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7905B1 - 치과용 파일 제거기구 - Google Patents

치과용 파일 제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7905B1
KR101007905B1 KR1020080124646A KR20080124646A KR101007905B1 KR 101007905 B1 KR101007905 B1 KR 101007905B1 KR 1020080124646 A KR1020080124646 A KR 1020080124646A KR 20080124646 A KR20080124646 A KR 20080124646A KR 101007905 B1 KR101007905 B1 KR 101007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dental
root canal
treatment
pi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4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6020A (ko
Inventor
박병활
Original Assignee
박병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활 filed Critical 박병활
Priority to KR1020080124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7905B1/ko
Publication of KR20100066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6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7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790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40Implements for surgical treatment of the roots or nerves of the teeth; Nerve needles; Methods or instruments for medication of the roots
    • A61C5/48Means for preventing loss of endodontic instruments during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8Flexible shafts; Clutches or the like; Bearings or lubricating arrangements; Drives or transmissions
    • A61C1/185Drives or transmis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40Implements for surgical treatment of the roots or nerves of the teeth; Nerve needles; Methods or instruments for medication of the roots
    • A61C5/42Files for root canals; Handgrips or guid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Neuro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치료에 있어서 치수조직 잔사나 염증조직을 완전히 긁어내기 위해 사용되는 파일(file)을 이용한 근관치료(神經治療, endodontic treatment) 중 파일이 파절될 경우, 이 파일과 나사결합 가능한 기구를 근관 내에 삽입하여 나사결합한 후 파일이 결합한 방향의 역방향으로 기구를 회전시킴으로써 복잡한 절차 없이 용이하게 제거 가능한 치과용 파일 제거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파일 제거기구는 일측에 결합구가 형성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와, 일측은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연결되며, 타측에는 나사홀이 형성되는 파일제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치과, 파일, 근관치료, 장착부, 연장부, 파일제거부, 나사결합

Description

치과용 파일 제거기구{FILE REMOVING DEVICE FOR DENTAL SURGERY}
본 발명은 치과용 파일 제거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과치료에 있어서 치수조직 잔사나 염증조직을 완전히 긁어내기 위해 사용되는 파일(file)을 이용한 근관치료(神經治療, endodontic treatment) 중 파일이 파절될 경우, 이 파일과 나사결합 가능한 기구를 근관 내에 삽입하여 나사결합한 후 파일이 결합한 방향의 역방향으로 기구를 회전시킴으로써 복잡한 절차 없이 용이하게 제거 가능한 치과용 파일 제거기구에 관한 것이다.
근관치료(神經治療, endodontic treatment)란 일반적으로 신경치료를 의미하는 것으로 치과에서 가장 많이 행해지는 진료 중 하나이다.
이 치료는 충치가 심하거나 이가부러져 치아의 신경조직인 치수에까지 세균 감염이 진행되었을 경우, 신경조직을 제거한 후 그 자리를 불활성(inert) 재료를 충전하는 방법으로 이루어 진다.
이러한 근관치료는 차아의 썩은 부위를 제거하고 치료가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신경관이 있는 부분까지 치료부위를 확대해 준 다음, 파일(file)을 신경관에 넣고 길이를 측정하여 남아있는 치수조직을 긁어내게 된다.
그런 다음, 치수조직 잔사나 염증조직을 완전히 긁어내기 위해 근관구멍을 넓히고 최종적으로 빈 공간을 채워주는 치료를 하게 되는데 신경관을 넓히는데는 주로 파일(file)과 같은 뾰족한 기구들이 사용되며, 근래에는 나이타이 파일(Ni-Ti file)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나서 최종적으로 확대된 치근관에는 Gutta Percha라고 하는 불활성 재료를 충전해 치료를 마무리하게 된다.
그런데, 파일을 통해 신경관의 구멍을 넓히는 치료 중에는 파일의 일부가 근관 내에 삽입된 채로 파절되는 일이 종종 발생되게 된다.
이러한경우 근관 내에 박힌 파절된 파일은 쉽게 빼내기 어려워 복잡한 과정을 거쳐서 제거해 내야 하는바, 환자나 시술자 모두에게 큰 부담이 따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치과치료에 있어서 치수조직 잔사나 염증조직을 완전히 긁어내기 위해 사용되는 파일(file)을 이용한 근관치료(神經治療, endodontic treatment) 중 파일이 파절될 경우, 이 파일과 나사결합 가능한 기구를 근관 내에 삽입하여 나사결합한 후 파일이 결합한 방향의 역방향으로 기구를 회전시킴으로써 복잡한 절차 없이 용이하게 제거 가능한 치과용 파일 제거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일측에 결합구가 형성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와, 일측은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연결되며, 타측에는 나사홀이 형성되는 파일제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파일 제거기구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나사홀은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짧아지는 꼬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나사홀의 내주연에 형성되는 나사산은 암나사산인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치과용 파일 제거기구는 결합구를 통해 치과용 핸드피스의 구동부에 장착되며, 상기 치과용 핸드피스의 구동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치과치료에 있어서 치수조직 잔사나 염증조직을 완전히 긁어내기 위해 사용되는 파일(file)을 이용한 근관치료(神經治療, endodontic treatment) 중 파일이 파절될 경우, 이 파일과 나사결합 가능한 기구를 근관 내에 삽입하여 나사결합한 후 파일이 결합한 방향의 역방향으로 기구를 회전시킴으로써 복잡한 절차 없이 용이하게 제거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파일 제거기구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파일 제거기구의 단면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파일 제거기구(1)는 일측에 결합구(12)가 형성되는 장착부(10)와, 장착부(10)의 타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20)와, 일측은 연장부(20)의 단부에 연결되며, 타측에는 나사홀(32)이 형성되는 파일제거부(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장착부(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파일 제거기구(1)가 치과용 핸드피스(60)의 구동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치과용 파일 제거기구(1)의 최상단에 형성된다.
이를 위해 장착부(10)의 일측에는 치과용 핸드피스(60)의 구동부에 장착되는 결합구(12)가 형성되는데, 이 결합구(12)는 종래기술에 따른 다양한 치과용 드릴의 결합구(12)와 동일한 것으로 하여 상세한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장착부(10)의 타측에는 연장부(20)가 연장 형성되는데, 이 연장부(20)는 그 단부에 추후에 설명될 파일제거부(30)가 구비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장부(20)는 전술한 장착부(10)로부터 일직선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그 두께가 얇게 형성되도록 하여 치료가 필요한 치아(50) 내의 만곡이 심한 근관(52) 내에도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연장부(20)의 단부에는 파일제거부(30)가 연결되는데, 이 파일제거부(30)는 나사홀(32)을 통해 치아(50)의 근관(52) 내에 파절된 상태로 삽입되어 있는 파일(file)(40)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여기서 나사홀(32)은 치아(50)의 근관(52) 내에 삽입되어 있는 파절된 파일(40)이 일부 회전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짧아지는 꼬깔 형상으로 형성되며, 나사홀(32)의 내주연에 형성되는 나사산은 역시 치아(50)의 근관(52) 내에 삽입되어 있는 파절된 파일(40)의 외주연에 형성된 수나사산(42)과 나사결합 가능하도록 암나사산(32a)으로 형성된다.
또한, 전술한 나사홀(32)의 단부의 가장자리에는 파일제거부(30)가 삽입 가능하도록 단턱(54)이 만들어진 근관(52)을 드릴링 할 수 있도록 드릴날(34)이 돌출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장착부(10), 연장부(20) 및 파일제거부(30)로 이루어지는 치과용 파일 제거기구(1)는 결합구(12)를 통해 치과용 핸드피스(60)의 구동부에 장착된 다음 치과용 핸드피스(60)의 구동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근관(52) 내에 삽입되어 있는 파절된 파일(40)과 결합된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파일 제거기구(1)의 전체적인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 내지 도 3j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파일 제거기구(1)를 이용한 치료과정을 보인 사용상태도가 도시된다.
먼저, 시술자는 치과용 핸드피스(60)의 구동부에 환자의 치아상태에 맞는 파일(file)(40)을 장착한 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치아(50)의 근관(52) 내 신경관을 넓혀준다.
이 치료과정에서 파일(40)의 일부가 치아(50)의 근관(52) 내에 삽입된 채로 파절될 경우, 시술자는 치료를 중단하고 파일(40)을 치아(50)의 근관(52) 내에서 빼 낸 다음, 파절된 파일(40)의 단부가 삽입가능한 나사홈을 갖는 치과용 파일 제거기구(1)를 선택한다.
그런 다음, 파절된 파일(40)을 선택된 치과용 파일 제거기구(1)의 파일제거부(30) 두께와 동일한 두께가 되도록 잘라낸 다음, 파절된 파일(40)이 삽입되어 있 는 치아(50)의 근관(52) 내를 드릴링하여 파일제거부(30)가 진입될 수 있는 단턱(54)을 만들어 준다.
그런 다음, 선택된 치과용 파일 제거기구(1)를 치과용 핸드피스(60) 구동부 내에 장착한 후 단턱(54)이 만들어진 근관(52) 내에 넣고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전진시킨다.
이때, 파일제거부(30)의 나사홀(32) 가장자리에는 드릴날(34)이 돌출 형성되어 있어 근관(52)에 형성된 단턱(54)을 드릴링하면서 전진함과 동시에, 나사홀(32) 내의 암나사와 파절된 파일(40)의 수나사가 나사결합된다.
나사결합시 파절된 파일(40)의 단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나사홀(32) 내는 그 역방향인 고깔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바, 파절된 파일(40)은 나사홀(32) 내에서 나사결합되다가 상호 맞닿는 시점에서 더 이상 회전하지 않고 멈추게 된다.
나사결합이 종료되면, 시술자는 반시계 방향으로 치과용 파일 제거기구(1)를 회전시키면서 후진시키는데 이때 파일제거부(3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어 근관(52) 내에 삽입된 파절된 파일(40)은 더 이상 근관(52) 내로 삽입되지 않고 근관(52) 내에서 뽑혀 올라오게 된다.
파절된 파일(40)이 전술한 바와 같이 간단한 방법으로 제거되고 난 후에는, 시술자는 나머지 근관치료를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바와 같은 치과용 파일 제거기구(1)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 에서와 같이 치과용 핸드피스(60)에 장착된 다음 그 구동력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파절된 파일(40)을 제거할 수도 있으나, 치과용 핸드피스(60)를 사용하지 않고 시술자가 직접 장착부 부분을 손으로 파지한 다음 손끝의 감각을 이용해 파절된 파일(40)과 결합한 다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제거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시술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장착부(10)의 두께가 치과용 핸드피스(60)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그것에 비해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파일 제거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파일 제거기구의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j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파일 제거기구를 이용한 치료과정을 보인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치과용 파일 제거기구 10 : 장착부
12 : 결합구 20 : 연장부
30 : 파일제거부 32 : 나사홀
32a : 암나사산 34 : 드릴날
40 : 파일 42 : 수나사산
50 : 치아 52 : 근관
54 : 단턱 60 : 핸드피스

Claims (3)

  1. 일측에 결합구가 형성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 및
    일측은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연결되며, 타측에는 나사홀이 형성되는 파일제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파일 제거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나사홀은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짧아지는 꼬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나사홀의 내주연에 형성되는 나사산은 암나사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파일 제거기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치과용 파일 제거기구는 결합구를 통해 치과용 핸드피스의 구동부에 장착되며, 상기 치과용 핸드피스의 구동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파일 제거기구.
KR1020080124646A 2008-12-09 2008-12-09 치과용 파일 제거기구 Expired - Fee Related KR101007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4646A KR101007905B1 (ko) 2008-12-09 2008-12-09 치과용 파일 제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4646A KR101007905B1 (ko) 2008-12-09 2008-12-09 치과용 파일 제거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6020A KR20100066020A (ko) 2010-06-17
KR101007905B1 true KR101007905B1 (ko) 2011-01-14

Family

ID=42365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4646A Expired - Fee Related KR101007905B1 (ko) 2008-12-09 2008-12-09 치과용 파일 제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79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13719B1 (en) 2017-06-07 2020-10-27 Sherif Radwan Method and extraction device for removal of broken root canal file frag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4233B1 (ko) * 2019-11-28 2022-06-02 (주)디엑스엠 치과용 충전기의 볼발열팁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80197B1 (en) * 2000-01-04 2001-08-28 Doron Benado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withdrawal of dental pos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80197B1 (en) * 2000-01-04 2001-08-28 Doron Benado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withdrawal of dental pos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13719B1 (en) 2017-06-07 2020-10-27 Sherif Radwan Method and extraction device for removal of broken root canal file frag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6020A (ko) 201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ddle Nonsurgical retreatment
Terauchi et al. Removal of separated files from root canals with a new file-removal system
US6976844B2 (en) Ultrasonic microtube dental instruments and methods of using same
Jafarzadeh et al. Ledge formation: review of a great challenge in endodontics
US20170143351A1 (en) Implant placement trephine, prepackaged and sized implant / trephine kit, and methods of use
Okiji Modified usage of the Masserann kit for removing intracanal broken instruments
US11007034B2 (en) Device for guiding a dental surgical hollow milling machine and a method for producing such a device
Krell et al. The conservative retrieval of silver cones in difficult cases
KR20190035012A (ko) 티슈 펀칭 기능을 가지는 이니셜드릴
US20070065773A1 (en) Root canal obstruction removal system
KR101007905B1 (ko) 치과용 파일 제거기구
WO2015085228A1 (en) Endodontic file
WO2009151276A2 (ko)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KR101170895B1 (ko)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윈도우 오프너
McCullock The removal of restorations and foreign objects from root canals.
US20090098509A1 (en) Dental tooth extraction implement and method thereof
Simon et al. Clinical success in endodontic retreatment
US20150037755A1 (en) Dental Extraction Burs for Extraction of a tooth or a portion of a Tooth
US20130189648A1 (en) Device and method for removing dental posts
Lambrianidis Therapeutic options for the management of fractured instruments
US20150024346A1 (en) Method of removing oral root tip
KR101181923B1 (ko)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드릴
EP2559397A1 (en) Ultrasonic dental tip for removing a post
KR101512561B1 (ko) 수술가이드를 이용한 플랩리스 임플란트 시술에서 즉시 보철수복을 위한 치조골의 표면을 정리하는 드릴
Martin Removal of fractured instrument with a new extractor: clinical ca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7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1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1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