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5190A - 천연식물의 추출액이 흡습된 기능성 쌀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천연식물의 추출액이 흡습된 기능성 쌀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5190A
KR20070065190A KR1020060040143A KR20060040143A KR20070065190A KR 20070065190 A KR20070065190 A KR 20070065190A KR 1020060040143 A KR1020060040143 A KR 1020060040143A KR 20060040143 A KR20060040143 A KR 20060040143A KR 20070065190 A KR20070065190 A KR 20070065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weight
extract
root
nat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0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광래
Original Assignee
조광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광래 filed Critical 조광래
Publication of KR20070065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519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 A23L7/1963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coated with a lay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천연식물에서 추출한 추출액을 쌀의 도정공정에서 가수하여 쌀의 변질 없이 장기간 보존할 수 있고, 쌀이 갖는 영양소 외에 추출액이 갖는 다양한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도록 한 천연식물의 추출액이 흡습된 기능성 쌀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벼를 수확하여 도정(搗精)하는 공정 중 연미(軟米)공정단계에서 습식연미기를 사용하여 물을 가수(加水)하면서 남아 있는 쌀겨와 미분(米粉) 및 유분(油分)을 제거한 다음 정상적인 쌀만을 선별기로 선별하여 생산되는 공지의 쌀 및 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미공정에서 쌀에 천연식물인 곤포(참다시마), 도라지, 갈대, 단삼, 애엽(약쑥), 우슬(쇠무릎), 호깨나무(지구자), 황금, 비자나무, 속단, 수국, 천마, 초석잠, 화살나무, 향유, 소나무에서 추출한 추출액을 가수하여 흡습토록 구성한 기능성 쌀과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천연식물의 추출액이 흡습된 기능성 쌀 및 이의 제조방법은 종래 쌀에 비해 저장성이 월등히 높은 정제미(=청결미)이면서 천연식물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에 의해 쌀을 보다 장기간 보존할 수 있고, 영양적인 측면에서도 소화가 잘되는 정백미가 갖는 영양소의 불균형을 천연식물로부터 추출한 추출액에 의해 보충할 수 있으며, 천연식물의 약리효과와 원적외선에 의한 효능을 득할 수 있는 등 다수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벼, 쌀, 도정, 연미, 천연식물, 추출, 추출액, 흡습, 원적외선

Description

천연식물의 추출액이 흡습된 기능성 쌀 및 이의 제조방법{Functional rice containing natural plant extracts and mak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기능성 쌀을 제조하는 과정을 간단하게 보인 공정도
본 발명은 기능성 쌀(米)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양한 천연식물에서 추출한 추출액을 쌀의 도정(搗精)공정에서 가수(加水) 후 포장하여 쌀의 변질 없이 장기간 보존할 수 있고, 사용자가 쌀을 취반(炊飯)하여 섭취하기만 하면 쌀이 갖는 영양소 외에 추출액이 갖는 다양한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도록 한 천연식물의 추출액이 흡습(吸濕)된 기능성 쌀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정(搗精)공정에서 왕겨층과 쌀겨층, 눈, 배유로 구성된 벼를 제현작업으로 왕겨층을 제거한 것을 현미라 하고, 현미에서 배유이외에 과피, 종 피, 호분층으로 구성된 쌀겨를 제거한 것을 쌀이라 하며, 통상 쌀은 보리, 밀과 함께 세계적으로 중요한 농산물이고, 대부분의 아시아인은 물론이고 특히 한국인의 주식으로 우리국민이 섭취한 전체 식품 중에서 쌀에서 얻는 열량이나 단백질은 다대하며, 영양학상으로 쌀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크다.
통상의 도정공정을 살펴보면 원료(벼)-정선-제현-현미분리-석발-정미-제강-연미-선별-계량, 포장-제품 등의 공정으로 이루어지고, 정미(精米)공정에서 쌀겨층의 박리정도에 따라 도정도를 정백미(10분도미), 7분도미, 5분도미 등으로 나뉜다.
가장 많이 제공되고 섭취되는 정백미(精白米)의 경우 장기간 보존할 경우 유분(油分)이 산화하여 식미가 변질되어 식용으로 사용할 수 없고, 취반 전에 여러 번 수세하는 번잡한 조리절차를 거쳐야 하는 문제점을 일소코자, 일반도정방법으로 95% 정도 도정한 후 습식연미기를 사용하여 0.5중량%의 물을 가수(加水)하면서 나머지 5%의 쌀겨와 유분(油分) 및 미분(米粉;정미공정에서 쌀의 홈에 매입된 쌀가루)을 제거한 다음 정상적인 쌀만을 선별기로 선별하여 생산되는 정제미(=청결미)를 개발하여 쌀을 물에 씻지 않고도 취반할 수 있으며, 저장성도 일반도정으로만 된 쌀에 비해 월등히 뛰어나도록 한 기술이 공지되어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상기 종래 도정공정의 일부 변화에도 불구하고, 정백미의 포장이 일부 훼손될 시 장기간 보존이 불가능하고, 유해세균이 증식할 수 있어 보전이 곤란하며, 특히 우리가 가장 많이 섭취하는 정백미(청결미 포함)는 수차례의 도정공정에 의해 쌀의 비타민 및 미네랄의 95%가 함유된 씨눈 및 쌀겨는 대부분 제거된 상태이므로 영양의 불균형으로 각종 성인병을 유발할 수 있어 현미를 주식으로 이용 할 것을 권장하고 있으나, 현미는 정백미에 비해 밥의 질감이 떨어지고 단단한 쌀겨층으로 인하여 소화가 잘 안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정백미(청결미 포함)와 같이 소화가 잘 되면서도 밥의 질감이 좋으며 현미와 같이 영양이 풍부한 기능성 쌀이 다수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다.
종래 기능성 쌀은 쌀의 표면에 기능성 성분들을 코팅하거나 쌀과 기능성 성분들을 동시에 스팀 등으로 쪄서 밥으로 제공되는 것이 대부분이고, 코팅한 쌀의 경우 코팅하는 별도의 공정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취반과정에서 상기 표면의 코팅으로 인하여 쌀 내부에 수분이 잘 침투하지 못하므로 밥의 호화(糊化)가 지연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쪄서 밥으로 제공되는 경우 쌀보다 변질이 빨라 이를 방지코자 별도의 포장재를 사용함으로써 제조원가의 앙등으로 이어져 제품의 차별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을 내포하고 있었던 것으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의 개발이 절실하였던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능성 쌀의 장기간 보존과 영양소의 불균형 및 취반 시 호화가 잘되지 않던 문제점들에서 착안하여 소화가 잘되면서도 상기 문제점들을 일소할 수 있는 신규한 기술을 안출한 것이다.
즉, 쌀의 도정(搗精)공정 중 정미공정상에서 정제미(=청결미)를 조성하기 위해 사용되던 습식연미기를 사용하여 가수(加水)되던 물(水) 대신 천연식물에서 추출(抽出)하여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추출액을 가수함으로써, 쌀을 변질 없이 장기간 보존할 수 있고, 사용자가 별도의 수세작업 없이 쌀을 취반(炊飯)하여 섭취하기만 하면 쌀이 갖는 영양소 외에도 천연식물의 각종 영양성분이 함입된 추출액이 갖는 다양한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도록 한 천연식물의 추출액이 흡습된 기능성 쌀을 제공함에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능성 쌀을 제조하는 과정을 보인 공정도로서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을 이하에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쌀을 물에 씻지 않고도 취반할 수 있으며 저장성도 일반도정으로만 된 쌀에 비해 월등히 뛰어나도록 하기위해서, 벼를 수확하여 도정(搗精)하는 공정 중 연미(軟米)공정단계에서 습식연미기를 사용하여 물을 가수(加水)하면서 남아 있는 쌀겨와 미분(米粉;정미(精米)공정에서 쌀의 홈에 매입된 쌀가루) 및 유분(油分)을 제거한 다음 정상적인 쌀만을 선별기로 선별하여 정제미(=청결미)로 생산되던 공지의 쌀에 있어서, 상기 연미공정에서 일반적으로 가수되던 물대신 천연식물에서 추출한 추출액을 가수하여 쌀에 흡습토록 함으로써 다양한 영양소가 부가된 기능성 쌀을 구성한다.
상기 추출액은 천연식물인 참다시마, 도라지, 갈대, 단삼, 애엽, 우슬, 호깨나무, 황금, 비자나무, 속단, 수국, 천마, 초석잠, 화살나무, 향유, 소나무 등을 일정량으로 혼합하고, 천연식물의 중량에 따라 정해진 양의 물과 함께 추출탱크에 넣은 후 100~120℃ 이상으로 가열하여 추출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추출액은 연미공정에서 분사(噴射), 가습(加濕), 함침(含浸)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쌀에 가수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 천연식물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다음 -
참다시마(Laminaria japonica)는 갈조식물 다시마목 다시마과의 해조류로서, 그 키가 토종은 약 1m 정도이고, 일본 유입종은 약 2m 정도로 자란다. 전체적으로 댓잎처럼 생겼으며 몸은 부착기, 줄기, 엽상부로 뚜렷이 나누어진다. 부착기의 흡반으로 바위나 그 밖의 고정물에 붙어산다. 수명은 약 2년이며, 봄에 나타나서 그해 여름에 성숙한다. 그 후 유주자를 밖으로 내보내고 난 엽상체는 계속 성장하고, 유주자는 다시 새 다시마가 된다. 한국 토종은 수심 20∼40m에 서식하고, 일본 유입종은 수심 약 5m의 얕은 수역에서 자란다. 토종과 유입종은 질에 있어서 차이가 있고 흔하게 양식하는 종도 유입종으로 알려져 있다. 토종은 길이가 약 1m이며 잎이 얇고 넓다. 뿌리쪽 가운뎃줄기와 엽상체가 M자 모양이다. 일본 유입종은 길이 약 2m까지 자라고 잎이 두껍고 좁다. 뿌리 부분의 엽상체가 줄기를 가운데로 미끈한 A자 모양을 하고 있다. 토종은 양식한 것보다 알긴산을 비롯한 각종 영양소의 함량이 매우 높다. 비타민, 요오드 따위를 함유하고 있어 약재로 이용하는데 주로 양식한다. 자연산 토종은 동해안 사근진 앞 연안에 많이 분포한다. 다양한 종의 다시마는 한국, 일본, 캄차카반도, 사할린섬 등의 태평양 연안 등에 분포한다. 곤포(昆布), 참곤포, 해대(海帶)라고도 한다.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는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초롱꽃과의 여러해 살이풀로서, 그 키는 40∼100cm 정도로 자라고, 뿌리는 굵고 줄기는 한 대 또는 여러 대가 모여 곧게 자라며, 자르면 흰색 즙액이 나온다.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이며, 7~8월에 흰색이나 하늘색 꽃이 피고, 열매는 삭과이다. 봄·가을에 뿌리를 채취하여 날것으로 먹거나 나물로 먹는다. 도라지의 주용 성분은 사포닌이며, 생약의 길경(桔梗)은 뿌리의 껍질을 벗기거나 그대로 말린 것으로서, 한방에서는 거담이나 진해의 약재로 쓰며, 치열(治熱), 폐열, 편도염, 설사에 사용한다. 산과 들에서 저절로 나는데 재배하기도 하며,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길경, 도랏, 길경채, 백약, 질경, 산도라지라고도 한다.
갈대(Reed, Phragmites communis)는 외떡잎식물 화본목 화본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그 키는 약 3m 정도로 자라고, 뿌리줄기의 마디에서 많은 황색의 수염뿌리가 난다. 줄기는 마디가 있고 단단하며 속이 비었으며, 잎은 가늘고 긴 바소꼴이며 끝이 뾰족하다. 꽃은 8~9월에 피고, 원추 꽃차례로 달리며, 처음에는 자주색이나 담백색으로 변한다. 열매는 영과(穎果)이고 종자에 갓털이 있어 바람에 쉽게 날려 멀리 퍼지며, 번식은 종자와 땅속줄기로 잘 된다. 어린 순은 식용으로 사용하며, 이삭은 빗자루를 만들었고 이삭의 털은 솜대용으로 사용하였다. 성숙한 줄기는 갈대발, 갈삿갓, 삿자리 등을 엮는 데 쓰이고, 또 펄프 원료로 이용한다. 한방에서는 봄에서 가을 사이에 채취하여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 것을 약재로 사용하며, 부위에 따라 뿌리줄기를 노근(蘆根), 줄기를 노경(蘆莖), 잎을 노엽(蘆葉), 꽃을 노화(蘆花)라 하여 진토(鎭吐), 소염(消炎), 이뇨, 해열, 해독에 사용하며, 특히 뿌리는 열을 내리고 진액을 늘리며 소변이 잘 나오게 하고 숙취를 없애며 간 을 보호한다. 습지나 갯가, 호수 주변의 모래땅에 군락을 이루고 자라는데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전 세계에 널리 분포한다. 줄여서 갈이라고도 하며, 한자로 노(蘆) 또는 위(葦)라 하며, 가로, 가위, 각시풀, 겸가, 노위(蘆葦), 노초(蘆草), 문견초라고도 한다.
단삼(丹蔘, Salvia miltiorrhiza)은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그 줄기는 키가 40~80cm 정도로 자라고, 전체에 털이 나 있으며, 잎은 넓은 타원형이다. 5~6월에 푸른 자주색의 잔꽃이 피고 열매는 삭과로 9월에 익는다. 뿌리는 붉은 색으로 특이한 냄새가 나고 약간 쓴맛이 나는데 한방에서 약재로 쓰며, 부인의 생리불순, 생리통, 산후 복통에 쓰이고, 어혈성의 심복부동통과 타박상을 치료하며, 불면증, 피부 발진 등에 사용한다. 깊은 산에 자라는데 한국(경북, 강원지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분마초 또는 혈생근이라고도 한다.
산쑥(=약쑥 또는 애엽(艾葉), Artemisia montana)은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그 키가 약 1.5~2m 정도까지 자란다. 땅속줄기가 옆으로 벋으며 줄기는 모여 나고, 뿌리에 달린 잎은 꽃이 필 때 시든다. 줄기에 달린 잎은 어긋나고, 가운뎃부분에 달린 잎은 깃꼴로 깊게 갈라진다. 8~9월에 노란 꽃이 가지 끝에 원추(圓錐) 꽃차례로 핀다. 어린잎은 식용하고 말린 잎은 뜸쑥을 만드는 재료로 쓴다. 약쑥이라는 별칭은 한방에서 뜸을 뜨는 데 필요한 뜸쑥을 만드는 쑥과 약으로 쓰는 쑥을 뜻하는데서 기인하였다. 쑥의 잎을 말려서 비비면 딱딱한 부분이 떨어지고 솜 같은 부분만 남는다. 이것을 뭉쳐 뜸쑥을 만들고, 뜸쑥을 살에 대고 불을 붙여 뜸을 뜬다. 한방에서 쑥의 잎은 애엽(艾葉)이라는 약재로 쓰는데, 지혈 작용을 하고, 세균의 발육을 억제하며, 진해, 거담 작용을 하고, 여성의 생리통, 생리불순, 대하에 효과가 있으며, 습진과 피부가려움증에 약물을 달인 물로 환부를 세척하면 좋다.산지에서 자라며, 한국, 일본, 사할린섬 등지에 분포한다. 빙대(氷臺), 사재발쑥, 애호(艾蒿), 의초(醫草)라고도 한다.
쇠무릎(=우슬(牛膝), Achyranthes japonica)은 쌍떡잎식물 중심자목 비름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키는 50~100cm 정도이고, 잎은 마주나고 타원형이다. 8~9월에 연한 녹색 꽃이 수상(穗狀) 꽃차례로 피고 열매는 포과(胞果)로 겉에 가시가 있어서 사람의 옷에 잘 붙는다. 어린 순은 나물로 먹고 뿌리로는 술을 담근다. 한방에서 뿌리를 말려 우슬(牛膝)이라 하고, 이를 이뇨, 강정, 통경에 쓰며, 민간요법에서는 임질과 두통약으로 쓰며, 줄기와 잎은 독사에 물렸을 때 해독약으로 쓴다. 다소 습기가 있는 곳에서 자라며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산현채(山見菜), 대절채(對節菜), 쇠물팍, 쇠무릎지기, 은실, 백배(百倍), 마청초라고도 한다.
호깨나무(=지구자, Hovenia dulcis)는 갈매나뭇과의 낙엽교목으로서, 그 키는 10~17미터 정도로 자라고, 잎은 넓은 달걀 모양이며 톱니가 있다. 7월에 흰 오판화가 취산 꽃차례로 피고 열매는 갈색의 둥근 핵과(核果)로 9~10월에 익는다. 줄기는 가구, 악기 따위를 만드는 데 쓰고 열매는 식용한다. 한방에서 지구자라 하며, 술 먹은 뒤를 깨끗하게 하고 대소변을 잘 통하게 하는 데에 쓴다. 산 중턱 아래의 숲 속에서 자라는데 한국의 중부이남,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목밀(木蜜), 목산호, 허깨나무, 지구자나무라고도 한다.
황금(黃芩, Scutellaria baicalensis)은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 러해살이풀로서, 그 키가 20∼60cm 정도이고, 잎은 마주나며 피침 모양이다. 7~8월에 자줏빛 꽃이 총상(總狀) 꽃차례로 피고 열매는 수과(瘦果)를 맺는다. 한방에서 뿌리를 해열, 이뇨, 지사, 이담 및 소염제로 이용하며, 약용식물로 재배한다. 산지(山地)에서 자라는데 한국, 중국, 몽골 및 시베리아 동부 등지에 분포한다. 속서근풀 또는 황금초라고도 한다.
비자나무(榧子木, Torreya nucifera)는 겉씨식물 구과목 주목과의 상록교목으로서, 키는 25미터이며 둘레는 2미터에 달하고, 가지가 사방으로 퍼지며, 나무껍질은 회갈색이다. 잎은 두툼하고 단단하며 가지에 촘촘히 나고 선 모양으로 깃처럼 두 줄로 배열되어 있다. 꽃은 단성화로 4월에 피는데 수꽃은 10개 안팎의 꽃이 한꽃가지에 달리고, 암꽃은 한 곳에 2~3개씩 달린다. 열매는 핵과(核果)로 이듬해 10월에 붉은 자주색으로 익는데 이것을 비자(榧子)라 한다. 비자는 맛이 몹시 떫으며, 한의학에서는 구충제, 변비 치료제로 쓰며, 기침을 멈추게 하는 데에도 효과가 있다. 열매는 기름을 짜서 식용유, 등유, 도료로 사용하고, 목재는 건축재, 조선, 바둑판, 가구 재료 등으로 쓴다. 한국의 내장산, 일본에 분포한다.
속단(續斷, Phlomis umbrosa)은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키는 1미터 정도이고, 잎은 마주나며 달걀 모양이다. 7월에 붉은색 꽃이 윤산 꽃차례로 줄기 위나 가지 끝에 피고 열매는 넓은 달걀 모양의 수과(瘦果)를 맺는다. 뿌리와 줄기는 지혈제로 쓰고 어린잎은 식용한다. 한국,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수국(水菊, Hydrangea macrophylla for. otaksa)은 쌍떡잎식물 장미목 범의 귓과의 낙엽관목으로서, 키는 1미터 정도이고, 잎은 마주나고 달걀 모양인데, 두껍고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있다. 꽃은 중성화로 6∼7월에 피며 10∼15cm 크기이고, 산방 꽃차례로 피며, 처음에는 연한 자주색이던 것이 하늘색으로 되었다가 다시 연한 홍색이 되며, 열매는 맺지 못한다. 꽃은 말려서 해열제로 쓰고, 주로 관상용으로 재배한다. 일본에서 개발되었다. 분단화(粉團花), 수구화(繡毬花), 자양화(紫陽花), 팔선화(八仙花)라고도 한다.
천마(天麻, Gastrodia elata)는 외떡잎식물 난초목 난초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그 키는 1미터 정도이고, 잎이 없으며, 긴 타원형의 덩이줄기가 있다. 6~7월에 엷은 황갈색 꽃이 줄기 끝에 총상(總狀) 꽃차례로 피고 열매는 삭과를 맺는다. 전초를 강장제, 신경 쇠약, 현기증 및 두통에 사용하며, 한국·일본·대만·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수자해좆이나 적전(赤箭) 또는 정풍초라고도 하며, 한의학에서는 성질이 조금 따뜻하고 맛이 매운 약재로 풍증과 두통, 어지럼증, 경풍, 경간 따위에 쓴다.
석잠풀(=초석잠(草石蠶), Stachys riederi var. japonica)은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줄기는 사각형이며 모서리가 4개 있고 약 30~60cm 높이로 자란다. 기부에는 포복하는 뿌리가 있으며, 그 끝에는 골뱅이나 번데기 모양을 하는 덩이줄기가 있다. 잎은 마주나고 피침 모양이다. 6~9월에 연한 붉은색 꽃이 윤산 꽃차례로 줄기 끝에서 피고 열매는 수과(瘦果)이다. 한방에서 초석잠(草石蠶)이라는 약재로 쓰는데, 미열이 있고 소변을 잘 못 보며 몸이 붓는 증세에 효과가 있다. 산과 들의 습지에 나는데 한국, 중국 동북부, 일본, 시베리아 동부, 캄차카반도 등지에 분포한다. 초석잠은 감로자(甘露子), 적로(滴露), 감로아(甘露兒), 지잠(地蠶), 지유(地紐), 토용(土踊), 보탑채(寶塔菜), 장노희(長老喜)등으로 불린다.
화살나무(八樹, Euonymus alatus)는 쌍떡잎식물 무환자나무목 노박덩굴과의 낙엽관목으로서, 그 키는 1~3미터이고, 잎은 마주나고 타원형이다. 6월에 노란색을 띤 녹색 꽃이 취산 꽃차례로 피고 열매는 삭과로 10월에 익는다. 줄기는 지팡이·화살을 만들며, 잔가지에 난 코르크질의 날개 같은 것은 약용(한방에서는 지혈, 구어혈(驅瘀血), 통경에 사용)하고 어린잎은 식용한다. 산기슭이나 산 중턱의 암석지에서 자라는데 한국, 일본, 사할린 등지에 분포한다. 가지의 날개를 귀전우(鬼剪羽)라고 한다.
향유(Elsholtzia ciliata)는 꿀풀과의 한해살이풀로서, 그 키는 60cm 정도이고, 잎은 마주나고 달걀 모양으로 가에 톱니가 있다. 8~9월에 붉은 자주색 꽃이 수상(穗狀) 꽃차례로 가지 끝에 피고 열매는 수과(瘦果)로 10월에 익는다. 전초를 약용(한방에서는 꽃이 필 때 전초를 말린 것을 향유라고 하며, 발한, 해열, 이뇨, 지혈제로서 부스럼, 각기, 수종, 위염, 비혈 및 구취를 치료하는데 사용)한다. 산이나 들에서 자라는데 아시아 온대에서 유럽에 걸쳐 분포한다. 노야기, 향여(香茹)라고도 한다.
소나무(Pinus densiflora)는 겉씨식물 구과목 소나뭇과의 상록침엽교목으로서, 그 키는 35미터 정도이고, 잎은 두 잎이 뭉쳐나며 피침 모양이다. 꽃은 5월에 피고 열매는 구과(毬果)로 다음 해 가을에 맺는다. 잎은 각기 소화불량 또는 강장 제로, 꽃은 이질에, 송진은 고약의 원료 등에 약용으로 쓴다. 화분은 송홧가루로 다식을 만들며 껍질은 송기떡을 만들어 식용한다. 건축재, 펄프용재로 이용되고, 테레빈유는 페인트, 니스용재, 합성장뇌의 원료로 쓰인다. 한국, 일본, 우수리, 만주 등지에 분포한다. 관상용, 정자목, 신목(神木), 당산목으로 많이 심었다. 솔, 솔나무, 소오리나무라고도 하며, 한자어로 송(松), 적송(赤松), 송목(松木), 송수(松樹), 청송(靑松), 육송(陸松)이라고도 한다.
본 발명인 천연식물의 추출액이 흡습된 기능성 쌀의 제조과정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우선 주원료인 수확한 벼를 정선과 제현공정을 거쳐 왕겨층을 제거하여 현미로 분리하고, 석발, 정미, 제강공정을 거쳐 쌀겨의 95% 정도까지 도정한다.
곤포(참다시마) 8중량%, 도라지 5중량%, 갈대의 뿌리 5중량%, 단삼 3중량%, 애엽(약쑥) 10중량%, 우슬(쇠무릎) 5중량%, 호깨나무(지구자)의 열매 8중량%, 황금 5중량%, 비자나무의 열매 8중량%, 속단의 뿌리 5중량%, 수국의 잎 8중량%, 천마 10중량%, 초석잠 5중량%, 화살나무의 어린잎 5중량%, 향유의 어린잎 5중량%, 소나무의 잎 5중량%를 혼합하고, 혼합된 천연식물 100㎏과 물 2000리터(2000㎏=2톤)를 추출탱크에 투입한 후에 100~120℃로 가열하여 추출한 액상물질인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천연식물의 추출액을 득한다.
이때 상기 추출액은 천연식물을 추출액으로 추출하는 과정에서 증발하는 기체를 냉각하면서 추출하는 방법(= 증류추출방법)으로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95%가 도정된 쌀에 천연식물에서 얻어진 추출액을 분사, 가습 또는 함침 등의 방법에 의해 가수(加水)하면서, 나머지 5%의 쌀겨와 미분(米粉) 및 유분(油分)을 제거하고, 정상적인 쌀만을 선별기로 선별하여 천연식물의 추출액이 흡습된 기능성 쌀을 생산하며, 이후 계량 및 포장하여 소비자에게 공급하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95%가 도정된 쌀에 추출액을 가수할 시 통상적인 추출이나 증류추출에 의해 얻어진 추출액을 바로 사용할 수도 있고, 상기 추출액을 통상의 방법으로 증류하여 얻어진 증류액을 사용할 수도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한 방법으로 생산된 기능성 쌀은 종래 쌀에 비해 저장성이 월등히 높은 정제미(=청결미)이면서 천연식물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에 의해 쌀을 보다 장기간 보존할 수 있고, 영양적인 측면에서도 소화가 잘되는 정백미가 갖는 영양소의 불균형을 천연식물로부터 추출한 추출액에 의해 보충할 수 있으며, 천연식물의 약리효과와 원적외선에 의한 효능을 동시에 득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천연식물에서 추출한 추출액이 흡습된 기능성 쌀 및 이의 제조방법은 소비자가 별도의 수세작업을 하지 않고 바로 취반하여 섭취할 수 있고, 일반도정으로만 된 쌀에 비해 저장성도 월등히 높은 정제미(=청결미)이며, 현미 등에 반하여 소화가 잘되며, 쌀의 표면에 기능성 성분을 코팅하는 종래 쌀에 반하여 도정공정에서 천연식물의 추출액을 가수하여 쌀에 흡수토록 함으로써 취반 시 밥의 호화(糊化)를 지연시키는 등의 문제점을 일소한 것이다.
특히, 도정 후 씨젖(=배유(胚乳))만 남은 쌀이 갖는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외에도 상기 천연식물들이 갖는 다양한 영양소와 천연식물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에 의해 보관 및 유통 시에 항균성을 제공하여 장기간 보존이 가능하고, 취반 후 섭취할 시 쌀의 영양소와 천연식물의 다양한 영양소는 물론이고 천연식물의 약리효과까지 얻을 수 있으며, 취반 후 섭취 시 천연식물의 원적외선에 의해 모세혈관을 확장시켜 혈액순환과 세포조직 생성에 도움을 주며, 세포조직을 활성화하여 노화방지, 신진대사 촉진 및 만성피로 등 각종 성인병을 예방할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발명이다.

Claims (4)

  1. 벼를 수확하여 도정(搗精)하는 공정 중 연미(軟米)공정단계에서 습식연미기를 사용하여 물을 가수(加水)하면서 남아 있는 쌀겨와 미분(米粉) 및 유분(油分)을 제거한 다음 정상적인 쌀만을 선별기로 선별하여 생산되는 공지의 쌀에 있어서;
    상기 쌀은 곤포(참다시마), 도라지, 갈대뿌리, 단삼, 애엽(약쑥), 우슬(쇠무릎), 호깨나무 열매(지구자), 황금, 비자나무 열매, 속단, 수국 잎, 천마, 초석잠, 화살나무 열매, 향유의 어린잎, 소나무의 어린잎이 혼합 구성된 천연식물에서 추출한 추출액을 가수하여 흡습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식물의 추출액이 흡습된 기능성 쌀.
  2. 벼를 정선과 제현공정을 거쳐 왕겨층을 제거하여 현미로 분리하고, 석발, 정미, 제강공정을 거쳐 쌀겨의 95% 정도 도정한 후, 연미(軟米)공정단계에서 습식연미기를 사용하여 물을 가수(加水)하면서 남아 있는 쌀겨와 미분 및 유분을 제거한 다음, 선별기로 선별하여 계량 및 포장토록 한 공지의 쌀 제조방법에 있어서;
    천연식물인 곤포(참다시마) 8중량%, 도라지 5중량%, 갈대의 뿌리 5중량%, 단삼 3중량%, 애엽(약쑥) 10중량%, 우슬(쇠무릎) 5중량%, 호깨나무(지구자)의 열매 8중량%, 황금 5중량%, 비자나무의 열매 8중량%, 속단의 뿌리 5중량%, 수국의 잎 8중량%, 천마 10중량%, 초석잠 5중량%, 화살나무의 어린잎 5중량%, 향유의 어린잎 5중 량%, 소나무의 잎 5중량%를 혼합하는 단계와,
    혼합된 천연식물 100㎏과 물 2000리터(2000㎏=2톤)를 추출탱크에 투입하는 단계와,
    천연식물과 물이 투입된 추출탱크를 100~120℃로 가열하여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95%가 도정된 쌀에 분사, 가습, 함침 중 선택된 하나의 방법에 의해 상기 천연식물에서 얻어진 추출액을 가수하면서, 나머지 5%의 쌀겨와 미분 및 유분을 제거하고, 정상적인 쌀만을 선별기로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식물의 추출액이 흡습된 기능성 쌀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식물에서 추출액을 추출하는 단계에서 가열에 의해 증발하는 기체를 냉각하면서 추출하는 방법인 증류추출을 통해 추출액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식물의 추출액이 흡습된 기능성 쌀의 제조방법.
  4. 제2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식물의 추출액을 통상의 방법으로 증류하여 얻어진 증류액을 상기 95%가 도정된 쌀에 분사, 가습, 함침 중 선택된 하나의 방법에 의해 가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식물의 추출액이 흡습된 기능성 쌀의 제조방법.
KR1020060040143A 2005-12-19 2006-05-03 천연식물의 추출액이 흡습된 기능성 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700651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35624 2005-12-19
KR2020050035624 2005-12-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5190A true KR20070065190A (ko) 2007-06-22

Family

ID=38364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0143A KR20070065190A (ko) 2005-12-19 2006-05-03 천연식물의 추출액이 흡습된 기능성 쌀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6519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2343A (ko) * 2015-01-27 2016-08-04 연무농업협동조합 저장성이 향상된 기능성 현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2343A (ko) * 2015-01-27 2016-08-04 연무농업협동조합 저장성이 향상된 기능성 현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lowman Folk uses of new world aroids
KR20130047778A (ko) 약용 꽃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Yapwattanaphun et al. Utilization of some Garcinia species in Thailand
CN105918984A (zh) 一种睡菜根风味龙贡果酱及制作方法
CN109380653A (zh) 一种七彩糯米饭的制备方法
CN107637457A (zh) 一种绞股蓝的种植方法
CN106562279A (zh) 一种丁香风味释迦罐头及其生产方法
KR20030004180A (ko) 식물성 첨가물이 첨가된 인스턴트 커피
KR101537199B1 (ko) 황칠나무 추출액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강보조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569687B1 (ko) 딸기재배용 효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딸기재배용 효소 조성물
CN106085441A (zh) 一种稻米种植土壤改良剂、其制备方法及稻米种植方法
KR100753856B1 (ko) 황토사료 및 그 제조방법
CN109247507A (zh) 一种七彩粽子及其制备方法
KR20080093947A (ko) 한약재를 이용한 가금류의 사육방법
Hernández-Herrera et al. Mexican Desertic Medicinal Plants
KR20100016684A (ko) 기능성 다류 액상 추출물의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으로추출물로 액상다류를 만드는 방법
KR20150061841A (ko) 유기질 비료용 효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유기질 비료 용 효소 조성물
KR101696232B1 (ko) 모발 개선용 한방식품
KR20070065190A (ko) 천연식물의 추출액이 흡습된 기능성 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81994B1 (ko) 상황버섯을 이용한 콩나물의 재배방법
CN105802798A (zh) 一种腰果假果风味沙枣果酒的酿制方法
CN105055597B (zh) 治疗孔雀肠胃炎的中药制剂及其生产方法
KR102491631B1 (ko) 양념소금의 제조방법
CN105831542B (zh) 一种润肺化痰的固体保健饮料及其制备方法
De et al. Indigenous Horticultural Crops of India for Immunity Develo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