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2514B1 - 침몰선박 인양을 위한 고심도 수중작업용 구조물의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침몰선박 인양을 위한 고심도 수중작업용 구조물의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2514B1
KR101712514B1 KR1020150062219A KR20150062219A KR101712514B1 KR 101712514 B1 KR101712514 B1 KR 101712514B1 KR 1020150062219 A KR1020150062219 A KR 1020150062219A KR 20150062219 A KR20150062219 A KR 20150062219A KR 101712514 B1 KR101712514 B1 KR 101712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installing
work
platform
d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2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0333A (ko
Inventor
정경원
Original Assignee
정경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경원 filed Critical 정경원
Priority to KR1020150062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2514B1/ko
Publication of KR20160130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0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2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2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02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in which the lifting is done by hau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24Apparatus for passing chains or the like under vessel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28Refloating stranded vessels
    • B63B2738/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 Placing Or Removing Of Piles Or Sheet Piles, Or Accessori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몰선박(A)의 너비 및 작업 공간 확보를 고려하여 침몰선박(A)의 주위에 수직으로 다수개의 강관파일(110)을 일정간격을 두고 지반에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강관파일(110)의 상부에 플랫폼(120)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설치된 강관파일(110)에 잠수부들의 출입구로 사용하기 위한 통공(111)을 작업에 가장 편리한 위치에 천공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침몰선박 인양을 위한 고심도 수중작업용 구조물의 설치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효과로는 해저에 설치된 강관파일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이므로 상기 강관파일은 잠수부의 수직이동통로 기능을 하게 되고, 이는 잠수부가 파도 및 조류의 영향을 받지 않는 상태로 작업 장소까지 신속하게 하강하거나 플랫폼까지 도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강관파일 내 다이빙 벨 설치하여 잠수부의 위험 노출을 최소화하고, 충분한 작업시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는 결국 잠수작업일수가 증가하여 수중작업 공기를 단축할 수 있고, 수중작업비용을 감소시켜 인양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작업장소와 가장 인접한 위치 및 방향으로 통공을 형성하여 작업자들의 출입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이 편리하고, 또 플랫폼에는 치료용 감암챔버 및 작업자의 휴식공간이 설치되어 잠수부가 보다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침몰선박 인양을 위한 고심도 수중작업용 구조물의 설치방법{Structure for working of sunken vessel}
본 발명은 침몰선박 인양을 위한 고심도 수중작업용 구조물과 이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도 및 조류가 심한 해저에 침몰 선박을 인양함에 있어 잠수부들의 작업 편리성과 안전성을 높이기 위하여 강관파일을 이용한 수중작업용 구조물과 이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선박을 통한 물류 운송 비중이 늘어나면서 이에 따른 선박 사고의 우려도 매우 높아지고 있으며, 결국 침몰 선박도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선박이 침몰하게 되면 연료의 유출에 따라 해양을 광범위하게 오염시켜 해양생태계를 파괴하기 때문에 침몰사고 후에 가급적 빨리 선박을 인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객선의 경우 생존자의 구조 및 행방불명자의 생사를 확인하기 위해서라도 최대한 빨리 선박을 인양할 필요가 있다.
종래 선박을 인양하는 방법으로는 인양선의 크레인으로부터 인출되는 인양와이어를 선박에 걸어서 인양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를 도 1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같다. 즉 침몰된 선박(10)은 해수면(6) 아래의 해저(5)에 일부가 파묻혀 있게 되는데, 인양선(1)에는 상기 선박(10)을 인양하기 위한 인양 케이블(4)이 권취된 윈치(3)가 마련되어져 상기 인양 케이블(4)을 침몰된 선박(10) 등의 밑으로 통과시켜 선박(10)을 인양하게 된다.
침몰된 선박(10)을 인양하기 위해서는 먼저 잠수부가 선박 밑바닥 바로 아래의 해저를 배의 폭 방향으로 터널을 파고, 터널이 관통되면 견인 쇠사슬을 걸어 바지선의 크레인으로 쇠사슬을 들어올려 선박(10)을 인양하게 되는데, 결국 이와같은 모든 작업은 잠수부에 의해 수중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파도가 심하거나 조류가 심한 고심도 수중작업의 경우는 작업할 수 있는 시간이 매우 짧고 작업자가 위험해 매우 오랜 작업기간이 소요되는 단점을 갖는다.
[선행기술문헌]
1. 등록특허 : 제10-1261859호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침몰선박 인양을 위한 잠수부들이 파도나 조류의 영향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잠수가 가능하고, 또한 치료용 감암챔버 및 휴식공간이 설치되어 보다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고심도 수중작업용 구조물과 이의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수단을 살펴보면, 본 발명 고심도 수중작업용 구조물은 침몰 선박의 주위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해저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강관파일과, 상기 강관파일의 일측에 천공되어 잠수부들의 출입구로 사용되는 통공과, 상기 강관파일의 상부에 잠수부들의 작업준비와 휴식을 위한 플랫폼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고심도 수중작업용 구조물의 설치방법은 침몰선박의 너비 및 작업 공간 확보를 고려하여 침몰선박의 주위에 수직으로 다수개의 강관파일을 일정간격을 두고 지반에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강관파일의 상부에 플랫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설치된 강관파일에 잠수부들의 출입구로 사용하기 위한 통공을 해저에 인접한 위치에 천공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수평굴착장치를 인양쇠사슬 설치지점에 셋팅하여 침몰선박의 맞은편까지 드릴비트와 드릴파이프를 이용해서 천공하는 단계와, 상기 침몰선박의 맞은편에 해저면 위로 노출된 드릴파이프의 끝에 견인줄 또는 와이어로프를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견인줄 또는 와이어로프의 끝에 인양쇠사슬을 걸어 견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로는 해저에 설치된 강관파일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이므로 상기 강관파일은 잠수부의 수직이동통로 기능을 하게 되고, 이는 잠수부가 파도 및 조류의 영향을 받지 않는 상태로 작업 장소까지 신속하게 하강하거나 플랫폼까지 도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강관파일 내 다이빙 벨 설치하여 잠수부의 위험 노출을 최소화하고, 충분한 작업시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는 결국 잠수작업일수가 증가하여 수중작업 공기를 단축할 수 있고, 수중작업비용을 감소시켜 인양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작업장소와 가장 인접한 위치 및 방향으로 통공을 형성하여 작업자들의 출입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이 편리하고, 또 플랫폼에는 치료용 감암챔버 및 작업자의 휴식공간이 설치되어 잠수부가 보다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침몰선박 인양을 위한 방법을 보이기 위한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몰선박 인양을 위한 고심도 수중작업용 구조물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 수평굴착장치를 이용한 굴착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 드릴파이프와 견인줄 또는 와이이로프를 연결하는 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서 견인줄 또는 와이이로프에 견인쇠사슬을 연결하는 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있어서 견인쇠사슬에 묶인 침몰선박을 크레인으로 인양하는 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또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거칠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침몰선박 인양을 위한 고심도 수중작업용 구조물과 이의 설치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몰선박 인양을 위한 고심도 수중작업용 구조물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 수평굴착장치를 이용한 굴착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 드릴파이프와 견인줄 또는 와이이로프를 연결하는 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서 견인줄 또는 와이이로프에 견인쇠사슬을 연결하는 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있어서 견인쇠사슬에 묶인 침몰선박을 크레인으로 인양하는 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단면도이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몰선박 인양을 위한 고심도 수중작업용 구조물은 침몰선박(A)의 주위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해저(C)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강관파일(110)과, 상기 강관파일(110)의 일측에 천공되어 잠수부들의 출입구로 사용되는 통공(111)과, 상기 강관파일(110)의 상부에 잠수부들의 작업준비와 휴식을 위한 플랫폼(1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강관파일(110)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설치될 수 있으나, 대개 크레인(미도시) 등으로 들어 해저의 지반 위에 올려놓고 강관파일(110)의 내부에서 지반토를 굴착하게 되면 강관파일(110)의 자중에 의해 지반 내부로 침하하여 고정된다.
다음 상기 강관파일(110) 위에 플랫폼(120)을 설치하게 되는데, 상기 플랫폼(120)위에는 치료용 감암챔버 및 작업자의 휴식공간이 설치되고, 수평굴착장치의 작동을 위한 수압 및 유압장치(140), 제어장치(150), 다이빙벨(160) 등이 설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수압과 유압을 제공하기 위한 고압관과, 제어를위한 전선만 해저에 설치된 수평굴착장치(130)에 공급되는 구조이다. 상기 결국 수평굴착장치(130) 옆에는 드릴파이프(131)가 배치되어 이들을 계속해서 연결함으로써 침몰선박의 맞은편에 해저면까지 도달하도록 한다. 물론 상기 드릴파이프의 끝단에는 해저 굴착을 위한 드릴비트(132)가 형성됨은 당연하다.
상기 강관파일(110)의 일측에 천공된 통공(111)은 잠수부들의 출입구로 사용되는데 이때 통공(111)의 방향과 높이는 작업장소와 가장 인접한 위치 및 방향으로 설정하여야 하므로 강관파일(110)의 설치후에 작업조건을 고려하여 잠수부들이 공지의 수중절단작업에 의해 절개하게 된다.
이때 통공(111)을 통해 플랫폼과 침몰선박까지 안전선(미도시)을 연결하여 작업자들이 시야가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이를 통해 작업위치까지 손쉽게 도달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 고심도 수중작업용 구조물의 설치방법은 침몰선박(A)의 너비 및 작업 공간 확보를 고려하여 침몰선박(A)의 주위에 수직으로 다수개의 강관파일(110)을 일정간격을 두고 지반에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강관파일(110)의 상부에 플랫폼(120)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설치된 강관파일(110)에 잠수부들의 출입구로 사용하기 위한 통공(111)을 작업에 가장 편리한 위치에 천공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수평굴착장치(130)를 인양쇠사슬 설치지점에 셋팅하고 침몰선박의 맞은편까지 드릴비트(132)와 드릴파이프(131)를 이용해서 천공하는 단계와, 상기 침몰선박의 맞은편에 해저면 위로 노출된 드릴파이프(131)의 끝에 견인줄(170) 또는 와이어로프(180)를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견인줄 또는 와이어로프의 끝에 인양쇠사슬(190)을 걸어 견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수평굴착장치는 수평방향제어드릴장치라고도 하는데, 해저케이블 설치 등에 활용되는 장치이다.
따라서 인양쇠사슬(190)에 의해 침몰선박을 걸게되면 이를 크레인줄(200)로 걸어 침몰선박을 인양하게 된다. 이때 플랫폼(120)이 방해가 될 수 있으므로 인양전에 상기 중간부에 설치된 플랫폼은 제거됨이 바람직하다.
상술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10: 강관파일
111: 통공
120: 플랫폼
A: 침몰선박
B: 수중(水中)
C: 해저

Claims (3)

  1. 수평굴착장치를 이용해서 침몰선박의 맞은편까지 침몰선박 아래의 지면을 천공하고, 상기 침몰선박의 맞은편에 해저면 위로 노출된 드릴파이프(131)의 끝에 견인줄(170) 또는 와이어로프(180)를 연결하며, 상기 견인줄 또는 와이어로프의 끝에 인양쇠사슬(190)을 걸어 견인하는 침몰선박 인양을 위한 고심도 수중작업용 구조물의 설치방법에 있어서,
    상기 침몰선박(A)의 너비 및 작업 공간 확보를 고려하여 침몰선박(A)의 주위에 수직으로 다수개의 강관파일(110)을 일정간격을 두고 지반에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강관파일(110)의 상부에 잠수부들의 작업준비와 휴식을 위한 넓은 판형상의 플랫폼(120)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설치된 모든 강관파일(110)에 해저 지면에 인접한 위치에 통공(111)을 천공하되 잠수부들의 출입구로 사용하기 위하여 강관파일(110)의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절개하여 천공하는 단계와,
    수평굴착장치(130)를 인양쇠사슬 설치지점에 셋팅하되 상기 수평굴착장치의 작동 및제어를 위한 수압 및 유압을 제공하기 위한 고압관과 전선이 강관파일(110)을 통해 해저로 공급함으로써 수평굴착장치를 작동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침몰선박 인양을 위한 고심도 수중작업용 구조물의 설치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150062219A 2015-05-01 2015-05-01 침몰선박 인양을 위한 고심도 수중작업용 구조물의 설치방법 KR101712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2219A KR101712514B1 (ko) 2015-05-01 2015-05-01 침몰선박 인양을 위한 고심도 수중작업용 구조물의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2219A KR101712514B1 (ko) 2015-05-01 2015-05-01 침몰선박 인양을 위한 고심도 수중작업용 구조물의 설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0333A KR20160130333A (ko) 2016-11-11
KR101712514B1 true KR101712514B1 (ko) 2017-03-23

Family

ID=57527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2219A KR101712514B1 (ko) 2015-05-01 2015-05-01 침몰선박 인양을 위한 고심도 수중작업용 구조물의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25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6983A (ko) 2020-04-13 2021-10-21 주식회사 지오이 수중에서 시야 확보를 위한 잠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63833B (zh) * 2018-09-14 2020-10-30 李颖 一种基于潮流作用力的沉船打捞及拖运系统
CN116552750B (zh) * 2023-07-10 2023-09-01 江苏锐盾警用装备制造有限公司 一种水下救援打捞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2740B1 (ko) * 2000-11-14 2004-03-16 닛뽄 사루베지 가부시키가이샤 침몰 물체 인양 케이블 장착 방법, 및 침몰 물체 인양케이블 장착 시스템
KR101261859B1 (ko) * 2010-10-26 2013-05-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방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박의 인양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5500A (ko) * 2014-12-16 2015-01-14 이동수 수중 통로를 갖춘 구조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2740B1 (ko) * 2000-11-14 2004-03-16 닛뽄 사루베지 가부시키가이샤 침몰 물체 인양 케이블 장착 방법, 및 침몰 물체 인양케이블 장착 시스템
KR101261859B1 (ko) * 2010-10-26 2013-05-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방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박의 인양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6983A (ko) 2020-04-13 2021-10-21 주식회사 지오이 수중에서 시야 확보를 위한 잠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0333A (ko) 2016-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87638A (en) Subsea structure and method for installing the structure and recovering the structure from the sea floor
US6309269B1 (en) Variable buoyancy buoy for mooring mobile offshore drilling units
EP1984237B1 (en) Deep water installation vessel
KR20090121403A (ko) 극한의 기후 조건에 노출되는 지역에서의 작업을 위한 부유식 플랫폼
US4039025A (en) Apparatus for anchoring an offshore structure
KR101551888B1 (ko) 침몰선박 인양장치 및 그 인양방법
KR101712514B1 (ko) 침몰선박 인양을 위한 고심도 수중작업용 구조물의 설치방법
WO2014130320A1 (en) Floatable subsea platform (fsp)
BRPI1001222B1 (pt) método de fixação de uma estrutura de armação em um casco flutuante
EP0045652A2 (en) Mooring of floating structures
KR20150054035A (ko) 잭업 리그 시스템
KR101643730B1 (ko) 침몰선박 인양장치
JP2012067513A (ja) 水中掘削装置および水中掘削方法
US3421579A (en) Underwater completion
EP289835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ielding underwater noise
US3556210A (en) Deep sea well drilling structure
AP579A (en) Offshore well saving apparatus and method.
RU125548U1 (ru) Суд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пуска и подъема подводных аппаратов
RU159247U1 (ru) Конструкция опорной части морской стационарной платформы на шельфе морей
KR20170055631A (ko) 침몰 선박을 인양하는 방법
US20230264789A1 (en) Method for installing at least one mooring line of a floating installation in a body of water and associated floating installation
RU2681807C1 (ru) Турель бурового судна
US20230113664A1 (en) System and method for suction anchor deployment
KR101555953B1 (ko) 매설된 해저케이블을 노출시키는 방법
GB2513325A (en) A method of installing pin piles into a seab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100713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1130

Effective date: 20170208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