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024726A1 - 발치용 포셉 - Google Patents

발치용 포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024726A1
WO2016024726A1 PCT/KR2015/007194 KR2015007194W WO2016024726A1 WO 2016024726 A1 WO2016024726 A1 WO 2016024726A1 KR 2015007194 W KR2015007194 W KR 2015007194W WO 2016024726 A1 WO2016024726 A1 WO 201602472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upport
forceps
rotation
shaft
ex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0719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병활
김원기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1602472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02472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14Dentists' forceps or the like for extracting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Definitions

  • 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extraction forceps.
  • Korean Utility Model Application Publication No. 448938 (named “Dental forceps”) of the invention discloses forceps extraction forceps that are applied by holding the teeth by pressing them from both sides and shaking them from side to side. It is.
  • both ends of the pressing portion are fixed at a constant shape and angle, so that the teeth are broken or the gums are frequently damaged during gripping and extraction.
  • 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provide a forceps for extraction which combines extraction efficiency and stability, and versatility for each tooth located at different positions in the oral cavity.
  • the extraction forceps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 support end having a support surface for supporting the gum adjacent to one side of the tooth; A pressing end having a tip in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tooth; And an operation mechanism for adjusting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end and the pressure end, wherein the support end is rotated or fixed at a predetermined rotational angle with the support end rotation axis facing the pressure end. It is connected to the operating mechanism, the pressing end may be connected to the operating mechanism to be rotated or fixed at a predetermined rotational angle by the pressing end rotating shaft in the direction facing the support end.
  • the operation mechanism a connecting portion having a first protruding member and a second protruding membe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n end portion of the support end portion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protruding member, the first protruding member and the second protruding member, and a shaft unit crossing the second protruding member, wherein the shaft unit includes the support.
  • a rotatable shaft portion allowing rotation of the end portion; And it may be connected to the rotation allowable shaft portion, and may include a rotation limiting shaft portion for limiting the rotation of the support end.
  • the support end portion the support body connected to the operation mechanism; And a rotatable support member connected to the support body so as to be rotatable within a preset angle range with respect to the support body and having the support surface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 the rotatable support member serving as a support at the support end can be freely rotated within a predetermined rotation range, the support surface supporting the gum is forceps for extraction It can always be in close contact regardless of the angle of bending, so that the occurrence of tearing or bruising of the gums can be minimized due to the contact end contacting the gums.
  •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orceps for extra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 FIGS. 2A and 2B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extraction process using extraction force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 3A and 3B are conceptual views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upporting end and the connecting portion.
  • the extraction forcep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extraction force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orceps for extra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 Figures 2a and 2b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extraction process using the forceps for extra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 the forceps for tooth extraction include a support end 1, a pressure end 2, and an operation mechanism 3.
  • the support end 1 has a support surface 131 for suppor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gum 600 adjacent to one side of the tooth 500.
  • the support surface 131 may be one surface of the cover part 133.
  • Cover portion 133 is a configuration surrounding one surface of the rotatable support member 13 to be described later.
  • the cover part 133 may be a cover including a silicon material.
  • the support end 1 may be connected to the operation mechanism 3 so as to be rotated or fixed at a predetermined rotational angle with the support end rotation shaft 1a facing the pressing end 2.
  • the support end rotation shaft 1a may be set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pport end 1 directly faces the pressure end 2,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upport end 1 is somewhat different from the pressure end 2. It may be set along the direction facing obliquely.
  •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support end 1 and the operation mechanism 3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 the manipulation mechanism 3 may include a connecting portion 31 and a shaft unit 33 corresponding to the distal end 111 of the support end 1.
  • 3A and 3B are conceptual views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upporting end and the connecting portion.
  • connection part 31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end part 1 may include a first protruding member 311 and a second protruding member 312 protruding from each other. Can be.
  • the shaft unit 33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end 1 has a distal end of the support end 1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protruding member 311, the first protruding member 311, and the second protruding member 312. 111 and the second protruding member 312 may be provided to cross.
  • the shaft unit 33 in a state where the distal end 111 of the support end portion 1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protruding member 311 and the second protruding member 312, the shaft unit 33 includes the first protruding member 311. It may be arranged to sequentially cross the distal end 111 and the second protruding member 312 of the support end (1).
  • the shaft unit 33 may include a rotation allowable shaft portion 331 that allows rotation of the support end 1.
  • the shaft unit 33 may include a rotation limiting shaft portion 332 for limiting the rotation of the support end (1).
  • the rotation limited shaft part 332 may be connected to the rotation allowable shaft part 331.
  • the rotational allowable state in which the distal end 111 of the support end 1 engages with the rotation-allowable shaft 331 and the distal end 111 of the support end 1 are restricted. It may be selectively movable such that it is in any one of the rotational limits (see FIG. 3A) that engages at least a portion of the mold shaft portion 332.
  • the hole 311a formed in the first protruding member 311 so that the shaft unit 33 crosses may have a cross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allowable shaft portion 331.
  • the hole 111a formed in the distal end 111 of the support end portion 1 so that the shaft unit 33 crosses may have a cross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al restriction shaft portion 332.
  • the hole 312a formed in the second protruding member 312 so that the shaft unit 33 crosses may have a cross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limited shaft portion 332.
  • the cross section of the rotation allowable shaft 331 may be circular.
  • the cross section of the rotating tongue shaft portion 331 is circular and the hole 311a formed in the first protruding member 311 may also have a circular hole shape corresponding to the circular cross section.
  • the cross section of the rotation allowable shaft 331 may include a shape in which the circular cross section is somewhat deformed, for example, a shape in which a groove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circumference of the circular cross section.
  • the circular cross section herein is preferably understood as a broad concept of a cross section including an arc shape that enables rotation when engaged with a circular hole.
  • the cross-section of the rotation-limiting shaft portion 332 may be applied to a variety of cross-sections in which the rotation of the rotation-limiting shaft portion 332 may be restricted when engaged with a hol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hereto at a predetermined angle.
  • the cross section of the rotational restriction shaft portion 332 may be a figure in which a predetermined pattern is repeat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reof.
  • the cross section of the rotational restriction shaft portion 332 may be an angular gear shape. That is, the cross section of the rotational restriction shaft portion 332 may be a figure in which a pointed serrated pattern is repeatedly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 the rotation limiting shaft portion 332 has a cross section of a figure in which a predetermined pattern is repeat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hole 111a or the second protruding member 312 formed in the distal end 111 of the support end portion 1. When engaged with the hole 312a formed in the rotation-limiting shaft portion 332 may be limited in its rotation.
  • the support end 1 meshes with the gear-shaped rotational restriction shaft portion 332 and further includes a second protruding member ( When at least a part of the hole 312a formed in 312 also engages with the rotational restriction shaft portion 332, the support end 1 is placed in a state in which the rotation thereof is restricted (rotational restriction state).
  • the shaft unit 33 may include an elastic member 333.
  • the elastic member 333 elastically moves the shaft unit 33 to allow the rotation state (see FIG. 3B) when the external pressure is applied, and rotates the shaft unit 33 when the external pressure is not applied (FIG. It can elastically move (elastic recovery) so that it may become 3a).
  • the elastic member 333 may be a spring or a leaf spring.
  • the shaft unit 33 may include a fixing member 334.
  • the fixing member 334 is configured to fix the shaft unit 33 to be movable between the rotation allowable state and the rotation limit state.
  • an elastic member 333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head of the fixing member 334 and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protruding member 311.
  • the fixing member 334 may be a configuration such as a bolt having a thread.
  • a circumferential fixing part 335 may be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xing member 334 in the shaft unit 33 to prevent the shaft unit 33 from being separated.
  • the elastic member 333 when a pressing pressure is applied to the fixing member 334 from the outside (to the left direction relative to FIG. 3A), the elastic member 333 is compressed and deformed in the state shown in FIG. 3B in the state shown in FIG. 1, the distal end 111 may be engaged with the rotation allowable shaft 331 of the shaft unit 33 to be in a rotation allowable state.
  • the elastic member 333 elastically recovers from the state shown in FIG. 3B to the state shown in FIG. 3A, and the support end 1 has its distal end. At least a portion of the 111 may be engaged with the rotational limited shaft portion 332 of the shaft unit 33 to be in a rotational restricted state. At this time, the rotation-limiting shaft portion 332 of the shaft unit 33 is also engaged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e hole 312a formed in the second protruding member 312, thereby limiting the rotation of the support end (1).
  • the supporting end 1 supporting the gum 600 can be rotated and fixed at a desired angle, and thus different positions in the oral cavity (such as the lower jaw, the maxillary left side, the maxillary anterior side, the maxillary right side, etc.) High versatility can be ensured for each tooth located in.
  • the support end 1 may include a support body 11 connected with the operation mechanism 3.
  • the support end portion 1 is connected to the support body 11 so as to be rotatable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with respect to the support body 11, the support member 13 is formed with a support surface 131 on one surface It may include.
  • an opening 112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11a of the support body 11.
  • the opening 112 may have a groove shape recessed from one surface 11a of the support body 11,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other surface 13b of the rotatable support member 13 may be provided with a protrusion 132 that is rotatably fixed in the opening 112.
  • the distance a from the other surface 13b of the rotatable support member 13 to the axis at which the protrusion 132 is rotated is at one surface 11a of the support body 11.
  • the protrusion 132 may be larger than the distance b to the axis on which the protrusion 132 is rotated.
  • the clearance gap as much as (ab) is secured between the rotatable support member 13 and the support body 11, so that the rotatable support member 13 is supported by the support body. It can be rotatable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with respect to (11).
  • the above-described preset angle range may be set through the clearance interval as described above (a-b).
  • the support surface 131 supporting the gum 600 is the forceps for this extraction. It can always be in close contact regardless of the angle of bending, the contact end (1) due to the high contact with the gum 600 can minimize the occurrence of the problem of tearing the gum 600 or bruising the gum (600). .
  • the support end 1 may include a pin unit 15 to rotatably fix the protrusion 132 in the opening 112.
  • the protrusion 132 may have a through hole 132a through which the pin unit 15 crosses.
  •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132a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pin unit 15.
  • the diameter of the passage hole 132a is formed to be slight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pin unit 15 to the extent that the rotatable support member 13 can be freely rotated and reduce friction due to contact with the hole 132a. Can be.
  • the pressing end 2 is a configuration having a tip in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tooth (500).
  • the pressing end 2 may be formed such that its tip is bent toward the support end 1 side.
  • the support point is used to refer to this support point.
  • the tip end of the pressing end 2 may be provided in a bent shape so as to contact the other side of the tooth 500 when the forceps for tooth extraction, and to press the tooth 500 more effectively to facilitate the extraction.
  • the pressing end 2 may be connected to the operating mechanism 3 so as to be rotated or fixed at a predetermined rotational angle using the pressing end rotating shaft 2a facing the support end 1.
  • the pressing end rotating shaft 2a may be set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essing end 2 exactly faces the supporting end 1,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sing end 2 is somewhat different from the supporting end 1. It may be set along the direction facing obliquely.
  •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pressing end 2 and the operation mechanism 3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However, since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pressure end 2 and the operation mechanism 3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support end 1 and the operation mechanism 3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connecting portion 31 corresponding to the distal end 111 of the support end 1, the shaft unit 33, and the distal end 211 of the pressing end 2 are illustrated.
  • the connecting portion 31 and the shaft unit 33 corresponding to the two are respectively shown.
  • the manipulation mechanism 3 may include a connecting portion 31 and a shaft unit 33 corresponding to the distal end 211 of the pressing end 2.
  • connection part 31 corresponding to the pressing end 2 may include a first protruding member 311 and a second protruding member 312 protruding from each other.
  • the shaft unit 33 corresponding to the pressing end 2 has a distal end of the pressing end 2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protruding member 311, the first protruding member 311, and the second protruding member 312. 211 and the second protruding member 312.
  • the shaft unit 33 is formed of the first protruding member 311. It may be arranged to sequentially cross the distal end 211 and the second protruding member 312 of the pressing end (2).
  • Rotational allowable shaft portion 331 to allow the rotation, and the rotational allowable shaft portion 331 is connected, and may include a rotational limiting shaft portion 332 for limiting the rotation of the pressing end (2).
  • the shaft unit 33 corresponding to the pressing end 2 has a rotation permitting state in which the distal end 211 of the pressing end 2 engages with the rotation allowable shaft 331 and the distal end 211 of the pressing end 2. May be selectively movable such that is placed in any one of the rotational restricted states in engagement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e rotational restricted shaft portion 332. Since the rotation allowable state and the rotation limit state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A and 3B with respect to the shaft unit 33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end 2,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hole 311a formed in the first protruding member 311 so that the shaft unit 33 corresponding to the pressing end 2 crosses has a cross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allowable shaft portion 331.
  • the hole 211a formed in the distal end 211 of the pressing end 2 so that the shaft unit 33 corresponding to the pressing end 2 crosses may have a cross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al restriction shaft portion 332.
  • the hole 312a formed in the second protruding member 312 so that the shaft unit 33 corresponding to the pressing end 2 may cross may have a cross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limited shaft portion 332.
  • the cross section of the rotation allowable shaft 331 may be circular.
  • the cross section of the rotational restriction type shaft portion 332 may be a figure in which a predetermined pattern is repeat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 Each of the holes 311a, 211a, and 312a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first and second protruding members 311 and 312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end 2,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Shall be.
  • the shaft unit 33 corresponding to the pressing end 2 may include an elastic member 333.
  • the elastic member 333 may elastically move the shaft unit 33 to allow the rotation when the external pressure is applied, and elastically move the shaft unit 33 to the rotation limit state when the external pressure is not applied. . Since the elastic member 333 and the elastic movement of the shaft unit 33 through the same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A and 3B with respect to the shaft unit 33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end 2,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 the pressing end 2 supporting the gum 600 can be rotated and fixed at a desired angle, so that different positions in the oral cavity (such as the mandible, maxillary left, maxillary anterior, maxillary right, etc.) High versatility can be ensured for each tooth located in.
  • the operation mechanism 3 is a configuration for adjusting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end 1 and the pressing end (2).
  • the manipulation mechanism 3 may include a first manipulation member 301 and a second manipulation member 302 in which the crossing portions are hinged to each other.
  • the other side of the first operation member 301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operation member 302 may be a handle portion that can be manually operated.
  • the support end 1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operation member 301
  • the pressing end 2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econd operation member 302.
  • the hinged portions One side of the first operation member 301 and one side of the second operation member 302 are also spaced apart. According to this operation method,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end 1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operating member 301 and the pressure end 2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econd operating member 302 can be adjusted. .
  • the conventional forceps for extraction It is much more efficient and stable lever extraction than forceps.
  • the respective positions in different positions in the oral cavity (such as the mandible, maxillary left, maxillary anterior, maxillary right, etc.) Stable extraction can be performed by adjusting the angle of the tooth, thereby ensuring high versatility.
  • the rotatable support member 13a serving as a support at the support end 1 can be freely rotated within a preset rotation range, the support surface 131 supporting the gum 600 is seen.
  • the forceps for extraction can always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regardless of the angle at which the forceps are bent, so that the gum 600 is torn or the gum 600 is bruised due to the support end 1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gum 600. Can be minimized.
  • support body 11a one side of the support body
  • opening 13 rotating support member
  • pressing end 2a pressing end rotating shaft
  • operating mechanism 301 first operating member
  • shaft unit 331 rotational allowable shaft
  • fixing member 335 circumferential fix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발치용 포셉이 개시되며, 상기 발치용 포셉은 치아의 일측과 이웃하는 잇몸을 지지하는 지지면을 갖는 지지단부; 상기 치아의 타측과 접촉되는 선단을 갖는 가압단부; 및 상기 지지단부와 상기 가압단부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조작기구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단부는, 상기 가압단부와 마주하는 방향을 지지단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거나 소정의 회전 각도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조작기구에 연결되고, 상기 가압단부는, 상기 지지단부와 마주하는 방향을 가압단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거나 소정의 회전 각도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조작기구에 연결된다.

Description

발치용 포셉
본원은 발치용 포셉에 관한 것이다.
발치용 포셉(발치겸자)과 관련하여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448938호(발명의 명칭 "치과용 겸자")에는 치아를 양쪽에서 가압하여 잡은 후 좌우로 흔들어 발치하는 집게 방식의 발치용 포셉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발치용 포셉에 의하면, 가압부의 양 단부가 일정한 형태 및 각도로 고정되어 있어, 파지 및 발치 중에 치아가 부러지거나 잇몸이 손상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였고, 구강 내 서로 다른 위치(이를 테면 하악, 상악좌측, 상악전치, 상악우측 등)에 자리잡고 있는 각각의 치아에 대한 범용성을 확보하기 어려웠다.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원은 발치 효율성 및 안정성, 그리고 구강 내 서로 다른 위치에 자리잡고 있는 각각의 치아에 대한 범용성을 겸비한 발치용 포셉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1 측면에 따른 발치용 포셉은 치아의 일측과 이웃하는 잇몸을 지지하는 지지면을 갖는 지지단부; 상기 치아의 타측과 접촉되는 선단을 갖는 가압단부; 및 상기 지지단부와 상기 가압단부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조작기구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단부는, 상기 가압단부와 마주하는 방향을 지지단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거나 소정의 회전 각도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조작기구에 연결되고, 상기 가압단부는, 상기 지지단부와 마주하는 방향을 가압단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거나 소정의 회전 각도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조작기구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작기구는, 상호 이격되어 돌출되는 제1 돌출부재 및 제2 돌출부재를 구비하는 연결부; 및 상기 제1 돌출부재, 상기 제1 돌출부재와 상기 제2 돌출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상기 지지단부의 말단부, 및 상기 제2 돌출부재를 가로지르는 축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축 유닛은, 상기 지지단부의 회전을 허용하는 회전허용형 축부; 및 상기 회전허용형 축부와 연결되고, 상기 지지단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제한형 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단부는,상기 조작기구와 연결되는 지지몸체; 및 상기 지지몸체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몸체와 연결되고, 일면에 상기 지지면이 형성되는 회전형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지렛대의 지지대 역할을 하는 지지단부와, 이러한 지지대를 축으로 발치를 위한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단부를 구비함으로써, 종래의 집게 방식의 발치용 포셉에 비해 훨씬 효율적이면서도 안정적인 지렛대 방식의 발치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지지단부 또는 가압단부의 고정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함으로써, 구강 내 서로 다른 위치(이를 테면 하악, 상악좌측, 상악전치, 상악우측 등)에 자리잡고 있는 각각의 치아에 대하여 각도 조절을 통해 안정적인 발치를 수행할 수 있어, 높은 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지지단부에서 지지대 역할을 하는 회전형 지지부재가 미리 설정된 회전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잇몸을 받쳐주는 지지면이 발치용 포셉이 꺾어지는 각도에 크게 관계없이 항상 잘 밀착될 수 있어, 지지단부가 잇몸에 접촉됨으로 인해 잇몸이 찢어지거나 잇몸에 멍이 드는 문제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치용 포셉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치용 포셉을 이용한 발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지지단부 및 연결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치용 포셉(이하 '본 발치용 포셉 '이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치용 포셉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2a 및 도 2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치용 포셉을 이용한 발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치용 포셉은 지지단부(1), 가압단부(2) 및 조작기구(3)를 포함한다.
도 1,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지지단부(1)는 치아(500)의 일측과 이웃하는 잇몸(600)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면(131)을 갖는 구성이다.
예시적으로, 지지면(131)은 커버부(133)의 일면일 수 있다. 커버부(133)는 후술할 회전형 지지부재(13)의 일면을 감싸는 구성이다. 이러한 커버부(133)는 실리콘 재질을 포함하는 커버일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지지단부(1)는 가압단부(2)와 마주하는 방향을 지지단 회전축(1a)으로 하여 회전되거나 소정의 회전 각도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조작기구(3)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단 회전축(1a)은 지지단부(1)가 가압단부(2)와 정확히 마주하는 방향을 따라 설정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지단부(1)가 가압단부(2)와 다소 비스듬하게 마주하는 방향을 따라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지지단부(1)와 조작기구(3)의 연결 관계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본원의 일 실시예로서, 지지단부(1)의 말단부(111)에 대응하는 연결부(31)와 축 유닛(33), 그리고 가압단부(2)의 말단부(211)에 대응하는 연결부(31)와 축 유닛(33)이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조작기구(3)는 지지단부(1)의 말단부(111)에 대응하는 연결부(31) 및 축 유닛(3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지지단부 및 연결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지지단부(1)에 대응하는 연결부(31)는 상호 이격되어 돌출되는 제1 돌출부재(311) 및 제2 돌출부재(31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지지단부(1)에 대응하는 축 유닛(33)은 제1 돌출부재(311), 제1 돌출부재(311)와 제2 돌출부재(312) 사이에 개재되는 지지단부(1)의 말단부(111), 및 제2 돌출부재(312)를 가로지르게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지지단부(1)의 말단부(111)가 제1 돌출부재(311)와 제2 돌출부재(312)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축 유닛(33)이 제1 돌출부재(311), 지지단부(1)의 말단부(111) 및 제2 돌출부재(312)를 순차적으로 가로지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축 유닛(33)은 지지단부(1)의 회전을 허용하는 회전허용형 축부(33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축 유닛(33)은 지지단부(1)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제한형 축부(332)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제한형 축부(332)는 회전허용형 축부(331)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축 유닛(33)은, 지지단부(1)의 말단부(111)가 회전허용형 축부(331)와 맞물리는 회전허용상태(도 3b 참조) 및 지지단부(1)의 말단부(111)가 회전제한형 축부(332)의 적어도 일부와 맞물리는 회전제한상태(도 3a 참조)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놓이도록,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축 유닛(33)이 가로지르도록 제1 돌출부재(311)에 형성된 홀(311a)은 회전허용형 축부(331)에 대응하는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축 유닛(33)이 가로지르도록 지지단부(1)의 말단부(111)에 형성된 홀(111a)은 회전제한형 축부(332)에 대응하는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축 유닛(33)이 가로지르도록 제2 돌출부재(312)에 형성된 홀(312a)은 회전제한형 축부(332)에 대응하는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회전허용형 축부(331)의 단면은 원형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회전혀용형 축부(331)의 단면은 원형이고 제1 돌출부재(311)에 형성된 홀(311a)도 이러한 원형 단면에 대응하는 원형 홀 형상일 수 있을 것이다.
다만, 회전허용형 축부(331)의 단면이 원형이라 함은, 원형 단면을 다소 변형한 형상, 이를 테면 원형 단면의 둘레 중간중간에 홈을 형성한 형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원에서 원형 단면은 원형 홀과 맞물렸을 때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호 형상을 포함하는 단면이라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제한형 축부(332)의 단면으로는 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홀과 소정의 각도에서 맞물렸을 때 회전제한형 축부(332)의 회전이 제한받을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단면이 적용될 수 있다. 그러한 예로, 회전제한형 축부(332)의 단면은 그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의 패턴이 반복되는 도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회전제한형 축부(332)의 단면은 각진 톱니바퀴 모양의 도형일 수 있다. 즉, 회전제한형 축부(332)의 단면은 뾰족한 톱니 모양의 패턴이 둘레 방향을 따라 반복 형성되는 형태의 도형일 수 있다.
즉, 회전제한형 축부(332)가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의 패턴이 반복되는 도형의 단면을 가지고, 지지단부(1)의 말단부(111)에 형성된 홀(111a) 또는 제2 돌출부재(312)에 형성된 홀(312a)과 맞물리게 되면, 회전제한형 축부(332)는 그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3a를 참조하면, 지지단부(1)의 말단부(111)에 형성된 홀(111a) 중 적어도 일부가 톱니바퀴 모양의 회전제한형 축부(332)와 맞물리고, 아울러 제2 돌출부재(312)에 형성된 홀(312a) 중 적어도 일부도 회전제한형 축부(332)와 맞물리게 되면, 지지단부(1)는 그 회전이 제한되는 상태에 놓이게 된다(회전제한상태).
또한, 도 3b를 참조하면, 지지단부(1)의 말단부(111)에 형성된 홀(111a)이 원형과 같이 회전을 허용하는 형상의 단면을 갖는 회전허용형 축부(331)와 맞물리게 되면, 지지단부(1)는 지지단 회전축(1a)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한 상태에 놓이게 된다(회전허용상태).
또한, 이 같은 회전허용상태에서 원하는 각도만큼 지지단부(1)를 회전시킨 다음, 지지단부(1)의 말단부(111)에 형성된 홀(111a) 중 적어도 일부가 톱니바퀴 모양의 회전제한형 축부(332)와 다시 맞물리도록 축 유닛(33)을 이동시키면, 지지단부(1)는 다시 회전제한상태에 놓이면서 상기 원하는 각도로 회전된 상태로 고정된다(회전제한상태).
또한 도 1,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축 유닛(33)은 탄성부재(3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333)는, 외부 압력 작용 시에는 축 유닛(33)을 회전허용상태(도 3b 참조)가 되도록 탄성 이동시키고, 외부 압력 미작용 시에는 축 유닛(33)을 회전제한상태(도 3a)가 되도록 탄성 이동(탄성 회복)시킬 수 있다. 예시적으로, 탄성부재(333)는 스프링 또는 판스프링일 수 있다.
또한, 축 유닛(33)은 고정부재(334)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334)는 축 유닛(33)을 회전허용상태와 회전제한상태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구성이다. 예시적으로 도 1,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고정부재(334)의 두부와 제1 돌출부재(311)의 측면 사이에 탄성부재(333)가 개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재(334)는 나사산을 갖는 볼트와 같은 구성일 수 있다. 또한,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축 유닛(33)에 있어서 고정부재(334)의 반대측에는 축 유닛(33)의 이탈을 방지하는 둘레고정부(335)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에서 고정부재(334)에 누름 압력을 가하면(도 3a 기준 좌측 방향으로), 탄성부재(333)가 도 3a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 3b에 도시된 상태로 압축 변형되면서, 지지단부(1)는 그 말단부(111)가 축 유닛(33)의 회전허용형 축부(331)와 맞물려 회전허용상태에 놓이게 될 수 있다.
또한, 외부에서 고정부재(334)에 가하던 누름 압력을 해제하면, 탄성부재(333)가 도 3b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 3a에 도시된 상태로 탄성 회복되면서, 지지단부(1)는 그 말단부(111)의 적어도 일부가 축 유닛(33)의 회전제한형 축부(332)와 맞물려 회전제한상태에 놓이게 될 수 있다. 이때, 축 유닛(33)의 회전제한형 축부(332)는 제2 돌출부재(312)에 형성된 홀(312a)의 적어도 일부와도 맞물림으로써, 지지단부(1)의 회전을 제한한다.
이와 같이, 본원에 의하면, 잇몸(600)을 지지하는 지지단부(1)를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키고 고정할 수 있어, 구강 내 서로 다른 위치(이를 테면 하악, 상악좌측, 상악전치, 상악우측 등)에 자리잡고 있는 각각의 치아에 대하여 높은 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지지단부(1)는 조작기구(3)와 연결되는 지지몸체(11)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지지단부(1)는 지지몸체(11)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몸체(11)와 연결되고, 일면에 지지면(131)이 형성되는 회전형 지지부재(1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지지몸체(11)의 일면(11a)에는 개구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이러한 개구부(112)는 지지몸체(11)의 일면(11a)으로부터 함몰된 홈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회전형 지지부재(13)의 타면(13b)에는 개구부(112) 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돌기부(13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회전형 지지부재(13)의 타면(13b)에서 돌기부(132)가 회전되는 축까지의 거리(a)는, 지지몸체(11)의 일면(11a)에서 돌기부(132)가 회전되는 축까지의 거리(b)보다 클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형 지지부재(13)와 지지몸체(11) 사이에 (a-b) 만큼의 여유 간격이 확보됨으로써,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형 지지부재(13)가 지지몸체(11)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해질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미리 설정된 각도 범위는 상술한 (a-b) 만큼의 여유 간격을 통해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지지단부(1)에서 지지대 역할을 하는 회전형 지지부재(13a)가 미리 설정된 회전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잇몸(600)을 받쳐주는 지지면(131)이 본 발치용 포셉이 꺾어지는 각도에 크게 관계없이 항상 잘 밀착될 수 있어, 지지단부(1)가 잇몸(600)에 높은 접촉됨으로 인해 잇몸이(600) 찢어지거나 잇몸에 멍이 드는 문제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지지단부(1)는 개구부(112) 내에 돌기부(132)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핀 유닛(15)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돌기부(132)에는 핀 유닛(15)이 가로지르는 통과 홀(132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통과 홀(132a)의 직경은 핀 유닛(15)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이를 테면, 통과 홀(132a)의 직경은 회전형 지지부재(13)가 홀(132a)에 대한 접촉으로 인한 마찰을 줄이고 보다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는 정도로, 핀 유닛(15)의 직경보다 조금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가압단부(2)는 치아(500)의 타측과 접촉되는 선단을 갖는 구성이다.
도 1,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가압단부(2)는 그 선단이 지지단부(1) 측으로 구부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치용 포셉의 경우,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전술한 지지단부(1)가 치아(500) 일측의 잇몸(600)을 지지한 상태에서,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이러한 지지점을 기준으로 도 2a에서 도 2b의 상태로 본 발치용 포셉을 회동시킴으로써, 치아(500)의 발치가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가압단부(2)의 선단은 본 발치용 포셉의 회동시 치아(500)의 타측에 접촉되어 치아(500)를 보다 효과적으로 가압하여 쉬운 발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부러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가압단부(2)는, 지지단부(1)와 마주하는 방향을 가압단 회전축(2a)으로 하여 회전되거나 소정의 회전 각도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조작기구(3)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가압단 회전축(2a)은 가압단부(2)가 지지단부(1)와 정확히 마주하는 방향을 따라 설정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압단부(2)가 지지단부(1)와 다소 비스듬하게 마주하는 방향을 따라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가압단부(2)와 조작기구(3)의 연결 관계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가압단부(2)와 조작기구(3)의 연결 관계는 전술한 지지단부(1)와 조작기구(3)의 연결 관계와 동일 내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에는 본원의 일 실시예로서, 지지단부(1)의 말단부(111)에 대응하는 연결부(31)와 축 유닛(33), 그리고 가압단부(2)의 말단부(211)에 대응하는 연결부(31)와 축 유닛(33)이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조작기구(3)는 가압단부(2)의 말단부(211)에 대응하는 연결부(31) 및 축 유닛(33)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가압단부(2)에 대응하는 연결부(31)는 상호 이격되어 돌출되는 제1 돌출부재(311) 및 제2 돌출부재(31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가압단부(2)에 대응하는 축 유닛(33)은 제1 돌출부재(311), 제1 돌출부재(311)와 제2 돌출부재(312) 사이에 개재되는 가압단부(2)의 말단부(211), 및 제2 돌출부재(312)를 가로지르게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가압단부(2)의 말단부(211)가 제1 돌출부재(311)와 제2 돌출부재(312)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축 유닛(33)이 제1 돌출부재(311), 가압단부(2)의 말단부(211) 및 제2 돌출부재(312)를 순차적으로 가로지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지지단부(1)의 말단부(111)를 가로지르는 축 유닛(33)과 유사하게, 가압단부(2)의 말단부(211)를 가로지르는 축 유닛(33)은 가압단부(2)의 회전을 허용하는 회전허용형 축부(331), 그리고 회전허용형 축부(331)와 연결되고, 가압단부(2)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제한형 축부(3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같이 가압단부(2)에 대응하는 축 유닛(33)은, 가압단부(2)의 말단부(211)가 회전허용형 축부(331)와 맞물리는 회전허용상태 및 가압단부(2)의 말단부(211)가 회전제한형 축부(332)의 적어도 일부와 맞물리는 회전제한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놓이도록,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허용상태 및 회전제한상태는 지지단부(2)에 대응하는 축 유닛(33)과 관련하여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 1을 참조하면, 가압단부(2)에 대응하는 축 유닛(33)이 가로지르도록 제1 돌출부재(311)에 형성된 홀(311a)은 회전허용형 축부(331)에 대응하는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가압단부(2)에 대응하는 축 유닛(33)이 가로지르도록 가압단부(2)의 말단부(211)에 형성된 홀(211a)은 회전제한형 축부(332)에 대응하는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가압단부(2)에 대응하는 축 유닛(33)이 가로지르도록 제2 돌출부재(312)에 형성된 홀(312a)은 회전제한형 축부(332)에 대응하는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회전허용형 축부(331)의 단면은 원형일 수 있다. 또한, 회전제한형 축부(332)의 단면은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의 패턴이 반복되는 도형일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홀(311a, 211a, 312a)에 대해서는 지지단부(2)에 대응하는 제1 돌출부재(311) 및 제2 돌출부재(312)와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가압단부(2)에 대응하는 축 유닛(33)은 탄성부재(3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333)는, 외부 압력 작용 시에는 축 유닛(33)을 회전허용상태가 되도록 탄성 이동시키고, 외부 압력 미작용 시에는 축 유닛(33)을 회전제한상태가 되도록 탄성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333) 및 이를 통한 축 유닛(33)의 탄성 이동에 대해서는 지지단부(2)에 대응하는 축 유닛(33)과 관련하여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본원에 의하면, 잇몸(600)을 지지하는 가압단부(2)를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키고 고정할 수 있어, 구강 내 서로 다른 위치(이를 테면 하악, 상악좌측, 상악전치, 상악우측 등)에 자리잡고 있는 각각의 치아에 대하여 높은 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조작기구(3)는 지지단부(1)와 가압단부(2)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구성이다.
예시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조작기구(3)는 교차되는 부분이 상호 힌지 결합되는 제1 조작부재(301) 및 제2 조작부재(30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조작부재(301)의 타측과 제2 조작부재(302)의 타측은 수동 조작 가능한 손잡이 부분일 수 있다. 또한, 지지단부(1)는 제1 조작부재(301)의 일측에 연결되고, 가압단부(2)는 제2 조작부재(302)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조작기구(3)의 작동 방식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면, 제1 조작부재(301)의 타측과 제2 조작부재(302)의 타측을 수동 조작을 통해 서로 간격을 벌리면, 상호 힌지 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제1 조작부재(301)의 일측과 제2 조작부재(302)의 일측 또한 간격이 벌어지게 된다. 이러한 작동 방식에 따라, 제1 조작부재(301)의 일측에 연결되는 지지단부(1)와 제2 조작부재(302)의 일측에 연결되는 가압단부(2) 사이의 이격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조작기구(3)의 간격 조절 방식은 벤치, 니퍼, 가위 등의 작동 방식과 유사하므로 이들을 참작하여 이해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원에 의하면, 지렛대의 지지대 역할을 하는 지지단부(1)와, 이러한 지지대를 축으로 발치를 위한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단부(2)를 구비함으로써, 종래의 집게 방식의 발치용 포셉에 비해 훨씬 효율적이면서도 안정적인 지렛대 방식의 발치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원에 의하면, 지지단부(1) 또는 가압단부(2)의 고정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함으로써, 구강 내 서로 다른 위치(이를 테면 하악, 상악좌측, 상악전치, 상악우측 등)에 자리잡고 있는 각각의 치아에 대하여 각도 조절을 통해 안정적인 발치를 수행할 수 있어, 높은 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원에 의하면, 지지단부(1)에서 지지대 역할을 하는 회전형 지지부재(13a)가 미리 설정된 회전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잇몸(600)을 받쳐주는 지지면(131)이 본 발치용 포셉이 꺾어지는 각도에 크게 관계없이 항상 잘 밀착될 수 있어, 지지단부(1)가 잇몸(600)에 접촉됨으로 인해 잇몸(600)이 찢어지거나 잇몸(600)에 멍이 드는 문제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원의 도면들의 부호를 예시하면 아래와 같을 수 있다.
1: 지지단부 1a: 지지단 회전축
11: 지지몸체 11a: 지지몸체의 일면
111: 지지단부의 말단부 111a: 홀
112: 개구부 13: 회전형 지지부재
13a: 회전형 지지부재의 일면 13b: 회전형 지지부재의 타면
131: 지지면 132: 돌기부
132a: 통과 홀 133: 커버부
15: 핀 유닛
2: 가압단부 2a: 가압단 회전축
211: 가압단부의 말단부 211a: 홀
3: 조작기구 301: 제1 조작부재
302: 제2 조작부재 31: 연결부
311: 제1 돌출부재 311a: 홀
312: 제2 돌출부재 312a: 홀
33: 축 유닛 331: 회전허용형 축부
332: 회전제한형 축부 333: 탄성부재
334: 고정부재 335: 둘레고정부
500: 치아 600: 잇몸

Claims (13)

  1. 발치용 포셉에 있어서,
    치아의 일측과 이웃하는 잇몸을 지지하는 지지면을 갖는 지지단부;
    상기 치아의 타측과 접촉되는 선단을 갖는 가압단부; 및
    상기 지지단부와 상기 가압단부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조작기구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단부는, 상기 가압단부와 마주하는 방향을 지지단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거나 소정의 회전 각도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조작기구에 연결되고,
    상기 가압단부는, 상기 지지단부와 마주하는 방향을 가압단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거나 소정의 회전 각도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조작기구에 연결되는 것인 발치용 포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기구는,
    상호 이격되어 돌출되는 제1 돌출부재 및 제2 돌출부재를 구비하는 연결부; 및
    상기 제1 돌출부재, 상기 제1 돌출부재와 상기 제2 돌출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상기 지지단부의 말단부, 및 상기 제2 돌출부재를 가로지르는 축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축 유닛은,
    상기 지지단부의 회전을 허용하는 회전허용형 축부; 및
    상기 회전허용형 축부와 연결되고, 상기 지지단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제한형 축부를 포함하는 것인 발치용 포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 유닛은, 상기 지지단부의 말단부가 상기 회전허용형 축부와 맞물리는 회전허용상태 및 상기 지지단부의 말단부가 상기 회전제한형 축부의 적어도 일부와 맞물리는 회전제한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놓이도록,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한 것인 발치용 포셉.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축 유닛은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외부 압력 작용 시에는 상기 축 유닛을 상기 회전허용상태가 되도록 탄성 이동시키고, 외부 압력 미작용 시에는 상기 축 유닛을 상기 회전제한상태가 되도록 탄성 이동시키는 것인 발치용 포셉.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 유닛이 가로지르도록 상기 제1 돌출부재에 형성된 홀은 상기 회전허용형 축부에 대응하는 단면을 가지고,
    상기 축 유닛이 가로지르도록 상기 지지단부의 말단부에 형성된 홀은 상기 회전제한형 축부에 대응하는 단면을 가지며,
    상기 축 유닛이 가로지르도록 상기 제2 돌출부재에 형성된 홀은 상기 회전제한형 축부에 대응하는 단면을 가지는 것인 발치용 포셉.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허용형 축부의 단면은 원형이고,
    상기 회전제한형 축부의 단면은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의 패턴이 반복되는 도형인 것인 발치용 포셉.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기구는,
    상호 이격되어 돌출되는 제1 돌출부재 및 제2 돌출부재를 구비하는 연결부; 및
    상기 제1 돌출부재, 상기 제1 돌출부재와 상기 제2 돌출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상기 가압단부의 말단부, 및 상기 제2 돌출부재를 가로지르는 축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축 유닛은,
    상기 가압단부의 회전을 허용하는 회전허용형 축부; 및
    상기 회전허용형 축부와 연결되고, 상기 가압단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제한형 축부를 포함하는 것인 발치용 포셉.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기구는 교차되는 부분이 상호 힌지 결합되는 제1 조작부재 및 제2 조작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단부는 상기 제1 조작부재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가압단부는 상기 제2 조작부재의 일측에 연결되는 것인 발치용 포셉.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작부재의 타측과 상기 제2 조작부재의 타측은 수동 조작 가능한 손잡이 부분인 것인 발치용 포셉.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단부는,
    상기 조작기구와 연결되는 지지몸체; 및
    상기 지지몸체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몸체와 연결되고, 일면에 상기 지지면이 형성되는 회전형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발치용 포셉.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몸체의 일면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형 지지부재의 타면에는 상기 개구부 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돌기부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형 지지부재의 타면에서 상기 돌기부가 회전되는 축까지의 거리는, 상기 지지몸체의 일면에서 상기 돌기부가 회전되는 축까지의 거리보다 큰 것인 발치용 포셉.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단부는 상기 개구부 내에 상기 돌기부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에는 상기 핀 유닛이 가로지르는 통과 홀이 형성되며,
    상기 통과 홀의 직경은 상기 핀 유닛의 직경보다 큰 것인 발치용 포셉.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단부는 그 선단이 상기 지지단부 측으로 구부러져 형성되는 것인 발치용 포셉.
PCT/KR2015/007194 2014-08-12 2015-07-10 발치용 포셉 WO2016024726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4668 2014-08-12
KR1020140104668A KR101609286B1 (ko) 2014-08-12 2014-08-12 발치용 포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24726A1 true WO2016024726A1 (ko) 2016-02-18

Family

ID=55304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07194 WO2016024726A1 (ko) 2014-08-12 2015-07-10 발치용 포셉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09286B1 (ko)
WO (1) WO201602472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23204A (zh) * 2018-09-21 2019-01-18 徐州工程学院 一种螺旋式拔牙装置
CN114668528A (zh) * 2022-04-19 2022-06-28 杨芸 一种牙科用固定式便捷拔牙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3976B1 (ko) 2020-05-06 2022-09-1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외상성 발치 기구
KR102513962B1 (ko) * 2022-10-27 2023-03-27 주식회사 더이은 치과용 겸자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7055B1 (ko) * 2002-08-26 2006-07-04 더블유. 손 정 치아 상승기
KR20110007782U (ko) * 2010-01-29 2011-08-04 신성재 치아발치용 집게
US20130022939A1 (en) * 2002-11-27 2013-01-24 Beak And Bumper, Llc Dental plier design with offsetting jaw and pad elements for assisting in removing upper and lower teeth utilizing the dental plier design
KR20130055617A (ko) * 2010-04-29 2013-05-28 아달베르토 드 카르발료 베일 무외상 발치를 위한 인체공학적 기구
CN203208136U (zh) * 2013-05-09 2013-09-25 哈尔滨市美中口腔研究所 一种新型的拔牙钳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7055B1 (ko) * 2002-08-26 2006-07-04 더블유. 손 정 치아 상승기
US20130022939A1 (en) * 2002-11-27 2013-01-24 Beak And Bumper, Llc Dental plier design with offsetting jaw and pad elements for assisting in removing upper and lower teeth utilizing the dental plier design
KR20110007782U (ko) * 2010-01-29 2011-08-04 신성재 치아발치용 집게
KR20130055617A (ko) * 2010-04-29 2013-05-28 아달베르토 드 카르발료 베일 무외상 발치를 위한 인체공학적 기구
CN203208136U (zh) * 2013-05-09 2013-09-25 哈尔滨市美中口腔研究所 一种新型的拔牙钳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23204A (zh) * 2018-09-21 2019-01-18 徐州工程学院 一种螺旋式拔牙装置
CN109223204B (zh) * 2018-09-21 2021-01-05 徐州工程学院 一种螺旋式拔牙装置
CN114668528A (zh) * 2022-04-19 2022-06-28 杨芸 一种牙科用固定式便捷拔牙器
CN114668528B (zh) * 2022-04-19 2023-09-26 杨芸 一种牙科用固定式便捷拔牙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9286B1 (ko) 2016-04-05
KR20160019823A (ko) 2016-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24726A1 (ko) 발치용 포셉
WO2013025037A2 (ko) 투명 교정기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투명 교정기용 견인 장치 그리고 투명 교정기 견인 장치용 보조 기구
WO2017166894A1 (zh) 一种可旋转和锁定工具头的工具
WO2016148410A1 (ko) 저작근 운동 기구
WO2015194806A1 (ko) 로봇 손가락 구조체
WO2017047874A1 (ko) 손가락 운동장치
KR20110055468A (ko) 수술대에 부속품을 연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EP3389549A1 (en) Palatal expansion appliance
WO2019177386A1 (ko)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래킷
WO2016119134A1 (zh) 可调扳手
CN107207098A (zh) 云台、成像装置及无人飞行器
WO2016167414A1 (ko) 치열 교정용 브라켓
FR2811215B1 (fr) Pince multifonctions a usage medical comportant deux machoires articulees
WO2019093718A1 (ko) 로봇 암 연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로봇
WO2017026585A1 (ko) 무영등 손잡이의 탈부착 장치
WO2017215394A1 (zh) 旋转力传递组件、感光鼓及处理盒
WO2018020488A2 (ko) 전동 클램핑 장치
WO2014190466A1 (zh) 螺丝批
WO2021251597A1 (en) Cover assembly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WO2017026575A1 (ko) 체결이 간편한 완구용 결합유닛
US1628499A (en) Dental appliance
WO2016027949A1 (ko) 턱관절 교정 장치 및 윙 스페이서
WO2019103294A1 (ko) 인조치아 고정장치
WO2015156536A1 (ko) 진공펌프
WO2018044093A1 (ko) 칫솔모 변형이 가능한 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83147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83147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