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7191B1 -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범용 팁 - Google Patents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범용 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7191B1
KR101007191B1 KR1020100044271A KR20100044271A KR101007191B1 KR 101007191 B1 KR101007191 B1 KR 101007191B1 KR 1020100044271 A KR1020100044271 A KR 1020100044271A KR 20100044271 A KR20100044271 A KR 20100044271A KR 101007191 B1 KR101007191 B1 KR 101007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p
delete delete
tip body
thickness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4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대
이정배
백종후
이영진
Original Assignee
한국세라믹기술원
주식회사 디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세라믹기술원, 주식회사 디메텍 filed Critical 한국세라믹기술원
Priority to KR1020100044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71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7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7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17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017/00022Sensing or detecting at the treatment site
    • A61B2017/00106Sensing or detecting at the treatment site ultraso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03Needle locating or guiding means
    • A61B2017/3413Needle locating or guiding means guided by ultrasoun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범용 팁에 관한 것으로, 초음파 방식 의료용 핸드피스에 연결되며 두께가 얇은 플레이트 형상의 팁 바디부와, 팁 바디부의 선단부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되되, 선단부의 종단면에서 복수 배열된 등변 삼각형 형태의 톱니를 구비하는 수직 절삭부와, 선단부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되되, 선단부의 양측 단면 각각에서 상호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각각의 돌출된 하측 변의 길이가 상측 변의 길이에 비해 더 짧은 부등변 삼각형 형태의 톱니를 구비하는 수평 절삭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하나의 범용 팁으로 수평 및 수직 방향 절삭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조작 편의성이 향상됨은 물론, 24~32KHz의 진동 범위로 절삭력을 제공하여, 주변 연부조직(예: 피부, 혈관, 근육 등)에는 손상을 가하지 않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범용 팁{UNIVERSAL TIP FOR MEDICAL OPERATION USING ULTRASONIC WAVE}
본 발명은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범용 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팁 바디부의 선단부에 종방향으로 일체 형성된 3날의 수직 절삭부와 팁 바디부의 선단부에 횡방향으로 일체 형성된 한 쌍의 수평 절삭부를 구비하는 범용 팁을 제공함으로써, 수평 및 수직 방향 절삭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치료 효율이 향상됨은 물론, 치골이나 뼈와 같은 딱딱한 부위만을 시술할 수 있는 형태로서, 피부, 혈관, 근육 등과 같은 부드러운 주변 인체 조직에는 손상을 입히지 않는 24~32KHz 진동수를 갖는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범용 팁에 관한 기술이다.
초음파 방식 시술용 팁은 초음파의 진동에너지를 이용하여 팁을 진동시켜 치아에 증착된 치석 및 다른 부착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신경치료(근관 수술)를 위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외에도 임플란트 수술, 치주 수술, 구강 수술 및 상악 악안면(顎顔面) 수술 등의 각종 치과 치료를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치과 치료를 제외하고서라도, 정형외과적인 시술인 골절개술(osteotomy), 배형성술(saucerization) 등과 미용 목적의 시술인 기계적 톱날에 의한 진동운동(oscillation), 왕복운동(reciprocation) 및 연마 도구에 의한 뼈의 줄질(rasp) 등 모든 시술시 연부조직(예: 신경, 혈관, 근육 등)의 손상을 최소화 하여 시행하는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초음파 방식 시술용 팁은 그마다의 시술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그 중 가장 보편적인 것이 바로 범용 팁이다.
이러한 범용 팁은 끝단에 1열로 배열된 절삭날들이 구비되는 가장 일반적인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이러한 범용 팁은 초음파 방식의 의료 장비에 장착되어 시술 목적 부위(예: 치골)를 선형에 가깝게 절삭하는 용도에 그쳤다.
따라서 보다 다양한 용도로, 그리고 다양한 절삭 부위를 동시에 절삭할 수 있으며, 주변 연부조직에 손상을 가하지 않는 범용 팁에 대한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수평 및 수직 방향 절삭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범용 팁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치골이나 뼈와 같은 딱딱한 부위만을 시술할 수 있는 형태로서, 피부, 혈관, 근육 등과 같은 부드러운 주변 인체 조직에는 손상을 입히지 않는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범용 팁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초음파 방식 의료용 핸드피스에 연결되며 두께가 얇은 플레이트 형상의 팁 바디부; 상기 팁 바디부의 선단부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선단부의 종단면에서 복수 배열된 등변 삼각형 형태의 톱니를 구비하는 수직 절삭부; 및 상기 선단부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선단부의 양측 단면 각각에서 상호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각각의 돌출된 하측 변의 길이가 상측 변의 길이에 비해 더 짧은 부등변 삼각형 형태의 톱니를 구비하는 수평 절삭부;를 포함하는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범용 팁을 제공한다.
이때, 팁 바디부는 초음파 방식 의료용 핸드피스의 작동에 연동되어 24 ~ 32 KHz의 범위의 진동수를 가지면서 동작될 수 있다. 여기서, 24 ~ 32 KHz의 진동수 범위는 초음파 방식 의료용 핸드피스에서 생성된 초음파 진동 영역으로서, 인체의 딱딱한 부위는 깎아 낼 수 있으나, 혈관, 피부, 근육 등과 같은 부드러운 부위에서는 위 초음파 진동 영역의 에너지가 흡수 소멸되어 시술이 필요하지 않은 부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팁 바디부는 상기 수직 절삭부 및 수평 절삭부와 일체로 성형 제작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재질은 내식성이 향상된 금속재질인 것이 좋다.
그리고 팁 바디부는 길이에 비해, 폭은 0.16 ~ 0.17 배로 이루어지며, 두께는 0.038 ~ 0.040 배로 이루어진 박판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한 팁 바디부의 길이는 17.80 ~ 18.00mm이며, 폭은 2.95 ~ 3.05mm이며, 두께는 0.69 ~ 0.71mm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선단부의 길이는 상기 팁 바디부의 길이에 비해 0.185 ~ 0.195 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 절삭부는 상기 선단부의 종단면을 기준으로 동일 크기 및 형상으로 돌출된 3개의 등변 삼각형 형태의 톱니를 횡 배열하여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수직 절삭부의 톱니 각각은 돌출된 끝단 방향으로 두께가 축소되어 예리하게 형성된 종방향 커터면을 구비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종방향 커터면이 이루는 선단의 두께는 상기 팁 바디부의 두께에 비해 0.565 ~ 0.575 배로 축소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종방향 커터면은 상기 수직 절삭부의 톱니 끝단에서 내측 방향으로 0.65 ~ 0.75 mm의 길이 범위 내에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 절삭부의 톱니 각각은 돌출된 끝단 방향으로 두께가 축소되어 예리하게 형성된 횡방향 커터면을 구비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횡방향 커터면의 선단 두께는 상기 팁 바디부의 두께에 비해 0.565 ~ 0.575 배로 축소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횡방향 커터면은 상기 수평 절삭부의 톱니 끝단에서 내측 방향으로 0.65 ~ 0.75 mm의 길이 범위 내에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팁 바디부의 후단은 초음파 방식 의료용 핸드피스에 연결되되, 상하 방향으로 20°만곡되어 굽혀진 연결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범용 팁에 따르면, 팁 바디부의 선단부에 종방향으로 일체 형성된 3날의 수직 절삭부와 팁 바디부의 선단부에 횡방향으로 일체 형성된 한 쌍의 수평 절삭부를 구비하는 범용 팁을 제공함으로써, 수평 및 수직 방향 절삭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시술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범용 팁에 따르면, 24 ~ 32KHz의 진동을 팁 바디부를 통해 전달함으로써, 치골이나 뼈와 같은 딱딱한 부위만을 목적한 바에 따라 간편하게 시술할 수 있으며, 주변 연부조직(예: 피부, 혈관, 근육 등)에는 상해를 입히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범용 팁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범용 팁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범용 팁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범용 팁의 일 실시예에서 각 부의 형상 및 크기 관계를 비교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도면 중 A영역을 확대 도시한 부분확대도,
도 6은 도 5의 도면에서 Q-Q 단면을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7은 도 5의 도면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부분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범용 팁의 일 실시예의 시제품 제작을 위한 치수를 기입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범용 팁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범용 팁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러한 도면은 본 발명의 구성 관계를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 그 특징되는 부분만을 도시한 것으로,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시된 특정 형태에 본 발명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시된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범용 팁(100)(이하, "범용 팁"이라 한다)은 초음파 방식 의료용 핸드피스 연결구(H)에 연결되는 팁 바디부(110)와, 상기 팁 바디부(110)의 선단부(112) 종단면에 형성되는 수직 절삭부(122)와, 상기 선단부(112) 양측 단면에 형성되는 수평 절삭부(124)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1에 도시된 범용 팁(100)은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초음파 방식을 이용한 의료용 장비에 연결되어 그 절삭력을 발휘한다.
초음파 방식을 이용한 의료용 장비란, 초음파 방식으로 진동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본체와, 이러한 본체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범용 팁(100)을 장착 가능하게 형성된 핸드피스로 이루어지는 장비로서, 범용 팁(100)에 일정 범위의 진동수를 갖는 진동에너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범용 팁(100)은 24 ~ 32KHz의 진동에너지를 전달받아 절삭력을 발휘함으로써, 치골이나 뼈와 같은 딱딱한 부위만을 의도한 시술 목적에 따라 절삭하며, 주변의 연부조직(예: 피부, 혈관, 근육 등)은 상기 범위의 진동수를 갖는 진동에너지를 흡수함으로써 별다른 손상이 유발되지 않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범용 팁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범용 팁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병행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범용 팁(100)의 각 부의 설명을 더욱 상세히 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도시된 범용 팁(100)은 크게 몸통을 이루는 팁 바디부(110)와, 팁 바디부(110)의 선단을 형성하는 선단부(112)와, 팁 바디부(110)의 후단을 형성하는 후단부(114) 및 선단부(112)의 단면으로부터 수직, 수평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수직 절삭부(122) 및 수평 절삭부(124)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팁 바디부(110)는 상하 방향의 길이에 비해 좌우 방향 폭은 가늘며, 매우 작은 두께로 형성된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이러한 팁 바디부(110)는 후술될 선단부(112), 후단부(114)를 비롯하여, 수직 절삭부(122) 및 수평 절삭부(124)까지 모두 한 몸을 이루어 일체로 된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각 부를 각각의 명칭으로 나누어 구분한 것은 서로 다른 부재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이 지닌 기능 및 역할, 그리고 서로 다른 형상 및 구조에 따라 보다 나은 이해를 도모하기 위함이다.
즉, 이러한 팁 바디부(110), 선단부(112), 후단부(114), 수직 절삭부(122) 및 수평 절삭부(124)는 일체로 성형되어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성형 제작 방법으로는 주지 관용의 대부분의 성형 방법들이 모두 이용될 수 있으며(일 예로, 금속 분말의 사출 성형 방법 포함), 그 재질로는 내구성, 내마모성 및 내방오성이 좋은 금속재질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금속재질로는 스테인리스, 티타늄 계열 등 부식에 강한 금속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팁 바디부(110)는 그 형상에 있어서, 본 발명이 목적한 효과를 발휘하기 위하여 일정한 제한을 두고 있다. 이를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팁 바디부(110)는 길이(L1)에 비해 폭(W1)이 0.16 ~ 0.17 배로 이루어지며, 그 두께(t1)는 0.038 ~ 0.040 배로 이루어진다.
만일 팁 바디부(110)의 길이(L1)에 비해 폭(W1)이 0.16 배 미만일 경우에는 팁 바디부(110)의 구조적 강성이 약해져 그 내구성에 해로운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만일 팁 바디부(110)의 길이(L1)에 비해 폭(W1)이 0.17 배를 초과할 경우에는 범용 팁(100)의 좌우 폭이 커져서 정밀한 시술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으며, 24 ~ 32KHz 범위의 진동수로 절삭력을 발휘하기에도 다소 무리가 따를 수 있다.
따라서 팁 바디부(110)는 길이(L1)와 폭(W1) 사이에는 1 : 0.16 ~ 0.17 정도의 크기 비율을 가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팁 바디부(110)는 길이(L1)에 비해 두께(도 3의 t1)는 0.038 ~ 0.040 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만일 팁 바디부(110)의 길이(L1)에 비해 두께(t1)가 0.038 배 미만일 경우에는 팁 바디부(110)의 구조적 강성이 약해져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반면에, 만일 팁 바디부(110)의 길이(L1)에 비해 두께(t1)가 0.040 배를 초과할 경우에는 범용 팁(100)의 미세 절삭 능력이 둔해질 수 있다.
따라서 팁 바디부(110)는 길이(L1)와 두께(t1) 사이에는 1 : 0.038 ~ 0.040 정도의 크기 비율을 가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팁 바디부(110)의 치수 범위를 길이(L1)는 17.80 ~ 18.00mm, 폭(W1)은 2.95 ~ 3.05mm, 두께(t1)는 0.69 ~ 0.71mm로 제한할 수 있는데, 이러한 치수 범위는 반복적인 형상 설계 및 그 성능 테스트를 통해 획득한 결과에 국한될 뿐이다.
그리고 이러한 팁 바디부(110)의 선단부(112)는 팁 바디부(110)의 선단의 일정 영역을 말하며, 끝단에는 수직 절삭부(122), 양측 단면에는 수평 절삭부(124)가 구비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이러한 선단부(112)의 길이(L3)는 상기 팁 바디부(110)의 길이(L1)에 비해 0.185 ~ 0.195 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선단부(112)의 길이(L3)를 위와 같이 제한한 이유는, 선단부(112)의 길이(L3)를 따라 선단부(112)의 양측 단면으로 수평 절삭부(124)가 형성되는데, 선단부(112)의 길이(L3)는 상기 수평 절삭부(124)의 톱니 폭을 결정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바람직한 선단부(112)의 길이(L3) 범위는 3.29 ~ 3.51mm 정도가 될 수 있다.
한편 팁 바디부(110)의 후단부(114)는 핸드피스 연결구(H)로 이어지는 부위이다.
이때, 팁 바디부(110)의 후단부(114)는 상기 핸드피스 연결구(H)로 이어지며, 이러한 연결구(H)는 상하 방향으로 20°정도 만곡되어 굽혀진 연결 형상을 갖는다. 이는 시술의 편의성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형상이다.
다음으로, 수직 절삭부(122)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절삭부(122)는 팁 바디부(110)의 선단부(112)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선단부(112)의 종단면에서 복수 배열된 톱니를 구비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수직 절삭부(122)는 본 발명의 범용 팁(100)에 있어서, 하부 접촉 부위를 절삭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직 절삭부(122)는 도 2를 통해 확인 가능하듯이, 팁 바디부(110)의 선단부(112) 종단면을 기준으로 동일 크기 및 형상으로 돌출된 3개의 등변 삼각형 형태의 톱니가 횡적으로 1열 배열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도 3을 참조하면 수직 절삭부(122)의 톱니 각각은 돌출된 끝단 방향으로 그 두께가 축소되어 예리하게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두께가 축소된 예리한 면을 종방향 커터면(122′)이라 한다.
종방향 커터면(122′)이 이루는 선단의 두께(t2)는 팁 바디부(110)의 두께(t1)에 비해 0.565 ~ 0.575 배로 축소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만일, 종방향 커터면(122′)이 이루는 선단의 두께(t2)가 상기 팁 바디부(110)의 두께(t1)에 비해 0.565배보다 작게 축소 제작될 경우에는 톱니의 날이 가늘어져 절삭 능력은 다소 향상될 수 있으나, 내구성에 문제가 생길 위험이 있으며, 이와 달리 팁 바디부(110)의 두께(t1)에 비해 0.575배보다 크게 제작될 경우에는 내구성은 다소 향상되나 절삭 능력이 떨어진다.
따라서 종방향 커터면(122′)이 이루는 선단의 두께(t2)는 팁 바디부(110)의 두께(t1)에 비해 0.565 ~ 0.575 배의 범위 내로 축소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수직 절삭부(122) 내의 종방향 커터면(122′)은 수직 절삭부(122)의 톱니 끝단에서 내측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S1)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종방향 커터면(122′)이 형성되는 소정의 길이(S1)는 0.65 ~ 0.75mm 범위 내에서 정해질 수 있다. 이러한 범위는 절삭력과 내구성을 모두 만족하는 조건이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수평 절삭부(124)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절삭부(124)는 팁 바디부(110)의 선단부(112)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본 발명의 범용 팁(100)을 이용한 시술 시, 범용 팁(100)이 동작하는 하단 측부의 접촉 부위를 절삭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수평 절삭부(124)를 이루는 각각의 톱니는 하측 변의 길이가 상측 변의 길이에 비해 더 짧은 부등변 삼각형 형태를 이룬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직 절삭부(124)는 도 2를 통해 확인 가능하듯이, 팁 바디부(110)의 선단부(112) 양측 단면을 각각에서 외측으로 하나씩 돌출 형성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3을 참조하면 이러한 수평 절삭부(124)의 톱니 각각에도 앞서 설명된 종방향 커터면(122′)과 동일한 횡방향 커터면(124′)이 구비된 모양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횡방향 커터면(124′)은 종방향 커터면(122′)의 두께(t2)와 동일한 두께로 이루어지므로, 이에 대한 불필요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이러한 수평 절삭부(124) 내의 횡방향 커터면(124′)은 수평 절삭부(124)의 톱니 끝단에서 내측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S2)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횡방향 커터면(124′)이 형성되는 소정의 길이(S2)는 앞서 설명한 종방향 커터면(122′)의 소정의 길이(S1)와 동일하게 0.65 ~ 0.75mm 범위 내에서 정해질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도면 중 A영역을 확대 도시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4의 도면 중 A영역은 팁 바디부(110)의 선단부(112)와, 수직 절삭부(122) 및 수평 절삭부(124)를 보여주는 부분으로, 이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 5를 통해 그 확대된 형상을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도면에서 Q-Q 단면을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5의 도면에서, Q-Q 단면은 수평 절삭부(124)의 톱니 중앙을 절개한 단면으로서, 수평 절삭부(124)와, 상기 수평 절삭부(124)에 구비된 횡방향 커터면(124′)의 구조 및 형상에 대한 확인은 물론, 횡방향 커터면(124′)이 이루는 선단의 형상까지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도 5의 도면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부분사시도이다. 도 7을 통해서, 수직 절삭부(122) 및 수평 절삭부(124)의 구체적인 형상 관계를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다.
즉, 선단부(112)의 종단면에서 1열로 3개의 수직 절삭부(122)가 동일 크기 및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선단부(112)의 양측 단면으로부터 외측으로 각각 1개의 수평 절삭부(124)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수직 절삭부(122)는 양변의 길이가 같고, 그 양변의 면적(f)이 동일한 이등변 삼각형 형태의 톱니 형상을 이루고 있으나, 수평 절삭부(124)는 상기 수직 절삭부(122)와 달리 상측 변이 하측 변에 비해 더 길며, 상측 변의 면적(e1)이 하측 변의 면적(e2)에 비해 더 큰 부등변 삼각형 형태의 톱니 형상을 이루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수직 절삭부(122) 및 수평 절삭부(124) 각각에는 동일한 선단 두께(t2)로 이루어진 종방향 커터면(122′) 및 횡방향 커터면(124′)이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범용 팁의 일 실시예의 시제품 제작을 위한 치수를 기입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제작된 본 발명의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범용 팁을 24 ~ 32KHz 진동수의 진동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방식 의료 장비의 핸드피스에 장착하여 이용해 본 결과, 시술 목적 부위에 대하여 수평 및 수직 방향 절삭을 동시에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었으며, 치골이나 뼈와 같은 딱딱한 부위만을 절삭 및 절개하고, 주변의 연부조직(예: 피부, 혈관, 근육 등)에는 전혀 손상을 가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범용 팁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범용 팁 110: 팁 바디부
112: 선단부 114: 후단부
122: 수직 절삭부 124: 수평 절삭부

Claims (14)

  1. 24 ~ 32KHz 범위의 진동수를 갖는 초음파 방식 의료용 핸드피스에 연결되며 두께가 얇은 플레이트 형상의 팁 바디부; 상기 팁 바디부의 선단부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선단부의 종단면에서 복수 배열된 등변 삼각형 형태의 톱니를 구비하여, 시술부위의 하부 바닥면 부위에 대해 횡 방향 절삭을 수행하는 수직 절삭부; 및 상기 선단부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선단부의 양측 단면 각각에서 상호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각각의 돌출된 하측 변의 길이가 상측 변의 길이에 비해 더 짧은 부등변 삼각형 형태의 톱니를 구비하여, 시술부위의 하부 양측 벽면에 대해 종 방향 절삭을 수행하는 수평 절삭부;를 포함하고, 상기 팁 바디부, 상기 수직 절삭부 및 상기 수평 절삭부는 일체로 성형 제작되며, 그 재질은 스테인리스 또는 티타늄 계열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팁 바디부는 길이는 17.80 ~ 18.00mm이며, 폭은 2.95 ~ 3.05mm이며, 두께는 0.69 ~ 0.71mm이며, 상기 선단부의 길이는 상기 팁 바디부의 길이에 비해 0.185 ~ 0.195 배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 절삭부는 상기 선단부의 종단면을 기준으로 동일 크기 및 형상으로 돌출된 3개의 등변 삼각형 형태의 톱니를 횡 배열하여 구비되되, 상기 수직 절삭부의 톱니 각각은 돌출된 끝단 방향으로 두께가 축소되어 예리하게 형성된 종방향 커터면을 구비하고, 상기 종방향 커터면이 이루는 선단의 두께는 상기 팁 바디부의 두께에 비해 0.565 ~ 0.575 배로 축소되며, 상기 종방향 커터면은 상기 수직 절삭부의 톱니 끝단에서 내측 방향으로 0.65 ~ 0.75 mm의 길이 범위 내에 형성되며, 상기 수평 절삭부의 톱니 각각은 돌출된 끝단 방향으로 두께가 축소되어 예리하게 형성된 횡방향 커터면을 구비하고, 상기 횡방향 커터면의 선단 두께는 상기 팁 바디부의 두께에 비해 0.565 ~ 0.575 배로 축소되며, 상기 횡방향 커터면은 상기 수평 절삭부의 톱니 끝단에서 내측 방향으로 0.65 ~ 0.75 mm의 길이 범위 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범용 팁.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00044271A 2010-05-12 2010-05-12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범용 팁 KR101007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271A KR101007191B1 (ko) 2010-05-12 2010-05-12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범용 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271A KR101007191B1 (ko) 2010-05-12 2010-05-12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범용 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7191B1 true KR101007191B1 (ko) 2011-01-12

Family

ID=43616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4271A KR101007191B1 (ko) 2010-05-12 2010-05-12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범용 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71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82128A (zh) * 2017-09-29 2018-01-16 北京水木天蓬医疗技术有限公司 一种超声骨刀刀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6835A (ko) * 2002-11-28 2004-06-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내연기관 추진시스템을 적용한 엘엔지선의 보그 처리 시스템
KR200446835Y1 (ko) * 2008-11-10 2009-12-03 주식회사 디메텍 치과시술용 절삭 팁
KR100936407B1 (ko) * 2008-07-08 2010-01-12 손동석 피에조 디바이스를 이용한 임플란트 시술용 피에조 인서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6835A (ko) * 2002-11-28 2004-06-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내연기관 추진시스템을 적용한 엘엔지선의 보그 처리 시스템
KR100936407B1 (ko) * 2008-07-08 2010-01-12 손동석 피에조 디바이스를 이용한 임플란트 시술용 피에조 인서트
KR200446835Y1 (ko) * 2008-11-10 2009-12-03 주식회사 디메텍 치과시술용 절삭 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82128A (zh) * 2017-09-29 2018-01-16 北京水木天蓬医疗技术有限公司 一种超声骨刀刀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9106B1 (ko)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턱관절 절삭 팁
CA2602485C (en) Ultrasonic wound debrider probe and method of use
CN107320151B (zh) 一种超声骨刀刀头
TWI516245B (zh) 用於壓電式骨骼手術之改良式手術刀尖
JP3221642U (ja) 超音波骨カッターのカッターヘッド
KR101007192B1 (ko)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다목적 범용 팁
EP2552330B1 (en) Improved needle tip for surgical instrument
EP2763603B1 (en) Ultrasonic osteotome
US20030125620A1 (en) Coupling vibration ultrasonic hand piece
CN106691544B (zh) 一种超声刀刀头
TR201806690U5 (tr) Ultrasonik osteotom takım ucu ve takım uçlu ultrasonik osteotom.
US20210259805A1 (en) Endodontic instrument
CA2938109A1 (en) Ultrasonic debrider probe
KR101007191B1 (ko)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범용 팁
EP2233085A1 (en) Surgical instrument for cutting bone
JP2017523871A (ja) 単一切断フルートを有する外科用バー
KR101491710B1 (ko)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턱관절 절삭 팁
CN217447921U (zh) 超声手术刀刀头
KR200446835Y1 (ko) 치과시술용 절삭 팁
CN217285954U (zh) 超声手术刀及其刀头
KR200450918Y1 (ko) 임플란트시술용 초음파수술기의 천공 팁
KR100999093B1 (ko) 초음파 방식 의료 시술용 골 연삭 팁
JP4341042B1 (ja) 歯科用切削チップ
CN203369938U (zh) 一种超声骨刀机工作尖
US9192451B2 (en) Oscillating blade for cutting periodontal ligaments and luxating tooth roo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