비한 선박용 메신저 부이 | |
US20240125070A1 (en) | Transport cap of a sea foundation pile, installation cradle of the transport cap of a sea foundation pile, method of installing a transport cap inside a foundation pile, towing set of sea foundation piles, method of sea towage foundation piles and preparation of a foundation pile for installation in the seabed | |
RU2231472C2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рыва от грунта, фиксации на некоторой высоте 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ания на мелководье затонувших подводных лодок, включая тип апл "курск" | |
AU580415B2 (en) | Mooring and transfer system | |
RU2630513C1 (ru) | Устройство погрузк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и установки на морское дно тяжеловесного и крупногабаритного морского подводного объекта | |
KR101131427B1 (ko) | 수중구조물 설치용 조립체 및 수중구조물 운반 및 설치 공법 | |
RU2134211C1 (ru) | Способ подъема судна с донного грунта и его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 |
CN115384718A (zh) | 船舶下水助浮装置及平台线建造船舶下水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06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