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7055B1 - 치아 상승기 - Google Patents

치아 상승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7055B1
KR100597055B1 KR1020030059268A KR20030059268A KR100597055B1 KR 100597055 B1 KR100597055 B1 KR 100597055B1 KR 1020030059268 A KR1020030059268 A KR 1020030059268A KR 20030059268 A KR20030059268 A KR 20030059268A KR 100597055 B1 KR100597055 B1 KR 100597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side member
handle
lifter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9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8992A (ko
Inventor
더블유. 손 정
Original Assignee
더블유. 손 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블유. 손 정 filed Critical 더블유. 손 정
Publication of KR20040018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8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7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7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14Dentists' forceps or the like for extracting tee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발치과정 중에 환자의 입이나 인접 치아의 손상의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치아 상승기를 설명한다. 이 치아 상승기는 서로 대응하는 측부재, 핸들부 및 턱부를 갖는다. 핸들부에 힘이 가해짐에 따라서, 한 쌍의 턱부는 발치할 어금니의 일측으로 함께 밀려진다. 내측으로 굽어진 측부재들이 치아를 상부로 탈구시킴과 동시에 각이진 전면이 치아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헐렁하게 하여 발치되게 한다. 본 치아 상승기의 변형예는 의사가 핸들부를 파지하고 있는 손목의 관절부를 불편하게 들어올리지 않고서도 치아 상승기를 보다 용이하게 환자의 입 속에 위치시킬 수 있게 하는 하향으로 각이진 옵셋을 갖는다. 상기 핸들부는 미끄럼방지부를 가질 수도 있다.
측부재, 핸들부, 턱부, 후면

Description

치아 상승기{Tooth Elevator}
도 1은 핸들부와, 닫힌 상태에서 서로 이격된 턱부와, 하향으로 각이진 옵셋을 나타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
도 1A는 핸들부와, 닫힌 상태에서 서로 거의 접촉하는 턱부와, 하향으로 각이진 옵셋을 나타내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평면도.
도 2A는 도 1A의 실시예의 평면도.
도 3은 윗 치아를 들어올리도록 위치된 도 1의 실시예의 측면도.
도 4는 치아를 후방으로 발치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 1의 실시예의 턱부의 평단면도.
도 5는 치아를 점차 들어올려 후방으로 탈구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도 1의 실시예의 턱부의 상세측면도.
도 6은 치아를 들어올리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 1의 실시예의 턱부의 상세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치아 상승기 15 제 1 측부재
20 제 2 측부재 25 핸들부
30 턱부 35 각이진 전면
40 후면 45 내향으로 굽어진 측부재
50 끝
본 발명은 치공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발치시에 환자의 상해 위험 또는 인접 치아의 손상을 최소화하도록 설계된 치아 상승기에 관한 것이다.
발치 과정 중에 치아를 들어올리기 위해 다양한 공구 및 장치들이 개발되었다. 이런 목적으로 사용되는 대부분의 공통적인 장치는 곧은 상승기이다. 이 공구는 핸들과, 곧은 샤프트와, 둥근 숫가락형의 팁으로 구성된다. 이 상승기는 치아의 근심면(mesial aspect)상의 치조돌기의 종축에 수직하게 놓여지며, 그 팁의 둥근 면은 뼈에 놓여진다. 이 상승기는 치아로부터 회전하여 "퍼올리는" 작용을 하여 치아를 들어올린다. 이 상승기는 치아측으로 회전하여 치아를 나중에 탈구시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이 곧은 상승기는 이런 공구에 가해지는 힘을 조절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만일 의사가 치아를 들어올리려고 하는 중에 미끄러진다면, 환자의 뺨을 꿰뚫거나 인접 치아를 손상시킬 수 있다. 발치작업이 어려운 경우에는 의사들은 흔히 인접치아에 기대어 레버로서 곧은 상승기를 사용하려고 한다. 이렇게 하면 치아가 파손되고 이와 관련되어 합병증이 생긴다.
로드리게즈 델 발(Rodriguez del Val)의 미국특허 제 6,042,379호는 가장 뒤쪽의 윗어금니 또는 그 나머지 부분에 대한 치아상승핀셋에 관한 것이다. 이 참조문헌은 마지막 어금니나 그 뿌리의 나머지부분을 헐겁게 하여 상승시키는데 사용하는 둥근 끝을 가지며 형상이 대략 반월형인 뾰족한 턱을 갖는 총검형 핀셋을 설명한다. 이 핀셋은 핸들부와, 힌지와, 대칭적으로 굽어진 턱을 포함한다. 턱의 끝들은 제 2 윗어금니와 제 3 윗어금니 사이에 삽입되어 그 어금니 또는 뿌리의 나머지를 헐렁하게 하여 들어올린다. 종래의 핀셋들은 발치과정을 완료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은 턱이 단일 작용면만을 갖기 때문에 가장 안쪽의 윗 어금니에 만 유용하고 그 치아를 나중에 탈구시키는데 만 유용하다. 또한 상기 로드리게즈 델 발(Rodriguez del Val)의 핀셋은 인접 치아를 받침대로서 사용하여 인접 치아를 손상시킬 가능성을 초래한다.
죤슨(Johnson)의 미국특허 제 1,507,738호는 제 3 아랫 어금니를 용이하게 발치하기 위해 그 어금니 상에서 작동하도록 사용되는 상승 핀셋을 개시한다. 이 참조특허에 도시된 핀셋은 약간의 옵셋을 갖도록 만들어진 턱이나 부리를 갖는 핀에 의해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는 핸들을 포함하므로, 이 핀셋이 닫혔을 때 팁이 서로 겹치게 될 것이다. 이 턱의 단면은 쐐기형상으로서, 이 구조는 발치될 치아에 쐐기작용을 가한다. 부리들은 또한 전방으로 휘어져있으므로, 핀셋의 턱들이 닫힘에 따라서 치아가 더욱 움직이게 된다.
몽고메리(Montgomery)의 미국특허 제 6,210,161호는 응급치과용 핀셋에 관한 것이다. 이 특허에 도시된 핏셋은 내측면이 오목하게 된 테이퍼형상의 턱을 가지 므로 핀셋을 어금니의 근심표면(mesial surface) 및 원심표면(distal surface)을 파지하는데 사용할 수 있어서 파지부위가 커지며 발치작업이 더 용이하다. 이 턱끝은 치아뿌리의 외측면에 대하여 턱끝을 배치하고 회전력을 인가하여 각 치아뿌리부위를 헐렁하게 하여 치아뿌리를 헐렁하게 하여 보다 용이하게 뽑아낼 수 있게 하는데 이용한다. 본 발명은 좁은 영역 내에서 치아를 파지하기 위한 좁은 한 셋트의 턱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치아를 헐렁하게 하기 위하여 비트는 능력을 제공한다.
그 외의 변형예들도 있지만, 치아 상승기 및 핀셋에 대한 전술한 설계형태가 종래기술의 통상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발치 전에 뒤쪽의 위아래 어금니를 들어올리기 위한 안전하고 효과적인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위 조직의 합병증 및 손상의 기회를 최소화하면서 치아를 들어올리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의 상승기에 비하여 가하는 힘의 양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접근성이 향상된 치아 상승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치아가 쪼개진 지점에 회전드릴로 슬롯을 만든 후에 치아를 구분하는데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치아 상승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큰 힘을 종래의 상승기에 가할 수 없는 의사들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치아 상승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부 목적들이 종래기술에 개시되어있지만, 본 발명의 어느 것도 확인된 모든 필요요건을 갖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바람직한 특징을 갖는 치아 상승기는 다음의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 있다. 서로 짝을 이루는 제 1 측부재 및 제 2 측부재가 제공된다. 측부재의 각각은 핸들부와 이에 대응하는 턱부를 갖는다. 턱부는 핸들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다. 제 1 측부재는 상기 턱부와 상기 핸들부의 사이의 제 2 측부재에 힌지상태로 연결된다.
서로 짝을 이루는 턱부의 각각은 단면이 쐐기형상이며, 각이 진 전면, 후면 및 끝측으로 테이퍼를 이루는 내측으로 굽어진 측부재를 갖는다. 서로 짝을 이루는 턱부는 닫힌 상태에 있을 때, 기다란 타원형상을 형성한다.
짝을 이루는 턱부는 구강측 및 반대측으로부터 윗어금니 또는 아래어금니의 홈 속에 삽입된다. 핸들부에 힘을 가함에 따라서, 한 쌍의 턱부가 세멘트상아 경계에 인접한 어금니의 두정부와 치조골 사이로 함께 밀려들어간다. 내측으로 굽어진 측부재는 어금니를 수직하게 탈구시키는 동시에 각이진 전면이 어금니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어금니를 헐렁하게 하여 발치되게 한다.
본 발명의 일 변형예에 있어서, 한 쌍의 턱부는 하향으로 각이진 옵셋을 구비한다. 이 옵셋은 의사가 핸들부를 파지하고 있는 손목의 관절부를 불편하게 들어올리지 않고서도 치아 상승기를 보다 용이하게 환자의 입 속에 위치시킬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후면은 평면이며, 각이진 전면 및 편평한 후면은 35。 - 70。의 범위의 예각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하향으로 각이진 옵셋은 서로 짝을 이루는 제 1 측부재 및 제 2 측부재에 평행한 면에 대하여 30。 - 60。의 범위를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핸들부는 미끄럼방지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부는 너얼링부, 톱니부, 점각부, 고무코팅부 및 실리콘코팅부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의 마지막 변형예에 있어서, 상기 치아 상승기는 단조강 및 단조스텐레스강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재료로 형성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다음의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 있는 치아 상승기(10)를 도시한다. 서로 짝을 이루는 제 1 측부재(15) 및 제 2 측부재(20)가 제공되는데, 측부재(15, 20)의 각각은 핸들부(25)와 이에 대응하는 턱부(30)를 갖는다. 턱부(30)는 핸들부(25)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다. 제 1 측부재(15)는 상기 턱부(30)와 상기 핸들부(25)의 사이의 제 2 측부재(20)에 힌지상태로 연결된다.
서로 짝을 이루는 턱부(30)의 각각은 단면이 쐐기형상이며 각이진 전면(35), 후면(40) 및 끝(50)측으로 테이퍼를 이루는 내측으로 굽어진 측부재(45)를 갖는다. 서로 짝을 이루는 턱부(30)는 닫힌 상태에 있을 때(60) 기다란 타원형상(55)을 형성한다.
짝을 이루는 턱부(30)는 도 3, 도 4,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강측(80) 및 반대측(85)으로부터 윗어금니(70) 또는 아래어금니(75)의 홈(65) 속에 삽입된다. 핸들부(25)에 힘을 가함에 따라서, 한 쌍의 턱부(30)가 세멘트상아 경계(100)에 인접한 어금니(70, 75)의 두정부(95)와 치조골(90) 사이로 함께 밀려들어간다. 내측으로 굽어진 측부재(45)는 어금니(70, 75)를 수직하게 탈구시키는 동시에 각이진 전면(35)이 어금니(70, 75)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어금니(70, 75)를 헐렁하게 하여 발치되게 한다.
도 3에 도시한 본 발명의 변형예에 있어서, 한 쌍의 턱부(30)는 하향으로 각이진 옵셋(105)을 구비한다. 이 옵셋(105)은 의사가 핸들부(25)를 파지하고 있는 손목(도시하지 않음)의 관절부를 불편하게 들어올리지 않고서도 치아 상승기(10)를 보다 용이하게 환자의 입 속에 위치시킬 수 있게 한다.
도 4에 도시한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후면(40)은 평면이며, 각이진 전면(35) 및 편평한 후면(110)은 35。 - 70。의 범위의 예각(115)을 형성한다.
도 3에 도시한 또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하향으로 각이진 옵셋(105)은 서로 짝을 이루는 제 1 측부재(15) 및 제 2 측부재(20)에 평행한 면(120)에 대하여 30。 - 60。의 범위를 갖는다.
도 1, 도 1A, 도 2, 도 2A 및 도 3에 도시한 또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핸들부(25)는 미끄럼방지부(125)를 구비한다.
도 1, 도 1A, 도 2, 도 2A 및 도 3에 도시한 또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부(125)는 너얼링부(13), 톱니부(도시하지 않음), 점각부(도시하지 않 음), 고무코팅부(도시하지 않음) 및 실리콘코팅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의 마지막 변형예에 있어서, 상기 치아 상승기(10)는 단조강 및 단조스텐레스강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재료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치아상승 발명의 모든 결점들을 해결하며, 전술한 모든 목적들을 만족시킨다.

Claims (7)

  1. 각각 핸들부 및 턱부를 갖는 상호 대응하는 제 1 측부재 및 제 2 측부재를 포함하는 치아 상승기에 있어서,
    상기 턱부(30)는 상기 핸들부(25)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닫힌 상태에서 기다란 타원형을 형성할 수 있도록 각 턱부의 단면이 쐐기형으로서 각이진 전면(35), 후면(40) 및 전방 내측으로 굽어진 측부재(45)를 형성하며,
    상기 제 1 측부재(15)는 상기 턱부와 상기 핸들부의 사이에서 상기 제 2 측부(20)에 힌지상태로 연결되게 구성되되,
    상기 각이진 전면(35) 및 상기 편평한 후면(40)은 35°- 70° 범위의 예각을 형성하고,
    하향으로 각이진 상기 턱부의 옵셋(105)은 서로 짝을 이루는 상기 제 1 측부재(15) 및 제 2 측부재(20)의 평행한 면에 대하여 30°- 60° 범위의 각도를 갖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상승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25)는 미끄럼방지부(125)를 더 구비하되, 너얼링부, 톱니부, 점각부, 고무코팅부 및 실리콘코팅부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상승기.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상승기는 단조강 및 단조스텐레스강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상승기.
KR1020030059268A 2002-08-26 2003-08-26 치아 상승기 KR1005970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228609 2002-08-26
US10/228,609 US7128575B1 (en) 2002-08-26 2002-08-26 Tooth elev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8992A KR20040018992A (ko) 2004-03-04
KR100597055B1 true KR100597055B1 (ko) 2006-07-04

Family

ID=37189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9268A KR100597055B1 (ko) 2002-08-26 2003-08-26 치아 상승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128575B1 (ko)
KR (1) KR10059705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938Y1 (ko) 2007-09-18 2010-06-08 강태현 치과용 겸자
WO2016024726A1 (ko) * 2014-08-12 2016-02-18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발치용 포셉
KR102030922B1 (ko) 2018-04-06 2019-10-10 박규태 치과용 리트랙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87315B2 (en) 2002-11-27 2017-06-27 Beak And Bumper, Llc Dental plier design with offsetting jaw and pad elements for assisting in removing upper and lower teeth utilizing the dental plier design
US9655689B2 (en) 2005-03-31 2017-05-23 Beak And Bumper, Llc Forceps for molar extraction
US20080254410A1 (en) * 2007-02-05 2008-10-16 Richard Golden One-handle oral extraction device
US20110027754A1 (en) * 2005-03-31 2011-02-03 Richard Golden Dental pliers with adjustable bumper
US20100266983A1 (en) * 2009-04-16 2010-10-21 Tze Chuen Ng Device for loosening or extracting a wisdom tooth
US9173719B2 (en) 2013-11-08 2015-11-03 Beak And Bumper, Llc Force applying attachment, kit and method for pre-loosening a tooth in order to facilitate removal thereof
USD748261S1 (en) * 2014-09-26 2016-01-26 American Orthodontics Corporation Handle for an orthodontic instrument
USD753304S1 (en) * 2015-01-20 2016-04-05 Shabbir Ahmed Gul Dental elevator
USD890342S1 (en) * 2018-06-05 2020-07-14 Tina Storz-Mazzeo Dental instrument
CN109157293A (zh) * 2018-09-03 2019-01-08 张珈源 一种力道可控、角度可调的液压拔牙器
BE1026542B1 (nl) * 2018-12-21 2020-03-09 Annalyn Garcia Chirurgisch instrument
KR102252139B1 (ko) * 2019-12-12 2021-05-13 김태경 임플란트의 픽스쳐에 체결된 어버트먼트 취출장치
KR102261478B1 (ko) * 2019-12-12 2021-06-04 김태경 임플란트의 픽스쳐에 체결된 어버트먼트 취출키트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716A (en) 1868-03-17 Samuel woolverton
US491932A (en) 1893-02-14 Dental forceps
US1376005A (en) 1920-03-04 1921-04-26 Sylvester T Cohane Forceps
US1395714A (en) 1921-04-12 1921-11-01 Johnson Albert Baxter Forceps
US1507738A (en) 1923-01-12 1924-09-09 Johnson Albert Baxter Forceps
US1626226A (en) * 1925-08-20 1927-04-26 Cantor Osias Dental forceps
FR603327A (fr) 1925-08-21 1926-04-13 Davier spécial pour extraction des molaires inférieures de six et de douze ans
US1730230A (en) 1926-03-16 1929-10-01 Miller John Edward Dental forceps
US1675815A (en) 1927-03-26 1928-07-03 John E Miller Dental forceps
US1762888A (en) 1928-05-17 1930-06-10 George P Roberts Dental forceps
US2030798A (en) 1934-02-12 1936-02-11 George C Krajeski Dental forceps
US2497254A (en) 1947-09-29 1950-02-14 Brantley Warner Morel Attachable fulcrum for dental forceps
US2632248A (en) 1949-12-05 1953-03-24 Fred L Koehler Dental pliers
US2944341A (en) 1958-06-27 1960-07-12 Henry M Lane Dental forceps
US4031624A (en) 1976-01-15 1977-06-28 Werner Heimann Extraction forceps for upper molars
US5421721A (en) * 1992-04-14 1995-06-06 Fyffe; David Dental forceps
ES2147113B1 (es) 1998-01-27 2001-04-01 Corporacion O I B S L Forceps elevador dental para los ultimos molares superiores o sus restos.
US6394805B1 (en) * 1999-11-09 2002-05-28 Jennifer L. Rabal Dental crown remover with basket
US6210161B1 (en) 1999-11-22 2001-04-03 Joseph William Montgomery Breakdown dental forcep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938Y1 (ko) 2007-09-18 2010-06-08 강태현 치과용 겸자
WO2016024726A1 (ko) * 2014-08-12 2016-02-18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발치용 포셉
KR101609286B1 (ko) 2014-08-12 2016-04-05 박병활 발치용 포셉
KR102030922B1 (ko) 2018-04-06 2019-10-10 박규태 치과용 리트랙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8992A (ko) 2004-03-04
US7128575B1 (en) 2006-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7055B1 (ko) 치아 상승기
US5833460A (en) Controlled force crown and bridge remover
US7249948B2 (en) Ergonomic dental instruments for small hands
US20180116769A1 (en) Removable and adjustable abutment devices and methods of operation thereof
RU2553493C2 (ru) Эргономичный инструмент для атравматического удаления зуба
US9655689B2 (en) Forceps for molar extraction
KR101607227B1 (ko) 치과용 보철의 제거부재 및 그 제조방법
US5057016A (en) Forceps having replaceable tips for removing a dental prosthetic
US4609353A (en) Dental apparatus for removing crowns
US20080187885A1 (en) One handle oral extraction device with variable clearances between hook and pad support portions
US11576749B2 (en) Dental surgery method and device
US5122058A (en) Forceps with inserts for removing premolar and anterior dental crowns
US10772493B2 (en) Dental retractor
US5197878A (en) Clamp for removing a dental prosthetic
US4179816A (en) Apparatus, methods and instruments for removing dental restorations
US20140234799A1 (en) Dental Crown Removal Apparatus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6210161B1 (en) Breakdown dental forceps
US20220218437A1 (en) Locking dental forceps for tooth extraction
US7306461B2 (en) Carrier and seating instrument for dental devices
US2005027200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al of a dental veneer
US478217A (en) Dental forceps
CN215306856U (zh) 一种正畸去冠钳
CN209984326U (zh) 儿童下颌乳前牙牙拔牙钳
JP6281925B1 (ja) 歯科用ツール
JPH0833649A (ja) 歯科用ピン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