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6577B1 - 아이스링크 겸용 다목적 스포츠시설 - Google Patents

아이스링크 겸용 다목적 스포츠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6577B1
KR101456577B1 KR1020130113830A KR20130113830A KR101456577B1 KR 101456577 B1 KR101456577 B1 KR 101456577B1 KR 1020130113830 A KR1020130113830 A KR 1020130113830A KR 20130113830 A KR20130113830 A KR 20130113830A KR 101456577 B1 KR101456577 B1 KR 101456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lity
ice
bar
ice surface
facility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3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항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항
Priority to KR1020130113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65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6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6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9/00Design or layout of playing courts, rinks, bowling greens or areas for water-skiing; Covers therefor
    • A63C19/10Ice-skating or roller-skating rinks; Slopes or trails for skiing, ski-jumping or tobogga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3/00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ice or snow for winter sports or similar recreational purposes, e.g. for sporting installations; Producing artificial snow
    • F25C3/02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ice or snow for winter sports or similar recreational purposes, e.g. for sporting installations; Producing artificial snow for ice r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이스링크 겸용 다목적 스포츠시설에 관한 것으로, 동계스포츠 및 하계스포츠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부분 또는 전체에 빙면이 형성되도록, 외부트랙과 내부트랙으로 구획된 시설공간과, 상기 외부트랙 및 내부트랙에 브라인이 순환하는 냉각관이 배관된 빙면수단을 각각 마련하되, 상기 빙면수단은 상기 외부트랙을 이등분하고 일측 외부트랙에 제1빙면수단과 제2빙면수단을 배관하고 타측 외부트랙에 제3빙면수단과 제4빙면수단을 배관하며 상기 내부트랙을 이등분하고 일측 내부트랙에 제5빙면수단과 제6빙면수단을 배관하고 타측 내부트랙에 제7빙면수단과 제8빙면수단을 배관하며, 상기 시설공간의 외측에는 냉각관 끝단이 각각 연결되어 냉각기를 통해 냉각된 브라인을 빙면수단으로 순환시키는 주입파이프 및 배출파이프를 복수개 배치하여 시설공간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빙면이 형성되도록 한 냉각부와, 상기 시설공간에 시설물기둥을 설치할 수 있는 지지수단과, 상기 시설공간을 가로질러 이동하면서 시설공간 바닥에 물을 분사하는 살수부로 이루어져, 동,하계스포츠를 별도 또는 동시에 운용할 수 있어서 호환성이 향상되고 아이스링크를 별도로 형성하기 위한 공사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아이스링크 겸용 다목적 스포츠시설{Ice rink combined multi-purpose sports facility}
본 발명은 아이스링크 겸용 다목적 스포츠시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계스포츠 및 하계스포츠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부분 또는 전체에 빙면이 형성되도록 한 아이스링크 겸용 다목적 스포츠시설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레져에 대한 관심이 급증함에 따라 일반적으로 겨울철 운동으로만 인식되어 왔던 스케이팅이 4 계절 운동으로 행해지고 있으며, 대중운동으로 널리 보급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스케이팅을 위한 장소인 실내 아이스링크의 건설이 늘어나고 있으나, 현재까지 국내에 건설된 실내아이스링크의 수가 적어 설계에 대한 기술이 널리 알려지지 못한 경향이 있다.
이러한 아이스링크는 설치 위치에 따라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아이스링크와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 아이스링크로 나누어진다.
여기서, 실내 아이스링크는 아이스하키용 링크, 컬링(curling) 경기용 링크, 스피드스케이팅용 링크, 대중용 링크로 나누어진다. 상기 실내아이스링크의 스포츠 종류에 따라 그 크기가 결정되며, 실내아이스링크의 링크 바닥구조에 따라 또 다른 분류가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아이스링크 바닥에 따른 분류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아이스링크의 바닥구조는 고정식과 가동식으로 대별할 수 있으며, 가동식은 무대에서 아이스쇼를 하는 경우와 같이 신속한 설치 및 철거가 요구될 때 이동하여 조립할 수 있는 바닥구조를 말하고, 고정식은 설치 후 거의 이동을 하지 않은 바닥구조를 말한다,
다시 말해, 고정식 바닥구조는 영구형, 개방형, 모래충진형, 철판형 바닥구조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의 주요사항은 다음과 같다.
상기 영구형바닥은 시설공간을 다목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냉각관을 바닥 콘크리트 속에 매설하고 바닥표면을 깨끗하게 마감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 소비량이 많은 하절기에 타용도의 체육관으로 활용하기 구조로써, 바닥이 고르고 수평이며 집중하중에 강한 이점이 있지만, 얼음의 결빙, 융해의 반복으로 인해 균열이 발생할 우려가 많다.
바닥콘크리트의 수축에 의한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링크의 주변에 줄눈을 설치하고 충진재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개방형 바닥 또는 모래충진형바닥은 냉각관을 바닥며에 노출하고 모래를 충진하는 방식으로 스케이팅 이외에 다른 목적으로는 사용하지 않으며 건설비를 저렴하게 하고자 하거나 비 사용시에 테니스장과 같은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냉각관을 떼어낼 필요가 있는 경우에 사용된다.
이러한 개방형 바닥 또는 모래충전형 바닥은 설치가 용이하고 설비비가 싸고 냉각관의 철거 및 설치가 간단하지만 빙면의 형성에 시간이 걸리고 수평유지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철판형 바닥은 냉각관을 시설공간 위에 설치하고 그 위에 철판 마감을 하는 방식으로 단시간에 결빙하여야 할 경우, 링크와 수영장을 겸용으로 하고자 할 경우, 한 여름에 옥외 아이스링크를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 채용되는 구조이다.
철판 하부에 철판 칸막이, 형강, 강관 등을 설치하고 그 속에 브라인을 순환시켜서 빙면을 형성하여 열전도율이 좋아 동력비 절감이 가능하고 빙질이 깨끗하며 얇게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고정식 바닥구조는 냉각관이 콘크리트속에 매립되므로 보수가 힘들고, 바닥콘리트의 자체 신축에 의한 균열이 발생할 수 있으며, 초기 투자비가 많이 소요된다.
이러한 문제, 즉 아이스 링크 형성을 위한 공사 기간 및 비용을 줄이기 위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어 왔으며, 근래의 개발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822456 호의 발명이 있으나, 그 표면상에 냉각 돌기를 갖는 냉각 매트 상하 양단의 일정 부분을 절개하고 그로 인해 자유 절곡 가능 상태로 드러난 냉각 돌기들의 상단부를 주입파이프 또는 배출 파이프 상의 분사노즐과 일일이 연결함과 아울러 이들 냉각 돌기들의 하단부를 인접한 것들끼리 서로 연결해야 하는 관계로, 주입 파이프와 배출 파이프를 통한 막대한 냉기 손실 문제는 차치하고라도, 냉각돌기 연결 작업, 즉 냉매 배관 완성 작업에 상당한 공수가 투입되어야 한다.
즉, 하계스포츠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아이스 링크 형성을 위한 시설을 모두 철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하계스포츠용 시설을 설치할 수 있는 수단이 없는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종래기술을 이용해 빙면을 형성시 빙면의 수평을 맞추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덧붙여, 야외에 아이스링크를 설치시 아이스링크가 자외선에 그대로 노출되어 이용이 불편하고 빙질의 유지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빙면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시켜야 하기 때문에 빙면의 형성에 시간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아이스링크를 전체적으로만 형성시킬 수 있어서 동계 및 하계스포츠를 동시에 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동계스포츠 및 하계스포츠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부분 또는 전체에 빙면이 형성되도록 한 아이스링크 겸용 다목적 스포츠시설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하계스포츠용 시설물기둥을 설치할 수 있는 수단을 바닥에 형성하는 데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빙면이 형성되는 공간에 물을 균일하게 분사하도록 하는 데 있다.
덧붙여,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빙면이 형성되는 공간의 상부면을 선택적으로 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콘크리트층을 얇게 형성시켜 빙면의 두께를 얇게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시설공간에 아이스링크를 부분적으로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트랙과 내부트랙으로 구획된 시설공간과, 상기 외부트랙 및 내부트랙에 브라인이 순환하는 냉각관이 배관된 빙면수단을 각각 마련하되, 상기 빙면수단은 상기 외부트랙을 이등분하고 일측 외부트랙에 제1빙면수단과 제2빙면수단을 배관하고 타측 외부트랙에 제3빙면수단과 제4빙면수단을 배관하며 상기 내부트랙을 이등분하고 일측 내부트랙에 제5빙면수단과 제6빙면수단을 배관하고 타측 내부트랙에 제7빙면수단과 제8빙면수단을 배관하며, 상기 시설공간의 외측에는 냉각관 끝단이 각각 연결되어 냉각기를 통해 냉각된 브라인을 빙면수단으로 순환시키는 주입파이프 및 배출파이프를 복수개 배치하여 시설공간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빙면이 형성되도록 한 냉각부와, 상기 시설공간에 시설물기둥을 설치할 수 있는 지지수단과, 상기 시설공간을 가로질러 이동하면서 시설공간 바닥에 물을 분사하는 살수부로 이루어진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트랙과 내부트랙으로 구획된 시설공간과, 상기 외부트랙 및 내부트랙에 브라인이 순환하는 냉각매트가 매설된 빙면수단을 각각 마련하되, 상기 빙면수단은 상기 외부트랙을 이등분하고 일측 외부트랙에 제1빙면수단과 제2빙면수단을 매설하고 타측 외부트랙에 제3빙면수단과 제4빙면수단을 매설하며 상기 내부트랙을 이등분하고 일측 내부트랙에 제5빙면수단과 제6빙면수단을 매설하고 타측 내부트랙에 제7빙면수단과 제8빙면수단을 매설하며, 상기 시설공간의 외측에는 냉각관 끝단이 각각 연결되어 냉각기를 통해 냉각된 브라인을 빙면수단으로 순환시키는 주입파이프 및 배출파이프를 복수개 배치하여 시설공간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빙면이 형성되도록 한 냉각부와, 상기 시설공간에 시설물기둥을 설치할 수 있는 지지수단과, 상기 시설공간을 가로질러 이동하면서 시설공간 바닥에 물을 분사하는 살수부로 이루어진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냉각기와 주입파이프 및 배출파이프는 연결라인으로 상호 연결하고 상기 연결라인에는 펌프를 각각 설치하여 주입파이프를 통하여 빙면수단으로 브라인을 압송 공급함으로써 빙면을 이룰 수 있는 동결 온도를 갖도록 하고, 브라인이 연접된 배출파이프로 배출되면 연결라인을 통하여 냉각기 사이에 설치된 예비탱크로 동결온도가 떨어진 브라인을 임시로 집수시킬 수 있도록 한 다음 펌프를 통하여 다시 냉각기로 집수된 브라인을 공급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시설물기둥의 바닥판이 매립되는 안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안착공간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설치부재가 매립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살수부는, 상기 시설공간의 양측면에 한 쌍의 레일이 배치되고 상기 레일의 상부면을 이송하는 이동부재가 안착되며 상기 이동부재에 힌지결합되고 복수개의 분사노즐이 결합된 이동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살수부는, 상기 시설공간의 양측면에 한 쌍의 레일이 배치되고 상기 레일의 상부면을 이송하는 이동부재가 안착되며 상기 이동부재에 힌지결합되고 복수개의 분사노즐이 결합된 이동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살수부는, 상기 레일에는 래크가 형성되어 있고 이동부재의 내부에 모터와 피니언이 탑재되어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바를 이송시키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살수부는, 상기 레일의 양끝에 설치된 종동스프라킷 및 원동스프라킷에 체인이 결합되어 순환회전하고 이동부재가 체인의 일측에 고정되어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바를 이송시키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살수부는, 상기 이동바의 일측에 결합되어 이동바의 이송을 안내해주는 보조바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시설공간의 테두리에 휀스가 설치되되, 상기 휀스의 상부에는 쿠션부재가 설치된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시설공간의 외측에 접철된 상태로 배치되되 주입구를 통해 주입된 공기가 통로를 통해 이동하면서 시설공간의 타측까지 아치형으로 팽창하고 상기 통로를 연결포로 연결하여 시설공간의 상부를 마감하는 에어돔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초층과, 상기 기초층의 상부에 단열재, 비닐, 단열재 비닐 순서로 배치되는 단열층과, 상기 단열층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복수개 결합시켜 냉각관이 안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가 매립되도록 충진되는 콘크리트층과, 상기 냉각관을 통해 콘크리트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빙면층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는, 상기 냉각관이 삽입되는 안착홈이 복수개 형성된 상부바가 격자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상부바의 하부로 이격되게 하부바가 격자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상부바와 하부바의 끝단을 수직으로 연결한 수직바로 이루어진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의 측면에는 복수개의 연결부재가 설치된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주입파이프 및 배출파이프에 하나 이상의 분기관을 설치하고 각각의 분기관에 설치하여 브라인을 선택적으로 순환시키는 전환밸브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빙면수단의 전체에 빙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빙면수단 내지 제4빙면수단 또는 제5빙면수단 내지 제8빙면수단에 선택적으로 빙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3,6,7빙면수단 또는 제1,4,5,8빙면수단에 선택적으로 빙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2,5,6빙면수단 또는 제3,4,7,8빙면수단에 선택적으로 빙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아이스링크 겸용 다목적 스포츠시설은 동계스포츠 및 하계스포츠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부분 또는 전체에 빙면이 형성되도록, 외부트랙과 내부트랙으로 구획된 시설공간과, 상기 외부트랙 및 내부트랙에 독립적으로 브라인이 순환하는 냉각관 또는 냉각매트가 배관된 빙면수단을 각각 마련하 시설공간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빙면이 형성되어, 동,하계스포츠를 별도 또는 동시에 운용할 수 있어서 호환성이 향상되고 아이스링크를 별도로 형성하기 위한 공사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아이스링크 겸용 다목적 스포츠시설은 하계스포츠용 시설물기둥을 설치할 수 있도록, 시설물기둥의 바닥판이 매립되는 안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안착공간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설치부재가 매립된 지지수단을 마련하여, 시설물기둥이 안정적으로 매립되어 설치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아이스링크 겸용 다목적 스포츠시설은 빙면이 형성되는 공간에 물을 균일하게 분사하도록 하도록, 상기 시설공간을 가로질러 이동하면서 시설공간 바닥에 물을 분사하는 살수부를 마련하여, 빙면의 두께와 표면이 균일하게 형성되는 효과가 있다.
덧붙여, 본 발명의 아이스링크 겸용 다목적 스포츠시설은 빙면이 형성되는 공간의 상부면을 선택적으로 마감할 수 있도록, 시설공간의 외측에 접철된 상태로 배치되되 공기를 주입하면 시설공간의 타측까지 아치형으로 팽창하는 에어돔을 마련하여, 자외선 및 바람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아이스링크 겸용 다목적 스포츠시설은 콘크리트층을 얇게 형성시켜 빙면의 두께를 얇게 형성시킬 수 있도록, 상기 냉각관이 삽입되는 안착홈이 복수개 형성된 상부바와 상기 상부바의 하부로 이격되게 하부바가 배치되며 상기 상부바와 하부바의 끝단을 연결한 수직바로 이루어진 고정부를 마련하여, 설치시간 단축 및 시설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아이스링크 겸용 다목적 스포츠시설은 시설공간에 아이스링크를 부분적으로 형성시킬 수 있도록, 상기 빙면수단의 전체 또는 제1빙면수단 내지 제4빙면수단 내지 제8빙면수단에 선택적으로 빙면을 형성시켜, 동계 및 하계스포츠를 동시용 운용할 수 있어서 호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아이스링크 겸용 다목적 스포츠시설을 하계용으로 사용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아이스링크 겸용 다목적 스포츠시설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아이스링크 겸용 다목적 스포츠시설의 냉각시스템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아이스링크 겸용 다목적 스포츠시설의 다양한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아이스링크 겸용 다목적 스포츠시설 중 고정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아이스링크 겸용 다목적 스포츠시설 중 고정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아이스링크 겸용 다목적 스포츠시설의 적층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인 아이스링크 겸용 다목적 스포츠시설 중 살수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9a 내지 도 9b는 본 발명인 아이스링크 겸용 다목적 스포츠시설 중 에어돔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인 아이스링크 겸용 다목적 스포츠시설 중 지지수단을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아이스링크 겸용 다목적 스포츠시설을 하계용으로 사용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아이스링크 겸용 다목적 스포츠시설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아이스링크 겸용 다목적 스포츠시설의 냉각시스템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아이스링크 겸용 다목적 스포츠시설의 다양한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인 아이스링크 겸용 다목적 스포츠시설 중 고정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인 아이스링크 겸용 다목적 스포츠시설 중 고정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인 아이스링크 겸용 다목적 스포츠시설의 적층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인 아이스링크 겸용 다목적 스포츠시설 중 살수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9a 내지 도 9b는 본 발명인 아이스링크 겸용 다목적 스포츠시설 중 에어돔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인 아이스링크 겸용 다목적 스포츠시설 중 지지수단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아이스링크 겸용 다목적 스포츠시설 10의 구성상태를 살펴보면, 시설공간 100, 냉각부 200, 지지수단 300, 살수부 400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시설공간 100은 외부트랙 101과 내부트랙 103으로 구획되어 있다. 주로 외부트랙 101은 하계일 때 달리기와 같은 스포츠를 이용하고, 동계일 때는 스피드스케이트와 같은 스포츠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내부트랙 103은 하계일 때 농구, 배드민턴, 테니스와 같은 코트 C를 이용하여 스포츠를 이용하고, 동계일 때 컬링과 같은 스포츠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냉각부 200는 빙면수단 210, 냉각기 220, 주입파이프 230, 배출파이프 240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외부트랙 101과 내부트랙 103에는 빙면수단 210이 배관되어 있다. 이때, 외부트랙 101과 내부트랙 103에 배관된 빙면수단 210은 복수개로 구획되어 있다.
이러한, 빙면수단 210은 제1빙면수단 210a 내지 제8빙면수단 210h으로 나누어져 있다. 즉, 외부트랙 101을 이등분하고 일측 외부트랙 101에 제1빙면수단 210a과 제2빙면수단 210b을 배관하고 타측 외부트랙 101에 제3빙면수단 210c과 제4빙면수단 210d을 배관한다.
더불어, 내부트랙 103을 이등분하고 일측 내부트랙 103에 제5빙면수단 210e과 제6빙면수단 210f을 배관하고 타측 내부트랙 103에 제7빙면수단 210g과 제8빙면수단 210h을 배관한다.
아울러, 시설공간 100의 외측에는 냉각관 211 끝단이 각각 연결되어 냉각기 220를 통해 냉각된 브라인을 빙면수단 210으로 순환시키는 주입파이프 230 및 배출파이프 240를 복수개 배치하여 시설공간 100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빙면이 형성되도록 한다.
결국, 본 발명의 아이스링크 겸용 다목적 스포츠시설 10은 동계스포츠 및 하계스포츠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부분 또는 전체에 빙면이 형성되도록, 외부트랙 101과 내부트랙 103으로 구획된 시설공간 100과, 상기 외부트랙 101 및 내부트랙 103에 독립적으로 브라인이 순환하는 냉각관 211 또는 냉각매트 213가 배관된 빙면수단 210을 각각 마련하 시설공간 100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빙면이 형성되어, 동,하계스포츠를 별도 또는 동시에 운용할 수 있어서 호환성이 향상되고 아이스링크를 별도로 형성하기 위한 공사비용이 절감된다.
한편,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입파이프 230 및 배출파이프 240에 하나 이상의 분기관 250을 설치하고 각각의 분기관 250에 설치하여 브라인을 선택적으로 순환시키는 전환밸브 251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분기관 250에 연결된 냉각관 211 끝단이 각각 연결되어 빙면수단 210을 형성할 수 있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기관 250에 냉각매트 213가 연결되어 시설공간 100에 매설할 수도 있다
이때, 냉각매트 213는 세로와 가로의 길이가 다른 직사각형의 매트 형상으로 자체 탄성을 갖으며, 바닥면이 평탄한 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또한, 냉각매트 213의 상부면에는 일체로 반호 형상의 냉각돌기 217를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 돌출되게 형성시키고, 상기 복수개의 냉각돌기 217를 순차적으로 일정간격을 이루도록 이격시킨다.
아울러, 냉각돌기 217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냉각공(미도시)을 관통되게 형성하여 주입파이프 230 및 배출파이프 240와 연결되게 설치시 복수개로 배치된 냉각돌기 217의 사이 공간 매트의 선측과 끝측 단부를 부분 절개시켜 냉각돌기 217가 독립적으로 자유절곡 되도록 함으로써, 주입파이프 230의 노즐 215과 냉각매트 213의 선측에 위치한 냉각공을 교번적 연결을 가능하도록 하고, 냉각공으로 브라인이 공급되는 냉각돌기 217와 연접된 냉각돌기 217의 끝측을 마주보게 만곡시킨 다음 연결밸브 219로 상호 냉각공이 연통되도록 하여 주입파이프 230를 통하여 주입된 브라인이 배출파이프 240로 배출하여 순환되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 냉각매트 213는 상기 아이스링크의 바닥면에 상호 연접되게 안치되어 주입파이프 230와 배출파이프 240에 복수개로 형성된 냉각공의 선측과 끝측을 상호 교번적으로 연결하여 브라인을 순환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냉각매트 213를 통한 브라인의 순환은 자유 굴곡이 가능하고 바닥면이 평탄한 매트의 상면에 일체로 복수개의 냉각공을 횡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격시켜 주입파이프 230의 외주연에 복수개로 분기시킨 노즐 215과 냉각매트 213의 선측에 위치한 냉각공을 교번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브라인이 주입되는 냉각공의 끝측은 측방에 위치한 다른 냉각공의 끝측과 연통되게 연결한 다음 연결된 냉각공의 선측을 배출파이프 240와 연결되도록 하여 냉각매트 213에서 브라인이 순환되도록 한다.
나아가, 냉각기 220와 주입파이프 230 및 배출파이프 240는 연결라인 260으로 상호 연결하고 상기 연결라인 260에는 펌프 270를 각각 설치하여 주입파이프 230를 통하여 냉각매트 213로 브라인을 압송 공급함으로써, 냉각매트 213가 빙면을 이룰 수 있는 동결 온도를 갖도록 하고, 브라인이 연접된 냉각공을 통하여 배출파이프 240로 배출되면 연결라인 260을 통하여 냉각기 220 사이에 설치된 예비탱크 280로 동결온도가 떨어진 브라인을 임시로 집수시킬 수 있도록 한 다음 펌프 270를 통하여 다시 냉각기 220로 집수된 브라인을 공급하도록 한다.
결국,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로 구획된 빙면수단 210을 통해 동계 및 하계스포츠를 겸용으로 운용할 수 있다. 이때, 도 4는 빙면이 다양한 형태로 운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a)는 빙면수단 210의 전체, (b)는 제1빙면수단 210a 내지 제4빙면수단 210d, (c)는 제5빙면수단 210e 내지 제8빙면수단 210h, (d)는 제2,3,6,7빙면수단 210b,c,f,g, (e)는 제1,4,5,8빙면수단 210a,d,e,h, (f)는 제1,2,5,6빙면수단 210a,b,e,f, 제3,4,7,8빙면수단 210c,d,g,h에 선택적으로 빙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의 (h)는 제4,8빙면수단 210d,h, (i)는 제2,6빙면수단 210b,f를 제외한 나머지부분에 빙면이 형성될 수 있고 반대로 제4,8빙면수단 210d,h 또는 제2,6빙면수단 210b,f에 빙면이 형성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아이스링크 겸용 다목적 스포츠시설 10은 시설공간에 아이스링크를 부분적으로 형성시킬 수 있도록, 상기 빙면수단 210의 전체 또는 제1빙면수단 210a 내지 제4빙면수단 210d 내지 제8빙면수단 210h에 선택적으로 빙면을 형성시켜, 동계 및 하계스포츠를 동시용 운용할 수 있어서 호환성이 향상된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초층 710과, 상기 기초층 710의 상부에 단열재 730, 비닐 740, 단열재 730 비닐 740 순서로 배치되는 단열층 720과, 상기 단열층 720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복수개 결합시켜 냉각관 211이 안착되는 고정부 750와, 상기 고정부 750가 매립되도록 충진되는 콘크리트층 760과, 상기 냉각관 211을 통해 콘크리트층 760의 상부에 형성되는 빙면층 78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고정부 750는 냉각관 211이 삽입되는 안착홈 753이 복수개 형성된 상부바 751가 격자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상부바 751의 하부로 이격되게 하부바 755가 격자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상부바 751와 하부바 755의 끝단을 수직으로 연결한 수직바 757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 750의 측면에는 복수개의 연결부재 759가 설치된다. 상기 연결부재 759는 하향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고정부 750를 연접되게 배치시 연결부재 759가 하부바 755에 걸림고정된다.
결국, 본 발명의 아이스링크 겸용 다목적 스포츠시설 10은 콘크리트층을 얇게 형성시켜 빙면의 두께를 얇게 형성시킬 수 있도록, 상기 냉각관 211이 삽입되는 안착홈 753이 복수개 형성된 상부바 751와 상기 상부바 751의 하부로 이격되게 하부바 755가 배치되며 상기 상부바 751와 하부바 755의 끝단을 연결한 수직바 757로 이루어진 고정부 750를 마련하여, 설치시간 단축 및 시설비를 절감할 수 있다.
더불어, 기초층 710과, 상기 기초층 710의 상부에 단열재 730, 비닐 740, 단열재 730 비닐 740 순서로 배치되는 단열층 720과, 상기 단열층 720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복수개 배치되는 냉각매트 213와, 상기 냉각매트 213가 매립되도록 충진되는 콘크리트층 760과, 상기 냉각관 211을 통해 콘크리트층 760의 상부에 형성되는 빙면층 78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설공간 100에 시설물기둥 310을 설치할 수 있는 시설공간 100의 바닥에 지지수단 300을 마련한다.
이때, 지지수단 300은 시설물기둥 310의 바닥판 311이 매립되는 안착공간 301을 형성하고 상기 안착공간 301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설치부재 303가 매립된다. 이러한 설치부재 303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어서 바닥판 311을 볼트가 관통하여 설치부재 303에 나사 고정한다.
결국, 본 발명의 아이스링크 겸용 다목적 스포츠시설 10은 하계스포츠용 시설물기둥을 설치할 수 있도록, 시설물기둥 310의 바닥판 311이 매립되는 안착공간 301을 형성하고 상기 안착공간 301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설치부재 303가 매립된 지지수단 300을 마련하여, 시설물기둥이 안정적으로 매립되어 설치시간이 단축된다.
한편, 8a 내지 8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설공간 100을 가로질러 이동하면서 시설공간 100 바닥에 물을 분사하는 살수부 400를 마련한다.
이때, 살수부 400는 시설공간 100의 양측면에 한 쌍의 레일 420이 배치되고 상기 레일 420의 상부면을 이송하는 이동부재 410가 안착되며 상기 이동부재 410에 힌지결합되고 복수개의 분사노즐 431이 결합된 이동바 430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살수부 400는 도 8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레일 420에는 래크 440가 형성되어 있고 이동부재 410의 내부에 모터 441와 피니언 443이 탑재되어 레일 42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바 430를 이송시킨다.
또한, 살수부 400는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레일 420의 양끝에 설치된 종동스프라킷 450 및 원동스프라킷 451에 체인 453이 결합되어 순환회전하고 이동부재 410가 체인 453의 일측에 고정되어 레일 42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바 430를 이송시킨다
아울러, 살수부 400에는 이동바 430의 일측에 결합되어 이동바 430의 이송을 안내해주는 보조바 433를 더 포함한다. 이때, 보조바 433에 제2보조바 435가 슬라이드 이동되는 구조로 길이를 자유롭게 가변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보조바 433의 끝단에는 한 쌍의 롤러 437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롤러 437의 수납이 용이하도록 보조바 433를 중심으로 90도로 회전이 가능하다.
즉,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설수단 100의 외측으로 접철되어 있는 살수부 400를 수직방향으로 세운 후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사노즐 431에서 물이 분사된다. 이때, 보조바 433의 롤러 437가 보조바 433의 이동방향으로 향하도록 회전시킨다. 그리고 보조바 433의 롤러 437가 시설공간 100의 바닥에 밀착되게 연장한다. 즉, 분사노즐 431에서 분사되는 물이 시설공간 100을 가로질러 이동하면서 균일하게 분사한다.
결국, 본 발명의 아이스링크 겸용 다목적 스포츠시설 10은 빙면이 형성되는 공간에 물을 균일하게 분사하도록 하도록, 상기 시설공간 100을 가로질러 이동하면서 시설공간 100 바닥에 물을 분사하는 살수부 400를 마련하여, 빙면의 두께와 표면이 균일하게 형성된다.
한편,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설공간 100의 테두리에 휀스 500가 설치되되, 상기 휀스 500의 상부에는 쿠션부재 51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쿠션부재 510는 휀스 500의 상부를 감싸도록 하부로 개구된 형상이다.
아울러, 도 9a와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설공간 100의 외측에 접철된 상태로 배치되되 주입구 610를 통해 주입된 공기가 통로 620를 통해 이동하면서 시설공간 100의 타측까지 아치형으로 팽창하고 상기 통로 620를 연결포 630로 연결하여 시설공간 100의 상부를 마감하는 에어돔 600을 마련한다.
이러한, 에어돔 600은 아치형으로 통로 620가 팽창하고 상기 아치형의 통로 620이 복수개로 배치되며 아치형의 통로 620를 길이방향의 통로 620로 연결시킨다. 상기 통로 620의 사이를 연결포 630로 연결한다.
결국, 본 발명의 아이스링크 겸용 다목적 스포츠시설 10은 빙면이 형성되는 공간의 상부면을 선택적으로 마감할 수 있도록, 시설공간 100의 외측에 접철된 상태로 배치되되 공기를 주입하면 시설공간 100의 타측까지 아치형으로 팽창하는 에어돔 600을 마련하여, 자외선 및 바람을 차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아이스링크 겸용 다목적 스포츠시설
100 : 시설공간 101 : 외부트랙
103 : 내부트랙
200 : 냉각부 210 : 빙면수단
210a,b,c,d,e,f,g,h : 제1,2,3,4,5,6,7,8빙면수단
211 : 냉각관 213 : 냉각매트
215 : 노즐 217 : 냉각돌기
220 : 냉각기 230 : 주입파이프
240 : 배출파이프 250 : 분기관
251 : 전환밸브 260 : 연결라인
270 : 펌프 280 : 예비탱크
300 : 지지수단 301 : 안착공간
303 : 설치부재 310 : 시설물기둥
311 : 바닥판
400 : 살수부 410 : 이동부재
420 : 레일 430 : 이동바
431 : 분사노즐 433 : 보조바
440 : 래크 441 : 모터
443 : 피니언 450 : 종동스프라킷
451 : 원동스프라킷 453 : 체인
500 : 휀스 510 : 쿠션부재
600 : 에어돔 610 : 주입구
620 : 통로 630 : 연결포
710 : 기초층 720 : 단열층
730 : 단열재 740 : 비닐
750 : 고정부 751 : 상부바
753 : 안착홈 755 : 하부바
757 : 수직바 759 : 연결부재
760 : 콘크리트층 780 : 빙면층

Claims (20)

  1. 기초층과, 상기 기초층의 상부에 단열재, 비닐, 단열재 비닐 순서로 배치되는 단열층의 상부에 냉각관이 배치된 시설공간의 외측에 배치된 주입파이프 및 배출파이프를 통해 브라인이 냉각관을 순환하여 빙면을 이룰 수 있는 동결 온도를 갖도록 한 아이스링크 겸용 다목적 스포츠시설에 있어서,
    상기 단열층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복수개 결합시켜 냉각관이 안착되도록 냉각관이 삽입되는 안착홈이 복수개 형성된 상부바가 격자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상부바의 하부로 이격되게 하부바가 격자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상부바와 하부바의 끝단을 수직으로 연결한 수직바로 이루어지며 측면에는 복수개의 연결부재가 설치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가 매립되도록 단열층의 상부에 콘크리트층이 마련되며 상기 냉각관을 통해 콘크리트층의 상부에 빙면층 형성유무에 따라 동계스포츠 및 하계스포츠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시설공간을 마련하되,
    상기 시설공간은 외부트랙과 내부트랙으로 구획되며,
    상기 외부트랙 및 내부트랙에 브라인이 순환하는 냉각관이 배관된 빙면수단을 각각 마련하되,
    상기 빙면수단은 상기 외부트랙을 이등분하고 일측 외부트랙에 제1빙면수단과 제2빙면수단을 배관하고 타측 외부트랙에 제3빙면수단과 제4빙면수단을 배관하며 상기 내부트랙을 이등분하고 일측 내부트랙에 제5빙면수단과 제6빙면수단을 배관하고 타측 내부트랙에 제7빙면수단과 제8빙면수단을 배관하며, 상기 주입파이프 및 배출파이프에 하나 이상의 분기관을 설치하고 각각의 분기관에 설치하여 브라인을 선택적으로 순환시키는 전환밸브를 통해 시설공간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빙면이 형성되도록 한 냉각부와,
    상기 시설공간에 하계스포츠 시설물기둥을 직립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시설물기둥의 바닥판이 매립되는 안착공간을 콘크리트층에 형성하고 상기 안착공간의 내부에는 암나사가 형성된 복수개의 설치부재가 매립된 지지수단과,
    시설공간의 양측에는 래크가 형성된 한 쌍의 레일이 배치되고 모터와 피니언이 내부에 탑재되어 상기 레일의 상부면에서 이송하는 이동부재가 안착되며 상기 이동부재에 힌지결합되고 복수개의 분사노즐이 결합된 이동바를 마련하고 상기 이동바의 이송을 안내해주기 위해 상기 이동바의 일측에는 보조바가 결합되고 상기 보조바에 슬라이드 이동하는 제2보조바에 한 쌍의 롤러를 포함하여, 상기 시설공간의 외측으로 접철되어 있다가 수직방향으로 이동바를 세우고 롤러가 이동바의 이동방향으로 향하도록 제2보조바를 90도로 회전시키고 롤러가 시설공간의 바닥에 밀착되게 연장시켜 시설공간을 가로질러 이동하면서 시설공간 바닥에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한 살수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스링크 겸용 다목적 스포츠시설.
  2. 기초층과, 상기 기초층의 상부에 단열재, 비닐, 단열재 비닐 순서로 배치되는 단열층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복수개 배치되는 냉각매트가 배치된 시설공간의 외측에 배치된 주입파이프 및 배출파이프를 통해 브라인이 냉각매트를 순환하여 빙면을 이룰 수 있는 동결 온도를 갖도록 한 아이스링크 겸용 다목적 스포츠시설에 있어서,
    상기 냉각매트가 매립되도록 단열층의 상부에 콘크리트층이 마련되며 상기 냉각매트를 통해 콘크리트층의 상부에 빙면층 형성유무에 따라 동계스포츠 및 하계스포츠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시설공간을 마련하되,
    상기 시설공간은 외부트랙과 내부트랙으로 구획되며,
    상기 외부트랙 및 내부트랙에 브라인이 순환하는 냉각매트가 매설된 빙면수단을 각각 마련하되,
    상기 빙면수단은 상기 외부트랙을 이등분하고 일측 외부트랙에 제1빙면수단과 제2빙면수단을 배관하고 타측 외부트랙에 제3빙면수단과 제4빙면수단을 배관하며 상기 내부트랙을 이등분하고 일측 내부트랙에 제5빙면수단과 제6빙면수단을 배관하고 타측 내부트랙에 제7빙면수단과 제8빙면수단을 배관하며, 상기 주입파이프 및 배출파이프에 하나 이상의 분기관을 설치하고 각각의 분기관에 설치하여 브라인을 선택적으로 순환시키는 전환밸브를 통해 시설공간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빙면이 형성되도록 한 냉각부와,
    상기 시설공간에 하계스포츠 시설물기둥을 직립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시설물기둥의 바닥판이 매립되는 안착공간을 콘크리트층에 형성하고 상기 안착공간의 내부에는 암나사가 형성된 복수개의 설치부재가 매립된 지지수단과,
    시설공간의 양측에는 래크가 형성된 한 쌍의 레일이 배치되고 모터와 피니언이 내부에 탑재되어 상기 레일의 상부면에서 이송하는 이동부재가 안착되며 상기 이동부재에 힌지결합되고 복수개의 분사노즐이 결합된 이동바를 마련하고 상기 이동바의 이송을 안내해주기 위해 상기 이동바의 일측에는 보조바가 결합되고 상기 보조바에 슬라이드 이동하는 제2보조바에 한 쌍의 롤러를 포함하여, 상기 시설공간의 외측으로 접철되어 있다가 수직방향으로 이동바를 세우고 롤러가 이동바의 이동방향으로 향하도록 제2보조바를 90도로 회전시키고 롤러가 시설공간의 바닥에 밀착되게 연장시켜 시설공간을 가로질러 이동하면서 시설공간 바닥에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한 살수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스링크 겸용 다목적 스포츠시설.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30113830A 2013-09-25 2013-09-25 아이스링크 겸용 다목적 스포츠시설 KR101456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3830A KR101456577B1 (ko) 2013-09-25 2013-09-25 아이스링크 겸용 다목적 스포츠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3830A KR101456577B1 (ko) 2013-09-25 2013-09-25 아이스링크 겸용 다목적 스포츠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6577B1 true KR101456577B1 (ko) 2014-10-31

Family

ID=51999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3830A KR101456577B1 (ko) 2013-09-25 2013-09-25 아이스링크 겸용 다목적 스포츠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6577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03928A (zh) * 2016-03-28 2016-05-25 李富雄 一种低温液态气体冻结水层制造冰面雪场
KR20160140342A (ko) * 2015-05-27 2016-12-07 (주) 릴리펏 실내 키즈카페에 설치하는 유아 놀이용 무동력 자동차트랙
KR101783408B1 (ko) * 2015-08-27 2017-10-10 유종현 전천후 실외 아이스링크 시스템
CN109555123A (zh) * 2019-01-29 2019-04-02 湖南科技大学 用于大体积混凝土承台温控的自保温系统及其使用方法
KR102161104B1 (ko) * 2020-03-10 2020-09-29 김경란 빙상경기장용 냉각수 배출장치
KR102171297B1 (ko) 2020-03-10 2020-10-28 김경란 수축 및 팽창에 의한 바닥 콘크리트의 균열을 방지하는 다목적 빙상경기장
KR102237972B1 (ko) 2020-09-22 2021-04-08 에코아이스(주) 냉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한 다목적 빙상경기장
KR102620386B1 (ko) * 2023-05-22 2024-01-04 지앤에스건설 주식회사 사용자가 하나의 장소에서 계절에 관계없이 원하는 만큼 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다목적 체육시설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2642A (ja) * 1995-09-05 1997-03-18 Ohbayashi Corp アイスリンクの製氷用熱交換器
KR100822456B1 (ko) * 2007-09-27 2008-04-16 (주)세항기계설비 이동식 아이스링크의 설치를 위한 냉각시스템 및 그설치방법.
WO2009006098A1 (en) * 2007-06-29 2009-01-08 Sci (Stock Composite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refurbishing ice surfaces
KR20100113428A (ko) * 2009-04-13 2010-10-21 주식회사 세항 아이스링크 펜스 및 이의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2642A (ja) * 1995-09-05 1997-03-18 Ohbayashi Corp アイスリンクの製氷用熱交換器
WO2009006098A1 (en) * 2007-06-29 2009-01-08 Sci (Stock Composite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refurbishing ice surfaces
KR100822456B1 (ko) * 2007-09-27 2008-04-16 (주)세항기계설비 이동식 아이스링크의 설치를 위한 냉각시스템 및 그설치방법.
KR20100113428A (ko) * 2009-04-13 2010-10-21 주식회사 세항 아이스링크 펜스 및 이의 설치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0342A (ko) * 2015-05-27 2016-12-07 (주) 릴리펏 실내 키즈카페에 설치하는 유아 놀이용 무동력 자동차트랙
KR101687567B1 (ko) 2015-05-27 2016-12-19 (주) 릴리펏 실내 키즈카페에 설치하는 유아 놀이용 무동력 자동차트랙
KR101783408B1 (ko) * 2015-08-27 2017-10-10 유종현 전천후 실외 아이스링크 시스템
CN105603928A (zh) * 2016-03-28 2016-05-25 李富雄 一种低温液态气体冻结水层制造冰面雪场
CN109555123A (zh) * 2019-01-29 2019-04-02 湖南科技大学 用于大体积混凝土承台温控的自保温系统及其使用方法
CN109555123B (zh) * 2019-01-29 2023-11-24 湖南科技大学 用于大体积混凝土承台温控的自保温系统及其使用方法
KR102161104B1 (ko) * 2020-03-10 2020-09-29 김경란 빙상경기장용 냉각수 배출장치
KR102171297B1 (ko) 2020-03-10 2020-10-28 김경란 수축 및 팽창에 의한 바닥 콘크리트의 균열을 방지하는 다목적 빙상경기장
KR102237972B1 (ko) 2020-09-22 2021-04-08 에코아이스(주) 냉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한 다목적 빙상경기장
KR102620386B1 (ko) * 2023-05-22 2024-01-04 지앤에스건설 주식회사 사용자가 하나의 장소에서 계절에 관계없이 원하는 만큼 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다목적 체육시설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6577B1 (ko) 아이스링크 겸용 다목적 스포츠시설
WO2017118342A1 (zh) 一种节能房及节能幕墙、装饰墙、粉刷墙
US9476166B2 (en) System for regulating temperature and moisture on a field
US3751935A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nd maintaining an ice slab
US4790531A (en) Indoor ski slope and apparatus for making snow thereon
US3893507A (en) Apparatus for creating and maintaining an ice slab
CN108411734B (zh) 室内滑冰场
CN206320877U (zh) 一种可移动式集成冷冻站
KR102171297B1 (ko) 수축 및 팽창에 의한 바닥 콘크리트의 균열을 방지하는 다목적 빙상경기장
EP1561495A1 (en) Building and method for arranging sports facilities
CN105525557B (zh) 用于室内临时冰场冰面支承转换的结构体系及其施工方法
KR100822456B1 (ko) 이동식 아이스링크의 설치를 위한 냉각시스템 및 그설치방법.
KR20170058037A (ko) 빙상 경기장용 냉각장치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빙판 및 냉각 제어시스템
KR20170058034A (ko) 빙상 경기장용 빙판 결빙 시스템과 시공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빙판
CN110359337A (zh) 一种低温场所的地坪
USRE29438E (en) Apparatus for creating and maintaining an ice slab
KR102161104B1 (ko) 빙상경기장용 냉각수 배출장치
KR101230524B1 (ko) 인공 빙벽 제조장치
KR102237972B1 (ko) 냉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한 다목적 빙상경기장
KR20190072879A (ko) 아이스링크의 브라인 냉각 온도별 가변 방식을 갖는 냉각시스템
CN220909322U (zh) 模块化冰场搭建装置
CN102026690A (zh) 一种制造冬季运动竞技场的方法以及该冬季运动竞技场
JP3087192B2 (ja) プール等の昇降床装置
CN212522957U (zh) 移动式真冰滑冰场
FI128600B (en) Method and system for the production of artificial sno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