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9643B1 - 치아용 보철물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치아용 보철물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9643B1
KR102199643B1 KR1020200068252A KR20200068252A KR102199643B1 KR 102199643 B1 KR102199643 B1 KR 102199643B1 KR 1020200068252 A KR1020200068252 A KR 1020200068252A KR 20200068252 A KR20200068252 A KR 20200068252A KR 102199643 B1 KR102199643 B1 KR 102199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sthesis
handle
jaws
pair
wor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8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명섭
Original Assignee
신명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명섭 filed Critical 신명섭
Priority to KR1020200068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96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9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9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16Dentists' forceps or clamps for removing crow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14Dentists' forceps or the like for extracting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16Dentists' forceps or clamps for removing crowns
    • A61C3/162Dentists' forceps or clamps for removing crowns acting by levera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용 보철물(크라운)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지렛대 방식으로 동작하는 제1 및 제2 집게부를 포함하고, 제1 집게부의 작용대의 단부에 한 쌍의 작용턱을 형성하는 한편, 제2 집게부의 받침대의 단부에 한 쌍의 받침턱을 형성하여 치아에 씌워진 보철물의 협측 하단부와 인접치아의 교합면에 대한 결합력과 지지력을 향상시킴으로써 미끄러짐이 적어 안정적으로 보철물에 힘을 전달시킬 수 있어 보철물이 씌워진 치아와 인접치아 그리고 잇몸에 손상을 입히지 않으면서 보철물만을 안정적으로 간편하게 탈락시켜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치아용 보철물 제거장치{APPARATUS FOR REMOVING CROWN}
본 발명은 치아용 보철물(크라운)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지렛대를 이용한 가위 구조로 이루어지고, 작용대의 단부를 보철물의 후크(hook) 등의 돌기가 있는 협측 하단부에 걸친 후 받침대의 단부를 보철물이 씌워진 치아와 이웃하는 인접치아의 교합면에 하방으로 지지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손잡이를 가압하여 지렛대 원리에 의해 작용대가 상승하면서 보철물을 치아로부터 제거하는 치아용 크라운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풍치나 충치, 그리고 사고로 인한 외상 등의 이유로 손상되거나 상실된 치아를 치료한 후 그 위에 금, 은 또는 합금소재로 이루어진 보철물(크라운 또는, 브릿지)을 덮어씌워 치아의 역할을 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보철물은 영구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고 수명이 다하거나, 혹은 파손이나 손상시 새로운 보철물로 교체해야만 한다.
크라운(또는, 브릿지)을 할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임시 시적 과정을 거치게 된다. 즉, 여러 번 크라운을 치아에 붙였다 탈락시켰다를 반복하게 된다. 크라운을 치아에 붙이는 시멘트는 접착 강도가 약한 것부터 강한 것까지 여러 종류가 사용되고 있다. 보통 임시 시적을 위해서는 접착 강도가 약한 시멘트를 사용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임시 시적을 한 크라운을 탈착시킬 때 잘 빠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크라운을 탈착시키기 위하여 크라운의 협측(또는 순측)이나 설측(또는 구개측)에 후크(Hook)라고 하는 돌기처럼 튀어나온 구조물을 만든다. 이 후크를 이용하여 임시 접착한 크라운을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다. 이러한 후크는 일반적으로 크라운의 최종 접착시에 제거를 하거나, 혹은 영구적으로 남기기도 한다. 금속 크라운의 경우에는 후크가 불필요한 경우도 있으나, 지르코니아 등 세라믹 재료를 이용한 보철물은 후크를 필수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임플란트 보철물의 경우에는 임플란트의 관리를 위하여 영구적으로 후크를 남겨서 탈착과 접착을 반복하는 경우도 있다.
접착된 보철물의 탈착작업은 치아나 잇몸에 손상을 주지 않고 보철물만을 안정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고, 보통 갈고리형(이젝터 등)과 집게형 기구(그리퍼 등)가 사용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갈고리형 기구는 갈고리를 보철물 하단 테두리나 후크에 걸고 타격하는 방식으로 타격에 의한 충격으로 보철물을 제거한다. 집게형 기구는 가위와 같이 지렛대 방식을 이용한 기구로서, 작동 손잡이에 연동하여 하나의 집게다리는 치아의 일측을 지지하고, 다른 집게다리는 치아의 타측을 집어서 흔드는 힘을 주어 보철물을 제거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갈고리형 기구는 갈고리 부분이 후크르 타격할 때 잘 미끄러져 크라운을 탈락시키는 힘이 잘 미치지 않는 경우가 많고, 이런 경우 크라운 탈착에 매우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기구가 미끄러지는 경우 기구의 날카로운 부분이 구강의 점막에 상처를 주거나 반대쪽 치아에 충격을 주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집게형 기구는 그리퍼라고 하여 금속으로 된 것을 전통적으로 많이 사용해왔는데, 금속 크라운의 경우에는 사용이 용이하지만, 지르코니아 등 세라믹 재료의 크라운의 경우에 사용하면 크라운이 깨지거나 흠집이 생겨 사용이 불가능하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실리콘, 고무 등 물렁물렁한 재료를 작용부에 붙여서 사용하는 기구가 개발되었지만(포세린 그리퍼), 크라운이 잘 미끄러져 사용이 어려운 경우가 많고, 실리콘 고무 재료를 주기적으로 교체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KR 10-1629667 B1, 2016. 06. 07. KR 10-1839982 B1, 2018. 03. 13. KR 10-1426380 B1, 2014. 07. 29. KR 10-1090175 B1, 2011. 11. 30.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보철물 제거시 보철물이 씌워진 해당 치아뿐만 아니라 해당 치아의 잇몸, 그리고 해당 치아와 이웃하는 다른 치아와 잇몸에 손상을 입히지 않고 보다 안전하고 간편하게 보철물을 제거할 수 있는 치아용 보철물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힌지핀을 매개로 서로 회동 가능하게 'X'자 형태로 교차 결합되고, 일측부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타측부가 상기 힌지핀을 축으로 서로 멀어지거나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동하여 치아에 씌워진 보철물을 탈락시켜 제거하는 제1 및 제2 집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집게부는 제1 손잡이와, 상기 제1 손잡이와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힌지핀이 관통 결합되는 힌지공이 형성되며 상기 힌지핀을 축으로 상기 제1 손잡이와 반대방향으로 회동하는 작용대와, 상기 작용대의 단부 양측부로부터 직교하도록 각각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보철물의 협측에 돌출 형성된 후크에 걸림되는 한 쌍의 작용턱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집게부는 상기 제1 손잡이의 하부에 나란하게 배치된 제2 손잡이와, 상기 제2 손잡이와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힌지핀이 관통 결합되는 힌지공이 형성되며 상기 힌지핀을 축으로 상기 제2 손잡이와 반대방향으로 회동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단부 양측부로부터 직교하도록 각각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보철물이 씌워진 치아에 이웃하게 배치된 인접치아의 교합면을 하방으로 지지하는 한 쌍의 받침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용 보철물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한 쌍의 받침턱은 상기 받침대의 단부로부터 상기 한 쌍의 작용턱보다 큰 폭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작용턱은 상기 작용대의 단부로부터 종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뾰족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접치아의 교합면에 접촉되는 상기 한 쌍의 받침턱의 내측면에는 실리콘 또는 고무재질의 보호패드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작용대와 상기 받침대는 동일한 폭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한 쌍의 작용턱은 상기 작용대의 단부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받침턱은 상기 받침대의 단부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아용 보철물 제거장치에 따르면, 지렛대 방식으로 동작하는 제1 및 제2 집게부를 포함하고, 제1 집게부의 작용대의 단부에 한 쌍의 작용턱을 형성하는 한편, 제2 집게부의 받침대의 단부에 한 쌍의 받침턱을 형성하여 치아에 씌워진 보철물의 협측 하단부와 인접치아의 교합면에 대한 결합력과 지지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잘 미끄러지지 않고 보철물에 탈락시키는 힘을 안정적으로 전달시켜 보철물이 씌워진 치아와 인접치아, 그리고 잇몸에 손상을 입히지 않으면서 보철물만을 안정적으로 보다 간편하게 탈락시켜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용 보철물 제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치아용 보철물 제거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작용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용 보철물 제거장치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도면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과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용 보철물 제거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치아용 보철물 제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용 보철물 제거장치(10)는 비교적 작은 힘으로도 안정적으로 치아에 씌워진 보철물(크라운)을 간편하게 제거하기 위해 지렛대 방식을 이용한 가위 구조(펜치나 롱로즈 등)로 이루어진다.
치아용 보철물 제거장치(10)는 서로 대칭하도록 힌지핀(13)에 의해 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힘을 가하면 지렛대 원리에 따라 힌지핀(13)을 축으로 서로 멀어지거나, 혹은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동하는 제1 및 제2 집게부(11, 12)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집게부(11)는 힌지핀(13)의 결합부위에서 서로 'X'자 형태로 교차 결합되어 일측부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타측부가 힌지핀(13)을 축으로 서로 멀어지거나, 혹은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동하여 비교적 작은 힘으로 보철물을 제거할 수 있다.
제1 집게부(11)는 제1 손잡이(111)와, 제1 손잡이(111)와 일체로 연결되고 힌지핀(13)이 관통 결합되는 힌지공(112a)이 형성된 작용대(112)와, 작용대(112)의 단부 양측부로부터 직교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작용턱(113, 113')을 포함한다.
이러한 작용턱(113, 113')은 좌측에 배치된 좌측 치열과 우측에 배치된 우측 치열의 치아에 씌워진 보철물을 제거하기 위해 작용대(112)의 단부에 각각 형성된다.
제1 손잡이(111)는 시술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것으로, 시술자가 완력을 이용하여 제1 손잡이(111)를 하방으로 누르면, 제1 손잡이(111)는 하강하는 동시에 손잡이(111)와 일체로 연결된 작용대(112)는 힌지핀(13)을 축으로 상방으로 회동한다. 이때, 작용대(112)의 단부 양측부에 각각 형성된 작용턱(113, 113') 또한 회동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작용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로서, (a)는 정면도, (b)는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작용턱(113, 113')은 작용대(112)의 단부 좌우측에 서로 대칭 구조로 이루어지고, 각 단부가 치아(1)에 씌워진 보철물(2)의 측부에 형성된 후크(2a)에 걸림된다.
이에 따라, 완력으로 제1 손잡이(111)를 누르면, 보철물(2)의 협측 후크(2a)에 걸림되는 작용턱(113, 113')은 힌지핀(13)에 의해 제1 손잡이(111)와 반대방향으로 회동(상승)하는 작용대(112)로 인해 상승하여 보철물(2)을 상방으로 밀어내 탈락시킨다.
보철물(2)의 협측으로 돌출 형성된 후크(2a)는 하면이 평평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보철물(2)을 제거할 때, 안정적으로 보철물(2)의 협측에 돌출 형성된 후크(2a)의 하단부에 걸림되도록 작용턱(113, 113')은 상면이 평평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보철물(2)은 비교적 강한 결합력으로 치아(1)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보철물(2)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강한 힘을 필요로 한다. 이로 인해 보철물(2) 제거시 작용턱(113, 113')이 보철물(2)로부터 미끄러져 이탈되는 경우 작용턱(113, 113')이나 작용대(112)로 인해 이웃하는 잇몸이나 치아를 손상시킬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작용턱(113, 113')이 작용대(112)의 단부로부터 직교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측방향에서 보철물(2)의 후크(2a)에 안정적으로 걸어 이탈을 방지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작용대(112)와 작용턱(113, 113')의 크기는 하기 [표 1]과 같다.
w1 w2 w3 w4
3mm~4mm(3.5mm) 1.5mm~2.5mm(2mm) 0.5mm~1.5mm(1mm) 0.5mm~1.5mm(1mm)
상기 [표 1]과 같이, 정면에서 바라볼 때 작용대(112)의 폭(w1)은 3mm~4mm, 바람직하게는 3.5mm, 작용턱(113, 113')의 폭(w2)은 1.5mm~2.5mm, 바람직하게는 2mm로 형성된다. 그리고, 위에서 바라볼 때, 작용턱(113, 113')은 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구조로, 경사면의 폭(w3)은 0.5mm~1.5mm, 바람직하게는 1mm로, 중앙의 폭(w4)은 0.5mm~1.5mm, 바람직하게는 1mm로 형성된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제2 집게부(12)는 제1 집게부(11)와 대칭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2 손잡이(121)와, 제2 손잡이(121)와 일체로 연결되고 힌지핀(13)이 관통 결합되는 힌지공(122a)이 형성된 받침대(122)와, 받침대(122)의 단부 양측부로부터 직교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받침턱(123, 123')을 포함한다.
제2 손잡이(121)는 시술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것으로, 시술자가 완력을 이용하여 손잡이(111)를 상방으로 잡아당기면, 제2 손잡이(121)는 상승하는 동시에 제2 손잡이(121)와 일체로 연결된 받침대(122)는 힌지핀(13)을 축으로 하방으로 힘이 가해진다. 이때, 받침대(122)의 단부 양측부에 형성된 받침턱(123, 123')으로 힘이 전달된다.
한편, 받침대(122)와 받침턱(123, 123')의 내측면, 즉 치아에 접촉되는 내측면에는 치아를 보호하기 위해 실리콘이나 고무재질의 보호패드(124)가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로서, (a)는 정면도, (b)는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받침턱(123, 123')은 받침대(122)의 단부 좌우측에 서로 대칭 구조로 한 쌍으로 형성되고, 각각이 보철물(2)이 씌워진 치아(1)와 이웃하게 형성된 치아(3)(이하, '인접치아'라 함)의 교합면(3a)에 하부방향으로 걸림 지지된다.
이에 따라, 제2 손잡이(121)를 상부방향으로 잡아 당기면, 받침턱(123, 123')은 제2 손잡이(121)와 반대방향으로 회동하는 받침대(122)에 의해 인접치아(3)를 하부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지지한다. 결국, 보철물(2)은 힌지핀(13)에 의해 회동하는 작용대(112)에 형성된 작용턱(113, 113')에 의해 후크(2a)를 매개로 상부로 힘을 받아 탈락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122)와 받침턱(123, 123')의 크기는 하기 [표 2]와 같다.
w1 w2 w3
3.5mm~4.5mm(4mm) 4.5mm~5.5mm(4mm) 3.5mm~4.5mm(4mm)
상기 [표 2]와 같이, 정면에서 바라볼 때 받침대(122)의 폭(w1)은 3mm~4mm, 바람직하게는 3.5mm, 받침턱(123, 123')의 폭(w2)은 4.5mm~5.5mm, 바람직하게는 5mm로 형성된다. 그리고, 위에서 바라볼 때, 받침턱(123, 123')은 직사각형 구조로, 폭(w3)은 3.5mm~4.5mm, 바람직하게는 4mm로 형성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용 보철물 제거장치를 이용하여 치아에 씌워진 보철물을 제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로서, 도 5는 치아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6은 후면(목구멍 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와 같이, 작용대(112)의 단부에 형성된 작용턱(113, 113') 중 어느 하나를 보철물(2)의 후크(2a)에 걸림시키는 한편, 받침대(122)의 단부에 형성된 받침턱(123, 123') 중 어느 하나를 인접치아(3)의 교합면(3a)에 하방으로 지지되도록 위치시킨다.
이런 상태에서 도 6과 같이, 완력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손잡이(111, 121)를 동시에 가압하면, 힌지핀(13)을 축으로 작용대(112)는 상방으로 힘을 받는 반면, 받침대(122)는 하방으로 힘을 받는다. 이에 따라, 작용대(112)로부터 보철물(2)의 후크(2a)에 걸림된 작용턱(113')으로 전달되는 힘에 의해 보철물(2)은 상방으로 탈락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작용턱(113, 113')이 작용대(112)로부터 착탈(분해/조립) 가능하게 결합되고, 받침턱(123, 123') 또한 받침대(122)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환자의 구강 크기에 대응하여 다양한 크기(폭)으로 작용턱과 받침턱을 제작한 후 교체하여 사용함으로써 편의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작용턱(113, 113')과 받침턱(123, 123')은 각각 억지끼움방식이나, 혹은 나사 체결방식으로 작용대(112)와 받침대(12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치아
2 : 보철물
2a : 후크
3 : 인접치아
4 : 교합면
10 : 치아용 보철물 제거장치
11 : 제1 집게부
12 : 제2 집게부
13 : 힌지핀
111 : 제1 손잡이
112 : 작용대
112a : 힌지공
113, 113' : 작용턱
121 : 제2 손잡이
122 : 받침대
122a : 힌지공
123, 123' : 받침턱
124 : 보호패드

Claims (5)

  1. 힌지핀(13)을 매개로 서로 회동 가능하게 'X'자 형태로 교차 결합되고, 일측부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타측부가 상기 힌지핀(13)을 축으로 서로 멀어지거나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동하여 치아에 씌워진 보철물을 탈락시켜 제거하는 제1 및 제2 집게부(11,1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집게부(11)는 제1 손잡이(111)와, 상기 제1 손잡이(111)와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힌지핀(13)이 관통 결합되는 힌지공(112a)이 형성되며 상기 힌지핀(13)을 축으로 상기 제1 손잡이(111)와 반대방향으로 회동하는 작용대(112)와, 상기 작용대(112)의 단부 양측부로부터 직교하도록 각각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보철물의 협측으로 돌출 형성된 후크의 하단부에 걸림되는 한 쌍의 작용턱(113,113')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집게부(12)는 상기 제1 손잡이(111)의 하부에 나란하게 배치된 제2 손잡이(12)와, 상기 제2 손잡이(12)와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힌지핀(13)이 관통 결합되는 힌지공(112a)이 형성되며 상기 힌지핀(13)을 축으로 상기 제2 손잡이(12)와 반대방향으로 회동하는 받침대(122)와, 상기 받침대(122)의 단부 양측부로부터 직교하도록 각각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보철물이 씌워진 치아에 이웃하게 배치된 인접치아의 교합면을 하방으로 지지하는 한 쌍의 받침턱(123,123')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받침턱(123,123')은 상기 받침대(122)의 단부로부터 상기 한 쌍의 작용턱(113,113')보다 큰 폭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작용턱(113,113')은 상기 작용대(112)의 단부로부터 종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뾰족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작용대(112)와 상기 받침대(122)는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작용턱(113,113')은 상기 작용대(112)의 단부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받침턱(123,123')은 상기 받침대(122)의 단부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용 보철물 제거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치아의 교합면에 접촉되는 상기 한 쌍의 받침턱(123,123')의 내측면에는 실리콘 또는 고무재질의 보호패드(124)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용 보철물 제거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200068252A 2020-06-05 2020-06-05 치아용 보철물 제거장치 KR102199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252A KR102199643B1 (ko) 2020-06-05 2020-06-05 치아용 보철물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252A KR102199643B1 (ko) 2020-06-05 2020-06-05 치아용 보철물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9643B1 true KR102199643B1 (ko) 2021-01-07

Family

ID=74126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8252A KR102199643B1 (ko) 2020-06-05 2020-06-05 치아용 보철물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964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9353A (en) * 1985-05-31 1986-09-02 Kline Joseph M Dental apparatus for removing crowns
JP2005152173A (ja) * 2003-11-25 2005-06-16 Tadashi Tomii 歯科用プライヤ
KR101090175B1 (ko) 2010-07-01 2011-12-06 이상재 치과용 보철물 제거기
KR101426380B1 (ko) 2013-07-15 2014-08-05 (주)한국원자력 엔지니어링 치과용 크라운 제거장치
US20140315148A1 (en) * 2013-04-18 2014-10-23 Kim Chang Dental forceps
KR101629667B1 (ko) 2013-08-14 2016-06-13 노국경 크라운 제거장치
KR101839982B1 (ko) 2016-12-28 2018-03-19 이지원 치아 보철물 제거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9353A (en) * 1985-05-31 1986-09-02 Kline Joseph M Dental apparatus for removing crowns
JP2005152173A (ja) * 2003-11-25 2005-06-16 Tadashi Tomii 歯科用プライヤ
KR101090175B1 (ko) 2010-07-01 2011-12-06 이상재 치과용 보철물 제거기
US20140315148A1 (en) * 2013-04-18 2014-10-23 Kim Chang Dental forceps
KR101426380B1 (ko) 2013-07-15 2014-08-05 (주)한국원자력 엔지니어링 치과용 크라운 제거장치
KR101629667B1 (ko) 2013-08-14 2016-06-13 노국경 크라운 제거장치
KR101839982B1 (ko) 2016-12-28 2018-03-19 이지원 치아 보철물 제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1151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a removable tooth positioning appliance from the teeth of a patient
US4197647A (en) Dental pliers
US5833460A (en) Controlled force crown and bridge remover
JP2004121817A (ja) 矯正用ブラケットを位置決めするための特注ジグとその製作方法および使用方法
JP5199279B2 (ja) ブラケットを歯から取り外すための歯科矯正用手用器具
US20090004617A1 (e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s and orthodontic bracket systems
US5538421A (en) Dental instrument
US7165970B2 (en) Dental instrument
US628018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bonded dental appliances
US9687315B2 (en) Dental plier design with offsetting jaw and pad elements for assisting in removing upper and lower teeth utilizing the dental plier design
US5044954A (en) Forceps with inserts for removing a dental crown and bridge
US6910890B2 (en) Dental plier design with offsetting jaw and pad elements for assisting in removing upper and lower teeth utilizing the dental plier design
US20050170314A1 (en) Dental pliers design with offsetting jaw and pad elements for assisting in removing upper and lower teeth and method for removing teeth utilizing the dental plier design
US5122058A (en) Forceps with inserts for removing premolar and anterior dental crowns
US5197877A (en) Implement for extracting dental crowns, bridges and the like
WO2012169685A1 (ko) 치과 기공용 아티큘레이터
US20110045435A1 (en) Dental pliers
KR102199643B1 (ko) 치아용 보철물 제거장치
US3911583A (en) Pliers-type band and cement remover
US20060003286A1 (en) Tools and methods for measuring tooth reduction
US5836767A (en) Dental shim
EA009499B1 (ru) Секционный или модульный лоток для получения негативного оттиска полости рта
US2005027200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al of a dental veneer
CN113180860A (zh) 一种用于口腔正畸的粘接定位装置
CA2492576C (en) Dental pliers design with offsetting jaw and pad elements for assisting in removing upper and lower teeth and method for removing teeth utilizing the dental plier desig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