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9106B1 -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턱관절 절삭 팁 - Google Patents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턱관절 절삭 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9106B1
KR100999106B1 KR1020100053796A KR20100053796A KR100999106B1 KR 100999106 B1 KR100999106 B1 KR 100999106B1 KR 1020100053796 A KR1020100053796 A KR 1020100053796A KR 20100053796 A KR20100053796 A KR 20100053796A KR 100999106 B1 KR100999106 B1 KR 100999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tip
tip body
thickness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3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대
이정배
백종후
이영진
Original Assignee
한국세라믹기술원
주식회사 디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세라믹기술원, 주식회사 디메텍 filed Critical 한국세라믹기술원
Priority to KR1020100053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91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9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9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59Surgical rasps, files, planes, or scr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04Chisels; Rongeurs; Punches; St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17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017/00022Sensing or detecting at the treatment site
    • A61B2017/00106Sensing or detecting at the treatment site ultrason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턱관절 절삭 팁에 관한 것으로, 초음파 방식 의료용 핸드피스로부터 경사지게 하향 만곡된 후, 좌향 또는 우향으로 직교 연결되어 수평 방향으로 평탄한 몸체를 이루는 팁 바디부와, 팁 바디부의 선단부 전측으로 형성되며, 복수 개의 등변 삼각형 형상의 톱니를 구비하는 선단 절삭부 및 팁 바디부의 선단부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며, 전측 변의 길이가 후측 변의 길이에 비해 짧은 부등변 삼각형 형상의 톱니를 구비하는 측단 절삭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턱관절 절삭 시술에 대한 전용 팁의 제공을 통해 시술 편의성 향상은 물론, 주변 연부조직(예: 피부, 혈관, 근육 등)에 유해한 손상을 가하지 않으므로 시술 안정성을 함께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턱관절 절삭 팁{TEMPOROMANDIBULAR TIP FOR MEDICAL OPERATION USING ULTRASONIC WAVE}
본 발명은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턱관절 절삭 팁에 관한 것으로, 좌, 우 턱관절의 절삭을 위한 전용 팁을 제공함으로써, 턱관절 수술 및 시술에 대한 편의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시술 대상인 경부 조직에만 절삭력이 가해지는 형태로서, 피부, 혈관, 근육 등과 같은 주변 연부 조직에는 손상을 입히지 않는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턱관절 절삭 팁에 관한 기술이다.
초음파 방식 시술용 팁은 초음파의 진동에너지를 이용하여 팁을 진동시켜 치아에 증착된 치석 및 다른 부착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신경치료(근관 수술)를 위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외에도 임플란트 수술, 치주 수술, 구강 수술 및 상악 악안면(顎顔面) 수술 등의 각종 치과 치료를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치과 치료를 제외하고서라도, 정형외과적인 시술인 골절개술(osteotomy), 배형성술(saucerization) 등과 미용 목적의 시술인 기계적 톱날에 의한 진동운동(oscillation), 왕복운동(reciprocation) 및 연마 도구에 의한 뼈의 줄질(rasp) 등 모든 시술시 연부조직(예: 신경, 혈관, 근육 등)의 손상을 최소화 하여 시행하는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초음파 방식 시술용 팁은 그마다의 시술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그 중 가장 보편적인 것이 바로 범용 팁이다.
이러한 범용 팁은 끝단에 1열로 배열된 절삭날들이 구비되는 가장 일반적인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이러한 범용 팁은 초음파 방식의 의료 장비에 장착되어 시술 목적 부위를 선형에 가깝게 절삭하는 용도에 그쳤다.
하지만, 턱관절과 같은 복잡한 경부조직의 경우, 좌, 우를 구분하여 절삭 가능한 전용 절삭 팁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턱관절을 좌, 우로 구분하여 수술 및 시술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턱관절 절삭 팁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턱관절을 이루는 뼈와 같은 단단한 경부 조직에만 절삭력을 가해줄 수 있는 형태로서, 피부, 혈관, 근육 등과 같은 주변 연부 조직에는 예기치 못한 손상을 입히지 않는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턱관절 절삭 팁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초음파 방식 의료용 핸드피스로부터 경사지게 하향 만곡된 후, 좌향 또는 우향으로 직교 연결되어 수평 방향으로 평탄한 몸체를 이루는 팁 바디부; 상기 팁 바디부의 선단부 전측으로 형성되며, 복수 개의 등변 삼각형 형상의 톱니를 구비하는 선단 절삭부; 및 상기 팁 바디부의 선단부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며, 전측 변의 길이가 후측 변의 길이에 비해 짧은 부등변 삼각형 형상의 톱니를 구비하는 측단 절삭부;를 포함하는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턱관절 절삭 팁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팁 바디부는, 상기 초음파 방식 의료용 핸드피스로부터 42.5 ~ 47.5° 범위 내의 경사각으로 하향 만곡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팁 바디부는, 초음파 방식 의료용 핸드피스의 작동에 연동되어 24~32 KHz의 진동수 범위로 동작될 수 있으며, 이로써, 시술 대상인 턱관절 등의 경부조직에만 절삭력이 가해지며, 주변 연부조직에는 유해한 손상을 입히지 않는다.
또한, 상기 팁 바디부는, 산기 선단 절삭부 및 상기 측단 절삭부와 일체로 성형 제작되며, 내식성이 향상된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이러한 상기 팁 바디부는, 전후 길이가 좌우 폭보다 긴 직사각형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길이에 비해, 폭이 0.145 ~ 0.155 배로 이루어지며, 두께가 0.034 ~ 0.036 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의 상기 팁 바디부는, 길이가 19.80 ~ 20.00mm이며, 폭이 2.95 ~ 3.05mm이며, 두께는 0.69 ~ 0.71mm일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선단 절삭부는, 상기 선단부의 종단면을 기준으로 동일 크기 및 형상으로 횡 배열된 3개 톱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각각의 톱니는 돌출된 끝단 방향으로 두께가 축소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종방향 커터면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종방향 커터면의 끝단 두께는, 상기 팁 바디부의 두께에 비해 0.565 ~ 0.575 배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으며, 상기 선단 절삭부의 끝단에서 내측 방향으로 0.65 ~ 0.75 mm 범위 내에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 절삭부의 톱니는, 돌출된 끝단 방향으로 두께가 축소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횡방향 커터면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횡방향 커터면의 끝단 두께는, 상기 팁 바디부의 두께에 비해 0.565 ~ 0.575 배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으며, 상기 측단 절삭부의 끝단에서 내측 방향으로 0.65 ~ 0.75 mm 범위 내에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팁 바디부는, 시술 대상에 해당하는 턱관절의 좌우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 턱관절의 절삭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 하향 만곡 형성된 후 좌향으로 직교되어 굽혀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우측 턱관절의 절삭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 하향 만곡 형성된 후 우향으로 직교되어 굽혀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 데, 이로 인하여, 좌, 우 방향 턱관절 절삭 시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턱관절 절삭 팁에 따르면, 종래 수술 또는 시술에 어려움이 따랐던 턱관절 절삭을 위한 전용 팁을 제공함으로써, 좌, 우 턱관절을 용이하게 수술 또는 시술할 수 있어, 의료 행위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턱관절 절삭 팁에 따르면, 24~32KHz의 진동을 팁 바디부를 통해 전달함으로써, 수술 또는 시술 시 목적 대상에 해당하는 턱관절에만 절삭력을 가해줄 수 있어, 의료 행위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턱관절 절삭 팁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턱관절 절삭 팁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턱관절 절삭 팁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3에서 A영역을 확대 도시한 부분확대도,
도 5는 도 4의 Q-Q 단면을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6은 도 4의 도면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부분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턱관절 절삭 팁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턱관절 절삭 팁에 실제 제작 가능한 치수를 기입한 도면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턱관절 절삭 팁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턱관절 절삭 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러한 도면은 본 발명의 구성 관계를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 그 특징되는 부분만을 도시한 것으로,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시된 특정 형태에 본 발명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다만, 턱관절의 효과적인 수술 또는 시술을 위해서는, 턱관절의 좌우 중심을 기준으로 양쪽 턱관절의 절삭에 유용한 형상을 지녀야 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좌측 또는 우측 턱관절 절삭에 대한 각기 다른 형태로서, 좌측 턱관절 절삭에 관한 실시예를 제1실시예라 하며, 우측 턱관절 절삭에 관한 실시예를 제2실시예라 하여, 2가지 형태의 실시예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는 좌측 턱관절의 절삭을 위한 목적으로 창안된 것으로, 해당 턱관절 절삭 팁(100)이 핸드피스 연결구(H)로부터 경사지게 하향 만곡된 후 좌향으로 직교되어 굽혀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와 달리, 추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될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경우, 우측 턱관절의 절삭을 목적으로 창안된 것으로, 해당 절삭 팁(100′)은 우향으로 직교되어 굽혀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도 1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이와 다른 형태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하여는 도 7을 참조하여 추후 간략히 살펴보기로 한다.
제1실시예
좌측 턱관절의 절삭에 이용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턱관절 절삭 팁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시된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턱관절 절삭 팁(100)(이하, "턱관절 절삭 팁"이라 한다)은 초음파 방식 의료용 핸드피스 연결구(H)에 연결되는 팁 바디부(110)와, 상기 팁 바디부(110)의 선단부(114) 종단면에 형성되는 선단 절삭부(120)와, 상기 선단부(112) 양측 단면에 형성되는 측단 절삭부(1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턱관절 절삭 팁(100)은 도 1을 통해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초음파 방식을 이용한 의료용 장비에 연결되어 그 절삭력이 발휘된다.
여기서, 초음파 방식을 이용한 의료용 장비란, 초음파 방식으로 진동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본체와, 이러한 본체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턱관절 절삭 팁(100)을 장착 가능하게 형성된 핸드피스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장비를 말한다.
이러한 초음파 방식을 이용한 의료용 장비를 통해, 턱관절 절삭 팁(100)에는 24~32KHz의 초음파 진동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진동 범위의 절삭력은 턱관절과 같은 경부 조직에만 절삭력이 가해지며, 피부, 혈관, 근육 등과 같이 부드러운 연부조직에서는 흡수될 수 있는 진동 범위로서 상해를 가하지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팁 바디부(110)는 핸드피스 연결구(H)로부터 먼저 하향 만곡된 만곡부(150)와, 상기 만곡부(150)의 하단으로부터 직선으로 연장된 연장부(140)와, 상기 연장부(140)의 끝단에서 연결된 팁 바디부(110)의 후단부(112)를 통해 좌향으로 직교 연결되어 수평 방향으로 평탄한 몸체를 이룬다.
팁 바디부(110)는 전후 길이에 비해 좌우 폭이 가늘며, 매우 작은 두께로 이루어진 직사각형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팁 바디부(110)는, 선단 절삭부(120) 및 측단 절삭부(130)와 일체로 성형 제작되어 일련의 몸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의 성형 제작 방법은 주지 관용된 대부분의 성형 가공 방법(예: 금속 분말의 사출 성형 방법)이 모두 이용 가능하며, 제작에 이용되는 소재의 재질로는 내구성, 내마모성 및 내방오성이 좋은 다양한 금속재가 이용될 수 있다. 재질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로는 부식에 강하며 강도도 좋은 스테인리스 또는 티타늄 계열 합금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이러한 팁 바디부(110)의 선단부(114)에는 각기 다른 형상의 톱니를 구비한 선단 절삭부(120) 및 측단 절삭부(130)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선단 절삭부(120) 및 측단 절삭부(130)에서 절삭력이 발휘된다.
선단 절삭부(120)는 상기 팁 바디부(110)의 선단부(114) 전측으로 형성되는 전방 절삭 부위로서, 복수 개의 등변 삼각형 형상의 톱니를 구비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측단 절삭부(130)는 상기 팁 바디부(110)의 선단부(114) 양측으로 형성되는 측방 절삭 부위로서, 전측 변의 길이가 후측 변의 길이에 비해 비교적 짧게 형성된 부등변 삼각형 형상의 톱니를 하나씩 구비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팁 바디부(110), 선단 절삭부(120) 및 측단 절삭부(130)는 후술될 도 2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턱관절 절삭 팁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시된 팁 바디부와 핸드피스 연결구(H) 사이에는 하향 만곡 형성된 만곡부(150)를 두고 있다.
만곡부(150)는 턱관절 시술 및 수술을 위한 편의성을 도모하고자, 핸드피스 연결구(H)의 하측에서 팁 바디부가 좌향 수평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상기 만곡부(150)의 하향 경사각(α)은 42.5 ~ 47.5° 범위 내에서 정해질 수 있는데, 도2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경사각(α)이 45°로 이루어져 있다. 다만, 이러한 경사각(α)의 범위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될 필요가 없다.
그리고 도 2에서 부분 확대된 영역을 살펴보면, 선단 절삭부(120) 및 측단 절삭부(130)를 정면 모습을 상세히 확인할 수 있다.
선단 절삭부(120) 및 측단 절삭부(130)는 각각 서로 다른 평면 형상을 가지나, 동일한 두께 비를 갖는 커터면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선단 절삭부(120)의 커터면을 종방향 커터면(122)이라 하며, 측단 절삭부(130)의 커터면을 횡방향 커터면(132)이라 한다.
종방향 커터면(122) 및 횡방향 커터면(132)은, 선단 절삭부(120) 및 측단 절삭부(130)의 돌출된 끝단 방향으로 각각 두께가 축소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면을 말하는 것으로, 각각의 끝단 두께(t2)는, 팁 바디부(또는 선단 절삭부 돌출 시작 부위, 또는 후단 절삭부 돌출 시작 부위)의 두께(t1)에 비해 0.565 ~ 0.575배로 이루어져, 절삭날을 형성한다.
여기서, 도 2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선단 절삭부(120) 및 측단 절삭부(130) 각각에 해당하는 커터면의 두께 비(t1:t2)는 본 제1실시예의 턱관절 절삭 팁에 관한 절삭력, 절삭 정밀도는 물론, 내구성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추후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턱관절 절삭 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팁 바디부는 그 형상에 있어서, 본 발명이 목적한 효과를 발휘하기 위하여 일정한 형상 비율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팁 바디부는 전후 길이(L)가 좌우 폭(W1)보다 긴 직사각형 평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먼저, 팁 바디부의 전체 길이(L) 내에서, 선단부의 길이(L2)는 전방으로부터 13.76% 비율의 길이 범위를 가지며, 후단부의 길이(L2)는 후방으로부터 24.02% 비율의 길이 범위를 가지며, 선단부 및 후단부를 제외한 팁 바디부의 중앙 평탄부의 길이(L1)는 66.22% 범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팁 바디부는 전체 길이(L)에 비해, 그 폭(W1)이 0.145 ~ 0.155 배로 이루어지며, 그 두께(도 2의 t1)는 0.034 ~ 0.036 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만일 팁 바디부의 길이(L)에 비해 폭(W1)이 0.145 배 미만일 경우에는 팁 바디부의 구조적 강성이 약화되어 내구성이 저하됨과 동시에, 길이에 대한 폭 범위가 너무 작아져서 턱관절 절삭 효율에 불리한 측면이 작용될 수 있다.
반면에, 만일 팁 바디부의 길이(L)에 비해 폭(W1)이 0.155 배를 초과할 경우에는 턱관절 절삭 팁의 선단 좌우 폭이 너무 커져서 정밀한 시술 및 수술에 사용되기에 부적당할 수 있으며, 효과적으로 초음파 진동 영역의 절삭력을 제공하기에도 다소 불리한 측면이 작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바람직한 팁 바디부는 길이(L) 대 폭(W1)의 비율은 1 : 0.145 ~ 0.155 정도인 것이 좋다.
또한, 팁 바디부는 길이(L)에 비해 두께(도 2의 t1)는 0.034~0.036 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만일, 팁 바디부의 길이(L)에 비해 두께(도 2의 t1)가 0.034 배 미만일 경우에는 팁 바디부의 구조적 강성이 약해져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만에 하나 턱관절 절삭 중에 팁 바디부가 파손되거나 손상될 시, 심각한 의료사고를 초래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팁 바디부의 길이(L)에 비해 두께(도 2의 t1)가 0.036 배를 초과할 경우에는 절삭날이 둔해져, 미세한 부위의 효과적인 절삭에 불리한 측면으로 작용될 수 있다.
따라서 팁 바디부(110)는 길이(L1)와 두께(t1) 사이에는 1 : 0.034 ~ 0.036 정도의 크기 비율을 가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제1실시예에서의 팁 바디부는 상기 언급한 형상 비율에 따라, 치수 범위를 적용할 수 있는데, 바람직한 실시예로서의 길이(L) 범위는 19.80 ~ 20.00mm가 될 수 있으며, 폭(W1) 범위는 2.95 ~ 3.05mm가 될 수 있으며, 두께(도 2의 t1) 범위는 0.69 ~ 0.71mm로 제한된다. 이러한 제1실시예의 치수 범위는 반복적인 형상 설계 및 그 성능 테스트를 통해 획득된 결과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될 필요가 없다.
한편, 선단 절삭부의 종방향 커터면의 폭(S1)은 선단 절삭부의 끝단에서 내측방향으로 0.65 ~ 0.75mm 범위 내에서 정해질 수 있는데, 도 3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서의 종방향 커터면의 폭(S1)은 0.70mm로 정하였으며,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 다양한 실시예마다 조금씩 달리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마찬가지로, 측단 절삭부의 횡방향 커터면의 폭(S2)은 측단 절삭부의 끝단에서 내측방향으로 0.65 ~ 0.75mm 범위 내에서 정해질 수 있는데, 도 3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서의 횡방향 커터면의 폭(S2)은 0.70mm로 정하였으며, 이 역시 예시적인 것으로,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그 치수는 조금씩 달리 적용되어도 좋다.
이러한 선단 절삭부 및 측단 절삭부의 커터 형상으로 인하여, 본 제1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절삭 팁은 접촉 대응하는 좌측 턱관절의 시술 및 수술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서 A영역을 확대 도시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제1실시예에 따른 선단부(114)와, 선단 절삭부(120) 및 측단 절삭부(130)의 형상을 보다 상세하기 확인할 수 있다.
선단 절삭부(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팁 바디부의 선단부(114) 전측으로 돌출 형성되는데, 팁 바디부의 선단부(114)의 종단면 상에서 횡으로 배열된 3개의 톱니를 구비한다.
이러한 선단 절삭부(120)를 구성하는 3개의 톱니 각각은 등변삼각형 형태를 이루며, 서로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각각의 톱니의 밑변 폭(W2)은 팁 바디부의 폭(W1)에 비해 1/3씩의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즉, W1=3ㅧW2).
그리고 선단 절삭부(120)를 구성하는 3개의 톱니 각각은 돌출된 끝단 방향으로 그 두께가 축소되어 예리한 상, 하 대응면을 이루는데, 이것이 종방향 커터면(122)이다.
이와 같은 종방향 커터면(122)은 절삭날과 같은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서, 선단 절삭부(120)가 턱관절 하부 접촉 부위를 효과적으로 절삭할 수 있게 해준다.
한편, 측단 절삭부(130)는 팁 바디부의 선단부(114)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는데, 팁 바디부의 선단부(114)의 측단면 상으로 각각 하나씩 구비된 톱니를 갖는다.
이러한 측단 절삭부(130)를 구성하는 톱니 각각은 부등변삼각형 형태를 이루는데, 각각의 톱니는 전측 변의 길이가 톱니 후측 변의 길이에 비해 다소 짧은 형상을 가진다.
즉, 전측으로 커터면의 끝이 치우친 형태의 톱니를 구비하는 측단 절삭부(130)는 턱관절의 측면 절삭은 물론, 소정의 구멍을 뚫는 기능도 확보할 수 있다.
측단 절삭부(130)의 톱니 역시 돌출된 끝단 방향으로 그 두께가 축소되어 예리한 상, 하 대응면을 이루는데, 이것이 횡방향 커터면(132)이다.
이와 같은 횡방향 커터면(132)은 전술된 종방향 커터면(122)과 동일하게 절삭력을 제공하는 부위로서, 효과적으로 좌측 턱관절의 양측 면을 절삭할 수 있게 해준다.
도 5는 도 4의 도면에서 Q-Q 단면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도 5는 측단 절삭부(130)의 톱니 중앙을 절개한 단면으로서, 측단 절삭부(130)와, 측단 절삭부(130)에 구비된 횡방향 커터면(132)의 구조 및 형상에 대해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앞서, 도 2의 설명 중 간략히 언급하였던 측단 절삭부(130)의 커터면의 두께 비(t1:t2)에 대해 조금 더 상세히 설명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5는 측단 절삭부(130)의 횡방향 커터면의 두께 비(t1:t2)를 비교할 수 있게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동일 설명의 불필요한 반복을 피하기 위한 것으로, 생략된 선단 절삭부(도 4의 120)의 종방향 커터면의 두께 비(t1:t2)에도 이하의 설명은 동일하게 적용된다는 것을 미리 밝혀 둔다.
도 5에 도시된 측단 절삭부(130)의 부분 단면도에 따르면, 종방향 커터면(132)은 끝단으로 갈수록 소정의 두께 비(t1:t2)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두께 비(t1:t2)는 1:0.565 ~0.575가 될 수 있다.
만일 이러한 종방향 커터면(132)이 이루는 끝단의 두께(t2)가 팁 바디부의 두께(t1)에 비해 0.565배 보다 작게 형성될 경우에는, 톱니의 날 끝이 가늘어져 예리한 절삭 능력을 확보할 수 있으나, 내구성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종방향 커터면(132)이 이루는 끝단의 두께(t2)가 팁 바디부의 두께(t1)에 비해 0.575배 보다 크게 형성될 경우에는, 내구성은 다소 향상될 수 있으나, 정밀 절삭에 불리하다.
따라서 이러한 종방향 커터면(132)의 두께 비(t1:t2)는 1:0.565 ~0.575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도 4의 도면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부분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팁 바디부의 선단부(114)에 형성되는 선단 절삭부(120) 및 측단 절삭부(130)의 구체적인 형상을 보다 확실히 이해할 수 있다.
즉, 팁 바디부의 선단부(114) 종단면에는 선단 절삭부(120)가 구비되며, 팁 바디부의 선단부(114) 양측 단면에는 측단 절삭부(130)가 구비된다.
선단 절삭부(120)를 이루는 3개의 톱니는 예시적인 것일 뿐 실시예에 따라서 조금씩 그 개수가 달리 적용되어도 무방하며, 각각의 톱니는 양변의 면적(f)이 동일한 이등변 삼각형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측단 절삭부(130)를 이루는 하나씩의 톱니는 상기 선단 절삭부(120)와 달리 전측 변이 후측 변에 비해 더 길게 형성되며, 전측 변의 면적(e2)이 후측 변의 면적(e1)에 비해 더 작은 부등변 삼각형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선단 절삭부(120) 및 측단 절삭부(130) 각각에는 동일한 끝단 두께(t2)로 이루어진 종방향 커터면(122)과 횡방향 커터면(132)이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턱관절 절삭 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앞서,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살펴보았던 좌측 턱관절의 절삭을 목적으로 창안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대부분의 구성이 동일하지만, 만곡부(150) 및 연장부(140) 이후에 팁 바디부(110)가 좌향으로 직교 연결되는 제1실시예와 구별되도록, 본 제2실시예의 턱관절 절삭 팁(100′)의 경우에는 우향으로 직교 연결되어 수평 방향으로 평탄하게 이루어진다는 차이점이 있다.
따라서 각각의 제1, 2실시예는 해당 턱관절의 시술 및 수술에 따라 합목적적으로 그 이용 범위가 달라질 수 있을 뿐, 본 발명의 범주 내에 모두 포함된다는 사실은 자명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턱관절 절삭 팁에 실제 제작 가능한 치수를 기입한 도면이다.
도 8에 기재된 치수에 따라 제작된 시제품을 테스트 해 본 결과,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24~32KHz의 초음파 진동에 의한 절삭력이 가해질 때, 시술 목적 대상인 좌측 턱관절에 대하여, 향상된 편의성으로 보다 정밀하게 턱관절 절삭을 수행할 수 있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턱관절과 같이 딱딱한 경부 조직에 대한 절삭 및 절개는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되, 주변의 피부, 혈관, 근육 등의 연부 조직에는 전혀 손상이 가해지지 않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턱관절 절삭 팁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100′ : 턱관절 절삭 팁
110: 팁 바디부
120: 선단 절삭부
130: 측단 절삭부

Claims (16)

  1. 초음파 방식 의료용 핸드피스로부터 경사지게 하향 만곡된 후, 좌향 또는 우향으로 직교 연결되어 수평 방향으로 평탄한 몸체를 이루는 팁 바디부; 상기 팁 바디부의 선단부 전측으로 형성되며, 복수 개의 등변 삼각형 형상의 톱니를 구비하는 선단 절삭부; 및 상기 팁 바디부의 선단부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며, 전측 변의 길이가 후측 변의 길이에 비해 짧은 부등변 삼각형 형상의 톱니를 구비하는 측단 절삭부;를 포함하되, 상기 팁 바디부는, 상기 초음파 방식 의료용 핸드피스로부터 42.5 ~ 47.5° 범위 내의 경사각으로 하향 만곡되어 형성되어, 초음파 방식 의료용 핸드피스의 작동에 연동되어 24~32 KHz의 진동수 범위로 동작되며, 산기 선단 절삭부 및 상기 측단 절삭부와 일체로 성형 제작되어, 내식성이 향상된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전후 길이가 좌우 폭보다 긴 직사각형 평판 형상을 가지되, 길이에 비해, 폭이 0.145 ~ 0.155 배로 이루어지며, 두께가 0.034 ~ 0.036 배로 이루어지고, 상기 선단 절삭부는, 상기 선단부의 종단면을 기준으로 동일 크기 및 형상으로 횡 배열된 3개 톱니로 이루어지며, 상기 선단 절삭부의 톱니는, 돌출된 끝단 방향으로 두께가 축소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종방향 커터면을 구비하되, 상기 종방향 커터면의 끝단 두께는, 상기 팁 바디부의 두께에 비해 0.565 ~ 0.575 배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단 절삭부의 톱니는, 돌출된 끝단 방향으로 두께가 축소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횡방향 커터면을 구비하되, 상기 횡방향 커터면의 끝단 두께는, 상기 팁 바디부의 두께에 비해 0.565 ~ 0.575 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턱관절 절삭 팁.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팁 바디부는,
    길이가 19.80 ~ 20.00mm이며, 폭이 2.95 ~ 3.05mm이며, 두께는 0.69 ~ 0.71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턱관절 절삭 팁.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커터면은,
    상기 선단 절삭부의 끝단에서 내측 방향으로 0.65 ~ 0.75 mm 범위 내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턱관절 절삭 팁.
  13. 삭제
  14. 삭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커터면은,
    상기 측단 절삭부의 끝단에서 내측 방향으로 0.65 ~ 0.75 mm 범위 내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턱관절 절삭 팁.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팁 바디부는,
    시술 대상에 해당하는 턱관절의 좌우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 턱관절의 절삭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 하향 만곡 형성된 후 좌향으로 직교되어 굽혀진 형태로 이루어지며,
    우측 턱관절의 절삭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 하향 만곡 형성된 후 우향으로 직교되어 굽혀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턱관절 절삭 팁.
KR1020100053796A 2010-06-08 2010-06-08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턱관절 절삭 팁 KR100999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796A KR100999106B1 (ko) 2010-06-08 2010-06-08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턱관절 절삭 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796A KR100999106B1 (ko) 2010-06-08 2010-06-08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턱관절 절삭 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9106B1 true KR100999106B1 (ko) 2010-12-07

Family

ID=43512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3796A KR100999106B1 (ko) 2010-06-08 2010-06-08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턱관절 절삭 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910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2192B1 (ko) 2012-03-21 2013-08-01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하악상행지 시상분할 골절단술용 외과기구
EP2745797A1 (de) * 2012-12-21 2014-06-25 W & H Dentalwerk Bürmoos GmbH Ein durch Schall antreibbares Schneidwerkzeug
KR101483579B1 (ko) * 2013-09-17 2015-01-2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 교정술을 위한 치과 초음파 공구 및 이를 갖는 치과 초음파 공구세트
KR101491710B1 (ko) * 2013-10-04 2015-02-10 주식회사 디메텍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턱관절 절삭 팁
FR3058629A1 (fr) * 2016-11-14 2018-05-18 Bruno Bompard Instrument chirurgical piezoelectrique pour la decoupe d'os maxillaires et ensemble chirurgical associe
CN111031924A (zh) * 2017-06-23 2020-04-17 奥拉尔戴格诺斯蒂克斯有限公司 经口腔超声探头和使用方法
KR102300379B1 (ko) * 2021-03-29 2021-09-09 주식회사 디메텍 스푼형 초음파 수술용 팁 및 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수술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88878A1 (en) * 2004-12-02 2008-08-07 Michael John Radley Young Osteotome
KR100892096B1 (ko) 2008-11-10 2009-04-08 주식회사 디메텍 물림방지홈이 구비된 치과시술용 절삭 팁
KR200446835Y1 (ko) * 2008-11-10 2009-12-03 주식회사 디메텍 치과시술용 절삭 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88878A1 (en) * 2004-12-02 2008-08-07 Michael John Radley Young Osteotome
KR100892096B1 (ko) 2008-11-10 2009-04-08 주식회사 디메텍 물림방지홈이 구비된 치과시술용 절삭 팁
KR200446835Y1 (ko) * 2008-11-10 2009-12-03 주식회사 디메텍 치과시술용 절삭 팁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2192B1 (ko) 2012-03-21 2013-08-01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하악상행지 시상분할 골절단술용 외과기구
EP2745797A1 (de) * 2012-12-21 2014-06-25 W & H Dentalwerk Bürmoos GmbH Ein durch Schall antreibbares Schneidwerkzeug
KR101483579B1 (ko) * 2013-09-17 2015-01-2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 교정술을 위한 치과 초음파 공구 및 이를 갖는 치과 초음파 공구세트
KR101491710B1 (ko) * 2013-10-04 2015-02-10 주식회사 디메텍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턱관절 절삭 팁
FR3058629A1 (fr) * 2016-11-14 2018-05-18 Bruno Bompard Instrument chirurgical piezoelectrique pour la decoupe d'os maxillaires et ensemble chirurgical associe
CN111031924A (zh) * 2017-06-23 2020-04-17 奥拉尔戴格诺斯蒂克斯有限公司 经口腔超声探头和使用方法
CN111031924B (zh) * 2017-06-23 2023-10-31 奥拉尔戴格诺斯蒂克斯有限公司 经口腔超声探头和使用方法
KR102300379B1 (ko) * 2021-03-29 2021-09-09 주식회사 디메텍 스푼형 초음파 수술용 팁 및 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수술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9106B1 (ko)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턱관절 절삭 팁
CA2851267C (en) Ultrasonic osteotome
US20120231416A1 (en) Periodontal scaler and planer combined instrument
EP2119403A1 (en) Osteotomes for ultrasonic bone surgery, particularly maxillofacial, dental and orthopedic surgery
KR101007192B1 (ko)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다목적 범용 팁
US20210259805A1 (en) Endodontic instrument
US5004419A (en) Scalers for periodontal use
Taniguchi et al. A Novel Surgical Procedure for Er: YAG Laser-Assisted Periodontal Regenerative Therapy: Case Series.
US9579166B2 (en) Root canal probe tool and method of removing a broken instrument fragment from a root canal
KR20120096481A (ko) 초음파 스케일러 팁
KR101491710B1 (ko)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턱관절 절삭 팁
EP2233085A1 (en) Surgical instrument for cutting bone
KR101007191B1 (ko)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범용 팁
US1605321A (en) Prophylactic scaler
WO2023142526A1 (zh) 超声手术刀刀头
CN217447921U (zh) 超声手术刀刀头
KR200446835Y1 (ko) 치과시술용 절삭 팁
US9192451B2 (en) Oscillating blade for cutting periodontal ligaments and luxating tooth roots
CN217285954U (zh) 超声手术刀及其刀头
KR100999093B1 (ko)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골 연삭 팁
JP4341042B1 (ja) 歯科用切削チップ
US20060035196A1 (en) Periondontal therapy instrument
EP3856050B1 (en) Device for perforating a dense bone layer
EP3651682B1 (en) Endodontic instrument
CN211156054U (zh) 一种医用工作尖、超声骨刀机和超声洁牙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