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3976B1 - 비외상성 발치 기구 - Google Patents

비외상성 발치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3976B1
KR102443976B1 KR1020200053627A KR20200053627A KR102443976B1 KR 102443976 B1 KR102443976 B1 KR 102443976B1 KR 1020200053627 A KR1020200053627 A KR 1020200053627A KR 20200053627 A KR20200053627 A KR 20200053627A KR 102443976 B1 KR102443976 B1 KR 102443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tooth
extraction
molar
conn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3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5686A (ko
Inventor
이두형
마이항나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53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3976B1/ko
Publication of KR20210135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5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3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3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14Dentists' forceps or the like for extracting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16Dentists' forceps or clamps for removing crowns
    • A61C3/162Dentists' forceps or clamps for removing crowns acting by levera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를 그립핑하도록 구성되는 조임핸들부와, 치아에 고정 결합되는 치아연결유닛과, 조임핸들부에 지렛대 형태로 연결되어 사용자에 의하여 치아연결유닛을 상부로 이동시키는 발치핸들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외상성 발치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치아의 수직적인 발치가 가능함은 물론 발치 시 주위 변연골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어 비외상성 치료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비외상성 발치 기구 {Atraumatic tooth extraction device}
본 발명은 비외상성 발치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치아를 수직적으로 견인하여 제거할 수 있으므로 주위 변연골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비외상성 치료가 가능한 비외상성 발치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 발치 기구는 유치나 영구치와 같은 치아의 치료 목적 및 사랑니를 발치하기 위한 치공구로서, 사용빈도가 아주 높은 치공구에 해당된다.
한편, 이러한 발치 기구에 대한 기술의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09286호는 치아의 일측과 이웃하는 잇몸을 지지하는 지지면을 갖는 지지단부, 치아의 타측과 접촉되는 선단을 갖는 가압단부 및 지지단부와 가압단부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조작기구를 포함하되, 지지단부는, 가압단부와 마주하는 방향을 지지단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거나 소정의 회전 각도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조작기구에 연결되고, 가압단부는, 지지단부와 마주하는 방향을 가압단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거나 소정의 회전 각도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조작기구에 연결되는 것인 발치용 포셉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이러한 발치용 포셉(forceps)과 같은 종래의 발치 기구는, 치아 발치 시 힘을 가하기 위하여 포셉의 끝단(beak)으로 치아를 잡은 후 좌우, 전후로 흔들어 치근이 주위 치조와로부터 느슨하도록 만든 후 발치하게 되는데, 이렇게 발치를 하게 되면 발치 동작 시 인접 치조골이 파절되거나 주위 조직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이를 통해 합병증이 다수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09286호
본 발명은, 발치 시 해당 치아의 수직적인 발치가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발치 시 주위 변연골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비외상성 치료가 가능한 비외상성 발치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한 쌍으로 서로 힌지 결합되며, 각각의 일측 단부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는 치아를 그립핑하도록 구성되는 조임핸들부와; 조임핸들부의 타측에 상하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하단부는 발치대상 치아에 고정 결합되는 치아연결유닛과; 조임핸들부에 지렛대 형태로 연결되며, 일측 단부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발치손잡이부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는 치아연결유닛의 상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에 의하여 발치손잡이부가 하방향으로 가압되면 타측이 상방향으로 이동되어 치아연결유닛을 상부로 이동시켜 발치대상 치아를 상부로 이동시키는 발치핸들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외상성 발치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치아연결유닛은, 발치대상 치아에 형성된 체결홀에 체결되는 체결나사를 적용할 수 있다.
발치핸들부는, 조임핸들부에 결합되며 횡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발치핸들 힌지축과, 일측 단부는 핸들이 형성되고, 타측이 발치핸들 힌지축에 힌지 결합되며, 타측 단부는 치아연결유닛의 상부가 끼움결합되어, 핸들이 하방향으로 가압되면 발치핸들 힌지축을 중심으로 타측 단부가 상방향으로 이동되어 치아연결유닛을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발치핸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조임핸들부는, 일측 단부는 제1손잡이부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는 치아 중 해당 구치의 내측에 접촉되는 제1구치핸들과, 제1힌지축에 의하여 타측이 제1구치핸들과 힌지 결합되며, 일측 단부는 제2손잡이부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는 구치의 외측에 접촉되는 제2구치핸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제1구치핸들과 제2구치핸들은 제1힌지축을 중심으로 횡방향을 따라 회동되고, 제1구치핸들과 제2구치핸들 각각의 타측 단부는 구치의 내측과 외측을 그립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조임핸들부의 타측에 결합하고 하부가 발치대상 치아와 인접하는 인접치아의 상면에 접촉되어, 치아연결유닛의 상부 이동 시 인접치아를 하방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지지부는, 일단은 조임핸들부의 타측에 결합하고 치아연결유닛이 관통되어 끼워지는 장공의 끼움홀이 형성된 연결대와, 상단이 연결대에 결합되고, 하면이 인접치아의 상면에 접촉하여, 발치핸들부의 가압 시 인접치아를 하방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조임핸들부는, 제1구치핸들과 제2구치핸들 각각의 타단에 착탈 가능하게 끼움 결합하는 착탈캡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조임핸들부는, 일측 단부는 제3손잡이부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는 치아 중 해당 전치의 내측에 접촉되는 제1전치핸들과, 제2힌지축에 의하여 타측이 제1전치핸들과 힌지 결합되며, 일측 단부는 제4손잡이부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는 전치의 외측에 접촉되는 제2전치핸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제1전치핸들과 제2전치핸들은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종방향을 따라 회동되고, 제1전치핸들과 제2전치핸들 각각의 타측 단부는 전치의 내측과 외측을 그립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외상성 발치 기구는, 치아(혹은 치근)에 치과용 버(bur)로 형성된 홀에 치아연결유닛을 연결한 후 조임핸들부와 발치핸들부를 이용하여 지렛대의 원리로 해당 치아의 수직적 움직임을 줄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치아의 수직적인 발치가 가능함하고, 이를 통해 발치 시 주위 변연골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주위 조직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외상성 치료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치부용 비외상성 발치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치부용 비외상성 발치 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치부용 비외상성 발치 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치부용 비외상성 발치 기구에서 착탈캡이 결합된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치부용 비외상성 발치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치부용 비외상성 발치 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치부용 비외상성 발치 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외상성 발치기구는, 발치 대상이 되는 해당 치아의 수직적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주위 변연골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어 비외상성 치료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이러한 비외상성 발치기구는 전치부용과 구치부용으로 각각 구성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이 중 구치부용 비외상성 발치 기구에 대하여 먼저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치부용 비외상성 발치 기구는, 조임핸들부(100)와, 치아연결유닛(300)과, 발치핸들부(400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조임핸들부(100)는, 플라이어(plier)와 같이 한 쌍으로 서로 힌지 결합되며, 각각의 일측 단부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는 구치(molar)를 그립핑(gripping)하도록 구성된다.
세부적으로, 조임핸들부(100)는, 제1구치핸들(110)과, 제2구치핸들(1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제1구치핸들(110)은, 일측 단부는 제1손잡이부(111)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는 치아 중 해당 구치의 내측에 접촉되는 제1그립핑부(1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구치핸들(120)은, 제1힌지축(130)에 의하여 타측이 제1구치핸들(110)과 힌지 결합되며, 일측 단부는 제2손잡이부(121)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는 구치의 외측에 접촉되는 제2그립핑부(1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힌지축(130)은, 종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제1손잡이부(111)와 제2손잡이부(121)는 제1힌지축(130)에 대하여 서로 횡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1그립핑부(112)와 제2그립핑부(122)는 상부에서 완만한 곡선을 그리며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단부(beak)의 구치 그립핑이 용이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조임핸들부(100)는, 사용자가 제1손잡이부(111)와 제2손잡이부(121)를 파지하여 횡방향을 따라 오므리면 제1그립핑부(112)와 제2그립핑부(122)가 구치의 내측과 외측을 그립핑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제1그립핑부(112)와 제2그립핑부(122)는, 발치대상 치아(1)와의 슬립이 방지되도록 내측면에 접촉돌기(1121,122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접촉돌기(1121,1221)는 메쉬형태 등 치아와의 슬립이 방지될 수 있는 형태라면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치아연결유닛(300)은, 조임핸들부(100)의 타측에 상하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하단부는 발치대상 치아(1)에 고정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치아연결유닛(300)은, 발치대상 치아(1)에 대하여 상면에서 하방향으로 체결되고, 상부가 발치핸들부(400a)와 연결되어 발치핸들부(400a)의 하방향 이동에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발치대상 치아(1)를 상부로 발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치아연결유닛(3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나사(310)를 적용하여, 치아(혹은 치근)에 치과용 버(bur)를 통하여 형성된 체결홀에 나사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나사(310)는 하단부에 스크류가 형성되어 해당 치아와 결합 후 치아를 상부로 견인할 수 있도록 체결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나사헤드(311) 부분은 발치핸들부(400a)와 연결되어 발치핸들부(400a)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발치핸들부(400a)는, 치아연결유닛(300)과 연결되고 지렛대의 원리로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면 치아연결유닛(300)을 상방향으로 이동시켜 발치대상 치아(1)를 상부(수직방향)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발치핸들부(400a)는, 발치핸들 힌지축(430)과, 발치핸들(4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발치핸들 힌지축(430)은, 조임핸들부(10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횡방향으로 배치된다.
발치핸들(410)은, 발치핸들 힌지축(43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일측은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발치손잡이부(411)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는 치아연결유닛(300)의 상부가 관통 연결되는 삽입홀(410a)이 형성된다.
여기서, 발치핸들부(400a)는, 조임핸들부(100)에 지렛대 형태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발치핸들(410)에 하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면, 치아연결유닛(300)이 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발치핸들부(400a)는, 지렛대의 효과를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발치핸들 힌지축(430)을 받침점이라고 할 때, 힘점인 발치핸들(410)에서 발치핸들 힌지축(430)까지의 거리가, 작용점인 치아연결유닛(300)이 연결되는 타측에서 발치핸들 힌지축(430)까지의 거리보다 크도록 그 위치를 구성하여, 사용자가 발치핸들(410)을 가압할 시 치아연결유닛(300)에 작용하는 상부 견인력이 크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발치핸들부(400a)는, 사용자에 의하여 발치핸들(410)이 하방향으로 가압되면, 발치핸들 힌지축(430)을 중심으로 발치핸들(410)의 타측 단부가 상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에 연동하여 치아연결유닛(300)이 상방향으로 이동되어 발치대상 치아(1)를 상방향으로 견인시킨다.
한편, 비외상성 발치 기구는, 조임핸들부(100)의 타측에 결합하는 지지부(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지지부(140)는, 치아연결유닛(300)의 상부 이동 시 발치대상 치아(1)와 인접하는 인접치아(2,3)들을 하방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지지부(140)는, 발치핸들부(400a)에 외력이 가해질 시 인접치아(2,3)들에게 반작용 힘을 제공하여, 발치대상 치아(1)가 상부로 이동할 시 인접치아(2,3)들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지지부(140)는, 연결대(141)와, 지지대(1421,14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연결대(14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은 조임핸들부(100)의 타측에 결합하고, 타측은 전방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며, 타측에 치아연결유닛(300)이 관통되어 끼워지는 장공의 끼움홀(141a)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대(1421,1422)는, 상단이 연결대(141)에 결합되고, 하면이 발치대상 치아(1)와 인접하는 인접치아(2,3)의 상면에 접촉하여, 발치핸들부(400a)의 가압 시 인접치아(2,3)들을 하방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지대(1421,142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나사를 적용하여 회전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인접치아(2,3)의 높이에 따라 인접치아(2,3)의 상면과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지대(1421,1422)는, 발치대상 치아(1)와 인접하는 양측의 인접치아(2,3) 각각과 접촉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어, 연결대(141)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구치부용 비외상성 발치 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1구치핸들(110)과 제2구치핸들(120)을 조작하여 제1그립핑부(112)와 제2그립핑부(122)를 통해 발치대상 치아(1)를 그립핑하고, 치아연결유닛(300)을 발치대상 치아(1)에 연결한다. 이때 지지부(140)는 양측 지지대(1421,1422)가 인접치아(2,3) 각각의 상면을 접촉지지하도록 위치시킨다. 이렇게 발치대상 치아(1)가 그립핑되고 치아연결유닛(300)이 발치대상 치아(1)에 연결되면, 사용자는 발치핸들(410)을 하방향으로 가압하여, 치아연결유닛(300)을 상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발치대상 치아(1)가 상부로 견인되어 발치되도록 한다.
한편, 조임핸들부(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치핸들(110)과 제2구치핸들(120) 각각의 타단에 착탈 가능하게 끼움 결합하는 착탈캡(1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착탈캡(150)은,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어, 제1그립핑부(112)와 제2그립핑부(122)가 발치대상 치아(1) 대신 연조직을 그립핑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착탈캡(150)은, 제1그립핑부(112)와 제2그립핑부(122)에 용이하게 착탈되고 그립핑 시 연조직에 부담을 주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며, 공지의 실리콘 등을 포함하는 수지계열 소재, 고무 등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모두 사용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전치부용 비외상성 발치 기구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치부용 비외상성 발치 기구는, 조임핸들부(200)와, 치아연결유닛(300)과, 발치핸들부(400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조임핸들부(200)는, 한 쌍으로 서로 힌지 결합되며, 각각의 일측 단부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는 전치(incisor)를 그립핑하도록 구성된다.
세부적으로, 조임핸들부(200)는, 제1전치핸들(210)과, 제2전치핸들(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제1전치핸들(210)은, 일측 단부는 제3손잡이부(211)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는 치아 중 해당 전치의 내측에 접촉되는 제3그립핑부(2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전치핸들(220)은, 제2힌지축(130)에 의하여 타측이 제1전치핸들(210)과 힌지 결합되며, 일측 단부는 제4손잡이부(221)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는 전치의 외측에 접촉되는 제4그립핑부(2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힌지축(130)은 횡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제1전치핸들(210)과 제2전치핸들(220)은 제2힌지축(130)을 중심으로 종방향을 따라 회동되고, 각각의 타측 단부는 전치의 전방 외측과 후방 내측의 그립핑이 용이하도록 굴곡지게 형성된다.
이에, 조임핸들부(200)는, 사용자가 제3손잡이부(211)와 제4손잡이부(221)를 파지하여 종방향을 따라 오므리면 제3그립핑부(212)와 제4그립핑부(222)가 전치의 전방과 후방을 그립핑하도록 구성된다.
치아연결유닛(300)은, 조임핸들부(200)의 타측에 상하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하단부는 발치대상 치아(1)에 고정 결합된다. 도면에서, 치아연결유닛(300)은 제1전치핸들(210)의 타측에 형성된 결합홀(420a)에 관통되어 위치하며, 도 2의 치아연결유닛(300)과 마찬가지로 체결나사(310)가 적용될 수 있다.
발치핸들부(400b)는, 치아연결유닛(300)과 연결되고 지렛대의 원리로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면 치아연결유닛(300)을 상방향으로 이동시켜 발치대상 치아(1)를 상부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발치핸들부(400b)는, 횡방향으로 배치된 발치핸들 힌지축과, 발치핸들(4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전치부용 비외상성 발치 기구의 경우, 제2힌지축(130)과 발치핸들 힌지축이 각각 동일한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만큼, 2개의 축을 하나의 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치부용 비외상성 발치 기구의 경우, 발치핸들 힌지축은, 제2힌지축(130)을 공용할 수 있다.
발치핸들(420)은, 제2전치핸들(220)의 상부에 위치하여 제2힌지축(13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일측은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발치손잡이부(421)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는 치아연결유닛(300)의 상부와 연결된다.
도면에서, 발치핸들(420)은, 치아연결유닛(300)과 결합하는 타측 단부가 상방향으로 경사진 걸쇠부(422)가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실시에로 치아연결유닛(300)을 효과적으로 상부 이동 시킬 수 있는 형태라면 다양하게 실시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발치핸들부(400b)는, 제2힌지축(130)을 통하여 지렛대 형태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발치핸들(420)을 하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면, 치아연결유닛(300)이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해당 치아도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7은 전술한 전치부용 비외상성 발치 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면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1전치핸들(210)과 제2전치핸들(220)을 조작하여 제3그립핑부(212)와 제4그립핑부(222)가 발치대상 치아(1)를 그립핑하고, 치아연결유닛(300)을 발치대상 치아(1)에 연결한다. 이렇게 발치대상 치아(1)가 그립핑되고 치아연결유닛(300)이 발치대상 치아(1)에 연결되면, 사용자는 발치핸들(420)을 하방향으로 가압하여, 치아연결유닛(300)을 상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발치대상 치아(1)가 상부로 견인되어 발치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200 : 조임핸들부 110 : 제1구치핸들
111 : 제1손잡이부 112 : 제1그립핑부
1121,1221 : 접촉돌기 120 : 제2구치핸들
121 : 제2손잡이부 122 : 제2그립핑부
130 : 제1힌지축 140 : 지지부
141 : 연결대 141a : 끼움홀
1421,1422 : 지지대 150 : 착탈캡
210 : 제1전치핸들 211 : 제3손잡이부
212 : 제3그립핑부 220 : 제2전치핸들
221 : 제4손잡이부 222 : 제4그립핑부
130 : 제2힌지축 300 : 치아연결유닛
310 : 체결나사 311 : 나사헤드
400a,400b : 발치핸들부 410,420 : 발치핸들
11,421 : 발치손잡이부 410a : 삽입홀
420a : 결합홀 422 : 걸쇠부
430 : 발치핸들 힌지축

Claims (8)

  1. 한 쌍으로 서로 힌지 결합되며, 각각의 일측 단부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는 치아를 그립핑하도록 구성되는 조임핸들부와;
    상기 조임핸들부의 타측에 상하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하단부는 발치대상 치아에 고정 결합되는 치아연결유닛과;
    상기 조임핸들부에 지렛대 형태로 연결되며, 일측 단부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발치손잡이부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치아연결유닛의 상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에 의하여 발치손잡이부가 하방향으로 가압되면 타측이 상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치아연결유닛을 상부로 이동시켜 상기 발치대상 치아를 상부로 이동시키는 발치핸들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임핸들부의 타측에 결합하고 하부가 상기 발치대상 치아와 인접하는 인접치아의 상면에 접촉되어, 상기 치아연결유닛의 상부 이동 시 상기 인접치아를 하방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일단은 상기 조임핸들부의 타측에 결합하고 상기 치아연결유닛이 관통되어 끼워지는 장공의 끼움홀이 형성된 연결대와,
    상단이 상기 연결대에 결합되고, 하면이 상기 인접치아의 상면에 접촉하여, 상기 발치핸들부의 가압 시 상기 인접치아를 하방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는 복수 개 마련되며, 발치대상 치아와 인접하는 복수의 인접치아의 상면에 접촉하여 상기 발치핸들부의 가압 시, 발치대상 치아의 전후면에 있는 복수의 인접치아들을 하방지지하며, 지지나사를 적용하여 회전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인접치아의 높이에 따라 인접치아의 상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외상성 발치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연결유닛은,
    상기 발치대상 치아에 형성된 체결홀에 체결되는 체결나사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외상성 발치 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치핸들부는,
    상기 조임핸들부에 결합되며 횡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발치핸들 힌지축과,
    일측 단부는 상기 발치손잡이부가 형성되고, 타측이 상기 발치핸들 힌지축에 힌지 결합되며, 타측 단부는 상기 치아연결유닛의 상부가 끼움결합되어, 상기 발치손잡이부가 하방향으로 가압되면 상기 발치핸들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타측 단부가 상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치아연결유닛을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발치핸들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외상성 발치 기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핸들부는,
    일측 단부는 제1손잡이부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는 치아 중 해당 구치의 내측에 접촉되는 제1구치핸들과,
    제1힌지축에 의하여 타측이 상기 제1구치핸들과 힌지 결합되며, 일측 단부는 제2손잡이부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구치의 외측에 접촉되는 제2구치핸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구치핸들과 상기 제2구치핸들은 상기 제1힌지축을 중심으로 횡방향을 따라 회동되고, 상기 제1구치핸들과 상기 제2구치핸들 각각의 타측 단부는 상기 구치의 내측과 외측을 그립핑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외상성 발치 기구.
  5. 삭제
  6. 삭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핸들부는,
    상기 제1구치핸들과 상기 제2구치핸들 각각의 타단에 착탈 가능하게 끼움 결합하는 착탈캡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외상성 발치 기구.
  8. 삭제
KR1020200053627A 2020-05-06 2020-05-06 비외상성 발치 기구 KR102443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627A KR102443976B1 (ko) 2020-05-06 2020-05-06 비외상성 발치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627A KR102443976B1 (ko) 2020-05-06 2020-05-06 비외상성 발치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686A KR20210135686A (ko) 2021-11-16
KR102443976B1 true KR102443976B1 (ko) 2022-09-16

Family

ID=78716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3627A KR102443976B1 (ko) 2020-05-06 2020-05-06 비외상성 발치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397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9459A1 (de) * 2009-06-02 2010-12-09 Z-Medical Gmbh & Co. Kg Zahnärztliche zange
US20140315148A1 (en) * 2013-04-18 2014-10-23 Kim Chang Dental forcep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9286B1 (ko) 2014-08-12 2016-04-05 박병활 발치용 포셉
KR20180128691A (ko) * 2017-05-24 2018-12-04 재단법인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치아 발치용 포셉
JP3222674U (ja) * 2019-06-06 2019-08-15 昭麟 劉 抜歯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9459A1 (de) * 2009-06-02 2010-12-09 Z-Medical Gmbh & Co. Kg Zahnärztliche zange
US20140315148A1 (en) * 2013-04-18 2014-10-23 Kim Chang Dental forcep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222674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686A (ko) 202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1151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a removable tooth positioning appliance from the teeth of a patient
RU2553493C2 (ru) Эргономичный инструмент для атравматического удаления зуба
US9687315B2 (en) Dental plier design with offsetting jaw and pad elements for assisting in removing upper and lower teeth utilizing the dental plier design
US5044954A (en) Forceps with inserts for removing a dental crown and bridge
US10307223B1 (en) Tooth aligner removal device
US20110256502A1 (en) Dental fulcrum wrench
CN210541878U (zh) 拔牙装置
CN107440806B (zh) 一种口腔科专用医疗器械
US5122058A (en) Forceps with inserts for removing premolar and anterior dental crowns
US11872100B2 (en) Pincers for the extraction of teeth and residual dental roots
KR102443976B1 (ko) 비외상성 발치 기구
CN107496039A (zh) 一种口腔科用拔牙辅助装置
JP3222674U (ja) 抜歯装置
CN105919658A (zh) 手足外科骨折双叶复位钳
US20140234799A1 (en) Dental Crown Removal Apparatus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CN109771106B (zh) 经口前路寰枢椎侧块关节复位融合器系统及其使用方法
KR102343981B1 (ko) 발치 장치
US20220218437A1 (en) Locking dental forceps for tooth extraction
CN213030882U (zh) 一种牙槽骨复位钳
KR101629667B1 (ko) 크라운 제거장치
CN210019811U (zh) 经口前路寰枢椎侧块关节复位融合器系统
CN112006788B (zh) 拔牙装置
US9968418B1 (en) Dental forceps with a post for extracting teeth
TWM589036U (zh) 拔牙裝置
US4923399A (en) Dental instru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