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7567B1 - 실내 키즈카페에 설치하는 유아 놀이용 무동력 자동차트랙 - Google Patents

실내 키즈카페에 설치하는 유아 놀이용 무동력 자동차트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7567B1
KR101687567B1 KR1020160005659A KR20160005659A KR101687567B1 KR 101687567 B1 KR101687567 B1 KR 101687567B1 KR 1020160005659 A KR1020160005659 A KR 1020160005659A KR 20160005659 A KR20160005659 A KR 20160005659A KR 101687567 B1 KR101687567 B1 KR 101687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pe
uphill
section
roa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5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0342A (ko
Inventor
이창호
이다은
Original Assignee
(주) 릴리펏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릴리펏 filed Critical (주) 릴리펏
Priority to CN201610369528.5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6975225B/zh
Publication of KR20160140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0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7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7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06Chutes; Helter-skelters with passing arrangements for ca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5/00Autocar-like self-drivers; Runway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7/00Up-and-down hill tracks; Switchbacks

Landscapes

  • Toy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즈카페 테마놀이방에 있어서, 적정한 면적을 구획한 건물바닥면에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 및 경사면프레임을 연결형성한 트랙프레임에 합판을 덮어 붙이고 일방통행 차선을 표시한 경사면을 한 방향으로 향하는 오르막길과 내리막길을 일직선상으로 나란히 붙여서 구성하되, 상기의 오르막길은, 수평면상의 출발지점과 경사면의 오르막구간 및 수평면상의 쉼구간을 구성하여, 혼자의 노력으로 경사면 오르막구간을 오르다가 힘들면 수평면상의 쉼구간에서 잠시 쉬었다가 다시 오를 수 있도록 하고, 상기의 내리막길은, 경사면 내리막구간과 수평면 감속구간을 구성하고 또 경사면 막바지에 적어도 세 개 이상의 속도제어 바를 구비하며 도착지점 바닥에는 완충패드를 설치 구성하여, U턴구간으로부터 내리막구간은 자중으로 내려가게 되고 내리막 가속력은 수평면 감속구간과 속도제어바에 의해 감속되어 안전하게 내려가서 도착지점의 완충패드가 정지 충격을 흡수하는 안전한 자동차놀이를 할 수 있도록 하며, 또, 상기 오르막길과 내리막길의 길이방향 중앙에는 목재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으로 연결구성한 격벽프레임에 합판과 쿠션시트 및 시트커버를 중첩한 격벽을 구성하되, 상기 격벽의 높이를 미취학 어린이가 놀이용무동력자동차에 올라앉은 눈높이로 구성하여 올라가는 어린이와 내려가는 어린이가 서로 바라보며 대화할 수 있도록 하고, 또, 경사면이 한 방향을 향해 이루어지는 상기 오르막길과 내리막길의 경사면 아래 바닥에는 수평면 출발지점과 도착지점을 구성하여 선회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상기 오르막길과 내리막길의 경사면 정상에는 U턴구간을 연결 구성하여 상기 오르막길 정상에서 선회하여 내리막길로 내려갈 수 있도록 하고, 또, 상기 출발지점과 오르막길 및 U턴구간과 그리고 또 내리막길과 도착지점으로 이루어지는 트랙의 바깥 둘레에는 목재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으로 연결구성하고 출입구를 구비한 울타리프레임에 합판을 포함한 쿠션시트와 시트커버를 중첩한 수직보호벽을 구성하되, 상기 수직보호벽의 높이는 1.2m를 초과하지 않는 높이로 하여 트랙을 이용 중인 어린 자녀와 트랙 밖 휴식공간의 보호자가 실시간으로 서로 바라볼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키즈카페에 설치하는 유아 놀이용 무동력자동차트랙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실내 키즈카페에 설치하는 유아 놀이용 무동력 자동차트랙{For infant play non-motorized car track to install indoor kids cafe}
본 발명은 실내 키즈카페에 설치하는 유아 놀이용 무동력자동차트랙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보호자의 보호를 절대적으로 필요로 하는 미취학 연령의 어린아이들과 이 어린아이들의 보호자들이 함께 실내에 마련된 키즈카페에 입장해서 어린아이들은 이 실내에 마련된 다양한 종류로 마련된 테마놀이시설에서 이웃 친구들과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고, 보호자는 어린이(자녀)가 즐거운 시간을 보내는 동안 자녀로부터 벗어나 조리제공시설을 갖춘 휴식공간에서 차와 음료 또는 음식을 즐기면서 한가한 휴식시간을 가질 수 있게 되는 실내 키즈카페에 설치하는 유아 놀이용 무동력자동차트랙에 관한 것이다.
세계적으로 미취학 어린 자녀를 둔 부부들의 맞벌이 현상이 일반화되면서 어떻게 하면 자기의 자녀를 건강하고 안전하게 키울 수 있을까? 하는 고민이 사회적인 문제로 확대되면서 어린 자녀는 안전하고 즐거운 놀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보호자는 어린 자녀가 즐거운 놀이를 하는 동안 차와 음료 또는 음식을 즐기면서 편안한 휴식을 취할 수 있게 되는 키즈카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발명은, 대단지 아파트와 연계되어 있는 상가건물 및 대형 쇼핑몰 또는 백화점 등의 건물 실내에서 미취학 연령의 유아들과 보호자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각종 다양한 종류의 테마놀이방 시설들과 식음료를 주문하고 제공하는 취식하고 휴식할 수 있게 되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490293호 키즈카페 테마놀이방(이하 '선등록특허'라 함)을 배경기술로 하는 것으로서, 선등록특허의 테마놀이방 시설과 연결해서 미취학 연령의 유아들이 스스로 노력해서 안전한 자동차놀이를 할 수 있게 되는 실내 키즈카페에 설치하는 유아 놀이용 무동력자동차트랙에 관한 것이다.
한편, 상기 선등록특허는 본 발명 출원인(주식회사 릴리펏)의 대표이사 이 창호. 이다은에 의해 2015.01.30.자에 선등록된 특허임을 등록특허공보로 확인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90293호, 2015.01.30.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98386호, 2012.10.3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1998-0006733, 1998.04.30.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04773호, 2012.11.20.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44778호, 2001.08.20.
본 발명은 실내 키즈카페에 다양하게 설치되는 어린이 놀이시설들 즉, 다양한 종류의 테마놀이방들과 연계해서 이용할 수 있게 되는 실내 키즈카페에 설치하는 유아 놀이용 무동력자동차트랙을 제공한다.
본 발명 실내 키즈카페에 설치하는 유아 놀이용 무동력자동차트랙은, 미취학 연령의 어린자녀들이 완구용으로 제작되는 무동력자동차를 타고 노는 과정에서 주입식으로 교육하기 어려운 자녀들에게 독립심과 도전정신을 키우게 하고 이웃 친구들을 사귀게 하는 교제 및 사회성을 배우게 하며, 또 호기심을 유발시켜서 창의력을 발달시키고 특히 체력단련을 하게 하는 동시에 교통질서를 스스로 알아가게 한다.
또, 실내 키즈카페에 설치되는 다양한 종류의 테마놀이방 시설들과 연계해서 이용하는 과정에서 과거 안전사고를 예방하게 되는 한편 적은 비용으로 실내 키즈카페에 마련되는 다양한 놀이시설들 사이에 설치하여 이용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삭제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 실시의 실내 키즈카페에 설치하는 유아 놀이용 무동력자동차트랙은, 제한된 실내공간에 설치 마련되는 다양한 종류의 테마놀이방 시설들 사이에 설치해서 연계해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 실시의 실내 키즈카페에 설치하는 유아 놀이용 무동력자동차트랙은 별도의 테마놀이방 사이 바닥면에 구성하는 것으로서, 이때의 트랙은 목재를 이용한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을 연결구성하여 낮은 면으로부터 점차 올라가는 완만한 경사로 이루어지는 오르막길과 오르막길 정상에서 회전하는 U턴구간 또 U턴구간으로부터 도착지점을 향해서 오르막길과 나란한 내리막길을 구성하는 트랙프레임과 중앙격벽프레임 및 수직보호벽프레임으로 구성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 실시의 실내 키즈카페에 설치하는 유아 놀이용 무동력자동차트랙은, 미취학 연령의 어린자녀들의 완구용으로 제작되는 놀이용 무동력 자동차에 올라앉아서 발바닥으로 트랙 바닥면을 밀면서 오르막길 정상까지 올라가고 정상 U턴구간에서 회전하여 도착지점까지 내리막길을 내려가며 도착지점에서 다시 U턴해서 반복하는 평면상 직사각형 모양의 일방통행;one-way 으로 구성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 실시의 실내 키즈카페에 설치하는 유아 놀이용 무동력자동차트랙은, 미취학 연령의 어린자녀들이 엄마 아빠 등 보호자의 보호를 받지 않고 혼자만의 힘과 노력으로 놀이용 무동력 자동차 놀이를 하는 과정에서 주입식으로 교육하기 어려운 독립심과 도전정신을 자라게 하고 이웃 친구들을 사귀는 교제경험과 함께 사회성을 자라게 하며 또 호기심을 유발시켜서 창의력을 발달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 실시의 실내 키즈카페에 설치하는 유아 놀이용 무동력자동차트랙은, 동력이 없이 완구용으로 공급되는 1인 놀이용 무동력 자동차에 올라앉아서 자신의 힘과 노력만으로 이용해야 하므로 이러한 과정에서 스스로 노력하는 습관과 함께 판단력이 향상되고 체력을 단련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 실시의 본 발명 실내 키즈카페에 설치하는 유아 놀이용 무동력 자동차트랙은, 실내 키즈카페에 설치된 여러 종류의 테마놀이방 시설들과 연결구성하기 때문에 어린 자녀들이 보호자의 도움이 없이도 안전사고 없이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 실시의 실내 키즈카페에 설치하는 유아 놀이용 무동력자동차트랙은, 체계화된 구조로 형식화한 간단한 구조이기 때문에 좁은 실내 공간에 설치가 가능할 뿐 아니라 적은 공사비용으로 쉽게 설치할 수 있게 되는 비용절감 및 많은 임대료 및 관리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a는 본 발명 실시 실내 키즈카페에 설치하는 유아 놀이용 무동력 자동차트랙의 설치상태를 예시한 측면예시 단면도
도 1b는 본 발명 실시 실내 키즈카페에 설치하는 유아 놀이용 무동력 자동차트랙의 측면 예시도
도 1c는 본 발명 실시 실내 키즈카페에 설치하는 유아 놀이용 무동력 자동차트랙의 주요부의 일부 오르막길과 내리막길 및 터닝포인트 구조를 설명하는 부분확대 단면도
도 1d는 본 발명 실시 실내 키즈카페에 설치하는 유아 놀이용 무동력 자동차트랙의 종점부분 구조를 설명하는 부분확대 확대 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 실시 실내 키즈카페에 설치하는 유아 놀이용 무동력 자동차트랙의 제1실시 설치상태를 예시한 평면예시도
도 2b는 본 발명 실시 실내 키즈카페에 설치하는 유아 놀이용 무동력 자동차트랙의 제2실시 설치상태를 예시한 평면예시도
도 2c는 본 발명 실시 실내 키즈카페에 설치하는 유아 놀이용 무동력 자동차트랙의 제3실시 설치상태를 예시한 평면예시도
도 3a는 본 발명 실시 실내 키즈카페에 설치하는 유아 놀이용 무동력 자동차트랙의 출발지점과 종착지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평면확대 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 실시 실내 키즈카페에 설치하는 유아 놀이용 무동력 자동차트랙의 오르막길과 내리막길을 설명하는 평면확대 단면도
도 3c는 본 발명 실시 실내 키즈카페에 설치하는 유아 놀이용 무동력 자동차트랙의 U턴구간을 설명하는 평면확대 단면도
도 3d는 본 발명 실시 실내 키즈카페에 설치하는 유아 놀이용 무동력 자동차트랙을 정면에서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횡단면 예시도
도 4a는 본 발명 실시 실내 키즈카페에 설치하는 유아 놀이용 무동력 자동차트랙의 일부인 수직벽의 제1실시 상태를 예시한 부분확대 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 실시 실내 키즈카페에 설치하는 유아 놀이용 무동력 자동차트랙의 일부인 수직벽의 제2실시 상태를 예시한 부분확대 단면도
도 4c는 본 발명 실시 실내 키즈카페에 설치하는 유아 놀이용 무동력 자동차트랙의 일부인 수직벽의 제3실시 상태를 예시한 부분확대 단면도
삭제
삭제
삭제
도 1a는 본 발명 실시 실내 키즈카페에 설치하는 유아 놀이용 무동력 자동차트랙의 설치상태를 예시한 측면예시 단면도
도 1b는 본 발명 실시 실내 키즈카페에 설치하는 유아 놀이용 무동력 자동차트랙의 측면 예시도
도 1c는 본 발명 실시 실내 키즈카페에 설치하는 유아 놀이용 무동력 자동차트랙의 주요부의 일부 오르막길과 내리막길 및 터닝포인트 구조를 설명하는 부분확대 단면도
도 1d는 본 발명 실시 실내 키즈카페에 설치하는 유아 놀이용 무동력자동차트랙의 종점부분 구조를 설명하는 부분확대 확대 단면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 실시 실내 키즈카페에 설치하는 유아 놀이용 무동력 자동차트랙의 제1실시 설치상태를 예시한 평면예시도 이며, 도 2b는 본 발명 실시 실내 키즈카페에 설치하는 유아 놀이용 무동력 자동차트랙의 제2실시 설치상태를 예시한 평면 예시도 이고, 도 2c는 본 발명 실시 실내 키즈카페에 설치하는 유아 놀이용 무동력자동차트랙의 제3실시 설치상태를 예시한 평면 예시도 이며, 도 3a는 본 발명 실시 실내 키즈카페에 설치하는 유아 놀이용 무동력 자동차트랙의 출발지점과 종착지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평면확대 단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 실시 실내 키즈카페에 설치하는 유아 놀이용 무동력 자동차트랙의 오르막길과 내리막길을 설명하는 평면확대 단면도이며, 도 3c는 본 발명 실시 실내 키즈카페에 설치하는 유아 놀이용 무동력 자동차트랙의 U턴구간을 설명하는 평면확대 단면도이고, 도 3d는 본 발명 실시 실내 키즈카페에 설치하는 유아 놀이용 무동력 자동차트랙을 정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횡단면 예시도 이며, 도 4a는 본 발명 실시 실내 키즈카페에 설치하는 유아 놀이용 무동력 자동차트랙의 일부인 수직벽의 제1실시 상태를 예시한 부분확대 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 실시 실내 키즈카페에 설치하는 유아 놀이용 무동력자동차트랙의 일부인 수직벽의 제2실시 상태를 예시한 부분확대 단면도이며, 도 4c는 본 발명 실시 실내 키즈카페에 설치하는 유아 놀이용 무동력자동차트랙의 일부인 수직벽의 제3실시 상태를 예시한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
이어서 설명하는 본 발명은 다양한 놀이를 즐길 수 있게 되는 실내 키즈카페 테마놀이방 시설들과 연계해서 재미있고 안전하게 이용하는 실내 키즈카페에 설치하는 유아 놀이용 무동력자동차트랙을 제공한다.
한편, 키즈카페 테마놀이방은 인구밀집 지역인 대단지 아파트 상가 건물 또는 대형 쇼핑몰이나 백화점 실내에 설치되며, 본 발명 실시의 실내 키즈카페에 설치하는 유아 놀이용 무동력자동차트랙은, 상기 실내에 설치되는 키즈카페 테마놀이방 시설에 연결구성한다.
한편, 일반적으로 상가 및 쇼핑몰이나 백화점 등 빌딩의 벽면구조를 평면적으로 살펴보면, 대부분이 도 2a 및 도 2b에 예시한 바와 같이, ''형을 이루거나 '━'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키즈카페는 상기와 같은 벽면구조를 가진 상가 건물 또는 빌딩의 실내에 구성되며, 키즈카페 테마놀이방 시설은 상기 건물의 실내 벽면을 따라서 설치구성되고, 본 발명 실시의 실내 키즈카페에 설치하는 유아 놀이용 무동력자동차트랙은 상기 구성하는 키즈카페 테마놀이방 시설들과 연계해서 이용할 수 있게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 1a, 도 1b, 도 1c, 도 3a, 도 3b, 도 3c, 도 3d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실시의 실내 키즈카페에 설치하는 유아 놀이용 무동력자동차트랙에서의 놀이용무동력자동차(110)가 통행하는 트랙(101)은, 도 1a 및 도 3d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실내바닥면(c)에 적정한 면적을 구획하여 목재 수직프레임(11a)과 수평프레임(11b) 및 경사면프레임(11b')을 연결하여 트랙프레임을 구성하고 그 상면에 합판(11c)을 덮고 차선(15)을 표시해서 오르막길(40)과 내리막길(60)을 구성하며, 또 상기 구성하는 오르막길(40)과 내리막길(60)의 일직선으로 중앙에와 바깥 둘레에는 목재 수직프레임(11a)과 수평프레임(11b)을 연결하여 중앙의 격벽프레임과 바깥 울타리프레임을 구성하고 합판(11c)과 시트커버(14)를 중첩하여 격벽(100)과 출입구(20)를 가진 수직보호벽(10)으로 이루어 지는 트랙(101)을 구성한다.
이때의 상기 오르막길(40)과 내리막길(60)은 동일한 경사면으로 나란히 붙여서 일직선으로 구성하고, 경사면 아래에는 출발지점(30)과 연결되는 도착지점(70)을 구성하며, 또 오르막 정상에는 오르막길(40) 도착과 내리막길(60) 출발점을 연결하는 U턴구간(50)을 구성한다.
그리고 또 상기 구성하는 오르막길(40)과 내리막길(60)은, 미취학 연령의 어린자녀들이 놀이용무동력자동차(110)에 올라앉은 상태에서 자신의 힘과 노력만으로 트랙(101) 바닥면을 발바닥으로 밀어가면서 쉽게 올라가고 안전하게 내려갈 수 있도록 실내바닥면(c)으로부터 시작되는 출발지점(30)으로부터 오르막길(40)의 정상 U턴구간(50)까지 경사면의 각도가 7°를 초과하지 않도록 낮은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트랙(101)을 구성한다.
아울러서 놀이용무동력자동차(110)에 올라앉은 미취학 연령의 어린 자녀는 자신의 힘과 노력만으로 트랙(101) 바닥면을 발바닥으로 밀어가면서 오르막길(40)을 쉽게 올라갈 수 있게 되고 오르막길(40)을 다 올라간 U턴구간(50)에서 방향을 바꾸어서 내리막길(60)을 안전하게 내려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의 수직프레임(11a)과 수평프레임(11b)은 그 높낮이를 달리해서 오르막길(40)에는 적어도 두 구간 이상 오르막구간(40a)과 쉼구간(40b)을 구비하고 내리막길(60)에는 내리막구간(60a)과 감속구간(60b)을 두 구간 이상 구비하며, 또 도착지점(70)에 이르기 직전의 내리막구간(60a)에는 적어도 세 개 이상의 속도제어 바(16)를 구비한다.
아울러서 오르막길(40)을 올라갈 때에는 놀이용무동력자동차(110)에 올라앉은 어린 자녀가 자신의 발바닥으로 트랙(101) 바닥면을 밀면서 혼자만의 힘과 노력만으로 올라가며, 올라가는 동안 힘이 들면 수평면 상태의 쉼구간(40b)에서 잠시 멈추어서 쉬었다가 다시 오르막구간(40a)을 올라가서 수평면 상태의 정상 U턴구간(50)에 도착하게 되고, 상기 수평면 상태의 정상 U턴구간(50)에 도착한 상태에서는 U턴으로 방향을 바꾸어서 내리막길(60)을 내려가게 된다.
이어서 상기 방향전환으로 내리막길(60)로 접어든 어린 자녀는 놀이용무동력자동차(110)에 올라앉아 있는 현재 상태에서 내리막길(60)의 내리막구간(60a)을 내려가게 되는데, 내리막길(60)을 내려가는 이때에 가속도가 발생 될 즈음에 수평면상태인 감속구간(60b)에 이르게 되면서 감속되어 도착지점(70)까지 힘들이지 않고 안전하게 내려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내리막구간(60a)을 내려가는 끝 지점에 이르러서는 적어도 세 개 이상의 속도제어 바(16)가 적정한 간격으로 구비되어 요철작용에 의한 속도를 더욱 낮추게 하여 안전한 자동차 놀이를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또 상기 내리막길(60)이 끝나는 도착지점(70)에는 출입구(20) 바닥과 연결되도록 완충패드(17a)를 깔아서 어린자녀가 놀이용무동력자동차(110)에서 내리다가 넘어지더라도 찰과상 등의 부상을 예방하며, 상기 완충패드(17a) 끝 부분의 수직보호벽(10) 아래에는 충격방지턱(17b)을 구비하여 정차하는 과정에서 벽면에 충격하는 것을 예방한다.
한편, 상기 격벽(100)의 높이는 미취학 어린이가 놀이용무동력자동차(110)에 올라앉은 키의 눈높이보다 높지 않게 구성하여, 미취학 연령의 어린 자녀들이 놀이용 무동력자동차(110)에 올라앉아 이동하는 상태에서 추돌을 예방하는 한편 오르막길(40)의 어린이와 내리막길(60)의 어린이가 서로 바라보면서 대화를 나눌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의 수직보호벽(10)은, 도 1c 및 도 4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실내벽면(a)에 수직프레임(14a)과 수평프레임(14b)을 연결한 벽면프레임에 합판(11c)과 쿠션시트(13)와 커버시트(14)가 중첩된 수직보호벽(10)이 구성되는 것으로서, 이때의 수직보호벽(10)의 높이는 트랙(101) 안의 어린 자녀들과 휴식공간의 보호자들이 실시간으로 서로를 바라볼 수 있도록 1.2m를 초과하지 않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출입구(20)는 출발지점(30) 방향 휴식공간으로부터 출입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하는 본 발명의 이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먼저, 본 발명은 어린이보호를 위한 교육을 이수한 지정된 직원들에 의해 관리되는 시설로서, 어린자녀들은 놀이용무동력자동차(110)를 끌고 지정된 직원들의 안내 유도를 받아서 출입구(20)를 통하여 트랙(101) 안으로 입장한다.
트랙(101) 안에 입장한 아이는 트랙(101) 직원의 안내로 놀이용무동력자동차(110)에 올라앉은 상태에서 직원의 안내에 따라 출발지점(30)에서 오르막길(40)을 향해서 출발한다.
놀이용무동력자동차(110)에 올라앉은 어린자녀가 오르막길(40)을 올라가는 방법은 놀이용무동력자동차(110)에 올라앉은 상태에서 자신의 힘과 노력으로 트랙(101) 바닥면을 발바닥으로 밀면서 정상지점인 U턴구간(50)까지 오르막길(40)을 올라간다.
오르막길(40)을 올라가는 어린자녀는 도 3a ~ 3d에 예시한 바와 같이, 차선(15)을 따라 트랙(101) 중앙으로 올라가게 되며 정상까지 올라간 U턴구간(50)에서 방향을 바꾸어서 내리막길(60)에서 도착지점(70)을 향해서 내려가게 된다.
한편, 상기 오르막길(40)과 내리막길(60)의 경사면 각도는 7°를 초과하지 않는 낮은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길이는 대략 7m 초과하지 않는 짧은 일직선 구간이지만, 소아들의 체력을 감안해볼 때 체력이 부족할 수 있고 따라서 정상지점인 U턴구간(50)까지 올라가는 동안 수평면상의 쉼구간(40b)에서 잠시 쉬어가면서 오르막구간(40a)을 많은 힘을 들이지 않고 오를 수 있게 된다.
삭제
삭제
그리고 오르막길(40)을 다 올라간 U턴구간(50)에서 방향을 전환하여 내리막길(60)로 접어들 때에는, 자중으로 경사면상의 내리막구간(60a)을 내려갈 때 발생하는 가속도가 수평면상의 감속구간(60b)에서 감속이 되고 도착지점(70) 가까이 구비된 속도제어 바(80)의 요철작용으로 감속되어 내려오게 되며 또, 최종 종착지점(70)에 도착했을 때에는 그 바닥면에 설치된 완충패드(17a)가 쿠션작용 하여 바퀴의 구름을 느리게 하면서 바퀴가 충격방지턱(17b)에 닿게 되므로, 유아기의 어린자녀들이 실내에 설치된 다양한 테마놀이방과 연계해서 싫증내지 않고 장시간 자동차놀이를 하는동안 체력이 키워지는 즐거운 시간을 즐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삭제
a : 실내벽면 b : 실내공간
c : 실내바닥면 10 : 수직보호벽
11a : 수직프레임 11b : 수평프레임
11b' : 경사면프레임 11c : 합판
11d : 마감재 13 : 쿠션시트
14 : 시트커버 15 : 차선
16 : 속도제어 바 17a : 완충패드
17b : 충격방지턱 20 : 출입구
30 : 출발지점 40 : 오르막길
40a : 오르막구간 40b : 쉼구간
50 : U턴구간 60 : 내리막길
60a : 내리막구간 60b : 감속구간
70 : 도착지점 60b : 감속구간
80 : 속도제어 바 100 : 격벽
101 : 트랙 110 : 놀이용무동력자동차

Claims (6)

  1. 키즈카페 테마놀이방 시설에 있어서, 건축물의 실내바닥면(c)에 수직프레임(11a)과 수평프레임(11b) 및 경사면프레임(11b')을 연결하여 경사면 트랙프레임을 구성하고 상기 경사면 트랙프레임 윗면에 합판(11c)을 덮어 고정해서 일방통행 차선(15)을 표시한 경사면의 오르막길(40)과 내리막길(60)을 구성하되,
    상기의 오르막길(40)은, 수평면상의 출발지점(30)과 경사면의 오르막구간(40a) 및 수평면상의 쉼구간(40b)을 구성하여, 어린이 혼자 힘으로 경사면 오르막구간(40a)을 오르게 하고, 상기 오르막구간(40a)을 올라가다가 힘들 때 수평면상의 쉼구간(40b)에서 잠시 멈춰서 쉴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의 내리막길(60)은, 경사면 내리막구간(60a)과 수평면 감속구간(60b)을 구성하고 또 경사면 막바지에 수 개의 속도제어 바(16)를 설치 고정하며 도착지점(70) 바닥에 완충패드(17a)를 설치 구성하여, 자중으로 내리막구간(60a)을 내려가고 가속도가 수평면 감속구간(60b)과 속도제어바(16)에서 감속되어 도착지점(70)까지 안전하게 내려갈 수 있도록 구성하고,
    또, 상기 구성하는 오르막길(40)과 내리막길(60)의 경사면은 한 방향으로 나란히 붙여서 일직선상으로 나란히 붙여서 오르막길(40)을 올라가는 어린이와 내리막길(60)을 내려가는 어린이가 서로 바라볼 수 있도록 구성하고,
    또, 상기의 오르막길(40)과 내리막길(60)의 경사면 정상에는 수평면상의 U턴구간(50)을 직각방향으로 구성하여, 오르막길(40) 정상에서 내리막길(60)로 선회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또한, 상기 오르막길(40)과 내리막길(60)의 길이방향 중앙에는 수직프레임(11a)과 수평프레임(11b)을 연결하여 격벽프레임을 구성한 후 합판(11c) 및 쿠션시트(13) 과 시트커버(14)를 중첩한 격벽(100)을 구성하되, 상기의 격벽(100) 높이를, 어린이가 놀이용무동력자동차(110)에 올라앉은 눈높이로 구성해서 오르막길(40)을 올라가는 어린이와 내리막길(60)을 내려가는 어린이가 서로 바라보며 대화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또, 상기의 오르막길(40)과 내리막길(60)의 경사면 아래 바닥에는 수평면상의 출발지점(30)과 도착지점(70)을 연결구성하여 내리막길(60)을 내려와서 오르막길(40) 방향으로 선회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상기의 출발지점(30)을 비롯한 오르막길(40)과 U턴구간(50) 및 내리막길(60)과 도착지점(70)으로 이루어지는 트랙(101)의 바깥 둘레에는, 높이 1.2m를 초과하지 않게 수직프레임(11a)과 수평프레임(11b)을 연결하여 울타리프레임을 구성한 후 수직면에 합판(11c) 및 쿠션시트(13) 와 시트커버(14)를 중첩한 수직보호벽(10)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키즈카페에 설치하는 유아 놀이용 무동력자동차트랙.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60005659A 2015-05-27 2016-01-16 실내 키즈카페에 설치하는 유아 놀이용 무동력 자동차트랙 KR101687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10369528.5A CN106975225B (zh) 2015-05-27 2016-05-30 室内儿童咖啡馆用儿童车游乐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73545 2015-05-27
KR1020150073545 2015-05-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0342A KR20160140342A (ko) 2016-12-07
KR101687567B1 true KR101687567B1 (ko) 2016-12-19

Family

ID=57572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5659A KR101687567B1 (ko) 2015-05-27 2016-01-16 실내 키즈카페에 설치하는 유아 놀이용 무동력 자동차트랙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87567B1 (ko)
CN (1) CN106975225B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537B1 (ko) 2013-04-01 2013-06-25 주식회사 씨에이이테크놀러지 경기장용 안전펜스
KR101456577B1 (ko) 2013-09-25 2014-10-31 주식회사 세항 아이스링크 겸용 다목적 스포츠시설
KR101490293B1 (ko) 2013-07-27 2015-02-04 이창호 키즈카페 테마놀이방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88762B1 (fr) * 1985-10-18 1987-11-27 Lamoureux Marc Circuit de guidage de vehicules legers
KR100253163B1 (ko) 1997-10-27 2000-04-15 박종근 오징어 할복장치
KR200244778Y1 (ko) 2001-04-12 2001-10-11 김상기 의자가 형성되어 있는 2층 어린이용 놀이기구
KR101198386B1 (ko) 2010-02-01 2012-11-07 박은경 유아의 행동 양식 분석을 이용한 키즈 카페 운영 방법
KR101204773B1 (ko) 2010-08-05 2012-11-26 (주)디자인스킨 완구용 집으로 변형 가능한 매트
KR20120066246A (ko) * 2010-12-14 2012-06-22 이규식 차량을 이용한 놀이시설
CN203652015U (zh) * 2013-11-13 2014-06-18 快乐活运动有限公司 儿童平衡车
TWM479484U (zh) * 2014-01-17 2014-06-01 jun-jie Chen 駕駛者交通教育體驗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537B1 (ko) 2013-04-01 2013-06-25 주식회사 씨에이이테크놀러지 경기장용 안전펜스
KR101490293B1 (ko) 2013-07-27 2015-02-04 이창호 키즈카페 테마놀이방
KR101456577B1 (ko) 2013-09-25 2014-10-31 주식회사 세항 아이스링크 겸용 다목적 스포츠시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975225B (zh) 2019-07-26
CN106975225A (zh) 2017-07-25
KR20160140342A (ko) 201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54670B2 (ja) テーマ遊び施設と食・飲料提供施設を備えた親子カフェ
JP2622336B2 (ja) ローラーコースター型娯楽乗り物
KR101490293B1 (ko) 키즈카페 테마놀이방
JP4750883B2 (ja) ローラーコースター型遊園地設備
KR101183069B1 (ko) 승용 가능한 놀이기구용 대형 2족 보행 로봇과 그를 이용한 놀이공원 시스템
JP7058647B2 (ja) ドローイングカフェー
KR101743082B1 (ko) 지그재그 적층 구조의 놀이시설물
KR101731796B1 (ko) 팔 다리 복합 운동이 가능한 놀이터 적용 안전 유희 구조물
KR101687567B1 (ko) 실내 키즈카페에 설치하는 유아 놀이용 무동력 자동차트랙
KR101278084B1 (ko) 형상 가변형 놀이시설물
KR102222009B1 (ko) 트리형 복합모험시설
KR102189413B1 (ko) 2인 협력식 익사이팅 체험시설
CN211724656U (zh) 一种小熊主题游乐设施
US9403098B1 (en) Polygonal swing assembly
CN205494783U (zh) 一种园林儿童爬网滑梯椅
CN211025101U (zh) 一种可调节式儿童游乐滑梯
CN217246697U (zh) 一种爬梯滑梯一体式游乐设施
CN218685991U (zh) 一种穿越型和挑战型结合的游乐装置
CN213491955U (zh) 一种爬梯滑梯一体式游乐设施
CN214971707U (zh) 一种新型儿童游乐设备
KR102219002B1 (ko) 터널식 어드벤처 놀이시설
KR200489161Y1 (ko) 놀이기구
JP2012055504A (ja) 滑降練習用教材
KR200253420Y1 (ko) 풍선 놀이 기구
JPS63206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