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0175B1 - 치과용 보철물 제거기 - Google Patents

치과용 보철물 제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0175B1
KR101090175B1 KR1020100063302A KR20100063302A KR101090175B1 KR 101090175 B1 KR101090175 B1 KR 101090175B1 KR 1020100063302 A KR1020100063302 A KR 1020100063302A KR 20100063302 A KR20100063302 A KR 20100063302A KR 101090175 B1 KR101090175 B1 KR 101090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sthesis
case
remover
support
move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3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재
Original Assignee
이상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재 filed Critical 이상재
Priority to KR1020100063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01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0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0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14Dentists' forceps or the like for extracting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16Dentists' forceps or clamps for removing crow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 외면에 씌워진 보철물을 제거하고자 할 때 보철물이 씌워진 치아는 물론 주변 치아의 손상없이 보철물만 간편히 분리제거할 수 있도록 한 치과용 보철물 제거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케이스 내에 좌측이동간과 우측이동간을 조정나사의 조작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일정거리 이동가능케 설치하고, 상기 좌우측 이동간의 선단부에는 하향절곡구성된 걸림편을 구성하고, 좌우측 이동간이 끼워진 케이스 중앙부에는 이를 관통하는 가압레버를 회전가능하게 축핀으로 설치하되, 가압레버 후단부에 구성된 손잡이는 케이스 뒷쪽 하단에 위치되게 하고, 선단부에 구성된 지지부는 케이스 앞쪽 상단에 위치되게 하되, 지지부에는 가압봉을 승강조정가능케 나사결합하여 보철물 제거기를 구성한 것으로서, 치아 외면에 씌워진 보철물을 제거하고자 할 때 보철물 상면에 구멍을 뚫어, 내부에 위치한 치아 상면이 노출되게 하고, 상기한 상태에서 보철물에 뚫린 구멍에 보철물 제거기에 구성된 가압봉 하단부가 위치되게 하여 치아 상면과 접하게 하고, 동시에 케이스 좌우측에 위치한 조정나사를 이용하여 좌우측 이동간이 이동되게 함으로서, 선단부에 구성된 내외측 걸림편이 보철물 외면에 밀착되게 하고, 상기한 상태에서 가압레버의 손잡이를 누르면 보철물의 구멍을 통하여 치아 상면에 위치한 가압봉을 지점으로 좌우측 이동간에 구성된 내외측 걸림편이 상향이동하면서 치아로부터 보철물만 간단히 분리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치과용 보철물 제거기{REMOVING APPARATUS OF PROSTHETIC APPLIANCE FOR DENTAL CLINIC}
본 발명은 치과용 의료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치아 외면에 씌워진 보철물을 제거하고자 할 때 보철물이 씌워진 치아는 물론 주변치아의 손상없이 보철물만 간편하게 분리제거할 수 있도록 치과용 보철물 제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철치료란 풍치나 충치, 그리고 사고로 인한 외상 등의 이유로 손상되고, 상실된 치아를 치료한 다음 그 위에 금, 은 등의 합금소재로 된 보철물(크라운)을 씌워 기능적으로나 심미적으로 만족할 수 있게 하는 치과시술의 한 수단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이상이 발생한 치아를 치료한 다음 외면에 씌워진 보철물은 영구적으로 유지되는 것이 아니라, 보철물로 사용된 재료의 종류와, 환자의 칫솔질 습관, 음식을 씹는 습관 등에 따라 일정기간의 수명을 가지게 되며, 수명이 다하거나 보철물이 씌우진 치아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치아로부터 보철물을 제거한 다음 상기 요인들을 치료하게 된다.
이때 치아에 씌워진 보철물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는 여러 기기들이 제공되고 있으며, 현재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기기들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집게형으로 구성된 기기의 예를 들면 도 13에서와 같이 보철물 제거용 집게(111)를 가위형태로 구성하되, 짧은 집게다리(113) 안쪽에 돌출된 지지턱(115)을 지점으로 하여 긴 집게다리(117)를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서, 치아(1)에서 보철물(크라운)(4)을 돌려 빼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 집게(111)는 보철물(4)과 접촉하는 집게다리(113)(117)의 하단 내측면에 톱니형 돌부(119)가 돌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접촉면에서 미끄럼이 발생하게 되므로 보철물(4)이 쉽게 빠지지 않게 될 뿐 아니라, 과도한 힘을 가하면서 돌릴 경우 치아(1)까지 흔들리거나 손상되는 등의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또다른 예로서 도 14에서와 같이 갈고리형태로 구성된 기기의 예를 들면, 보철물 제거기(211)는 몸체를 이루는 봉체(213), 상기 봉체(213) 선단에 나사결합된 걸이혹(215), 그리고 봉체(213)에 슬라이드식으로 끼워지면서 후단의 스토퍼(219)를 타격토록 하는 타격체(217)로 구성되는바, 걸이혹(215) 선단부에 구성되는 팁(221)을 보철물(4)의 하단 테두리에 걸고, 타격체(217)를 이동시켜 스토퍼(219)를 타격케 함으로서 타격충격에 의해 치아로부터 보철물(4)이 제거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보철물 제거기(211) 역시, 보철물의 제거가 용이하지 못할 뿐 아니라, 타격체(217)에 의한 타격시 걸이혹(215) 선단부에 구성된 팁(221)의 충격으로 보철물이 씌우진 치아를 손상케 하거나 주위의 치아 및 잇몸에 손상을 주게 되는등 시술시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는 것이었다.
상기한 수단 이외에도 디스크형 회전톱을 이용하여 보철물을 절단, 제거하는 방식 등이 있으나, 작업에 오랜시간이 소요될 뿐 아니라 보철물의 재활용성이 떨어지게 되고, 안전성이나 시술성이 만족스럽지 못한 등의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 단점을 시정하고자 치아 외면에 씌워진 보철물을 제거하고자 할 때 보철물이 씌워진 치아는 물론 주변 치아의 손상없이 보철물만 간편히 분리제거할 수 있도록 한 치과용 보철물 제거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케이스 내에 좌측이동간과 우측이동간을 조정나사의 조작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일정거리 이동가능케 설치하고, 상기 좌우측 이동간의 선단부에는 하향절곡구성된 걸림편을 구성하고, 좌우측 이동간이 끼워진 케이스 중앙부에는 이를 관통하는 가압레버를 회전가능하게 축핀으로 설치하되, 가압레버 후단부에 구성된 손잡이는 케이스 뒷쪽 하단에 위치되게 하고, 선단부에 구성된 지지부는 케이스 앞쪽 상단에 위치되게 하되, 지지부에는 가압봉을 승강조정가능케 나사결합하여 보철물 제거기를 구성한 것으로서, 치아 외면에 씌워진 보철물을 제거하고자 할 때 보철물 상면에 구멍을 뚫어, 내부에 위치한 치아 상면이 노출되게 하고, 상기한 상태에서 보철물에 뚫린 구멍에 보철물 제거기에 구성된 가압봉 하단부가 위치되게 하여 치아 상면과 접하게 하고, 동시에 케이스 좌우측에 위치한 조정나사를 이용하여 좌우측 이동간이 이동되게 함으로서, 선단부에 구성된 내외측 걸림편이 보철물 외면에 밀착되게 하고, 상기한 상태에서 가압레버의 손잡이와 케이스 뒷쪽을 서서히 누르면 보철물의 구멍을 통하여 치아 상면에 위치한 가압봉을 지점으로 좌우측 이동간에 구성된 내외측 걸림편이 상향이동하면서 치아로부터 보철물만 간단히 분리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치아 외면에 씌워진 보철물을 분리제거하고자 할 때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보철물 제거기를 이용하여, 보철물이 씌워진 치아는 물론 인접한 치아의 손상없이 보철물만 간단히 분리제거할 수 있게 함으로서 치과병원에서 행하여지는 보철물 제거작업이 신속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보철물 제거후 효과적인 치과적 치료를 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 : 본 발명의 요부구성도
도 3 : 본 발명의 측면구성도로서 걸림편 사이의 거리를 최대로 줄인 상태도
도 4 : 도 3의 상태에서 걸림편 사이의 거리를 확개시킨 상태도
도 5 : 본 발명의 케이스 내에 좌우측 이동간이 결합된 상태도
도 6 : 본 발명에서 케이스로부터 가압레버를 분해한 상태도
도 7 : 본 발명을 구성하는 케이스의 사시도
도 8 : 본 발명을 구성하는 케이스의 단면상태도
도 9 : 도 8의 상태에서 좌우측 이동간과 가압레버가 결합된 상태도
도 10 : 치아 외면에 보철물이 씌워진 상태의 개략구성도(구멍을 뚫은 상태)
도 11 : 도 10의 상태에서 보철물 제거기를 적용시킨 상태도
도 12 : 도 11의 상태에서 보철물을 일정높이로 뽑아올린 상태도
도 13 : 종래 보철물 제거기의 개략구성도
도 14 : 종래 보철물 제거기의 개략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보철물 제거기(1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보철물 제거기(10)에서 케이스(60)를 제거한 좌측이동간(20)과 우측이동간(30) 및 이들 사이에 끼워진 가압레버(40)의 결합구성도로서 이들의 구성을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좌측이동간(20)의 구성을 설명하면, 좌측이동간(20)은 좌측지지봉(21)과 좌측절곡부(23) 및 내측걸림간(24)으로 구성되게 하고, 상기 좌측지지봉(21) 측부에는 일정길이의 좌측나사부(22)를 구성하고, 좌측절곡부(23) 선단부에 하향절곡구성된 내측걸림간(24) 단부에는 내측걸림편(25)이 구성되게 한다.
상기 좌측이동간(20)과 나란히 구성되는 우측이동간(30)은 우측지지봉(31)과 우측절곡부(33) 및 외측걸림간(34)으로 구성되게 하고, 상기 우측지지봉(31) 측부에는 일정길이의 우측나사부(32)를 구성하고, 우측절곡부(33) 선단부에 하향절곡구성된 외측걸림간(34) 단부에는 외측걸림편(35)을 구성하여, 내측걸림간(24)의 내측걸림편(25)과 나란히 마주보게 구성한다.
또한 좌우측 이동간(20)(30)에 구성된 좌우측 절곡부(23)(33) 사이에는 공간부(38)가 구성되게 한다.
이때 좌우측 이동간(20)(30)이 나란히 마주한 상태에서 내외측 걸림편(25)(35) 사이의 최소간격(L)은 도 3에서와 같이 대략 5mm정도로 유지될 수 있게 하고, 상기 좌우측 이동간(20)(30)의 이동거리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5mm정도로 이동가능케 하여 최대 간격(L)이 도 4에서와 같이 15mm정도로 벌어질 수 있게 하고, 또한 내외측 걸림간(24)(34)의 깊이(L1)는 10~15mm정도 유지되게 한다.
상기 내외측 걸림편(25)(35) 사이의 간격(L)과, 내외측 걸림간(24)(34)의 깊이(L1) 조건이면 모든 치아의 보철물 제거에 적용가능하나 경우에 따라 변형될 수도 있다.
상기 좌우측 이동간(20)(30)의 외면에는 이들을 상하좌우 유동이 되지 않게 지지함과 동시에 전후방향으로만 이동가능케 구성되는 케이스(60)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케이스(60)의 구성을 설명하면 도 8(절단하여 내부구성을 도시한 상태)에서와 같이 내부에 지지봉 안내홈(61)과 절곡부 안내홈(62)이 구성된다.
이때 지지봉 안내홈(61)의 폭과 높이는 좌우측 지지봉(21)(31)이 나란히 접하였을때의 폭과 높이와 동일하게 구성하며, 또한 절곡부 안내홈(62)의 폭과 높이는 좌우측 이동간(20)(30)이 나란히 접하였을때의 좌우측 절곡부(23)(33)의 폭과 높이와 동일하게 구성한다.
따라서 도 5에서와 같이 좌우측 이동간(20)(30)이 케이스(60)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전후방향으로는 이동이 가능하나 상하좌우방향으로는 유동되지 않게 된다.
케이스(60) 중앙에는 좌우측 이동간(20)(30)의 공간부(38)와 일치하는 안내공(63)을 구성하고, 상기 안내공(63) 좌우측에는 축공(65)이 뚫린 고정편(64)을 구성하고, 케이스(60) 후방 양측부에는 요입부(66)를 구성하여 케이스(60) 내면에 위치하는 지지봉 안내홈(6)과 상통하게 함으로서, 요입부(66)를 통하여 좌우측 이동간(20)(30)의 좌우측 나사부(23)(33)가 노출되게 한다.
케이스(60) 양측부에 구성된 요입부(66)에는 조정나사(67)를 회전가능케 설치하되, 도 9에서와 같이 조정나사(67)가 좌우측 이동간(20)(30)에 구성된 좌우측 나사부(22)(32)에 웜과 웜휠형태로 나사산이 결합되게 한다.
이때 조정나사(66)는 웜의 기능과 동일하고 좌우측 나사부(22)(32)는 웜휠기능을 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좌우측 이동간(20)(30)이 케이스(60) 내에 끼워진 상태에서 케이스(60)의 요입부(66)에 설치된 조정나사(67)가 좌우측 이동간(20)(30)의 좌우측 나사부(22)(32)와 결합되게 하면, 케이스(60)로부터 좌우측 이동간(20)(30)이 분리되지 않게 되고, 또한 결합된 상태에서 조정나사(67)를 회전시키면 좌우측 이동간(20)(30)이 전후진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케이스(60) 내에 구성된 지지봉 안내홈(61)과 절곡부 안내홈(62)에 좌우측 이동간(20)(30)이 끼워진 상태에서 케이스(60) 선단 개방부(70)에 별도의 마개(도시안됨)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케이스(60) 선단부에는 지지공(69)이 뚫린 안내편(68)이 돌출구성된다.
케이스(60) 중앙에 구성된 안내공(63)과 좌우측 이동간(20)(30) 사이에 구성된 공간부(38)에는 지지부(41)와 절곡부(42) 및 손잡이(43)로 구성된 가압레버(40)를 끼워 가압레버(40)의 절곡부(42)가 케이스(60)의 안내공(63)에 위치되게 하면, 가압레버(40)의 손잡이(43)는 케이스(60) 뒷쪽하단에 위치되게 하고, 지지부(41)는 케이스(60) 앞쪽 상단에 케이스(6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위치하게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절곡부(42)에 구성된 축공(44)이 케이스(60)에 구성된 고정편(64)의 축공(65)과 일치되게 한 다음 축핀(45)으로 축결합하여 축핀(45)을 축으로 가압레버(20)가 유동될 수 있게 한다.
상기 가압레버(40) 선단에 구성된 지지부(41)에는 나사공(46)을 구성하고, 상기 나사공(46)에 나선(48)이 형성된 가압봉(47)을 위치조정가능케 나사결합하되, 상기 가압봉(47)은 케이스(60) 선단부에 구성된 안내편(68)의 지지공(69)을 관통하여 내외측 걸림간(24)(34) 사이에 위치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미설명부호 (80)--보철물(크라운), (81)--치아, (82)--잇몸, (83)--구멍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보철물 제거기(10)를 이용한 보철물(80) 제거는 다음과 같이 된다.
즉 도 10에서와 같이 제거하고자 하는 보철물(80) 상면에 구멍(83)을 뚫어 치아(81) 상면에 노출되게 한다.
상기한 상태에서 보철물 제거기(10)에 구성된 내외측 걸림편(25)(35) 사이의 간격(L)을 치아(81)에 씌워진 보철물(80)의 외경보다 조금 넓게 조정한 다음, 가압봉(47)의 하단부를 보철물(80)에 뚫린 구멍(83)에 끼워 치아(81) 상면과 접하게 하면, 좌우측 이동간(20)(30) 선단부에 구성된 내외측 걸림편(25)(35)은 자연스럽게 보철물(80) 양측부에 위치된다.
이때 내외측 걸림편(25)(35)은 치아(81)에 씌워진 보철물(80)의 최대 풍융부 하방에 위치되게 하며, 내외측 걸림편(25)(35)이 보철물(80)의 최대 풍융부 하방에 위치되게 하는 조정은 가압레버(40)에 나사결합된 가압봉(47)의 조정으로 그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보철물 제거기(10)에 구성된 내외측 걸림편(25)(35)이 보철물(80)의 풍융부 하방에 위치되게 한 다음 케이스(60) 좌우측에 설치된 조정나사(67)를 이용하여 내외측 걸림편(25)(35)이 보철물(80) 외면에 밀착되게 한다.
즉 내측걸림편(25)이 보철물(80) 측면에 밀착되게 하고자 할 경우에는 좌측이동간(20)의 좌측나사부(22)와 나사결합된 조정나사(67)를 회전시키면 조정나사(67)의 회전에 의해 좌측이동간(20)이 전진하게 되고, 외측걸림편(35)이 보철물(80) 측면에 밀착되게 하고자 할 경우에는 우측이동간(30)의 우측나사부(32)와 나사결합된 조정나사(67)를 회전시켜 우측이동간(30)이 후진되게 하면 도 11에서와 같이 외측걸림편(35)이 보철물(80) 측부에 밀착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보철물 제거기(10)의 케이스(60)와 가압레버(40)의 손잡이(43)를 서서히 누르면 가압레버(40)의 지지부(41)는 축핀(45)을 축으로 하강하려는 힘이 작용하게 되고, 하강하려는 힘이 지지부(47)에 나사결합된 가압봉(47)에 전달되어 가압봉(47)이 하강하려 하나, 가압봉(47)의 하단부가 보철물(80)의 구멍(83)을 관통하여 치아(81) 상면에 위치하고 있어 하강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가압레버(40)는 회전하지 못하고, 케이스(60)가 축핀(454)을 축으로 회전하면서 보철물(80) 측면과 밀착된 내외측 걸림편(25)(35)이 상향이동하게 되므로 도 12에서와 같이 치아(81) 외면에 씌워진 보철물(80)이 제거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보철물 제거기(10)를 이용한 보철물(80) 제거시 가압레버(40) 선단부에 나사결합 가압봉(47)의 하단부가 보철물(80)의 구멍(83)을 통하여 치아(81) 상면에 지지되고, 상기한 상태에서 치아(81) 상면을 지점으로 좌우측 이동간(20)(30)에 구성된 내외측 걸림편(25)(35)이 상향이동하여 치아(81) 외면에 씌워진 보철물(80)을 분리제거하는 수단이므로 보철물(80)이 제거되는 과정에서 보철물이 씌워진 치아(81)와 주변치아 및 잇몸(82)에는 전혀 압력이 전달되지 않게 되므로 보철물(80) 제거과정에서 이들이 손상되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보철물 제거기(10)에 구성된 내외측 걸림간(25)(35)의 거리(L)는 좌우측 이동간(20)(30)의 좌우측 나사부(22)(32)와 나사결합된 조정나사(67)의 조정으로 5~15mm 범위내에서 조정이 가능토록 함과 동시에, 내외측 걸림간(24)(34)의 깊이(L1) 역시 최대15mm까지 조정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서 모든 치아의 보철물 제거에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필요할 경우 상기 조건은 보철물 제거기(10) 제작시 조정이 가능하게 됨으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케이스(60) 내에 끼워진 좌우측 이동간(20)(30)은, 좌우측 이동간(20)(30)에 구성된 좌우측 지지봉(21)(31)이 케이스(60)의 지지봉 안내홈(61)에 상하좌우 유동없이 끼워지고, 좌우측 절곡부(23)(33)는 절곡부 안내홈(62)에 상하좌우 유동없이 끼워지면서 전후방향으로만 이동가능하게 되므로 보철물 제거기(10) 선단부에 구성된 내외측 걸림간(24)(34)과 내외측 걸림편(25)(35)의 위치는 한번 설정된 상태에서는 이들이 유동하거나 위치가 변동되지 않기 때문에 보철물(80) 제거작업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보철물 제거기(10)는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형태에 한정될 필요성이 없으며, 동일한 구성요건을 만족하면서 보철물 제거기(10)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가 있다.
(10)--보철물 제거기 (20)--좌측이동간
(21)--좌측지지봉 (22)--좌측나사부
(23)--좌측절곡부 (24)--내측걸림간
(25)--내측걸림편 (30)--우측이동간
(31)--우측지지봉 (32)--우측나사부
(33)--우측절곡부 (34)--외측걸림간
(35)--외측걸림편 (38)--공간부
(40)--가압레버 (41)--지지부
(42)--절곡부 (43)--손잡이
(44)--축공 (45)--축핀
(46)--나사공 (47)--가압봉
(48)--나선 (49)--손잡이커버
(60)--케이스 (61)--지지봉 안내홈
(62)--절곡부 안내홈 (63)--안내홈
(64)--고정편 (65)--축공
(66)--요입부 (67)--조정나사
(68)--안내편 (69)--지지공

Claims (6)

  1. 치아 외면에 씌워진 보철물을 제거하기 위한 치과용 보철물 제거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케이스(60) 내에 좌측이동간(20)과 우측이동간(30)을 전후이동가능케 설치하되, 좌측이동간(20) 선단부에 내측걸림편(25)이 형성된 내측걸림간(24)을 절곡구성하고, 우측이동간(30) 선단부에는 외측걸림편(35)이 형성된 외측걸림간(34)을 절곡구성하여 내외측 걸림편(25)(35)이 나란히 마주보게 구성하고, 상기 좌우측 이동간(20)(30) 사이에는 지지부(41)와 절곡부(42) 및 손잡이(43)로 구성된 가압레버(40)를 설치하되, 지지부(41)는 좌우측 이동간(20)(30) 선단부 상면에, 손잡이(43)는 좌우측 이동간(20)(30)의 후단부 하단에 위치되게 한 다음 절곡부(42)를 통하여 가압레버(40)가 케이스(60) 상단에 구성된 고정편(64)에 축핀(45)으로 설치되게 하고, 상기 가압레버(40)의 선단부에 구성된 지지부(41)에 가압봉(47)을 나사결합한 다음 가압봉(47)의 하단부가 내외측 걸림간(24)(34) 사이에 위치되게 하여 보철물 제거기(10)를 구성함으로서, 보철물 제거기(10)를 이용한 보철물 제거시, 보철물 상면에 구멍을 뚫고, 상기 구멍에 가압레버(40) 선단부에 구성된 가압봉(47)의 하단부가 위치되게 하고, 보철물 외면 풍융부 하단에 좌우측 이동간(20)(30)의 내외측 걸림편(25)(35)이 밀착위치되게 한 다음, 가압레버(40)의 손잡이(43)와 좌우측 이동간(20)(30)이 끼워진 케이스(60)를 서서히 가압하여 좌우측 이동간(20)(30) 선단부에 구성된 내외측 걸림편(25)(35)이 상향이동되게 함으로서 치아 외면에 씌워진 보철물이 제거될 수 있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보철물 제거기.
  2. 제1항에 있어서, 케이스(60) 내에 전후이동가능케 끼워진 좌우측 이동간(20)(30) 뒷쪽에 좌측나사부(22)와 우측나사부(32)가 형성된 좌우측 지지봉(21)(31)을 구성하고, 상기 좌우측 나사부(22)(32)가 위치하는 케이스(60) 양측부에는 조정나사(67)를 회전가능케 설치하여 좌우측 나사부(22)(32)와 결합되게 함으로서, 조정나사(67)를 회전시키면 이와 나사결합된 좌우측 이동간(20)(30)이 이동하여 내외측 걸림편(25)(35) 사이의 간격(L)이 조정될 수 있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보철물 제거기.
  3. 제1항에 있어서, 케이스(60) 선단부에 지지공(69)이 뚫린 안내편(68)을 돌출구성하고, 상기 지지공(69)에 가압레버(40)의 지지부(41)에 나사결합된 가압봉(47)이 끼워져 지지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보철물 제거기.
  4. 제1항에 있어서, 좌우측 이동간(20)(30) 중앙에 좌측절곡부(23)와 우측절곡부(33)를 구성하여 그 사이에 공간부(38)가 형성되게 하고, 상기 공간부(38)를 통하여 가압레버(40)가 관통설치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보철물 제거기.
  5. 제1항에 있어서, 좌우측 이동간(20)(30) 선단부에 구성된 내외측 걸림편(25)(35) 사이의 최소간격(L)은 5mm로 유지되게 하고, 최대간격(L)은 15mm로 유지될 수 있게 구성하고, 내외측 걸림간(24)(34)의 깊이(L1)는 10~15mm 범위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보철물 제거기.
  6. 제1항에 있어서, 케이스(60) 내면에 지지봉 안내홈(61)과 절곡부 안내홈(62)을 구성하고, 좌우측 이동간(20)(30)에는 좌우측 지지봉(21)(31)과 좌우측 절곡부(23)(33)를 구성한 다음 지지봉 안내홈(61)에 좌우측 이동간(20)(30)의 좌우측 지지봉(21)(31)이 전후이동가능케 결합구성되게 하고, 절곡부 안내홈(62)에는 좌우이동간(20)(30)의 좌우측 절곡부(23)(33)가 전후이동가능케 결합구성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보철물 제거기.
KR1020100063302A 2010-07-01 2010-07-01 치과용 보철물 제거기 KR101090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3302A KR101090175B1 (ko) 2010-07-01 2010-07-01 치과용 보철물 제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3302A KR101090175B1 (ko) 2010-07-01 2010-07-01 치과용 보철물 제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0175B1 true KR101090175B1 (ko) 2011-12-06

Family

ID=45505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3302A KR101090175B1 (ko) 2010-07-01 2010-07-01 치과용 보철물 제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017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380B1 (ko) 2013-07-15 2014-08-05 (주)한국원자력 엔지니어링 치과용 크라운 제거장치
KR101467378B1 (ko) * 2013-02-15 2014-12-03 심우현 치아 발치기
WO2016080678A1 (ko) * 2014-11-21 2016-05-26 (주) 디에스 치과용 보철 제거 키트
CN106037955A (zh) * 2016-05-06 2016-10-26 杜建涛 医用微创拔牙钳
KR102199643B1 (ko) 2020-06-05 2021-01-07 신명섭 치아용 보철물 제거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7378B1 (ko) * 2013-02-15 2014-12-03 심우현 치아 발치기
KR101426380B1 (ko) 2013-07-15 2014-08-05 (주)한국원자력 엔지니어링 치과용 크라운 제거장치
WO2016080678A1 (ko) * 2014-11-21 2016-05-26 (주) 디에스 치과용 보철 제거 키트
CN106037955A (zh) * 2016-05-06 2016-10-26 杜建涛 医用微创拔牙钳
KR102199643B1 (ko) 2020-06-05 2021-01-07 신명섭 치아용 보철물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0175B1 (ko) 치과용 보철물 제거기
US8545219B2 (en) Outie tool for removal of a plastic tooth positioning appliance or aligner (invisible braces) from teeth of a patient
CN108601632B (zh) 腭扩展装置
US6869283B2 (en) Implant hole guide
KR100829244B1 (ko) 임플란트 시술용 천공 보조구
CN205031374U (zh) 一种正畸牙弓丝及推磨牙远移的正畸矫治器
TWI650107B (zh) 種植體手術引導裝置
EP3476274A1 (en) Improved surgical mouth gag
TWI603719B (zh) Guide the rule
KR101607227B1 (ko) 치과용 보철의 제거부재 및 그 제조방법
RU134423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истального перемещения постоянных моляров
CN107440806B (zh) 一种口腔科专用医疗器械
KR101011695B1 (ko) 신경치료용 엔도파일
KR101685049B1 (ko) 하악 전방 이동 상태의 인상 획득을 위한 바이트 트레이
WO2002083024A2 (de) Vorrichtung zum entfernen von zähnen
KR20100011761A (ko) 임플란트 시술용 상악동 거상장치
US8770970B2 (en) Device for placing a dental splint
US20210052354A1 (en) Dental surgery method
CN102715958A (zh) 一种带有可旋转立体式弹性金属锁盖的自锁托槽
KR102175693B1 (ko) 치열 교정 브래킷
CN205339177U (zh) 一种前牙微创拔牙钳
KR101494270B1 (ko) 치열 교정용 와이어 스텝 플라이어
CN203915100U (zh) 一种根挺
AT519506B1 (de) Handgerät zum Entfernen lösbarer zahntechnischer Einrichtungen und Systeme zu dessen Anwendung
CN107157597B (zh) 一种通用型半丝圈式间隙保持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