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6882A -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치아 보철물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치아 보철물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6882A
KR20180116882A KR1020170049742A KR20170049742A KR20180116882A KR 20180116882 A KR20180116882 A KR 20180116882A KR 1020170049742 A KR1020170049742 A KR 1020170049742A KR 20170049742 A KR20170049742 A KR 20170049742A KR 20180116882 A KR20180116882 A KR 20180116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sthesis
solenoid
dental prosthesis
case
de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9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창주
Original Assignee
정창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창주 filed Critical 정창주
Priority to KR1020170049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6882A/ko
Publication of KR20180116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68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16Dentists' forceps or clamps for removing crowns
    • A61C3/164Dentists' forceps or clamps for removing crowns acting by percus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2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characterised by the drive of the dental tools
    • A61C1/06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characterised by the drive of the dental tools with electric dr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게시된 내용은 치아에 덧씌워진 보철물을 분리시킬 경우 주변 치아의 훼손 또는 잇몸 부위에 상처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보철물이 씌워진 치아 위치에 상관없이 구강 안쪽의 보철물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치아 보철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치아 보철물 제거장치는
치아에 덧씌워진 보철물을 제거하기 위한 치아 보철물 제거장치에 적용되고,
갈고리부가 일단에 형성되는 보철물 제거팁;
상기 보철물 제거팁의 타단이 바닥면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 상단에 밀착고정되는 상부 케이스로 이루어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내설되고, 외부로부터 전자코일에 전기적 신호 인가시 임의의 스트로크만큼 직선운동하는 플런저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상기 플런저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솔레노이드 온(ON) 구동시 상기 상부 케이스를 타격하게 되는 타격체;를 구비하되,
상기 보철물 하단에 상기 갈고리부를 걸고 상기 솔레노이드의 전자코일에 전기적 신호의 인가 및 차단을 반복할 경우, 직선운동하는 상기 플런저의 타격체가 상기 상부 케이스를 반복적으로 타격함에 따라 발생되는 반발력에 의해 상기 치아로부터 상기 보철물을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치아 보철물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치아 보철물 제거장치{a crown removing device using solenoid}
본 명세서는 치아 보철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영구치 등에 덧씌워진 보철물(소위, "크라운"을 말함)을 분리시켜 제거하기 위한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치아 보철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철치료란 영구치가 썩거나 또는 충치가 발생되는 경우, 해당 치아 신경을 치료한 후, 금 또는 은 등의 금속성 합금으로 된 보철물 내부 임의위치에 충전물을 채워넣어(즉, 치아에 보철물을 씌울 경우 치아의 빈공간에 충전물이 채워지게 된다) 치아 외측면에 보철물을 억지끼워맞춤으로 덧씌워, 기능적으로나 심미적으로 만족할 수 있게 하는 치과수술의 하나이다.
보철물은 음식물을 섭취시 이상이 발생되거나 또는 오랫동안 사용할 경우, 맞닿는 부위가 부분적으로 마모되거나 보철물 내부에 이물질이 누적되는 경우, 또는 보철물 내부의 치아가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에 사용중인 보철물을 치아로부터 분리시킨 후 새로운 보철물으로 교체하게 된다.
이때, 치아에 덧씌워진 보철물을 분리시켜 제거하기 위해 보철물 제거기를 사용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의한 치아 보철물 제거기는
갈고리 형상의 선단(1) 및 숫나사부(2)가 형성되는 보철물 제거팁(3)과,
숫나사부(2)가 나사결합되는 나사공(4)이 일단에 형성되고 타격타켓(5)이 타단에 형성되며, 임의길이를 갖는 가이드봉(6)과,
가이드봉(6)의 외주연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되고, 보철물 제거팁(3)의 갈고리 형태를 갖는 선단(1)에 의해 해당 보철물(미 도시됨)을 걸은 후, 가이드봉(6)을 따라 강제적으로 이동시켜 타격타켓(5)의 선단(7)을 타격하게 되는 타격체(8)를 구비한다.
즉, 가이드봉(6)을 따라 슬라이딩이동되는 타격체(8)의 후단에 의해 타격타켓(5)의 선단(7)을 타격함에 따라 발생되는 타격타켓(5)의 반발력에 의해 충전물의 결속력이 해제되므로 갈고리 형태의 선단(1)에 물린 보철물을 치아(미 도시됨)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종래 기술의 보철물 제거기를 이용하여 치아에 덧씌워진 보철물을 분리하여 제거하기 위해서는 시술자가 한 손으로 가이드봉(6) 임의위치를 파지한 후, 다른 한 손을 이용하여 타격체(8)를 붙잡아 가이드봉(6)을 따라 슬라이딩이동시켜 타격타켓(5)에 타격시킴에 따라, 치아로부터 보철물을 분리시키는 작업시 시술자가 양 손을 모두 사용하게 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치아로부터 보철물을 분리시키는 시술 도중에, 가이드봉(6)에 나사결합된 보철물 제거팁(3)의 나사결합이 이완되어 선단(1)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갈고리 형태의 날카로운 보철물 제거팁(3)의 선단(1)이 피시술자의 주변 치아를 훼손시키거나, 또는 잇몸 등에 상처를 입히게 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보철물 제거팁(3)의 선단(1)을 보철물에 걸어 타격체(8)를 타격타켓(5)에 타격시킬 경우 발생되는 소리가 시술자의 귀쪽으로 울림이 심하여 위압감을 갖게 되고 긴장을 하게 되므로 정신적, 육체적으로 피로감을 느끼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구강 안쪽 깊숙한 위치의 상부 어금니에 씌워진 보철물을 분리시킬 경우, 가이드봉(6)을 따라 슬라이딩이동되는 타격체(8)가 중력에 의해 타격타켓(5)의 선단(7)쪽으로 하강하게 된다. 이로 인해 보철물이 덧씌워진 치아 위치에 따라 치아로부터 보철물을 쉽게 제거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도면에는 미 도시되었으나, 디스크형 회전톱을 이용하여 보철물 일부를 절단, 제거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으나, 보철물을 절단하여 제거하는데 오랜 작업시간이 소요되고, 보철물을 절단시키는 도중에 분진, 이물질 등이 많이 발생되며, 시술도중에 분진 등의 이물질 일부를 피시술자가 흡입하게 되거나, 또는 삼키게 되어 비위생적인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654898호에 치아 보철물 제거기가 게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치아로부터 보철물을 분리시키는 시술 도중에 주변 치아의 훼손 또는 잇몸 부위에 상처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치아 보철물 제거장치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보철물이 외측면에 덧씌워진 치아 위치에 상관없이 구강 안쪽에 위치하는 보철물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치아 보철물 제거장치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보철물 제거장치의 조작이 용이하여 시술자에게 편리성 및 실용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치아 보철물 제거장치와 관련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치아에 덧씌워진 보철물을 제거하기 위한 치아 보철물 제거장치에 적용되고,
갈고리부가 일단에 형성되는 보철물 제거팁;
상기 보철물 제거팁의 타단이 바닥면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 상단에 밀착고정되는 상부 케이스로 이루어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내설되고, 외부로부터 전자코일에 전기적 신호 인가시 임의의 스트로크만큼 직선운동하는 플런저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상기 플런저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솔레노이드 온(ON) 구동시 상기 상부 케이스를 타격하게 되는 타격체;를 구비하되,
상기 보철물 하단에 상기 갈고리부를 걸고 상기 솔레노이드의 전자코일에 전기적 신호의 인가 및 차단을 반복할 경우, 직선운동하는 상기 플런저의 타격체가 상기 상부 케이스를 반복적으로 타격함에 따라 발생되는 반발력에 의해 상기 치아로부터 상기 보철물을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치아 보철물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치아 외측면에 덧씌워진 보철물을 분리하여 제거시킬 경우 주변 치아의 훼손 또는 잇몸 부위에 상처 입는 것을 방지하게 되므로 신뢰성 및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보철물이 씌워진 치아 위치에 상관없이 구강 안쪽의 보철물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보철물 제거장치의 조작이 용이하고 시술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시술자에게 편리성 및 실용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치아 보철물 제거기의 개략도,
도 2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치아 보철물 제거장치의 개략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치아 보철물 제거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치아 보철물 제거장치는
치아에 덧씌워진 보철물을 제거하기 위한 치아 보철물 제거장치에 적용되고,
갈고리부(10)가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에 숫나사부(11)가 돌출형성되는 보철물 제거팁(12);
보철물 제거팁(12)의 숫나사부(11)와 대응되는 나사공(13)이 바닥면에 형성되는 내부에 빈 하부 케이스(14)와, 하부 케이스(14) 상단에 밀착고정되는 내부가 빈 상부 케이스(15)로 이루어지는 원통형태의 케이스(16)(일 예로서, 하부 케이스(14)와 상부 케이스(15)는 나사결합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나사결합에 의해 고정되는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케이스(16)에 내설되고, 외부로부터 전자코일(17)에 전기적 신호 인가시 임의의 스트로크만큼 직선운동하는 플런저(18)(plunger)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19);
플런저(18) 단부에 형성되고, 솔레노이드(19) 온(ON) 구동시 상부 케이스(15)를 타격하게 되는 타격체(20);를 구비하되,
보철물(21) 하단에 갈고리부(10)를 걸고 솔레노이드(19)의 전자코일(17)에 전기적 신호의 인가 및 차단을 반복할 경우, 직선운동하는 플런저(18)의 타격체가 상부 케이스(15)를 반복적으로 타격함에 따라 발생되는 반발력에 의해 치아(22)로부터 보철물(21)을 분리시킬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는, 보철물 제거팁(12)의 손잡이부(23) 외주연에 케이스(16)에 보철물 제거팁(12)을 교체하기 위해 파지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너얼링(knurling)이 형성될 수 있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24는 솔레노이드(19)의 전자코일(17)에 전기적 신호가 차단(OFF)되는 경우 플런저(18)가 초기위치로 복귀됨에 따라 타격체(20)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인장코일스프링이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치아 보철물 제거장치의 사용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술한 치아(22)를 치료한 후 씌워진 보철물(21)(크라운)은 영구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보철물(21)로 사용된 재료의 종류와, 시술자의 평소 양치질 습관, 음식물을 씹는 습관 등에 따라 일정기간의 사용수명을 다하게 된다.
보철물(21)의 사용수명이 다하거나 보철물(21)이 씌워진 치아(22)에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 치아(22)로부터 보철물(21)을 분리시킨 후 치아(22)를 다시 치료하고 새로운 보철물(21)로 교체하게 된다.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플런저(18) 단부에 타격체(20)가 형성된 솔레노이드(19)가 내설된 하부 케이스(14) 및 상부 케이스(15)를 이들의 밀착부위에 대응되게 형성된 나사부(도면부호 미 표기됨)의 나사결합에 의해 케이스(16)를 형성하게 된다.
하부 케이스(14) 바닥면에 형성된 나사공(13)에 이와 대응되게 보철물 제거팁(12)의 상단에 돌출되게 형성된 숫나사부(11)를 나사결합시킴에 따라 케이스(16) 하단에 보철물 제거팁(12)을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하부 케이스(14) 바닥면에 연결되는 보철물 제거팁(12)은 보철물(21)의 위치, 즉 보철물(21)이 씌워지는 치아(22)의 배열위치(즉, 어금니 이빨 또는 앞 이빨 등을 말함)에 따라 갈고리부(10)의 형태 또는 보철물 제거팁(12)의 전체 길이 등이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피시술자의 치아(22)에 덧씌워진 보철물(21)을 분리시키기 위해 시술자가 하부 케이스(14) 및 상부 케이스(15)로 이루어진 케이스(16) 외측면을 파지한 상태에서 보철물 제거팁(12)의 하단에 형성된 갈고리부(10)를 해당 보철물(21)의 바닥면에 걸친다.
미 도시된 스위치를 조작하여 케이스(16)에 내설된 솔레노이드(19)의 전자코일(17)에 외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인가시킬 경우 플런저(18)가 임의의 스트로크만큼 전진이동하게 된다(이때 코일스프링(24)은 인장상태로 변환됨).
플런저(18)의 전진이동으로 인해 플런저(18) 상단에 형성된 타격체(20)가 상부 케이스(15)의 상면을 타격하게 된다.
이때, 외부로부터 전자코일(17)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시킴에 따라 온(ON) 구동되는 솔레노이드(19)의 플런저(18)가 임의의 스트로크만큼 직선운동하는 기술내용은 당해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해당 보철물(21) 하단에 갈고리부(10)를 걸고 솔레노이드(19)의 전자코일(17)에 전기적 신호의 인가 및 차단을 수차례에 걸쳐 반복할 경우, 임의의 스트로크만큼 전진 및 후진을 반복하는 플런저(18)의 타격체(20)가 상부 케이스(15)를 반복적으로 타격함에 따라 케이스(16)에 발생되는 반발력에 의해 치아(22)로부터 보철물(21)을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전술한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명세서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의 내용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갈고리부
11; 숫나사부
12; 보철물 제거팁
13; 나사공
14; 하부 케이스
15; 상부 케이스
16; 케이스
17; 전자코일
18; 플런저(plunger)
19; 솔레노이드
20; 타격체
21; 보철물
22; 치아

Claims (3)

  1. 치아에 덧씌워진 보철물을 제거하기 위한 치아 보철물 제거장치에 적용되고,
    갈고리부가 일단에 형성되는 보철물 제거팁;
    상기 보철물 제거팁의 타단이 바닥면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 상단에 밀착고정되는 상부 케이스로 이루어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내설되고, 외부로부터 전자코일에 전기적 신호 인가시 임의의 스트로크만큼 직선운동하는 플런저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상기 플런저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솔레노이드 온(ON) 구동시 상기 상부 케이스를 타격하게 되는 타격체;를 구비하되,
    상기 보철물 하단에 상기 갈고리부를 걸고 상기 솔레노이드의 전자코일에 전기적 신호의 인가 및 차단을 반복할 경우, 직선운동하는 상기 플런저의 타격체가 상기 상부 케이스를 반복적으로 타격함에 따라 발생되는 반발력에 의해 상기 치아로부터 상기 보철물을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치아 보철물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철물 제거팁의 손잡이부 외주연에 미끄럼방지용 너얼링(knurling)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치아 보철물 제거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철물 제거팁의 타단에 숫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의 바닥면에 상기 숫나사부와 대응되는 나사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치아 보철물 제거장치.
KR1020170049742A 2017-04-18 2017-04-18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치아 보철물 제거장치 KR201801168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742A KR20180116882A (ko) 2017-04-18 2017-04-18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치아 보철물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742A KR20180116882A (ko) 2017-04-18 2017-04-18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치아 보철물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882A true KR20180116882A (ko) 2018-10-26

Family

ID=64099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9742A KR20180116882A (ko) 2017-04-18 2017-04-18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치아 보철물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688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20606A (zh) * 2019-02-26 2019-05-31 谢春 脱冠器
CN109875698A (zh) * 2019-03-14 2019-06-14 佛山市登拓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全自动去冠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20606A (zh) * 2019-02-26 2019-05-31 谢春 脱冠器
CN109820606B (zh) * 2019-02-26 2020-04-14 谢春 脱冠器
CN109875698A (zh) * 2019-03-14 2019-06-14 佛山市登拓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全自动去冠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26548A (en) Personal oral hygiene tool
KR100829243B1 (ko) 잇몸 펀칭장치
EP3229725B1 (en) An interdental brush with a protective tip
US20080076089A1 (en) Non-metallic dental scaler
JP5502203B2 (ja) 超音波スケーラー用チップ
KR20180116882A (ko)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치아 보철물 제거장치
TWI392483B (zh) 用於牙科手機之鑽孔定位集骨器
EP3028601A1 (en) Constructive disposition applied to toothbrush conjugated to dental floss
KR101629667B1 (ko) 크라운 제거장치
US20090098509A1 (en) Dental tooth extraction implement and method thereof
US20130040262A1 (en) Removing Primary Teeth And Loosening Permanent Teeth
KR100654898B1 (ko) 치아 보철물 제거기
KR101839982B1 (ko) 치아 보철물 제거 방법
KR20110100016A (ko) 팁을 구비한 오스테오톰
RU2264194C1 (ru) Коронкосниматель пневматический
KR20110007782U (ko) 치아발치용 집게
Ré et al. Rapid orthodontic extrusion of a subgingivally fractured incisor
WO2015023121A1 (ko) 크라운 제거장치
CN109692049A (zh) 一种片切砂条手持器
JP4481146B2 (ja) 歯科用切削器具
KR101471803B1 (ko) 상악동 막의 손상 방지 장치
KR102504906B1 (ko) 상악동 점막 거상용 드릴
KR102689192B1 (ko) 임플란트 커넥터용 제거장치
JP6982211B1 (ja) 義歯とこの義歯を支台歯に取り付ける取付けアタッチメント
KR101138839B1 (ko) 치과용 근관 충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