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9275B1 - 광대뼈궁 절골용 오스테오톰 - Google Patents

광대뼈궁 절골용 오스테오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9275B1
KR101629275B1 KR1020140134808A KR20140134808A KR101629275B1 KR 101629275 B1 KR101629275 B1 KR 101629275B1 KR 1020140134808 A KR1020140134808 A KR 1020140134808A KR 20140134808 A KR20140134808 A KR 20140134808A KR 101629275 B1 KR101629275 B1 KR 101629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steotomy
blade
width
blade portion
ar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4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1237A (ko
Inventor
김남복
Original Assignee
김남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복 filed Critical 김남복
Priority to KR1020140134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9275B1/ko
Publication of KR20160041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1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9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9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9Incision instruments
    • A61B17/3211Surgical scalpels, knive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단에 방향성을 확인할 수 있는 손잡이부(01), 상기 손잡이부(01)의 하단에 절골하려는 관골궁(zygomatic arch)의 상부를 가로질러 안정적으로 걸칠 수 있도록 오목한 곡면이 형성되어 있는 칼날부(02) 및 상기 칼날부(02)의 일 측면에 브랜치(branch)로 형성되어 광대뼈궁 절골시, 관골궁의 홈 안쪽으로 삽입되는 가이드부(03)를 포함하는 오스테오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오스테오톰은 수술시간을 단축할 뿐만 아니라, 주변의 신경을 건드릴 위험이 없으며, 성형외과 의사가 절골하고자 하는 위치 및 각도를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어 안전하며, 양쪽 광대뼈를 대칭으로 절골하는 것이 용이하다.

Description

광대뼈궁 절골용 오스테오톰{Osteotome for cutting of Zygomatic Arch}
본 발명은 광대뼈궁 절골용 오스테오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단에 방향성을 확인할 수 있는 손잡이부(01), 상기 손잡이부(01)의 하단에 절골하려는 관골궁(zygomatic arch)의 상부를 가로질러 안정적으로 걸칠 수 있도록, 오목한 곡면이 형성되어 있는 칼날부(02) 및 상기 칼날부(02)의 일면에 브랜치(branch)로 형성되어 광대뼈 절골시, 관골궁의 홈 안쪽으로 삽입되는 가이드부(03)를 포함하는 오스테오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양의 북방계 인종들의 광대뼈는 두드러지게 돌출되어 있으며, 그 돌출 정도에 따라 개인의 인상을 결정짓게 되며, 광대뼈가 과다하게 크거나 돌출되어 있는 경우, 상대방에게 혐오감을 줄 수도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광대뼈의 돌출을 축소하는 성형외과적 수술이 널리 시행되고 증가추세에 있다.
광대뼈 축소술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시행될 수 있으며, 그 중에서 아치 부분을 절골하는 시술법을 사용하는 경우, 광대뼈 절골용 톱날을 이용하거나 오스테오톰을 이용하여 절골하는데, 보통 절개부의 반흔을 숨기기 위하여 멀리 두피 내에서 작을 절개를 가하는데, 이때 긴 오스테오톰을 두피 하 터널을 통하여 삽입하여 절골을 시행하는데, 육안으로 직접 확인하지 못하고 수술자의 경험과 감각에 의존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때 관골궁의 뒤쪽을 잘라 앞 부분의 관골궁을 안쪽으로 밀어 넣게 되며, 다시 밖으로 밀려나오지 않도록 고정하여야 하는데, 보통은 플레이트 같은 고정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관골궁을 앞뒤로 비스듬하게 잘라서 끝단이 각각 삼각형 모서리가 되도록 하여 밀어 넣어진 앞쪽 관골궁의 삼각형 끝단이 뒤쪽의 남아있는 뼈의 삼각형 끝단에 걸리도록 하여 밖으로 나오지 못하도록 하는, 즉 bone Z- plasty가 잘 형성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광대뼈 축소술은 의사들의 경험과 눈대중으로 위치 및 각도를 설정하여 절골하고 있는 실정으로, 광대뼈의 아치 부분을 절골하는 수술과정에서 오스테오톰의 정확한 해부학적 위치와 방향을 정하기 어렵고, 망치로 쳐서 자를 때 오스테오톰을 한 위치에 고정하기 어려워 미끄러져 어긋나는 현상이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주위 안면신경의 손상에 대한 위험성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수술 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정확하게 원하는 위치와 방향을 맞추어 절골하는 것이 쉽지 않아 bone Z-plasty를 통한 고정이 성공하기 어려우며, 그에 따라 광대뼈의 양측이 대칭이 되도록 절골하는 것이 쉽지 않은 단점이 있어왔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한국등록특허 제0397051호에 광대뼈 절골용 톱날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으나, 광대뼈를 정확하고 안전하게 잘라서 bone Z-plasty를 잘 형성할 뿐만 아니라, 양쪽의 광대뼈를 대칭으로 절골하는 오스테오톰에 관한 기술은 보고된 바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광대뼈궁 절골용 오스테오톰을 제공하는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단에 방향을 확인할 수 있고 쉽게 조정할 수 있는 손잡이부(01), 상기 손잡이부(01)의 하단에 절골하려는 관골궁(zygomatic arch)의 상부를 가로질러 안정적으로 걸칠 수 있도록 오목한 곡면이 형성되어 있는 칼날부(02) 및 상기 칼날부(02)의 일 측면에 브랜치(branch)로 형성되어 광대뼈궁 절골시, 관골궁의 홈 안쪽으로 삽입되는 가이드부(03)를 포함하는 광대뼈궁 절골용 오스테오톰을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광대뼈궁 절골용 오스테오톰에 있어서,
(1) 상단이 둥글거나 평평하며, 타원형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손잡이부(01);
(2) 상기 손잡이부(01)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단에서 하단방향으로 폭이 점차 좁아지고, 하단이 좌우 비대칭의 오목 곡면으로 이루어진 칼날부(02); 및
(3) 상기 칼날부(02)의 일 측면에 형성된 브랜치(branch)로, 관골궁의 안쪽 홈 방향으로 휘고, 이어 관골궁 안쪽의 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칼날부(02)의 하단방향인 수직방향으로 꺾인 가이드부(03)를 포함하는 광대뼈궁 절골용 오스테오톰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광대뼈궁 절골용 오스테오톰에 관한 것으로, 광대뼈 축소술에서 관골궁 절골 시, 오스테오톰이 미끄러지지 않아 안정적으로 절골을 시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절골하고자 하는 위치와 각도가 정확하게 가이드 하여 안정적으로 쉽게 절단을 시행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오스테오톰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수술시간이 크게 단축될 뿐만 아니라, 주변에 위치한 신경을 건드릴 위험성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고, 좌우 대칭의 절골이 가능하므로 더욱더 아름다운 성형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대뼈궁 절골용 오스테오톰의 구조를 후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대뼈궁 절골용 오스테오톰의 구조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대뼈궁 절골용 오스테오톰의 구조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도면은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광대뼈궁 절골용 오스테오톰에 있어서,
(1) 상단이 둥글거나 평평하며, 타원형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손잡이부(01);
(2) 상기 손잡이부(01)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단에서 하단방향으로 폭이 점차 좁아지고, 하단이 좌우 비대칭의 오목 곡면으로 이루어진 칼날부(02); 및
(3) 상기 칼날부(02)의 일 측면에 형성된 브랜치(branch)로, 관골궁의 안쪽 홈 방향으로 휘고, 이어 관골궁 안쪽의 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칼날부(02)의 하단방향인 수직방향으로 꺾인 가이드부(03)를 포함하는 광대뼈궁 절골용 오스테오톰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개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01)는 상단의 가로 폭이 일 측면으로 점차 좁아지는 타원형 또는 사다리꼴 형상이고, 상기 좁은 일 측면은 상기 칼날부(02)의 하단에 형성된 굴곡이 좁은 쪽과 일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부의 길이는 3 내지 4cm 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상단의 타원형의 폭이 달라 방향을 잘 알아볼 수 있어서, 손잡이 상단을 두드리면서 절골을 시행하는 동안, 오스테오톰의 방향성을 잘 유지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스테오톰은 광대뼈궁 절골 시, 하단의 곡면 중에서 좁은 쪽이 앞쪽으로 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부의 길이는 성인의 손바닥 크기를 고려하여 얼마든지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며, 쥐었을 때 편안하도록 형태를 일부 변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칼날부(02)의 길이는 8 내지 10cm 이고, 상기 칼날부(02)의 너비가 6 내지 8mm 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칼날부의 하단은 가장 오목한 부분을 기준으로 좌우의 비율이 1:1.5 내지 2.5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환자의 관골궁의 상부 너비에 따라 얼마든지 변형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03)는 상기 칼날부(02)의 하단의 측면에서 시작되며, 상기 칼날부(02)의 하단으로부터 1.5 내지 2cm 길게 형성된 원뿔형의 브랜치(branch)로, 관골궁 안쪽 홈으로 삽입될 수 있는 방향으로 휘고,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으며, 최하단은 둥근 곡면이고, 가이드부의 너비는 2 내지 2.5mm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가이드부(03)는 칼날부(02)에 형성된 브랜치(branch)로 광대뼈 궁 절골 시, 칼날부(02)가 해부학적으로 정확한 위치와 방향을 잡도록 안내하며, 절골을 시행하는 동안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특징이 있다.
01: 손잡이부
02: 칼날부
03: 가이드부

Claims (4)

  1. (1) 상단의 가로 폭이 일 측면으로 점차 좁아지는 타원형 또는 사다리꼴 형상이고, 길이가 3 내지 4cm인 손잡이부;
    (2) 상기 손잡이부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단에서 하단방향으로 폭이 점차 좁아지고, 하단이 좌우 비대칭의 오목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칼날부; 및
    (3) 상기 칼날부의 일 측면에 형성된 브랜치(branch)로, 관골궁의 안쪽 홈 방향으로 휘고, 이어 관골궁 안쪽의 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칼날부의 하단방향인 수직방향으로 꺾인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의 좁은 일 측면은 상기 칼날부의 하단에 형성된 굴곡이 좁은 쪽과 일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뼈궁 절골용 오스테오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부의 길이는 8 내지 10cm 이고, 상기 칼날부의 너비가 6 내지 8mm이며, 상기 칼날부의 하단은 가장 오목한 부분을 기준으로 좌우의 비율이 1:1.5 내지 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뼈궁 절골용 오스테오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칼날부의 하단의 측면에서 시작되며, 상기 칼날부의 하단으로부터 1.5 내지 2cm 길게 형성된 원뿔형의 브랜치(branch)로, 관골궁 안쪽 홈으로 삽입될 수 있는 방향으로 휘고,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으며, 최하단은 둥근 곡면이고, 가이드부의 너비는 2 내지 2.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뼈궁 절골용 오스테오톰.
KR1020140134808A 2014-10-07 2014-10-07 광대뼈궁 절골용 오스테오톰 KR101629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808A KR101629275B1 (ko) 2014-10-07 2014-10-07 광대뼈궁 절골용 오스테오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808A KR101629275B1 (ko) 2014-10-07 2014-10-07 광대뼈궁 절골용 오스테오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1237A KR20160041237A (ko) 2016-04-18
KR101629275B1 true KR101629275B1 (ko) 2016-06-10

Family

ID=55916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4808A KR101629275B1 (ko) 2014-10-07 2014-10-07 광대뼈궁 절골용 오스테오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92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11755A (zh) * 2019-11-07 2020-02-21 常州永华医疗器械有限公司 刨骨器
JP6781495B1 (ja) * 2020-05-15 2020-11-04 株式会社メドメタレックス 薄刃のみシステ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85258A1 (en) 2009-01-16 2010-07-22 The Cleveland Clinic Foundation Surgical Guide and Method for Guiding a Therapy Delivery Device into the Pterygopalatine Fossa
US20100256642A1 (en) * 2006-02-02 2010-10-07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CL Reconstruction
CN102475568A (zh) * 2011-07-13 2012-05-30 北京水木天蓬医疗技术有限公司 一种超声骨刀刀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807671U1 (de) * 1998-04-28 1999-09-02 Link Waldemar Gmbh Co Chirurgisches Instru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56642A1 (en) * 2006-02-02 2010-10-07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CL Reconstruction
US20100185258A1 (en) 2009-01-16 2010-07-22 The Cleveland Clinic Foundation Surgical Guide and Method for Guiding a Therapy Delivery Device into the Pterygopalatine Fossa
CN102475568A (zh) * 2011-07-13 2012-05-30 北京水木天蓬医疗技术有限公司 一种超声骨刀刀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1237A (ko) 2016-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13693B1 (en) Ultrasonic surgical instrument
US8273098B2 (en) Carpal tunnel release tool
US9364329B2 (en) Cutting/bending tool for polymer implant
US8858544B2 (en) Surgical instrument guide
EP2523607A1 (en) The surgical visual field enhancer apparatus and its method of use
EP3508147A1 (en) Ultrasonic osteotome tool bit
EP3157450B1 (en) Medial column fusion plates
US10376279B2 (en) Device and method for improved surgical incisions
KR101629275B1 (ko) 광대뼈궁 절골용 오스테오톰
US20040054378A1 (en) Set of surgical instruments for carpal tunnel surgery
Bloom et al. Osteotomies in the crooked nose
WO2014065506A1 (ko) 매부리코뼈 제거 수술용 도구
US20200129200A1 (en) Surgical visual field enhancer and surgical knife
CN204839717U (zh) 一种椎弓根螺钉置钉定位导向器
CN211325364U (zh) 一种限位式弧形骨刀
CN210843336U (zh) 一种专用于腕横韧带切开刀
JP6946445B2 (ja) 超音波メスビット
CN206434389U (zh) 导引型割刀
KR101629269B1 (ko) 안면골 절단장치
US20230165616A1 (en) Bone sliver removal system
KR102548060B1 (ko) 윈도우 홀을 구비하는 경골 근위부 절골술용 플레이트 몸체 및 이를 이용한 경골 근위부 절골술용 고정 플레이트 장치
CN217244680U (zh) 一种新型拇外翻手术治疗用小针刀
TWD194038S (zh) Osteotomy limiter
CN211271085U (zh) 椎弓根钉及椎弓根固定系统
CN211609972U (zh) 一种膝关节置换术中牵引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