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2136B1 - 저장성이 향상된 기능성 현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저장성이 향상된 기능성 현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2136B1
KR101692136B1 KR1020150012857A KR20150012857A KR101692136B1 KR 101692136 B1 KR101692136 B1 KR 101692136B1 KR 1020150012857 A KR1020150012857 A KR 1020150012857A KR 20150012857 A KR20150012857 A KR 20150012857A KR 101692136 B1 KR101692136 B1 KR 101692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wn rice
weight
rice
parts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2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2343A (ko
Inventor
홍재훈
Original Assignee
연무농업협동조합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무농업협동조합,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무농업협동조합
Priority to KR1020150012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2136B1/ko
Publication of KR20160092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2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2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2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5Vitami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성이 향상된 기능성 현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도정과정을 거쳐 식이섬유의 함량이 높은 현미에 식물첨가물과 비타민 E를 분사하여 풍미 및 영향성분을 개선하고 저장성을 증가시키며, 위생화처리를 통해 세균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저장성이 향상된 기능성 현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저장성이 향상된 기능성 현미 제조방법{PRODUCTION METHOD OF IMPROVED STORAGE PERIOD FUNCTIONAL BROWN RICE}
본 발명은 저장성이 향상된 기능성 현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도정과정을 거쳐 식이섬유의 함량이 높은 현미에 식물첨가물과 비타민 E를 분사하여 풍미 및 영향성분을 개선하고 저장성을 증가시키며, 위생화처리를 통해 세균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저장성이 향상된 기능성 현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미는 왕겨층, 미강층(쌀겨층), 씨눈, 씨젖으로 구성된 벼의 왕겨층을 현미기로 제거한 것으로, 현미의 미강층을 제거하는 것을 도정이라 하며, 도정도에 따라 미강층을 벗기는 횟수에 따라 정해진다.
이러한 현미는 도정은 1분~13분 도미의 단계를 분류하며 1~7분 도미의 가공을 현미라 칭하고 9분도 이상 가공을 백미라 칭하고 있다.
따라서 현미에는 식물성 섬유질을 비롯한 각종 효소, 미네랄 등 무기질 영향소가 다량 함유되어 있어 병에 대한 저항력을 높여주고 혈액의 산독화를 막아주며 알카리성 혈액을 만들어주므로 노화 방지 및 장내 기능 강화에 유용한 식품임이 널리 알려져 있으며, 식이섬유가 풍부한 현미를 권하고 있다.
하지만, 현미의 거친 식감과 식이섬유의 소화가 느리며, 취반이 불편한 문제점 때문에 9분 도미 이상 가공되어 식감이 부드럽고 소화가 빠른 백미를 선호하고 있다.
또한 현미, 백미 및 잡곡 등은 우리나라에서 1년에 1회 경작되어 수확된 후 탈곡 및 건조 과정을 거쳐 가공된 상태로 1년 이상의 기간을 보존하게 되고 보존중인 현미 및 백미에는 온도, 습도등의 환경에 따라 쌀 벌래, 곰팡이 등의 해충류가 발생하여 쌀의 품질을 저하시키고 장기간 보존에 의해 쌀이 눅눅해지고 색변화가 발생하여 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방법으로 한국공개특허 제10-1998-079624호 "현미를 발아 시키는 방법"이 제시된바 있으나, 상기 발명은 수중발아 과정을 이용하는 것으로 농사방법이 변경되어 개별적인 시설이 필요하여 일반 농촌에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0386120호 "방충, 방균 및 항산화 효과를 갖는 천연 식물성 정유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저장 농산물 품질 보존제"가 제시된바 있으나, 다양한 식품에 방충, 방균에 대한 병충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장시간 보존되는 쌀의 품질 및 식감등에 대하여 제시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정된 현미에 식물추출물 및 자외선을 조사하여 식이섬유가 풍부한 현미의 세균을 감소시키며, 저곡 해충을 감소시켜 저장성이 향상된 기능성 현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비타민 E가 용해된 약액을 교반시켜 보관기간 중 현미에 함유된 지방산이 산화되는 것을 억제하여 장기간 보관 후에도 현미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저장성이 향상된 기능성 현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식물추출물에 다양한 곡류를 혼합하여 현미의 영향을 증가시키며, 곡류에서 섭취하기 힘든 비타민 E의 성분을 섭취할 수 있는 저장성이 향상된 기능성 현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장성이 향상된 기능성 현미 제조방법에 있어서, 현미를 도정하는 도정단계와, 상기 도정단계를 통해 도정한 현미 100중량부에 계피, 쑥 및 녹차로 이루어진 식물추출물 1~5중량부를 고르게 분사하는 분사단계와 상기 분사단계에 의해 식물추출물이 분사된 현미를 건조하는 제 1건조단계와, 상기 제 1건조단계을 통해 건조된 현미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위생화단계와, 상기 위생화단계를 통해 세균 및 진균이 감소한 현미 100중량부에 비타민 E가 용해된 약액 1~5중량부를 첨가하여 교반하는 교반단계와, 상기 교반단계를 통해 분사된 비타민 E가 용해된 약액을 건조하는 제 2건조단계로 이루어지되, 상기 식물추출물은 각각의 쑥, 계피 및 녹차잎의 1중량부에 물 40중량부로 혼합하여 60℃~100℃에서 1~2시간동안 쑥 추출물, 계피 추출물 및 녹차 추출물을 추출하는 추출단계와, 상기 추출단계를 통해 추출된 각각의 쑥 추출물 1중량부에 계피 추출물 1중량부 및 녹차잎 추출물 3중량부를 혼합하여 여과하는 여과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식물추출물에는, 곡류의 수분함유량이 10%~20%로 건조하는 건조단계와, 건조단계에서 건조된 곡류에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며 분쇄하는 분쇄단계와, 분쇄단계에서 분쇄된 곡류를 식물추출물 100중량부에 5~30중량부를 혼합하는 혼합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성이 향상된 기능성 현미 제조방법에 따르면, 도정한 현미에 식물첨가물과 자외선을 조사하여 위생화처리를 함으로 인해 세균이 감소하고, 해중의 접근을 억제하며, 비타민 E에 의해 현미에 함유된 지방산의 산화를 억제하여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식물추출물에 다양한 곡류가 혼합되어 영향성분을 향상시켰으며, 곡류에서 섭취하기 힘든 비타민 E의 성분을 표면에 교반시켜 비타민 E의 영향성분을 섭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식물추출물 및 위생화처리를 통해 식이섬유가 풍부한 현미의 강도 및 경도를 낮춰 식감과 풍미를 개선하여 기호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저장성이 향상된 기능성 현미 제조방법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첨가물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첨가물에 곡류의 혼합방법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료의 수분흡수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장성이 향상된 기능성 현미 제조방법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저장성이 향상된 기능성 현미 제조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첨가물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첨가물에 곡류의 혼합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료의 수분흡수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정과정을 거쳐 식이섬유가 풍부한 현미에 식물첨가물과 자외선을 통해 가공하여 취반 및 보존기간 등을 증가시킨 저장성이 향상된 기능성 현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정단계(S10), 분사단계(S20), 제 1건조단계(S30), 위생화단계(S40), 교반단계(S50), 제 2건조단계(S60)로 이루어진다.
도정단계(S10)는 현미를 도정한다.
여기서 현미는 1분~7분 도미로 도정한 것으로 벼의 왕겨층을 제거한 현미의 미강층(쌀겨층)을 연삭하여 나타낸 도정도에 따라 분류하여 구분된다.
분사단계(S20)는 상기 도정단계(S10)에서 도정한 현미 100중량부에 계피, 쑥 및 녹차에서 추출하여 혼합된 식물추출물 1~5중량부를 고르게 분사한다.
여기서 식물추출물은 각각의 쑥, 계피, 녹차잎의 1중량부에 물 40중량부를 혼합하여 60℃~100℃에서 1~2시간동안 추출하여 쑥 추출물, 계피 추출물 및 녹차 추출물을 각각 추출하는 추출단계(S21)를 통해 추출된다.
그리고 상기 추출단계(S21)를 통해 추출된 쑥 추출물 1중량부에 계피 추출물 1중량부 및 녹차 추출물 3중량부를 혼합하여 여과하는 여과단계(S22)를 거쳐 제조된다.
즉, 쑥과 물을 1:40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생산된 쑥 추출물과, 계피와 물을 1:40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생산된 계피 추출물 및 녹차잎과 물을 1:40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생성된 녹차 추출물을 추출한다.
그리고 각각의 쑥 추출물, 계피 추출물, 녹차 추축액을 각 1:1:3의 비율로 혼합하여 여과하여 제조된 식물추출물을 도정한 현미 100중량부에 1~5중량부를 고르게 분사한다.
이때 식물추출물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현미에 고르게 분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현미에 분사된 식물추출물에 의해 식감과 풍미가 개선되며, 해충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한다.
제 1건조단계(S30)는 분사단계(S20)에 의해 식물추출물이 분사된 현미를 상온 20℃~30℃에서 30분~ 1시간 동안 건조시킨다.
따라서 분사된 식물추출물이 상기 현미의 표면에 건조되어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다.
위생화단계(S40)는 제 1건조단계(S30)를 통해 건조된 현미에 10~20초간 20W 자외선을 조사한다.
여기서 건조된 현미 전체에 자외선을 10~30초간 고르게 조사시킨다.
이에 따라 도정한 현미의 표면에 고르게 분사된 식물추출물이 건조되어 1차 위생화 부분도정 현미가 제조되며, 제조된 1차 위생화 부분도정 현미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2차 위생화 부분도정 현미를 제조한다.
또한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현미는 세균 및 진균 수가 대폭 감소하여 취반 전/후의 보존기간을 증가시켜 장시간 보관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정한 현미의 수분흡수율이 증가하여 취반 후 백미와 비교하여 큰 차이 없이 식감 및 풍미감을 느낄 수 있다.
상기 교반단계(S50)는 상기 위생화단계를(S40) 통해 세균 및 진균이 대폭 감소된 현미 100중량부에 비타민 E가 용해된 약액을 1~5중량부를 고르게 교반한다.
여기서 비타민 E가 용해된 약액을 교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액상으로 이루어지며, 기후, 환경 및 현미상태에 따라 비타민 E의 농도를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비타민 E가 용해된 약액이 현미의 표면을 고르게 교반되어 공기 중 다양한 환경에 의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며, 비타민 E에 함유된 항산화 작용을 통해 지방산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저장기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건조단계(S60)은 상기 교반단계(S50)를 통해 교반된 비타민 E가 용해된 약액을 상온 20℃~30℃에서 30분~ 1시간 동안 건조시킨다.
따라서 현미 표면에 고르게 교반된 비타민 E가 용해된 약액이 현미에 용이하게 교반되며, 보관 환경에 의해 현미에 함유된 지방산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아울러 본원발명에서는 현미에 한정되어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흑미, 쌀, 콩, 밀등의 곡류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식물추출물에는 분쇄된 곡류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제 3건조단계(S70), 분쇄단계(S71), 혼합단계(S72)가 포함된다.
상기 제 3건조단계(S70)는 곡류의 수분함유량을 10%~20%로 건조한다.
여기서 곡류는 현미, 흑미, 쌀, 밀, 옥수수 등의 곡식으로 이루어지며, 선택적으로 하나의 곡식을 사용하거나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식감 및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분을 건조시켜 분쇄를 원활히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쇄단계(S71)은 상기 제 3건조단계(S70)에서 건조된 곡류에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며, 분쇄한다.
여기서 상기 불활성 가스는 질소, 이상화탄소, 아르곤으로 이루어져 곡류를 분쇄시 산패되는 것을 방지하여 품질 및 맛이 변하는 것을 예방한다.
또한, 분쇄된 곡류는 식물추출물에 혼합하여 일정한 입자를 가질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현미의 품질과 혼합되는 비율 및 식감을 조절할 수 있도록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고운입자는 식물추출물과 혼합되어 걸죽하게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정 크기 이상의 입자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단계(S72)는 상기 분쇄단계(S71)에서 분쇄된 곡류는 식물추출물 100중량부에 5~30중량부를 혼합한다.
따라서 현미에 분사될 때 일정 입자크기를 가지는 곡류가 식물추출물과 같이 표면에 부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현미와 시료들을 비교하여 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시료로는 현미(0분 도미), 부분도정 현미(1분 도미와 2분 도미) 백미(10분 도미)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가. 부분도정현미의 수분흡수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0분 간격으로 수분흡수율을 나타낸 것으로, 0분 도미의 경우 낮은 수분흡수율을 나타내고 있으며, 1분 도미는 0분 도미에 비해 약간 증가한 수분흡수율을 나타내는 반면, 2분 도미의 수분흡수율은 10분 도미의 수분흡수율과 30분은 상당히 비슷하며 30분 이후 약간씩 수분흡수율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10분 도미의 수분흡수율에 비해 감소하는 점이 있으나, 일상에서 취반을 위해 물을 흡수하는 시간은 평균적으로 30분 정도로 하고 있으며 30분이 경과하면 취반 후 쌀이 뭉개지고 밥에서 냄새가 날 수 있다.
따라서 부분도미(1분 도미와 2분도미)의 취반을 하기 위한 30분까지의 수분흡수율은 10분 도미와 비슷한 수분흡수율이 있어 10분 도미와 같은 조건에서 취반을 할 경우 밥을 지어도 부드러운 밥이 되는 가장 중요한 원인이 된다.
나. 시료의 세균 수에 대한 효과
1) 자외선 조사처리에 의한 일반세균수 감소 효과
20W 자외선을 10cm 거리에서 30초간 조사 처리하였다.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자외선 처리에 의해 일반세균수가 약 1/50 수준 이하로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일반세균수
처리 전 처리 후
현미(0분도미) 6~8 x 103 /g 2 ~ 3 x 101/g
부분도정 현미(1분도미) 4~7 x 103 /g 2 ~ 4 x 101/g
백미(10분도미) 2~3x 103 /g 1~2 x 101/g
2) 식물추출물 분사
각각의 계피, 쑥, 녹차와 물을 1:40비율로 혼합하여 추출한 계피 추출물, 쑥 추출물, 녹차 추출물을 1:1:3의 비율로 혼합하여 시료 100 중량부에 1~5 중량부를 분사하였다.
분사 후 재건조한 시료의 세균 수는 아래 [표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처리 전에 비해 1/10~1/20수준 이하로 감소하였다.
일반세균수
처리 전 처리 후
현미 6~8 x 103 /g 1~2 x 102 /g
부분도정 현미 4~7 x 103 /g 4~5 x 102 /g
백미 2~3 x 103 /g 2~3 x 102 /g
3) 식물추출물 분사 후 자외선 조사 시
시료에 상기 제조된 식물추출물을 분사 후 자외선 처리를 하였다. 식물추출물과 자외선 처리를 거친 시료는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초기세균수의 약 1/200 수준으로 감소시켰다.
일반세균수
처리 전 처리 후
현미 6~8 x 103 /g 2~3 x 10o/g
부분도정 현미 4~7 x 103 /g 4~5 x 10o/g
백미 2~3 x 103 /g 1~2 x 10o/g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시료에 자외선 처리 및 식물추출물을 통해 세균의 감소를 확인할 수 있으며, 식물추출물 분사 및 자외선 조사를 한 각각 시료들보다 식물추출물 분사 후 자외선 조사를 받은 시료가 월등히 증가한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다. 시료의 진균 수에 대한 효과
진균 수에 대한 실험은 자외선 조사 및 식물추출물 분사 처리조건은 상기 '나'에 기재된 세균감소의 조건과 동일한 조건에서 실시하였다.
1) 자외선 조사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료의 진균 수는 자외선 조사 처리에 의해 일반 진균수와 비교하여 약 1/30수준 이하로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진균 수
처리 전 처리 후
현미 1~3 x 103 /g 1~2 x 101/g
부분도정 현미 1~2 x 103 /g 4~5 x 10o/g
백미 2~3 x 102 /g 1~2 x 101/g
2) 식물추출물 분사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료의 진균 수는 식물추출물을 분사하여 건조한 후에 일반 진균 수와 비교하여 1/100수준 이하로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진균 수
처리 전 처리 후
현미 1~3 x 103 /g 2~2 x 10o/g
부분도정 현미 1~2 x 103 /g 2~3 x 10o/g
백미 2~3 x 102 /g 1~2 x 10o/g
3) 식물추출물 분사 후 자외선 조사 시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료의 진균 수는 식물추출물을 분사 후 자외선 조사 시 일반 진균 수와 비교하여 1/150수준 이하로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진균 수
처리 전 처리 후
현미 1~3 x 103 /g 2~4 x 101 /g
부분도정현미 1~2 x 103 /g 3~4 x 10o /g
백미 2~3 x 103 /g 3~4 x 10o /g
이에 따라 초기진균 수는 그람 당 103마리 수준이었으나 자외선 조사처리 및 식물추출물 처리는 세균에서와 마찬가지로 유의적인 수준으로 진균 수를 감소시켜 초기진균 수의 약 1/10 수준 이하로 되었다.
또한 식물첨가물 분사 및 자외선을 조사한 각각의 시료들보다 식물추출물 분사 후 자외선 조사를 받은 시료가 월등히 증가한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다. 관능검사 결과
식물추출물 분사와 자외선 조사된 부분도정 현미(위생처리 부분도정 현미), 현미, 백미 및 식물추출물 및 자외선 조사처리 전 부분도정 현미에 대해 5점 척도법을 이용하여 아주 좋다 5점, 좋다 4점, 보통이다 3점, 나쁘다 2점, 아주 나쁘다 1점으로 관능검사를 하여 평가하였다.
취반 시 모든 시료는 물에 불리지 않고 압력솥을 이용하였으며 사용한 물의 양은 쌀의 무게 중량에 대해 150%로 통일하여 사용하였다.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부분도정 현미의 전체적인 풍미는 백미에 가까웠으며 위생처리된 부분도정 현미가 처리하지 않은 것보다 다소 좋은 풍미를 보임을 알 수 있다.
쌀의 종류
현미 부분도정 현미 위생처리
부분도정 현미
백미
냄새 3.2 3.8 4.8 4.5
2.1 4.0 4.2 4.3
단단한 정도 1.4 3.7 4.2 4.5
전체 풍미도 1.8 4.3 4.6 4.8
이에 따라 식물추출물 및 자외선이 조사된 부분도정 현미는 처리 전의 부분도정 현미와 현미보다 현저히 좋아진 풍미가 있어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통한 풍미의 향상된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백미(10분 도미)와 비교를 통해 제조된 현미가 백미에 상당이 유사한 관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 일상생활에서 불편함 없이 식감을 느낄 수 있다.
라. 레오미터 측정결과
[표 8]은 물성치를 측정한 것으로서, 보는 것과 같이 부분도정 현미는 취반 후의 강도와 경도에서 현미에 비해 매우 많이 감소함을 알 수 있어 백미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쌀의 종류
현미 부분도정 현미 위생처리
부분도정 현미
백미
강도 150,777 27,703 28,625 15,675
경도 329,567 44,661 43,275 30,562
이에 따라 부분도정 현미는 백미와 비교하여 약간 높은 수치가 있으나, 현미 특유의 거칠 식감을 해소하여 백미와 비교하여 큰 식감의 차이 없이 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현미의 도정이 적을수록 강도 및 경도에 따른 식감의 좋아 월등히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마. 시료의 보존 중 세균 수에 대한 효과
위생화 처리 부분도정 현미를 30℃로 보온 저장하면서 증가하는 세균수를 측정하였다. [표 9]에서 보듯이 한 달간 저장한 위생화처리 부분도정 현미는 처리하지 않은 것에 비해 현저히 낮은 세균수를 유지하는 것을 보여준다.
저장일수
0일 15일 30일
위생화 처리하지 않은 부분도정 현미 4.3 x 103 /g 4.6 x 103 /g 5.2 x 103 /g
위생화 처리
부분도정 현미
4.0 x 10o /g 7.0 x 10o /g 2.1 x 101 /g
이에 따라 보존중 세균 번식을 최대한 억제하여 품질을 유지하며 장기간 보존이 가능한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우리나라에서는 일반적으로 쌀을 1년 이상의 장기간 보존하는 경우가 많아 보존 기간의 증가 할수록 세균의 번식을 억제하여 더욱 좋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바. 시료의 취반 후 저장성에 대한 효과
위생화 처리 부분도정현미로 밥을 지은 후 밥의 부패균인 바실러스균의 수의 변화를 보기 위해 30℃로 보온 저장하면서 증가하는 바실러스균 수를 측정하였다.
유효 저장기간은 초기 부패균 수인 1x107마리/그람을 초과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표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위생화처리 한 시료들은 그렇지 않은 시료에 비해 모두 90% 이상 초기부패 상태에 이르는 시간이 연장되었다.
초기부패균 수에 이르는데 걸리는 시간 증감율
(%, b-a/a x100)
처리 전(a) 처리 후(b)
0분도미 6.5 12.4 +90.2
부분도정 현미 6.0 11.8 +96.7
백미 5.8 11.3 +94.5
이에 따라 취반 후 바실러스균의 감소를 확인할 수 있어 현미를 취반한 후 보존시간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사. 식물추출물의 방충효과
제조된 식물추출물을 처리한 현미에 대해 저장 곡물의 품질 저하에 가장 큰 피해를 주는 대표적인 저곡 해충들에 대한 구제 효과 및 기피 효과를 알아보았다.
실험에 이용한 곤충은 바구미(Sitophilus oryzae) 성충 및 화랑곡나방(Plodia interpunctella) 두 종류로 실험실에서 직접 쌀에 발생한 성충을 포획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방법은 우선 내부 총 부피가 5ℓ인 뚜껑 달린 사각의 플라스틱 용기 내에 식물성 추출물을 1, 5, 10% 중량을 분사 후 건조한 부분 도정 현미를 2㎏씩 담은 후, 포획 사육 중인 상기 2종의 저곡 해충을 각기 다른 통에 50마리씩 접종하였으며 실험 개시 각각 1일, 7일, 14일 후 사충율을 조사하였다.
이러한 사충율(%)은 아래의 계산식을 사용하였다.
Figure 112015008898632-pat00001



식물
추출물
처리량(%)
사충율(%)
1일차 7일차 14일차
쌀바구미 화랑곡
나방
쌀바구미 화랑곡나방 쌀바구미 화랑곡나방

추출물

0 0 0 0 0 0 0
1 4 2 32 26 50 28
5 38 14 58 38 64 46
10 56 24 74 48 82 52
상기 [표11]은 식물추출물 처리량과 시간에 따른 사충율의 변화를 나타낸 것으로서, 시간이 지나면서 곡물의 저곡 해충이 식물추출물의 처리량에 따라 기피현상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식물추출물에 의해 저곡 해충의 현미를 기피하여 번식을 억제할 수 있어 장기간 보관시 저장된 현미에서 기생하는 해충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 비타민 E 교반에 따른 세균 감소효과
식물추출물과 위생화단계를 통해 세균이 감소된 부분도정 현미에 비타민 E 약액을 교반시킨 후 30℃로 보온 저장하면서 증가하는 세균수를 측정하였다.

저장일수
0일 15일 30일
위생화 처리
부분 도정 현미
4.0 x 10o /g 7.0 x 10o /g 2.1 x 101 /g
비타민 E 처리
부분도정 현미
4.0 x 10o /g 5.8 x 10o/g 1.6 x 101 /g
[표 1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한달 간 저장한 위생화처리 부분도정 현미와 비타민 E 약액을 교반한 현미는 기간이 지날수록 세균이 증가가 현저히 낮은 세균수를 유지하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비타민 E 약액이 교반된 부분도정현미는 장기간 보관시 세균의 번식을 억제하여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다.
자. 비타민 E 교반에 따른 지방산 산화 감소효과
비타민 E 약액이 교반된 부분도정현미를 30℃로 보온 저장하면서 현미에 함유된 지방산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부분도정 현미 100g에 지방산의 함유량이 2.5 x 10-2이 함유되어 있어 100g의 부분도정 현미의 저장일수에 따라 지방산의 변화량을 측정하였다.

저장일수
0일 15일 30일
위생화 처리
부분도정 현미
2.5 x 10-2 /g 2.2 x 10-2 /g 2.0 x 10-2 /g
비타민 E 처리
부분도정 현미
2.5 x 10-2 /g 2.4 x 10-2 /g 2.3 x 10-2 /g
[표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한달간 저장한 부분도정 현미에 비타민 E가 용해된 약액이 교반되면 저장 중 부분도정 현미는 기간이 경과해도 함유된 지방산의 산화가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부분도정 현미의 지방산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장기간 보관 후 취반하여도 부분도정 현미에 함유된 지방산의 산화가 억제되어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Claims (2)

  1. 현미를 도정하는 도정단계(S10);
    상기 도정단계(S10)를 통해 도정한 현미 100중량부에 계피, 쑥 및 녹차로 이루어진 식물추출물 1~5중량부를 고르게 분사하는 분사단계(S20);
    상기 분사단계(S20)에 의해 식물추출물이 분사된 현미를 건조하는 제 1건조단계(S30);
    상기 제 1건조단계(S30)을 통해 건조된 현미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위생화단계(S40);
    상기 위생화단계(S40)를 통해 세균 및 진균이 감소한 현미 100중량부에 비타민 E가 용해된 약액 1~5중량부를 첨가하여 교반하는 교반단계(S50);
    상기 교반단계(S50)를 통해 분사된 비타민 E가 용해된 약액을 건조하는 제 2건조단계(S60);로 이루어지되,
    상기 식물추출물은 각각의 쑥, 계피 및 녹차잎의 1중량부에 물 40중량부로 혼합하여 60℃~100℃에서 1~2시간동안 쑥 추출물, 계피 추출물 및 녹차 추출물을 추출하는 추출단계(S21);
    상기 추출단계(S21)를 통해 추출된 각각의 쑥 추출물 1중량부에 계피 추출물 1중량부 및 녹차잎 추출물 3중량부를 혼합하여 여과하는 여과단계(S22);로 이루어지며,
    상기 식물추출물에는,
    곡류의 수분함유량이 10%~20%로 건조하는 제 3건조단계(S70),
    상기 제 3건조단계(S70)에서 건조된 곡류에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며 분쇄하는 분쇄단계(S71) 및
    상기 분쇄단계(S71)에서 분쇄된 곡류를 식물추출물 100중량부에 5~30중량부를 혼합하는 혼합단계(S7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성이 향상된 기능성 현미 제조방법.
  2. 삭제
KR1020150012857A 2015-01-27 2015-01-27 저장성이 향상된 기능성 현미 제조방법 KR101692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2857A KR101692136B1 (ko) 2015-01-27 2015-01-27 저장성이 향상된 기능성 현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2857A KR101692136B1 (ko) 2015-01-27 2015-01-27 저장성이 향상된 기능성 현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2343A KR20160092343A (ko) 2016-08-04
KR101692136B1 true KR101692136B1 (ko) 2017-01-17

Family

ID=56709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2857A KR101692136B1 (ko) 2015-01-27 2015-01-27 저장성이 향상된 기능성 현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213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304B1 (ko) * 2007-02-12 2008-05-26 한국식품연구원 항충치 물질이 코팅된 올벼쌀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7556A (ko) * 2005-10-02 2007-04-05 오은영 초유가 함유된 초유쌀 및 초유조성물
KR20070065190A (ko) * 2005-12-19 2007-06-22 조광래 천연식물의 추출액이 흡습된 기능성 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32176B1 (ko) * 2010-08-27 2012-04-05 한국식품연구원 경도와 저장성이 향상된 찐쌀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304B1 (ko) * 2007-02-12 2008-05-26 한국식품연구원 항충치 물질이 코팅된 올벼쌀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2343A (ko) 2016-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u et al. A review of postharvest approaches to reduce fungal and mycotoxin contamination of foods
Oz et al. The Effects of Calcium Chloride and 1‐Methylcyclopropene (1‐MCP) on the Shelf Life of Mulberries (M orus alba L.)
KR100907037B1 (ko) 녹차성분을 함유하는 영지버섯 또는 표고버섯 균사체의 재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식품
KR20160088031A (ko) 고품질 오리 육포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오리 육포
KR102104134B1 (ko) 소고기 숙성방법
KR101831498B1 (ko) 칼슘조성물을 이용하여 농산물의 잔류 성분을 제거하는 방법
KR101418963B1 (ko) 저염가루김치의 제조방법 및 저염가루김치를 함유한 조미료
KR100984865B1 (ko) 감초를 이용한 바실러스 세레우스의 억제 및 이를 이용한장류 제조방법
KR101258275B1 (ko) 흑마늘 추출물을 이용한 콩나물의 재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재배된 흑마늘 콩나물
KR101692136B1 (ko) 저장성이 향상된 기능성 현미 제조방법
KR101947087B1 (ko) 효과적인 마의 갈변방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갈변 방지된 마 또는 그 가공식품
KR100896241B1 (ko) 녹차성분을 함유하는 느타리버섯 또는 팽이버섯 재배용배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느타리버섯 또는 팽이버섯의재배방법
KR101702723B1 (ko) 즉석 밥의 제조 방법
KR20190124549A (ko) 항균 활성을 갖는 천연 식품 보존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69819B1 (ko) 발효 비파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KR102058134B1 (ko) 미선나무 추출물이 함유된 김치 및 그의 제조방법
CN106615054A (zh) 一种黄冠梨的贮藏保鲜综合处理方法
KR101678732B1 (ko) 취반속도 및 저장성이 향상된 위생화처리 현미의 제조방법
KR101948866B1 (ko) 샐러드용 홍고추가루의 제조방법
KR102117695B1 (ko) 장기간 보관이 가능한 양념 간마늘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양념 간마늘
KR101853416B1 (ko) 더치커피를 이용한 인스턴트커피 및 그 제조방법
Rana et al. Physicochemical and Physiological Changes During Storage
KR102582087B1 (ko) 고추냉이를 함유한 생식 제조방법
KR102651454B1 (ko) 고추냉이를 함유한 생면 제조방법
KR102513550B1 (ko) 박피 도라지의 저장성 향상을 위한 천연침지액 및 이를 이용한 박피 도라지의 저장성 향상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