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3962B1 - 치과용 겸자 - Google Patents

치과용 겸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3962B1
KR102513962B1 KR1020220140441A KR20220140441A KR102513962B1 KR 102513962 B1 KR102513962 B1 KR 102513962B1 KR 1020220140441 A KR1020220140441 A KR 1020220140441A KR 20220140441 A KR20220140441 A KR 20220140441A KR 102513962 B1 KR102513962 B1 KR 102513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hole
fixing part
vertical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0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이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이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이은
Priority to KR1020220140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39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3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3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14Dentists' forceps or the like for extracting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812Surgical forceps with a single pivotal connection
    • A61B17/282Ja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겸자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호 교차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몸체; 상기 한 쌍의 몸체로부터 각각 상하 방향을 향해 라운드지게 연장되며, 끝단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선단홀이 형성되는 한 쌍의 선단부; 상기 한 쌍의 선단부 중 어느 하나의 선단부에 연결되는 제 1 고정부; 상기 한 쌍의 선단부 중 다른 하나의 선단부에 연결되는 제 2 고정부; 상기 어느 하나의 선단부의 선단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 1 고정부가 상하 및 좌우 방향 회전 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제 1 회전가이드; 및 상기 다른 하나의 선단부의 선단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 2 고정부가 상하 및 좌우 방향 회전 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제 2 회전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치과용 겸자 {Dental forceps}
본 발명은 치과용 겸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겸자(forceps)는 외과영역의 수술 또는 처치에 쓰이는 기구를 의미한다 일례로, 상기 겸자는 조직 또는 기관을 받치거나 집거나 누르기 위한 용구로 사용된다.
상기 겸자는 대략 가위 모양을 가진다. 일례로, 겸자는 둘로 갈라진 끝 부분 및 상기 끝 부분에 이어진 손잡이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겸자의 손잡이 부분을 움직여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겸자는 형상에 따라 악구 겸자, 맥립 겸자, 유구 겸자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선단부가 가늘게 형성된 겸자는 켈리 겸자라고 호칭하기도 하며, 선단부 크기가 작은 겸자는 모스키토 겸자라고 호칭하기도 한다. 한편, 상기 겸자는 목적에 따라 동맥 겸자, 압좌 겸자, 절단 겸자, 고정 겸자, 지혈 겸자, 분만 겸자 등으로 구분할 수도 있으며, 고안자의 이름을 따서 구분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겸자는 치아, 구강 및 그 관련조직을 치료하는 치과에서도 활용된다. 일례로, 상기 겸자는 구강 내 상처 봉합, 손상 또는 결손의 수복, 피부 조직의 접합 또는 발치 등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치과의 시술에서 잇몸의 봉합은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어, 발치, 치주 수술, 임플란트 식립 등 치과의 다양한 시술에서 잇몸의 봉합은 빈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위생적이고 안전하며 의료적인 효과가 우수하도록 수행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잇몸의 봉합을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의료용 바늘(needle, 또는 봉합침)에 의료용 실(이하, ‘봉합사’라고 한다.)을 연결한 후, 상기 바늘이 잇몸의 상처 조직을 관통함으로써 상기 봉합사에 의해 상처 부위가 폐쇄되도록 꿰매는 시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잇몸의 봉합은 치과의사와 같은 시술자의 숙련도에 따라 결과에 편차가 생기며, 상기 숙련도를 익히기 위해서는 수개월에서 수년의 수련 시간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치과 시술의 경우 볼과 같은 피부 조직이 치아를 향해 위치할 수 있어서 시술자의 시야를 가리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보조자가 환자의 볼을 치아 바깥 방향으로 시술이 끝날 때까지 가압 또는 지지해주면서 시술자의 시야를 확보해 주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만약, 시술자의 시야 확보가 어렵다면 상처 봉합 등의 시술 난이도가 상대적으로 높아지고 시술 시간도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시술 시간에 비례하여, 환자의 불편함도 커질 것이다.
또한, 구강 구조에서 어금니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시술 위치가 깊숙이 위치한 경우, 종래 겸자로는 시술자의 시야를 확보하면서 시술 위치로 겸자를 접근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KR 10-2015-0124214 A, 생체 조직을 가압하기 위한 의료 겸자 KR 10-2018-0113760 A, 의료용 포착겸자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치과용 겸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치과 시술 중 봉합 시술의 난이도를 상대적으로 낮추면서도 안전하게 시술이 수행하도록 가이드하는 치과용 겸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대적으로 단단한 잇몸 조직의 일 부분에 고정되어 안정적이고 빠른 봉합 시술을 가이드하는 치과용 겸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술자가 환자의 구강내 시야를 쉽게 확보하도록 구조적 해결수단을 갖춘 치과용 겸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술 위치에 따라 상, 하, 좌, 우 회전 가능한 치과용 겸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겸자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호 교차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몸체; 상기 한 쌍의 몸체로부터 각각 상하 방향을 향해 라운드지게 연장되며, 끝단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선단홀이 형성되는 한 쌍의 선단부; 상기 한 쌍의 선단부 중 어느 하나의 선단부에 연결되는 제 1 고정부; 상기 한 쌍의 선단부 중 다른 하나의 선단부에 연결되는 제 2 고정부; 상기 어느 하나의 선단부의 선단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 1 고정부가 상하 및 좌우 방향 회전 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제 1 회전가이드; 및 상기 다른 하나의 선단부의 선단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 2 고정부가 상하 및 좌우 방향 회전 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제 2 회전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회전가이드 및 상기 제 2 회전가이드는, 각각, 상기 제 1 고정부 또는 상기 제 2 고정부의 외측면에 접촉하는 고정본체; 상기 고정본체로부터 수직축(v)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선단홀을 관통하도록 삽입되는 수직샤프트; 및 상기 수직샤프트가 상기 선단홀에서 상기 수직축(v)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수직조인트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 고정부와 상기 제 2 고정부가 좌우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회전가이드 및 상기 제 2 회전가이드는, 각각, 상기 수직축(v)과 수직한 수평축(h)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본체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회전본체; 상기 회전본체로부터 상기 수평축(h)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회전본체와 함께 회전하며, 상기 제 1 고정부 또는 상기 제 2 고정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관통 배치는 수평샤프트; 및 상기 수평샤프트가 상기 제 1 고정부 또는 상기 제 2 고정부에 결합되도록 체결되는 수평조인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본체 및 수평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 고정부와 상기 제 2 고정부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본체는,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어 상기 수평샤프트의 회전을 위해 드라이버가 끼워지는 함몰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샤프트는 반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 1 고정부 또는 상기 제 2 고정부에 상하 방향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결합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고정부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는 제 1 고정판; 상기 제 1 고정판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회전가이드가 관통 결합되는 제 1 가이드홀; 의료용 바늘과 봉합사가 양측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 1 니들홀; 및 상기 제 1 니들홀의 관통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제 1 고정판이 개방되도록 상기 제 1 니들홀로부터 공간을 연장하는 제 1 봉합사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고정부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는 제 2 고정판; 상기 제 2 고정판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회전가이드가 관통 결합되는 제 2 가이드홀; 상기 제 1 니들홀에 대응 형성되어 상기 의료용 바늘과 봉합사가 양측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 2 니들홀; 및 상기 제 2 니들홀의 관통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제 2 고정판이 개방되도록 상기 제 2 니들홀로부터 공간을 연장하며, 상기 제 1 봉합사홀에 대응 형성되는 제 2 봉합사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니들홀 및 상기 제 1 봉합사홀은 상기 제 1 고정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복수개로 구비되며, 상기 제 2 니들홀 및 상기 제 2 봉합사홀은, 상기 제 1 니들홀 및 상기 제 1 봉합사홀에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고정부는, 상기 제 1 니들홀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봉합사홀에 반대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 1 고정판에 형성되며, 양측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고정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고정부는, 상기 고정홀에 대응하도록 내측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고정핀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핀은 상기 고정홀에 수용 또는 관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겸자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손잡이의 동작에 따라 열리거나 닫히는 몸체; 상기 몸체의 끝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와 함께 열리거나 닫히는 선단부; 상기 선단부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상하 회전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선단부에 결합되는 회전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가이드는 탄성 이동에 의해 상기 고정부의 상하 회전 각도를 조절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대상물을 가압하거나 대상물에 고정될 수 있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외측면에서 수평축(h)을 따라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샤프트; 상기 회전샤프트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돌출되는 회전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수평축(h)을 중심으로 상하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가이드는, 지지본체; 및 상기 지지본체로부터 상기 수평축(h)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회전샤프트가 내부로 삽입되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샤프트삽입관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샤프트는, 상기 샤프트삽입관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어 양측 방향으로 탄성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샤프트삽입관은 외주면에 소정의 직경을 가지도록 관통 형성된 홀이 소정의 길이만큼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인출가이드홈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샤프트는 상기 인출가이드홈과 반경 방향을 향해 정렬되도록 관통 형성되는 체결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출가이드홈 및 상기 체결홀에 체결되는 제한 나사는, 상기 인출가이드홈에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되어 상기 회전샤프트의 이동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샤프트삽입관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회전샤프트의 끝 단부와 결합되는 탄성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샤프트삽입관은 상기 회전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부의 상하 회전을 미리 설정된 각도로 고정하는 다수의 돌기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돌기홀은, 상기 수평축(h)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돌기홀은, 상기 샤프트삽입관으로부터 수직축(v)과 평행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돌기홀; 상기 제 1 돌기홀과 수평축(h)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이격되는 제 2 돌기홀; 및 상기 제 2 돌기홀과 원주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이격되는 제 3 돌기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가이드는, 상기 지지본체로부터 상기 수평축(h)에 수직한 수직축(v)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선단부에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샤프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겸자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호 교차하도록 형성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로부터 라운드지게 연장되며, 끝단에 선단홀이 형성되는 선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강내 대상물에 고정되도록 다수의 고정핀과 고정홀을 가지며, 상기 선단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부; 상기 선단홀을 따라 위치되는 수직축(v)을 중심으로 상기 고정부의 좌우 회전을 가이드하고, 상기 수직축(v)에 수직한 수평축(h)을 중심으로 상기 고정부의 상하 회전을 가이드하며, 상기 선단부와 결합하는 회전가이드; 및 상기 고정부의 전단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절곡 연장되는 푸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한 쌍의 고정부로 구비되며, 상기 푸시부는 상기 한 쌍의 고정부에 대응되도록 한 쌍의 푸시부로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푸시부는 동일한 형상과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핀과 고정홀이 형성되는 고정판; 상기 대상물의 봉합을 위해 바늘과 봉합사가 양측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니들홀; 및 상기 니들홀로부터 상기 고정핀과 고정홀이 위치하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공간을 연장하는 봉합사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푸시부는, 상기 고정판의 전단 모서리에 결합하는 연결부; 상기 제 1 연결부로부터 라운드지게 절곡되어 상기 봉합사홀의 연장 또는 개방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몸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 1 고정판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푸시부는, 상기 고정부의 전단 모서리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는 연결부; 상기 제 1 연결부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된 후 소정의 높이가 형성되도록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기 지지부; 및 상기 제 1 지지부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90도 절곡되어 상기 고정부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는 거울이 결합되거나 또는 거울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푸시부는 ‘ㄱ’ 형상을 가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한 쌍의 고정부가 상대적으로 잇몸의 단단한 조직(부착치은)에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상처의 위치 및 봉합사의 매듭 위치를 안정적으로 가이드 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상처의 봉합을 위해 의료용 바늘과 봉합사가 관통하는 위치를 상대적으로 이상적인 간격과 깊이로 가이드할 수 있기 때문에 시술의 난이도를 상대적으로 낮출 수 있으며, 쉽게 상처를 봉합할 수 있다. 더하여, 시술을 상대적으로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상대적으로 구강 내 깊숙이 위치한 상처로 접근하기 위해 고정부의 각도를 변경하거나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시술자의 시야를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확보하면서 시술 위치로 고정부를 접근 및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어금니(또는 구치)가 앞니(또는 전치) 보다 구강 내 깊숙이 위치하기 때문에, 구강 구조상 몸체 기준으로 고정부의 각도를 앞니의 경우 보다 크게 회전시켜 접근 및 고정시키는 것이 시술에 유리하다.
본 발명을 따르면, 상처 또는 시술 위치에 따라 고정부를 상, 하, 좌, 우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위치적 자유도가 높아지며,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시술 위치에서 다른 피부조직의 간섭을 피하도록 푸시부가 시술을 위한 최소한의 공간을 확보해 주기 때문에, 시술자는 상대적으로 편리하게 시술 공간과 시야를 확보할 수 있으며, 보조자의 도움 없이도 시야를 확보하며 시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겸자의 닫힌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겸자의 열린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영역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가이드의 구성을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겸자의 열린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겸자의 닫힌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겸자의 열린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겸자(1)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손잡이(10,15), 상기 손잡이(10,15)로부터 길게 연장되는 몸체(20,25) 및 상기 몸체(20,25)로부터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선단부(30,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0,15), 몸체(20,25) 및 선단부(30,35)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몸체(20,25)는 ‘X’ 형상으로 교차되도록 연장되어 손잡이에 끼워 넣은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한 쌍의 선단부(30,35)를 멀어지게 하거나(열림 동작) 오므리도록(닫힘 동작) 조작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손잡이(10,15), 몸체(20,26) 및 선단부(30,35)는 전체적으로 가위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선단부(30,35)는 상방 또는 하방으로 벤딩되도록 연장되어 상기 손잡이(10,15)와 높이 차를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한 쌍의 손잡이(10,15)는 어느 한 손가락이 끼워지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일측 손잡이(10) 및 다른 한 손가락이 끼워지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타측 손잡이(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몸체(20,25)는 상기 한 쌍의 손잡이(10,15)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몸체(20,25)는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다가 교차 지점에서부터 상호 맞물린 상태가 되도록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교차 지점부터 한 쌍의 몸체(20,25)가 맞물린 상태는 손잡이(10,15)가 완전히 닫힌 상태로 이해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한 쌍의 몸체(20,25)는 상기 일측 손잡이(10)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일측 몸체(20) 및 상기 타측 손잡이(15)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타측 몸체(2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일측 몸체(20)와 상기 타측 몸체(25)는 상기 손잡이(10,15)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다가 교차 지점 이후부터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교차 지점에는 상기 일측 몸체(20)와 타측 몸체(25)가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힌지축(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힌지축(미도시)은 상기 일측 몸체(20) 및 상기 타측 몸체(25) 중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되어 다른 하나의 몸체에 형성된 홀(미도시)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축 상에 연결된 한 쌍의 몸체(20,25)가 상기 힌지축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힌지축의 양단은 리벳으로 합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선단부(30,35)는 상기 한 쌍의 손잡이(10,15)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서로 연장 방향을 따라 맞닿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선단부(30,35)는 상기 일측 몸체(20)의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일측 선단부(30) 및 상기 타측 몸체(25)의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타측 선단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측 몸체(20)와 타측 몸체(25)가 서로 교차하도록 연장되기 때문에, 상기 일측 선단부(30)는 “제 2 선단부”, 상기 타측 선단부(35)는 “제 1 선단부”라고 이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단부(30,35)는 끝 단부에는 평면으로 형성되는 선단면(31,3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선단면(31,36)은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선단홀(32,37)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선단면(31,36) 및 선단홀(32,37)은 후술할 회전가이드(210,220)를 고정시키는 동시에 좌우 방향 회전을 가이드하는 위치로 이해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상기 선단홀(32,37)에는 고정부(100)의 좌우 방향의 회전축(v, 또는 수직축)이 위치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손잡이(10,15) 또는 상기 한 쌍의 몸체(20,26)에는, 한 쌍의 선단부(30,35)를 모은 후 고정 상태를 유지하거나, 한 쌍의 손잡이(10,15)가 벌려지거나 오므려지는 동작에서 가이드될 수 있도록 서로 맞물리는 한 쌍의 손잡이돌기(11,16)를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일측 손잡이(10)는 상기 타측 손잡이(15)를 향하여 일 직선으로 돌출되는 일측 손잡이돌기(11)를 가지며, 상기 타측 손잡이(15)는 상기 일측 손잡이(10)를 향하여 일 직선으로 돌출되는 타측 손잡이돌기(16)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손잡이돌기(11,16)는 서로 형합되는 형상으로 맞물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과용 겸자(1)는 상기 선단부(30,35)에 연결되어 대상물에 압력을 가하거나 대상물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부(100)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100)는 상기 선단부(30,35)에 일측 모서리가 위치하도록 연결되며, 전방을 향하여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00)는 상기 선단부(30,35)의 단부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부(100)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고정부(100)는 상기 제 1 선단부(35)와 연결되는 제 1 고정부(110) 및 상기 제 2 선단부(30)와 연결되는 제 2 고정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상기 제 1 고정부(110) 및 제 2 고정부(120) 중 어느 하나의 고정부는 고정핀(125)을 가지며 다른 하나의 고정부는 상기 고정핀이 수용 또는 관통되는 고정홀(115)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손잡이(10,15)가 열림 동작이 될 때, 교차 지점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한 쌍의 선단부(30,35)는 서로 멀어지도록 벌려진다. 이때, 상기 힌지축(미도시)을 중심으로 멀어지기 때문에, 상기 한 쌍의 선단부(30,35)는 서로 원호 궤적을 그리며 멀어진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고정부(100)는 닫힌 상태에서는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평행하게 위치되어 있다가, 열림 동작이 진행되면서 상호 대각선 또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 즉, 전방을 향할수록 상기 한 쌍의 고정부의 상호 거리가 멀어지게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간격이 전방을 향하여 상대적으로 멀어지는 경우, 대상물을 가압 및/또는 고정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여기서, 상기 대상물은 구강 내 상처, 잇몸, 치아, 피부 조직 등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대상물의 위치를 시술 위치라고 표현할 수도 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겸자(1)는 상기 고정부(100)가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선단부(30,35)에 결합되는 회전가이드(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단부(30,35)와 상기 고정부(100)가 이루는 상하 각도가 고정되어 있다면, 구강 내 깊숙이 위치하는 어금니 등으로 고정부(100)가 접근할 때 사용자의 시야를 방해하고 잇몸, 상처, 피부 조직 등과 같은 대상물에 고정 또는 가압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가이드(200)는 상기 고정부(100)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가이드(200)는 상기 고정부(100)가 상기 선단부(30,35)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 및/또는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A 영역 확대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선단부(35, 또는 타측 선단부)는 연장 방향의 끝 단부에 평평한 선단면(36)이 형성되고, 상기 선단면(36)의 상하 방향을 관통하는 선단홀(37)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선단부(30, 또는 일측 선단부)도 마찬가지로 선단면(31) 및 상기 선단면(31)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선단홀(32)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선단부(35)의 선단면(36)은 “제 1 선단면”, 상기 제 2 선단부(30)의 선단면(31)은 “제 2 선단면”으로 이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1 선단부(35)의 선단홀(37)은 “제 1 선단홀”, 상기 제 2 선단부(30)의 선단홀(32)은 “제 2 선단홀”로 이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단면(31,36)이 형성되는 선단부(30,35)의 끝 단부는, 대략적으로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선단부(30,35)의 끝 단부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d1)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고정부(110)는 상기 제 1 선단홀(37)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 1 선단면(36)과 연결되며, 상기 제 2 고정부(12)는 상기 제 2 선단홀(37)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 2 선단면(31)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고정부(110) 및 상기 제 2 고정부(120)는, 고정핀(125)과 상기 고정핀(125)에 대응하는 고정홀(115)의 형성 여부만 반대될 뿐, 상호 동일한 구성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고정부(110)에 고정홀(115)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고정부(120)에 고정핀(125)이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것이다.
상기 제 1 고정부(110)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의 제 1 고정판(111), 상기 제 1 고정판(111)에 의료용 바늘이 좌우(또는 양측)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 1 니들홀(113), 상기 제 1 니들홀(113)의 관통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제 1 니들홀(113)로부터 공간을 연장하는 제 1 봉합사홀(114) 및 상기 제 1 니들홀(113)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봉합사홀(114)에 반대측에 위치되어 좌우(또는 양측)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고정홀(11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고정부(120)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의 제 2 고정판(121), 상기 제 2 고정판(121)에 의료용 바늘이 좌우(또는 양측)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상기 제 1 니들홀(113)에 대응 형성되는 제 2 니들홀(123), 상기 제 2 니들홀(123)의 관통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제 2 니들홀(123)의 공간을 연장하며 상기 제 1 봉합사홀(114)에 대응 형성되는 제 2 봉합사홀(124) 및 상기 제 2 니들홀(123)을 기준으로 상기 제 2 봉합사홀(124)에 반대측에 위치되어 상기 고정홀(115)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고정핀(12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기준으로, 상기 봉합사홀(114,124)이 상기 니들홀(113,123)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면, 상기 고정핀(125) 및 상기 고정홀(115)은 상기 니들홀(113,123)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고정핀(125) 및 고정홀(115)은 구강 내 잇몸 중 상대적으로 단단한 부착치은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판(111,121)에서 위치할 필요가 있다. 상기 부착치은은 상대적으로 잇몸 깊숙한 부분이기 때문에, 상처의 위치는 부착치은보다 외부에 더 가깝게 위치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고정핀(125)과 상기 고정홀(115)은 상기 니들홀(113,123)을 기준으로 보다 잇몸 방향에 가깝게 위치되고, 상기 봉합사홀(114,124)은 상기 니들홀(11,31,23)을 기준으로 보다 외부 방향에 가깝게 위치될 필요가 있다.
한편, 상기 제 1 니들홀(113)은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니들홀(113)은 상기 고정판(111)의 전후 방향으로 상호 이격 배치되며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4개의 홀(1131,1132,1333)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봉합사홀(114)도 4개의 홀(1141,1142,1143)로 형성되어 각각의 니들홀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니들홀(113)에 대응 형성되는 제 2 니들홀(123)도 마찬가지로 4개의 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봉합사홀(114)에 대응 형성되는 제 2 봉합사홀(124)도 4개의 홀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봉합사홀(114,1141,1142,1143) 간의 간격은 미리 설정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의 봉합사홀 간의 간격은 3mm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봉합사에 의해 상처를 꿰매는 매듭 간격이 상술한 고정부(110,120)의 구조에 의해 정해지기 때문에, 시술자가 숙련도에 따라 눈대중으로 봉합사를 관통시킨 후 상처를 봉합하는 종래의 방식보다 이상적인 간격과 위치로 상처 봉합을 할 수 있으며, 봉합사의 봉합 위치가 가이드되어 시술 난이도를 상대적으로 낮출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홀(115)도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홀(115)은 상기 복수의 제 1 니들홀(113,1131,1132,1333)의 사이 위치마다 소정의 길이만큼 상방(도 3 기준)으로 이격되는 5개의 홀(1151,1152,1153,1154)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홀(114)에 대응 형성되는 고정핀(125)도 마찬가지로 복수개(1251,1252,1253,1254)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핀(125)은 상기 고정홀(115)을 향하여 지름이 작아지는 원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고정핀(125)과 고정홀(115)에 의하면, 상기 치과용 겸자(1)가 대상물 또는 시술 부위를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시술자는 상처가 벌어지거나 탈락되는 걱정없이 시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고정핀(125)의 고정력에 의해 봉합의 위치를 장시간 정확히 가이드할 수 있으므로 시술 난이도를 상대적으로 낮출 수 있다.
상기 제 1 봉합사홀(114)은 상기 제 1 니들홀(113)의 관통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제 1 고정판(111)이 개방되도록 공간을 연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봉합사홀(114)은, 상기 제 1 니들홀(113)을 통해 양측 방향으로 관통하는 의료용 바늘에 매듭된 봉합사가 제 1 고정판(111)의 구조적 간섭없이 시술 부위를 봉합하도록 개방된 공간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 1 봉합사홀(114)에 대응 형성되는 상기 제 2 봉합사홀(124)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제 1 봉합사홀(114)에 대한 설명을 원용한다.
예를 들어, 발치된 잇몸을 봉합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겸자(1)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제 1 고정판(111)과 상기 제 2 고정판(121)은 고정핀(125) 및 고정홀(115) 결합에 의해 잇몸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고, 봉합사가 매듭된 의료용 바늘은 니들홀(113,123)을 관통하면서 상처 부위를 꿰매어 봉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고정판(111)과 상기 제 2 고정판(121)은 서로 멀어지면서 잇몸으로부터 분리되고, 상처 부위를 꿰매어 매듭된 봉합사는 외측 또는 바깥 방향으로 개방 형성된 봉합사홀(114,124)에 상처 부위를 봉합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즉, 상기 봉합사홀(114,124)이 형성되지 않는다면 상처를 꿰맨 봉합사가 고정판(111,121)의 바깥으로 둘러싸는 간섭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고정부(110) 및 상기 제 2 고정부(120)는, 각각, 상기 회전가이드(200)와 결합하는 가이드홀(1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홀(112)은 상기 회전가이드(2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고정판(111,121)이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가이드(200)에 결합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가이드홀(112)은 상기 회전가이드(200)의 후술할 수평샤프트(217)가 삽입되도록 좌우(또는 양측) 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고정판(111)은 상기 가이드홀(112)을 통해 제 1 회전가이드(210)가 제 1 고정판(111)의 외측면에서 내측면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결합하며, 상기 제 2 고정판(121)은 가이드홀을 통해 제 2 회전가이드(220)가 제 2 고정판(121)의 외측면에서 내측면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회전가이드(210)와 상기 제 2 회전가이드(220)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각각 제 1 고정판(111)과 제 2 고정판(121)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홀(112)은 상기 고정판(111,121)의 일측 모서리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홀(112)은 회전가이드(200)와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선단면(31,36)과 가깝게 위치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홀(112)은 상기 고정홀(115) 보다 상기 봉합사홀(114)에 가깝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도 3을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홀(112)은 상기 고정판(111)의 하측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고정판(121)에 형성된 가이드홀은 제 1 고정판(111)에 형성된 가이드홀(112)의 설명을 원용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홀(112)은 회전가이드(200)의 수평축(h)이 관통하는 위치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축(h)은 상기 회전가이드(200)의 일 방향 회전(Rh)에 대한 회전 중심축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홀(112)은 상기 회전가이드(200)와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한 걸림홈(112’)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걸림홈(112’)은 상기 가이드홀(112)로부터 소정의 폭으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걸림홈(112’)에 대응하는 회전가이드(200)의 걸림돌기(219)는 상기 걸림홈(112’)에 삽입되어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즉, 수평샤프트(217)와 걸림돌기(219)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즉, 상기 회전가이드(200)가 수평축(h)을 중심으로 회전(Rh)하면, 상기 걸림돌기(219)가 상기 걸림홈(112’)과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회전가이드(200)의 회전력이 상기 제 1 고정판(111)에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고정판(111)은 상기 회전가이드(200)의 회전(Rh)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200)는 수평축(h)을 중심으로 회전(Rh)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수평축(h)에 수직한 수직축(v)을 중심으로도 회전(Rv)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수평축(h)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Rh)은 상기 한 쌍의 고정부(100)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상기 수직축(v)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Rv)은 상기 한 쌍의 고정부(100)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회전가이드(200)는 상기 제 1 선단부(3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 1 회전가이드(210) 및 상기 제 2 선단부(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 2 회전가이드(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회전가이드(210)는 상기 제 1 선단면(36)에 형성된 제 1 선단홀(37)을 관통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 2 회전가이드(220)는 상기 제 2 선단면(31)에 형성된 제 2 선단홀(32)을 관통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 1 회전가이드(210)는 상기 제 1 고정부(110)의 회전을 상하 및/또는 좌우 로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 1 고정부(110)와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회전가이드(220)는 상기 제 2 고정부(120)의 회전을 상하 및/또는 좌우로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 2 고정부(120)와 결합할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제 1 회전가이드(210) 및 상기 제 2 회전가이드(220)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제 2 회전가이드(220)의 구조 즉 고정본체(221), 수직샤프트(222), 수직나사산(223), 수평조인트(232), 수직조인트(242)에 대한 설명은 제 1 회전가이드(210)의 구성에 대한 설명을 원용하도록 한다.
상기 제 1 회전가이드(210)는 제 1 고정판(111)을 지지하는 고정본체(211), 상기 고정본체(211)로부터 상기 제 1 선단홀(37)을 관통하도록 상하(또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샤프트(212) 및 상기 수직샤프트(212)에 체결되는 수직조인트(2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본체(211)의 일 측면은 상기 제 1 고정판(111)의 외측면과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본체(211)의 내주면은 좌우(또는 양측)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홀을 정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본체(211)는 원기둥 형상 또는 도넛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본체(211)의 내주면에는 후술할 회전본체(216)가 수평축(h)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다.
상기 고정본체(211) 및 상기 수직샤프트(212)는 수직축(v)을 중심으로 회전(Rv) 가능하게 상기 제 1 선단홀(37)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수직샤프트(212)는 상기 수직축(v) 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본체(211)의 하단(도 3 기준)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수직조인트(241)와 결합하기 위한 수직나사산(213)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도 3을 기준으로, 상기 수직샤프트(212)의 하부는 상기 수직조인트(241)와 결합하기 위한 수직나사산(21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샤프트(212)는 상기 제 1 선단홀(37)에 삽입되어 수직축(v)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부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나사산 보다 위에 형성된 수직샤프트(212)의 상부로 상기 제 1 선단홀(37)에서 최소한의 마찰로 회전하기 위한 부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선단부(30,35)의 끝 단부는 소정의 길이(d1)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소정의 길이(d1)는 상기 수직샤프트(212)의 회전부 상하 길이(d2)와 대응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소정의 길이(d1)는 상기 회전부 상하 길이(d2) 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따라서, 수직나사산(213,223)에 결합되는 수직조인트(241,242)에도 불구하고 상기 고정부(100)의 좌우 회전을 부드럽게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수직조인트(241)는 상기 수직샤프트(212)가 상기 제 1 선단부(35)에서 상하 방향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수직나사산(213)과 결합할 수 있다. 즉, 상기 수직샤프트(212)가 상기 제 1 선단홀(37)을 관통한 상태일 때, 상기 수직나사산(213)은 상기 제 1 선단홀(37)의 하방(도 3 기준)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직조인트(241)가 하방에서 상기 수직나사산(213)과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직조인트(241)는 육각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직샤프트(212)는 상기 수직축(v)을 중심으로 회전(Rv)할 수 있으며, 상기 수직샤프트(212)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고정판(111)의 외측면을 가압하는 고정본체(211)는 상기 수직축(V)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력을 상기 제 1 고정판(111)에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고정판(111)은 상기 제 1 회전가이드(210)의 수직축(v)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Rv)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 1 회전가이드(210)는 상기 고정본체(211)의 내주면에 상기 수직축(v)에 수직한 수평축(h)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회전본체(216), 상기 회전본체(216)로부터 상기 수직샤프트(212)와 수직하도록 연장되는 수평샤프트(217) 및 상기 수평샤프트(217)와 체결되는 수평조인트(2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본체(216)와 상기 수평샤프트(217)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회전본체(216) 및 상기 수평샤프트(217)는 볼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회전본체(216)는 상기 고정본체(211)의 내주면 개구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수평샤프트(217)는 상기 회전본체(216)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수평축(h)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샤프트(217)는 상술한 가이드홀(112)을 좌우(또는 양측) 방향으로 삽입 및 관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샤프트(217)는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돌출되는 걸림돌기(21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219)는 상기 가이드홀(112)로부터 연장 형성된 걸림홈(112’)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219)는 상기 걸림홈(112’)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본체(216) 및 수평샤프트(217)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샤프트(217)는 상기 수평조인트(231)와 결합을 위한 수평나사산(218)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도 3을 기준으로, 상기 수평샤프트(217)의 외측부는 상기 수평조인트(231)와 결합하기 위한 수평나사산(218)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샤프트(217)는 상기 가이드홀(112)에 삽입되어 수평축(h)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부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수평나사산(218) 보다 내측부에 형성된 수평샤프트(217)의 일부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수평조인트(231)는 상기 수평샤프트(217)가 상기 가이드홀(112)에서 좌우 방향 이동이 제한되도록 상기 수평나사산(218)과 결합할 수 있다. 즉, 상기 수평샤프트(217)가 상기 가이드홀(112)을 관통한 상태일 때, 상기 수평나사산(218)은 상기 가이드홀(112)의 내측 방향(도 3 기준 제 2 고정판(121)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평조인트(231)가 내측방에서 상기 수평나사산(218)과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평조인트(231)는 육각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본체(216)는 드라이버(미도시)가 삽입되어 회전되는 함몰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함몰면은 육각 드라이버(미도시)가 끼워져 회전하도록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육각 형상의 함몰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드라이버(미도시)가 회전본체(216)의 함몰면에 삽입된 채로 회전하면, 상기 수평축(h)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본체(216) 및 수평샤프트(217)는 회전(Rh)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제 1 고정부(110)는 고정본체(211) 및 수직샤프트(212)의 회전(Rv)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며, 회전본체(216) 및 수평샤프트(217)의 회전(Rh)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판 및 회전가이드의 구성을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가이드(210’,220’)는, 탄성 이동에 의해 고정부(100)의 상하 회전 각도를 조절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회전가이드(210’,220’)는 제 1 선단부(35)에 회전(Rv))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 1 회전가이드(210’) 및 제 2 선단부(30)에 회전(Rv)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 2 회전가이드(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회전가이드(210’) 및 제 2 회전가이드(220’)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도록 형성되므로 이하에서 제 2 회전가이드(220’) 구성에 대한 설명은 제 1 회전가이드(210’) 구성에 대한 설명을 원용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1 회전가이드(210’)의 구성 중 이전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이전 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판에 대한 설명 중 이전 실시예와 다른 제 2 고정판(121)에 대한 설명은, 이전 실시예와 다른 제 1 고정판(111)의 구조에 대한 설명을 원용하도록 한다.
상기 제 1 고정부(110)는 상기 제 1 회전가이드(210’)에 대해 좌우(또는 양측) 방향으로 탄성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고정부(110)는 상기 좌우 방향 탄성 이동을 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 및/또는 각도 변경을 수행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고정판(111)의 외측면 하단부(도 4 기준)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되는 회전샤프트(1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샤프트(131)는 수평축(h)의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회전샤프트(131)는 이전 실시예의 가이드홀(112) 위치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구조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샤프트(131)는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회전샤프트(131)는 반경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돌출 형성된 회전돌기(1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돌기(135)는 후술할 제 1 내지 제 3 돌기홀(255,256,257)과 대응되는 폭과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상기 회전돌기(135)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돌기홀(255,256,257)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돌기(135)는 상기 제 1 고정판(111)의 외측면에 가깝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회전돌기(135)는 상기 제 1 고정판(111)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이 시작되는 회전샤프트(131)의 좌측부(도 4 기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샤프트(131)는 후술할 인출가이드홈(251)에 대응하여 제한나사(150)가 체결되는 체결홀(1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체결홀(132)은 상대적으로 상기 회전샤프트(131)의 우측부(도 4 기준)에 위치되어 상기 회전샤프트(131)의 중심을 향해 타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샤프트(131)의 돌출 방향의 끝 단부에는 탄성부재(140)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40)는 상기 회전샤프트(131)와 후술할 샤프트삽입관(250)을 연결해주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탄성부재(140)는 상기 샤프트삽입관(25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40)는 상기 고정판(111)의 회전샤프트(131)가 상하 회전을 위해 샤프트삽입관(250)으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될 때, 탄성력을 제공하여 샤프트삽입관(250)과 회전샤프트(131) 간의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140)에 의해 상기 회전샤프트(131)가 탄성 이동되면서 상기 제 1 고정판(111)의 상하 회전시 회전 각도의 고정은 용이해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탄성부재(140)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회전가이드(210’)는 수직축(v)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샤프트(212), 상기 수직축(v)에 수직한 수평축(h) 방향으로 연장되는 샤프트삽입관(250) 및 상기 수직샤프트(212)와 상기 샤프트삽입관(250)이 수직 방향으로 지지되는 지지본체(2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본체(211’)는 원판 또는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4를 기준으로, 상기 수직샤프트(212)는 상기 지지본체(211’)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샤프트삽입관(250)은 상기 지지본체(211’)의 내측면으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삽입관(250)은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샤프트삽입관(250)은 속이 빈 중공 형태의 관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샤프트삽입관(250)은 상기 회전샤프트(131)가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좌우(또는 양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삽입관(250)은 상기 회전샤프트(131)가 향하는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삽입관(250)은 외주면에 소정의 직경을 가지도록 관통 형성된 홀이 소정의 길이만큼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인출가이드홈(25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출가이드홈(251)은, 상기 회전샤프트(131)가 상기 샤프트삽입관(250) 안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좌우(또는 양측) 방향의 이동 및 이동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가이드 홈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회전샤프트(131)가 상기 샤프트삽입관(25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홀(132)이 상기 인출가이드홈(251)과 수평축(h)에 반경 방향으로 차례로 정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출가이드홈(251)의 폭 보다 큰 헤드를 가지는 제한나사(150)가 상기 인출가이드홈(251)과 체결홀(132)을 차례로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회전샤프트(131)가 좌우(또는 양측) 방향으로 인출 또는 이동이 상기 제한나사(150)에 의해 상기 인출가이드홈(251)의 길이만큼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샤프트(131)의 이동시 상기 샤프트삽입관(25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삽입관(250)은 상기 회전돌기(135)가 삽입되어 상기 제 1 고정부(110)의 상하 회전을 미리 설정된 각도로 고정 및/또는 지지하는 다수의 돌기홀(255,256,25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돌기홀(255,256,257)은 상기 샤프트삽입관(250)의 반경 방향을 따라 공간이 연장되는 홀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돌기(135)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다수의 돌기홀(255,256,257)은 상기 회전돌기(135)의 좌우 방향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b)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샤프트삽입관(250)의 총 길이(a+b)를 인출가이드홈(251)의 길이(a)와 돌기홀(255,256,257)의 길이(b)의 합이라 정의할 때, 상기 회전돌기(135)가 돌기홀(255,256,257)로부터 인출되기 위해 상기 인출가이드홈(251)의 좌우 방향 연장 길이(a)는 상기 돌기홀(255,256,257)의 좌우 방향 연장 길이(b) 보다 커야 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돌기홀(255,256,257)은 상기 수평축(h)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이격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고정판(111)은 상기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돌기홀(255,256,257)은 상기 샤프트삽입관(250)으로부터 수직축(v)과 평행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돌기홀(255), 상기 제 1 돌기홀(255)과 수평축(h)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이격되는 제 2 돌기홀(256) 및 상기 제 2 돌기홀(256)과 원주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이격되는 제 3 돌기홀(257)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돌기홀의 개수와 이격 각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 1 돌기홀(255)에 회전돌기(135)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고정판(111)은 상기 제 1 선단홀(37)을 기준으로 수직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좀 더 깊숙이 위치한 구강내 위치로 고정부(100) 접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고정부(100)를 파지하여 일측 방향으로 잡아당길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샤프트(131)는 상기 일측 방향으로 탄성 이동하며 상기 회전돌기(135)가 상기 제 1 돌기홀(255)에서 빼내질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고정부(100)를 상기 제 2 돌기홀(256) 또는 제 3 돌기홀(257)에 대응되는 위치만큼 회전시킨 후, 상기 회전돌기(135)가 상기 제 2 돌기홀 또는 제 3 돌기홀(257)로 삽입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고정부(100)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겸자의 열린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치과용 겸자(1)는 상기 고정부(100)의 전단에 결합하는 푸시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시부(300)는 상기 한 쌍의 고정부(100)에 대응하여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푸시부(300)는 상기 제 1 고정부(110)의 전단에 결합되는 제 1 푸시부(310) 및 상기 제 2 고정부(120)의 전단에 결합되는 제 2 푸시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푸시부(310)와 제 2 푸시부(320)는 동일한 형상과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푸시부(320)의 구성(321,322,323)에 대한 설명은 아래 제 1 푸시부(310)의 구성에 대한 설명을 원용하도록 한다.
상기 푸시부(300)는 대략 ‘ㄱ’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푸시부(310)는 상기 제 1 고정판(111)의 전단 모서리에 결합하는 제 1 연결부(311), 상기 제 1 연결부(311)로부터 라운드지게 절곡되어 상기 봉합사홀(114)의 연장 또는 개방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 1 지지부(312) 및 상기 지지부(312)로부터 상기 몸체(20,25)를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 1 고정판(111)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 1 연장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연결부(311)는 상기 제 1 고정판(111)의 전단 모서리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지지부(312)는 상기 제 1 연결부(311)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된 후 소정의 높이가 형성되도록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연장부(313)는 상기 제 1 지지부(312)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90도 절곡되어 상기 제 1 고정판(111)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손잡이(10,15)의 조작에 따라 상기 푸시부(310,320)가 구강 내 볼이나 피부 조직을 가압하여 대상물 또는 시술 위치의 시야와 봉합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장부(313)는 거울(mirror)이 결합되거나 또는 거울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하면, 시술자는 상기 연장부를 통해 상처 또는 치료 또는 시술 부위의 시야를 좀 더 확보할 수 있다.
도 5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겸자(1)의 예시적인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치과용 겸자(1)는 도 5에서 도시하는 배치 상태로 아래턱 방향의 치아 또는 잇몸 또는 상처 또는 피부 조직 등으로 접근할 수 있다.
시술자는 손가락이 삽입된 손잡이(10,15)를 열거나 닫으면서 고정부(110,120)를 시술 위치(예를 들어, 잇몸)의 양측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때, 시술 부위가 소정의 폭 이상이라면 고정부 간의 간격이 전후 방향으로 달라지기 때문에 시술자는 상기 고정부(110,120)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켜 잇몸에 고정핀(125)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시술 위치가 구강내 좀 더 깊숙이 위치한다면, 시술자는 상기 고정부(110,120)를 상하 방향 회전시켜 최적의 각도로 고정부를 접근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부(110,120)가 시술 위치의 잇몸에 고정된 상태에서, 시술자는 의료용 바늘 및 봉합사를 한 쌍의 니들홀(113,123)을 통과시켜 잇몸 위 상처를 봉합할 수 있다. 이때, 봉합사는 봉합사홀(114,124)을 통해 고정판(111,121)의 간섭없이 상처에 꿰매질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니들홀 또는 봉합사홀의 위치 가이드에 따라 상대적으로 이상적인 간격을 가지도록 의료용 바늘 및 봉합사를 통해 상처를 봉합할 수 있으며, 빠르게 시술을 완료할 수 있다.
1: 치과용 겸자
10,15: 손잡이
20,25: 몸체
30,35: 선단부
100: 한 쌍의 고정부
200: 한 쌍의 회전가이드

Claims (25)

  1. 손잡이;
    상기 손잡이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호 교차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몸체;
    상기 한 쌍의 몸체로부터 각각 상하 방향을 향해 라운드지게 연장되며, 끝단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선단홀이 형성되는 한 쌍의 선단부;
    상기 한 쌍의 선단부 중 어느 하나의 선단부에 연결되는 제 1 고정부;
    상기 한 쌍의 선단부 중 다른 하나의 선단부에 연결되는 제 2 고정부;
    상기 어느 하나의 선단부의 선단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 1 고정부가 상하 및 좌우 방향 회전 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제 1 회전가이드; 및
    상기 다른 하나의 선단부의 선단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 2 고정부가 상하 및 좌우 방향 회전 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제 2 회전가이드를 포함하는 치과용 겸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가이드 및 상기 제 2 회전가이드는, 각각,
    상기 제 1 고정부 또는 상기 제 2 고정부의 외측면에 접촉하는 고정본체;
    상기 고정본체로부터 수직축(v)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선단홀을 관통하도록 삽입되는 수직샤프트; 및
    상기 수직샤프트가 상기 선단홀에서 상기 수직축(v)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수직조인트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 고정부와 상기 제 2 고정부가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는 치과용 겸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가이드 및 상기 제 2 회전가이드는, 각각,
    상기 수직축(v)과 수직한 수평축(h)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본체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회전본체;
    상기 회전본체로부터 상기 수평축(h)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회전본체와 함께 회전하며, 상기 제 1 고정부 또는 상기 제 2 고정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관통 배치는 수평샤프트; 및
    상기 수평샤프트가 상기 제 1 고정부 또는 상기 제 2 고정부에 결합되도록 체결되는 수평조인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본체 및 수평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 고정부와 상기 제 2 고정부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는 치과용 겸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본체는,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어 상기 수평샤프트의 회전을 위해 드라이버가 끼워지는 함몰면을 포함하는 치과용 겸자.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샤프트는 반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 1 고정부 또는 상기 제 2 고정부에 상하 방향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결합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치과용 겸자.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부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는 제 1 고정판;
    상기 제 1 고정판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회전가이드가 관통 결합되는 제 1 가이드홀;
    의료용 바늘과 봉합사가 양측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 1 니들홀; 및
    상기 제 1 니들홀의 관통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제 1 고정판이 개방되도록 상기 제 1 니들홀로부터 공간을 연장하는 제 1 봉합사홀을 포함하는 치과용 겸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정부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는 제 2 고정판;
    상기 제 2 고정판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회전가이드가 관통 결합되는 제 2 가이드홀;
    상기 제 1 니들홀에 대응 형성되어 상기 의료용 바늘과 봉합사가 양측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 2 니들홀; 및
    상기 제 2 니들홀의 관통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제 2 고정판이 개방되도록 상기 제 2 니들홀로부터 공간을 연장하며, 상기 제 1 봉합사홀에 대응 형성되는 제 2 봉합사홀을 포함하는 치과용 겸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니들홀 및 상기 제 1 봉합사홀은 상기 제 1 고정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복수개로 구비되며,
    상기 제 2 니들홀 및 상기 제 2 봉합사홀은, 상기 제 1 니들홀 및 상기 제 1 봉합사홀에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치과용 겸자.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부는,
    상기 제 1 니들홀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봉합사홀에 반대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 1 고정판에 형성되며, 양측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고정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고정부는,
    상기 고정홀에 대응하도록 내측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고정핀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핀은 상기 고정홀에 수용 또는 관통되도록 배치되는 치과용 겸자.
  10. 삭제
  11. 손잡이;
    상기 손잡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손잡이의 동작에 따라 열리거나 닫히는 몸체;
    상기 몸체의 끝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와 함께 열리거나 닫히는 선단부;
    상기 선단부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상하 회전을 탄성 이동에 의해 가이드하도록 상기 선단부에 결합되는 회전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대상물을 가압하거나 대상물에 고정될 수 있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외측면에서 수평축(h)을 따라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샤프트; 및
    상기 회전샤프트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돌출되는 회전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가이드는,
    지지본체; 및
    상기 지지본체로부터 상기 수평축(h)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회전샤프트가 내부로 삽입되어 탄성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샤프트삽입관을 포함하는 치과용 겸자.
  12. 삭제
  13. 삭제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삽입관은 외주면에 소정의 직경을 가지도록 관통 형성된 홀이 소정의 길이만큼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인출가이드홈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샤프트는 상기 인출가이드홈과 반경 방향을 향해 정렬되도록 관통 형성되는 체결홀을 포함하며,
    상기 인출가이드홈 및 상기 체결홀에 체결되는 제한 나사는, 상기 인출가이드홈에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되어 상기 회전샤프트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치과용 겸자.
  15. 삭제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삽입관은 상기 회전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부의 상하 회전을 미리 설정된 각도로 고정하는 다수의 돌기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돌기홀은, 상기 수평축(h)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이격 배치되는 치과용 겸자.
  17. 삭제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이드는,
    상기 지지본체로부터 상기 수평축(h)에 수직한 수직축(v)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선단부에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샤프트를 더 포함하는 치과용 겸자.
  19. 손잡이, 상기 손잡이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호 교차하도록 형성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로부터 라운드지게 연장되며, 끝단에 선단홀이 형성되는 선단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겸자에 있어서,
    구강내 대상물에 고정되도록 다수의 고정핀과 고정홀을 가지며, 상기 선단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부;
    상기 선단홀을 따라 위치되는 수직축(v)을 중심으로 상기 고정부의 좌우 회전을 가이드하고, 상기 수직축(v)에 수직한 수평축(h)을 중심으로 상기 고정부의 상하 회전을 가이드하며, 상기 선단부와 결합하는 회전가이드; 및
    상기 고정부의 전단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절곡 연장되는 푸시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겸자.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한 쌍의 고정부로 구비되며,
    상기 푸시부는 상기 한 쌍의 고정부에 대응되도록 한 쌍의 푸시부로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푸시부는 동일한 형상과 구성을 가지는 치과용 겸자.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핀과 고정홀이 형성되는 고정판;
    상기 대상물의 봉합을 위해 바늘과 봉합사가 양측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니들홀; 및
    상기 니들홀로부터 상기 고정핀과 고정홀이 위치하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공간을 연장하는 봉합사홀을 포함하는 치과용 겸자.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부는,
    상기 고정판의 전단 모서리에 결합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로부터 라운드지게 절곡되어 상기 봉합사홀의 연장 또는 개방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몸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고정판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겸자.
  23.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부는,
    상기 고정부의 전단 모서리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된 후 소정의 높이가 형성되도록 상방으로 연장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90도 절곡되어 상기 고정부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겸자.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거울이 결합되거나 또는 거울로 구비되는 치과용 겸자.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부는 ‘ㄱ’ 형상을 가지도록 연장되는 치과용 겸자.
KR1020220140441A 2022-10-27 2022-10-27 치과용 겸자 KR102513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0441A KR102513962B1 (ko) 2022-10-27 2022-10-27 치과용 겸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0441A KR102513962B1 (ko) 2022-10-27 2022-10-27 치과용 겸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3962B1 true KR102513962B1 (ko) 2023-03-27

Family

ID=85799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0441A KR102513962B1 (ko) 2022-10-27 2022-10-27 치과용 겸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396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4214A (ko) 2014-04-28 2015-11-05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체 조직을 가압하기 위한 의료 겸자
KR20160019823A (ko) * 2014-08-12 2016-02-22 박병활 발치용 포셉
KR20180113760A (ko) 2017-04-07 2018-10-17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용 포착겸자
CN112690850A (zh) * 2020-12-18 2021-04-23 蚌埠冠鑫达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长度可调节的荷包吻合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4214A (ko) 2014-04-28 2015-11-05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체 조직을 가압하기 위한 의료 겸자
KR20160019823A (ko) * 2014-08-12 2016-02-22 박병활 발치용 포셉
KR20180113760A (ko) 2017-04-07 2018-10-17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용 포착겸자
CN112690850A (zh) * 2020-12-18 2021-04-23 蚌埠冠鑫达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长度可调节的荷包吻合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87078B (zh) 用于治疗剂的脉络膜上施用的方法和设备
JP5357167B2 (ja) 侵襲性を最小限に抑えた拍動する心臓内の弁尖を修復するための器具
JP4966861B2 (ja) 組織鉗子
JP4767505B2 (ja) 縫合糸通し器具および組織に縫合糸を通す方法
US5843100A (en) Suture needle grasping and manipulating device
US5222977A (en) Surgical needle with an adjustable eye
US8968339B2 (en) Suturing device with deployable needle
JP4351531B2 (ja) 傷口縫合装置
JPS58335B2 (ja) 巾着縫合糸通し器
JP2015502821A (ja) 眼の組織の閉鎖及び眼の人工補綴物の固定並びにその他の使用のための、締結器具、設置システム並びに方法
JPH05200039A (ja) 外科用クリツプアプライヤー
JP2010521247A (ja) 種々の針で用いるための交換可能先端縫合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CN104434243B (zh) 末端执行器、外科手术器械和荷包钳
CN103796597A (zh) 偏置夹爪缝合装置、系统和方法
JPH06217987A (ja) 非外傷型内視鏡装置
US6626667B2 (en) Implant guide arrangement
US6702739B2 (en) Holder
JP3571363B2 (ja) 外科用縫合具
JP2018187388A (ja) 外科用縫合装置用針装填ユニット
US10085747B2 (en) Surgical fastening instrument
KR102513962B1 (ko) 치과용 겸자
CN113180758A (zh) 一种内窥镜微创手术缝合机
KR101798589B1 (ko) 봉합 수술용 로봇 및 이를 이용한 봉합수술 방법
JP6389183B2 (ja) 眼の組織の閉鎖及び眼の補綴物の固定並びにその他の使用のための、締結器具、設置システム
WO2015080505A1 (ko) 임플란트용 치은 절제 플라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