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2192B1 - 하악상행지 시상분할 골절단술용 외과기구 - Google Patents

하악상행지 시상분할 골절단술용 외과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2192B1
KR101292192B1 KR1020120028845A KR20120028845A KR101292192B1 KR 101292192 B1 KR101292192 B1 KR 101292192B1 KR 1020120028845 A KR1020120028845 A KR 1020120028845A KR 20120028845 A KR20120028845 A KR 20120028845A KR 101292192 B1 KR101292192 B1 KR 101292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ral axis
surgical instrument
sagittal
mandibular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8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순정
서장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20028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21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2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2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57Bone brea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62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1B17/1673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ja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92Plastic surge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악골의 시상분할을 정확하고 간편하게 실시 할 수 있는 하악상행지 시상분할 골절단술용 외과기구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손잡이와 로드 형상의 몸체로 구성되어 있다. 몸체는 제1 중심축선과 제1 중심축선에 평행한 제2 중심축선을 구비하고, 제1 중심축선상에 배치되어 손잡이에 결합되어 있는 근위부와 제2 중심축선상에 배치되어 있는 원위부를 구비한다. 몸체는 근위부로부터 제1 중심축선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자루부와, 구강 안으로 진입되는 것으로 자루부의 말단으로부터 제1 중심축선의 반경 방향을 향하여 1차 절곡되어 있는 연장부와, 하악골의 외측면에 지지되도록 연장부의 말단으로부터 제1 중심축선을 향하여 2차 절곡되어 있는 지지부와, 하악골의 골절단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틈에 끼워지도록 지지부의 말단으로부터 제2 중심축선을 향하여 3차 절곡되어 있는 삽입부와, 원위부와 삽입부의 말단을 연결하도록 제2 중심축선을 따라 4차 절곡되어 있는 첨두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부는 하악골의 외측면에 지지부를 지지시키고, 삽입부와 첨두부는 하악골의 골절단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틈에 끼워 넣어 회전시킴으로써, 회전력을 삽입부와 첨두부에 정확하게 전달하여 하악골의 시상분할을 정확하고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하악골의 시상분할 시 사용되는 다른 외과기구들과의 간섭을 방지하고, 수술자의 시야를 넓게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하악상행지 시상분할 골절단술용 외과기구{SURGICAL INSTRUMENT FOR 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본 발명은 외과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악골의 시상분할을 정확하고 간편하게 실시 할 수 있는 하악상행지 시상분할 골절단술용 외과기구에 관한 것이다.
악교정수술(Orthognathic surgery, 턱교정수술, 턱수술)은 상악골(위턱뼈)이나 하악골(아래턱뼈)의 성장이 정상에서 벗어나 과잉, 부족, 혹은 비대칭적인 상태를 가지고 있는 경우, 이러한 형태와 크기의 변이를 바로잡는 수술이다. 하악상행지 시상분할 골절단술(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은 선호도가 높은 악교정수술로서 신경손상, 근육에 의한 회귀현상 등의 지속적인 개선을 통하여 이상적인 수술로 인정받고 있다.
한편, 하악상행지 시상분할 골절단술의 개선에 의하여 이른 바 단설측분할 골절단술(Short lingual split osteotomy)이 개발되었다. 단설측분할 골절단술은 설측(혀 쪽)에서 하치조 신경이 들어가는 하악공(Mandibular foramen)의 직하방에서 시작해서 하악관(Mandibular canal)의 직하방으로 골절이 되게 유도하여 하악골을 시상분할하는 방법이다.
설측 골절단선(Osteotomy line)은 전기톱(Electric saw), 치과용 버(Dental bur)에 의해서는 만들 수 없기 때문에 설측과 같이 골절이 되게 유도해야 한다. 설측의 뼈가 두꺼운 경우 설측 골절단선이 원하는 데로 골절되지 않아 단설측 분할 골절단술의 초심자는 시술에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 단설측 분할 골절단술은 하악골이 시상분할되어 분리되기 시작할 때 하악 제1 대구치와 제2 대구치 사이의 골분리가 하악 하연에서 시작되는 것이 아니고, 설측면에서 시작된다.
도 1과 도 2에 종래의 하악상행지 시상분할 골절단술용 외과기구가 도시되어 있다. 외과기구(10)는 손잡이(20)와 로드 형상의 몸체(Rod-shaped body: 30)로 구성되어 있다. 몸체(30)는 근위부(Proximal portion: 32)와 원위부(Distal portion: 34)를 구비한다. 자루부(Shank portion: 36)가 근위부(32)로부터 원위부(34)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지지부(38)가 자루부(36)의 말단으로부터 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다. 만곡부(Curve portion: 40)가 지지부(38)의 말단으로부터 만곡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악상행지 시상분할 골절단술의 시술을 위하여 외과기구(10)는 절골도(Osteotome: 50) 등에 의하여 수직골절단(Vertical osteotomy)을 한 하악골(2)의 틈(4)에 원위부(34)를 끼워 하악 하연에 배치시킨다. 이때, 만곡부(40)의 끝은 설측에 배치시키고, 지지부(38)는 협측(볼 쪽)에 배치시켜 지지점이 되게 한다. 시술자가 손잡이(20)를 잡고 외과기구(10)를 회전시키면, 이 힘은 설측에 닿아있는 만곡부(40)의 끝에 전달되면서 설측에서 골절이 이루어지게 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종래의 외과기구(10)는 지지부(38)와 만곡부(40)의 형상이 시술자의 힘을 하악골(2)에 정확하게 전달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하악상행지 시상분할 골절단술에는 구강(Oral cavity)을 열기 위하여 여러 외과기구들이 사용되는 데 외과기구(10)와 다른 외과기구들의 간섭이 흔히 발생되어 시술에 방해를 받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하악상행지 시상분할 골절단술용 외과기구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술자의 힘을 하악골에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한 새로운 구조의 하악상행지 시상분할 골절단술용 외과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강을 열기 위하여 사용되는 다른 외과기구들과의 간섭을 방지하고, 수술자의 시야를 넓게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하악상행지 시상분할 골절단술용 외과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로드 형상의 몸체가 여러 번 절곡되어 있는 하악상행지 시상분할 골절단술용 외과기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악상행지 시상분할 골절단술용 외과기구는 시술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와; 제1 중심축선과 제1 중심축선에 평행한 제2 중심축선을 구비하고, 제1 중심축선상에 배치되어 손잡이에 결합되어 있는 근위부와 제2 중심축선상에 배치되어 있는 원위부를 구비하며, 근위부로부터 제1 중심축선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자루부와, 구강 안으로 진입되는 것으로 자루부의 말단으로부터 제1 중심축선의 반경 방향을 향하여 1차 절곡되어 있는 연장부와, 하악골의 외측면에 지지되도록 연장부의 말단으로부터 제1 중심축선을 향하여 2차 절곡되어 있는 지지부와, 하악골의 골절단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틈에 끼워지도록 지지부의 말단으로부터 제2 중심축선을 향하여 3차 절곡되어 있는 삽입부와, 원위부와 삽입부의 말단을 연결하도록 제2 중심축선을 따라 4차 절곡되어 있는 첨두부를 구비하는 로드 형상의 몸체를 포함한다.
또한, 몸체는 제1 중심축선을 기준으로 앞쪽 방향, 뒤쪽 방향, 오른쪽 방향과 왼쪽 방향을 구비하며, 제2 중심축선은 몸체의 왼쪽 방향 또는 오른쪽 방향에 배치되어 있고, 연장부는 몸체의 앞쪽 방향을 향하여 절곡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악상행지 시상분할 골절단술용 외과기구는 로드 형상의 몸체가 하악골의 시상분할에 적합하도록 자루부로부터 연장부, 지지부, 삽입부와 첨두부으로 절곡되어 지지부를 하악골의 외측면에 지지시키고, 삽입부와 첨두부를 하악골의 골절단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틈에 끼워 넣어 회전시킴으로써, 회전력을 삽입부와 첨두부에 정확하게 전달하여 하악골의 시상분할을 정확하고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하악골의 시상분할 시 사용되는 다른 외과기구들과의 간섭을 방지하고, 수술자의 시야를 넓게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하악상행지 시상분할 골절단술용 외과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외과기구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악상행지 시상분할 골절단술용 외과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악상행지 시상분할 골절단술용 외과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악상행지 시상분할 골절단술용 외과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몸체의 선단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악상행지 시상분할 골절단술용 외과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하악상행지 시상분할 골절단술용 외과기구에 의한 시술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몸체의 선단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하악상행지 시상분할 골절단술용 외과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과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악상행지 시상분할 골절단술용 외과기구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3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하악상행지 시상분할 골절단술용 외과기구(100)는 손잡이(110)와 로드 형상의 몸체(120)로 구성되어 있다. 몸체(120)는 제1 중심축선(L1)과 제1 중심축선(L1)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제2 중심축선(L2)을 구비한다. 몸체(120)는 제1 중심축선(L1)을 기준으로 앞쪽 방향(D1), 뒤쪽 방향(D2), 오른쪽 방향(D3)과 왼쪽 방향(D4)을 구비한다. 제2 중심축선(L2)은 제1 중심축선(L1)의 오른쪽 방향(D3)에 배치되어 있다.
몸체(120)는 근위부(122)와 원위부(124)를 구비한다. 근위부(122)는 제1 중심축선(L1)상에 배치되어 있고, 원위부(124)는 제2 중심축선(L2)상에 배치되어 있다. 결합부(126)가 근위부(122)에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126)는 핀(112)에 의하여 손잡이(110)의 선단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근위부(122)는 손잡이(110)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다.
몸체(120)는 결합부(126)로부터 원위부(124)를 향하여 제1 중심축선(L1)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있는 자루부(Shank portion: 128)를 구비한다. 자루부(128)의 단면 형상은 전면(128a), 후면(128b), 제1 측면(128c)과 제2 측면(128d)을 갖는 장방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장부(130)가 자루부(128)의 말단으로부터 제1 중심축선(L1)의 반경 방향, 즉 앞쪽 방향(D1)을 향하여 1차 절곡되어 있다. 연장부(130)는 구강 안으로의 접근성을 향상시키고, 다른 외과기구들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루부(128)로부터 절곡되어 있다.
도 3, 도 5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자루부(128)와 연장부(130)의 절곡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1 절곡부(132a)가 이루는 제1 절곡각도(θ1)는 10~30도(Degree)이다. 제1 절곡각도(θ1)가 10도 미만이거나 30도를 초과하면, 구강 안으로의 접근성이 낮아지고 다른 외과기구들과 간섭되기 쉽다.
지지부(134)가 하악골의 외측면에 지지되도록 연장부(130)의 말단으로부터 제2 중심축선(L2)을 향하여 2차 절곡되어 있다. 연장부(130)와 지지부(134)의 절곡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2 절곡부(132b)가 이루는 제2 절곡각도(θ2)는 80~100도이며, 바람직하기로는 90도이다. 제2 절곡각도(θ2)가 80도 미만이거나 100도를 초과하면, 지지부(134)를 하악골의 외측면에 지지하기 어렵다.
도 3, 도 6과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삽입부(136)가 지지부(134)의 말단으로부터 제2 중심축선(L2)을 향하여 3차 절곡되어 있다. 삽입부(136)는 하악골의 골절단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틈에 끼워진다. 지지부(134)와 삽입부(136)의 절곡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3 절곡부(132c)가 이루는 제3 절곡각도(θ3)는 100~110도이다. 즉, 삽입부(136)의 제3 중심축선(L3)은 제1 중심축선(L1)에 대하여 10~20도 기울어져 있다. 제3 절곡각도(θ3)가 110도 미만이거나 110도를 초과하면, 삽입부(136)를 틈에 끼워 넣기가 힘들다.
첨두부(138)가 원위부(124)와 삽입부(136)의 말단을 연결하도록 제2 중심축선(L2)을 따라 4차 절곡되어 있다. 첨두부(138)는 골절단의 틈에 끼워진다. 삽입부(136)와 첨두부(138)의 절곡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4 절곡부(132d)가 이루는 제4 절곡각도(θ4)는 100~110도이다. 삽입부(136)와 첨두부(136)의 제4 절곡각도(θ4)에 의하여 자루부(128)와 첨두부(138)가 평행하게 배열된다.
로드 형상의 몸체(120)의 단면 형상은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삽입부(136)와 첨두부(138)의 단면적은 지지부(134)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시술 시 삽입부(136)와 첨두부(138)는 하악골(2)의 골전단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틈(4)에 용이하게 끼워넣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하악상행지 시상분할 골절단술용 외과기구(100)에 의한 하악골의 시상분할을 설명한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시술자는 손잡이(110)를 잡고, 첨두부(138)를 구강 안으로 진입시킨 후 하악골(2)의 틈(4)에 첨두부(138)와 삽입부(136)를 끼워넣는다. 이때, 지지부(134)는 하악골의 외측면에 지지시킨다.
계속해서, 시술자가 손잡이(110)를 회전시키면, 시술자에 의한 손잡이(110)의 회전력이 하악골(2)의 외측면에 지지되어 있는 지지부(134)를 지지점으로 삽입부(136)와 첨두부(138)에 정확하게 전달된다. 따라서 시술자는 하악골(2)의 시상분할을 정확하고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10과 도 11에 본 발명에 따른 하악상행지 시상분할 골절단술용 외과기구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의 외과기구(200)는 앞에서 설명한 외과기구(100)와 기본적인 구성이 동일하다. 따라서 외구기구(100)와 다른 실시예의 외과기구(200)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실시예의 외과기구(200)가 외과기구(100)과 다른 점은 지지부(134)가 오른쪽 방향(D3)과 왼쪽 방향(D4)으로 절곡되어 있는 점이다. 지지부(134)가 오른쪽 방향(D3)으로 절곡되어 있는 외과기구(100)는 오른쪽 하악골의 시상분할에 사용된다. 지지부(134)가 왼쪽 방향(D4)으로 절곡되어 있는 외과기구(200)는 왼쪽 하악골의 시상분할에 사용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200: 외과기구 110: 손잡이
120: 로드 형상의 몸체 122: 근위부
124: 원위부 128: 자루부
130: 연장부 132a~132d: 제1 내지 제4 절곡부
134: 지지부 136: 삽입부
138: 첨두부

Claims (8)

  1. 시술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와;
    제1 중심축선과 상기 제1 중심축선에 평행한 제2 중심축선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중심축선상에 배치되어 상기 손잡이에 결합되어 있는 근위부와 상기 제2 중심축선상에 배치되어 있는 원위부를 구비하며, 상기 근위부로부터 상기 제1 중심축선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자루부와, 구강 안으로 진입되는 것으로 상기 자루부의 말단으로부터 상기 제1 중심축선의 반경 방향을 향하여 1차 절곡되어 있는 연장부와, 하악골의 외측면에 지지되도록 상기 연장부의 말단으로부터 상기 제1 중심축선을 향하여 2차 절곡되어 있는 지지부와, 상기 하악골의 골절단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틈에 끼워지도록 상기 지지부의 말단으로부터 상기 제2 중심축선을 향하여 3차 절곡되어 있는 삽입부와, 상기 원위부와 상기 삽입부의 말단을 연결하도록 상기 제2 중심축선을 따라 4차 절곡되어 있는 첨두부를 구비하는 로드 형상의 몸체를 포함하는 하악상행지 시상분할 골절단술용 외과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제1 중심축선을 기준으로 앞쪽 방향, 뒤쪽 방향, 오른쪽 방향과 왼쪽 방향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중심축선은 상기 몸체의 왼쪽 방향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몸체의 앞쪽 방향을 향하여 절곡되어 있는 하악상행지 시상분할 골절단술용 외과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제1 중심축선을 기준으로 앞쪽 방향, 뒤쪽 방향, 오른쪽 방향과 왼쪽 방향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중심축선은 상기 몸체의 오른쪽 방향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몸체의 앞쪽 방향을 향하여 절곡되어 있는 하악상행지 시상분할 골절단술용 외과기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루부와 상기 연장부의 1차 절곡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1 절곡각도는 10~30도로 이루어지는 하악상행지 시상분할 골절단술용 외과기구.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와 상기 삽입부의 2차 절곡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2 절곡각도는 80~100도로 이루어지는 하악상행지 시상분할 골절단술용 외과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곡각도는 90도로 이루어지는 하악상행지 시상분할 골절단술용 외과기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와 상기 지지부의 3차 절곡에 의하여 제3 절곡각도는 10~20도로 이루어지는 하악상행지 시상분할 골절단술용 외과기구.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단면 형상은 장방형이고, 상기 삽입부와 상기 첨두부 각각의 단면적은 상기 지지부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는 하악상행지 시상분할 골절단술용 외과기구.
KR1020120028845A 2012-03-21 2012-03-21 하악상행지 시상분할 골절단술용 외과기구 KR101292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845A KR101292192B1 (ko) 2012-03-21 2012-03-21 하악상행지 시상분할 골절단술용 외과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845A KR101292192B1 (ko) 2012-03-21 2012-03-21 하악상행지 시상분할 골절단술용 외과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2192B1 true KR101292192B1 (ko) 2013-08-01

Family

ID=49219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8845A KR101292192B1 (ko) 2012-03-21 2012-03-21 하악상행지 시상분할 골절단술용 외과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21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9650A (ko) * 2015-06-18 2016-12-28 박범진 혈관과 신경 손상을 방지하는 사각턱 수술용 리트렉터
CN106725709A (zh) * 2016-11-24 2017-05-31 中国医学科学院整形外科医院(整形外科研究所) 下颌骨下缘后缘剥离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5031A (en) 1989-12-28 1991-01-15 Techmedica, Inc. Left and right inferior border osteotomy blade saw
KR100578561B1 (ko) 2001-06-07 2006-05-12 이재화 턱뼈 절골용 톱날
KR100853476B1 (ko) 2007-02-22 2008-08-21 이재우 치과용 익스플로러 기구
KR100999106B1 (ko) 2010-06-08 2010-12-07 한국세라믹기술원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턱관절 절삭 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5031A (en) 1989-12-28 1991-01-15 Techmedica, Inc. Left and right inferior border osteotomy blade saw
KR100578561B1 (ko) 2001-06-07 2006-05-12 이재화 턱뼈 절골용 톱날
KR100853476B1 (ko) 2007-02-22 2008-08-21 이재우 치과용 익스플로러 기구
KR100999106B1 (ko) 2010-06-08 2010-12-07 한국세라믹기술원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턱관절 절삭 팁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9650A (ko) * 2015-06-18 2016-12-28 박범진 혈관과 신경 손상을 방지하는 사각턱 수술용 리트렉터
KR101704614B1 (ko) 2015-06-18 2017-02-08 박범진 혈관과 신경 손상을 방지하는 사각턱 수술용 리트렉터
CN106725709A (zh) * 2016-11-24 2017-05-31 中国医学科学院整形外科医院(整形外科研究所) 下颌骨下缘后缘剥离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07228B2 (en) Retractor for periodontal surgery
JP4485037B2 (ja) 歯科用ダイヤモンドバー
Kim et al. Comparison of success rates of orthodontic mini-screws by the insertion method
CN205286509U (zh) 一种下颌骨截骨导板
JP2009522038A (ja) フリーアングル型インプラントドライバー及びフリーアングルホール(孔)型インプラントアバットメント
US20210330426A1 (en) Endodontic file
US11576749B2 (en) Dental surgery method and device
US20140088597A1 (en) Method of increasing bone density during surgery
KR101292192B1 (ko) 하악상행지 시상분할 골절단술용 외과기구
RU174810U1 (ru) Скальпель-распатор
CN212066799U (zh) 一种下颌角截骨定位装置
CN209004106U (zh) 牙支持式下颌骨升支截骨及牵引器固定导板
CN107928812B (zh) 持根管锉器
US9248004B2 (en) Ultrasonic tip for minimally invasive crown lengthening
CN112842566A (zh) 一种用于后牙微创拔牙分根的器械及使用方法
US20190038379A1 (en) Dental retractor
CN202801735U (zh) 一种口腔手术钳
RU66945U1 (ru) Хирургические щипцы
KR101007905B1 (ko) 치과용 파일 제거기구
JP4460599B2 (ja) 抜歯工具
CN220588375U (zh) 一种微创拔牙车针
US20160022376A1 (en) Mirror, in particular medical mirror, and device, in particular for root canal treatment
WO2024161192A1 (en) A dental implant designed to protect a network of nerves during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CN215079961U (zh) 牙齿冠根分离挺
US20170119504A1 (en) Orthodontic plate fixed to mandibular ram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