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4614B1 - 혈관과 신경 손상을 방지하는 사각턱 수술용 리트렉터 - Google Patents

혈관과 신경 손상을 방지하는 사각턱 수술용 리트렉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4614B1
KR101704614B1 KR1020150086988A KR20150086988A KR101704614B1 KR 101704614 B1 KR101704614 B1 KR 101704614B1 KR 1020150086988 A KR1020150086988 A KR 1020150086988A KR 20150086988 A KR20150086988 A KR 20150086988A KR 101704614 B1 KR101704614 B1 KR 101704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dible
distal end
bent
departure prevention
depar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6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9650A (ko
Inventor
박범진
Original Assignee
박범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범진 filed Critical 박범진
Priority to KR1020150086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4614B1/ko
Publication of KR20160149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96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4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4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4Surgical saws ; Accessories therefor
    • A61B17/15Gui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9Incision instruments
    • A61B17/3211Surgical scalpels, knives; Accessories therefor
    • A61B2017/32113Surgical scalpels, knives; Accessories therefor with extendable or retractable guard or blad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각턱 수술용 리트렉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톱납을 귀 뒤로 삽입하여 사각턱을 절골하는 경우에 톱납에 의한 신경과 혈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사각턱 수술용 리트렉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사각턱 수술용 리트렉터는 환자의 귀 뒤로 삽입되고 상기 환자의 하악골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환자의 하악골을 절골하는 톱날이 상기 하악골의 내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1이탈방지부; 및 상기 제 1이탈방지부의 선단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톱날이 상기 하악골의 전방과 상기 하악골의 측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2이탈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혈관과 신경 손상을 방지하는 사각턱 수술용 리트렉터{Retractor for mandibular angle resection preventing vessel and nerve damage}
본 발명은 사각턱 수술용 리트렉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톱날을 귀 뒤로 삽입하여 사각턱을 절골하는 경우에 톱날에 의한 신경과 혈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사각턱 수술용 리트렉터에 관한 것이다.
이른바 귀 뒤 사각턱 수술은 귀 뒤쪽을 약 3cm 가량 절개하여 돌출된 하악골을 절골하여 제거하고 다듬는 수술을 말한다. 이러한 귀 뒤 사각턱 수술은 전신마취가 필요 없고, 귀 뒤를 작게 절개해 하악골에 접근하기 때문에 빠른 회복, 출혈과 부기의 최소화, 사각턱 수술부위로의 뛰어난 접근성을 가지는 장점이 있다.
한편, 하악골의 주변, 특히 하악골의 내측, 외측, 하측에는 손상시에 환자에게 치명적일 수 있는 혈관 및 신경이 위치하는데 사각턱 수술시에는 이들이 손상되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그러나 사각턱 수술의 특성상 뼈를 절골하는 톱날을 자유자재로 멈춘다는 것이 쉽지 않으며, 톱날에 하방으로 주어지는 많은 힘이 있는 상태에서 사각턱의 절골이 완료되면 하악골의 주변에 존재하는 연부조직과 신경, 혈관의 손상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으며, 또는 수술과정에서 톱날이 밀려나거나 전방으로 과하게 앞으로 진행하면서 연부조직 또는 혈관, 신경에 손상을 주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하악골의 절골시 사용되는 톱날이 근육, 신경, 혈관 등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악골의 내측과 하측에 거즈를 끼워넣고 하악골을 절골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즉, 하악골을 절골하기 전에 하악골의 내측과 하측에 거즈를 끼워넣고, 하악골의 절골시 사용되는 톱날이 하악골로부터 이탈하더라도 거즈가 톱날의 진행을 차단하여 근육, 혈관, 신경 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 하악골을 절골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하악골의 절골을 마치고 거즈를 제거한다 하더라도 거즈가 완전하게 분리되지 않고 거즈의 부산물이 하악골의 주변에 잔류하게 되어 이들을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거즈의 부산물이 제대로 제거되지 않을 경우, 수술부위에 염증을 일으키는 후유증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거즈 자체를 이용하여 하악골 주변부를 완전히 보호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수술용 톱날에 의해 거즈가 손상되는 경우에는 거즈의 잔류물이 남는 것을 피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578561호(2006. 05. 12.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악골을 절골하는 톱날의 이탈을 방지하여 하악골 주변의 혈관과 신경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수술부위에 거즈, 뼈조각 등과 같은 이물질이 남지 않는 사각턱 수술용 리트렉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사각턱 수술용 리트렉터는 환자의 귀 뒤로 삽입되고 상기 환자의 하악골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환자의 하악골을 절골하는 톱날이 상기 하악골의 내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1이탈방지부; 및 상기 제 1이탈방지부의 선단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톱날이 상기 하악골의 전방과 상기 하악골의 측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2이탈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사각턱 수술용 리트렉터는, 상기 제 1이탈방지부의 말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되는 제 1절곡부; 상기 제 1절곡부의 말단부로부터 상기 하악골의 후방으로 절곡되는 제 2절곡부; 및 상기 제 2절곡부의 말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 1이탈방지부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사각턱 수술용 리트렉터는, 상기 손잡이부에 시술자의 시야가 확보되도록 상기 제 2절곡부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뷰 포트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사각턱 수술용 리트렉터는, 상기 제 1이탈방지부가 상기 하악골의 경사 각도에 따라 상기 제 1절곡부로부터 상기 하악골의 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하악골의 하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사각턱 수술용 리트렉터는, 상기 제 1이탈방지부, 상기 제 1절곡부, 상기 제 2절곡부, 상기 손잡이부를 관통하며, 선단부가 상기 제 1이탈방지부의 전방을 향해 개방되고 말단부가 상기 손잡이부의 상방으로 개방되는 연통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사각턱 수술용 리트렉터는, 상기 연통관의 선단부가 상기 제 1이탈방지부의 선단부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지게 개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사각턱 수술용 리트렉터는, 상기 제 1이탈방지부가 상기 제 1절곡부로부터 전방을 향하는 길이를 가지는 장변과, 상기 장변으로부터 상기 하악골의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단변을 포함하는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이탈방지부는 상기 제 1이탈방지부의 평면 상에서 상기 제 1이탈방지부의 장변에 대하여 120도 내지 170도의 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사각턱 수술용 리트렉터는 하악골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제 1이탈방지부와, 제 1이탈방지부의 선단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제 2이탈방지부에 의해, 하악골을 절골하는 톱날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하악골의 주변부에 위치하는 혈관, 신경 등이 톱날에 의한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사각턱 수술용 리트렉터는 수술부위에 거즈, 뼈조각 등과 같은 이물질이 남지 않으므로, 시술 후에 후유증을 염려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사각턱 수술용 리트렉터는 연통관을 석션(suction)관으로 이용하거나 또는 연통관을 통해 내시경을 하악골의 수술부위로 간편하게 삽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사각턱 수술용 리트렉터의 사용상태를 간략하게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사각턱 수술용 리트렉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사각턱 수술용 리트렉터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사각턱 수술용 리트렉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사각턱 수술용 리트렉터의 선단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사각턱 수술용 리트렉터의 선단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이 여러 가지 수정 및 변형을 허용하면서도, 그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들로 예시되어 나타내어지며,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을 개시된 특별한 형태로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오히려 본 발명은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사상과 합치되는 모든 수정, 균등 및 대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내측', '외측', '하측' 등과 같은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구성들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그러한 용어에 의해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첨부도면에서, 두께 및 크기는 명세서의 명확성을 위해 과장되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첨부도면에 도시된 상대적인 크기나 두께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사각턱 수술용 리트렉터의 사용상태를 간략하게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사각턱 수술용 리트렉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사각턱 수술용 리트렉터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사각턱 수술용 리트렉터(이하, '리트렉터'라 함.)(100)는 톱날(30)을 환자의 귀 뒤로 삽입하여 하악골(11)을 절골하는 경우에, 톱날(30)이 하악골(11)의 주변부 예를들어 하악골(11)의 내측, 하측, 전방 및 측방 등으로 이탈되어 하악골(11) 이외의 다른 부위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리트렉터(100)는 제 1이탈방지부(110), 제 1절곡부(120), 제 2절곡부(130) 및 손잡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이탈방지부(110), 제 1절곡부(120), 제 2절곡부(130) 및 손잡이부(140)는 장변과 단변으로 이루어지는 일체형의 판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손잡이부(140)는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손잡이부(140)를 파지한 사용자의 손을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파지한 손모양에 따라 돌출되는 그립용 돌기(141)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이탈방지부(110)는 환자의 귀 뒤를 일부 절개하여 그 선단부가 환자의 하악골(11)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제 1이탈방지부(110)는 제 1절곡부(120)로부터 하악골(11)의 전방을 향해 연장되어 하악골(11)의 길이를 지지하기에 충분한 길이의 장변과, 장변으로부터 하악골(11)의 내측을 향해 연장되어 하악골(11)의 폭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길이의 단변을 가질 수 있다. 제 1절곡부(120)는 제 1이탈방지부(110)의 말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제 2절곡부(130)는 제 1절곡부(120)의 말단부로부터 하악골(11)의 후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손잡이부(140)는 제 2절곡부(130)의 말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손잡이부(140)에는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손잡이부(140)를 파지한 사용자의 손을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파지한 손모양에 따라 돌출되는 그립용 돌기(14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140)에는 뷰 포트(143)가 형성될 수 있다. 뷰 포트(143)는 손잡이부(140)의 폭을 제 2절곡부(130)보다 작게 설계함으로써 손잡이부(140)에 형성될 수 있다. 뷰 포트(143)는 손잡이부(140)에 의해 사각턱의 시술부위가 가려지는 것을 방지하여 시술자의 시야가 확보되도록 한다.
한편, 제 1이탈방지부(110)는 하악골(11)을 절골하는 톱날(30)이 하악골(11)의 내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악골(11)의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여기서, 하악골(11)의 내측은 도 1에서는 하방으로 나타난다. 즉, 환자가 옆으로 누운 상태에서 시술자가 위에서 아래로 하악골(11)을 절골하게 되므로, 시술시에는 하악골(11)의 내측이 하방이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사각턱 수술용 리트랙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1절곡부(120)와 제 2절곡부(130)는 손잡이부(140)와 제 1이탈방지부(110)의 사이에 형성되기 때문에, 유양돌기(mastoid process;13)와 하악골(11)의 높이 차이를 보상한다.
그리고 제 2절곡부(130)는 유양돌기(13)에 대한 하악골(11)의 경사 각도를 보상하도록 손잡이부(140)로부터 경사진 각도(θ1)로 연장되며, 제 1이탈방지부(110)는 하악골(11)의 경사 각도에 따라 제 2절곡부(130)에 대하여 경사진 각도(θ2)로 제 1절곡부(120)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이탈방지부(110)는 하악골(11)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하악골(11)을 지지할 수 있으며, 하악골(11)을 절골하는 톱날(30)이 하악골(11)의 내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 1이탈방지부(110)의 선단부에는 제 2이탈방지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사각턱 수술용 리트렉터의 선단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사각턱 수술용 리트렉터의 선단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 2이탈방지부(150)는 제 1이탈방지부(110)의 선단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 2이탈방지부(150)는 제 1이탈방지부(110)의 평면상에서 제 1이탈방지부(110)의 장변에 대하여 120도 내지 170도로 경사진 각도(θ4)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이탈방지부(150)는 제 1이탈방지부(110)의 단변을 향해 점차 높아지는 삼각형의 판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 2이탈방지부(150)는 하악골(11)을 절골하는 톱날(30)이 하악골(11)의 전방을 향해 이탈되거나, 하악골(11)의 측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이탈방지부(150)는 제 1이탈방지부(110) 선단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절골하고자 하는 하악골(11)의 거의 끝부분 외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시술자가 톱날(30)을 이용하여 하악골(11)을 절골하다가 톱날(30)의 끝부분이 제 2이탈방지부(150)에 닿거나 걸리게 되는 경우에, 현재 톱날(30)의 위치가 절골하고자 하는 하악골(11)의 거의 끝지점에 위치하고 있다는 것을 가리키는 지표(indicator)로서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시술자는 톱날(30)을 이용하여 하악골(11)을 절골하는 경우에 톱날(30)이 제 2이탈방지부(150)에 닿게 되면, 혈관, 신경 등이 손상될 가능성이 있음을 인지하여 더욱 조심을 기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사각턱 수술용 리트랙터(100)는 좌측 하악골(11)을 절골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서, 제 2이탈방지부(150)는 제 1이탈방지부(150)의 선단부 좌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이탈방지부(150)는 톱날(30)이 하악골(11) 측방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혈관, 신경 등의 손상을 방지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제 1이탈방지부(150)의 선단부의 좌측과 우측 중 어느 한 측에 돌출형성될 수 있으며, 제 2이탈방지부(150)의 반대측은 하악골(11)의 내측으로 삽입되어야 하기 때문에 판상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지만, 본 발명에 따른 사각턱 수술용 리트랙터(100)를 우측 하악골(11)을 절골하는데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1에 따른 사각턱 수술용 리트랙터(100)의 제 2이탈방지부(150)가 제 1이탈방지부(150)의 선단부 좌측에 형성되는 것과는 반대로 우측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하악골(11)의 절골시, 사용자는 하악골(11)의 절골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관찰하기 위한 내시경을 함께 운용하거나, 하악골(11) 수술부위의 공급된 약물, 식염수 등, 또는 뼈조각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해 석션(suction)을 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제 1이탈방지부(110), 제 1절곡부(120), 제 2절곡부(130) 및 손잡이부(140)에는 연통관(160)이 형성될 수 있다. 연통관(160)은 석션(suction)장치에 연결되어 셕션관으로 사용되거나, 환자의 귀 뒤 외측에서 내시경을 삽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연통관(160)의 선단부는 제 1이탈방지부(110)의 전방을 향해 개방되며, 연통관(160)의 말단부는 손잡이부(140)의 상방으로 개방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제 1이탈방지부(110)는 하악골(11)의 내측면에 밀착하기 위해 하악골(11)의 경사진 각도(θ2)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연통관(160)의 선단부는 수술부위의 원활한 촬영, 수술부위로부터의 이물질, 뼈조각 등의 원활한 흡입을 위해 제 1이탈방지부(110)의 선단부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진 각도(θ3)로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연통관(160)의 말단부에는 내시경, 삽입관 등의 원활한 탈착과, 내시경, 석션장치 등의 장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외주면에 탈착돌기 또는 나사부가 형성되는 탈착부(161)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사각턱 수술용 리트렉터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사용자는 환자의 귀 뒤를 일부 절개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절개된 환자의 귀 뒤를 통해 제 1이탈방지부(110)를 삽입한다. 이에 따라 제 1이탈방지부(110)는 유양돌기(13)를 지나 하악골(11)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제 1절곡부(120)와 제 2절곡부(130)에 의해 유양돌기(13)와 하악골(11)의 높이 차이가 보상되고, 제 1이탈방지부(110)는 하악골(11)의 경사 각도에 따라 제 1절곡부(120)로부터 경사지게 하악골(11)의 전방을 향해 연장되므로, 제 1이탈방지부(110)는 하악골(11)의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제 2이탈방지부(150)는 제 1이탈방지부(110)의 장변에 대하여 120도 내지 170도의 각도로 경사지고 제 1이탈방지부(110)의 단변을 향해 점차 높아지는 삼각형의 판상으로 돌출된다.
또한, 하악골(11)의 수술부위는 연통관(160)을 통해 환자의 귀 뒤 외부와 연통된다. 사용자는 연통관(160)을 석션장치에 연결하여 석션관으로 이용하거나 또는 연통관(160)을 통해 내시경을 삽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리트렉터(100)의 삽입이 완료되고 하악골(11)의 절골시술이 준비되면, 사용자는 하악골(11)의 절골을 위한 톱날(30)을 삽입하여, 하악골(11)을 절골을 시술할 수 있다.
이때, 제 1이탈방지부(110)는 톱날(30)이 하악골(11)의 내측(도1 상에서는 하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제 2이탈방지부(150)는 톱날(30)이 하악골(11)의 전방 또는 측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사각턱 수술용 리트렉터(100)는 하악골(11)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제 1이탈방지부(110)와, 제 1이탈방지부(110)의 선단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제 2이탈방지부(150)에 의해, 하악골(11)을 절골하는 톱날(3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하악골(11)의 주변부에 위치하는 혈관, 조직 등이 손상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사각턱 수술용 리트렉터(100)는 연통관(160)을 석션장치에 연결하여 석션관으로 사용하거나, 연통관(160)을 통해 내시경을 하악골(11)의 수술부위로 간편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사각턱 수술용 리트렉터(100)는 수술부위에 거즈, 뼈조각 등과 같은 이물질이 남지 않으므로, 시술 후에 후유증을 염려하지 않아도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톱날을 귀 뒤로 삽입하여 사각턱을 절골하는 경우에 톱날에 의한 신경과 혈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사각턱 수술용 리트렉터에 관한 것으로서, 그 실시 형태는 다양한 형태로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변경 가능한 모든 형태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1 : 하악골
12 : 유양돌기
30 : 톱날
100 : 사각턱 수술용 리트렉터
110 : 제 1이탈방지부
120 : 제 1절곡부
130 : 제 2절곡부
140 : 손잡이부
150 : 제 2이탈방지부
160 : 연통관

Claims (7)

  1. 삭제
  2. 환자의 귀 뒤로 삽입되고 상기 환자의 하악골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환자의 하악골을 절골하는 톱날이 상기 하악골의 내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1이탈방지부;
    상기 제 1이탈방지부의 선단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톱날이 상기 하악골의 전방과 상기 하악골의 측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2이탈방지부;
    상기 제 1이탈방지부의 말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되는 제 1절곡부;
    상기 제 1절곡부의 말단부로부터 상기 하악골의 후방으로 절곡되는 제 2절곡부; 및
    상기 제 2절곡부의 말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 1이탈방지부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에는 시술자의 시야가 확보되도록 상기 제 2절곡부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뷰 포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턱 수술용 리트렉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이탈방지부는 상기 하악골의 경사 각도에 따라 상기 제 1절곡부로부터 상기 하악골의 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하악골의 하측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턱 수술용 리트렉터.
  4. 삭제
  5. 환자의 귀 뒤로 삽입되고 상기 환자의 하악골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환자의 하악골을 절골하는 톱날이 상기 하악골의 내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1이탈방지부;
    상기 제 1이탈방지부의 선단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톱날이 상기 하악골의 전방과 상기 하악골의 측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2이탈방지부;
    상기 제 1이탈방지부의 말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되는 제 1절곡부;
    상기 제 1절곡부의 말단부로부터 상기 하악골의 후방으로 절곡되는 제 2절곡부; 및
    상기 제 2절곡부의 말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 1이탈방지부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이탈방지부, 상기 제 1절곡부, 상기 제 2절곡부, 상기 손잡이부를 관통하며, 선단부가 상기 제 1이탈방지부의 전방을 향해 개방되고 말단부가 상기 손잡이부의 상방으로 개방되는 연통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턱 수술용 리트랙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관의 선단부는 상기 제 1이탈방지부의 선단부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지게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턱 수술용 리트렉터.
  7. 환자의 귀 뒤로 삽입되고 상기 환자의 하악골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환자의 하악골을 절골하는 톱날이 상기 하악골의 내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1이탈방지부;
    상기 제 1이탈방지부의 선단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톱날이 상기 하악골의 전방과 상기 하악골의 측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2이탈방지부;
    상기 제 1이탈방지부의 말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되는 제 1절곡부;
    상기 제 1절곡부의 말단부로부터 상기 하악골의 후방으로 절곡되는 제 2절곡부; 및
    상기 제 2절곡부의 말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 1이탈방지부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이탈방지부는 상기 제 1절곡부로부터 전방을 향하는 길이를 가지는 장변과, 상기 장변으로부터 상기 하악골의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단변을 포함하는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이탈방지부는 상기 제 1이탈방지부의 평면 상에서 상기 제 1이탈방지부의 장변에 대하여 120도 내지 170도의 각도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턱 수술용 리트렉터.
KR1020150086988A 2015-06-18 2015-06-18 혈관과 신경 손상을 방지하는 사각턱 수술용 리트렉터 KR101704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6988A KR101704614B1 (ko) 2015-06-18 2015-06-18 혈관과 신경 손상을 방지하는 사각턱 수술용 리트렉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6988A KR101704614B1 (ko) 2015-06-18 2015-06-18 혈관과 신경 손상을 방지하는 사각턱 수술용 리트렉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9650A KR20160149650A (ko) 2016-12-28
KR101704614B1 true KR101704614B1 (ko) 2017-02-08

Family

ID=57724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6988A KR101704614B1 (ko) 2015-06-18 2015-06-18 혈관과 신경 손상을 방지하는 사각턱 수술용 리트렉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46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0434A (ko) 2017-12-13 2019-06-2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튜브 인도용 바늘의 안내를 위한 리트렉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2192B1 (ko) 2012-03-21 2013-08-01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하악상행지 시상분할 골절단술용 외과기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0123B1 (ko) * 1999-07-09 2001-09-29 안성열 하악골 절제 가이더
KR100402822B1 (ko) * 2000-09-21 2003-10-22 이희영 하악각 견인기
KR100578561B1 (ko) 2001-06-07 2006-05-12 이재화 턱뼈 절골용 톱날
WO2007064051A1 (en) * 2005-11-29 2007-06-07 Jeil Medical Corporation Guiding instrument for mandible angle reduction surger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2192B1 (ko) 2012-03-21 2013-08-01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하악상행지 시상분할 골절단술용 외과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0434A (ko) 2017-12-13 2019-06-2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튜브 인도용 바늘의 안내를 위한 리트렉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9650A (ko) 2016-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89928B2 (ja) 手術用ナイフ刃の取り付け装置およびその装置を使用する方法
ES2841348T3 (es) Fresa de osteótomo ultrasónico y osteótomo ultrasónico que incluye la misma
KR101651715B1 (ko) 의료용 나이프 손잡이 및 나이프
US9421031B2 (en) Scalpel blade holder
ES2965962T3 (es) Cabezal de cortador óseo ultrasónico y cortador óseo ultrasónico que lo posee
JP2010162353A5 (ko)
US10376279B2 (en) Device and method for improved surgical incisions
KR20080068657A (ko) 하악골 우각부 절제 수술용 가이드 기구
US11141187B2 (en) Device and method for improved surgical incisions
KR101704614B1 (ko) 혈관과 신경 손상을 방지하는 사각턱 수술용 리트렉터
KR101874998B1 (ko) 투명부를 구비한 펀칭 니들 및 이를 이용하는 핸드피스
JP2005040573A (ja) 使い捨て手術用メス
CN104939922A (zh) 一种下颌骨截骨神经保护导板
CN211325364U (zh) 一种限位式弧形骨刀
US838865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a hemorrhage occluder pin into a human sacrum
JP2009061015A (ja) 手術用刃物
KR101629275B1 (ko) 광대뼈궁 절골용 오스테오톰
CN109788948A (zh) 包括胸骨牵开器和止血插入件的外科回缩系统
ES2907223T3 (es) Herramienta de corte para la incisión horizontal de un tendón
CN209996431U (zh) 空心骨刀
KR200480105Y1 (ko) 척수 신경 보호 기능을 갖는 수술용 펀치
CN211022978U (zh) 一种新型的上颌骨额突截骨刀
CN109984808A (zh) 一种包皮环切器
CN201263705Y (zh) 颅骨钻孔保护钳
CN219374858U (zh) 一种腹腔镜下胆总管穿刺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