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0007B1 - 자리 맞춤용 가이드핀 - Google Patents

자리 맞춤용 가이드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0007B1
KR101690007B1 KR1020150119756A KR20150119756A KR101690007B1 KR 101690007 B1 KR101690007 B1 KR 101690007B1 KR 1020150119756 A KR1020150119756 A KR 1020150119756A KR 20150119756 A KR20150119756 A KR 20150119756A KR 101690007 B1 KR101690007 B1 KR 101690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fixing member
hole
guide pin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9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종호
박석철
이승철
Original Assignee
전남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에이에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에이에이테크 filed Critical 전남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19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00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0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0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61Tools for holding the circuit boards during processing; handling transport of printed circuit boards
    • H05K13/0069Holders for printed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리 맞춤용 가이드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측에 설치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일측면에 접촉되도록 고정부재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대응부재와, 상기 대응부재와 접촉되는 고정부재의 일측면에 외측으로 일정 높이 돌출되게 설치되어 접촉되는 대응부재를 고정부재의 정해진 위치로 유도하여 상호간에 정확한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리맞춤용 가이드핀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핀은 헤드부와 몸통부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헤드부는 고정부재의 상면에 돌출되어 접촉이 이루어지는 대응부재의 원활한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원추형 모양으로 이루어져 그 외경이 상부에서 하부측으로 점점 커지는 테이퍼형의 자리맞춤 유도부와, 상기 자리맞춤유도부의 말단측에서 상하 동일한 외경을 유지하도록 일정 높이 형성된 자리맞춤 고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몸통부는 상기 헤드부의 말단 중심부에서 헤드부의 말단측 외경 또는 폭보다 다소 작은 크기로 구성되어 아래방향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면서 고정부재에 형성된 고정홀 내측으로 삽입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리 맞춤용 가이드핀{Guide-pin for seat mounting}
본 발명은 자리 맞춤용 가이드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호 대응하는 두 부재 중 어느 일측 부재에 설치되어 타측 부재가 그 일측부재와 정해진 위치에서 상호 만나거나 결합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자리 맞춤용 가이드핀에 관한 것이다.
각종 대형 산업용 설비의 왕복 운동장치에서 이동부재와 고정부재의 교합시 서로 정해진 위치나 부위에서 만날 수 있도록 두 부재 사이에서 어느 일측 부재에 타측 부재를 유도하거나 인도하여 최종 교합되는 과정에서 두 부재가 정확하게 만날 수 있도록 위치고정 가이드부재 또는 자리맞춤용 가이드핀이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또한, 각종 전자기기의 부품으로 사용되는 초소형 칩이나 모듈을 기판에 부착하거나, 조립된 모듈의 세척, 인쇄회로기판의 정해진 위치에 모듈 및 칩 등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각종 부품이 결합되는 메인부재를 고정하도록 고정지그 또는 고정플레이트(이하 ‘고정부재’라 칭함)가 이용되고, 상기 고정부재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재를 향해 왕복 또는 접근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메인부재의 일측에 접촉되면서 메인부재에 결합되는 부품을 고정하거나 위치를 결정해주는 고정플레이트 또는 고정클램프(이하 ‘대응부재’라 칭함)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대응부재가 고정부재의 정해진 위치로 안내되어 정확하게 교합되도록 두 부재 중 어느 일측 부재에는 타측부재를 정해진 위치로 인도하는 위치고정 또는 자리맞춤용 가이드핀 등이 설치되어 사용된다.
즉, 부품의 조립과정에 이용되는 조립테이블이나 조립용 지그, 부품 정렬용 플레이트 등은 조립되는 부품의 종류에 따라 그 크기가 다양할 뿐만 아니라 매우 정밀하게 제작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각종 기기의 전자부품으로 이용되는 인쇄회로기판에 초소형 칩이나 기능성 모듈을 실장하는데 사용되는 조립용 지그나 모듈 고정트레이 및 플레이트 등은 조립될 부품의 특성상 매우 정밀하게 제작되어 사용되므로, 여기에 사용되는 가이드핀 또한 매우 정밀하고 초소형으로 가공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그중 일 실시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일 실시예는 휴대전화, TV, 디지털카메라, DVD리코더 등 각종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인쇄회로기판(PCB)에 각종 기능성 모듈 및 칩 등을 조립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쇄회로기판 모듈 고정용 고정부재(10)에 관한 것으로, 상기 고정부재(10)에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홈(14)에 각종 부품이 삽입 안착되고, 부품이 안착된 고정부재(10)의 상면으로 각 부품이 실장될 메인부재(15)가 안착되며, 상기 메인부재(15)의 외측에서 메인부재(15)를 고정부재(10)에 밀착 고정시키기 위한 대응부재(12)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대응부재(12)가 이동하여 대향측 고정부재(10)와 정확한 위치에서 상호 접촉되도록 하기 위해 고정부재(10)의 상면 모서리부에는 대응부재(12)의 삽입홀(17)에 결합되는 자리맞춤용 가이드핀(13, 이하 ‘가이드핀’이라 약칭함)이 끼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측 대응부재(12)가 하부측 고정부재(10)와 접촉되기 전에 고정부재(10)의 상면에 돌출 형성된 복수개의 가이드핀(13)과 삽입홀(17)이 상호 결합되며, 가이드핀(13)과 삽입홀(17)의 결합으로 대응부재(12)가 고정부재(10) 상면의 정해진 위치로 하강되고, 그 사이에 위치하는 메인부재(15)도 부품이 안착된 고정부재(10)의 상면에 바르게 위치되어 고정된다.
그러나,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가이드핀(13)은 사용되는 기술분야 및 장치나 그 용도에 따라 다르지만, 전자기기용 인쇄회로기판용으로 사용되는 가이드핀(13)은 통상 3㎜ 내외의 직경과, 3~5㎜의 길이를 갖는 초소형으로 이루어져 고정부재(10)의 상면에 형성된 고정홀에 그 하단부가 끼워져 고정되는데, 고정홀에 가이드핀을 꽂는 초기 작업이 불편하고, 대응부재(12)가 결합되는 과정 또는 결합 후 분리되는 과정 및 각종 모듈이 안착되는 과정에서 고정홀에 위치하고 있는 가이드핀이 이탈되어 분실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고정부재(10)의 고정홀에 끼워진 가이드핀(13)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해서 가이드핀(13)을 고정홀에 삽입하기 이전에 그 일단에 접착제 등을 발라서 고정홀에 조립된 후에 고정홀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였다.
하지만, 초소형 가이드핀의 일단에 접착제를 바르고, 접착제가 발라진 가이드핀을 고정홀의 내측으로 끼워 삽입시키는 준비 및 그 조립과정이 다소 불편하고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 사용되는 가이드핀은 그 형상이 일자형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대응부재의 접근시 셋팅된 위치가 조금만 틀려지게 되면 원활한 조립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작업의 신속성 및 효율성이 떨어지고, 이로 인해 생산성이 저하되어 이에 대한 개선책이 강구될 필요성이 제기되어 본 발명을 안출하게 되었다.
- 한국 공개실용신안 실2000-12535호(공개일: 2000.07.05, 고안의 명칭: 기판위치 결정장치) - 한국 공개특허 특2001-3157호(공개일: 2001.01.15, 발명의 명칭: 기판얼라인장치) - 한국 등록특허 제10-1451433호(등록일: 2014.10.08, 발명의 명칭: 기판 테이블 및 칩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자리맞춤용 가이드핀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가이드핀이 결합되는 고정부재에 고정된 후에 그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여 가이드핀의 잦은 분실로 부품 조립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거나 생산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리맞춤용 가이드핀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핀이 고정된 고정부재에 대응부재가 교합되는 과정에서 그 셋팅된 결합위치가 미세하게 차이가 있더라도 자연스런 교합이 가능하도록 하여 후속되는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리맞춤용 가이드핀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리맞춤용 가이드핀은 일측에 설치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일측면에 접촉되도록 고정부재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대응부재와, 상기 대응부재와 접촉되는 고정부재의 일측면에 외측으로 일정 높이 돌출 설치되어 접촉되는 대응부재를 고정부재의 정해진 위치로 유도하여 상호간에 정확한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핀은 헤드부와 몸통부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헤드부는 고정부재의 상면에 돌출되어 접촉이 이루어지는 대응부재의 원활한 교합이 이루어지도록 원추형 모양으로 이루어져 그 외경이 상부에서 하부측으로 점점 커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된 자리맞춤 유도부와, 상기 자리맞춤유도부의 말단측에서 상하 동일한 외경을 유지하도록 일정 높이 형성된 자리맞춤 고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몸통부는 고정부재에 형성된 고정홀의 내측으로 삽입 고정되어 상기 헤드부를 고정부재 상면에 반듯하게 돌출된 상태로 고정 지지하도록 상기 헤드부의 말단 중심부에서 헤드부의 말단측 외경 또는 폭보다 다소 작은 크기로 아래방향으로 일정길이 돌출된 형상으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헤드부의 자리맞춤 고정부의 말단 저면에는 상기 몸통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어느 일측부재의 표면과 면 접촉되어 돌출된 헤드부가 반듯하게 상방향을 향할 수 있도록 수평단면을 갖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통부는 상하 길이방향의 중심부에 그 상단 및 하단보다 직경 또는 폭이 다소 큰 끼움고정부가 일정 높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고정부의 하단측에는 끼움고정부보다 그 외경 또는 폭이 다소 작은 크기로 형성된 홀삽입맞춤부가 형성되며, 상기 홀삽입맞춤부의 말단측에서 최하단까지는 몸통부의 수직중심축을 향해 내향지게 경사진 면취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또한, 상기 몸통부의 저면 중심부에는 헤드부를 향해 일정 깊이의 중공홀이 형성되어 고정부재의 고정홀에 몸통부가 박힌 후에 중공홀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공구를 중공홀의 내측으로 삽입하여 중공홀의 선단부가 외측방향으로 펴지면서 고정홀의 하단 주변에 걸쳐져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리맞춤용 가이드핀은 고정부재에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부재의 상면으로 돌출된 헤드부가 원추형으로 이루어져 대응부재의 초기 결합시 결합부위간에 상하 수직 중심축이 상이하더라도 그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핀을 고정부재에 형성된 고정홀에 결합할 때, 그 하단부에 고정홀의 초기 진입이 유리하도록 하는 면취부와, 고정홀보다 다소 작은 크기의 홀삽입맞춤부가 형성되어 고정홀의 내측으로 가이드핀의 몸통부가 바르게 끼워져 나머지 몸통부의 조립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고정부재의 고정홀에 결합된 가이드핀의 하단부가 그 고정홀의 저면부 외측으로 돌출된 후에 몸통부 하단측 중공홀에 중공홀보다 다소 큰 직경을 갖는 송곳이나 기타 다른 공구를 끼워 넣어 홀삽입맞춤부가 외측으로 펴지게 하여 리벳형태로 고정부재에 몸통부가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반 영구적인 견고한 결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가이드핀이 고정된 고정부재의 사용시 가이드핀의 분실 또는 이탈에 따라 작업에 불편함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리맞춤용 가이드핀의 사용상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리맞춤용 가이드핀의 외관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리맞춤용 가이드핀의 일측 수직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리맞춤용 가이드핀이 고정부재의 고정홀에 결합되는 상태 및 결합된 가이드핀의 일부 확대도,
도 6은 고정부재의 고정홀에 끼움 결합된 가이드핀의 수직절단 단면도,
도 7은 고정부재의 고정홀에 결합된 가이드핀의 몸통부 중공홀에 공구를 삽입하여 몸통부 하단측이 외측으로 펴지게 하여 고정부재에 몸통부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작업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핀은 어느 일측 부재(이하, 고정부재라 칭함) 및 이에 대향되게 설치된 타측부재(이하 대응부재라 칭함)가 상호 접촉되게 구성되는 장치 및 구조에서 고정부재에 결합되어 대응부재가 고정부재의 정해진 자리로 이동되어 결합되도록 안내 및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물론, 상기 고정부재와 대응부재는 상호 대향되는 두 부재를 상호 대비되게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용어로, 고정부재가 반드시 고정되어야 하고 이동부재가 반드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두 부재중 어느 일측부재가 고정 또는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거나 필요에 따라 두 부재 모두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핀이 반드시 고정부재에 결합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즉, 가이드핀은 그 사용되는 장치의 종류나 용도, 작업방법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고정부재나 이동부재 중 어느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의미하는 고정부재는 자리맞춤을 안내 및 유도하는 가이드핀이 결합되는 부재를 고정부재라 칭하고, 고정부재에 대향되게 설치되어 고정부재를 향해 이동하는 부재를 대응부재라 칭하는 것이며, 이러한 용어 자체가 갖는 의미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데 이용되지는 않 는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핀(50)의 외관상태가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핀(50)은 원추형, 팽이형 또는 버섯모양으로 이루어진 상단측 헤드부(20)와, 상기 헤드부(20)의 하단에서 헤드부(20)의 말단측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하향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몸통부(30)로 구성된다.
상기 헤드부(20)는 그 외측면이 상부에서 하부측으로 경사면을 이루면서 그 외경이 커지는 테이퍼형으로 이루어진 자리맞춤유도부(22)와, 상기 자리맞춤유도부(20)의 말단측에서 바닥면 또는 가이드핀이 결합되는 고정부재의 상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일정 높이, 즉 동일한 외경으로 일정높이 형성된 자리맞춤 고정부(24)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자리맞춤 고정부(24)의 말단측 저면에는 고정부재의 상면에 대해 수평한 단면을 갖는 안착부(26)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몸통부(30)가 고정부재의 고정홀 내측으로 끼움 결합시 상기 안착부(26)가 고정부재의 상면에 면 접촉되어 고정부재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헤드부(20)가 반듯하게 상방향을 향할 수 있도록 고정, 지지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헤드부(20)의 안착부(26) 중심부에서 하향으로 일정길이 형성된 몸통부(30)는 그 외경 또는 폭이 상기 안착부(26)의 외경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몸통부(30)는 결합되는 고정부재(도 7참조)의 고정홀의 내부에 형성된 수직부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되며, 상하 길이방향의 중심부에는 상하단보다 그 외경 또는 폭이 다소 큰 끼움고정부(32)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고정부(32)의 하단측에서 끼움고정부(32)보다 그 외경 또는 폭이 다소 작게 형성된 홀삽입맞춤부(34)가 형성되며, 상기 홀삽입맞춤부(34)의 말단에서 몸통부의 최하단까지는 몸통부의 수직중심축을 향해 내향지도록 경사진 면취부(36)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통부(30)의 저면 내측으로 상부측 헤드부(20)를 향해 일정 깊이 및 내경을 갖는 중공홀(38)이 가공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핀(50)의 수직 절단단면도가 도 4에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핀(50)이 고정부재(10)에 조립되는 상태 및 조립 후 가이드핀(50)이 결합된 고정부재(10)의 일부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의 수직 절단단면도를 참고하면서 가이드핀(50)의 각 부위에 대한 기능에 대해서 좀 더 상술하면, 상기 헤드부(20)의 자리맞춤유도부(22)는 가이드핀(50)이 고정부재(10)에 고정된 상태에서 대향측 대응부재가 이동되어 고정부재에 접근하는 과정에서 이동부재 또는 고정부재가 미세하게 움직여서 대응부재에 형성된 고정홀의 수직 중심축이 헤드부(20)의 상면 수직 중심축에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는 오차가 유지된 상태에서 접근하더라도 경사진 자리맞춤유도부(22)의 외주면을 따라 반응부재의 고정홀이 슬라이딩되면서 자연스럽게 그 중심부가 맞춰지면서 고정부재의 정해진 위치에 최종적으로 정확한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헤드부(20)의 테이퍼형 자리맞춤유도부(22)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된 반응부재의 고정홀은 자리맞춤유도부(22)의 말단부에서 수직으로 형성된 자리맞춤 고정부(24)에 그 선단부가 최종적으로 접촉되면서 그 유동이 방지될 수 있는 상태로 고정부재에 결합된 가이드핀의 헤드부에 결합된다.
한편, 고정부재(10)의 고정홀(14)에 삽입되어 헤드부(20)를 고정시키는 상기 몸통부(30)는 그 말단부에 내향되도록 경사진 면취부(36)가 형성되어 있어서 가이드핀(50)을 고정부재(10)의 고정홀(14)에 최초로 삽입시킬 때, 그 몸통부의 선단부가 고정홀 내측으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여 그 조립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면취부(36)의 상단부에는 고정홀(42)의 내경보다는 다소 작은 크기의 홀삽입맞춤부(34)가 일정길이 형성되는데, 상기 홀삽입맞춤부(34)는 면취부(36)에 의해 고정홀(42)의 내측으로 용이하게 삽입된 몸통부(30)의 하단측이 고정홀(14)의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고정홀(14)의 내측에서 반듯한 직립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그 상단부에 형성된 끼움고정부(32)가 고정홀(14) 내주면에 억지끼움이 용이하도록 한다.
즉, 상기 끼움고정부(32)는 그 외경이 고정부재(10)의 고정홀(14) 내경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고정홀(14)에 억지 끼움 결합시 몸통부(30)가 고정홀(14)의 내측에서 비뚤어지게 안착된 상태로 결합될 경우 그 상단측 헤드부(20)의 수직중심축이 비뚤어져 대응부재의 결합이 원활하지 못하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몸통부(30)의 중심부인 끼움고정부(32)가 고정홀(14)의 내주면에 밀착되기 전에 일정 길이의 홀삽입맞춤부(34)가 가이드핀의 몸통부(30)를 고정홀(14)의 내측에 반듯하게 유지시킨 상태에서 끼움고정부(32)가 고정홀(14)의 내측으로 삽입 고정되므로 그 상단측 헤드부(20)의 수직 중심축이 뒤틀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대응부재의 결합이 원활하도록 한다.
삭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핀(50)이 고정부재(10)의 고정홀(14)에 조립되는 상태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10)에는 다양한 크기의 부품을 고정할 수 있는 부품고정공(16)이 복수개 형성되고 있고, 상기 복수개의 부품고정공(16)이 형성된 테두리부에는 그 상면으로 대응부재의 원활한 교합이 가능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핀(50)이 결합되는 고정홀(14)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핀(50)은 그 하단부에 형성된 일정 길이의 몸통부(30)가 상기 고정부재(10)의 고정홀(14) 내측으로 삽입 고정되면서 몸통부(30)의 상단에 형성된 헤드부(20)의 하단측 안착부(26)가 고정부재(10)의 상면에 수평상태로 면 접촉되면서 안착되어 헤드부(20)가 고정부재(10)의 상면에 반듯하게 결합된 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도 6은 도 5의 B-B선에 따른 수직 절단단면도로서, 상기 고정부재(10)의 고정홀(14)에 몸통부(30)가 삽입되어 고정된 가이드핀(50)의 결합상태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핀(50)이 고정부재(10)의 고정홀(14) 내측에 삽입 고정되면 몸통부(30)의 하단측 일부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홀삽입맞춤부(34)가 형성된 위치의 높이만큼 고정홀(14)의 하단부에 상단부보다 다소 크게 형성된 확장부(14b)가 구비되어 상기 홀삽입맞춤부(34)의 외측면이 고정홀(14)의 확장부(14b) 내면에서 이격된 상태가 유지된다.
즉, 상기 몸통부(30)는 고정홀(14)의 내측 수직부(14a)보다 다소 길게 형성되어 수직부(14a) 하단의 확장부(14b)까지 일정 길이 돌출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복수개의 가이드핀을 고정부재의 고정홀에 각각 끼움 결합시킨 후에 고정부재를 뒤집어서 가이드핀의 헤드부 상면이 바닥면에 접촉되도록 한 상태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홀(14)에 삽입된 가이드핀(50)의 몸통부 저면에서 헤드부를 향해 일정 깊이 형성된 중공홀(38)의 내부로 중공홀보다 다소 큰 직경을 갖는 공구(T)를 밀어넣게 되면(a), 비교적 연성재질로 이루어진 가이드핀(50)의 몸통부(30) 하단이 바깥쪽으로 펴지거나 찢어지면서 고정홀(14)의 확장부(14b) 내주연에 접촉(b)되어져 고정홀(14)에 결합된 가이드핀(50)을 견고하게 고정하여 고정부재(10)에 외부 충격이 작용하더라도 고정홀(14)에서 가이드핀(50)이 쉽게 이탈되어 분실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각 가이드핀(50)의 몸통부(30)가 고정부재(10)의 고정홀(14)에 각각 삽입된 후, 고정부재(10)를 뒤집어서 가이드핀(50)의 몸통부(30) 저면에 형성된 중공홀(38)의 내측으로 송곳 등 도구를 삽입하여 중공홀의 내측으로 가압하게 되면, 중공홀의 선단부, 즉 홀삽입맞춤부(34)가 찢어지거나 외측방향으로 펴지면서 고정홀(14)의 하단 확장부(14b) 내면으로 밀착되면서 마치 리벳과 같은 체결상태가 이루어져 고정홀(14)에 결합된 가이드핀이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10 : 고정부재 12 : 대응부재
13 : 가이드핀 14 : 고정홀
14a : 수직부 14b : 확장부
15 : 메인부재 16 : 부품고정공
17 : 삽입홀 20 : 헤드부
22 : 자리맞춤 유도부 24 : 자리맞춤 고정부
26 : 안착부 30 : 몸통부
32 : 끼움고정부 34 : 홀삽입맞춤부
36 : 면취부 38 : 중공홀
50 : 자리맞춤용 가이드핀 T : 공구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고정부재(10)의 상면에 돌출되어 고정부재(10)에 접촉하는 대응부재(12)의 정확한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상부에서 하부측으로 점점 커지는 테이퍼형 외경을 갖는 자리맞춤 유도부(22)와, 상기 자리맞춤 유도부(22)의 말단에서 상하 동일한 외경을 유지하도록 일정 높이의 자리맞춤 고정부(24)가 형성된 헤드부(20); 상기 헤드부(20)의 말단 중심부에서 헤드부(20)의 말단측 외경 또는 폭보다 다소 작은 크기로 구성되어 아래방향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면서 고정부재(10)에 형성된 고정홀(14)의 내측으로 삽입 고정되는 몸통부(30); 상기 몸통부(3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부재(10)의 상면과 면 접촉되어 돌출된 헤드부(20)가 반듯하게 상방향을 향할 수 있도록 상기 자리맞춤 고정부(24)의 말단 저면에 수평단면을 갖는 안착부(26); 상기 몸통부(30)의 저면 중심부에서 헤드부(20)를 향해 일정 깊이로 가공된 중공홀(38); 상기 고정부재(10)에 형성된 고정홀(14) 내측으로 상기 몸통부(30)의 초기 삽입이 용이하도록 몸통부(30)의 말단 외주면에 일정 기울기로 경사진 면취부(36);가 형성되되,
    상기 몸통부(30)는 상기 고정홀(14)의 내측 수직부(14a)의 높이보다 길이가 다소 길게 형성되고,
    상기 몸통부(30)의 상하 길이방향의 중심부에는 상기 중공홀(38)의 내주연에 밀착되어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그 상단 및 하단보다 직경 또는 폭이 다소 큰 일정 높이의 끼움고정부(32)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홀(14)에 몸통부(30)가 박힌 후에 상기 중공홀(38)의 내측으로 중공홀(38)보다 큰 직경을 갖는 공구를 삽입할 경우 중공홀(38)의 말단부가 외측방향으로 펴지거나 찢어지면서 고정홀(14)의 확장부(14b) 내면에 걸쳐져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끼움고정부(32)의 하단측에는 끼움고정부(32)보다 외경 또는 폭이 다소 작은 일정 높이의 홀삽입맞춤부(34)가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리맞춤용 가이드핀.
KR1020150119756A 2015-08-25 2015-08-25 자리 맞춤용 가이드핀 KR101690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756A KR101690007B1 (ko) 2015-08-25 2015-08-25 자리 맞춤용 가이드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756A KR101690007B1 (ko) 2015-08-25 2015-08-25 자리 맞춤용 가이드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0007B1 true KR101690007B1 (ko) 2016-12-27

Family

ID=57736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9756A KR101690007B1 (ko) 2015-08-25 2015-08-25 자리 맞춤용 가이드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000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6095U (ko) * 1993-11-16 1995-06-19 회로기판 체결구
KR20000012535A (ko) 1999-12-10 2000-03-06 박희철 튀김기용 유수분리 정화기
KR20010003157A (ko) 1999-06-21 2001-01-15 구본준 기판얼라인장치
JP2011082417A (ja) * 2009-10-09 2011-04-21 Juki Corp 電子部品供給装置の位置決め構造
JP2013134854A (ja) * 2011-12-26 2013-07-08 Enplas Corp 電気部品用ソケット
KR101451433B1 (ko) 2007-05-24 2014-10-15 라피스 세미컨덕터 가부시키가이샤 기판 테이블, 및 칩의 제조 방법
JP2015069799A (ja) * 2013-09-27 2015-04-13 株式会社エンプラス 取付部材および電気部品用ソケット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6095U (ko) * 1993-11-16 1995-06-19 회로기판 체결구
KR20010003157A (ko) 1999-06-21 2001-01-15 구본준 기판얼라인장치
KR20000012535A (ko) 1999-12-10 2000-03-06 박희철 튀김기용 유수분리 정화기
KR101451433B1 (ko) 2007-05-24 2014-10-15 라피스 세미컨덕터 가부시키가이샤 기판 테이블, 및 칩의 제조 방법
JP2011082417A (ja) * 2009-10-09 2011-04-21 Juki Corp 電子部品供給装置の位置決め構造
JP2013134854A (ja) * 2011-12-26 2013-07-08 Enplas Corp 電気部品用ソケット
JP2015069799A (ja) * 2013-09-27 2015-04-13 株式会社エンプラス 取付部材および電気部品用ソケッ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2925B1 (ko) 플렉시블 회로기판 진공 흡착 지그 장치
WO2016176920A1 (zh) 卡托和电子设备
KR101690007B1 (ko) 자리 맞춤용 가이드핀
US20150334888A1 (en) Process apparatus capable of pushing panel-shaped object and process method thereof
JP6973839B1 (ja) Oリング組付け機構及びoリング組付け方法
JP5549404B2 (ja) シザーズギア組立装置
JP5218218B2 (ja) ハンダ付け治具
KR200372566Y1 (ko) 인쇄회로기판 표면실장용 지그
JP2014213433A (ja) ワーク固定機構
CN111168371A (zh) 组装用装置和结构体制造方法
JP3904429B2 (ja) バックアップピン位置決め装置
KR101535245B1 (ko) 테스트 트레이의 인서트 어셈블리
KR101402931B1 (ko) 진공 흡착 지그 장치를 이용한 플렉시플 회로기판 부품 장착 방법
KR20160135975A (ko) 항공기 부품 분리형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
KR20090087604A (ko) 렌즈 배럴 조립용 지그
TWI449613B (zh) 電子元件引腳校正裝置及方法
JP6389363B2 (ja) 部品の取付構造
CN210491349U (zh) 一种插针焊接工装
US9577350B2 (en) Pin and a printed circuit board
TWI786571B (zh) 針腳切削模組及切削方法
CN214177656U (zh) 一种印刷电路板载具及一种印刷电路板
CN209822601U (zh) 晶片治具
CN109302838B (zh) 小型元器件的邦定夹具
CN203644504U (zh) 封装电感器
CN214639903U (zh) 针脚切削模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