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1803B1 - 상악동 막의 손상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상악동 막의 손상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1803B1
KR101471803B1 KR1020140001951A KR20140001951A KR101471803B1 KR 101471803 B1 KR101471803 B1 KR 101471803B1 KR 1020140001951 A KR1020140001951 A KR 1020140001951A KR 20140001951 A KR20140001951 A KR 20140001951A KR 101471803 B1 KR101471803 B1 KR 101471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art
longitudinal direction
breaking
alveolar bon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1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민정
권지민
권지용
Original Assignee
권지민
강민정
권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지민, 강민정, 권지용 filed Critical 권지민
Priority to KR1020140001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18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1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1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61C8/0092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for sinus lif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37Hollow drills or saws producing a curved cut, e.g. cylindr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57Bone brea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62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1B17/1688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sinus or n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3Automatic limiting or abutting means, e.g. for safe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2Tooth drilling or cutting instruments; Instruments acting like a sandblast mach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th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자의 상악동 막의 손상 방지 장치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 홀더와 상기 제1 홀더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가 잡기 위한 제1 핸들을 포함하는 제1 고정부; 상기 제1 고정부에 연결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2 홀더와 상기 제2 홀더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가 잡기 위한 제2 핸들을 포함하는 제2 고정부; 상기 제2 고정부에 연결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3 홀더를 포함하는 제3 고정부; 및 상기 제1 고정부에 연결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끝단에 파괴단을 포함하는 파괴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파괴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통해 상기 파괴단이 움직임으로써 상기 파괴단이 상기 대상자의 치조골에 힘을 가해 상기 대상자의 치조골을 부수면서 상기 상악동 막을 들어올리도록 하거나, 상기 대상자의 부숴진 치조골 내의 상기 상악동 막을 들어올리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상악동 막의 손상 방지 장치{device for protecting damage of maxillary sinus membrane}
본 발명은 상악동 막의 손상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치조골과 상악동 사이의 막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치조골을 부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치과나 성형외과 수술에서 뼈가 부족한 경우 부족한 뼈를 대신하기 위해 뼈 이식을 하게 된다. 뼈 이식은 자가뼈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자가뼈를 얻는 것이 쉽지 않다는 이유로 통상 인조뼈나 합성뼈를 사용하게 된다.
뼈이식은 치과에서 임플란트 수술 시 임플란트의 지지를 위하여 부족한 치조골에 뼈를 이식하는 치료법이며 골량의 부족과 함께 골질이 부족한 경우도 뼈이식이 필요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악 구치부의 치아가 상실된 경우 상악 구치부의 임플란트를 식립할 때 상악동의 함기화로 인해 상악 구치부의 치조골이 수직적으로 부족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때 임플란트를 식립하기 위해 상악동 점막을 거상하고 이때 거상된 점막으로 인해 생긴 공간에 치조골 뼈이식을 수행한다.
도 1은 상악 구치부의 치조골이 부족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상악동(110)은 빈 공간인데, 자연치아(140) 옆의 임플란트를 식립하고자 하는 곳에 치조골(130)이 부족하여 상악동의 빈공간이 내려올 경우(120) 임플란트를 식립할 수 없다.
임플란트는 일반적으로 길이가 1Cm에 해당하고, 이러한 길이의 임플란트를 식립하기 위해서는 치조골(130)이 최소 1Cm 이상이 되어야 임플란트를 식립하더라도 상악동과 치조골 사이에 있는 막이 천공(穿孔)되지 않는다.
도 2는 상악동에 인공적으로 치조골을 이식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상악동(210) 중 아래로 내려온 공간(220)에 인공적으로 뼈이식이 수행되었고 그 곳에 임플란트(250)가 식립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2와 같은 인공적인 뼈이식을 수행하는 경우에, 상악동과 치조골 사이에 있는 막이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뼈이식을 수행해야 한다. 이 경우, 치과의사는 뼈이식을 수행하고자 하는 위치의 잇몸을 절개하고 뼈가 도출되면 도출된 뼈를 부순 후에 드러나는 상기 막을 거상한 다음 뼈이식을 수행하는데, 도출된 뼈를 부수는 과정에서 상기 막까지 손상시키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고자 상기 도출된 뼈를 부수면서 상기 막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임플란트 식립시 필요한 인공 치조골을 이식시키고자 하는 경우, 잇몸을 절개한 후에 도출되는 뼈를 부수는 과정에서 치조골과 상악동 사이에 존재하는 막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하는 상악동 막의 손상 방지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자의 상악동 막의 손상 방지 장치는, 상기 대상자의 제1 협측 치조골에 지지되기 위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 홀더와 상기 제1 홀더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가 잡기 위한 제1 핸들을 포함하는 제1 고정부; 상기 제1 고정부에 연결되며, 상기 대상자의 제2 협측 치조골에 지지되기 위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2 홀더와 상기 제2 홀더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가 잡기 위한 제2 핸들을 포함하는 제2 고정부; 상기 제2 고정부에 연결되며, 상기 대상자의 구개 치조골에 지지되기 위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3 홀더를 포함하는 제3 고정부; 및 상기 제1 고정부에 연결되며, 상기 대상자의 치조골을 부수기 위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끝단에 파괴단을 포함하는 파괴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파괴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통해 상기 파괴단이 움직임으로써 상기 파괴단이 상기 대상자의 치조골에 힘을 가해 상기 대상자의 치조골을 부수면서 상기 상악동 막을 들어올리도록 하거나, 상기 대상자의 부숴진 치조골 내의 상기 상악동 막을 들어올리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괴부는 상기 제1 고정부에 연결되는 접촉부재; 상기 접촉부재에 연결되며 반원형태로 내부에 구멍이 뚫린 반원부재; 상기 반원부재의 구멍을 통과하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끝단에 상기 파괴단과 상기 길이방향의 반대방향에 사용자가 압력을 가하기 위해 접촉할 때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누름완충부를 포함하는 파괴몸체; 상기 반원부재의 구멍을 통과하면서 상기 파괴몸체의 일부를 덮는 커버; 및 상기 커버와 상기 반원부재를 연결하면서 상기 커버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괴몸체는 상기 파괴단; 상기 커버 내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파괴단을 그 끝에 포함하는 파괴봉; 상기 파괴봉에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는 바디; 상기 바디에 연결되고 사용자로부터 압력을 받으며 상기 누름완충부를 포함하는 누름부재; 및 상기 바디의 외측에 감긴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의 단면적 및 상기 누름부재의 단면적은 외측에 상기 스프링이 감긴 바디의 단면적보다 크고, 이러한 단면적 차이에 의해, 상기 누름부재가 사용자로부터 압력을 받을 경우 상기 스프링이 상기 커버 및 상기 누름부재 사이에서 압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괴부는 상기 제1 고정부에 연결되는 접촉부재; 상기 접촉부재에 연결되며 반원형태로 내부에 구멍이 뚫린 반원부재; 상기 반원부재의 구멍을 통과하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끝단에 상기 치조골을 부수기 위한 파괴단과 상기 길이방향의 반대방향에 사용자가 압력을 가하는 누름부를 포함하는 누름핸들; 및 상기 누름핸들과 상기 반원부재를 연결하면서 상기 누름핸들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고정부, 제2 고정부, 제3 고정부 및 상기 파괴부는 각각 조립홀을 포함하고, 상기 대상자의 치조골을 부수기 위한 장치는 상기 조립홀을 통과하여 상기 제1 고정부, 제2 고정부, 제3 고정부 및 상기 파괴부를 조립해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나사 형상의 조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악동 막의 손상 방지 장치에 의하면, 임플란트 식립시 필요한 인공 치조골을 이식시키고자 하는 경우, 잇몸을 절개한 후에 도출되는 뼈를 부수면서 치조골과 상악동 사이에 존재하는 막을 들어올릴 수 있어 상기 막을 손상시키지 않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상악 구치부의 치조골이 부족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상악동에 인공적으로 치조골을 이식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악동 막의 손상 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4의 파괴부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악동 막의 손상 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상기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7의 파괴부재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a)(b)는 환자의 상악동 막의 손상 방지 장치가 닿는 제1 협측 치조골 부위, 제2 협측 치조골 부위 및 구개 치조골 부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구성 요소들은 상기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악동 막의 손상 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상기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4의 파괴부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9 (a)(b)는 상악동 막의 손상 방지 장치가 닿는 환자의 제1 협측 치조골 부위, 제2 협측 치조골 부위 및 구개 치조골 부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도 4 및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상악동 막의 손상 방지 장치(100)는 치조골을 부수면서 상악동 막을 들어 올리거나, 부숴진 치조골 내의 상기 상악동 막을 들어올리도록 하기 위한 파괴부(5), 환자의 협측 치조골(310,320)에 상기 상악동 막의 손상 방지 장치(100)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1 고정부(6) 및 제2 고정부(7), 환자의 구개 치조골(330)에 상기 상악동 막의 손상 방지 장치(100)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3 고정부(8) 및 상기 파괴부(5), 제1 고정부(6), 제2 고정부(7), 제3 고정부(8)를 연결 고정하는 제1 조립부(40) 및 제2 조립부(3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협측 치조골(310,320)은 환자의 윗니가 위치한 치조골 중 상기 상악동 막의 손상 방지 장치(100)의 제1 완충부(66) 및 제2 완충부(76)가 닿는 부분에 해당할 수 있으며, 상기 구개 치조골(330)은 환자의 입안 천정 부위인 치조골 중 상기 상악동 막의 손상 방지 장치(100)의 제3 완충부(86)가 닿는 부분에 해당할 수 있다. 도 9의 도면부호 311 내지 314는 환자의 치아를 나타내며, 도면부호 311인 치아 및 도면부호 312인 치아 사이가 치아가 없는 부분에 해당한다.
상기 제1 고정부(6) 및 제2 고정부(7)는 서로 대칭되도록 구성되며,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구성인 제1 핸들(62) 및 제2 핸들(7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핸들(62) 및 제2 핸들(72)에 연결된 제1 접촉부(63)와 제2 접촉부(73)는 서로 맞닿을 수 있으며, 환자의 제1 협측 치조골(310) 및 제2 협측 치조골(320)에 지지되기 위한 제1 홀더(64) 및 제2 홀더(74)는 각각 환자의 제1 협측 치조골(310) 및 제2 협측 치조골(320)에 맞닿는 부위에 제1 완충부(66) 및 제2 완충부(76)가 존재하여 환자를 아프지 않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 완충부(66) 및 제2 완충부(76)는 환자의 제1 협측 치조골(310) 및 제2 협측 치조골(320)에 접촉할 때 환자가 통증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재료로 구성되며, 예컨대, 고무, 우레탄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6) 및 제2 고정부(7)는 서로 상하로 위치하여 상기 제1 홀더(64) 및 제2 홀더(74)가 측면에서 바라볼 경우 동일선상에 놓이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설계변경을 통해 상기 제1 홀더(64) 및 제2 홀더(74)가 제1 접촉부(63) 및 제2 접촉부(73)와 맞닿는 곳을 상기 상하로 구부러짐을 주어 측면에서 바라볼 경우 동일선상에 놓이게 할 수도 있다.
또는 도 4와 같이 제2 고정부(7)의 제2 접촉부(73)를 오목한 구조로 형성해 제1 고정부(6)가 그 오목한 구조에 끼워들어가 측면에서 바라볼 경우 동일선상에 놓이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제3 고정부(8)는 환자의 구개 치조골(330)에 지지되기 위한 제3 홀더(84)가 상기 제2 접촉부(73)와 접촉하는 제3 접촉부(83)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구성되며, 상기 제3 홀더(84)는 환자의 구개 치조골(330)에 지지되기 위한 부위에 환자가 아프지 않기 위한 제3 완충부(86)가 존재한다.
이때, 상기 제3 완충부(86)는 환자의 구개 치조골(330)에 접촉할 때 환자가 통증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재료로 구성되며, 예컨대, 고무, 우레탄 등에 해당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파괴부(5)는 파괴봉(56)과 상기 파괴봉(56)이 연결된 바디(51), 상기 파괴봉(56)을 덮고 있는 커버(58), 상기 커버(58)가 도 5처럼 축(55)을 통해 고정되는 반원 모양의 반원부재(57) 및 상기 반원부재(57)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접촉부(63)와 맞닿는 원형의 접촉부재(53)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51)는 그 외측에 기설정된 탄성계수를 가지는 스프링(54)이 감겨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51)는 상기 파괴봉(56)과 연결되는 부분과 반대 방향에 상기 바디(51)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는 누름부재(59)가 위치하며, 상기 누름부재(59)는 사용자가 상기 누름부재(59)를 누를 경우 누르는 손가락이 아프지 않게 하기 위한 누름완충부(5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누름 완충부(52)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누름 완충부(52) 에 접촉할 때 사용자가 통증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재료로 구성되며, 예컨대, 고무, 우레탄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파괴부(5), 제1 고정부(6), 제2 고정부(7) 및 제3 고정부(8)는 각각의 조립홀(50)(60)(70)(80)에 상기 제1 조립부(40) 및 제2 조립부(30)가 끼워져 조립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조립부(40) 및 제2 조립부(30)는 어느 하나가 그 내부가 음각이어서 다른 하나가 그 음각 내에 끼워들어감으로써 조립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제1 조립부(40) 및 제2 조립부(30)의 조립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방식의 조립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상기 상악동 막의 손상 방지 장치(10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사용자는 검지를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으로 상기 제1 핸들(62) 및 제2 핸들(72)을 잡고 제1 고정부(6), 제2 고정부(7), 제3 고정부(8)를 환자의 제1 협측 치조골(310) 및 제2 협측 치조골(320)과 구개 치조골(330)에 맞닿아 지지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검지손가락을 이용하여 상기 누름완충부(52)를 누를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누름완충부(52)를 누를 경우 바디(51) 및 파괴봉(56)은 전진할 수 있다. 상기 전진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스프링(54)이 커버(58)에 걸리기 때문에 탄성에 의해 다시 상기 바디(51) 및 파괴봉(56)은 원위치되며, 스프링에 의해 사용자의 힘이 완충되어 상악동과 치조골 사이의 막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상기 파괴봉(56)의 끝단인 파괴단이 환자의 치조골에 힘을 가해 환자의 치조골만 부수면서 상기 막을 들어올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축(55)의 회전을 통해 사용자는 상기 파괴봉(56)이 목표 치조골 지점을 바라볼 수 있도록 조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악동 막의 손상 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상기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7의 파괴부재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상악동 막의 손상 방지 장치(200)는 치조골을 부수면서 상악동 막을 들어 올리거나, 부숴진 치조골 내의 상기 상악동 막을 들어올리도록 하기 위한 파괴부재(2), 환자의 제1 협측 치조골(310) 및 제2 협측 치조골(320)에 상기 상악동 막의 손상 방지 장치(200)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1 고정부(6) 및 제2 고정부(7), 환자의 구개 치조골(330)에 상기 상악동 막의 손상 방지 장치(200)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3 고정부(8) 및 상기 파괴부재(2), 제1 고정부(6), 제2 고정부(7), 제3 고정부(8)를 연결 고정하는 제1 조립부(40) 및 제2 조립부(30)를 포함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제1 고정부(6), 제2 고정부(7), 제3 고정부(8), 제1 조립부(40), 및 제2 조립부(3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들과 그 구조 및 기능이 유사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파괴부재(2)는 도 8에 구체적으로 도시된다. 도 8을 참고하면, 누름부(26)를 포함하는 누름핸들(22)은 상기 누름부(26)가 위치하는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그 끝에 파괴단(24)을 포함하고, 상기 누름핸들(22)은 축(25)을 통해 반원부재(27)와 연결되며 상기 반원부재(27)는 상기 제1 접촉부(63)와 맞닿는 원형의 접촉부재(23)를 포함한다.
상기 누름부(26)는 사용자가 누를 경우 누르는 손가락이 아프지 않게 하기 위한 재료로 구성되며, 그 재료는 예컨대, 고무, 우레탄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파괴부재(2), 제1 고정부(6), 제2 고정부(7) 및 제3 고정부(8)는 각각의 조립홀(20)(60)(70)(80)에 상기 제1 조립부(40) 및 제2 조립부(30)가 끼워져 조립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조립부(40) 및 제2 조립부(30)는 어느 하나가 그 내부가 음각이어서 다른 하나가 그 음각 내에 끼워들어감으로써 조립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제1 조립부(40) 및 제2 조립부(30)의 조립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방식의 조립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상기 상악동 막의 손상 방지 장치(20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컨대, 사용자는 검지를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으로 상기 제1 핸들(62) 및 제2 핸들(72)을 잡고 제1 고정부(6), 제2 고정부(7), 제3 고정부(8)를 환자의 제1 협측 치조골(310) 및 제2 협측 치조골(320)과 구개 치조골(33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검지손가락을 이용하여 상기 누름부(26)를 누를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누름부(26)를 누를 경우 축(25)의 회전에 의해 상기 파괴단(24)이 위로 올라와 사용자가 부수고자 하는 환자의 치조골에 힘을 가해 상기 환자의 치조골을 부수면서 상기 막을 들어올리거나, 상기 환자의 부숴진 치조골 내의 상기 상악동 막을 들어올리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대상자의 상악동 막의 손상 방지 장치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 홀더와 상기 제1 홀더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가 잡기 위한 제1 핸들을 포함하는 제1 고정부;
    상기 제1 고정부에 연결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2 홀더와 상기 제2 홀더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가 잡기 위한 제2 핸들을 포함하는 제2 고정부;
    상기 제2 고정부에 연결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3 홀더를 포함하는 제3 고정부; 및
    상기 제1 고정부에 연결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끝단에 파괴단을 포함하는 파괴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파괴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통해 상기 파괴단이 움직임으로써 상기 파괴단이 상기 대상자의 치조골에 힘을 가해 상기 대상자의 치조골을 부수면서 상기 상악동 막을 들어올리도록 하거나, 상기 대상자의 부숴진 치조골 내의 상기 상악동 막을 들어올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자의 상악동 막의 손상 방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괴부는
    상기 제1 고정부에 연결되는 접촉부재;
    상기 접촉부재에 연결되며 반원형태로 내부에 구멍이 뚫린 반원부재;
    상기 반원부재의 구멍을 통과하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끝단에 상기 파괴단과 상기 길이방향의 반대방향에 사용자가 압력을 가하기 위해 접촉할 때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누름완충부를 포함하는 파괴몸체;
    상기 반원부재의 구멍을 통과하면서 상기 파괴몸체의 일부를 덮는 커버; 및
    상기 커버와 상기 반원부재를 연결하면서 상기 커버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자의 상악동 막의 손상 방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괴몸체는
    상기 파괴단;
    상기 커버 내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파괴단을 그 끝에 포함하는 파괴봉;
    상기 파괴봉에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는 바디;
    상기 바디에 연결되고 사용자로부터 압력을 받으며 상기 누름완충부를 포함하는 누름부재; 및
    상기 바디의 외측에 감긴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자의 상악동 막의 손상 방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단면적 및 상기 누름부재의 단면적은 외측에 상기 스프링이 감긴 바디의 단면적보다 크고,
    이러한 단면적 차이에 의해, 상기 누름부재가 사용자로부터 압력을 받을 경우 상기 스프링이 상기 커버 및 상기 누름부재 사이에서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자의 상악동 막의 손상 방지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괴부는
    상기 제1 고정부에 연결되는 접촉부재;
    상기 접촉부재에 연결되며 반원형태로 내부에 구멍이 뚫린 반원부재;
    상기 반원부재의 구멍을 통과하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끝단에 상기 파괴단과 상기 길이방향의 반대방향에 사용자가 압력을 가하는 누름부를 포함하는 누름핸들; 및
    상기 누름핸들과 상기 반원부재를 연결하면서 상기 누름핸들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자의 상악동 막의 손상 방지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 제2 고정부, 제3 고정부 및 상기 파괴부는 각각 조립홀을 포함하고,
    상기 대상자의 상악동 막의 손상 방지 장치는
    상기 조립홀을 통과하여 상기 제1 고정부, 제2 고정부, 제3 고정부 및 상기 파괴부를 조립해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나사 형상의 조립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자의 상악동 막의 손상 방지 장치.
KR1020140001951A 2014-01-07 2014-01-07 상악동 막의 손상 방지 장치 KR101471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1951A KR101471803B1 (ko) 2014-01-07 2014-01-07 상악동 막의 손상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1951A KR101471803B1 (ko) 2014-01-07 2014-01-07 상악동 막의 손상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1803B1 true KR101471803B1 (ko) 2014-12-10

Family

ID=52678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1951A KR101471803B1 (ko) 2014-01-07 2014-01-07 상악동 막의 손상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18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37955A (zh) * 2016-05-06 2016-10-26 杜建涛 医用微创拔牙钳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0374B1 (ko) * 2006-02-17 2006-12-22 송영완 상악동 거상술을 위한 임플란트 드릴
JP4261557B2 (ja) * 2006-01-12 2009-04-30 浩 松本 顎骨穿孔用ガイド装置
EP2250972A1 (en) * 2009-05-15 2010-11-17 Spano Technology S.r.l. Surgical apparatus, particularly of the dental type, for procedures for raising the maxillary sin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61557B2 (ja) * 2006-01-12 2009-04-30 浩 松本 顎骨穿孔用ガイド装置
KR100660374B1 (ko) * 2006-02-17 2006-12-22 송영완 상악동 거상술을 위한 임플란트 드릴
EP2250972A1 (en) * 2009-05-15 2010-11-17 Spano Technology S.r.l. Surgical apparatus, particularly of the dental type, for procedures for raising the maxillary sin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37955A (zh) * 2016-05-06 2016-10-26 杜建涛 医用微创拔牙钳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62663B2 (ja) 上顎洞膜挙上用ドリル
KR100619145B1 (ko) 상악동 거상술을 위한 임플란트 드릴
KR100981717B1 (ko) 상악동 거상용 드릴 툴
KR100884211B1 (ko) 상악동 거상 시술용 피조톰
KR100660374B1 (ko) 상악동 거상술을 위한 임플란트 드릴
DK2689743T3 (en) Drill for implant surgery
KR100962166B1 (ko) 임플란트용 일체형 치조골절개 확장기
MX2008012842A (es) Barreno para la colocacion satisfactoria de implante.
KR100283988B1 (ko) 골유착 인공치
KR100948616B1 (ko) 스토퍼가 구비된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KR101113306B1 (ko) 상악동 거상술용 드릴 유닛
KR101471803B1 (ko) 상악동 막의 손상 방지 장치
KR100981718B1 (ko)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CN106572912B (zh) 外科植入物及相关安装工具、外科套件及制造方法
KR100721603B1 (ko) 임플란트용 분리장치
KR20110100016A (ko) 팁을 구비한 오스테오톰
KR20190085301A (ko) 상악동 점막 거상용 드릴
JP2007313285A (ja) インプラント前窩形成用の補助具
JP3816927B2 (ja) 歯列矯正用支持体
KR102504906B1 (ko) 상악동 점막 거상용 드릴
KR100969697B1 (ko) 골창 형성용 드릴
KR101011680B1 (ko) 잇몸 펀칭장치
KR101027579B1 (ko) 안전한 상악동 거상을 위한 골조직 확공기
KR100945730B1 (ko) 상악동 골이식 어셈블리
KR20090084876A (ko) 조직 리트랙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