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1695B1 - 신경치료용 엔도파일 - Google Patents

신경치료용 엔도파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1695B1
KR101011695B1 KR1020080077651A KR20080077651A KR101011695B1 KR 101011695 B1 KR101011695 B1 KR 101011695B1 KR 1020080077651 A KR1020080077651 A KR 1020080077651A KR 20080077651 A KR20080077651 A KR 20080077651A KR 101011695 B1 KR101011695 B1 KR 101011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tooth
broken
neurotherap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7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8914A (ko
Inventor
임두만
Original Assignee
임두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두만 filed Critical 임두만
Priority to KR1020080077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1695B1/ko
Publication of KR20100018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8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1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1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40Implements for surgical treatment of the roots or nerves of the teeth; Nerve needles; Methods or instruments for medication of the roots
    • A61C5/46Nerve extractors, e.g. needles; Means for removing broken parts of endodontic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40Implements for surgical treatment of the roots or nerves of the teeth; Nerve needles; Methods or instruments for medication of the roots
    • A61C5/42Files for root canals; Handgrips or guid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 신경의 치료시 엔도파일의 단부가 파단되어도 파단편을 용이하게 인출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신경치료용 엔도파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신경치료용 엔도파일은 치아의 내부로 삽입되어 신경과 혈관을 포함하는 치수를 제거하기 위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반복된 사용으로 파단이 발생할 때, 파단면의 하부와 상부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파단된 본체의 하부가 상부와 함께 치아로부터 인출되도록 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신경치료용 엔도파일은 반복사용에 의한 엔도파일의 단부에서 파단이 발생하는 시점을 예측하거나, 파단된 엔도파일의 단부를 치아로부터 용이하게 인출함으로써 엔도파일의 파단된 단편이 환자 치아에 박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엔도파일, 파단

Description

신경치료용 엔도파일 {endo pile for endodontic treatment}
본 발명은 신경치료용 엔도파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치아 신경의 치료시 엔도파일의 단부가 파단되어도 파단편을 용이하게 인출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신경치료용 엔도파일에 관한 것이다.
치아는 음식의 섭취 중 음식의 소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음식을 자르고 잘게 부수는 역할을 하는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따라서 치아의 지속적인 관리 및 치료가 매우 중요한데, 구강 내부로 노출되는 치아의 법랑질에 초기 충치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충치의 발생 여부를 알지 못하고 방치해 두는 경우가 많다. 이는 법랑질이 뼈보다도 단단한 경조직이며, 신경이 없기 때문에 충치가 발생해도 별도의 통증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충치에 의해 통증을 느끼는 시기 즉, 충치가 치수까지 진행되는 시점에 이르러서야 치과에 치료를 받으러 가는 경우가 많다.
치수는 치아 내부에 신경과 혈관이 풍부하게 분포되어 있는 연조직으로서, 충치가 치수까지 진행되면, 치수의 연조직은 재생하지 못하게 죽어버리게 되므로, 치과에서는 치수의 신경과 혈관을 모두 제거하여 치통을 줄이는 방법으로 신경치료 를 하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치수의 치신경을 제거하는 도구를 통상적으로 엔도파일이라고 하는데, 엔도파일은 치아 내부로 깊이 인입되어야 하며, 치아의 형태에 따라 구부러져야 하기 때문에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그런데 치신경의 치료 과정 중 상기 엔도파일이 치아의 내부로 인입 및 인출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엔도파일의 단부가 파단되어 치아의 내부에 박힌채 인출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 경우 파단된 엔도파일의 단부가 매우 작으며, 치아의 내부 하단에 깊숙히 들어가 있어서 이를 별도로 인출하기가 용이하지 않게 되어, 파단된 엔도판일의 단편을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치료를 다시 진행해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반복 사용으로 인해 엔도파일의 단부에 파단이 발생할 때, 파단된 파단편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거나, 파단에 의해 파단편이 치아의 내부에 박혀있지 않는 신경치료용 엔도파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경치료용 엔도파일은 치아의 내부로 삽입되어 신경과 혈관을 포함하는 치수를 제거하기 위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반복된 사용으로 파단이 발생할 때, 파단면의 하부와 상부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파단된 본체의 하부가 상부와 함께 치아로부터 인출되도록 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는 내부에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중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는 일단이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중공을 따라 연장되어 타단이 상기 본체의 하단에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는 외주면에 상기 치수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는 일단이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어 타단이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본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도가 강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나사산을 따라 연 장되어 있고, 탄소섬유로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신경치료용 엔도파일은 손으로 파지하거나 핸드피스에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치아의 내부에서 치수를 제거하기위한 본체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는 강도가 다른 제1, 제2 부재가 꽈배기 형태로 결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신경치료용 엔도파일은 반복사용에 의한 엔도파일의 단부에서 파단이 발생하는 시점을 예측하거나, 파단된 엔도파일의 단부를 치아로부터 용이하게 인출함으로써 엔도파일의 파단된 단편이 환자 치아에 박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신경치료용 엔도파일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신경치료용 엔도파일(10)의 제1 실시예를 참조하면, 신경치료용 엔도파일(10)은 헤드부(11)와, 헤드부(11)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본체(12)와, 본체(12)에 설치되는 링부재(16) 및 본체(12)의 내부에 설치되는 연결부재(15)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부(11)는 손으로 파지하여 본체(12)를 치아 내부로 인입 및 인출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예와는 달리 핸드피스에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체(12)는 치아의 내부로 삽입되어 치수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치아의 법랑질로부터 상아질을 거쳐 치수까지 천공한 뒤, 본체(12)를 치아의 내부로 삽입하고 승강 및 하강시키면서 치수의 신경과 혈관조직들을 제거하는데, 본체(12)의 외주면에는 치수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나사산(1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2)는 치아의 내부에서 상기 치수가 충진되어 있는 치아의 형태에 따라 용이하게 휘어질 수 있도록 탄성력이 좋은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2)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중공(13)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중공(13)은 연결부재(15)의 장착을 위한 것이다.
본체(1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치수의 제거를 위해 치앙의 내부에서 인입 및 인출을 반복적으로 실시하게 되는데, 치아의 내부 형태에 따라 지속적으로 휘어지게 되므로, 반복 사용에 의한 피로 누적으로 본체(12)의 하단부가 파단되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이렇게 본체(12)의 하단부가 파단되면, 파단부를 기준으로 상부는 헤드부(11)와 함께 인출되지만 파단부의 하부는 인출되지 못하고 치아의 내부에 박혀있게 되므로, 파단된 본체(12)의 하부를 인출하기 위한 별도의 치료를 실시하게 되어, 치료 시간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피로 누적에 의한 본체(12)의 파단이 발생하기 전에 이를 교체함으로써 파단된 본체(12)의 하단이 치아의 내부에 박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나, 이렇게 파단이 발생하기 전에 본체(12)를 교체하게 됨으로써 교체주기가 빨라져 이에 따른 교 체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교체 주기가 도래하기 전에 본체(12)에 파단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파단된 본체(12)의 하부를 인출하기 위한 필요 이상의 노동력과 시간을 요구하게 되므로 이는 근본적인 문제의 해결이 되지 못한다.
연결부재(15)는 이렇게 본체(12)의 사용 중 파단이 발생하는 경우, 파단된 본체(12)의 하부가 본체(12)의 상부와 함께 치아의 내부로부터 인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연결부재(15)는 상단이 본체(12)의 상부에 고정결합되어 있으며, 중공(13)을 따라 본체(12)의 하부로 연장되며, 하단은 본체(12)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다.
이렇게 본체(12)의 상부와 하부가 상기 연결부재(15)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12)의 사용중 본체(12)에 파단이 발생하더라도 연결부재(15)가 파단된 본체(12)의 하부와 연결되어 있어서, 본체(12)의 상단을 인출할 때, 본체(12)의 하부가 본체(12)의 상부와 함께 치아로부터 인출된다.
상기 연결부재(15)는 탄소섬유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섬유는 일반적인 금속재와는 달리 휨 변형에 의해 파단이 발생하지 않는다. 연결부재(15)가 본체(12)의 내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본체(12)의 사용과정 중 별도의 인장력이 가해지지 않게 되므로, 연결부재(15)에는 피로가 누적되지 않으며, 본체(12)에 피로가 누적되어 파단이 발생하는 경우 연결부재(15)가 파단부를 기준으로 본체(12)의 상부와 하부의 연결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
연결부재(15)는 본 실시예와 같이 탄소섬유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상기 중 공(13)을 통해 연장되며, 본체(12)에 비해 휨 변형에 대한 강성이 더 뛰어나 본체(12)가 피로 누적에 의해 파단이 발생해도 변형되거나 끊어지지 않는다면 이 외에도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링 부재는 치신경 치료 과정 중 사람마다 치아 근관의 길이가 상호 다르기 때문에 환자의 치아의 크기에 따라 본체(12)의 삽입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치료 대상 환자의 치아 근관의 길이에 따라 상기 링부재(16)를 헤드부(11)로부터 하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치아의 내부로 삽입되는 본체(12)가 상기 본체(12)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링부재(16)가 고정되는 지점까지로 한정될 수 있도록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신경치료용 엔도파일(20)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신경치료용 엔도파일(20)은 헤드부(21)와, 헤드부(21)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본체(22)와, 본체(22)의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2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헤드부(21)는 핸드피스에 장착할 수 있는 형태를 가지고 있는데, 본 실시예의 헤드부(21) 역시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손으로 파지하여 사용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체(22)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실시예와는 달리 내부에 중공(13)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본 실시예의 연결부재(23)는 상단이 본체(22)의 상부 외주면에 고정되어 있 고, 상기 본체(22)의 나사산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어 하단이 본체(22)의 하부 일측에 고정된다.
본체(2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치아의 내부로 삽입되어 치수를 제거하게 되는데, 본체(22)의 직경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데, 대부분 치아 내부로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본체(22)의 직경이 매우 작아서 내부에 중공(13)을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부재(23)를 본체(22)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시켜 연결부재(23)의 상단과 하단이 각각 본체(22)의 상부와 하부를 상호 연결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연결부재(23) 역시 탄소섬유로 형성되며, 연결부재(23)의 양 단부와 본체(22) 사이의 고정은 별도의 접착제를 통해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예의 링부재(16)는 제1 실시예와 그 형상 및 기능이 동일하므로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 도시된 신경치료용 엔도파일(30)의 제3 실시예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신경치료용 엔도파일(30)은 헤드부(31)와, 헤드부(31)의 하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본체(3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헤드부(31)는 제2 실시예와 동일하게 핸드피스에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인데, 헤드부(31)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손으로 파지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체(32)는 치아의 내부로 삽입되어 치수를 제거하는 것으로, 제1, 제2 부재(33,34)가 상호 꽈배기 모양으로 결합되어 형성된 것이다.
제1 부재(33)와 제2 부재(34)는 상호 강도가 상이한 재질로 형성되는데, 치수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본체(32)가 받게 되는 휨 변형이나, 인장력 등에 대하여 제1, 제2 부재(33,34)의 강도가 상이하기 때문에 피로의 누적에 따른 파단은 제1 부재(33)와 제2 부재(34) 중 강도가 상대적으로 약한 재질에서 먼저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1 부재(33)의 강도가 제2 부재(34)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하다면, 본체(32)의 사용에 따른 피로의 누적으로 제1 부재(33)가 먼저 파단이 발생하게 되는데, 제1 부재(33)가 파단되더라도 파단부의 하부가 제2 부재(34)에 의해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이탈되지 않고 본체(32)의 나머지 부분과 함께 치아로부터 인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 제2 부재(33,34)는 티타늄과 스테인리스와 같이 인체에 무해하며 상호 강도가 다른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외에도 제1, 제2 부재(33,34)의 강도가 다르다면 다양한 금속 및 합금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경치료용 엔도파일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부분발췌 단면도,
도 3은 신경치료용 엔도파일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신경치료용 엔도파일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치아의 내부로 삽입되어 신경과 혈관을 포함하는 치수를 용이하게 제거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반복된 사용으로 파단이 발생할 때, 상기 본체의 하부와 상부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파단된 본체의 하부가 상부와 함께 치아로부터 인출되도록 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연결부재는 일단이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나사산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어 타단이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도가 강한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치료용 엔도파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탄소섬유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치료용 엔도파일.
  6. 삭제
KR1020080077651A 2008-08-07 2008-08-07 신경치료용 엔도파일 KR101011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7651A KR101011695B1 (ko) 2008-08-07 2008-08-07 신경치료용 엔도파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7651A KR101011695B1 (ko) 2008-08-07 2008-08-07 신경치료용 엔도파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8914A KR20100018914A (ko) 2010-02-18
KR101011695B1 true KR101011695B1 (ko) 2011-01-28

Family

ID=42089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7651A KR101011695B1 (ko) 2008-08-07 2008-08-07 신경치료용 엔도파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16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4570B1 (ko) 2013-06-14 2013-12-26 김형우 치아 신경치료용 엔도파일
KR20180106967A (ko) 2017-03-17 2018-10-01 주식회사 덴플렉스 치아 신경치료용 엔도파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18094B2 (ja) * 2018-04-10 2023-02-06 マニー株式会社 歯科用ファイル
CN108524024A (zh) * 2018-06-14 2018-09-14 广州泰莱医疗设备有限公司 一种牙根管治疗仪
KR102049703B1 (ko) * 2019-10-28 2019-11-28 장천석 파절 가능 영역을 개선한 치아 신경 치료용 엔도파일
KR102423277B1 (ko) * 2020-10-12 2022-07-21 유준상 근관내 이식용 컴팩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0200A (en) 1993-10-08 1995-01-10 Quality Dental Products, Inc. Endodontic instrument of predetermined flexibility
US6443730B2 (en) * 2000-06-01 2002-09-03 James A. Davidson Break-resistant composite endodontic instrument
US20040260379A1 (en) * 2003-06-23 2004-12-23 Jagger Karl A. Asymmetric stent delivery system with proximal edge protection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0200A (en) 1993-10-08 1995-01-10 Quality Dental Products, Inc. Endodontic instrument of predetermined flexibility
US6443730B2 (en) * 2000-06-01 2002-09-03 James A. Davidson Break-resistant composite endodontic instrument
US20040260379A1 (en) * 2003-06-23 2004-12-23 Jagger Karl A. Asymmetric stent delivery system with proximal edge protection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4570B1 (ko) 2013-06-14 2013-12-26 김형우 치아 신경치료용 엔도파일
WO2014200146A1 (ko) 2013-06-14 2014-12-18 Kim Hyeong Woo 치아 신경치료용 엔도파일
AU2013392188B2 (en) * 2013-06-14 2016-08-25 Gyun Hwan Kim Endo pile for dental endodontic treatment
KR20180106967A (ko) 2017-03-17 2018-10-01 주식회사 덴플렉스 치아 신경치료용 엔도파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8914A (ko) 2010-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1695B1 (ko) 신경치료용 엔도파일
JP5162663B2 (ja) 上顎洞膜挙上用ドリル
KR101344570B1 (ko) 치아 신경치료용 엔도파일
KR100829244B1 (ko) 임플란트 시술용 천공 보조구
KR101607227B1 (ko) 치과용 보철의 제거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ell et al. Using ultrasonic sealers to remove fractured root posts
KR101717084B1 (ko) 치아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링 드라이버
KR101280869B1 (ko) 임플란트 구조체
US20160022377A1 (en) Combined use of ultrasound with nickel titanium endodontic file in endodontic procedure
JP2001517988A (ja) インプラント体および回転体
US20070065773A1 (en) Root canal obstruction removal system
US20090098509A1 (en) Dental tooth extraction implement and method thereof
US20090176189A1 (en) Method and system for extraction of broken objects from enclosed spaces
KR100971145B1 (ko) 임플란트 시술용 본캐리어
WO2007125739A1 (ja) インプラント前窩形成用の補助具
CN214632390U (zh) 根管内折断器械的取出装置
US20230093957A1 (en) Instrument to bypass fractured fragments of endodontic rotary file in root canal of a tooth
KR100943508B1 (ko) 이식위치 가이드 핀
CN219000616U (zh) 一种牙齿根管治疗用拔髓针
KR20100066020A (ko) 치과용 파일 제거기구
KR20090102261A (ko) 상악동 거상술을 위한 임플란트 드릴
KR20100104206A (ko) 치아포스트
KR20100051043A (ko) 치아삭제용 교합지
JP2007215912A (ja) 施術用器具
RU126924U1 (ru) Протез верхушки корня зуб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