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5049B1 - 하악 전방 이동 상태의 인상 획득을 위한 바이트 트레이 - Google Patents

하악 전방 이동 상태의 인상 획득을 위한 바이트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5049B1
KR101685049B1 KR1020150059618A KR20150059618A KR101685049B1 KR 101685049 B1 KR101685049 B1 KR 101685049B1 KR 1020150059618 A KR1020150059618 A KR 1020150059618A KR 20150059618 A KR20150059618 A KR 20150059618A KR 101685049 B1 KR101685049 B1 KR 101685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ting groove
tray
present
teeth
occl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9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7987A (ko
Inventor
장영진
Original Assignee
장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영진 filed Critical 장영진
Priority to KR1020150059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5049B1/ko
Publication of KR20160127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7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5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5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9/05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determining occl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06Impression trays

Abstract

본 발명은 하악 전방 이동 상태의 인상 획득을 위한 바이트 트레이로서, 윗니 및 아랫니의 교합면에 접촉하는 U자형 판상 물림대, 상기 물림대의 중심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윗니끼움홈이 구비되고, 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랫니끼움홈이 구비되는, 교합부, 상기 교합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하악 전방 이동량을 조정하여 원하는 이동량만큼 하악이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의 인상을 획득 할 수 있다.

Description

하악 전방 이동 상태의 인상 획득을 위한 바이트 트레이 {DENTAL IMPRESSION BITE TRAY}
본 발명은 하악 전방 이동 상태의 구강 인상 획득을 위한 바이트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악에 대해 하악이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악과 하악의 교합관계를 획득하기 위한 바이트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에 장착되는 장치나 치아보철물을 제작하기 위하여 환자의 구강 내 치아인상을 채득하여야 한다. 이 과정에서 치아의 상악과 하악의 인상을 동시에 채득하는 기구를 바이트 트레이라 한다.
특히, 수면 중 코골이 또는 수면 무호흡증 치료를 위하여 비외과적 치료술로서 하악을 전방으로 이동 시키는 장치가 있다. 이러한 장치는 하악을 전방으로 이동 시킬때 전방 이동량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악과 하악의 교합관계를 채득하는 경우 하악을 적절하게 이동시킨 상태의 바이트를 채득할 필요가 있다.
한편, 선행기술 문헌인 한국 등록실용 20-0432169호(공고일자: 2006년 11월 29일)는 치과용 바이트 트레이에 대해 개시(開示)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경우에도 하악을 적절하게 이동시킨 상태의 바이트를 채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하악 전방 이동 상태의 인상 획득을 위한 바이트 트레이를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악에 대해 하악이 전방으로 전방으로 이동한 교합관계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바이트를 채득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하악의 전방 이동량을 정확하게 결정하여 부작용을 줄인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증 치료를 위한 장치를 원활하게 제작하도록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르면 하악 전방 이동 상태의 인상 획득을 위한 바이트 트레이는, 윗니 및 아랫니의 교합면에 접촉하는 U자형 판상 물림대, 상기 물림대의 중심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윗니끼움홈이 구비되고, 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랫니끼움홈이 구비되는, 교합부, 상기 교합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하악 전방 이동량을 조정하여 원하는 이동량만큼 하악이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의 인상을 획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코골이 또는 수면 무호흡증 치료를 위한 구강 내 장치를 제작함에 있어서 정확한 하악 전방 이동량을 가지는 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코골이 또는 수면 무호흡증 치료를 위한 구강 내 장치를 환자가 착용하는 경우 턱관절 또는 턱근육등에 무리가 가지 않는 등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악 전방 이동 상태의 인상 획득을 위한 바이트 트레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악 전방 이동 상태의 인상 획득을 위한 바이트 트레이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악 전방 이동 상태의 인상 획득을 위한 바이트 트레이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악 전방 이동 상태의 인상 획득을 위한 바이트 트레이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악 전방 이동 상태의 인상 획득을 위한 바이트 트레이의 교합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악 전방 이동 상태의 인상 획득을 위한 바이트 트레이가 상악과 하악에 물리는 모습을 측면에서 바라본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를 설명하기에 앞서,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의 의미를 먼저 정의한다.
“전방”이란 인체의 정면이 향하는 방향으로서 배쪽 방향을 말하며, “후방”이란 상기 “전방”의 반대방향으로 인체의 뒷면으로 등쪽 방향을 말한다. “상방”이란 인체의 머리쪽을 향하는 방향을 말하며, “하방”이란 상가 “상방”의 반대방향으로 인체의 발쪽을 향하는 방향을 말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악 전방 이동 상태의 인상 획득을 위한 바이트 트레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악 전방 이동 상태의 인상 획득을 위한 바이트 트레이(100)는 윗니 및 아랫니의 교합면에 접촉하는 U자형 판상 물림대(110), 물림대(110)의 중심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윗니끼움홈(121)이 구비되고, 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랫니끼움홈(122)이 구비되는 교합부(120), 그리고 교합부(120)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손잡이(13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물림대(110)는 바이트 트레이(100)를 구강 내에서 물고 상악과 하악을 다무는 경우 인상재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인상재 배출공(11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림대(110)는 양날개에 각각 다섯개의 인상재 배출공(11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림대(110)는 상악과 하악의 치열의 형상에 대응하는 U자형의 판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물림대(110)의 양날개의 후방으로 가까워질 때 어금니의 크기를 고려하여 폭이 점점 넓어질 수 있다. 또한, 물림대(110)의 물림대몸체(111)는 비금속재료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금속제의 불편함, 무거운 중량, 청결유지, 비싼 가격 등의 단점을 극복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악 전방 이동 상태의 인상 획득을 위한 바이트 트레이(100)는 교합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교합부(120)는 물림대(110)의 중심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합부(120)는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윗니끼움홈(121)을 구비되고, 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랫니끼움홈(122)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윗니끼움홈(121) 및 아랫니끼움홈(122)은 교합부(120)를 좌우로 관통하는 개방홈일 수 있다. 따라서 하악이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의 교합관계를 얻기 위해서 상악과 하악을 다무는 경우 윗니와 아랫니를 끼울 수 있도록 하여 정확한 교합관계를 얻어 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랫니끼움홈(122)은 교합부(120)의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교합부(120)의 저면에서부터 상방으로 요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합부(120)는 아랫니끼움홈(122)을 둘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랫니끼움홈(122)이 둘 이상 형성된 경우 교합부(120)의 길이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이때 길이방향이라 함은 하방에서 상방 또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향하는 방향을 말한다. 이 경우 바이트 트레이를 구강 내에 장착하고 상악과 하악을 다무는 경우에 하악의 전방 이동량을 측정하여 적절한 이동량에 해당하는 아랫니끼움홈(122)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아랫니끼움홈(122)이 제1아랫니끼움홈(122a), 제2아랫니끼움홈(122b), 제3아랫니끼움홈(122c)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는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증 방지를 위한 최적의 하악 전방 이동량을 측정하기 위해 복수의 아랫니끼움홈(122) 중 하나의 아랫니끼움홈(122)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아랫니끼움홈(122b)가 선택된 경우 바이트를 채득하는 경우에도 제2아랫니끼움홈(122b)에 아랫니의 앞니가 위치하도록 하여 원하는 바이트를 채득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바이트 채득시에 윗니를 윗니끼움홈(121)에 고정시키고 하악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제1아랫니끼움홈(122), 제2아랫니끼움홈(122) 및 제3아랫니끼움홈(122) 중 하나에 아랫니를 끼우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아랫니끼움홈(122)이 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아랫니끼움홈(122) 중 하나는 윗니끼움홈(121) 중 하나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합부(120)는 윗니끼움홈(121)의 후방 일측에서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연장부(123)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돌출연장부(123)는 윗니의 앞니가 윗니끼움홈(121)으로 잘 끼워질 수 있도록 유도될 수 있는 형태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합부(120)는 윗니끼움홈(121)의 전방 일측에서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전방으로 기울어진 지지대(150)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지지대(150)의 상단에 지지대(150)를 중심으로 좌우로 수평 연장되는 판상의 윗입술받침대(151)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윗입술받침대(151)는 바이트 채득 대상인 환자의 윗입술을 받쳐주어서 바이트 트레이의 중심을 제대로 잡을 수 있으며 인상재가 윗니 앞니에 제대로 머무를 수 있도록 하여 바이트를 정확히 채득 할 수 있다.
또한, 윗입술받침대(151)는 후단부(152)가 윗니의 치열의 곡률 반지름보다 큰 곡률 반지름을 갖는 아치형으로 전방으로 향해 요입될 수 있다. 따라서 윗니 또는 윗니의 잇몸에 걸리지 않고 바이트 트레이(100)를 구강 내에 삽입 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하악 전방 이동 상태의 인상획득을 위한 바이트 트레이(100)는 물림대(110)의 중심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혀받침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혀받침대(140)는 혀가 상방으로 올라오는 것을 하방으로 받칠 수 있다. 즉 혀를 하방으로 눌러주어서 바이트 채득시 혀의 이동을 제한시켜 바이트를 정확히 채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혀받침대(140)는 길이방향축의 중심이 물림대(110)보다 하방 배열될 수 있다. 또한, 혀받침대 하단부(142)는 물림대 보다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바이트 트레이(100)는 아랫입술받침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교합부(120)가 아랫입술받침대(160)를 포함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랫입술받침대(160)로 인하여 바이트 트레이(100)장착시 아랫입술이 후방으로 이동하지 못 하도록 하여 원하는 교합관계를 가진 바이트를 채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바이트 트레이(100)는 바이트 트레이(100)의 좌우 정렬 기준이 되도록 전후방으로 연장되는 직선형의 홈으로 구성되는 정렬기준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3을 참고하면, 정렬기준부(170)는 물림대(110)의 상면 중앙, 혀받침대(140)의 상면, 후방 측면의 중앙, 혀받침대 하단부(142)의 저면 중앙, 돌출연장부(123)의 상면 중앙, 윗니끼움홈(121)의 상면 중앙, 지지대(150)의 상면 중앙, 윗입술받침대(151)의 상면 중앙 및 아랫입술받침대(160)의 저면 중앙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바이트 채득시 좌우 정렬을 맞추어서 바이트를 채득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합부(120)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혀받침대(140)는 바람직하게는 폭이 10mm가 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윗니끼움홈(121)의 최하방측 지점은 혀받침대(140)의 상면의 일지점보다 하방에 있을 수 있다. 또한 아랫니끼움홈(122) 중 적어도 하나의 홈은 폭이 2mm가 될 수 있으며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3.5mm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아랫니끼움홈(122) 중 적어도 하나의 홈의 최상방측 지점과 윗니끼움홈(121)의 최하방측 지점의 폭이 6mm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마우스 피스를 제작하는 경우 상부피스는 윗니 치아 하면으로부터의 두께를 3mm로 하고, 하부피스는 아랫니 치아 상면으로부터의 두께를 3mm로 하여 사용자에게 이물감이 적은 마우스 피스를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바이트 트레이 110: 물림대 111: 물림대 몸체 112: 인상재 배출공
120: 교합부 121: 윗니끼움홈 122: 아랫니끼움홈 123: 돌출연장부
130: 손잡이 131: 마찰면
140: 혀받침대 141: 혀받침대 몸체 142: 혀받침대 하단부
150: 지지대 151: 윗입술받침대 152: 후단부 153: 전단부
160: 아랫입술받침대
170: 정렬기준부

Claims (11)

  1. 윗니 및 아랫니의 교합면에 접촉하는 U자형 판상 물림대;
    상기 물림대의 중심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윗니끼움홈이 구비되고, 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랫니끼움홈이 구비되는, 교합부; 및
    상기 교합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교합부는,
    상기 윗니끼움홈의 전방 일측에서 상기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전방으로 기울어진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상기 지지대를 중심으로 좌우로 수평 연장되는 판상의 윗입술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하악 전방 이동 상태의 인상 획득을 위한 바이트 트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림대는,
    상기 물림대를 수직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인상재 배출공을 포함하는, 하악 전방 이동 상태의 인상 획득을 위한 바이트 트레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랫니끼움홈은 상기 교합부의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상기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요입되고, 상기 교합부의 길이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는, 하악 전방 이동 상태의 인상 획득을 위한 바이트 트레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윗니끼움홈 및 상기 아랫니끼움홈은, 상기 교합부를 좌우로 관통하는 개방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 전방 이동 상태의 인상 획득을 위한 바이트 트레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랫니끼움홈은 둘 이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아랫니끼움홈 중 하나는 상기 윗니끼움홈 중 하나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하악 전방 이동 상태의 인상 획득을 위한 바이트 트레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합부는,
    상기 윗니끼움홈의 후방 일측에서 상기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하악 전방 이동 상태의 인상 획득을 위한 바이트 트레이.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윗입술받침대는,
    후단부가 윗니의 치열의 곡률 반지름보다 큰 곡률 반지름을 갖는 아치형으로 전방을 향해 요입되는, 하악 전방 이동 상태의 인상 획득을 위한 바이트 트레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트 트레이는,
    상기 물림대의 중심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혀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하악 전방 이동 상태의 인상 획득을 위한 바이트 트레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혀받침대는, 길이방향축의 중심이 상기 물림대보다 하방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 전방 이동 상태의 인상 획득을 위한 바이트 트레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트 트레이는,
    상기 바이트 트레이의 좌우 정렬 기준이 되도록 전후방으로 연장되는 직선형의 홈으로 구성되는 정렬기준부를 더 포함하는, 하악 전방 이동 상태의 인상 획득을 위한 바이트 트레이.
KR1020150059618A 2015-04-28 2015-04-28 하악 전방 이동 상태의 인상 획득을 위한 바이트 트레이 KR101685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9618A KR101685049B1 (ko) 2015-04-28 2015-04-28 하악 전방 이동 상태의 인상 획득을 위한 바이트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9618A KR101685049B1 (ko) 2015-04-28 2015-04-28 하악 전방 이동 상태의 인상 획득을 위한 바이트 트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7987A KR20160127987A (ko) 2016-11-07
KR101685049B1 true KR101685049B1 (ko) 2016-12-09

Family

ID=57529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9618A KR101685049B1 (ko) 2015-04-28 2015-04-28 하악 전방 이동 상태의 인상 획득을 위한 바이트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50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1772B1 (ko) * 2018-02-21 2019-07-18 김동환 바이트 지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1769B1 (ko) * 2020-01-14 2021-01-11 우승현 치아 균형 정보 획득용 보형물
CN112294471B (zh) * 2020-10-27 2021-11-26 西安交通大学口腔医院 一种可调式颌骨囊肿塞治器印模托盘
CN112674895B (zh) * 2020-12-25 2022-04-08 上海岸和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cr板及其再定位咬合板的制作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23521B1 (en) 2011-02-24 2012-02-28 Erkodent Erich Kopp Gmbh Device for the registration of the position of a protruding mandible
US20130034828A1 (en) * 2010-04-16 2013-02-07 Presswood Ronald G Dynamically Generated Dental Articulator Controls
KR101509231B1 (ko) * 2013-11-28 2015-04-0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아 교합관계 채득 도구 및 이를 위한 바이트 프레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05299A2 (en) * 2009-06-24 2011-01-13 Hanewinkel William H Iii Mandibular manipula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34828A1 (en) * 2010-04-16 2013-02-07 Presswood Ronald G Dynamically Generated Dental Articulator Controls
US8123521B1 (en) 2011-02-24 2012-02-28 Erkodent Erich Kopp Gmbh Device for the registration of the position of a protruding mandible
KR101509231B1 (ko) * 2013-11-28 2015-04-0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아 교합관계 채득 도구 및 이를 위한 바이트 프레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1772B1 (ko) * 2018-02-21 2019-07-18 김동환 바이트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7987A (ko) 2016-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04213B2 (en) Anterior guidance package, kit,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US9655695B2 (en) Oral apparatuses and methods for mandibular jaw manipulation
US20180042759A1 (en) Pre-programmed anterior guidance package, kit, and method
JP6774959B2 (ja) 調節可能な睡眠時無呼吸用口腔内装置
EP3791824B1 (en) Method for displaying repositioning jaw elements
US8205617B2 (en) Oral appliance for treatment of snoring and sleep apnea
KR102162586B1 (ko) 하악 전돌자의 ⅲ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강 기기, 시스템 및 방법
US9844424B2 (en) Dental appliance with repositioning jaw elements
CN105982743B (zh) 用于齿颚矫正治疗的牙用线材支持器以及矫正器
US8136529B2 (en)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JP7109793B2 (ja) 舌拘束用口腔器具
KR101685049B1 (ko) 하악 전방 이동 상태의 인상 획득을 위한 바이트 트레이
JP2018536489A (ja) 調節可能な睡眠時無呼吸用口腔内装置
JP7344567B2 (ja) コネクタ付きの睡眠時無呼吸用の経口器具
JP2019535383A5 (ko)
KR101685048B1 (ko) 하악 전방 이동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480959Y1 (ko) 총의치 복원 장치
US20210015658A1 (en) Oral appliances, packages, systems, and components
RU2371143C1 (ru) Аппарат для исправления неправильного прикуса у собак
CN210673464U (zh) 一种具有咬合导向的牙齿矫治器
US20160287353A1 (en) Mandibular Advancement Positioning Bite Blocks and Positioning System
CN115887032A (zh) Fs牙齿矫正器及其制造方法
Yazan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WER INCISORS CROWDING AND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CHIN IN ADOLESCENTS IN THE SYRIAN COAST
KR20180104929A (ko) 바이트 채득 장치
Broderson The Crescent Retained Croz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