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0701B1 - 치아 교정용 치근 위치 검사 기구 - Google Patents

치아 교정용 치근 위치 검사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0701B1
KR101690701B1 KR1020150107721A KR20150107721A KR101690701B1 KR 101690701 B1 KR101690701 B1 KR 101690701B1 KR 1020150107721 A KR1020150107721 A KR 1020150107721A KR 20150107721 A KR20150107721 A KR 20150107721A KR 101690701 B1 KR101690701 B1 KR 101690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upling
free end
root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7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민
이성근
서승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노스
Priority to KR1020150107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0701B1/ko
Priority to PCT/KR2016/008356 priority patent/WO201701885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0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0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61C5/025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2Tools for manipulating or working with an orthodontic applian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 사이의 잇몸에 침투될 때 상기 잇몸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자유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고, 단면은 원형에서 제거된 부분에 의해 비원형으로 형성되는 작업 유닛; 상기 작업 유닛의 상기 자유단에 대향하는 고정단에 결합되고, 상기 자유단과 다른 지점을 지향하도록 배치되는 손잡이 유닛; 및 상기 작업 유닛과 상기 손잡이 유닛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작업 유닛을 상기 손잡이 유닛에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결합 유닛을 포함하는, 치아 교정용 치근 위치 검사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치아 교정용 치근 위치 검사 기구{TOOTH ROOT POSITION CHECK DEVICE FOR ORTHODONTIC}
본 발명은 치아 교정용 치근 위치 검사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 교정은 각각의 치아에 브라켓을 부착하고, 와이어를 이용하여 각각의 브라켓을 연결한다. 이후, 브라켓에 견인력을 제공하기 위해 탄성고무나 스프링 등의 탄성체를 설치한다. 이때, 탄성체의 끝은 치아 사이의 잇몸 하부에 있는 상/하악골 및 치조골 등에 식립된 스크류에 걸어준다.
여기서, 스크류는 치아 사이의 잇몸에 치근을 피해 식립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는 치근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는 통상적으로 뾰족한 첨단 형상을 갖는 도구를 이용하여 스크류가 설치될 잇몸에 삽입하여 치근의 위치를 확인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으로 치근 위치를 확인하는 경우에는 확인하는 위치에 치근이 존재할 경우, 뾰족한 첨단에 치근이 부딪히게 됨에 따라 치근에 스크래치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크래치가 발생된 치아 부위는 음식물 찌꺼기가 쉽게 정착될 수 있다. 그로 인해 입안에 구치가 발생될 수 있고, 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치아 변색으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스크래치 부위는 낮아진 경도로 인해 치아에 쉽게 금을 유발할 수 있어 치아 수명을 단축시키는 등의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한편, 종래의 치근 위치 검사 기구는 치근의 정확한 위치 확인을 위해 환자의 잇몸에 여러 번 삽입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잇몸에 손상을 가하게 된다. 이 때 환자는 크나큰 고통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환자의 고통을 줄이기 위해 잇몸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치근 위치 검사 기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치아 사이의 잇몸에 삽입 시 잇몸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치근에 스크래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치아 교정용 치근 위치 검사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측면과 관련된 치아 교정용 치근 위치 검사 기구는, 치아 사이의 잇몸에 침투될 때 상기 잇몸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자유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고, 단면은 원형에서 제거된 부분에 의해 비원형으로 형성되는 작업 유닛; 상기 작업 유닛의 상기 자유단에 대향하는 고정단에 결합되고, 상기 자유단과 다른 지점을 지향하도록 배치되는 손잡이 유닛; 및 상기 작업 유닛과 상기 손잡이 유닛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작업 유닛을 상기 손잡이 유닛에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결합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원형은 상기 원형의 양측이 중심으로 만곡된 형상인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작업 유닛은 상기 고정단 측에서 상기 자유단 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작업 유닛은 상기 고정단의 상기 손잡이 유닛과의 결합점에서 상기 자유단을 연결하는 축이 상기 손잡이 유닛의 중심축에 대해 19°내지 21°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작업 유닛은 상기 잇몸의 겉표면에서 상기 치근까지의 깊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눈금선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작업 유닛은, 상기 자유단을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자유단에 위치되는 최첨단이 상기 치근에 스크레치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는 평탄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선단부; 및 상기 선단부에 연이어 상기 고정단을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 유닛에 결합되는 기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용 치근 위치 검사 기구는, 상기 작업 유닛이 상기 손잡이 유닛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결합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 유닛은 상기 작업 유닛의 상기 기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 유닛에 삽입되는 결합 돌기; 및 상기 결합 돌기의 외주연에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 유닛의 내측벽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고정체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체는 상기 내측벽에 형성된 고정홈에 끼워지도록 상기 결합 돌기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판 스프링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 유닛은 상기 결합 돌기가 상기 손잡이 유닛에 삽입 시 상기 손잡이 유닛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상기 기단부의 테두리에 형성된 결합 날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치아 교정용 치근 위치 검사 기구에 의하면, 치근 위치 검사를 위해 잇몸으로 침투되는 작업 유닛이 비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종래보다 좁은 단면적으로 침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잇몸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그에 따른 환자의 통증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치근에 접하는 최첨단이 평탄면을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검사 시 치근에 접촉으로 인한 스크래치를 유발하는 일 없이 보다 안전한 검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손잡이 유닛에 작업 유닛을 연결하는 결합 유닛에 의해 작업 유닛이 손잡이 유닛의 내측벽에 탄성적으로 지지됨에 따라, 검사 시 둘 사이가 분리되는 일 없이 보다 안정된 검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치근 위치 검사 기구(100)의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작업 유닛(110)을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본 부분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작업 유닛(110)과 손잡이 유닛(130)과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치근 위치 검사 기구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치근 위치 검사 기구(100)의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치아 교정용 치근 위치 검사 기구(100)는 작업 유닛(110)과, 손잡이 유닛(130)과, 결합 유닛(150)을 포함할 수 있다.
작업 유닛(110)은 치근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치아 사이의 잇몸에 침투되는 부위로서, 일체형의 몸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작업 유닛(110)은 후술하는 손잡이 유닛(130)에 체결되지 않는 자유단(111)과, 자유단(111)에 대향하는 고정단(113)을 구비할 수 있다. 작업 유닛(110)의 표면에는 잇몸의 겉표면에서 치근까지의 깊이를 확인할 수 있는 눈금선(115)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눈금선(115)은 자유단(111)에서 고정단(113)으로 복수 개가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작업 유닛(110)은 고정단(113) 측에서 자유단(111) 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작업 유닛(110)이 잇몸에 침투될 때 접촉 면적을 줄여 잇몸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작업 유닛(110)은 잇몸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원형에서 제거된 부분에 의해 비원형으로 형성되는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원형은 원형의 양측이 중심으로 만곡된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작업 유닛(110)은 고정단(113) 측에서 자유단(111) 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작업 유닛(110)은 고정단(113)의 손잡이 유닛(130)과의 결합점(113a)에서 자유단(111)을 연결하는 축(A)이 손잡이 유닛(130)의 중심축(B)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작업 유닛(110)은 고정단(113) 측에서 상기 자유단(111) 측으로 손잡이 유닛(130)의 중심축(B)에 의해 분할되는 두 영역 중 한 영역 내에서만 만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작업 유닛(110)의 축(A)은 손잡이 유닛(130)의 중심축(B)에 대해 20°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축(A)은 19°내지 21° 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19° 미만인 경우에는 치아 교정용 치근 위치 검사 기구(100)를 입안 깊숙이 넣어 치근 확인 시 정확한 위치의 치근을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입안의 어금니 근처의 치근을 확인하는 경우, 그 각도에 의해 확인하고자 하는 치근이 아닌 더 깊숙한 위치의 치근을 확인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21° 초과인 경우에는 그 각도로 인해 치근 확인 후 잇몸으로부터 작업 유닛(110)을 빼내기가 어렵고, 그에 따라 빼낼 시에 잇몸에 보다 큰 상처를 입힐 수도 있기 때문이다.
손잡이 유닛(130)은 의사가 손으로 파지하는 부위로서, 전반적으로 길쭉한 하우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손잡이 유닛(130)은 작업 유닛(110)과 결합될 시 작업 유닛(110)의 자유단(111)과 다른 지점을 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손잡이 유닛(130)은 작업 유닛(110)의 고정단(113) 측에 결합되는 일단부(131)와 그에 대향되는 타단부(133)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일단부(131)는 작업 유닛(100)의 고정단(113) 측과 결합하도록 내부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내부 공간이 구비된 내측벽에는 후술하는 결합 유닛(150)의 고정체(153)가 끼워지는 고정홈(131a, 도 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손잡이 유닛(130)은 의사의 손에 파지되는 일단부(131) 측의 표면에 미끄럼방지 슬릿(135)이 형성될 수 있다. 미끄럼방지 슬릿(135)은 의사가 손잡이 유닛(130)을 파지한 후 잇몸으로 작업 유닛(110)을 침투 시 손잡이 유닛(130)이 손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손에 마찰력을 부여한다.
결합 유닛(150)은 작업 유닛(110)이 손잡이 유닛(130)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도 2를 참조하여 작업 유닛(110)의 내부 구조에 대해 좀 더 살펴본 후 도 3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작업 유닛(110)을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본 부분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작업 유닛(110)과 손잡이 유닛(130)의 결합 부위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작업 유닛(110)은 자유단(111)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선단부(110a)와, 선단부(110a)에 연이어 고정단(113)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기단부(110b)로 구성될 수 있다.
선단부(110a)는 자유단(111)에 위치하는 최첨단(117)을 구비한다. 여기서, 최첨단(117)은 평탄면(117a)을 갖는다. 이 때, 평탄면(117a)은 치근에 접촉될 시 스크레치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여기서, 결합 유닛(150)은, 작업 유닛(110)의 기단부(110b)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결합 유닛(150)은, 기단부(110b)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는 결합 돌기(151)와, 결합 돌기(151)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고정체(153)와, 기단부(110b)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결합 날개(155)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 돌기(151)는 손잡이 유닛(130)의 일단부(131)에 삽입되도록 기단부(110b)의 내부 공간에 고정단(113)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고정체(153)는 손잡이 유닛(130)의 고정홈(131a)에 끼워지도록 결합 돌기(151)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체(153)는 판 스프링이나, 결합 돌기(151)와 일체로 형성되는 돌기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고정체(153)는 손잡이 유닛(130)에 결합된 작업 유닛(110)이 손잡이 유닛(130)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고정체(153)는 손잡이 유닛(130)으로부터 작업 유닛(110)을 분리하는데에 방해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작업 유닛(110)이 손잡이 유닛(130)에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결합 날개(155)는 작업 유닛(110)이 손잡이 유닛(130)에 결합될 시 손잡이 유닛(130)의 일단부(131)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 날개(155)는 손잡이 유닛(130)의 기단부(110b)의 테두리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 날개(155)는 기단부(110b)의 테두리에 복수 개의 절개선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결합 날개(155)는 손잡이 유닛(130)이 삽입되는 부분에 대응하는 기단부(110b)의 폭을 늘림으로써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치근 위치 검사 기구(100)는 치근 위치 검사시 작업 유닛(110)을 손잡이 유닛(130)에 결합 후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도면들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의사는 작업 유닛(110)과 손잡이 유닛(130)을 파지한 후 작업 유닛(110)의 결합 돌기(151) 부분을 손잡이 유닛(130)의 일단부(131)의 내부 공간에 끼워서 결합 후 사용하게 된다.
이 때, 작업 유닛(110)은 결합 날개(155)가 손잡이 유닛(130)의 일단부(131)를 둘러싸는 형태로 손잡이 유닛(130)에 결합된다. 그리고, 작업 유닛(110)은 고정체(153)가 손잡이 유닛(130)의 고정홈(131a)에 끼워져 지지된다. 그에 따라, 작업 유닛(110)은 결합 유닛(150)에 의해 손잡이 유닛(130)에 탄성적으로 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작업 유닛(110)은 이후 치근 위치 검사 시 의사가 가하는 힘에 의해 작업 유닛(110)과 손잡이 유닛(130) 사이의 결합 부위에 힘이 전달되더라도, 작업 유닛(110)과 손잡이 유닛(130) 사이가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이후 의사는, 치근의 위치 검사를 위해 손잡이 유닛(130)을 한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작업 유닛(110)을 치아 사이의 잇몸에 삽입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치근 위치 검사 기구(100)는 작업 유닛(110)이 자유단(111)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고, 단면이 비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잇몸에 삽입되는 단면적을 보다 좁게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환자는 고통을 덜 느끼게 된다.
그리고, 작업 유닛(110)이 고정단(113) 측에서 자유단(111) 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됨으로써, 그 형상으로 인해 작업 유닛(110)을 잇몸의 겉표면을 통해 내부의 치근측으로 보다 손쉽게 투입할 수 있게 된다.
작업 유닛(110)의 투입 후, 치근이 존재할 시 작업 유닛(110)의 최첨단(117)이 치근에 도달하게 된다. 이 때, 본 실시예에 따른 최첨단(117)은 평탄면(117a)을 가짐으로써 치근에 접촉되더라도 스크레치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의사는 작업 유닛(110)의 최첨단(117)이 치근에 접촉할 때까지 스크레치가 발생될 것을 우려할 필요없이 검사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의사는 작업 유닛(110)의 눈금선(115)을 확인함으로써, 치근 위치(깊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치근 위치 검사 기구(100)를 통한 치근 위치 검사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100 : 치아 교정용 치근 위치 검사 기구 110 : 작업 유닛
110a : 선단부 110b : 기단부
111 : 자유단 113 : 고정단
115 : 눈금선 117 : 최첨단
117a: 평탄면 130 : 손잡이 유닛
131 : 일단부 131a : 고정홈
133 : 타단부 135 : 미끄럼방지 슬릿
150 : 결합 유닛 151 : 결합 돌기
153 : 고정체 155 : 결합 날개

Claims (9)

  1. 치아 사이의 잇몸에 침투될 때 상기 잇몸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자유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고, 단면은 원형에서 제거된 부분에 의해 상기 원형의 양측을 중심으로 만곡된 형상을 갖도록 하여 비원형으로 형성되는 작업 유닛;
    상기 작업 유닛의 상기 자유단에 대향하는 고정단에 결합되고, 상기 자유단과 다른 지점을 지향하도록 배치되는 손잡이 유닛; 및
    상기 작업 유닛과 상기 손잡이 유닛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작업 유닛을 상기 손잡이 유닛에 고정하며, 상기 작업 유닛이 상기 손잡이 유닛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고정체가 형성되는 결합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작업 유닛은 상기 고정단 측에서 상기 자유단 측으로 상기 손잡이 유닛의 중심축에 의해 분할되는 두 영역 중 한 영역 내에서만 만곡되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단의 상기 손잡이 유닛과의 결합점에서 상기 자유단을 연결하는 축이 상기 손잡이 유닛의 중심축에 대해 19° 내지 21°각도를 경사지게 형성되는, 치아 교정용 치근 위치 검사 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유닛은,
    상기 잇몸의 겉표면에서 치근까지의 깊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눈금선을 더 구비하는, 치아 교정용 치근 위치 검사 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유닛은,
    상기 자유단을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자유단에 위치되는 최첨단이 상기 치근에 스크레치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는 평탄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선단부; 및
    상기 선단부에 연이어 상기 고정단을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 유닛에 결합되는 기단부를 포함하는, 치아 교정용 치근 위치 검사 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유닛은,
    상기 작업 유닛의 상기 기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 유닛에 삽입되는 결합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체는,
    상기 결합 돌기의 외주연에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 유닛의 내측벽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치아 교정용 치근 위치 검사 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상기 내측벽에 형성된 고정홈에 끼워지도록 상기 결합 돌기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판 스프링인, 치아 교정용 치근 위치 검사 기구.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유닛은,
    상기 결합 돌기가 상기 손잡이 유닛에 삽입 시 상기 손잡이 유닛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상기 기단부의 테두리에 형성된 결합 날개를 더 포함하는, 치아 교정용 치근 위치 검사 기구.
KR1020150107721A 2015-07-30 2015-07-30 치아 교정용 치근 위치 검사 기구 KR101690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7721A KR101690701B1 (ko) 2015-07-30 2015-07-30 치아 교정용 치근 위치 검사 기구
PCT/KR2016/008356 WO2017018853A1 (ko) 2015-07-30 2016-07-29 치아 교정용 치근 위치 검사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7721A KR101690701B1 (ko) 2015-07-30 2015-07-30 치아 교정용 치근 위치 검사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0701B1 true KR101690701B1 (ko) 2017-01-10

Family

ID=57811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7721A KR101690701B1 (ko) 2015-07-30 2015-07-30 치아 교정용 치근 위치 검사 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90701B1 (ko)
WO (1) WO2017018853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71107U (ko) * 1984-10-16 1986-05-15
JPH1033576A (ja) * 1996-07-23 1998-02-10 Kyoto Kikai Kogu Kk 歯周ポケット測定及び探針用プローブ
KR20030088308A (ko) * 2002-05-14 2003-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연장관과 손잡이의 연결구조체
KR20140016632A (ko) * 2012-07-30 2014-02-1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근관 크기 측정기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476B1 (ko) * 2007-02-22 2008-08-21 이재우 치과용 익스플로러 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71107U (ko) * 1984-10-16 1986-05-15
JPH1033576A (ja) * 1996-07-23 1998-02-10 Kyoto Kikai Kogu Kk 歯周ポケット測定及び探針用プローブ
KR20030088308A (ko) * 2002-05-14 2003-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연장관과 손잡이의 연결구조체
KR20140016632A (ko) * 2012-07-30 2014-02-1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근관 크기 측정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18853A1 (ko) 2017-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218166A (ja) 取付補助具及び歯科矯正ブラケットを備えた取付構造
RU2013156833A (ru) Стоматологический инструмент и направляющие устройства
US9782235B2 (en) Implant surgical guide apparatus
US10307228B2 (en) Retractor for periodontal surgery
TWI603719B (zh) Guide the rule
JP2015505503A (ja) 歯牙矯正ブラケット取付用ツール
US10772493B2 (en) Dental retractor
KR100860762B1 (ko) 임플란트 식립위치 유도기
JPWO2011018851A1 (ja) ボーンキャリパー
KR101690701B1 (ko) 치아 교정용 치근 위치 검사 기구
JP6373668B2 (ja) 歯科用切削器具および歯科用切削器具を装着するハンドピース
JP5028621B2 (ja) サージカルガイド
US20110045435A1 (en) Dental pliers
KR20180011441A (ko) 부재를 부착시키는 자기력을 갖는 치경
KR101894039B1 (ko)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
KR101292192B1 (ko) 하악상행지 시상분할 골절단술용 외과기구
JP6607583B2 (ja) 歯科用切削器具を用いるための案内器具
KR101839982B1 (ko) 치아 보철물 제거 방법
KR102064607B1 (ko) 가이드스텐트를 이용하는 범용 임플란트 시술 키트
KR20170002019A (ko) 치주낭측정기
CN220735527U (zh) 一种种植系统用螺丝刀防滑脱保护链
TWM500557U (zh) 數位五合一植牙手術輔助定位器
JP6391051B2 (ja) 医療用器具の作業長さ設定・計測具
RU199318U1 (ru) Втулка для ориентации режущего инструмента при скуловой имплантации
JP6357014B2 (ja) 測定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