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1513B1 -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1513B1
KR101691513B1 KR1020090092053A KR20090092053A KR101691513B1 KR 101691513 B1 KR101691513 B1 KR 101691513B1 KR 1020090092053 A KR1020090092053 A KR 1020090092053A KR 20090092053 A KR20090092053 A KR 20090092053A KR 101691513 B1 KR101691513 B1 KR 101691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unit
set temperature
food
food wast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2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4511A (ko
Inventor
정진규
이왕준
이창영
박명진
장동희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2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1513B1/ko
Publication of KR20110034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4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방법은 (a)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하우징에 착탈 가능한 거름망이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b) 거름망이 하우징으로부터 제1 기준 시간을 초과하여 분리되는 경우,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를 구동함으로써 효율적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가 가능하고, 일정 시간 이상 거름망이 분리된 경우만 음식물 쓰레기 처리를 진행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막을 수 있다.
음식물 처리기, 씽크볼, 거름망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Food Treatmen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씽크볼과 거름망의 분리 여부를 감지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관리하는 방법에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발효시켜 퇴비화하거나 분해하여 처리하는 방법과, 물리적으로 압축 또는 분쇄하여 건조 처리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에서 미생물을 이용하는 방법은 음식물의 성상에 대한 제약 및 미생물의 구입, 보관, 유지조건 등의 별도 구입 및 관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더욱이 염분이 많이 포함된 우리나라 음식에는 비현실적인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방법으로는 건조 처리하는 방법이 주류를 이루고 있고, 다양한 형태의 개발 및 출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또한 독립한 기계형태로 되어 있는 경우도 있으나, 이럴 경우 음식물 쓰레기를 따로 모아서 처리장치에 넣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따라 씽크대에 연결해서 음식물 쓰레기를 씽크대에서 바로바로 처리하는 제품이 새로 각광받고 있다.
종래의 씽크볼 타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크게 음식물을 음식물처리기 내부로 투입할 수 있는 음식물 투입구, 음식물 투입구와 연결되어 있으며 투입된 음식물을 이송시킬 수 있는 이송부, 음식물을 건조시키는 건조부 및 건조부에서 발생된 악취를 제거하는 탈취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우선 투입구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면, 모터가 작동되어 이송 블레이드를 회전 구동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렇게 건조부에 음식물 쓰레기가 모두 유입되면, 건조부는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 등의 처리를 하고, 건조부에서 발생된 악취는 연통된 탈취부에서 처리된 후에 배기구로 배출된다.
종래의 씽크볼 타입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에서는 씽크대 하부의 씽크볼을 통해 일정량의 음식물이 투입된 이후에, 사용자가 전원장치의 동작버튼을 누르는 것에 의해 건조부를 가동하여 음식물의 처리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사용자가 일일이 동작버튼을 눌러야하는 불편이 있었다.
사용자 편의를 위해서 거름망의 분리 여부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구동을 시작하는 경우에도, 음식물이 투입되지 않고 다른 이유에서 거름망을 분리한 경우에는 쓸데없이 전력이 낭비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건조부 내로 음식물이 투입되지 않거나 건조가 완료되었음에도 계속 건조부는 작동함으로써 장치가 과열되거나 전력이 필요 이상으로 소모될 수 있다.
또한, 건조부 내의 히터에 의해서 건조부가 일정 온도 이상 과열되면, 음식물 처리 장치의 오동작, 부품의 손상 및 화재의 위험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음식물이 투입되는 씽크볼 내에 구비되는 일정 시간을 초과한 거름망의 분리 여부에 의해서 이송부 및 건조부를 구동함으로써, 음식물 처리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건조부에 음식물이 투입되지 않았거나 건조가 완료된 경우 건조부의 동작을 조기에 종료시켜 에너지를 절약하고, 건조부의 과열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는 씽크대 하부에 마련된 중공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거름망 및 상기 거름망의 상기 하우징으로부터의 분리 여부를 감지하는 분리 감지 센서를 구비하는 씽크볼; 상기 씽크볼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건조부; 및 상기 분리 감지 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분리 감지 센서로부터의 분리 감지 신호가 제1 기준 시간을 초과하여 수신되는 경우, 상기 건조부가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를 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리 감지 센서로부터의 분리 감지 신호가 제1 기준 시간을 초과하여 수신된 후 상기 분리 감지 신호의 수신이 정지되는 경우, 상기 건조 부가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를 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조부로의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투입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건조부의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조부에서의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건조부의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부는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한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건조부의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제1 설정온도에서 제2 설정온도에 도달하는 시간이 제2 기준 시간에 미달하는 경우, 상기 건조부의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조부의 온도가 제3 설정온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제3 설정온도는 상기 제2 설정온도를 초과하고, 상기 제2 설정온도는 상기 제1 설정온도를 초과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설정온도는 80o C ~ 100o C이고, 제2 설정온도는 100o C ~ 110o C이며, 상기 제2 기준 시간은 4~5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기준 시간은 3~10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리 감지 센서는 리드 스위치, MR 센서, 광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방법 은 (a)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하우징에 착탈 가능한 거름망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b) 상기 거름망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제1 기준 시간을 초과하여 분리되는 경우,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b) 단계는, (b) 상기 거름망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제1 기준 시간을 초과하여 분리된 후 상기 하우징에 재체결되는 경우,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를 구동하는 단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b) 단계 이후에, (c)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내의 건조부에서의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건조부에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건조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건조부의 동작을 중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b) 단계 이후에, (c)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내의 건조부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건조부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건조부의 동작을 중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 단계는, (e) 상기 건조부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 및 (f) 상기 감지한 내부 온도에 기초하여, 제1 설정 온도에서 제2 설정 온도에 도달하는 시간이 제2 기준 시간에 미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제1 설정 온도에서 상기 제2 설정 온도에 도달하는 시간이 상기 제2 기준 시간에 미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건조부의 동작을 중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설정온도는 80o C ~ 100o C이고, 제2 설정온도는 100o C ~ 110o C이며, 상기 제2 기준 시간은 4~5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기준 시간은 3~10초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씽크볼에서 거름망의 분리 여부에 따라 자동적으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를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키고,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일정 시간 이상 거름망이 분리된 경우만 음식물 쓰레기 처리를 진행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막을 수 있다.
또한, 건조부에 음식물이 투입되지 않았거나 건조가 완료된 경우, 건조부의 동작을 조기에 종료시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건조부의 내부 온도가 일정 온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여,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오동장, 과열로 인한 부품의 소손 및 화재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내부구성요소가 드러나도록 외부 케이스가 일부 절개된 상태에서 일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거름망과 상기 거름망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씽크볼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물체감지센서 및 배출구 등의 위치를 보이기 위한 하우징의 평면도, 도 4는 제어부를 중심으로 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와의 관계를 보이는 다이어그램,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100)에 대해 설명한다.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100)는 씽크대(미도시) 하부에 마련되는 씽크볼(110), 씽크볼(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교반, 분쇄, 건조 등의 공정이 행해지는 건조부(140), 건조부(140)의 입구에 연결되어 씽크볼(110)을 통한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시키는 이송부(130), 씽크볼(110)과 이송부(130) 사이에 배치되어 유입되는 음식물을 연동시키는 연결부(120), 상기 건조부(140)에서 발생하는 음식물의 악취를 제거하는 작용을 하는 탈취부(150)를 구비한다. 상기 이송부(130), 건조부(140)는 외관 및 안전상 케이스(102) 내에 배치되어 외부와 차단되어질 수 있다.
씽크볼(110)은 씽크대 하부에 마련되는 중공 형상의 하우징(116), 하우징(116)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거름망(112), 거름망(112)의 상부에 배치되는 동시에 하우징(116)의 개방된 상부를 가리는 작용을 하는 덮개(111)로 이루어진다.
하우징(116)은 그 하단에 마련되어지고 연결부(120) 측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게 기능하는 배출구(116a), 측면에 배치되고 생성되는 오수를 배출하는 배수구(117), 및 하우징(116)의 측면에 부설되는 분리 감지부(119)를 구비한다. 상기 분리 감지부(119)에는 거름망(112)의 하우징(116)으로부터의 분리 여부를 감지체(114)로부터 센싱할 수 있도록 하우징(116)에 부설되는 분리 감지 센서(118)를 구비한다. 분리 감지 센서(118)는 하우징(116) 내부 방향으로 일정거리 돌출되는 형상을 취할 수 있으며, 리드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16)은 씽크대 상의 개수대 하부에 장착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100)로 유입하도록 하는 임시저장공간 역할을 할 뿐 아니라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토출되는 오수를 분리배출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의 기능도 하게 된다. 여기에서 하우징(116)은 상하부로의 탈착이 용이하도록 원통형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16)의 측면에는 배수구(117)가 마련되어 거름망(112)을 통해 배출되는 오수가 드레인(137)으로 이동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하도록 한다.
하우징(116) 내에는 거름망(112)이 장착되는데, 거름망(112)은 용기 형상의 몸체(113), 몸체(113)의 상부에 체결되는 손잡이(112a), 및 몸체(113)의 일측면에 부설되는 감지체(114)로 이루어진다. 거름망(112)은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물기를 분리해 내는 기능을 한다. 거름망(130)은 외주면과 바닥면에 오수구(113a)가 형성 된다. 거름망(130)에는 사용자가 착탈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의 손잡이(112a)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배출구(116a)는 하우징(116)의 중앙을 기준으로 편심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하우징(116)의 중심과 배출구(116a)의 중심은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 하우징(116)을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배출구(116a)는 하우징(116) 하부의 모든 회전반경 위치에서 배치가 가능하게 된다. 즉,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100)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상기 처리기(100)가 설치되는 공간이 협소하다든지 하는 공간적인 문제가 발생하면 하우징(116)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시켜 배출구(116a)의 위치를 조정하는 과정에 의해서 해결이 가능하다.
연결부(120)는 씽크볼(110)의 하단에 직접 접속되는 주름관(122)과 주름관(122) 하측으로 배치되는 접속구(124)로 이루어진다. 주름관(122)은 씽크대 하부의 임의의 장소에의 설치 및 음식물의 원활한 유입을 위하여 필요하고, 접속구(124)는 이송부(130)로부터의 착탈이 용이하도록 분리가 쉬운 구조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송부(130)는 회전 스크류가 내부에 수용되어 간섭되지 않게 회전될 수 있고 수평면과 일정 각도를 유지한 채 기울어진 구조를 유지하며, 회전 스크류가 그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한 수용부(134)와 상기 수용부(134)의 상측을 폐쇄하는 덮개부(132)로 이루어진다. 즉, 연결부(120)를 거쳐 유입된 물기를 가진 음식물이 상기 회전스크류에 의하여 압착 회전되는 과정을 거치며 오수가 하부의 드레인(137)으로 배출되고 잔여 음식물은 회전스크류를 따라 이송부(130)의 상측으로 이송되는 과정을 거친다.
건조부(140)에서는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데,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는 음식물 쓰레기의 교반, 분쇄, 가열 및 건조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는 교반, 분쇄, 가열 및 건조가 모두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중 일부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거름망(112)의 감지체(114) 및 하우징(116)의 분리 감지 센서(118)와의 위치관계 및 기능을 살핀다. 감지체(114)는 자력을 띤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거름망(112)의 외주면 상에 삽입고정되거나 돌출된 상태로 이루어짐으로써 거름망(112)이 하우징(116) 내에 안착되는 경우에 분리 감지 센서(118)와의 직접적인 접촉 또는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여 센싱받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감지체(114)와 분리 감지 센서(118)가 일직선 상에 배치하도록 유도하기 위해서 거름망(112)과 하우징(116)의 형상은 상호 대응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분리 감지 센서(118)는 하우징(116)에 거름망(112)이 분리되는지 또는 체결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의 기능을 담당한다. 분리 감지 센서(118)는 리드 스위치, MR (magnetic register) 센서, 광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일 수 있다.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100)를 가동하는 과정에서 음식물 찌꺼기를 투입하기 위해서는 거름망(112)이 제거된 상태에서 투입이 되어져야 한다. 분리 감지 센 서(118)는 거름망(112)이 하우징(116)으로부터 분리되었는지를 감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거름망(112)이 하우징(116)으로부터 분리된 경우, 음식물 투입을 위한 것이라고 판단하여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100)를 구동시켜 음식물 쓰레기 처리를 시작할 수 있다.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100)의 구동은 이송부(130)가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부(140)로 이송하고, 이송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부(140)가 처리하도록, 이송부(130) 및 건조부(140)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의미한다. 거름망(112)의 분리 여부에 의해서 구동을 개시하면,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동작 버튼을 따로 누를 필요가 없어 손쉽게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다. 건조부(140)가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를 담당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는 음식물 쓰레기의 교반, 분쇄, 가열 및 건조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그러나, 거름망(112)이 하우징(116)으로부터 분리되었다고 해서 바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100)를 구동하게 되면, 음식물 쓰레기 처리가 아닌 다른 이유에서 거름망(112)을 분리한 경우 쓸데없는 전력을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100)에서는, 기설정된 시간인 제1 기준 시간을 초과하여 거름망(112)이 분리된 경우에만 음식물 쓰레기 처리를 위한 분리라고 판단하여,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100)를 구동한다. 제1 기준 시간을 초과하여 거름망(112)이 분리된 경우에만 이송부(130) 및 건조부(140)를 구동시키면, 쓸데없는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자는 실험을 통해서 제1 기준 시간이 약 3~10초인 경우, 음식물 쓰레기 처리를 위한 거름망(112)의 분리인 지 여부를 판단하는 가장 적절한 시간인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100)에서는 제1 기준 시간을 초과하여 거름망(112)이 분리된 후 다시 원 상태로 체결된 경우,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100)의 구동을 개시할 수 있다. 즉, 분리 감지 센서(118)가 거름망(112)의 하우징에의 재체결여부를 감지하면, 이송부(130) 및 건조부(140)를 구동시키는 것이다. 거름망(112)의 재체결시에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100)의 구동을 개시하면, 이송부(130) 및 건조부(140)에 음식물이 급격히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건조부(140)에서는 히터를 가동함으로써 내부의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킨다. 건조부(140)를 통해 건조과정이 수행되는 동안, 건조부(140)에 구비된 온도 감지 센서가 건조부(14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한다. 건조부(140)에서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가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건조부(140)의 온도가 낮게 유지되고 시간에 따른 건조부(140) 내의 온도 변화가 적다. 제1 설정온도에서 제2 설정온도에 도달하는 시간이 기 설정된 제2 기준 시간 내이면, 원하는 만큼의 건조가 이루어졌다고 판단하여 건조부(140)의 동작을 중지시킨다. 또한, 제1 설정온도에서 제2 설정온도에 도달하는 시간이 제2 기준 시간을 초과하면, 건조과정이 아직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건조부(140)를 계속 구동시킨다.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된 경우가 아닌 경우에도, 음식물 쓰레기 처리를 위한 거름망(112)의 분리라고 잘못 판단하여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100)의 구동을 개 시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는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건조부(140)의 전력을 소모하게 되므로, 건조부(140)의 구동을 조기에 종료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1 설정온도에서 제2 설정온도에 도달하는 시간이 기 설정된 제2 기준 시간 내이면, 건조부(140) 내부에 음식물이 없다고 판단하여 건조부(140)의 동작을 중지시킨다.
제1 설정온도 및 제2 설정온도는 음식물 쓰레기 투입여부 및 건조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다양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건조부(140)의 최고 온도는 일반적으로 150o C를 넘지 않는다. 최고 온도에 도달하기 전에 음식물 투입여부 및 건조 상태를 판단하여야 건조부(140)의 조기 종료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자는 다수의 실험을 통해, 제1 설정온도가 80o C ~ 100o C이고, 제2 설정온도가 100o C ~ 110o C이며, 기설정된 시간이 4~5분인 경우, 내부 음식물 유무 및 건조 상태를 가장 잘 파악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제1 설정온도가 약 90o C이고, 제2 설정온도가 약 105o C이며, 기설정된 시간이 약 4분 30초인 경우, 가장 효과적으로 내부 음식물 유무 및 건조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100)에서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씽크볼(110)에 음식물을 공급하기 위해서 거름망(112)을 하우징(116)으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을 한다. 씽크볼(110)의 거름망(112) 을 제거하게 되면 분리 감지 센서(118)가 더이상 감지체(114)의 신호를 전송받지 못하는 상태가 되므로, 분리 감지 센서(118)를 구비하는 분리 감지부(119)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160)에 씽크볼(110)의 입구부가 개방되었다는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제어부(160)는 거름망(112)이 하우징(116)으로부터 분리된 경우, 음식물 투입을 위한 것이라고 판단하여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10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동작 버튼을 따로 누를 필요가 없어, 손쉽게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분리 감지부(119)로부터의 분리 감지 신호가 일정 시간을 초과하여 수신되는 경우에 제1 구동부(136)와 제2 구동부(144)를 통하여 건조부(140) 및 이송부(130)를 구동시킨다. 이는 분리 감지 신호가 제1 기준 시간 이하인 경우에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가 아닌 다른 이유로 거름망(112)을 분리한 것으로 판단하여, 건조부(140)의 동작을 정지시켜 이송부(130) 및 건조부(140)의 구동으로 인한 쓸데없는 전력 소모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어부(160)는 분리 감지 신호가 일정 시간을 초과하여 수신된 후, 수신이 정지되는 경우에 건조부(140) 및 이송부(130)를 구동시킬 수 있다. 분리 감지 신호의 수신이 정지되었다는 것은 거름망(112)이 하우징(116)에 재체결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건조부(140)에 구비된 온도 감지 센서(146)는, 건조부(140)를 통해 건조과정이 수행되는 동안 건조부(14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한다. 온도 감지 센서(146)는 건조부(140) 내부온도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서, 서미스 터(Thermistor), 바이메탈 등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건조부(140) 내의 온도는 히터의 동작에 의해서 상승할 수 있으며, 150o C를 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는 과열을 방지하여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오동작 및 과열로 인한 부품의 손상 및 화재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어부(160)는 온도 감지 센서(146)로부터 감지한 온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건조부(140) 내에 음식물이 투입되지 않았거나, 건조상태에 이른 경우에는 건조부(140) 내의 온도 변화가 상대적으로 크다. 따라서, 제1 설정온도에서 제2 설정온도에 도달하는 시간이 제2 기준 시간 내이면, 제어부(160)는 건조부(140) 내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지 않았거나 원하는 만큼의 건조가 이루어졌다고 판단하여 건조부(140)의 동작을 중지시킨다. 제1 설정온도에서 제2 설정온도에 도달하는 시간이 제2 기준 시간을 초과한 경우에는, 제어부(160)는 음식물이 투입되어 건조과정이 아직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건조부(140)를 계속 구동시킨다. 제1 설정온도 및 제2 설정온도는 음식물 쓰레기 투입여부 및 건조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다양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단계 510에서는 제어부(160)가 거름망(112)이 하우징(116)으로부터 기 설정된 제1 기준 시간을 초과하여 분리되었는지 판단한다. 거름망(112)이 분리되는 경 우 항상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구동을 시작하게 되면, 음식물 쓰레기 처리가 아닌 다른 이유에서 거름망(112)을 분리한 경우도 포함되어 쓸데없는 전력 낭비가 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자는 실험을 통해서 제1 기준 시간이 약 3~10초인 경우, 음식물 쓰레기 처리를 위한 거름망(112)의 분리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가장 적절한 시간인 것을 확인하였다.
단계 510의 판단결과, 거름망(112)이 제1 기준 시간을 초과하여 분리된 경우에는 단계 520을 진행한다. 단계 520에서는 제어부(160)가 음식물 쓰레기 처리를 개시한다. 제어부(160)는 건조부(140)의 분쇄스크류를 구동하는 제1 구동부(144) 및 이송부(130)의 동력 제공을 담당하는 제2 구동부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이송부(130) 및 건조부(140)가 작동을 시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건조부(140)의 히터에 전력을 공급하여, 건조부(140) 내부에 열을 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거름망(112)이 제1 기준 시간을 초과하여 분리되고 하우징(116)에 재체결되는 경우에,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100)의 구동을 개시할 수 있다. 거름망(112)이 재체결되는 경우에 이송부(130) 및 건조부(140)의 구동을 개시하면, 이송부(130) 및 건조부(140)에 음식물이 급격히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계 530에서는 건조부(140) 내의 온도 감지 센서(146)가 건조부(14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한다. 온도 감지 센서(146)는 건조부(140) 내부온도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서, 서미스터(Thermistor), 바이메탈 등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단계 540에서는 제어부(160)가 제1 설정 온도에서 제2 설정 온도에 도달하는 시간이 제2 기준시간에 미달하는지를 판단한다. 제1 설정 온도에서 제2 설정 온도에 도달하는 시간이 제2 기준시간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처리가 필요한 음식물 쓰레기가 건조부(140) 내에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달리 말하면, 건조부(140) 내에 음식물이 투입되지 않았거나,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건조상태에 이른 경우에는 건조부(140) 내의 온도 변화가 크다.
따라서, 제1 설정온도에서 제2 설정온도에 도달하는 시간이 기 설정된 제2 기준 시간 내이면, 제어부(160)는 건조부(140) 내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지 않았거나 원하는 만큼의 건조가 이루어졌다고 판단하여 단계 550을 진행하여 건조부(140)의 동작을 중지시킨다. 제1 설정온도에서 제2 설정온도에 도달하는 시간이 제2 기준 시간을 초과한 경우에는, 단계 520을 진행하여 제어부(160)는 음식물이 투입되어 건조과정이 아직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건조부(140)를 계속 구동시킨다.
건조부(140) 내의 온도는 히터의 동작에 의해서 상승할 수 있으며, 제3 설정 온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과열을 방지하여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오동작 및 과열로 인한 부품의 소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3 설정 온도는 130o C ~ 150o C인 것을 바람직할 수 있다.
제1 설정온도 및 제2 설정온도는 음식물 쓰레기 투입여부 및 건조 상태를 판 단할 수 있는 다양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최고 온도에 도달하기 전에 음식물 투입 여부 및 건조 상태를 판단하여야 건조부(140)의 조기 종료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자는 다수의 실험을 통해, 제1 설정온도가 80o C ~ 100o C이고, 제2 설정온도가 100o C ~ 110o C이며, 기설정된 시간이 4~5분인 경우, 내부 음식물 유무 및 건조 상태를 가장 잘 파악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제1 설정온도가 약 90o C이고, 제2 설정온도가 약 105o C이며, 기설정된 시간이 약 4분 30초인 경우, 가장 효과적으로 내부 음식물 유무 및 건조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내부구성요소가 드러나도록 외부 케이스가 일부 절개된 상태에서 일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거름망과 상기 거름망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씽크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분리 감지 센서 및 배출구 등의 위치를 보이기 위한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제어부를 중심으로 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와의 관계를 보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102 : 케이스
110 : 씽크볼 111 : 덮개
112 : 거름망 112a : 손잡이
113 : 몸체 113a : 오수구
114 : 감지체 116 : 하우징
116a : 배출구 117 : 배수구
118 : 분리 감지 센서 119 : 분리 감지부
120 : 연결부 122 : 주름관
124 : 접속구 130 : 이송부
132 : 덮개부 134 : 수용부
136 : 제2구동부 137 : 드레인
140 : 건조부 142 : 회수함
144 : 제1구동부 150 : 탈취부
160 : 제어부

Claims (17)

  1. 씽크대 하부에 마련된 중공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거름망 및 상기 거름망의 상기 하우징으로부터의 분리 여부를 감지하는 분리 감지 센서를 구비하는 씽크볼;
    상기 씽크볼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건조부;
    상기 건조부 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 센서; 및
    상기 건조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투입 여부 및 건조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건조부의 동작을 제어하되,
    상기 분리 감지 센서로부터의 분리 감지 신호가 제1 기준 시간인 3~10초를 초과하여 수신된 후 정지하는 경우, 음식물이 투입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건조부가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를 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분리 감지 센서로부터의 분리 감지 신호가 상기 제1 기준 시간인 3~10초 이하로 수신된 경우, 음식물이 투입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건조부는 작동하지 않도록 제어하며,
    상기 건조부가 작동하도록 제어된 이후, 상기 온도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한 온도 정보가 제1 설정온도에서 제2 설정온도에 도달하는 시간이 제2 기준 시간에 미달하는 경우, 상기 건조부 내의 쓰레기의 미투입 또는 미건조로 판단하여, 상기 건조부의 동작을 중지시키며,
    상기 제1 설정온도는 80℃ ~ 100℃이고, 제2 설정온도는 100℃ ~ 110℃이며, 상기 제2 기준 시간은 4~5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조부의 온도가 제3 설정온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제3 설정온도는 상기 제2 설정온도를 초과하고, 상기 제2 설정온도는 상기 제1 설정온도를 초과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감지 센서는 리드 스위치, MR 센서, 광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11. (a) 하우징에 설치된 분리 감지 센서로부터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상기 하우징에 착탈 가능한 거름망이 제1 기준 시간인 3~10초를 초과하여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면 음식물이 투입된 것으로 판단하여,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구동하고, 상기 거름망이 상기 제1 기준 시간인 3~10초 이하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면 건조부는 작동하지 않도록 제어되는 단계;
    (b) 건조부가 구동되면,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내의 건조부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 및
    (d) 상기 감지한 내부 온도에 기초하여, 제1 설정 온도에서 제2 설정 온도에 도달하는 시간이 제2 기준 시간에 미달하는지로부터 상기 건조부 내의 음식물 쓰레기의 투입 여부 및 건조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e) 상기 제1 설정 온도에서 상기 제2 설정 온도에 도달하는 시간이 상기 제2 기준 시간에 미달하면, 상기 건조부 내의 쓰레기의 미투입 또는 미건조로 판단하여, 상기 건조부의 동작을 중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설정온도는 80℃ ~ 100℃이고, 제2 설정온도는 100℃ ~ 110℃이며, 상기 제2 기준 시간은 4~5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090092053A 2009-09-28 2009-09-28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691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053A KR101691513B1 (ko) 2009-09-28 2009-09-28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053A KR101691513B1 (ko) 2009-09-28 2009-09-28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4511A KR20110034511A (ko) 2011-04-05
KR101691513B1 true KR101691513B1 (ko) 2017-01-09

Family

ID=44043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2053A KR101691513B1 (ko) 2009-09-28 2009-09-28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15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36845A (zh) * 2016-11-15 2017-02-22 墨宝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食物垃圾处理器的控制装置及其控制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6936A (ja) * 2000-12-20 2002-07-02 Iseki & Co Ltd 生ゴミ処理装置
JP2005296739A (ja) * 2004-04-08 2005-10-27 Sanyo Electric Co Ltd 生ごみ処理機
KR100528737B1 (ko) * 2003-04-04 2005-11-28 김윤옥 걸음망 분리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가 자동으로 작동되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9047A (ja) * 1996-10-02 1998-04-28 Inax Corp 粉砕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6936A (ja) * 2000-12-20 2002-07-02 Iseki & Co Ltd 生ゴミ処理装置
KR100528737B1 (ko) * 2003-04-04 2005-11-28 김윤옥 걸음망 분리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가 자동으로 작동되는 장치
JP2005296739A (ja) * 2004-04-08 2005-10-27 Sanyo Electric Co Ltd 生ごみ処理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4511A (ko) 2011-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12799C (en) Garbage disposal apparatus
KR20180026072A (ko) 가정용 음식물 처리기
JP5102391B2 (ja) バルブ排出装置
KR101655318B1 (ko) 음식물 처리기용 이송 유닛 및 음식물 처리기의 이송 제어 방법
KR20100107886A (ko) 삼차원 복합 음식물 쓰레기 건조 처리기
KR10169151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841516B1 (ko) 가정용 음식물 처리기
KR200390966Y1 (ko)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
JP2008029908A (ja) 生ゴミ処理機
JP2006255592A (ja) 生ごみ処理機
JP2008126176A (ja) 生ごみ処理装置
KR101941620B1 (ko) 간헐 건조 방식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4107866B2 (ja) 生ゴミ処理装置
KR20080014121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16452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전처리부 및 그 동작 방법
KR101578857B1 (ko) 음식물 처리장치
KR101655322B1 (ko) 음식물 처리기용 이송 유닛 및 음식물 처리기의 이송 제어 방법
JP2006043525A (ja) 生ごみ乾燥処理機
KR10043412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078284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630875B1 (ko) 저온 촉매 필터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KR101578853B1 (ko) 음식물 처리장치
KR20100024838A (ko) 음식물 처리기의 순환식 유로 시스템
KR200470200Y1 (ko) 편심된 배출구를 구비한 씽크볼
KR200267942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