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9982B1 - 치아 보철물 제거 방법 - Google Patents

치아 보철물 제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9982B1
KR101839982B1 KR1020160181491A KR20160181491A KR101839982B1 KR 101839982 B1 KR101839982 B1 KR 101839982B1 KR 1020160181491 A KR1020160181491 A KR 1020160181491A KR 20160181491 A KR20160181491 A KR 20160181491A KR 101839982 B1 KR101839982 B1 KR 101839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mediate member
dental prosthesis
prosthesis
diamet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1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원
Original Assignee
이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원 filed Critical 이지원
Priority to KR1020160181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99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9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9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16Dentists' forceps or clamps for removing crow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2Tooth drilling or cutting instruments; Instruments acting like a sandblast mach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변 치아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치아에 씌워진 치아 보철물을 제거할 수 있는 치아 보철물 제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치아 보철물에 홀을 형성하는 홀 형성 단계; 홀에 중간 부재를 삽입하는 중간 부재 삽입 단계; 중간 부재의 내측에 나사부를 갖는 보철 제거 부재를 삽입하여 중간 부재와 나사 결합하는 보철 제거 부재 결합 단계; 보철 제거 부재의 단부가 치아 표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보철 제거 부재의 회전에 의해 치아 보철물이 보철 제거 부재의 나사부를 따라 인상되어 치아로부터 이격되는 보철물 제거 단계; 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치아에 씌워진 보철물을 간단하고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어 작업자의 편의를 제공하고, 치아와 잇몸에 충격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지르코니아와 같이 나사산을 형성하기 어려운 치아 보철물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치아 보철물 제거 방법{DENTAL PROSTHESIS REMOVING METHOD}
본 발명은 치아 보철물 제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변 치아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치아에 씌워진 치아 보철물을 제거할 수 있는 치아 보철물 제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철물이란, 치아가 손상되거나, 충치에 의해 치료한 후 치아를 덮어씌워 치아의 역할을 대신하게 하는 금속성 합금을 의미한다.
이러한 보철물은 영구로 사용하지 못하며, 수명이 다하거나, 파손, 손상에 의해 새로운 보철물로 교체할 필요가 있다.
이때, 치아에 씌워진 보철물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수단이 있다.
먼저, 집게형은 가위형태로 구성된 기구로 하나의 집게다리는 치아의 일측을 지지하고, 다른 집게다리는 치아의 타측을 들어올려 보철물을 제거한다. 그러나 집게형의 경우, 지지되는 면이 미끄러져 다른 치아에 충격을 가하거나, 치아를 제대로 지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갈고리형은, 갈고리를 보철물 하단 테두리에 걸고, 타격함으로써, 타격에 의한 충격으로 보철물을 제거한다. 그러나 충격에 의해 치아가 손상되거나 잇몸이 손상되는 단점이 있었다.
종래의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94770호는, 갈고리 형상의 보철물제거팁과 타격체를 구비하여, 타격체의 전, 후진에 따른 타격에 의해, 보철물제거팁이 보철물을 제거하는 치아 보철물 제거기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90175호는, 보철물에 뚫린 구멍에 가압봉 하단부가 위치하게 하여 치아 상면과 접하게 하고, 내외측 걸림편이 보철물 외면에 밀착되게 하여, 보철물의 구멍을 통하여 가압봉을 중심으로 이동간에 내외측 걸림편이 상향이동하면서 치아로부터 보철물을 제거하는 치과용 보철물 제거기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2228호는, 탭 형태의 공구를 보철물에 박아 넣고, 치아면에 지지된 공구의 회전 반력에 의해 공구의 절삭날에 물린 보철물을 제거하는 보철물 제거장치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상술한 종래의 보철물제거기는, 갈고리의 타격에 의해, 보철물이 씌워진 치아뿐 아니라, 주변의 치아 및 잇몸에 충격을 주어 손상될 수 있었다.
또한, 가압봉이 치아 상면을 지지하는 힘에 대한 반력으로 걸림편이 보철물의 외면을 잡아 들어올리므로, 가압봉에 의해 치아 상면이 손상되거나, 보철물의 외면에 밀착되는 걸림편이 과도한 힘으로 보철물을 고정하는 경우, 보철물 내부의 치아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치과 환자의 경우, 치과 치료를 받는 동안 치료되는 과정을 모두 인지하게 되므로, 치료 장비의 외형이나, 소리가 거칠고 투박한 경우, 위협적으로 느껴져 치료에 거부감이 들거나, 공포심을 유발시킬 수 있다.
한편, 치과 치료는 환자의 구강 내에서 이루어지므로, 큰 기구를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보철물에 홀을 형성한 뒤, 홀에 나사를 삽입하여 보철물과 나사결합 시킴으로써, 나사가 치아 상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나사의 회전에 의해 보철물이 나사를 따라 인상됨으로써, 치아로부터 보철물을 제거하는 방법이 있었다.
그러나 지르코니아와 같은 몇몇 보철물은 홀을 형성할 수는 있으나, 나사산이 형성되기 어려워, 나사와 나사 결합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나사를 홀에 삽입하더라도 보철물이 나사를 따라 인상되지 않으므로 보철물을 제거할 수 없었다.
상술한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치아에 씌워진 치아 보철물을 간단하고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는 치아 보철물 제거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치아 보철물의 제거 시 치아와 잇몸에 충격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치아 보철물 제거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나사산을 형성하기 어려운 지르코니아와 같은 특정 치아 보철물을 제거할 수 있는 치아 보철물 제거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치아 보철물 제거 방법은, 치아에 씌워지는 치아 보철물을 제거하기 위한 치아 보철물 제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치아 보철물에 홀을 형성하는 홀 형성 단계; 상기 홀에 중간 부재를 삽입하는 중간 부재 삽입 단계; 상기 중간 부재의 내측에 나사부를 갖는 보철 제거 부재를 삽입하여 상기 중간 부재와 나사 결합하는 보철 제거 부재 결합 단계; 상기 보철 제거 부재의 단부가 치아 표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보철 제거 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치아 보철물이 상기 보철 제거 부재의 나사부를 따라 인상되어 상기 치아로부터 이격되는 보철물 제거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간 부재는, 외경이 상기 치아 보철물에 형성된 홀 직경의 ±0.2mm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간 부재는, 내경이 0.4mm ~ 1.2mm 이고, 외경이 1.8mm ~ 2.2mm 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간 부재의 길이는, 상기 치아 보철물에 형성된 홀의 깊이보다 0.1mm ~ 1mm 길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간 부재의 형상은, 길이 방향으로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거나,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간 부재는, 신축성이 있는 실리콘(Si),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및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중 하나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철 제거 부재 결합 단계 이전에, 상기 중간 부재의 내측에 나사 부재를 삽입한 뒤, 제거하여 상기 중간 부재의 내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는 나사산 형성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철 제거 부재는, 상기 나사 부재보다 직경이 크다.
본 발명의 치아 보철물 제거 방법에 의하면, 치아에 씌워진 보철물을 간단하고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어 작업자의 편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치아 보철물의 제거 시 치아와 잇몸에 충격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 환자에게 거부감 및 공포심 유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간 부재를 앵커 역할로 사용하여 지르코니아와 같이 나사산을 형성하기 어려운 치아 보철물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철 제거 부재의 나사부가 상광하협으로 이루어져, 나사부의 회전에 의해 보철물에 형성된 구멍이 커지더라도 나사부의 수평 방향 단면적이 넓어져 보철물을 견고히 지지하여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기둥부의 직경을 나사부의 최대 직경보다 작게 형성하여 구강 내 좁은 공간에서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표시부를 구비하여, 나사부의 직경을 쉽게 판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홀 형성 단계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중간 부재 삽입 단계에서 중간 부재를 삽입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중간 부재 삽입 단계에서 중간 부재를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나사산 형성 단계에서 나사 부재를 삽입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나사산 형성 단계에서 나사 부재를 삽입하여 나사산을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나사산 형성 단계에서 나사 부재를 제거하여 나사산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보철 제거 부재 삽입 단계에서 보철 제거 부재를 삽입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보철 제거 부재 삽입 단계에서 보철 제거 부재를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보철물 제거 단계에서 치아 보철물이 치아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치아 보철물 제거 방법에서 사용되는 중간 부재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치아 보철물 제거 방법에서 사용되는 나사 부재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치아 보철물 제거 방법에서 사용되는 보철 제거 부재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치아 보철물 제거 방법에서 사용되는 중간 부재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치아 보철물 제거 방법에서 사용되는 나사 부재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치아 보철물 제거 방법에서 사용되는 보철 제거 부재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치아 보철물 제거 방법에서 사용되는 중간 부재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치아 보철물 제거 방법에서 사용되는 보철 제거 부재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치아 보철물 제거 방법에서 사용되는 보철 제거 부재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치아 보철물 제거 방법에서 사용되는 보철 제거 부재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치아 보철물 제거 방법에서 사용되는 보철 제거 부재의 제6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치아 보철물 제거 방법은, 치아에 씌워진 치아 보철물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치아와 잇몸에 충격 및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치아 보철물을 간단하고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어 작업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환자에게는 거부감 및 공포심 유발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종래에는 치아 보철물(2)에 홀(3)을 형성한 뒤, 이 홀(3)에 나사를 삽입하여 나사 결합함으로써, 나사가 치아(1) 상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나사의 회전에 의해 치아 보철물(2)이 나사를 따라 인상되어 치아(1)로부터 치아 보철물(2)을 이격시켜 제거하였다.
그러나 지르코니아와 같은 치아 보철물은 나사산이 형성되기 어려워 나사와 직접 결합하기 어렵기 때문에 지르코니아와 같은 치아 보철물을 제거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치아 보철물 제거 방법은, 나사산을 직접 형성하기 어려운 치아 보철물(2)도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한 방법이다.
본 발명의 치아 보철물 제거 방법은, 홀 형성 단계, 중간 부재 삽입 단계, 나사산 형성 단계, 보철 제거 부재 결합 단계 및 보철물 제거 단계로 이루어지며, 중간 부재(100), 나사 부재(200) 및 보철 제거 부재(300)에 의해 치아 보철물(2)을 제거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치아 보철물 제거 방법을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단계적으로 설명하며, 치아 보철물 제거에 사용되는 중간 부재(100), 나사 부재(200) 및 보철 제거 부재(300)에 대하여 도 10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홀 형성 단계는, 도 1과 같이, 치아 보철물(2)에 홀(3)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홀(3)은 카바이드 바(Carbide Bur)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홀(3)의 직경은 약 2mm 내외가 적절하다.
중간 부재 삽입 단계는, 도 2, 도 3과 같이, 홀 형성 단계에서 형성한 홀(3)에 중간 부재(100)를 삽입한다.
중간 부재(100)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에 홀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으로, 약간의 신축성이 있으며, 치아 보철물(2)의 홀(3)에 공구나 도구를 이용하여 삽입할 수 있으나, 손으로 삽입할 수도 있다.
나사산 형성 단계는 도 5 내지 도 6과 같이, 홀(3)에 삽입된 중간 부재(100)의 내측에 나사 부재(200)를 삽입한 뒤, 제거하여 중간 부재(100)의 내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한다.
이로써, 중간 부재(10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은 보철 제거 부재(300)의 나사부(320)와 중간 부재(100)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나사산 형성 단계는, 보철 제거 부재(300)의 직경이 중간 부재(100)의 내경보다 과도하게 커서 중간 부재(100)의 내측에 보철 제거 부재(300)의 삽입이 용이하지 않을 경우, 보철 제거 부재(300)보다 직경이 작은 나사 부재(200)를 미리 삽입하여 나사산을 형성하며 중간 부재(100)의 내경을 넓힐 수 있다.
보철 제거 부재 결합 단계는 도 7, 도 8과 같이, 나사산이 형성된 중간 부재(100)의 내측에 나사부(320)를 갖는 보철 제거 부재(300)를 삽입하여 보철 제거 부재(300)와 중간 부재(100)를 나사 결합한다.
이때, 보철 제거 부재(300)의 나사부(320) 직경은 나사 부재(200)의 직경보다 크다. 따라서, 나사 부재(200)는 보철 제거 부재(300)의 삽입 전에 중간 부재(100)에 삽입되어 중간 부재(100)의 내측 홀을 넓게 형성함으로써, 나사 부재(200)의 삽입 전에 비하여 보철 제거 부재(30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보철 제거 부재(300)를 중간 부재(100)에 삽입하면, 보철 제거 부재(300)의 직경이 중간 부재(100)의 내경보다 크기 때문에 중간 부재(100)가 압박되어 보철 제거 부재(300)와 치아 보철물(3) 사이에 밀착된다. 이로써, 보철 제거 부재(300)와 중간 부재(100), 중간 부재(100)와 치아 보철물(3)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킨다. 즉, 중간 부재(100)는 치아 보철물(3)과 보철 제거 부재(300) 사이에서 앵커 역할을 한다.
보철물 제거 단계는 도 9와 같이, 보철 제거 부재(300)의 단부가 치아(1) 표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보철 제거 부재(300)를 회전시킨다. 보철 제거 부재(300)의 회전에 의해 치아 보철물(2)이 보철 제거 부재(300)의 나사부(320)를 따라 인상되어 치아(1)로부터 이격된다. 이로써, 치아 보철물(2)을 치아(1)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나사산 형성 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 나사산 형성 단계를 생략하는 경우, 보철 제거 부재의 삽입 시 나사산을 형성하며 중간 부재와 결합된다. 나사산 형성 단계는 중간 부재의 내측에 보철 제거 부재가 삽입되기 용이한 경우에 생략할 수 있다.
또한, 홀 형성 단계 이후에, 완충 부재 삽입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완충 부재 삽입 단계는, 치아 보철물에 형성된 홀에 완충 부재를 삽입한다. 완충 부재는 나사산 형성 단계 또는 보철물 제거 단계에서 홀에 삽입되는 나사 부재 또는 보철 제거 부재가 치아 표면에 접촉되어 치아를 손상시키는 문제를 방지한다. 완충 부재는 솜, 거즈 및 탄성 있는 재료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치아 표면에서 나사 부재 또는 보철 제거 부재의 삽입에 따라 눌리면서 치아에 밀착된다.
치아 보철물 제거에 사용되는 제1 실시예에 의한 중간 부재(100), 나사 부재(200) 및 보철 제거 부재(3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중간 부재(100)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 형상, 즉 내측에 홀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으로, 중간 부재(100)의 외경은 치아 보철물(2)에 형성된 홀(3) 직경의 ±0.2mm로 형성되어 치아 보철물(2)에 형성된 홀(3)에 용이하게 삽입되면서도, 보철 제거 부재(300)의 삽입 시, 적절히 압박되어 중간 부재(100)와 치아 보철물(2)의 결합력을 견고히 할 수 있다. 또한, 중간 부재(100)는 내경이 0.4mm ~ 3.4mm 이고, 외경이 0.5mm ~ 3.5mm로 형성되어 치아 보철물(2)과 보철 제거 부재(300) 사이에서 적절한 부피감을 가지면서도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중간 부재(100)는 치아 보철물(2)에 형성된 홀(3)의 깊이보다 0.1mm ~ 1mm 더 긴 길이로 형성되어 중간 부재(100)를 홀(3)에 완전히 삽입하더라도 중간 부재(100)가 치아 보철물(2)로부터 돌출되게 한다.
또한, 중간 부재(100)는 신축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컨대, 실리콘(Si),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및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중 하나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보철 제거 부재(300)의 삽입 시 치아 보철물(2)의 홀(3) 내측에서 압박되어 보철 제거 부재(300)와 치아 보철물(2)에 밀착되며, 앵커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중간 부재(10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때 나사 부재를 이용하여 중간 부재(100)의 내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기 어려우므로 나사산이 미리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중간 부재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나사산 형성 단계를 생략할 수 있어 더욱 간단하게 치아 보철물을 제거할 수 있다.
나사 부재(200)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치아 보철물(2)의 홀(3)에 삽입된 중간 부재(100)의 홀에 삽입되어 중간 부재(100)의 내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한다. 이로써, 보철 제거 부재(300)가 중간 부재(100)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나사 부재(200)는 크게 삽입부(210), 나사부(220), 몸체부(230) 및 결합부(24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삽입부(210)는 나사부(220)의 하부에 형성되어 중간 부재(100)의 홀에 삽입되고, 나사부(220)의 직경에 비해 더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중간 부재(100)의 내측에 더욱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삽입부(210)의 하단은 평면 또는 라운드 형태로 이루어져, 삽입부(210)의 하단이 중간 부재(100)의 홀을 지나 치아(1)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나사 부재(200)의 삽입을 정지시키고, 치아(1)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나사부(220)는 삽입부(210)의 상부에 연장 형성되고, 나사 부재(200)가 회전에 의해 중간 부재(100)의 내측에 삽입되면서 나사부(220)는 중간 부재(100)의 내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한다. 이때, 나사부(220)의 직경은 중간 부재(100)의 홀 직경에 비하여 크게 형성되어 중간 부재(100)를 압박하며 나사산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부(230)는 나사부(220) 상부에 연장 형성되고, 몸체부(230) 하부의 직경은 나사부(220)의 최대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하여 나사부(220)와의 결합을 견고히 할 수 있고, 몸체부(230) 상부의 직경은 나사부(220)의 최대 직경보다 작게 형성하여 좁은 공간에 설치 가능하므로 환자의 구강 내에서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다.
결합부(240)는 몸체부(230) 상단에 형성되어 나사부(220)에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전동 회전공구의 회전부재와 결합된다.
보철 제거 부재(300)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 부재(100)에 삽입되어 중간 부재(100)와 나사 결합한다. 보철 제거 부재(300)의 단부가 치아(1) 표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보철 제거 부재(300)가 계속 회전하면, 치아 보철물(2)이 보철 제거 부재(300)를 따라 인상되어 치아(2)로부터 이격된다. 이로써, 치아 보철물(2)을 치아(1)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보철 제거 부재(300)는 크게 삽입부(310), 나사부(320), 몸체부(330), 결합부(340) 및 표시부(35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삽입부(310)는 나사부(320)의 하부에 형성되어 치아 보철물(2)에 미리 형성된 홀(3)에 삽입된 중간 부재(100) 내측에 삽입되고, 나사부(320)의 직경에 비해 더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중간 부재(100)의 내측에 더욱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삽입부(310)의 하단은 평면 또는 라운드 형태로 이루어져, 삽입부(310)의 하단이 중간 부재(100)의 홀을 지나 치아(1)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보철 제거 부재(300)의 삽입을 정지시키고, 회전 시 치아(1)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나사부(320)는 삽입부(310)의 상부에 연장 형성되고, 보철 제거 부재(300)의 회전에 의해 중간 부재(100)의 내측에 삽입되면서 나사부(320)는 중간 부재(100)와 나사 결합한다. 이때, 보철 제거 부재의 나사부(320)는 나사 부재의 나사부(220)에 비하여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중간 부재(100)를 압박함으로써, 보철 제거 부재(300)와 치아 보철물(2) 사이에서 중간 부재(100)가 밀착된다. 나사부(320)가 삽입되며, 삽입부(10)가 치아(1) 표면에 접촉되는 순간부터 치아 보철물(2)은 나사부(320)를 따라 인상되어 치아(1)로부터 이격된다.
나사부(320)는 삽입부(310) 상부의 제1 나사부(321)와 제1 나사부(321) 상부의 제2 나사부(322)로 이루어진다.
제1 나사부(321)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 방향 단면적이 일정하게 형성되며 제1 나사부(321)의 직경은 'D3'으로 나타낸다. 제1 나사부(321)는 삽입부(310) 다음으로 중간 부재(100)의 내측에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고, 삽입부(310)가 치아(1)의 표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치아 보철물(2)이 제1 나사부(321)를 따라 인상되어 치아(1)로부터 이격된다.
제2 나사부(322)는 제1 나사부(321)의 나사산이 연장 형성된 나사산을 가지고 수평 방향 단면적이 상광하협으로 이루어지며, 제2 나사부(322)의 최대 직경은 'D1'로 나타낸다. 제2 나사부(322)는 제1 나사부(321)를 따라 인상되는 치아 보철물(2)의 과도한 상승을 방지할 수 있고, 중간 부재(100)와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여 결합력이 강화된다.
구체적으로, 제2 나사부(322)는 회전 중심축(A)으로부터 5°~70° 경사진 경사각(θ1)을 형성한다. 경사각(θ1)이 5° 미만이면 제2 나사부(322)가 치아 보철물(2)의 과도한 상승을 방지하는 효과가 미약하고, 경사각(θ1)이 70°를 초과하면, 제1, 제2 나사부(321, 322)의 연결부분에서 경사가 급격히 변화하여 제작이 어려울 뿐 아니라 연결 부분에 크랙이 발생하기 쉽다.
또한, 제1 나사부(321)의 축 방향 길이(d1)와 제2 나사부(322)의 축 방향 길이(d2) 비율은 6:4 ~ 8:2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나사부(320)에 대한 제1 나사부(321)의 축 방향 길이 비율은 60%~8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나사부(321)의 비율이 60% 미만이면, 상대적으로 제1 나사부(321)의 길이가 짧고 제2 나사부(322)의 길이가 길어져 치아 보철물(2)이 제1 나사부(321)를 따라 충분히 인상되기 어렵고, 제1 나사부(321)의 비율이 80%를 초과하면, 제2 나사부(322)의 길이가 너무 짧아져 제2 나사부(322)의 적절한 경사각을 형성하기 어렵다.
몸체부(330)는 나사부(320) 상부에 연장 형성된다. 몸체부(330) 하부의 직경은 나사부(320)의 최대 직경(D1)과 동일하게 형성하여 나사부(320)와의 결합을 견고히 할 수 있고, 몸체부(330) 상부의 직경은 나사부(320)의 최대 직경(D1)보다 작게 형성하여 좁은 공간에 설치 가능하므로 환자의 구강 내에서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다.
결합부(340)는 몸체부(330) 상단에 형성되어 나사부(320)에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전공 회전공구의 회전부재와 결합된다. 결합부(340)는 나사부(320)와 동일한 회전 중심축(A)을 갖는 원기둥 형태의 바디(341) 일측에 회전 중심축(A)과 평행한 수직면(H)에 의하여 절개된 절개면(342)이 형성된다. 이로써, 결합부(340)의 수평 방향 단면은 일부가 절개된 원 형태로 이루어진다.
회전부재는 결합부(340)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로써 바디(341)에 형성된 절개면(342)에 의해, 회전부재의 회전력을 결합부(340)로 전달하기 위한 결합력을 높일 수 있고, 절개면(342)을 제외한 바디(341)의 외주면에 의해 회전부재와 결합부(340)의 결합을 쉽게 할 수 있다.
바디(341)의 직경(D2)은 나사부(320)의 최대 직경(D1)보다 작게 형성되어 좁은 공간을 차지하므로 환자의 좁은 구강 내에서도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다.
한편, 바디(341)의 직경(D2)은 몸체부(330)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바디(341)는 절개면(342) 이외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홈(343)이 형성될 수 있다. 절개면(342)은 회전 중심축(A)에 평행한 수직면(H)에 의하여 절개된 단면으로 바디(341)의 수평 방향 단면인 원을 현으로 절개한 면이다.
몸체부(330)의 상면은 바디(341)에 의해 접촉된 접촉면과 절개부(342)에 의해 노출된 노출면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노출면은 회전부재가 결합부(340)에 결합 시 회전부재의 하강을 제한하는 스토퍼 역할을 할 수 있다.
표시부(350)는 몸체부(330)의 외면에 나사부(320)의 직경 크기를 표시한다. 표시부(350)는 몸체부(330) 둘레에 띠 형태 홈의 개수로 나사부(320)의 직경 크기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외에 띠의 색, 굵기, 점의 개수, 숫자 등 다양한 방법으로 나사부(320)의 직경 크기를 표시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나사부(320)의 직경 크기를 확인할 수 있어, 치아 보철물(2)에 형성된 홀(3)의 직경 크기에 따라 보철 제거 부재(300)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치아 보철물 제거 방법에 사용되는 제2 실시예에 의한 중간 부재(100a), 나사 부재(200a) 및 보철 제거 부재(300a)에 대하여 도 13 내지 도 15를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중간 부재(100a)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테이퍼 진 형상으로, 내부의 홀도 동일한 방향으로 갈수록 큰 내경을 갖는다.
이에 따라 나사 부재(200a)의 나사부(220a)와 보철 제거 부재(300a)의 나사부(330a)는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게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치아 보철물에 형성된 홀이 깊어질수록 직경이 작게 형성된 경우, 상술한 제2 실시예의 중간 부재(100a), 나사 부재(200a) 및 보철 제거 부재(300a)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치아 보철물 제거 방법에 사용되는 중간 부재의 제3 내지 제5 실시예를 각각 나타낸다.
도 16은 치아 보철물 제거 방법에 사용되는 중간 부재(100b)의 제3 실시예로, 관 형태의 원주 방향 일측이 길이 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101b)를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평 단면적이 'C' 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로써, 중간 부재(100b)의 직경이 쉽게 증감하므로 나사 부재와 보철 제거 부재의 직경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고, 나사 부재 또는 보철 제거 부재 삽입 시 중간 부재(100b)가 압박되더라도 절개부(101b)가 이격되어 중간 부재(100b)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7은 치아 보철물 제거 방법에 사용되는 중간 부재(100c)의 제4 실시예로, 제2 실시예의 중간 부재(100a)의 원주 방향 일측이 길이 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101c)를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수평 단면적이 'C' 형상을 이루며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진다. 이로써, 치아 보철물에 형성된 홀이 깊어질수록 직경이 작게 형성된 경우에 제4 실시예에 의한 중간 부재(100b)를 사용할 수 있으며, 중간 부재(100b)의 직경이 쉽게 증감하므로 나사 부재와 보철 제거 부재의 직경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고, 나사 부재 또는 보철 제거 부재 삽입 시 중간 부재(100c)가 압박되더라도 절개부(101c)가 이격되어 중간 부재(100c)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8은 치아 보철물 제거 방법에 사용되는 중간 부재(100d)의 제5 실시예로, 제1, 제2 중간 부재(110d, 120d)로 구성된다. 제1 중간 부재(110d)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실시예의 중간 부재(10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중간 부재(120d)는 제1 중간 부재(110d)의 내부에 배치되고, 관 형태의 원주 방향 일측이 길이 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121d)를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3 실시예의 중간 부재(100b)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로써, 제2 중간 부재(120d)의 직경이 쉽게 증감하므로 나사 부재와 보철 제거 부재의 직경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고, 나사 부재 또는 보철 제거 부재 삽입 시 중간 부재(100d)가 압박되더라도 제2 중간 부재(120d)의 절개부(121d)가 이격되어 중간 부재(100d)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2 중간 부재(120d)의 절개부(121d)가 이격되더라도 외측에 제1 중간 부재(110d)가 배치되어 있어 나사 부재 또는 보철 제거 부재의 나사산에 의한 치아 보철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중간 부재는 코일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중간 부재가 코일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면, 보철 제거 부재의 나사산이 코일 스프링의 형상을 따라 삽입 결합되므로, 중간 부재에 별도의 나사산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도 19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치아 보철물 제거 방법에 사용되는 보철 제거 부재의 제3 내지 제6 실시예를 각각 나타낸다. 제3 내지 제6 실시예는 보철 제거 부재의 나사부 형상에 차이가 있으며, 나사부 하부와 나사부 상부를 비교하여 나사부 하부의 피치와 나사산 높이 중 적어도 하나가 나사부 상부에 비하여 큰 값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제3 내지 제6 실시예는 나사부 하부에 해당하는 제1 나사부(321b, 321c, 321d, 321e)의 나사산 높이가 제2 나사부(322b, 322c, 322d, 322e)의 나사산 높이보다 높고, 제1 나사부(321b, 321c, 321d, 321e)의 피치가 제2 나사부(322b, 322c, 322d, 322e)의 피치보다 크다. 이로써, 보철 제거 부재의 나사산과 중간 부재 사이의 접촉면적이 증가하여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형태가 상이한 제3 내지 제6 실시예의 제1 나사부에 대하여 도 19 내지 도 22를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9는 치아 보철물 제거 방법에 사용되는 보철 제거 부재(300b)의 제3 실시예로, 제1 나사부(321b)는 길이 방향에 대하여 골지름(D4)과 바깥지름(D5)이 동일하게 유지되어 나사산의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된다.
도 20은 치아 보철물 제거 방법에 사용되는 보철 제거 부재(300c)의 제4 실시예로, 제1 나사부(321c)는 길이 방향에 대하여 골지름(D6)이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부의 바깥지름(D7)이 하부의 바깥지름(D8)보다 크게 형성되어, 하부로 갈수록 나사산의 높이가 낮아진다.
도 21은 치아 보철물 제거 방법에 사용되는 보철 제거 부재(300d)의 제5 실시예로, 제1 나사부(321d)는 길이 방향에 대하여 바깥지름(D11)이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부의 골지름(D9)이 하부의 골지름(D10)보다 크게 형성되어, 하부로 갈수록 골지름이 작아지고, 나사산의 높이가 높아진다.
도 22는 치아 보철물 제거 방법에 사용되는 보철 제거 부재(300e)의 제6 실시예로, 제1 나사부(321e)는 상부의 골지름(D12)이 하부의 골지름(D13)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부의 바깥지름(D14)이 하부의 바깥지름(D15)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을 중심으로 그 변형물 또는 균등물에까지 미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치아
2 : 치아 보철물
3 : 홀
100 : 중간 부재
200 : 나사 부재
300 : 보철 제거 부재
310 : 삽입부
320 : 나사부
321, 322 : 제1, 제2 나사부
330 : 몸체부
340 : 결합부
341 : 바디
342 : 절개면
350 : 표시부

Claims (16)

  1. 치아에 씌워지는 치아 보철물을 제거하기 위한 치아 보철물 제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치아 보철물에 홀을 형성하는 홀 형성 단계;
    상기 홀에 상부에서 하부로 중간 부재를 삽입하는 중간 부재 삽입 단계;
    외주면에 나사부를 갖는 보철 제거 부재를 상기 중간 부재의 내측으로 삽입하여 상기 중간 부재와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치아 보철물의 내측면과 상기 중간 부재의 외측면을 밀착시키는 보철 제거 부재 결합 단계;
    상기 보철 제거 부재의 단부가 치아 표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보철 제거 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중간 부재와 밀착된 상기 치아 보철물이 상기 보철 제거 부재의 나사부를 따라 인상되어 상기 치아로부터 이격되는 보철물 제거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보철물 제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재는, 관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보철물 제거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재는, 외경이 상기 치아 보철물에 형성된 홀 직경의 ±0.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보철물 제거 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재는, 내경이 0.4mm ~ 3.4mm 이고, 외경이 0.5mm ~ 3.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보철물 제거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재는, 관 형태의 원주 방향 일측이 길이 방향으로 절개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보철물 제거 방법.
  6.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재의 길이는, 상기 치아 보철물에 형성된 홀의 깊이보다 0.1mm ~ 1mm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보철물 제거 방법.
  7.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재는, 상단의 직경이 하단의 직경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보철물 제거 방법.
  8.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재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보철물 제거 방법.
  9.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재는, 신축성이 있는 실리콘(Si),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및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중 하나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보철물 제거 방법.
  10.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재는, 금속으로 이루어져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보철물 제거 방법.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재는, 관 형상으로 형성된 제1 중간 부재와 상기 제1 중간 부재 내부에 배치되어 관 형태의 원주 방향 일측이 길이 방향으로 절개된 형상으로 형성된 제2 중간 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보철물 제거 방법.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재는, 코일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보철물 제거 방법.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철 제거 부재는, 상기 나사부 하부의 피치와 나사산 높이 중 적어도 하나가 나사부 상부에 비하여 큰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보철물 제거 방법.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철 제거 부재의 나사부는, 하단으로 갈수록 바깥지름이 동일하게 유지되면서 골지름이 작아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보철물 제거 방법.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홀 형성 단계 이후에,
    상기 홀에 상기 치아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완충 부재를 삽입하는 완충 부재 삽입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보철물 제거 방법.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철 제거 부재 결합 단계 이전에,
    상기 중간 부재의 내측에 나사 부재를 삽입한 뒤, 제거하여 상기 중간 부재의 내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는 나사산 형성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철 제거 부재는, 상기 나사 부재보다 직경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보철물 제거 방법.

KR1020160181491A 2016-12-28 2016-12-28 치아 보철물 제거 방법 KR101839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1491A KR101839982B1 (ko) 2016-12-28 2016-12-28 치아 보철물 제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1491A KR101839982B1 (ko) 2016-12-28 2016-12-28 치아 보철물 제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9982B1 true KR101839982B1 (ko) 2018-03-19

Family

ID=61910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1491A KR101839982B1 (ko) 2016-12-28 2016-12-28 치아 보철물 제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99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9643B1 (ko) 2020-06-05 2021-01-07 신명섭 치아용 보철물 제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44530A1 (fr) 1998-03-02 1999-09-10 Frank Sweijd Pompe a vis comme arrache couronne pour des couronnes et des bridges dentaires cimentes
KR200432228Y1 (ko) 2006-09-07 2006-11-30 희성엥겔하드주식회사 보철물 제거장치
KR101607227B1 (ko) * 2015-12-07 2016-03-30 (주) 디에스 치과용 보철의 제거부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44530A1 (fr) 1998-03-02 1999-09-10 Frank Sweijd Pompe a vis comme arrache couronne pour des couronnes et des bridges dentaires cimentes
KR200432228Y1 (ko) 2006-09-07 2006-11-30 희성엥겔하드주식회사 보철물 제거장치
KR101607227B1 (ko) * 2015-12-07 2016-03-30 (주) 디에스 치과용 보철의 제거부재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9643B1 (ko) 2020-06-05 2021-01-07 신명섭 치아용 보철물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81191B2 (en) Sinus nerve locator
JP5162663B2 (ja) 上顎洞膜挙上用ドリル
KR200467684Y1 (ko) 치과용 임플란트 고정스크루 및 이를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
US9782235B2 (en) Implant surgical guide apparatus
US1025844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inus lift procedure
US10039622B2 (en) Method for the guided removal of dental posts
WO2014077172A1 (ja) ガイド治具
US20110256502A1 (en) Dental fulcrum wrench
CN106691606A (zh) 牙楔
KR101839982B1 (ko) 치아 보철물 제거 방법
US20100203474A1 (en) Dental instrument for lifting sinus membrane and applying bone powder
US20140093842A1 (en) Dental implant with laser-etched platform switching beveled collar surface
JP2008005960A (ja) 施術用器具
KR101854349B1 (ko) 어버트먼트 지그
KR20180009302A (ko) 보철물 제거 장치
KR20160001352A (ko) 멤브레인 리프팅 장치
US11986372B2 (en) Dental surgery method
KR101629667B1 (ko) 크라운 제거장치
KR20180116882A (ko)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치아 보철물 제거장치
EP2570098A2 (en) Implant detector cover screw
KR102180976B1 (ko) 치과 임플란트 매식체 제거용 겸자
KR20160061118A (ko) 치과용 보철 제거 키트
KR101181923B1 (ko)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드릴
US20150024346A1 (en) Method of removing oral root tip
JP6357014B2 (ja) 測定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