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7782U - 치아발치용 집게 - Google Patents

치아발치용 집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7782U
KR20110007782U KR2020100001077U KR20100001077U KR20110007782U KR 20110007782 U KR20110007782 U KR 20110007782U KR 2020100001077 U KR2020100001077 U KR 2020100001077U KR 20100001077 U KR20100001077 U KR 20100001077U KR 20110007782 U KR20110007782 U KR 2011000778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teeth
inlet groove
extraction
arc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10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성재
Original Assignee
신성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성재 filed Critical 신성재
Priority to KR20201000010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7782U/ko
Publication of KR201100077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78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14Dentists' forceps or the like for extracting tee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치아 발치용 집게에 관한 것으로, 치아와 접촉되는 발치용 집게의 치아파지부 내면에 호형으로 형성되는 치아의 표면과 동일한 형상의 호형면이 더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호형면에 치아의 표면이 밀착되어 파지될 수 있음으로써 치아의 파지력이 크게 향상되어 견고한 치아의 파지가 가능해져 치아의 발치 도중에 치아와 치아파지부와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어 치아와 치아파지부가 서로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치아파지부의 호형면 내측에 실리콘과 같은 부드러운 재질의 패킹을 더 구성하여 치아와 치아파지부와의 접촉시의 불쾌함을 해소하고 둔탁한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환자의 심적인 안정감을 유도할 수 있는 치아 발치용 집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2개의 핸들부(11)(11)와, 상기 2개의 핸들부(11)(11)의 상부측으로 연장되고 서로 대응되게 위치되는 2개의 파지부(12)(12)와, 상기 2개의 핸들부(11)(11) 사이에 구성되는 장력부(13)로 구성된 발치용 집게에 있어서, 상기 서로 대응되게 위치되는 2개의 파지부(12)(12)의 내면(12a)에는 치아의 표면과 동일한 형상의 호형면(20)이 더 요입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호형면(20)에는 인입홈(21)이 더 형성되고 상기 인입홈(21)에는 패킹(22)이 더 인입 구성되며, 상기 호형면(20)의 인입홈(21)에는 끼움홀(23)이 더 형성되고, 상기 인입홈(21)에 끼워지는 상기 패킹(22)의 후면에는 상기 끼움홀(23)에 끼워지는 끼움돌기(24)가 더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치아발치용 집게{NIPPER FOR TOOTH EXTRACTED}
본 고안은 치아발치용 집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치아를 잡아주는 치아파지부의 내면부를 내측으로 요입된 호형면으로 형성하여 치아의 둥근 외면에 대한 파지력이 크게 향상되도록 함으로써 치아를 발치하는 도중에 치아와 집게와의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치아파지부의 내면에 패킹을 더 구성하여 치아파지부와 치아와의 접촉시에 느낌을 부드럽게 유도할 수 있도록 한 치아발치용 집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는 유치 또는 젖니라 부르는 치아와 영구치로 부르는 치아로 구분되는 바, 출생 후 잇몸으로부터 처음 나오는 것이 유치이고 유치가 빠진 후에 나오는 치아를 영구치라 불리운다.
이러한 유치의 경우에는 성장함에 따라 자연스럽게 발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유치를 빼는데에 큰 무리가 없으나, 영구치의 경우에는 가급적 발치하지 않고 있으며, 영구치에 손상이 오거나 또는 영구치가 썩어 더 이상의 치아 구실을 하지 못하여 임플란트와 같은 시술을 하고자 할 경우에 부득이하게 영구치를 잇몸으로부터 발치하고 있다.
또한, 입의 제일 안쪽에 위치되는 사랑니의 경우 사람이 음식을 씹거나 하는 치아운동에 전혀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치아로서 사랑니의 위치에 의해 칫솔질을 할 때 거의 칫솔모가 닿지 않게 되어 사랑니의 칫솔질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 바, 이와 같이 칫솔질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 사랑니를 그대로 방치하면 사랑니에 음식물이 끼이게 되고 끼인 음식물이 그대로 썩게 되어 사랑니에 의한 안쪽 어금니까지 흔들거리거나 손상을 오게 된다.
따라서, 사랑니는 가급적 발치해 주는 것이 치아건강에 유리하다.
이와 같이, 영구치를 치료 목적에 의해 발치하거나 또는 사랑니를 발치하고자 할 경우에 발치용 집게가 주로 사용되는 바, 종래 발치용 집게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시술자가 한 손의 손가락으로 잡아주는 양측의 핸들부(1)(2)와, 이 양측의 핸들부(1)(2)의 상부측에 연장되고 치아의 표면을 잡아주는 2개의 파지부(3)(4)와, 상기 핸들부(1)(2)를 조여줌으로써 상기 파지부(3)(4)에 의해 치아가 견고하게 파지되도록 하는 장력부(5)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 발치용 집게는 시술자가 상기 파지부(3)(4)의 내측에 발치하고자 하는 치아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핸들부(1)(2)를 내측으로 당겨주면 상기 파지부(3)(4)가 환자의 치아의 표면을 파지하게 되고 이 때, 시술자는 상기 핸들부(1)(2)을 견고하게 파지한 상태에서 강한 완력으로 치아를 당기어 줌으로써 치아가 발치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사용되는 발치용 집게의 경우 재질이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대부분이고 특히, 치아의 표면에 직접 접하는 상기 파지부 역시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치아의 표면에 접하는 파지부의 내면이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치아의 발치 도중에 파지부와 치아가 서로 미끄러지는 현상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치아를 완전히 발치하기 전에 파지부와 치아가 서로 분리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여러 번에 걸치어 파지부를 치아의 표면에 접한 상태에서 시술자가 치아를 발치하기 때문에 시술을 받는 환자들은 여러 번에 걸친 발치작업에 의해 두려움과 고통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파지부가 치아의 표면에 접촉되면 금속재질의 차가운 느낌과 '탁'하는 금속재질의 충격음이 그대로 환자에게 전달되기 때문에 치아를 발치하는 환자의 느낌이 매우 불쾌해질 뿐만 아니라, 치과를 이용함에 있어서의 공포와 두려움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의 발치용 집게를 살펴보면, 등록특허 제10-0597055호인 치아 상승기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각각 핸들부 및 턱부를 갖는 상호 대응하는 제 1 측부재 및 제 2 측부재를 포함하는 치아 상승기에 있어서, 상기 턱부는 상기 핸들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닫힌 상태에서 기다란 타원형을 형성할 수 있도록 각 턱부의 단면이 쐐기형으로서 각이진 전면, 후면 및 전방 내측으로 굽어진 측부재를 형성하며, 상기 제 1 측부재는 상기 턱부와 상기 핸들부의 사이에서 상기 제 2 측부에 힌지상태로 연결되게 구성되되, 상기 각이진 전면 및 상기 편평한 후면은 35ㅀ- 70ㅀ 범위의 예각을 형성하고, 하향으로 각이진 상기 턱부의 옵셋은 서로 짝을 이루는 상기 제 1 측부재 및 제 2 측부재의 평행한 면에 대하여 30ㅀ- 60ㅀ 범위의 각도를 갖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시술자인 의사가 핸들부를 파지하고 있는 손목의 관절부를 불편하게 들어 올리지 않고서도 치아 상승기를 보다 용이하게 환자의 입 속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여 시술성이 향상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경우에도 치아를 파지하는 측부재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치아의 외면과 접하는 측부재의 내면이 평면상으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치아를 파지하여 발치할 때 측부재와 치아와의 미끄러짐 현상이 발생되어 치아를 발치하는 과정에서 측부재가 치아로부터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종래 치아 발치용 집게가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핸들부의 상부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치아를 파지하는 파지부의 내면의 형상을 치아의 표면 형상과 동일한 호형으로 형성하여 치아의 표면이 파지부의 내면에 인입되어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치아의 발치 도중에 치아와 파지부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파지부의 내면에 실리콘과 같이 인체에 무해하고 부드러운 재질로 이루어진 패킹을 더 구성하여 파지부와 치아와의 접촉시에 발생되는 둔탁한 소리를 차단하고 환자의 불쾌한 느낌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치아 발치용 집게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치아 발치용 집게는, 2개의 핸들부와, 상기 2개의 핸들부의 상부측으로 연장되고 서로 대응되게 위치되는 2개의 치아파지부와, 상기 2개의 핸들부 사이에 구성되는 장력부로 구성된 발치용 집게에 있어서, 상기 서로 대응되게 위치되는 2개의 치아파지부의 내면은 치아의 표면과 동일한 형상의 호형면이 더 요입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치아파지부의 내면에 형성된 호형면에는 인입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인입홈에는 패킹이 더 인입 구성된다.
또한, 상기 호형면의 인입홈에는 끼움홀이 더 형성되고, 상기 인입홈에 끼워지는 상기 패킹의 후면에는 상기 끼움홀에 끼워지는 끼움돌기가 더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본 고안인 치아 발치용 집게는, 치아와 접촉되는 발치용 집게의 치아파지부 내면에 호형으로 형성되는 치아의 표면과 동일한 형상의 호형면이 더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호형면에 치아의 표면이 밀착되어 파지될 수 있음으로써 치아의 파지력이 크게 향상되어 견고한 치아의 파지가 가능해져 치아의 발치 도중에 치아와 치아파지부와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어 치아와 치아파지부가 서로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치아파지부의 호형면 내측에 실리콘과 같은 부드러운 재질의 패킹을 더 구성하여 치아와 치아파지부와의 접촉시의 불쾌함을 해소하고 둔탁한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환자의 심적인 안정감을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치아 발치용 집게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치아 발치용 집게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치아 발치용 집게의 치아파지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인 치아 발치용 집게의 치아파지부에 치아가 파지된 상태의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인 치아 발치용 집게의 치아파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인 치아 발치용 집게의 치아파지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치아 발치용 집게는, 2개의 핸들부(11)(11)와, 상기 2개의 핸들부(11)(11)의 상부측으로 연장되고 서로 대응되게 위치되는 2개의 치아파지부(12)(12)와, 상기 2개의 핸들부(11)(11) 사이에 구성되는 장력부(13)로 구성된 발치용 집게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서로 대응되게 위치되는 2개의 치아파지부(12)(12)의 내면(12a)에는 치아의 표면과 동일한 형상의 호형면(20)이 더 요입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2개의 치아파지부(12)(12) 내면(12a)에 치아의 표면과 동일한 형상의 호형면(20)이 더 요입되게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2개의 치아파지부(12)(12)를 이용하여 치아(30)를 파지할 때 상기 치아(30)의 표면이 상기 2개의 치아파지부(12)(12)의 호형면(20)(20)에 밀착될 수 있어, 치아(30)의 견고한 파지가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종래의 발치용 집게의 치아파지부 내면이 평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치아와 치아파지부와의 밀착력 및 파지력의 저하에 따라 발생되는 치아와 치아파지부와의 이탈현상 및 미끄러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인 치아 발치용 집게는 시술자가 본 고안인 치아 발치용 집게를 잡고 치아를 발치할 때, 상기 호형면(20)에 치아(30)가 내입되어 밀착될 수 있기 때문에, 치아(30)와 치아파지부(12)간의 이탈이 방지되어 한 번의 발치동작으로 쉽게 치아를 발치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인 치아 발치용 집게는, 상기 호형면(20)에 인입홈(21)이 더 형성되고 상기 인입홈(21)에는 패킹(22)이 더 인입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패킹(22)이 발치하고자 하는 환자의 치아의 표면에 접촉되기 때문에, 둔탁한 금속소음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고 환자의 느낌을 부드럽게 할 수 있어 환자가 치아를 발치하는데에 대한 두려움을 해소하여 심적으로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패킹(22)의 재질은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실리콘 재질과 같이 부드럽고 인체에 무해한 재질이면 족하다.
또한, 상기 패킹(22)은 상기 호형면(20)의 인입홈(21)에 인체에 무해한 접착제 등으로 접착 구성될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호형면(20)의 인입홈(21)에는 끼움홀(23)이 더 형성되고, 상기 인입홈(21)에 끼워지는 상기 패킹(22)의 후면에는 상기 끼움홀(23)에 끼워지는 끼움돌기(24)가 더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호형면(20)에 끼움홀(23)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홀(23)에 끼워지는 끼움돌기(24)가 상기 패킹(22)의 후면에 형성되면, 상기 패킹(22)만을 수시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음에 따라 한 번 발치 시술 후 새로운 패킹을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위생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실시예들을 기존의 공지기술과 단순히 조합적용한 실시예와 함께 본 고안의 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은 본 고안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11 : 핸들부 12 : 치아파지부
12a : 치아파지부 내면 13 : 장력부
20 : 호형면 21 : 인입홈
22 : 패킹 23 : 끼움홀
24 : 끼움돌기

Claims (3)

  1. 2개의 핸들부(11)(11)와, 상기 2개의 핸들부(11)(11)의 상부측으로 연장되고 서로 대응되게 위치되는 2개의 치아파지부(12)(12)와, 상기 2개의 핸들부(11)(11) 사이에 구성되는 장력부(13)로 구성된 발치용 집게에 있어서,
    상기 서로 대응되게 위치되는 2개의 치아파지부(12)(12)의 내면(12a)에는 치아의 표면과 동일한 형상의 호형면(20)이 더 요입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발치용 집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형면(20)에는 인입홈(21)이 더 형성되고 상기 인입홈(21)에는 패킹(22)이 더 인입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발치용 집게.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호형면(20)의 인입홈(21)에는 끼움홀(23)이 더 형성되고,
    상기 인입홈(21)에 끼워지는 상기 패킹(22)의 후면에는 상기 끼움홀(23)에 끼워지는 끼움돌기(24)가 더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발치용 집게.
KR2020100001077U 2010-01-29 2010-01-29 치아발치용 집게 KR2011000778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077U KR20110007782U (ko) 2010-01-29 2010-01-29 치아발치용 집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077U KR20110007782U (ko) 2010-01-29 2010-01-29 치아발치용 집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782U true KR20110007782U (ko) 2011-08-04

Family

ID=45596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1077U KR20110007782U (ko) 2010-01-29 2010-01-29 치아발치용 집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7782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24726A1 (ko) * 2014-08-12 2016-02-18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발치용 포셉
KR101949226B1 (ko) * 2018-08-27 2019-02-18 김성범 치아 교육 장치
WO2022150579A1 (en) * 2021-01-11 2022-07-14 Frazee Dennis Locking dental forceps for tooth extrac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24726A1 (ko) * 2014-08-12 2016-02-18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발치용 포셉
KR101949226B1 (ko) * 2018-08-27 2019-02-18 김성범 치아 교육 장치
WO2022150579A1 (en) * 2021-01-11 2022-07-14 Frazee Dennis Locking dental forceps for tooth extra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79985B2 (ja) 嚥下障害リハビリ訓練器
US8182266B2 (en) Dental tool
US4179815A (en) Dental device
JP2012504448A (ja) 口腔ケアのための区分されたマウスピース
EP1219264B1 (en) Dental wedge with handle
WO2011022244A2 (en) Dental prosthesis removal tool
US20200229896A1 (en) Dental and other prosthesis, apparatus and kit
JP6017780B2 (ja) 口腔機能訓練器
EP2996624B1 (en) An improved dental wedge
KR20110007782U (ko) 치아발치용 집게
JP6074227B2 (ja) 口腔開口補助具
KR102258699B1 (ko) 멤브레인 리프팅 장치
JP2007319304A (ja) 嚥下障害リハビリ訓練器
JP2006326017A (ja) 口腔内清掃治療用開口器
JP6092805B2 (ja) 指圧補助具
KR101493373B1 (ko) 치과 교정술을 위한 구강 연조직 박리용 덴탈 큐렛 및 덴탈 큐렛 세트
KR101538917B1 (ko) 임플란트용 치은 절개 및 박리를 위한 블레이드 핸들
KR102125147B1 (ko) 구강 재활 치료 도구
CN211834787U (zh) 一种咬胶式透明牙套摘取器
US2005027200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al of a dental veneer
KR101865043B1 (ko) 칫솔
KR200448938Y1 (ko) 치과용 겸자
KR102567605B1 (ko) 치아 츄잉 장치
US20240189068A1 (en) Tooth loosening device
JP3222753U (ja) 歯科用ピンセット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