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018853A1 - 치아 교정용 치근 위치 검사 기구 - Google Patents

치아 교정용 치근 위치 검사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018853A1
WO2017018853A1 PCT/KR2016/008356 KR2016008356W WO2017018853A1 WO 2017018853 A1 WO2017018853 A1 WO 2017018853A1 KR 2016008356 W KR2016008356 W KR 2016008356W WO 2017018853 A1 WO2017018853 A1 WO 201701885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unit
handle unit
work unit
free end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835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정성민
이성근
서승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노스
Publication of WO201701885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01885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2Tools for manipulating or working with an orthodontic applianc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thodontic root position inspection apparatus.
  • orthodontics attach a bracket to each tooth and connect each bracket using a wire. Then, install an elastic body such as elastic rubber or spring to provide traction to the bracket. At this time, the end of the elastic body is hooked to the screw placed in the upper / lower jaw and alveolar bone in the lower gum between the teeth.
  • an elastic body such as elastic rubber or spring
  • the screw is placed in the gum between the teeth avoiding the root.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pinpoint the location of the root. It is usually inserted into the gum where the screw is to be installed using a tool having a pointed tip shape to check the position of the root.
  • the scratched tooth portion can be easily fixed food debris. This can cause bad breath in the mouth, which can lead to tooth discoloration over time.
  • the scratched portion may easily cause gold in the teeth due to the lower hardness, thereby reducing the tooth life.
  • the conventional root position inspection mechanism may be inserted into the gum of the patient several times to determine the exact position of the root, thereby causing damage to the gum. At this time, the patient feels great pain.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 root position inspection apparatus that can minimize gum damage in order to reduce pain of the patient.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rthodontic root position inspection apparatus that can minimize gum damage when inserted into gums between teeth, and minimize scratches on the root.
  • the cross-sectional area is narrower toward the free end to minimize damage to the gum when penetrated into the gum between the teeth, Is a work unit formed non-circularly by a portion removed from the circle; A handle unit coupled to a fixed end opposite the free end of the work unit and arranged to face a point different from the free end; And a coupling unit disposed between the work unit and the handle unit and configured to fix the work unit to the handle unit.
  • the non-circular shape may be a shape in which both sides of the circle is curved toward the center.
  • the working unit may be formed to be curved from the fixed end side to the free end side.
  • the working unit may be formed such that the axis connecting the free end at the coupling point with the handle unit of the fixed end is inclined at an angle of 19 ° to 21 °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handle unit.
  • the work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scale line to check the depth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gum to the root.
  • the work unit may include a front end portion formed to include the free end, the tip end being formed to have a flat surface to prevent the cutting edge located at the free end from scratching the root; And a proximal end formed to include the fixed end in series with the distal end, and coupled to the handle unit.
  • Orthodontic tooth root position inspection mechanism may further comprise a coupling unit for supporting the work unit to be fixed to the handle unit.
  • the coupling unit is formed on the proximal end of the work unit, the engaging projection inserted into the handle unit; And a fixing body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upling protrusion and elastically supported on an inner wall of the handle unit.
  • the fixing body may be a leaf spring protruding from the coupling protrusion to be fitted into the fixing groove formed in the inner wall.
  • the coupl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wing formed on the edge of the proximal en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handle unit when the coupl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handle unit.
  • the orthodontic root position inspection mechanism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s the work unit penetrated into the gum for the root position examination is formed to have a non-circular cross section, it can penetrate into a narrower cross-sectional area than conventional. As a result, gum damage can be minimized, thereby reducing the pain of the patient.
  • FIG. 1 is a side view of the orthodontic tooth root position inspection mechanis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from above of the work unit 110 shown in FIG. 1.
  • FIG. 3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a coupling state between the work unit 110 and the handle unit 130 shown in FIG.
  • FIG. 1 is a side view of the orthodontic tooth root position inspection mechanis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orthodontic tooth position examination device 100 may include a work unit 110, a handle unit 130, and a coupling unit 150.
  • the working unit 110 is a portion that penetrates the gums between the teeth to check the position of the root, and may be formed as an integral body.
  • the work unit 110 may include a free end 111 that is not fastened to the handle unit 1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a fixed end 113 that faces the free end 111.
  • the surface of the work unit 110 may be formed with a grid line 115 to check the depth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gum to the root.
  • a plurality of grid lines 115 may be formed from the free end 111 to the fixed end 113 at a predetermined interval.
  • the work unit 110 may be formed in a tapered shap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is narrowed toward the free end 111 from the fixed end 113 side. This is to minimize the damage to the gum by reducing the contact area when the working unit 110 is penetrated into the gum.
  • the work unit 110 may have a cross section that is non-circularly formed by portions removed from the circle to minimize gum damage.
  • the non-circular shape may be a shape in which both sides of the circle are curved about the center.
  • the work unit 110 may be formed to be curved toward the free end 111 side from the fixed end 113 side.
  • the work unit 110 has a central axis (A) connecting the coupling point 113a and the free end 111 with the handle unit 130 of the fixed end 113 is the central axis ( It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B).
  • the axis A of the work unit 110 is formed to be inclined at 20 °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B of the handle unit 130.
  • the axis A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at an angle of 19 ° to 21 °. This is because when the tooth less than 19 ° can put the orthodontic root position inspection mechanism 100 deep into the mouth when the root can be confirmed can not identify the root of the correct position. For example, when confirming the root near the molar in the mouth, it may occur that the root of the deeper position than the root to be checked by the angle. And if it is more than 21 ° because of the angle it is difficult to remove the work unit 110 from the gum after checking the root, thereby causing a greater scar on the gum when taken out.
  • the handle unit 130 is a part held by a doctor by a hand, and may be formed as an overall elongated housing. Here, the handle unit 130 may be disposed to direct a different point from the free end 111 of the work unit 110 when combined with the work unit 110.
  • the handle unit 130 may be formed to include one end 131 coupled to the fixed end 113 side of the work unit 110 and the other end 133 opposite thereto.
  • one end 131 may be provided with an internal space to be coupled to the fixed end 113 side of the work unit (100).
  • a fixing groove 131a (FIG. 3) into which the fixing body 153 of the coupling unit 15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formed on the inner wall provided with the inner space.
  • the handle unit 130 may be formed with a non-slip slit 135 on the surface of the end portion 131 side that is held in the doctor's hand.
  • the non-slip slit 135 provides a friction force to the hand so that the handle unit 130 does not slip from the hand when the doctor penetrates the work unit 110 by the gum after holding the handle unit 130.
  • the coupling unit 150 serves to support the work unit 110 to be fixed to the handle unit 130.
  •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work unit 11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an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 FIG.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work unit 110 shown in FIG. 1 looking down from above
  • FIG. 3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a coupling portion of the work unit 110 and the handle unit 130 shown in FIG. 1.
  • the work unit 110 includes a front end portion 110a formed to include the free end 111 and a proximal end portion 110b formed to include a fixed end 113 subsequent to the front end portion 110a. Can be.
  • the tip portion 110a has a cutting edge 117 located at the free end 111.
  • the most advanced 117 has a flat surface 117a.
  • the flat surface 117a does not generate a scratch when it comes in contact with the root.
  • the coupling unit 150 is formed at the proximal end 110b of the work unit 110. Specifically, the coupling unit 150, the coupling protrusion 151 formed in the inner space of the base end 110b, the fixing body 153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upling protrusion 151, and the edge of the base end 110b. It may be provided with a coupling blade 155 formed in.
  • the coupling protrusion 151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fixed end 113 in the inner space of the base end 110b to be inserted into the one end 131 of the handle unit 130.
  • the fixing body 153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coupling protrusion 151 to be fitted into the fixing groove 131a of the handle unit 130.
  • the fixing body 153 may be a leaf spring or a protrusion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upling protrusion 151.
  • the fixing body 153 serves to elastically support the work unit 110 coupled to the handle unit 130 to the handle unit 130.
  • the fixing body 153 may allow the work unit 110 to be supported by the handle unit 130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work unit 110 from the handle unit 130.
  • Coupling wing 155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one end 131 of the handle unit 130 when the work unit 110 is coupled to the handle unit 130.
  • the coupling blade 155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proximal end 110b of the handle unit 130.
  • the coupling blade 155 is formed by forming a plurality of incisions on the edge of the proximal end 110b.
  • the coupling blade 155 may be configured by increasing the width of the proximal end 110b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in which the handle unit 130 is inserted.
  • Orthodontic tooth root position inspection mechanism 10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can be used after coupling the work unit 110 to the handle unit 130 during the root position examination.
  • the doctor grips the work unit 110 and the handle unit 130, and then one end 131 of the handle unit 130 to the portion of the engaging protrusion 151 of the work unit 110. It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and used after combining.
  • the working unit 110 is coupled to the handle unit 130 in a form in which the coupling blade 155 surrounds one end 131 of the handle unit 130.
  • the work unit 110 is supported by the fixing body 153 fitted into the fixing groove 131a of the handle unit 130. Accordingly, the work unit 110 may maintain a state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handle unit 130 by the coupling unit 150.
  • the work unit 110 is subsequently operated by the surgeon at the time of the root position examination, even if the force is transmitted to the engaging portion between the work unit 110 and the handle unit 130, the work unit 110 and the handle unit ( 130) The separation is not easy.
  • the doctor inserts the working unit 110 into the gums between the teeth while holding the handle unit 130 with one hand to check the position of the root.
  • the cross-sectional area becomes narrower as the work unit 110 moves toward the free end 111, and the cross section is formed in a non-circular shape, thereby being inserted into the gum.
  • the cross-sectional area can be made narrower. As a result, the patient feels less pain.
  • the work unit 110 is formed to be bent from the fixed end 113 side to the free end 111 side, so that the work unit 110 can be more easily introduced into the internal root side through the outer surface of the gum due to its shape. do.
  • the cutting edge 117 of the working unit 110 After the insertion of the working unit 110, the cutting edge 117 of the working unit 110 reaches the root when the root is present. At this time, the cutting edge 117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flat surface 117a so that the scratch does not occur even if it is in contact with the root.
  • the doctor can proceed with the examination without having to worry that scratches will occur until the cutting edge 117 of the working unit 110 contacts the root of the tooth.
  • the doctor may check the root position (depth) by checking the grid line 115 of the working unit 110.
  • the present invention has industrial applicability in the field of orthodontic tooth position examination instru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 사이의 잇몸에 침투될 때 상기 잇몸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자유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고, 단면은 원형에서 제거된 부분에 의해 비원형으로 형성되는 작업 유닛; 상기 작업 유닛의 상기 자유단에 대향하는 고정단에 결합되고, 상기 자유단과 다른 지점을 지향하도록 배치되는 손잡이 유닛; 및 상기 작업 유닛과 상기 손잡이 유닛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작업 유닛을 상기 손잡이 유닛에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결합 유닛을 포함하는, 치아 교정용 치근 위치 검사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치아 교정용 치근 위치 검사 기구
본 발명은 치아 교정용 치근 위치 검사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 교정은 각각의 치아에 브라켓을 부착하고, 와이어를 이용하여 각각의 브라켓을 연결한다. 이후, 브라켓에 견인력을 제공하기 위해 탄성고무나 스프링 등의 탄성체를 설치한다. 이때, 탄성체의 끝은 치아 사이의 잇몸 하부에 있는 상/하악골 및 치조골 등에 식립된 스크류에 걸어준다.
여기서, 스크류는 치아 사이의 잇몸에 치근을 피해 식립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는 치근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는 통상적으로 뾰족한 첨단 형상을 갖는 도구를 이용하여 스크류가 설치될 잇몸에 삽입하여 치근의 위치를 확인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으로 치근 위치를 확인하는 경우에는 확인하는 위치에 치근이 존재할 경우, 뾰족한 첨단에 치근이 부딪히게 됨에 따라 치근에 스크래치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크래치가 발생된 치아 부위는 음식물 찌꺼기가 쉽게 정착될 수 있다. 그로 인해 입안에 구취가 발생될 수 있고, 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치아 변색으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스크래치 부위는 낮아진 경도로 인해 치아에 쉽게 금을 유발할 수 있어 치아 수명을 단축시키는 등의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한편, 종래의 치근 위치 검사 기구는 치근의 정확한 위치 확인을 위해 환자의 잇몸에 여러 번 삽입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잇몸에 손상을 가하게 된다. 이 때 환자는 크나큰 고통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환자의 고통을 줄이기 위해 잇몸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치근 위치 검사 기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치아 사이의 잇몸에 삽입 시 잇몸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치근에 스크래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치아 교정용 치근 위치 검사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측면과 관련된 치아 교정용 치근 위치 검사 기구는, 치아 사이의 잇몸에 침투될 때 상기 잇몸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자유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고, 단면은 원형에서 제거된 부분에 의해 비원형으로 형성되는 작업 유닛; 상기 작업 유닛의 상기 자유단에 대향하는 고정단에 결합되고, 상기 자유단과 다른 지점을 지향하도록 배치되는 손잡이 유닛; 및 상기 작업 유닛과 상기 손잡이 유닛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작업 유닛을 상기 손잡이 유닛에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결합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원형은 상기 원형의 양측이 중심으로 만곡된 형상인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작업 유닛은 상기 고정단 측에서 상기 자유단 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작업 유닛은 상기 고정단의 상기 손잡이 유닛과의 결합점에서 상기 자유단을 연결하는 축이 상기 손잡이 유닛의 중심축에 대해 19°내지 21°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작업 유닛은 상기 잇몸의 겉표면에서 상기 치근까지의 깊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눈금선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작업 유닛은, 상기 자유단을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자유단에 위치되는 최첨단이 상기 치근에 스크래치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는 평탄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선단부; 및 상기 선단부에 연이어 상기 고정단을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 유닛에 결합되는 기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용 치근 위치 검사 기구는, 상기 작업 유닛이 상기 손잡이 유닛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결합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 유닛은 상기 작업 유닛의 상기 기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 유닛에 삽입되는 결합 돌기; 및 상기 결합 돌기의 외주연에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 유닛의 내측벽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고정체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체는 상기 내측벽에 형성된 고정홈에 끼워지도록 상기 결합 돌기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판 스프링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 유닛은 상기 결합 돌기가 상기 손잡이 유닛에 삽입 시 상기 손잡이 유닛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상기 기단부의 테두리에 형성된 결합 날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치아 교정용 치근 위치 검사 기구에 의하면, 치근 위치 검사를 위해 잇몸으로 침투되는 작업 유닛이 비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종래보다 좁은 단면적으로 침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잇몸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그에 따른 환자의 통증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치근 위치 검사 기구(100)의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작업 유닛(110)을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본 부분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작업 유닛(110)과 손잡이 유닛(130)과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치근 위치 검사 기구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치근 위치 검사 기구(100)의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치아 교정용 치근 위치 검사 기구(100)는 작업 유닛(110)과, 손잡이 유닛(130)과, 결합 유닛(150)을 포함할 수 있다.
작업 유닛(110)은 치근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치아 사이의 잇몸에 침투되는 부위로서, 일체형의 몸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작업 유닛(110)은 후술하는 손잡이 유닛(130)에 체결되지 않는 자유단(111)과, 자유단(111)에 대향하는 고정단(113)을 구비할 수 있다. 작업 유닛(110)의 표면에는 잇몸의 겉표면에서 치근까지의 깊이를 확인할 수 있는 눈금선(115)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눈금선(115)은 자유단(111)에서 고정단(113)으로 복수 개가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작업 유닛(110)은 고정단(113) 측에서 자유단(111) 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작업 유닛(110)이 잇몸에 침투될 때 접촉 면적을 줄여 잇몸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작업 유닛(110)은 잇몸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원형에서 제거된 부분에 의해 비원형으로 형성되는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원형은 원형의 양측이 중심으로 만곡된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작업 유닛(110)은 고정단(113) 측에서 자유단(111) 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작업 유닛(110)은 고정단(113)의 손잡이 유닛(130)과의 결합점(113a)과 자유단(111)을 연결하는 축(A)이 손잡이 유닛(130)의 중심축(B)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작업 유닛(110)의 축(A)은 손잡이 유닛(130)의 중심축(B)에 대해 20°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축(A)은 19°내지 21° 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19° 미만인 경우에는 치아 교정용 치근 위치 검사 기구(100)를 입안 깊숙이 넣어 치근 확인 시 정확한 위치의 치근을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입안의 어금니 근처의 치근을 확인하는 경우, 그 각도에 의해 확인하고자 하는 치근이 아닌 더 깊숙한 위치의 치근을 확인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21° 초과인 경우에는 그 각도로 인해 치근 확인 후 잇몸으로부터 작업 유닛(110)을 빼내기가 어렵고, 그에 따라 빼낼 시에 잇몸에 보다 큰 상처를 입힐 수도 있기 때문이다.
손잡이 유닛(130)은 의사가 손으로 파지하는 부위로서, 전반적으로 길쭉한 하우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손잡이 유닛(130)은 작업 유닛(110)과 결합될 시 작업 유닛(110)의 자유단(111)과 다른 지점을 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손잡이 유닛(130)은 작업 유닛(110)의 고정단(113) 측에 결합되는 일단부(131)와 그에 대향되는 타단부(133)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일단부(131)는 작업 유닛(100)의 고정단(113) 측과 결합하도록 내부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내부 공간이 구비된 내측벽에는 후술하는 결합 유닛(150)의 고정체(153)가 끼워지는 고정홈(131a, 도 3)이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 유닛(130)에는 의사의 손에 파지되는 일단부(131) 측의 표면에 미끄럼방지 슬릿(135)이 형성될 수 있다. 미끄럼방지 슬릿(135)은 의사가 손잡이 유닛(130)을 파지한 후 잇몸으로 작업 유닛(110)을 침투 시 손잡이 유닛(130)이 손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손에 마찰력을 부여한다.
결합 유닛(150)은 작업 유닛(110)이 손잡이 유닛(130)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도 2를 참조하여 작업 유닛(110)의 내부 구조에 대해 좀 더 살펴본 후 도 3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작업 유닛(110)을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본 부분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작업 유닛(110)과 손잡이 유닛(130)의 결합 부위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작업 유닛(110)은 자유단(111)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선단부(110a)와, 선단부(110a)에 연이어 고정단(113)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기단부(110b)로 구성될 수 있다.
선단부(110a)는 자유단(111)에 위치하는 최첨단(117)을 구비한다. 여기서, 최첨단(117)은 평탄면(117a)을 갖는다. 이때, 평탄면(117a)은 치근에 접촉될 시 스크래치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여기서, 결합 유닛(150)은, 작업 유닛(110)의 기단부(110b)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결합 유닛(150)은, 기단부(110b)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는 결합 돌기(151)와, 결합 돌기(151)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고정체(153)와, 기단부(110b)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결합 날개(155)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 돌기(151)는 손잡이 유닛(130)의 일단부(131)에 삽입되도록 기단부(110b)의 내부 공간에 고정단(113)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고정체(153)는 손잡이 유닛(130)의 고정홈(131a)에 끼워지도록 결합 돌기(151)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체(153)는 판 스프링이나, 결합 돌기(151)와 일체로 형성되는 돌기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고정체(153)는 손잡이 유닛(130)에 결합된 작업 유닛(110)이 손잡이 유닛(130)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고정체(153)는 손잡이 유닛(130)으로부터 작업 유닛(110)을 분리하는데에 방해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작업 유닛(110)이 손잡이 유닛(130)에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결합 날개(155)는 작업 유닛(110)이 손잡이 유닛(130)에 결합될 시 손잡이 유닛(130)의 일단부(131)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 날개(155)는 손잡이 유닛(130)의 기단부(110b)의 테두리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 날개(155)는 기단부(110b)의 테두리에 복수 개의 절개선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결합 날개(155)는 손잡이 유닛(130)이 삽입되는 부분에 대응하는 기단부(110b)의 폭을 늘림으로써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치근 위치 검사 기구(100)는 치근 위치 검사시 작업 유닛(110)을 손잡이 유닛(130)에 결합 후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도면들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의사는 작업 유닛(110)과 손잡이 유닛(130)을 파지한 후 작업 유닛(110)의 결합 돌기(151) 부분을 손잡이 유닛(130)의 일단부(131)의 내부 공간에 끼워서 결합 후 사용하게 된다.
이 때, 작업 유닛(110)은 결합 날개(155)가 손잡이 유닛(130)의 일단부(131)를 둘러싸는 형태로 손잡이 유닛(130)에 결합된다. 그리고, 작업 유닛(110)은 고정체(153)가 손잡이 유닛(130)의 고정홈(131a)에 끼워져 지지된다. 그에 따라, 작업 유닛(110)은 결합 유닛(150)에 의해 손잡이 유닛(130)에 탄성적으로 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작업 유닛(110)은 이후 치근 위치 검사 시 의사가 가하는 힘에 의해 작업 유닛(110)과 손잡이 유닛(130) 사이의 결합 부위에 힘이 전달되더라도, 작업 유닛(110)과 손잡이 유닛(130) 사이가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이후 의사는, 치근의 위치 검사를 위해 손잡이 유닛(130)을 한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작업 유닛(110)을 치아 사이의 잇몸에 삽입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치근 위치 검사 기구(100)는 작업 유닛(110)이 자유단(111)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고, 단면이 비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잇몸에 삽입되는 단면적을 보다 좁게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환자는 고통을 덜 느끼게 된다.
작업 유닛(110)이 고정단(113) 측에서 자유단(111) 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됨으로써, 그 형상으로 인해 작업 유닛(110)을 잇몸의 겉표면을 통해 내부의 치근측으로 보다 손쉽게 투입할 수 있게 된다.
작업 유닛(110)의 투입 후, 치근이 존재할 시 작업 유닛(110)의 최첨단(117)이 치근에 도달하게 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최첨단(117)은 평탄면(117a)을 가짐으로써 치근에 접촉되더라도 스크래치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의사는 작업 유닛(110)의 최첨단(117)이 치근에 접촉할 때까지 스크래치가 발생될 것을 우려할 필요없이 검사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의사는 작업 유닛(110)의 눈금선(115)을 확인함으로써, 치근 위치(깊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치근 위치 검사 기구(100)를 통한 치근 위치 검사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치아 교정용 치근 위치 검사 기구 제조 분야에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있다.

Claims (9)

  1. 치아 사이의 잇몸에 침투될 때 상기 잇몸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자유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고, 단면은 원형에서 제거된 부분에 의해 비원형으로 형성되는 작업 유닛;
    상기 작업 유닛의 상기 자유단에 대향하는 고정단에 결합되고, 상기 자유단과 다른 지점을 지향하도록 배치되는 손잡이 유닛; 및
    상기 작업 유닛과 상기 손잡이 유닛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작업 유닛을 상기 손잡이 유닛에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결합 유닛을 포함하는, 치아 교정용 치근 위치 검사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원형은,
    상기 원형의 양측이 중심으로 만곡된 형상인 것인, 치아 교정용 치근 위치 검사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유닛은,
    상기 고정단 측에서 상기 자유단 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되는, 치아 교정용 치근 위치 검사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유닛은,
    상기 고정단의 상기 손잡이 유닛과의 결합점에서 상기 자유단을 연결하는 축이 상기 손잡이 유닛의 중심축에 대해 19°내지 21°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치아 교정용 치근 위치 검사 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유닛은,
    상기 잇몸의 겉표면에서 상기 치근까지의 깊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눈금선을 더 구비하는, 치아 교정용 치근 위치 검사 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유닛은,
    상기 자유단을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자유단에 위치되는 최첨단이 상기 치근에 스크레치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는 평탄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선단부; 및
    상기 선단부에 연이어 상기 고정단을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 유닛에 결합되는 기단부를 포함하는, 치아 교정용 치근 위치 검사 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유닛은,
    상기 작업 유닛의 상기 기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 유닛에 삽입되는 결합 돌기; 및
    상기 결합 돌기의 외주연에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 유닛의 내측벽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고정체를 구비하는, 치아 교정용 치근 위치 검사 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상기 내측벽에 형성된 고정홈에 끼워지도록 상기 결합 돌기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판 스프링인, 치아 교정용 치근 위치 검사 기구.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유닛은,
    상기 결합 돌기가 상기 손잡이 유닛에 삽입 시 상기 손잡이 유닛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상기 기단부의 테두리에 형성된 결합 날개를 더 포함하는, 치아 교정용 치근 위치 검사 기구.
PCT/KR2016/008356 2015-07-30 2016-07-29 치아 교정용 치근 위치 검사 기구 WO201701885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7721 2015-07-30
KR1020150107721A KR101690701B1 (ko) 2015-07-30 2015-07-30 치아 교정용 치근 위치 검사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18853A1 true WO2017018853A1 (ko) 2017-02-02

Family

ID=57811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8356 WO2017018853A1 (ko) 2015-07-30 2016-07-29 치아 교정용 치근 위치 검사 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90701B1 (ko)
WO (1) WO2017018853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71107U (ko) * 1984-10-16 1986-05-15
JPH1033576A (ja) * 1996-07-23 1998-02-10 Kyoto Kikai Kogu Kk 歯周ポケット測定及び探針用プローブ
KR20030088308A (ko) * 2002-05-14 2003-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연장관과 손잡이의 연결구조체
KR100853476B1 (ko) * 2007-02-22 2008-08-21 이재우 치과용 익스플로러 기구
KR20140016632A (ko) * 2012-07-30 2014-02-1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근관 크기 측정기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71107U (ko) * 1984-10-16 1986-05-15
JPH1033576A (ja) * 1996-07-23 1998-02-10 Kyoto Kikai Kogu Kk 歯周ポケット測定及び探針用プローブ
KR20030088308A (ko) * 2002-05-14 2003-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연장관과 손잡이의 연결구조체
KR100853476B1 (ko) * 2007-02-22 2008-08-21 이재우 치과용 익스플로러 기구
KR20140016632A (ko) * 2012-07-30 2014-02-1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근관 크기 측정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0701B1 (ko) 2017-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13156833A (ru) Стоматологический инструмент и направляющие устройства
WO2012046888A1 (ko) 치열 교정용 지지 부재
WO2013115588A1 (ko) 치아 교정 브래킷 부착용 툴
WO2017160004A1 (ko)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핀
WO2014200146A1 (ko) 치아 신경치료용 엔도파일
WO2017086611A1 (ko) 근관장 측정장치
WO2020185032A2 (ko) 수술도구용 핸들장치
WO2017039158A1 (ko) 치아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링 드라이버
US11759289B2 (en) Non-incisional dental implant surgical method using guide pin
WO2016024681A1 (ko) 임플란트용 드릴 및 이를 구비하는 임플란트용 드릴 장치
WO2017018853A1 (ko) 치아 교정용 치근 위치 검사 기구
WO2020197133A1 (ko) 디지털 어버트먼트 및 이를 이용한 치아수복물 제조방법
WO2018159919A1 (en) Cover and orthodontic device having the cover
WO2018074683A1 (ko) 치과용 견인장치
WO2011065774A2 (ko) 치아 교정용 브라켓
WO2021006701A1 (ko) 스캔데이터 정합용 식별타겟 및 이를 이용한 스캔데이터 정합 방법
WO2016006983A1 (ko) 의료용 드릴 장치
WO2023229109A1 (ko) 치과용 스텐트
WO2018147633A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정밀 시술을 위한 유도 부싱 어셈블리
WO2019088341A1 (ko) 하악골 절제 수술용 가이드
WO2021049892A1 (ko)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 및 간접 부착방법
WO2021075636A1 (ko) 디지털 오버덴쳐용 홀더장치
KR101292192B1 (ko) 하악상행지 시상분할 골절단술용 외과기구
WO2023277234A1 (ko) 에어석션배럴 일체형 마우스 프롭
CN114376745A (zh) 一种拔智齿口腔保护装置及其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3088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83088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