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1086B1 - 침몰선박 인양장치 - Google Patents
침몰선박 인양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21086B1 KR101621086B1 KR1020160005227A KR20160005227A KR101621086B1 KR 101621086 B1 KR101621086 B1 KR 101621086B1 KR 1020160005227 A KR1020160005227 A KR 1020160005227A KR 20160005227 A KR20160005227 A KR 20160005227A KR 101621086 B1 KR101621086 B1 KR 1016210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
- lifting
- buoyancy
- sinking
- buoyancy tan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06—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in which lifting action is generated in or adjacent to vessels or objects
- B63C7/1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in which lifting action is generated in or adjacent to vessels or objects using inflatable floats external to vessels or objec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28—Refloating stranded vessels
-
- B63B2738/02—
-
- B63B2738/0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침몰선박(300)을 부력을 이용하여 인양할 수 있는 침몰선박 인양장치(100)로서, 부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중공 구조를 갖는 다수의 부력탱크(110)와, 상기 부력탱크(110)들을 필요로 하는 간격으로 배열시키면서 침몰선박(300)의 하부쪽 전체를 감쌀 수 있는 인양와이어(120)와, 상기 인양와이어(120)의 양단을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엇갈리게 끼워서 일방향으로만 당겨지게 조여주어 인양와이어(120)를 고정하는 와이어고정기(130)를 포함하는 침몰선박 인양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양와이어(120)에 등간격으로 수직인양와이어(120a)를 형성하고, 상기 부력탱크(110)의 일측에 수직인양와이어(120a)가 일방향으로 하강하는 인양하강기구틀(50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몰선박 인양장치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침몰선박 인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양선에서 침몰선박 주위를 포위하는 형태로 투입한 부력탱크들에 연결된 인양와이어가 선체의 하부쪽 전체를 감싸고 있는 상태에서 부력탱크를 강하시킬 수 있도록 수직인양와이어를 형성하여 여기에 부력탱크가 안정적으로 내려갈 수 있는 인양하강기구틀을 제공함으로써 부력탱크가 부력에 의해서 부양함에 따라 자연스럽게 침몰된 선박을 인양할 수 있도록 된 침몰선박 인양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해상 교통이 활발해지고 어업활동이 증가함에 따라 선박이 침몰되는 사건이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인데, 선박이 침몰하는 경우에는 연료의 유출에 따라 해양을 광범위하게 요염시켜 해양 생태계의 파괴로 인한 어장 및 어민에게 막대한 피해를 주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최근에는 전라남도 진도 해역에서 일어난 대형 여객선인 세월호 침몰 사고와 관련하여 후속 조치로써 세월호를 인양하는 방안과 관련하여 대형 침몰선박의 인양방법 및 인양에 따른 막대하게 소요되는 비용 등과 관련하여 크게 이슈화되고 있기도 하다.
이처럼, 선박 침몰 사고시 선박이 완전히 침몰하여 수장되기 전에 침몰선박이 수장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부득이 선박이 완전히 침몰하여 해저에 수장된 이후에는 빠른 시간내에 인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선박 좌초 사고 후 선박이 수장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으로는 공기주머니를 침몰선박의 둘레에 설치하여 부상하도록 하거나, 좌초 선박의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여 부력을 발생시키는 플로트, 공기 또는 부재에 의한 방법 등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지의 예들은 침몰 전의 선체에 적용될 뿐이고, 침몰 후 인양시에는 별도의 방법을 적용해야 된다.
예를 들어, 종래 침몰된 선박을 인양하는 공지의 방법으로는, 수중의 선체에 인양와이어를 감고 인양선박(즉, 모선)을 이용하여 윈치의 견인력에 의해 인양하는 방법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인양와이어를 이용하여 침몰선박을 인양하는 종래의 통상적인 방법은, 인양선박의 크레인으로부터 인출되는 인양와이어를 침몰선박에 걸고, 상기 크레인의 작동으로 인양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크레인 인양방식은 침몰선박을 크레인만으로 인양하므로 선박을 인양하기 위해서 크레인시설 등 장비의 대형화가 요구되고, 침몰선박이 대형 선박인 경우에는 크레인 인양방식을 적용하는 데 다소 어려움이 있는 경우가 있을 뿐만 아니라 선박의 인양에 너무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전술한 침몰된 세월호와 같은 대형 선박과 같은 경우에는 크레인 인양방식을 적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세월호가 침몰된 진도 해역의 맹골수로의 경우는 조류가 매우 거세기 때문에 잠수부가 작업하는 데 어려움이 뒤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 크레인을 통한 인양와이어를 이용하여 침몰선박을 인양하는 방법의 경우에는 선박이 침몰한 물의 깊이가 깊지 않아서 잠수부가 잠수할 수 있을 정도의 깊이 이면, 주로 잠수부가 물속으로 들어가 침몰선박 등의 밑으로 터널을 파서 인양와이어를 통과시켜 인양와이어를 묶어서 침몰선박을 인양할 수 있는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물속의 깊이가 50m~60m 이상으로 깊을 경우에는 잠수부가 물속으로 들어갈 수 없고, 깊은 물속에 침몰한 선박을 인양할 장비가 미비하여 깊은 물속에 침몰한 선박을 인양할 수가 없었다.
이처럼, 잠수부에 의한 작업에는 수많은 제약이 있어, 종래의 인양와이어를 장착하여 인양하는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많은 과제를 가지고 있었다.
(1) 수심(水深)에 관한 문제
현재, 대형 선박 등의 인양 수심 한계는, 일반적으로는 55m~60m이며, 더 이상의 수심에 침몰된 선박 등의 인양은 불가능하다. 이것은 가장 많이 보급되어 있는 공기 호흡식 잠수가 잠수병 관계로 수심에 제한을 받기 때문이다. 또, 공기 호흡식 대신 특수 혼합 가스를 사용하면 공기 호흡식 보다 깊은 수심까지 잠수할 수 있지만, 잠수부에 대한 생리적인 위험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대형 침몰선 등의 인양 작업 같은 중노동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수심은 인양 작업의 가부를 결정하는 데에 있어서 가장 중대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2) 조류(潮流)와 해류(海流)에 관한 문제
잠수부가 조류(혹은, 수류)에 대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한계는 일반적으로는 1~1.5노트라고 되어 있다. 조류가 이러한 한계를 넘으면, 잠수부 자체의 안전 확보를 할 수 없게 되어, 원하는 장소에 도달할 수 없게 된다. 또, 잠수부가 긴급 부상한 경우에, 이 잠수부의 인명 구조가 곤란하게 되기 때문이다.
또, 에어 리프트 호스나 제트 워터 호스의 압류 저항이 강해지면, 잠수부는 이들의 보수, 조작이 불가능하게 되고, 작업을 할 수 없다.
또, 조류는 조수의 간만으로 유속에 강약이 생긴다. 이로 인하여, 조류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해역에서의 잠수 작업은, 유속이 약해지는 휴조(休潮) 시로 한정된다. 한편, 해류는 언제나 변함없이 지속적(혹은, 항상적)이기 때문에, 해류가 강한 부분에서는 잠수 작업을 일체 할 수 없다.
이와 같이 조류와해류는, 인양 작업의 가부를 결정하는 데에 있어서 중대한 요소인 것이다.
(3) 수중 시계(視界)에 관한 문제
물밑 근처가 진흙 등으로 탁해져 있는 상황에서는 수중 시계를 확보할 수 없기 때문에, 잠수 작업은 불가능해 진다. 특히, 터널 굴삭 작업에서는 모래나 진흙이 수중에 분산되기 때문에, 수중 시계가 악화되기 쉽다. 이로 인하여, 작업중인 잠수부가 터널 내에서 붕괴를 알아차리지 못하여 생매장이 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수중 시계는 잠수부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데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 며, 또 작업 공사 기간에도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기도 하다.
(4) 수온(水溫)에 관한 문제
수온이 체온 이하이면, 잠수부의 체온을 빼앗겨, 때로는 인명에도 관계된다. 이로 인하여, 수온이 낮은 수역에서는 잠수 작업 시간이 수온에 의해 크게 제한되어 버리고, 작업 공사 기간에 큰 영향을 미치게 하는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5) 바닥질에 관한 문제
바닥질이 바위인 경우, 잠수부가 에어 드릴로 이것을 제거할 수 있는 경우도 있지만, 바위의 질이나 바위의 분포상태에 따라서는 터널 파기가 불가능하게 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이러한 경우에는, 잠수부가 선체의 외판에 매다는 기구를 수중 전기 용접으로 장착하거나, 외판에 구멍을 뚫거나 하여 인양와이어를 장착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작업은 어려움이 많고, 또, 인양와이어 말단의 고정 강도나 선체의 잔존 강도가 불충분한 경우에는 선체를 수중 절단하여 인양 하중을 저감하고, 인양 회수를 증가시킴으로써 대처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와 같이 바닥질은 작업 공사 기간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6) 파랑(波浪) 높이에 관한 문제
파랑 높이에 대한 잠수 중지 기준은, 일반적으로 약 1.5m이다. 이것은 잠수부가 작업 모선과 수중과의 사이를 안전하게 승강할 수 있는 한계이다. 이로 인하여, 거친 날씨의 해역에서의 잠수 가동율은 낮아진다. 이와 같이, 파랑 높이는 작업 공사 기간을 크게 좌우하는 요소로 알려져 있다.
(7) 그 외의 문제
침몰선박 등의 인양 작업은 상기한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이며, 또 기상(氣象)이나 해상(海象)의 변화에 따라 상기한 요소들도 그 영향 정도가 변화되고, 이 때문에 작업 공사 기간이 길어지거나, 작업 도중에 인양 불가능 사태에 이르는 경우도 있다. 그 결과, 침몰선박 등이 장기간에 걸쳐 방치되게 된다. 또, 선체 상황이 해상 등의 영향으로 악화되어, 연료유, 위험물, 독물, 방사성 물질 등의 유출에 의한 환경 오염의 문제가 야기되는 경우도 적지 않은 것이다.
이에 종래 잠수부가 작업할 수 없는 심해나 기타 작업 환경에서 침몰선박을 인양와이어(혹은, 인양케이블)를 이용하여 인양하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기도 하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30186호(2006.11.3. 공고)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31947호(2006.11.28. 공고)에는 인양와이어를 이용한 인용방법이 아닌 부력을 이용한 선체 인양장치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31947호에 개시된 선체인양용 부력발생장치는 해저에 침몰된 선박(10)에 부력을 제공하여 인양하는 장치로써, 내부가 밀폐된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수중의 수압을 견딜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부력을 형성할 수 있는 콘테이너(20)를 갖추고 있다.
상기 콘테이너(20)는 침몰된 선박(10)의 해상에서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콘테이너(20)에는 일방향으로만 유체를 공급하는 체크밸브(22)가 일체로 설치된 주입구(24)와 배출구(26)가 구비되어 있다.
특히, 상기 콘테이너(20)의 내부에는 압축공기가 수용된 공기통(50)과, 상기 공기통(50)과 연결된 팽창튜브(6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공기통(50)으로는 불활성기체 또는 압축공기가 수용되어 있으며, 공기통(50)에 일체로 형성된 취출구(52)는 팽창튜브(60)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콘테이너(20)의 저면으로는 인양되는 선박(10)의 하중 및 수압을 충분히 결딜 수 있는 강도를 가지고 있는 인양와이어(30)가 다수개로 설치된 후 그 말단을 묶거나 개별적으로 연장시키고, 그 말단이 침몰된 선박(10)에 걸리도록 하는 걸림고리(40)와 결합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콘테이너(20)의 상면으로는 견인와이어(45)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견인와이어(45)는 수면위에 떠 있는 인양선(70)과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인양선(70)은 수면 위에서 콘테이너(20)에 압축공기를 공급하거나, 해수를 공급 및 토출시켜 콘테이너(20)에 부력을 공급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장비들이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인양선(70)에는 구동펌프(80)가 두개 이상으로 설치되어 있고, 고압의 압축공기를 발생시키는 콤프레샤(82)가 두개 이상 구비되어 있으며, 콘테이너(20) 내부의 해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펌프(9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동펌프(80)는 해수를 펌핑한 후 콤프레샤(82a)에 의해서 토출되는 해수를 고압으로 콘테이너(20)에 공급하고, 다른 콤프레샤(82b)는 고압의 압축공기를 발생시키며, 상기 배출펌프(90)는 팽창튜브(60)의 배출구(26)에 연결되어 콘테이너(20) 내에 수용된 해수를 배출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선체인양용 부력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선박을 인양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인양선(70)으로부터 콘테이너(20)를 해수면에 부유시키고, 이때 부유되는 콘테이너(20)는 침몰된 선박(1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며, 별도의 파이프(46)를 콘테이너(20)의 주입구(24)와 배출구(26)에 연결시킨다.
상기 콘테이너(20)를 수중으로 투입하기 위하여 인양선(70)에 구비된 구동펌프(80)를 가동시켜 해수를 펌핑한 후 콤프레샤(82a)를 통해 해수를 고압으로 콘테이너(20)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콘테이너(20)는 해수의 유입에 따라 수중으로 가라 않고, 이때 상기 구동펌프(80)의 작동을 중지시킨 후 견인와이어(45)의 장력을 조절하여 콘테이너(20)의 투입 깊이를 조절한다.
이렇게 투입된 콘테이너(20)가 선박(1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면, 잠수부 등 인력에 의해서 걸림고리(40)를 선박(10)에 체결한다.
그리고, 체결이 끝난 다음에는 배출펌프(90)를 가동시켜 콘테이너(20)의 배출구(26)를 통해 해수를 배출시킨다.
상기와 같이 해수가 배출되면, 콘테이너(20) 내부는 진공 상태가 유지되고, 이 진공상태의 콘테이너(20) 내부에 고압의 압축공기를 콤프레샤(82b)를 통해 공급한다.
이때, 콘테이너(20) 내부는 부력이 유지되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압축공기로 충만하게 되고, 더 이상 해수가 배출되지 않으면 배출펌프(90)의 가동을 중단시켜 고압의 압축공기를 콘테이너(20) 내부에 저장시킨다.
상기 콘테이너(20) 내부에 저장된 압축공기는 콘테이너(20)에 부력을 유도하고, 이 부력은 콘테이너(20)를 상승시킨다.
이렇게 상승된 콘테이너(20)는 걸림고리(40)와 체결된 선박(10)을 부유시키고, 이때 견인와이어(45)를 작동시키면 선박(10)은 손쉽게 수면 위로 상승되어 인양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선체인양용 부력발생장치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잠수부 등 인력에 의해서 걸림고리(40)를 선박(10)에 체결하기 위한 사전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에 잠수부가 작업할 수 없는 심해와 같은 환경에서는 적용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고, 인양과정에서 걸림고리(40)와 인양와이어(30)에서 선박의 하중을 분산시킨다고 하더라도 대형 선박 등을 인양할 때 걸림고리(40)와 인양와이어(30)에 연결되는 선박(10)의 연결부에서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조건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며, 인양과정에서 선박(10)의 균형을 잡는데 어려움이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특허등록 10-1551888호에 의하여 아래와 같은 인양 장치 및 인양 방법을 발명하였다.
도 2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침몰선박 인양장치(100)는, 부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중공 구조를 갖는 다수의 부력탱크(110)와, 상기 다수의 부력탱크(110)들을 일렬로 연결하여 부력탱크(110)들을 필요로 하는 간격으로 조절 가능하게 배열시키면서 침몰선박(300)의 하부쪽 전체를 감쌀 수 있는 인양와이어(120)와, 상기 인양와이어(120)의 양단을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엇갈리게 끼워서 일방향으로만 조여들도록 인양와이어(120)를 고정하는 와이어고정기(1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부력탱크(110)는 내부가 완전하게 빈 중공체로써, 부력탱크(110)의 하단 외주면 일측에 와이어연결공(111)이 마련되고, 부력탱크(110)의 내부로 부력 발생용 기체를 주입할 수 있는 기체주입구(112)와, 부력탱크(110)가 물 속에 잠길 수 있게 물을 공급하거나 부력 발생을 위해 내부의 물을 배출할 수 있는 물유출입공(113)이 각각 구비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부력탱크(110)의 기체주입구(112)에는 인양선(200)의 기체공급펌프(210)로부터 부력 발생용 기체를 주입받을 수 있도록 기체주입호스(211)가 관통 연결되고, 상기 물유출입공(113)에는 인양선(200)의 물유출입펌프(220)로부터 물을 공급받거나 배출할 수 있도록 물유출입호스(221)가 관통 연결되게 된다.
이때, 상기 부력탱크(110) 내부로 관통 연결되는 물유출입호스(221)의 끝단은 부력탱크(110)의 하단면에 거의 근접하게 배치됨으로써, 부력탱크(110)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할 때, 최대한 끝까지 배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부력탱크(110)의 하단에 구비되는 와이어연결공(111)은 부력탱크(110)의 무게 중심을 이루는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부력탱크(110)에 부력을 선택적으로 발생시키기 위해서 수면위에 인양선(200)이 구비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양선(200)은 수면 위에서 부력탱크(110)에 부력발생용 기체를 공급하거나, 부력탱크(110) 내에 물(혹은, 해수)을 주입 및 배출시켜 부력탱크(110)의 침강 및 부력발생을 위한 사전 준비 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여러가지 장비들이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인양선(200)에는 각 부력탱크(110)에 연결되는 기체공급호스(211) 및 물유출입호스(221)와 일대일 방식으로 연결되어 부력발생용 기체 공급을 위한 기체공급펌프(210)와, 물의 주입 및 배출을 위한 물유출입펌프(220)가 다수개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부력발생용 기체로는 공기(혹은, 압축공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더욱 큰 부력발생을 위해 비중이 작은 수소, 헬륨과 같은 가벼운 기체를 이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인양선(200)은 후술하는 침몰선박(300) 인양과정에서 인양와이어(120)의 양단을 강제로 당길 수 있는 와이어윈치장치와 같은 장비를 갖추고 있다.
상기 와이어고정기(130)는 인양와이어를 당겨서 조일 때 일방향으로만 당겨지면서 한번 조여진 인양와이어가 느슨하지 않게 고정될 수 있도록 조여주는 장치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고정기(130)는 인양와이어(120)의 양단을 서로 대향되게 엇갈리게 끼워서 고정할 수 있는 복수의 와이어고정부(131)를 갖추고 있다.
상기 와이어고정부(131)는 외관 몸체를 형성하는 고정부몸체(132)와, 고정부몸체(132) 내부에 삽입되는 와이어조임구(135) 및 탄성부재(136)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고정부몸체(132)는 인양와이어(120)가 삽입되는 와이어삽입구(133)쪽에서 인양와이어(120)가 빠져나가는 와이어출구(134) 방향쪽으로 직경이 점차적으로 확대되는 구조의 경사노즐부(132b) 및 이 경사노즐부(132b)의 끝단에서 동일 직경으로 와이어출구(134)까지 연장되는 수평몸통부(132a)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조임구(135)는 인양와이어(120)가 일방향으로만 당겨지게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부위로써, 고정부몸체(132)의 경사노즐부(132b)측에 밀착되게 삽입 배치되어 인양와이어(120)가 관통 삽입된 상태에서 인양와이어(120)의 이동방향에 따라 벌어지고 조여지는 분할판 구조를 갖고 있다.
상기 와이어조임구(135)는 인양와이어(120)가 와이어출구(133) 방향으로 당겨지는 과정에서 와이어출구(133)쪽으로 힘을 받아 고정부몸체(132)의 수평몸통부(132a)를 따라 밀리면서 분할판 구조로 인해 벌어지게 되고, 이렇게 와이어조임구(135)가 분할판 구조로 인해 벌어짐에 따라 인양와이어(120)는 와이어출구(134)쪽으로 쉽게 당겨지게 된다.
반대로, 인양와이어(120)가 와이어삽입구(133) 방향으로 당겨질 경우에는 와이어조임부(135)가 경사노즐부(132b)의 와이어삽입구(133) 방향으로 힘을 받아 이동되는 과정에서 직경이 점차적으로 좁아지기 때문에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고 인양와이어(120)를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136)는 와이어조임구(135)의 일측에 연결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부위로써, 상기 와이어조임구(135)의 일측을 지지하는 상태로 고정부몸체(132)의 수평몸통부(132a)측에 삽입 배치된다.
상기 탄성부재(136)는 인양와이어(120)가 와이어출구(133) 방향으로 당겨지는 과정에서 와이어조임구(135)가 고정부몸체(132)의 수평몸통부(132a)를 따라 와이어출구(134)쪽으로 밀릴 때 힘을 받아 탄성 압착되었다가 인양와이어(120)를 당기는 힘이 해제되면, 탄성부재(13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와이어조임구(135)를 와이어삽입구(133)방향으로 밀어서 와이어조임구(135)가 경사노즐부(132b)의 좁아지는 직경에 의해 조여짐에 따라 인양와이어(120)를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복수의 와이어고정부(131)는 와이어고정기(130)내에 서로 나란하게 대향되는 반대구조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인양와이어(120)의 양단을 와이어고정기(130)의 와이어고정부(131)에 조립할 때에는 인양와이어(120)의 양단이 각각 와이어고정부(131)의 와이어삽입구(132)를 통해서 와이어출구(133) 방향으로 끼워서 서로 엇갈리도록 조립함으로써, 일방향으로만 당겨지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와이어고정기(130)를 사용하게 되면, 침몰선박(300) 인양과정에서 본 발명에 따라 인양와이어(120)를 당겨서 부력탱크(110)들과 인양와이어(120)를 침몰선박(300)의 선체에 밀착 고정시키는 조임 작업을 수행하게 될 때, 인양와이어(120)는 항상 일방향으로만 당겨지고, 반대 방향으로 인양와이어(120)가 당겨지지 않게 됨은 물론, 한번 당겨 조여진 인양와이어(120)는 느슨하지 않게 고정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양선(200)에서 침몰선박(300) 주위를 포위하는 형태로 본 발명에 따른 인양와이어(120)에 의해 일렬로 연결된 다수의 부력탱크(110)를 투입하여 침강시키게 된다.
즉, 각 부력탱크(110)의 침강 작업은 인양선(200)에 배치된 물유출입펌프(220)와 각 부력탱크(110)들에 연결된 물유출입호스(221)를 이용하여 각 부력탱크(110) 내부로 물(즉, 해수)을 주입함으로써, 부력탱크(110)의 자체 자중에 의해 쉽게 물속으로 가라 앉힐 수 있게 되면서 각 부력탱크(110)가 침몰선박(300) 주위를 포위하는 형태로 바닥면(혹은, 해저면)으로 침강되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부력탱크(110)를 침몰선박(300)의 주위에 포위하는 형태로 투입할 때, 각 부력탱크(110) 간의 간격 등은 침몰선박(300)의 규모 및 침몰선박(300)의 무게 중심 등에 의해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는바, 통상 선박의 선단보다는 선박의 중앙쪽과 선박 후단쪽의 무게가 무거울 뿐만 아니라 선박의 중앙 부위에서 후단 쪽으로 치우쳐 선박의 무게 중심이 위치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선박의 중앙 및 후단 부위에 선박의 선단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보다 많은 부력탱크(110)가 촘촘하게 배치되도록 해야 함은 당연하다.
이를 위해, 상기 부력탱크(110)를 투입하는 과정에서 인양와이어(120)를 따라 부력탱크(110)가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부력탱크(110)간의 간격을 조절하고자 하는 부력탱크(110)를 중심으로 침강속도를 상대적으로 떨어뜨리거나 부력탱크(110)의 침강이 완료된 상태에서도 간격 조절이 필요한 부력탱크(110)를 중심으로 부력이 발생하도록 조절하는 방식 등을 통해서 인양와이어(120)에 연결된 주위의 다른 부력탱크(110)와 간격을 자연스럽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인양선(200)에서는 각 부력탱크(110)의 침강 위치를 초음파탐지기와 같은 탐지 장치를 통해서 지속적으로 파악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이 부력탱크(110)의 투입작업이 완료되면, 침몰선박(300) 인양을 위한 부력탱크(110) 및 인양와이어(120)를 침몰선박(300)의 선체에 밀착 고정하는 선박인양 고정단계를 진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 발명의 경우에도 부력탱크(110)를 인양와이어(120)에 끼워 균등하게 각 지점에 정치시키려고 할 경우에 하나하나 배치는 될 수 있으나, 현실적으로 배치시킬 수 있는 시간차가 1~2일 정도 차가 있기 때문에, 이 때 해상의 조류 때문에 상기 부력탱크(110)가 상기 인양와이어(120)에 장착될 여유도 없이 조류에 휩쓸려 현실적으로 작업을 할 수 있는 여건이 제공될 수 없었고, 이러한 구조로는 인양작업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침몰선박 인양방법 및 인양장치의 문제점을 보완 개선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써, 본 발명은 부력을 이용한 방식을 채택하되, 선박의 저면에서 둘러싼 둥근 인양와이어에 별도로 등간격으로 수직 인양와이어를 설치하여 상기 수직 인양와이어에 부력장치를 별도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심해나 기타 잠수부가 작업하기 어려운 환경 하에서도 침몰선박의 인양작업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대형 선박이라고 하더라도 비용적으로 매우 경제적이면서 인양시간을 최대한 단축시킬 수 있고, 인양과정에서 침몰선박의 수평 균형을 잡으면서 안정적인 상태로 인양할 수 있는 침몰선박 인양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발명은 침몰선박(300)을 부력을 이용하여 인양할 수 있는 침몰선박 인양장치(100)로서, 부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중공 구조를 갖는 다수의 부력탱크(110)와, 상기 부력탱크(110)들을 필요로 하는 간격으로 배열시키면서 침몰선박(300)의 하부쪽 전체를 감쌀 수 있는 인양와이어(120)와, 상기 인양와이어(120)의 양단을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엇갈리게 끼워서 일방향으로만 당겨지게 조여주어 인양와이어(120)를 고정하는 와이어고정기(130)를 포함하는 침몰선박 인양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양와이어(120)에 등간격으로 수직인양와이어(120a)가 형성되고, 상기 부력탱크(110)의 일측에 수직인양와이어(120a)의 일방향으로 하강하도록 유도하는 인양하강기구틀(500)이 형성되며, 상기 인양하강기구틀(500)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와이어고정부(631)는 외관 몸체를 형성하는 고정부몸체(632)와, 고정부몸체(632) 내부에 삽입되는 와이어조임구(635) 및 탄성부재(636)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고정부몸체(632)는 수직인양와이어(120a)가 삽입되는 와이어삽입구(633)쪽에서 수직인양와이어(120a)가 빠져나가는 와이어출구(634) 방향쪽으로 직경이 점차적으로 확대되는 구조의 경사노즐부(632b) 및 이 경사노즐부(632b)의 끝단에서 동일 직경으로 와이어출구(634)까지 연장되는 수평몸통부(632a)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와이어조임구(635)는 수직인양와이어(120a)가 일방향으로만 당겨지게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부위로써, 고정부몸체(632)의 경사노즐부(632b)측에 밀착되게 삽입 배치되어 수직인양와이어(120a)가 관통 삽입된 상태에서 수직인양와이어(120a)의 이동방향에 따라 벌어지고 조여지는 좌우측 분할판(635a,635b)과, 이 좌우측 분할판(635a,635b)을 연결하는 연결부재(635c)로 이루어진 분할판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몰선박 인양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인양하강기구틀(500)은 상부캡(510)과 하부캡(520)으로 구분되어 제작되어 체결볼트(530)에 의하여 체결되고, 상기 상부캡(510)의 상부플렌지(511)에는 연결와이어걸이부(513)가 다수 형성되어 부력탱크(110)에 결합 구비된 탱크플렌지(560)에 형성된 연결와이어걸이부(563)와 연결와이어(550)로 연결되며, 상기 상부캡(510)과 하부캡(520)의 상하부에 각각 인장와이어통과공(525)(525)이 형성되어 수직인양와이어(120a)가 관통되어 내부와이어고정부(631)와 함께 일방향으로만 부력탱크(110)가 하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부력탱크(110)에는 그 중앙지점에 관통공이 상하로 형성되고, 이들은 탱크내부파이프(110a)로 상하 용접 고정되어 탱크내부파이프(110a) 내로 수직인양와이어(120a)가 관통되어 인양하강기구틀(500)의 하강과 함께 수직인양와이어(120a)를 따라 부력탱크(110)가 하강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부력탱크(110)는 내부가 완전하게 빈 중공체로써, 부력탱크(110)의 하단 외주면 일측에 와이어연결공(111)이 마련되고, 부력탱크(110)의 내부로 부력발생용 기체를 주입할 수 있는 기체주입구(112)와, 부력탱크(110) 내부로 물을 주입하거나 내부의 물을 배출할 수 있는 물유출입공(113)이 구비되며, 상기 기체주입구(112)에는 인양선(200)의 기체공급펌프(210)로부터 부력발생용 기체를 주입받을 수 있도록 기체주입호스(211)가 관통 연결되고, 상기 물유출입공(113)에는 인양선(200)의 물유출입펌프(220)로부터 물을 주입받거나 배출할 수 있도록 물유출입호스(221)가 관통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부력을 이용한 방식을 채택하되, 선박의 저면에서 둘러싼 둥근 인양와이어에 별도로 등간격으로 수직 인양와이어를 설치하여 상기 수직 인양와이어에 부력장치를 별도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부력탱크들에 연결된 인양와이어가 선체의 하부쪽 전체를 감싼 부력탱크들이 부력에 의해서 부양함에 따라 자연스럽게 침몰선박을 인양할 수 있도록 된 침몰선박 인양방법 및 그 인양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인양와이어에 끼워진 부력탱크에 물과 공기를 목적에 따라 넣거나 뺌으로써 부력탱크를 하부 인양와이어에 설치하기가 용이하고, 해체시에는 인양와이어를 차단시킴으로써 잠수부가 작업하기 어려운 환경 하에서도 침몰선박의 인양작업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대형 선박이라고 하더라도 비용적으로 매우 경제적이면서 인양시간을 최대한 단축시킬 수 있고, 인양과정에서 침몰선박의 수평 균형을 잡으면서 안정적인 상태로 인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력을 이용한 침몰선박 인양장치를 기존의 크레인 방식에 의한 인양와이어로 침몰선박을 들어올리는 방식과 병행시켜 복합적으로 적용할 경우에는 대형 크레인 장비를 동원하지 않더라도 대형의 침몰선박을 보다 용이하게 인양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31947호에 개시된 선체인양용 부력발생장치의 콘테이너가 선박에 체결된 설치 상태도.
도 2는 본 선출원발명에 따른 침몰선박 인양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설명도.
도 3은 본 선출원발명에 따른 침몰선박 인양장치의 부력탱크가 인양선과 연결되어 부력을 발생시키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구성도.
도 4는 본 선출원발명에 따른 침몰선박 인양장치의 와이어고정기 내 와이어고정부에 인양와이어의 양단이 각각 대향되게 끼움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5는 본 선출원발명에 따른 침몰선박 인양장치의 와이어고정기 내에 구비된 와이어고정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본 선출원발명에 따른 침몰선박 인양방법 중 부력탱크 투입단계로써, 다수의 부력탱크가 인양와이어에 의해 서로 연결된 상태로 인양선으로부터 물 속으로 투입 침강시켜 침몰선박 주위를 포위한 형태로 배열되는 상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선출원발명에 따른 침몰선박 인양방법 중 부력탱크 투입단계를 통해서 침몰선박 주위로 포위한 형태로 투입된 인양와이어와 부력탱크들의 배열 상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
도 8은 본 선출원발명에 따른 침몰선박 인양방법 중 선박인양 준비단계로써, 인양선에서 인양와이어의 양단을 당겨서 조여줌에 따라 침몰선박의 선체 하부쪽으로 인양와이어와 부력탱크들이 밀착 고정되는 상태를 침몰선박의 저면쪽에서 바라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침몰선박 인양장치의 전체적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침몰선박 인양장치의 인양하강기구틀의 개략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침몰선박 인양장치의 인양하강기구틀 내의 상부캡(510)과 하부캡(520)의 개략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침몰선박 인양장치의 설치방법의 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침몰선박 인양장치의 설치방법의 또 다른 예시도
도 14(a)(b)는 본 발명에 따른 침몰선박 인양장치의 인양와이어를 설치하는 방법의 상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침몰선박 인양장치의 설치방법의 또 다른 예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침몰선박 인양방법의 예시도
도 2는 본 선출원발명에 따른 침몰선박 인양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설명도.
도 3은 본 선출원발명에 따른 침몰선박 인양장치의 부력탱크가 인양선과 연결되어 부력을 발생시키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구성도.
도 4는 본 선출원발명에 따른 침몰선박 인양장치의 와이어고정기 내 와이어고정부에 인양와이어의 양단이 각각 대향되게 끼움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5는 본 선출원발명에 따른 침몰선박 인양장치의 와이어고정기 내에 구비된 와이어고정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본 선출원발명에 따른 침몰선박 인양방법 중 부력탱크 투입단계로써, 다수의 부력탱크가 인양와이어에 의해 서로 연결된 상태로 인양선으로부터 물 속으로 투입 침강시켜 침몰선박 주위를 포위한 형태로 배열되는 상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선출원발명에 따른 침몰선박 인양방법 중 부력탱크 투입단계를 통해서 침몰선박 주위로 포위한 형태로 투입된 인양와이어와 부력탱크들의 배열 상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
도 8은 본 선출원발명에 따른 침몰선박 인양방법 중 선박인양 준비단계로써, 인양선에서 인양와이어의 양단을 당겨서 조여줌에 따라 침몰선박의 선체 하부쪽으로 인양와이어와 부력탱크들이 밀착 고정되는 상태를 침몰선박의 저면쪽에서 바라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침몰선박 인양장치의 전체적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침몰선박 인양장치의 인양하강기구틀의 개략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침몰선박 인양장치의 인양하강기구틀 내의 상부캡(510)과 하부캡(520)의 개략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침몰선박 인양장치의 설치방법의 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침몰선박 인양장치의 설치방법의 또 다른 예시도
도 14(a)(b)는 본 발명에 따른 침몰선박 인양장치의 인양와이어를 설치하는 방법의 상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침몰선박 인양장치의 설치방법의 또 다른 예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침몰선박 인양방법의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될 수 있으며, 도면에 병기된 도면부호에 따라 부여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침몰선박 인양장치의 전체적인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침몰선박 인양장치의 인양하강기구틀의 개략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침몰선박 인양장치의 인양하강기구틀 내의 상부캡(510)과 하부캡(520)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침몰선박 인양장치의 설치방법의 상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침몰선박 인양장치의 설치방법의 또 다른 예시도이고, 도 14(a)(b)는 본 발명에 따른 침몰선박 인양장치의 인양와이어를 설치하는 방법의 상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침몰선박 인양장치의 설치방법의 또 다른 예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침몰선박 인양방법의 예시도이다.
도 2,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자의 선출원에 기재된 침몰선박 인양장치(100)는, 부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중공 구조를 갖는 다수의 부력탱크(110)와, 상기 다수의 부력탱크(110)들을 필요로 하는 간격으로 조절 가능하게 배열시키면서 침몰선박(300)의 하부쪽 전체를 감쌀 수 있는 인양와이어(120)와, 상기 인양와이어(120)의 양단을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엇갈리게 끼워서 일방향으로만 조여들도록 인양와이어(120)를 고정하는 와이어고정기(1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부력탱크(110)는 내부가 완전하게 빈 중공체로써, 부력탱크(110)의 하단 외주면 일측에 탱크플렌지(560)이 마련되고, 부력탱크(110)의 내부로 부력 발생용 기체를 주입할 수 있는 기체주입구(112)와, 부력탱크(110)가 물 속에 잠길 수 있게 물을 공급하거나 부력 발생을 위해 내부의 물을 배출할 수 있는 물유출입공(113)이 각각 구비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부력탱크(110)의 기체주입구(112)에는 인양선(200)의 기체공급펌프(210)로부터 부력 발생용 기체를 주입받을 수 있도록 기체주입호스(211)가 관통 연결되고, 상기 물유출입공(113)에는 인양선(200)의 물유출입펌프(220)로부터 물을 공급받거나 배출할 수 있도록 물유출입호스(221)가 관통 연결되게 된다.
이때, 상기 부력탱크(110) 내부로 관통 연결되는 물유출입호스(221)의 끝단은 부력탱크(110)의 하단면에 거의 근접하게 배치됨으로써, 부력탱크(110)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할 때, 최대한 끝까지 배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부력탱크(110)는 외형적으로 상부쪽이 하부쪽보다 넓은 곡면을 갖는 원통형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상기와 같은 원통형 구조로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다.
이처럼, 상기 부력탱크(110)의 형태를 상부쪽이 하부쪽보다 넓은 곡면을 갖는 원통형 구조로 형성하는 이유는, 부력탱크(110) 내부로 물을 주입하여 물 속에 잠기도록 한 상태에서 부력을 발생하기 위해 부력탱크(110) 내부의 물을 배출할 때 부력탱크(110) 내부의 물이 하부쪽으로 모아지는 형태를 취함으로써, 물의 배출을 끝까지 최대한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함과 아울러, 선박의 형태가 선상에서 선체 하단으로 경사진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후술하는 인양 과정에서 부력탱크(110)가 침몰선박(300)의 선체 주변에 밀착될 때 선체의 경사면을 따라 용이하게 밀착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부력탱크(110)는 심해와 같은 깊은 해저의 수압으로부터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갖도록 금속재나 기타 특수재질로 제작됨은 당연하며, 부력탱크(110)의 규격은 침몰선박(300)의 규모 등을 감안하여 인양 작업시 요구되는 부력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규격으로 설계 제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부력탱크(110)의 하단에 구비되는 탱크플렌지(560)는 부력탱크(110)의 무게 중심을 이루는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후술되는 인양하강기구틀(500)과 연결되어 바다 하부로 내려간다.
상기 인양하강기구틀(500)은 상부캡(510)과 하부캡(520)으로 구분되어 제작되며, 상기 상부캡(510)과 하부캡(520)은 상하부플렌지(511)(521)에 형성된 볼트공(531)으로 체결볼트(530)에 의하여 체결되고, 상기 상부플렌지(511)에는 연결와이어걸이부(513)가 다수 형성되어 탱크플렌지(560)에 형성된 연결와이어걸이부(563)와 연결와이어(550)로 연결되어 이들이 함께 하강되며, 또한 상기 상부캡(510)과 하부캡(520)의 상하부에 각각 인장와이어통과공(525)(525)이 형성되어 수직인양와이어(120a)가 관통되어 내부와이어고정부(631)와 함께 일방향으로만 하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부력탱크(110)에는 그 중앙지점에 관통공이 상하로 형성되고, 이들은 탱크내부파이프(110a)로 상하 용접고정되어 상기 탱크내부파이프(110a) 내로 상기 수직인양와이어(120a)가 관통되어 상기 인양하강기구틀(500)의 하강과 함께 수직인양와이어(120a)를 따라 상기 부력탱크(110)가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인양하강기구틀(500)의 내부에는 내부와이어고정부(631)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내부와이어고정부(631)는 외관 몸체를 형성하는 고정부몸체(632)와, 고정부몸체(632) 내부에 삽입되는 와이어조임구(635) 및 탄성부재(636)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고정부몸체(632)는 수직인양와이어(120a)가 삽입되는 와이어삽입구(633)쪽에서 수직인양와이어(120a)가 빠져나가는 와이어출구(634) 방향쪽으로 직경이 점차적으로 확대되는 구조의 경사노즐부(632b) 및 이 경사노즐부(632b)의 끝단에서 동일 직경으로 와이어출구(634)까지 연장되는 수평몸통부(632a)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조임구(635)는 수직인양와이어(120a)가 일방향으로만 당겨지게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부위로써, 고정부몸체(632)의 경사노즐부(632b)측에 밀착되게 삽입 배치되어 수직인양와이어(120a)가 관통 삽입된 상태에서 수직인양와이어(120a)의 이동방향에 따라 벌어지고 조여지는 좌우측 분할판(635a, 635b)과, 이 좌우측 분할판(635a, 635b)의 일측 끝단에 형성된 홈 부위에 끼워서 연결하는 연결부재(635c)로 이루어진 분할판 구조를 갖고 있다.
상기 와이어조임구(635)는 수직인양와이어(120a)가 와이어출구(633) 방향으로 당겨지는 과정에서 와이어출구(633)쪽으로 힘을 받아 고정부몸체(632)의 수평몸통부(632a)를 따라 밀리면서 좌우측 분할판(635a, 635b)이 분할판 구조로 인해 벌어지게 되고, 이렇게 와이어조임구(635)가 분할판 구조로 인해 벌어짐에 따라 수직인양와이어(120a)는 와이어출구(634)쪽으로 쉽게 당겨지게 된다.
반대로, 상기 수직인양와이어(120a)가 와이어삽입구(633) 방향으로 당겨질 경우에는 와이어조임구(635)가 경사노즐부(632b)의 와이어삽입구(633) 방향으로 힘을 받아 이동되는 과정에서 직경이 점차적으로 좁아지기 때문에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고 수직인양와이어(120a)를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636)는 와이어조임구(635)의 일측에 연결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부위로써, 상기 와이어조임구(635)의 일측을 지지하는 상태로 고정부몸체(632)의 수평몸통부(632a)측에 삽입 배치된다.
상기 탄성부재(636)는 수직인양와이어(120a)가 와이어출구(633) 방향으로 당겨지는 과정에서 와이어조임구(635)가 고정부몸체(632)의 수평몸통부(632a)를 따라 와이어출구(634)쪽으로 밀릴 때 힘을 받아 탄성 압착되었다가 수직인양와이어(120a)를 당기는 힘이 해제되면, 탄성부재(63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와이어조임구(635)를 와이어삽입구(633)방향으로 밀어서 와이어조임구(635)가 경사노즐부(632b)의 좁아지는 직경에 의해 조여짐에 따라 수직인양와이어(120a)를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인양방법에 적용되는 중복적인 기술적 내용은 본 선출원 발명의 내용을 그대로 원용하여 설명한다.
상기 인양선(200)은 후술하는 침몰선박(300) 인양과정에서 인양와이어(120)의 양단을 강제로 당길 수 있는 와이어윈치장치(230)와 같은 장비를 갖추고 있다.
이처럼, 상기 인양선(200)은 침몰선박(300) 인양과정에서 이루어지는 각종 작업을 컨트롤할 수 있는 모선으로써, 침몰선박(300)의 규모 등을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박이 동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침몰선박(300)의 규모가 대형 선박이라서 투입되는 부력탱크(110)의 수가 수십 개에 이루는 경우에 주 인양선과 다수의 보조 인양선을 동원하여 각 부력탱크(110)에 연결되는 기체공급호스(211) 및 물유출입호스(221)를 주 인양선과 보조 인양선에 고르게 분산 배치하여 부력발생 작업을 개별 제어 및 통합 제어를 실시할 수 있도록 시스템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때, 주 인양선에서 인양작업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도록 함은 당연하다.
상기 와이어고정기(130)는 인양와이어를 당겨서 조일 때 일방향으로만 당겨지면서 한번 조여진 인양와이어가 느슨하지 않게 고정될 수 있도록 조여주는 장치이다.
본 선출원에 기재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고정기(130)는 인양와이어(120)의 양단을 서로 대향되게 엇갈리게 끼워서 고정할 수 있는 복수의 와이어고정부(131)를 갖추고 있다.
상기 와이어고정부(131)는 외관 몸체를 형성하는 고정부몸체(132)와, 고정부몸체(132) 내부에 삽입되는 와이어조임구(135) 및 탄성부재(136)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고정부몸체(132)는 인양와이어(120)가 삽입되는 와이어삽입구(133)쪽에서 인양와이어(120)가 빠져나가는 와이어출구(134) 방향쪽으로 직경이 점차적으로 확대되는 구조의 경사노즐부(132b) 및 이 경사노즐부(132b)의 끝단에서 동일 직경으로 와이어출구(134)까지 연장되는 수평몸통부(132a)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조임구(135)는 인양와이어(120)가 일방향으로만 당겨지게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부위로써, 고정부몸체(132)의 경사노즐부(132b)측에 밀착되게 삽입 배치되어 인양와이어(120)가 관통 삽입된 상태에서 인양와이어(120)의 이동방향에 따라 벌어지고 조여지는 분할판 구조를 갖고 있다.
상기 와이어조임구(135)는 인양와이어(120)가 와이어출구(133) 방향으로 당겨지는 과정에서 와이어출구(133)쪽으로 힘을 받아 고정부몸체(132)의 수평몸통부(132a)를 따라 밀리면서 분할판 구조로 인해 벌어지게 되고, 이렇게 와이어조임구(135)가 분할판 구조로 인해 벌어짐에 따라 인양와이어(120)는 와이어출구(134)쪽으로 쉽게 당겨지게 된다.
반대로, 인양와이어(120)가 와이어삽입구(133) 방향으로 당겨질 경우에는 와이어조임구(135)가 경사노즐부(132b)의 와이어삽입구(133) 방향으로 힘을 받아 이동되는 과정에서 직경이 점차적으로 좁아지기 때문에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고 인양와이어(120)를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136)는 와이어조임구(135)의 일측에 연결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부위로써, 상기 와이어조임구(135)의 일측을 지지하는 상태로 고정부몸체(132)의 수평몸통부(132a)측에 삽입 배치된다.
상기 탄성부재(136)는 인양와이어(120)가 와이어출구(133) 방향으로 당겨지는 과정에서 와이어조임구(135)가 고정부몸체(132)의 수평몸통부(132a)를 따라 와이어출구(134)쪽으로 밀릴 때 힘을 받아 탄성 압착되었다가 인양와이어(120)를 당기는 힘이 해제되면, 탄성부재(13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와이어조임구(135)를 와이어삽입구(133)방향으로 밀어서 와이어조임구(135)가 경사노즐부(132b)의 좁아지는 직경에 의해 조여짐에 따라 인양와이어(120)를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복수의 와이어고정부(131)는 와이어고정기(130)내에 서로 나란하게 대향되는 반대구조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인양와이어(120)의 양단을 와이어고정기(130)의 와이어고정부(131)에 조립할 때에는 인양와이어(120)의 양단이 각각 와이어고정부(131)의 와이어삽입구(132)를 통해서 와이어출구(133) 방향으로 끼워서 서로 엇갈리도록 조립함으로써, 일방향으만 당겨지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와이어고정기(130)를 사용하게 되면, 침몰선박(300) 인양과정에서 본 발명에 따라 인양와이어(120)를 당겨서 인양와이어(120)를 침몰선박(300)의 선체에 밀착 고정시키는 조임 작업을 수행하게 될 때, 인양와이어(120)는 항상 일방향으로만 당겨지고, 반대 방향으로 인양와이어(120)가 당겨지지 않게 됨은 물론, 한번 당겨 조여진 인양와이어(120)는 느슨하지 않게 고정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부력탱크(110)를 투입하는 과정에서 수직인양와이어(120a)를 따라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수개의 부력탱크(110)가 수평으로 하강 가능하기 때문에 부력탱크(110)간의 간격을 조절하여 인양할 수 있으며,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 부력탱크(110)를 투입하는 과정에서 수직인양와이어(120a)를 따라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수개의 부력탱크(110)가 1열로 하강 가능하기 때문에 부력탱크(110)간의 간격을 조절하고자 하는 부력탱크(110)를 중심으로 침강속도 등은 인양선(200)에서 각 부력탱크(110)의 침강 위치를 초음파탐지기와 같은 탐지 장치를 통해서 지속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침몰선박 인양장치의 설치방법과 같이 하나의 방법의로 할 수도 있고, 도 13에서와 같이 침몰선박 인양장치의 설치방법을 중앙으로 관통하는 방법을 상황에 따라 병행하는 방법이 있는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침몰선박 인양장치의 설치방법의 또 다른 예시도로서, 선박(s)의 상부에 인양와이어(570)를 연결하고, 상기 인양와이어(570)에 중간 중간 인양와이어(570a)를 연결하고, 이를 선박고리(570b)에 연결하여 상기 수직인양와이어(120a)에 이 건 발명의 장치를 그대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침몰선박 인양장치를 적용하여 침몰선박을 인양하는 방법에 대해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선박인양 인양와이어 고정단계
첫 단계로써, 선박인양 인양와이어 고정단계는 침몰선박(300) 인양을 위해서 인양와이어(120)를 침몰선박(300)의 선체에 밀착 고정시키는 단계이다.
이를 위해, 도 14(a)(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먼저 인양선(200)에서는 인양와이어(120)의 양단에 와이어고정기(130)를 끼워서 장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인양선(200)에서 와이어윈치장치(230)를 이용하여 인양와이어(120)의 양단을 강제로 당겨 조여줌에 따라 인양와이어(120)에 연결된 와이어고정기(130)가 침몰선박(300)의 선체쪽으로 당겨지게 된다.
삭제
특히, 상기 인양선(200) 상에서 인양와이어(120)의 양단에 끼워진 와이어고정기(130)는 인양와이어(120)가 당겨지는 과정에서 인양와이어(120)가 침몰선박(300)쪽으로 조여져 점차적으로 침몰선박(300)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인양와이어(120)가 올가미 형태를 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인양와이어(120)가 침몰선박(300)의 선체에 밀착 고정되는 선박인양 고정단계가 완료되면, 선반인양의 위한 준비작업의 일환으로 부력탱크(110)를 침몰선박(300)쪽으로 투입하는 부력탱크 투입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2) 부력탱크 투입단계
두 번째 단계로서, 상기 인양선(200)에서 침몰선박(300) 주위를 포위하는 형태로 본 발명에 따른 수직인양와이어(120a)에 의해 등 간격으로 연결된 다수의 부력탱크(110)를 투입하여 침강시키게 된다.
즉, 각 부력탱크(110)의 침강 작업은 상기 부력탱크(110)의 하단에 구비되는 탱크플렌지(560)를 부력탱크(110)의 무게 중심을 이루는 위치에 형성하여 인양하강기구틀(500)과 연결되어 바다 하부로 내려가도록 하는데, 인양선(200)에 배치된 물유출입펌프(220)와 각 부력탱크(110)들에 연결된 물유출입호스(221)를 이용하여 각 부력탱크(110) 내부로 물(즉, 해수)을 주입함으로써, 부력탱크(110)의 자체 자중에 의해 쉽게 물속으로 가라앉힐 수 있게 되면서 각 부력탱크(110)가 침몰선박(300) 주위를 포위하는 형태로 바닥면(혹은, 해저면)으로 침강되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부력탱크(110)를 침몰선박(300)의 주위에 포위하는 형태로 투입할 때, 각 부력탱크(110) 간의 간격 등은 침몰선박(300)의 규모 및 침몰선박(300)의 무게 중심 등에 의해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는바, 통상 선박의 선단보다는 선박의 중앙쪽과 선박 후단쪽의 무게가 무거울 뿐만 아니라 선박의 중앙 부위에서 후단 쪽으로 치우쳐 선박의 무게 중심이 위치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선박의 중앙 및 후단 부위에 선박의 선단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보다 많은 부력탱크(110)가 촘촘하게 배치되도록 해야 함은 당연하다.
이를 위해, 상기 부력탱크(110)를 투입하는 과정에서 수직인양와이어(120a)를 따라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수개의 부력탱크(110)가 수평으로 하강 가능하기 때문에 부력탱크(110)간의 간격을 조절하고자 하는 부력탱크(110)를 중심으로 침강속도를 상대적으로 떨어뜨리거나 부력탱크(110)의 침강이 완료된 상태에서도 간격 조절이 필요한 부력탱크(110)를 중심으로 부력이 발생하도록 조절하는 방식 등을 통해서 수직인양와이어(120a)에 연결된 주위의 다른 부력탱크(110)와 간격을 자연스럽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 부력탱크(110)를 투입하는 과정에서 수직인양와이어(120a)를 따라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수개의 부력탱크(110)가 1열로 하강 가능하기 때문에 부력탱크(110)간의 간격을 조절하고자 하는 부력탱크(110)를 중심으로 침강속도 등은 인양선(200)에서 각 부력탱크(110)의 침강 위치를 초음파탐지기와 같은 탐지 장치를 통해서 지속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부력탱크(110)의 투입작업이 완료되면, 선반인양의 위한 준비작업의 일환으로 침몰선박(300)의 수평 균형을 잡아주는 선박수평 조절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침몰선박(300) 인양을 위한 부력탱크(110)를 이용하여 침몰선박(300)의 선체를 인양할 수 있다.
(3) 선박수평 조절단계
침몰선박(300)은 해저에 침몰될 때 선체가 일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갖게 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와 같이 침몰선박(300)이 일측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그대로 인양하는 것은 인양 과정에서 침몰선박(300)의 무게 중심을 유지하는 데 어려움이 있고, 이렇게 침몰선박(300)의 무게 중심을 안정적으로 유지하지 못하게 되면, 인양 작업 자체가 어렵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침몰선박(300)을 인양하기 위해 사전에 침몰선박(300)의 수평 균형을 잡아 줄 수 있도록 사전 작업을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침몰선박(300)의 기울어진 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수평조절기(도시안됨)를 침몰선박(300)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조절기는 수평 상태를 지속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장비로써, 공지의 장비를 사용하는 것임으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평조절기는 잠수부가 직접 들어갈 수 있는 깊이에 침몰선박(300)이 위치한 경우에는 잠수부가 들어가 침몰선박(300) 상에 장착할 수 있고, 잠수부가 들어갈 수 없는 심해 등과 같은 경우에는 별도의 심해용 특수장비를 이용하여 장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렇게 침몰선박에 수평조절기가 장착되어 인양선(200)에서 침몰선박(300)의 기울기 상태를 파악하게 되면, 인양선(200)에서 침몰선박(300)의 기울진 상태에 맞춰 각 부력탱크(110)의 위치에 따라 부력발생량을 조절하여 침몰선박(300)의 수평 균형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부력탱크(110)의 부력발생량 조절은 각 부력탱크(110) 내부에서 배출하는 물의 배출량과 각 부력탱크(110) 내부에 주입하는 부력발생용 기체의 주입량을 조절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수평조절기를 이용한 부력탱크(110)들의 부력발생량 조절을 통해서 기울어진 침몰선박의 수평 균형이 잡히게 되면, 침몰선박 인양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4) 침몰선박 인양단계
침몰선반 인양단계는 침몰선박을 감싸고 있는 부력탱크들 내에 부력을 발생시킴으로써, 부력탱크들의 부양에 의해 자연스럽게 침몰선박이 인양되게 되는 단계이다.
상기 부력탱크들 내에 부력을 발생시키는 과정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인양선(200)에 배치된 물유출입펌프(220)와 각 부력탱크(110)들에 연결된 물유출입호스(221)를 이용하여 각 부력탱크(110)들 내부의 물을 배출함과 아울러, 인양선(200)에 배치된 기체공급펌프(210)와 각 부력탱크(110)들에 연결된 기체주입호스(211)를 이용하여 부력발생용 기체를 각 부력탱크(110) 내부에 주입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렇게 부력탱크(110)들 내부의 물을 배출함과 아울러 부력발생용 기체가 주입됨에 따라 부력탱크(110)는 기체의 압력에 의해 부력이 생성된다.
이와 같이 부력탱크(110) 내에 부력발생용 기체를 지속적으로 주입하게 되면 점점 부력이 커지게 되고, 모든 부력탱크(110)들의 부력이 침몰선박(300)의 자중보다 커지게 되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몰선박(300)은 수면을 향해 해저로부터 자연스럽게 부상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부력탱크(110)들의 부력에 의해 침몰선박(300)이 부상하는 과정에서 침몰선박(300)의 수평 균형이 무너지게 되면, 이를 수평조절기를 통해서 감지하여 침몰선박(300)의 부상 중에도 상기한 선박수평 조절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인양선(200)에서 부상 중인 침몰선박(300)의 기울기에 따라 수평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방향의 선체가 기울진쪽 및 그 반대편에 위치한 부력탱크(110)들의 부력발생량을 전술한 부력탱크(110) 내부에 물을 주입하거나 부력발생용 기체의 주입량을 조절하는 방법으로 적절하게 조절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력을 이용한 침몰선박 인양장치 및 인양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명확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100 : 침몰선박 인양장치 110 : 부력탱크
111 : 와이어연결공 112 : 기체주입구
113 : 물유출입공 120 : 인양와이어
130 : 와이어고정기 131 : 와이어고정부
132 : 고정부몸체 132a : 수평몸통부
132b : 경사노즐부 133 : 와이어삽입구
134 : 와이어출구 135 : 와이어조임구
136 : 탄성부재 200 : 인양선
210 : 기체공급펌프 211 : 기체주입호스
220 : 물유출입펌프 221 : 물유출입호스
230 : 와이어윈치장치 300 : 침몰선박
500 : 인양하강기구틀 510 : 상부캡
520 : 하부캡 530 : 체결볼트
560 : 탱크플렌지
111 : 와이어연결공 112 : 기체주입구
113 : 물유출입공 120 : 인양와이어
130 : 와이어고정기 131 : 와이어고정부
132 : 고정부몸체 132a : 수평몸통부
132b : 경사노즐부 133 : 와이어삽입구
134 : 와이어출구 135 : 와이어조임구
136 : 탄성부재 200 : 인양선
210 : 기체공급펌프 211 : 기체주입호스
220 : 물유출입펌프 221 : 물유출입호스
230 : 와이어윈치장치 300 : 침몰선박
500 : 인양하강기구틀 510 : 상부캡
520 : 하부캡 530 : 체결볼트
560 : 탱크플렌지
Claims (6)
- 침몰선박(300)을 부력을 이용하여 인양할 수 있는 침몰선박 인양장치(100)로서, 부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중공 구조를 갖는 다수의 부력탱크(110)와, 상기 부력탱크(110)들을 필요로 하는 간격으로 배열시키면서 침몰선박(300)의 하부쪽 전체를 감쌀 수 있는 인양와이어(120)와, 상기 인양와이어(120)의 양단을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엇갈리게 끼워서 일방향으로만 당겨지게 조여주어 인양와이어(120)를 고정하는 와이어고정기(130)를 포함하는 침몰선박 인양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양와이어(120)에 등간격으로 수직인양와이어(120a)가 형성되고, 상기 부력탱크(110)의 일측에 수직인양와이어(120a)의 일방향으로 하강하도록 유도하는 인양하강기구틀(500)이 형성되며, 상기 인양하강기구틀(500)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와이어고정부(631)는 외관 몸체를 형성하는 고정부몸체(632)와, 고정부몸체(632) 내부에 삽입되는 와이어조임구(635) 및 탄성부재(636)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고정부몸체(632)는 수직인양와이어(120a)가 삽입되는 와이어삽입구(633)쪽에서 수직인양와이어(120a)가 빠져나가는 와이어출구(634) 방향쪽으로 직경이 점차적으로 확대되는 구조의 경사노즐부(632b) 및 이 경사노즐부(632b)의 끝단에서 동일 직경으로 와이어출구(634)까지 연장되는 수평몸통부(632a)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와이어조임구(635)는 수직인양와이어(120a)가 일방향으로만 당겨지게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부위로써, 고정부몸체(632)의 경사노즐부(632b)측에 밀착되게 삽입 배치되어 수직인양와이어(120a)가 관통 삽입된 상태에서 수직인양와이어(120a)의 이동방향에 따라 벌어지고 조여지는 좌우측 분할판(635a,635b)과, 이 좌우측 분할판(635a,635b)을 연결하는 연결부재(635c)로 이루어진 분할판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몰선박 인양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하강기구틀(500)은 상부캡(510)과 하부캡(520)으로 구분되어 제작되어 체결볼트(530)에 의하여 체결되고, 상기 상부캡(510)의 상부플렌지(511)에는 연결와이어걸이부(513)가 다수 형성되어 부력탱크(110)에 결합 구비된 탱크플렌지(560)에 형성된 연결와이어걸이부(563)와 연결와이어(550)로 연결되며, 상기 상부캡(510)과 하부캡(520)의 상하부에 각각 인장와이어통과공(525)(525)이 형성되어 수직인양와이어(120a)가 관통되어 내부와이어고정부(631)와 함께 일방향으로만 부력탱크(110)가 하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몰선박 인양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탱크(110)에는 그 중앙지점에 관통공이 상하로 형성되고, 이들은 탱크내부파이프(110a)로 상하 용접 고정되어 탱크내부파이프(110a) 내로 수직인양와이어(120a)가 관통되어 인양하강기구틀(500)의 하강과 함께 수직인양와이어(120a)를 따라 부력탱크(110)가 하강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몰선박 인양장치.
- 삭제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탱크(110)는 내부가 완전하게 빈 중공체로써, 부력탱크(110)의 하단 외주면 일측에 와이어연결공(111)이 마련되고, 부력탱크(110)의 내부로 부력발생용 기체를 주입할 수 있는 기체주입구(112)와, 부력탱크(110) 내부로 물을 주입하거나 내부의 물을 배출할 수 있는 물유출입공(113)이 구비되며, 상기 기체주입구(112)에는 인양선(200)의 기체공급펌프(210)로부터 부력발생용 기체를 주입받을 수 있도록 기체주입호스(211)가 관통 연결되고, 상기 물유출입공(113)에는 인양선(200)의 물유출입펌프(220)로부터 물을 주입받거나 배출할 수 있도록 물유출입호스(221)가 관통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몰선박 인양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05227A KR101621086B1 (ko) | 2016-01-15 | 2016-01-15 | 침몰선박 인양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05227A KR101621086B1 (ko) | 2016-01-15 | 2016-01-15 | 침몰선박 인양장치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30206A Division KR101643730B1 (ko) | 2016-03-14 | 2016-03-14 | 침몰선박 인양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21086B1 true KR101621086B1 (ko) | 2016-05-13 |
Family
ID=56023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05227A KR101621086B1 (ko) | 2016-01-15 | 2016-01-15 | 침몰선박 인양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21086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55093A (ja) * | 2001-03-02 | 2002-09-11 | Kingo Nishimura | 沈没船引き上げ方法 |
KR101551888B1 (ko) * | 2015-06-16 | 2015-09-09 | 박진옥 | 침몰선박 인양장치 및 그 인양방법 |
-
2016
- 2016-01-15 KR KR1020160005227A patent/KR10162108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55093A (ja) * | 2001-03-02 | 2002-09-11 | Kingo Nishimura | 沈没船引き上げ方法 |
KR101551888B1 (ko) * | 2015-06-16 | 2015-09-09 | 박진옥 | 침몰선박 인양장치 및 그 인양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51888B1 (ko) | 침몰선박 인양장치 및 그 인양방법 | |
JP6923547B2 (ja) | 半潜水型養殖システム | |
ES2710456T3 (es) | Procedimiento para desmontar y/o montar una sección sumergida de una unidad propulsora retráctil | |
JP2015534004A (ja) | テザーで繋がれたサブマージド型の水力タービンアッセンブリ | |
KR101643730B1 (ko) | 침몰선박 인양장치 | |
JP2010234980A (ja) | 固定用着底部材、緊張係留浮体システム及びその設置方法 | |
KR101761587B1 (ko) | 해양 구조물 설치선 및 해양 구조물 설치방법 | |
KR20110117191A (ko) | 수중 펌프 | |
AU2017382982A1 (en) | A device and method to regulate a breeding pen in sea, and applications thereof | |
US4484838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anodes at underwater locations on offshore platforms | |
JPH0678616B2 (ja) | 水中における杭打ち方法およ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駆動ユニット | |
CN110185057B (zh) | 一种用于海上风电单桩基础钢管桩起吊立桩的工装及施工方法 | |
KR102076497B1 (ko) | 소형 선박 침몰 방지 및 인양용 부유식 도크 | |
KR101712514B1 (ko) | 침몰선박 인양을 위한 고심도 수중작업용 구조물의 설치방법 | |
JP3551180B2 (ja) | 水溶性ガスを海中に溶解させ深海に隔離する方法、装置、その敷設方法 | |
KR101621086B1 (ko) | 침몰선박 인양장치 | |
KR20170035271A (ko) | 해양 지지체 및 그 시공방법 | |
US3421579A (en) | Underwater completion | |
KR101699056B1 (ko) | 반잠수식 구난 인양선 및 이를 이용한 침몰 선체 인양공법 | |
WO2008032918A1 (en) | Buoyancy occurring device for vessel salvage | |
KR101750270B1 (ko) | 부력체를 이용한 침몰선 인양 방법 | |
US20120027519A1 (en) | Method and a device for sealing and/or securing a borehole | |
RU2564271C1 (ru) | Способ подъема затонувшего судна и комплекс для подъема 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ания затонувших подводных лодок и других судов | |
CN108529048A (zh) | 高压气瓶充气自动沉降式海水顶升储油罐 | |
CN214451742U (zh) | 一种拖拽式救援设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