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7972B1 - 냉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한 다목적 빙상경기장 - Google Patents
냉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한 다목적 빙상경기장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37972B1 KR102237972B1 KR1020200122218A KR20200122218A KR102237972B1 KR 102237972 B1 KR102237972 B1 KR 102237972B1 KR 1020200122218 A KR1020200122218 A KR 1020200122218A KR 20200122218 A KR20200122218 A KR 20200122218A KR 102237972 B1 KR102237972 B1 KR 1022379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ce
- surface area
- concrete structure
- ice surface
- dischar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1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for artificial surfaces for outdoor or indoor practice of snow or ice sport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9/00—Design or layout of playing courts, rinks, bowling greens or areas for water-skiing; Covers therefor
- A63C19/10—Ice-skating or roller-skating rinks; Slopes or trails for skiing, ski-jumping or toboggan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3/00—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ice or snow for winter sports or similar recreational purposes, e.g. for sporting installations; Producing artificial snow
- F25C3/02—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ice or snow for winter sports or similar recreational purposes, e.g. for sporting installations; Producing artificial snow for ice r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한 다목적 빙상경기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빙상경기장의 빙면을 형성하기 위해 공급되는 냉매의 온도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수축 및 팽창에 맞춰 냉매공급배관의 위치를 조절하여 파손 및 균열을 방지하며, 빙면에서 발생된 냉각수를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냉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한 다목적 빙상경기장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냉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한 다목적 빙상경기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빙상경기장의 빙면을 형성하기 위해 공급되는 냉매의 온도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수축 및 팽창에 맞춰 냉매공급배관의 위치를 조절하여 파손 및 균열을 방지하며, 빙면에서 발생된 냉각수를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냉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한 다목적 빙상경기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겨울철 운동으로 인식되어 왔던 스케이팅은 실외 및 실내 활동을 통해 4계절 운동으로 행해지고 있으며, 대중운동으로 널리 보급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스케이팅 운동은 4계절에 할 수 있도록 실내 빙상 경기장의 건설이 늘어나고 있으나, 현재까지 국내에 건설된 실내 빙상 경기장의 수가 적어 설계에 대한 기술이 널리 알려지지 못한 경향이 있다.
또한, 빙상경기장은 겨울철 지면에 빙상(빙면)을 형성하여 동계스포츠를 이용할 수 있으며, 겨울철 이외에는 모래, 마루, 고무매트 등의 바닥을 시공하여 하계스포츠 및 실내스포츠 등과 더불어 공영, 축제 등을 즐길 수 있도록 다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빙상경기장은 겨울철 아이스하키, 컬링, 스피드스케이팅, 피겨스케이팅 등 다양한 용도에 맞춰 나누어지며, 스포츠 종류에 따라 그 크기가 결정하며, 링크 바닥구조에 따라 또 다른 분류가 이루어진다.
또한, 하계에는 매트, 모래, 데크 등을 간편하게 설치하여 농구, 배구, 씨름, 경마 등 다양한 스포츠 및 음악회, 공연장 등의 여가생활을 위한 장소로 활용된다.
이때, 빙상 경기장은 신속한 설치 및 철거가 요구되는 조립방식을 통해 이동하여 원하는 위치에 설치하는 가동식 방식과, 설치 후 철거가 이루어지지 않는 바닥구조를 가지는 고정식 방식으로 구성된다.
이때, 고정식 바닥 구조는 영구형, 개방형, 모래충진형, 철판형 등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의 주요사항은 다음과 같다.
상기 영구형바닥은 바닥면을 다목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냉각관을 바닥 콘크리트 속에 매설하고 바닥표면을 깨끗하게 마감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 소비량이 많은 하절기에 타용도의 체육관으로 활용하기 구조로써, 바닥이 고르고 수평이며 집중하중에 강한 이점이 있지만, 얼음의 결빙, 융해의 반복으로 인해 균열이 발생할 우려가 많다.
그리고 개방형 바닥 또는 모래충진형바닥은 냉각관을 바닥면에 노출하고 모래를 충진하는 방식으로 스케이팅 이외에 다른 목적으로는 사용하지 않으며 건설비를 저렴하게 하고자 하거나 비 사용시에 테니스장과 같은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냉각관을 떼어낼 필요가 있는 경우에 사용된다.
이러한 개방형바닥 또는 모래충진형바닥은 설치가 용이하고 설비비가 싸고 냉각관의 철거 및 설치가 간단하지만 빙면의 형성에 시간이 걸리고 수평유지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철판형 바닥은 냉각관을 바닥면 위에 설치하고 그 위에 철판 마감을 하는 방식으로 단시간에 결빙하여야 할 경우, 링크와 수영장을 겸용으로 하고자 할 경우, 한 여름에 옥외 빙상 경기장를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 채용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고정식 바닥구조는 냉동기의 증발기에서 냉매와 열교환된 저온의 브라인을 링크의 바닥에 배관된 철재로 이루어진 냉각관에 보내어 동결하는 간접제빙방식으로 빙판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열교환손실로 인해 시스템 효율이 떨어지고, 브라인펌프의 운전으로 동력비가 크고. 동결시간이 긴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아이스링크 겸용 다목적 스포츠시설"이 제시된 바 있다.
종래기술은, 상기 단열층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복수개 결합시켜 냉각관이 안착되도록 냉각관이 삽입되는 안착홈이 복수개 형성된 상부바가 격자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상부바의 하부로 이격되게 하부바가 격자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상부바와 하부바의 끝단을 수직으로 연결한 수직바로 이루어지며 측면에는 복수개의 연결부재가 설치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가 매립되도록 단열층의 상부에 콘크리트층이 마련되며 상기 냉각관을 통해 콘크리트층의 상부에 빙면층 형성 유무에 따라 동계스포츠 및 하계스포츠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시설공간을 마련한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복수개의 연결부재가 설치된 고정부를 통해 지정된 위치에 냉각관이 안착되는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빙상 경기장의 넓은 면적에 의해 냉각시 온도 변화가 심하게 발생하여 냉매가 유동하는 관의 수축 및 팽창됨에 따라 관의 손상, 변형 및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와 함께 변형된 관에 의해 빙면에 고르게 냉기를 전달히지 못해 빙면이 일정하게 형성되지 않고, 관과 연결된 콘크리트 부분에서 균열 및 파손이 발생되는 부가적인 문제가 있다.
그리고 빙면에서 발생된 냉각수는 경기장의 바닥면에 고여 콘크리트의 균열 및 손상을 야기하며, 냉매의 온도에 변화를 주어 균일한 빙면을 형성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온도변환에 의해 냉각관의 수축 및 팽창에 의해 냉매를 공급하는 메인헤더와 결합부분의 위치가 변화되어 견고한 결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냉기에 의해 수축 및 팽창이 발생현상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이 손상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수축 및 팽창에 맞춰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냉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한 다목적 빙상경기장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빙면구역을 경계하여 외부 출입을 방지하며, 안전하게 빙면구역 내에서 활동할 수 있는 펜스를 간편하게 탈부착하여 사용목적 및 경기 종목에 맞춰 빙면구역의 범위를 조절하고 콘크리트 구조물의 손상을 방지하는 냉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한 다목적 빙상경기장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빙면에서 발생된 냉각수를 용이하게 배출하며, 빙면구역에서 발생된 냉기가 콘크리트 구조물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냉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한 다목적 빙상경기장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면에 타설되어 빙산경기장을 형성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 또는 외부에 함몰 형성된 설치부에 브라인을 공급 및 배출하는 공급헤더와 배출헤더가 설치되며, 상기 공급헤더의 브라인을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에 형성된 빙면구역으로 순환시켜 배출헤더로 유입되는 냉각관이 결합된 냉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한 다목적 빙상경기장에 있어서, 상기 빙면구역과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경계에 따라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면에 설치된 펜스부; 상기 빙면구역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빙면에서 발생된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찬넬; 상기 설치부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헤더 및 배출헤더가 상기 냉각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지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펜스부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에 시공된 철근부재와, 상기 빙면구역과 맞닿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측면과 상부면에 배치되어 상기 철근부재에 결합되는 펜스고정부재와, 상기 빙면구역의 상면으로 일부가 노출되며, 상기 펜스고정부재의 상부면에 스트롱앙카부를 통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펜스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펜스고정부재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측면 하단부분에서 상기 빙면구역과 수평을 유지하며, 상기 빙면구역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된 제1종단부재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부면 외측부분에서 상기 빙면구역과 수평을 유지하며, 상기 빙면구역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된 제2종단부재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측면과 상부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서 상기 빙면구역과 수평을 유지하며, 상기 빙면구역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된 제3종단부재와, 상기 제1종단부재와 상기 제3종단부재 사이에 배치된 수직부재와, 상기 제2종단부재와 상기 제3종단부재 사이에 배치된 횡단부재로 이루어지는 ㅍ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빙면에서 발생된 냉각수를 상기 드레인찬넬로 유도하며, 상기 빙면구역에서 발생된 냉기를 단열하고 상기 빙면의 수축 및 팽창에 맞춰 이완되는 가이드패널이 더 포함되되, 상기 가이드패널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내측면에 설치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일면에 설치되어 상기 빙면구역의 냉기를 차단하는 단열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레인찬넬은, 상기 빙면구역의 하부면에서 테두리와 내부를 구획하여 설치되어 냉각수를 배출하는 수로가 형성된 배출프레임과, 상기 빙면구역이 형성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프레임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로 이루어지되, 상기 배출프레임은, 상기 빙면구역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된 제1배출라인과, 상기 빙면구역의 내면에 행렬방향으로 다수개 배치되어 냉각수를 상기 제1배출라인으로 유도하는 제2배출라인과, 상기 제1배출라인에 결합되어, 유입된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3배출라인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설치부의 바닥면에서 상기 공급헤더 및 상기 배출헤더와 교차되는 수평방향로 설치되며, 상기 공급헤더 및 상기 배출헤더의 위치에 맞춰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슬롯홈이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공급헤더 및 상게 배출헤더를 감싸도록 각각 설치되며, 양측단이 상기 슬롯홈에 결합되는 결합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냉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한 다목적 빙상경기장에 따르면, 냉기에 의해 수축 및 팽창이 발생현상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이 손상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수축 및 팽창에 맞춰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빙면구역에 브레인을 공급하는 공급헤더와 배출헤더가 냉각관의 수축 및 팽창시 발생되는 길이변화에 맞춰 위치를 이동하여 헤더 및 냉각관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하며, 견고하게 고정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빙면구역을 경계하여 외부 출입을 방지하며, 안전하게 빙면구역 내에서 활동할 수 있는 펜스를 간편하게 탈부착하여 사용목적 및 경기 종목에 맞춰 빙면구역의 범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콘크리트 구조면에 펜스보호부재를 설치하여 펜스부재를 탈부착시 콘크리트 구조물이 손상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이드패널을 설치하여 빙면 및 냉각관의 팽창시 발생되는 압력이 콘크리트 구조체에 전달되지 않아 콘크리트 구조물이 손상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이드패널을 통해 빙면에서 발생된 냉각수가 콘크리트 구조물에 접촉되지 않으며, 드레인찬넬로 유도하여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하여, 냉각관에서 발생된 냉기가 빙면에 용이하게 전달되어 균일한 빙면을 형성하며, 냉각수가 콘크리트에 흡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한 다목적 빙상경기장을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레인찬넬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드레인찬넬의 높낮이조절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부의 이동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레인찬넬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드레인찬넬의 높낮이조절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부의 이동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냉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한 다목적 빙상경기장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한 다목적 빙상경기장을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레인찬넬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드레인찬넬의 높낮이조절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부의 이동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냉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한 다목적 빙상경기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빙상경기장의 빙면을 형성하기 위해 공급되는 냉매의 온도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수축 및 팽창에 맞춰 냉매공급배관의 위치를 조절하여 파손 및 균열을 방지하며, 빙면에서 발생된 냉각수를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냉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한 다목적 빙상경기장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빙상경기장을 시공한 콘크리트 구조물(100)에 설치한 후, 빙면을 생성 및 유지할 때 발생하는 냉기에 의한 팽창 및 수축 맞춰 위치이동이 가능하며, 빙면에서 발생된 냉각수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펜스부(10), 드레인찬넬(20), 지지부(30)로 구성된다.
이에 앞서, 지면에 타설되어 빙산경기장을 형성한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함몰 형성된 설치부(120)에 브라인을 공급 및 배출하는 공급헤더(130)와 배출헤더(140)가 설치되며, 상기 공급헤더(130)의 브라인을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내부에 형성된 빙면구역(110)으로 순환시켜 배출헤더(140)로 유입되는 냉각관(150)이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은 면적이 큰 중앙부분이 하부로 향해 함몰되며, 함몰된 바닥면에는 빙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단열재, 철근, 냉각관 등이 시공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부(120)는 상기 빙면구역(1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설치부(120)에 상기 공급헤더(130)와 상기 배출헤더(140)가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냉각관(150)은 양측단이 상기 공급헤더(130)와 상기 배출헤더(140)에 결합되어 상기 공급헤더(130)의 유입된 브라인을 상기 빙면구역(110)을 순환한 후 상기 배출헤더(140)로 공급될 수 있도록 다수개 설치된다.
이때,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은 상기 설치부(120)가 상기 빙면구역(110)의 외부에 설치된 경우, 상기 냉각관(150)이 유입되는 유입공(101)이 형성된다.
상기 펜스부(10)는 상기 빙면구역(110)과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경계에 따라 상면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펜스부(10)는 상기 빙면구역(110)의 경계를 따라 설치되어 내부와 외부를 구획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찬넬(20)은 상기 빙면구역(110)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빙면(111)에서 발생된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한다.
이러한 상기 드레인찬넬(20)은 상기 빙면(111)에서 발생된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되어 상기 빙면구역(110)의 바닥면에 고이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지지부(30)는 상기 설치부(120)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헤더(130) 및 배출헤더(140)가 상기 냉각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30)는 상기 공급헤더(130) 및 상기 배출헤더(140)를 상기 냉각관(150)의 수축 및 팽창에 맞춰 효율적으로 위치이동하여, 상기 공급헤더(130), 상기 배출헤더(140) 및 상기 냉각관(150)이 손상,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빙산경기장의 시공시 상기 빙면(111)을 생성 및 유지할 때 발생하는 수축 및 팽창에 용이하게 위치 이동하여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하며, 냉각수를 배출하여 냉기를 균일하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빙면구역(110)에 맞춰 상기 펜스부(10)를 설치하여,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빙면구역(110)은 상기 콘크리트구조물(100)의 상면 중앙부분이 함몰되며, 물을 공급한 후, 상기 냉각관(150)을 통해 결빙시켜 빙면이 형성된 전체면적으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빙면구역(110)은 상기 콘크리트구조물(100)의 상면 중앙부분이 함몰되며, 물을 공급한 후, 상기 냉각관(150)을 통해 결빙시켜 빙면이 형성된 전체면적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는 각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펜스부(10)는 상기 빙면구역(110)의 경계에 맞춰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에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펜스부(10)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에 탈착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철근부재(11), 펜스고정부재(12) 및 펜스부재(18)로 이루어진다.
상기 철근부재(11)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내부에 시공된다.
즉, 상기 철근부재(11)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이 타설시 내부에 시공되며, 상기 빙면구역(110)을 형성하는 내부면과 상부면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펜스고정부재(12)는 상기 빙면구역(110)과 맞닿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내측면과 상부면에 배치되어 상기 철근부재(11)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펜스고정부재(12)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철근부재(11)에 결합되어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상기 펜스고정부재(12)는 제1종단부재(13), 제2종단부재(14), 제3종단부재(15), 수직부재(16) 및 횡단부재(17)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종단부재(13)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내측면 하단부분에서 상기 빙면구역과 수평을 유지하며, 상기 빙면구역(110)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된다.
상기 제2종단부재(14)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상부면 외측부분에서 상기 빙면구역과 수평을 유지하며, 상기 빙면구역(110)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된다.
상기 제3종단부재(15)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내측면과 상부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서 상기 빙면구역(110)과 수평을 유지하며, 상기 빙면구역(110)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된다.
즉, 상기 제1 내지 제3 종단부재(13, 14, 15)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내부면과 상면 및 모서리에서 상기 빙면구역의 경계를 따라 상기 철근부재(11)에 각각 결합된다.
상기 수직부재(16)는 상기 제1종단부재(13)와 상기 제3종단부재(15)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횡단부재(17)는 상기 제2종단부재(14)와 상기 제3종단부재(15) 사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수직부재(16)와 상기 횡단부재(17)는 상기 제 1 내지 3종단부재(13, 14, 15)에 양측단이 결합되며,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내측벽 및 상부면에 위치한다.
이때, 상기 수직부재(16)와 상기 횡단부재(17)는 상기 빙면구역(110)의 경계를 따라 형성된다.
또한, 상기 펜스고정부재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내벽면과 상부면이 일치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펜스고정부재(12)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타설시 같이 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펜스부재(18)는 상기 빙면구역(110)의 상면으로 일부가 노출되며, 상기 펜스고정부재(12)의 상부면에 스트롱앙카부(19)를 통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펜스부재(18)는 상기 빙면구역(110)의 경계를 따라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상부에 수직으로 배치된 후, 상기 스트롱앙카부(19)를 통해 상기 펜스고정부재(12)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스트롱앙카부(19)는 상기 펜스고정부재(12) 및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에 매립시공되어 상기 펜스부재(18)를 탈착가능하게 고정한다.
이를 통해 상기 펜스부재(18)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에 견고하게 고정하여 상기 빙면구역(110)을 구획하여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활용용도에 따라 매트릭스 광고판 등을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펜스부재(18)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에서 손쉽게 탈부착 가능하여 사용 용도, 경기 종목등에 맞춰 위치 조절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빙면(111)에서 발생된 냉각수를 상기 드레인찬넬(20)로 유도하며, 상기 빙면구역(110)에서 발생된 냉기를 단열하고 상기 빙면(111)의 수축 및 팽창에 맞춰 이완되는 가이드패널(40)이 더 포함된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패널(40)은 지지판(41)과 단열재(42)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판(41)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에 내측면에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지지판(41)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내측면에 설치되되, 상단은 상기 펜스부재(18)의 하단에 위치한다.
이때, 상기 지지판(41)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재로 이루어져, 상기 빙면(111)의 수축 및 팽창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에 가해지는 압력을 최소화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이 손상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빙면(111)에서 발생된 냉각수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드레인찬넬(20)로 유도하여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41)에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상기 유입공(101)에 맞춰 상기 냉각관이 삽입되는 삽입공(4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공(43)과 상기 유입공(101)의 내부에는 냉각관슬리브(60)가 시공된다.
이를 통해 상기 냉각관(150)은 상기 냉각관슬리브(60)를 통해 상기 지지판(41) 및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 내에서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단열재(42)는 상기 지지판(41)의 일면에 설치되어 상기 빙면구역(110)의 냉기를 한다.
이러한 상기 단열재(42)는 상기 빙면(111) 또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 중 어느 하나에 접촉되도록 상기 지지판(41)에 설치된다.
이를 통해 상기 빙면(111) 및 상기 냉각관에서 발생된 냉기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빙면구역(110)에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드레인찬넬(20)은 상기 빙면구역(110)에서 생성된 상기 빙면(111)에서 발생된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한다.
따라서 냉각수를 포집하여 외부로 유도할 수 있도록 배출프레임(21) 및 지지대(22)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출프레임(21)은 상기 빙면구역(110)의 하부면에서 테두리와 내부를 구획하여 설치되어 냉각수를 배출하는 수로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배출프레임(21)은 상기 빙면구역(110)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된 제1배출라인(21a)과, 상기 빙면구역(110)의 내면에 행렬방향으로 다수개 배치되어 냉각수를 상기 제1배출라인(21a)으로 유도하는 제2배출라인(21b)과, 상기 제1배출라인(21a)에 결합되어, 유입된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3배출라인(21c)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1배출라인(21a), 상기 제2배출라인(21b) 및 상기 제3배출라인(21c)은 상기 빙면구역(110)을 이루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바닥면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배출라인(21a)은 상기 빙면구역(110) 경계면에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내측면과 접촉되어 상기 가이드패널(40)을 통해 유도된 냉각수가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2배출라인(21b)은 상기 빙면구역(110)에서 격자형태로 교차되며, 내부에서 발생된 냉각수를 포집하여 상기 제1배출라인(21a)으로 유도한다.
이렇게 상기 제1배출라인(21a)으로 유도되어 흐르는 냉각수는 상기 제3배출라인(21c)을 통해 외부로 배출한다.
따라서 상기 빙면구역(110)에서 발생된 냉각수는 상기 제1 및 제2 배출라인(21a, 21b)을 통해 포집하여 유도한 후, 상기 제3배출라인(21c)을 통해 외부로 배출한다.
이를 통해 상기 빙면구역(110) 내에 냉각수가 고이는 것을 방지하여, 냉각수에 의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이 손상,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냉각관(150)에서 발생되는 냉기를 고르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배출된 냉각수가 얼어, 팽창에 의해 상기 빙면구역(110) 내에서 발생되는 손상 및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22)는 상기 빙면구역(110)이 형성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프레임(21)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러한 상기 지지대(22)는 상기 배출프레임(21)을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에 지지하되, 높낮이를 통해 경사면을 형성하여, 유입된 냉각수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배출라인(21a) 및 제2배출라인(21b)은 상기 제3배출라인(21c)을 향해 하향경사지도록 형성하여, 냉각수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높낮이를 조절한다.
이러한 상기 지지대(22)는 고정부재(23), 이동부재(24) 및 체결부재(25)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재(23)는 상기 배출프레임(21)의 하단면에서 하부로 돌출되며, 외측면에서 관통된 상하방향의 제1장홈(23a)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프레임(21)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설치된다.
상기 이동부재(24)는 상기 고정부재(23)가 상하방향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홈(24a)이 형성되며, 상기 제1장홈(23a)과 대응하는 위치의 외측면에서 관통된 제2장홈(24b)이 형성되고 하단면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에 고정된다.
상기 체결부재(25)는 상기 제1장홈(23a) 및 상기 제2장홈(24b)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재(23)의 고정한다.
이와 같이 상기 배출프레임(21)의 하단에는 상기 고정부재(23)가 형성되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는 상기 이동부재(24)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24a)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높낮이를 조절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25)를 통해 상기 고정부재(23)와 상기 이동부재(24)를 고정하여 조절된 높이에 맞춰 고정하여,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고정부재(23), 상기 이동부재(24) 및 상기 체결부재(25)는 상기 배출프레임(21)에 하부에 다수개 형성되어 높낮이 조절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에는 상기 드레인찬넬(20)과 인접한 지점에 방수코팅이 도포된 코팅층(50)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코팅층(50)은 상기 드레인찬넬(20)의 상단면에 맞춰 도포되어, 빙면에서 생성된 냉각수가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드레인찬넬(20)로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코팅층(50)은 냉각수를 방수할 수 할 수 있도록 우레탄, 에폭시, 페인트 등과 같이 물의 흡입을 방지하는 방수코팅을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에 도포한다.
이때, 상기 코팅층(50)은 도포 이외에 시트지 등을 접착하여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드레인찬넬(20)로 유도되는 냉각수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내부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드레인찬넬(20)과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여 냉각수를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부(30)는 상기 냉각관(150)의 수축 및 팽창에 맞춰 상기 공급헤더(130) 및 상기 배출헤더(140)가 위치이동할 수 있도록 고정한다.
이러한 상기 지지부(30)는 고정판(31)과 결합부재(32)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판(31)은 상기 설치부(120)의 바닥면에서 상기 공급헤더(130) 및 상기 배출헤더(140)와 교차되는 수평방향로 설치되며, 상기 공급헤더(130) 및 상기 배출헤더(140)의 위치에 맞춰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슬롯홈(31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공급헤더(130)는 상기 설치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배출헤더(140)는 상기 공급헤더(130)의 측면에서 상기 설치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공급헤더(130)로 유입된 브레인은 상기 냉각관(150)을 통해 상기 빙면구역을 순환한 후 상기 배출헤더(140)로 유입되어 순환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고정판(31)은 상기 공급헤더(130)와 상기 배출헤더(140)의 수직방향으로 위치되며, 상기 공급헤더(130) 및 상기 배출헤더(14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고정판(31)은 상기 공급헤더(130)와 상기 배출헤더(140)와 "+" 형태로 교차된다.
그리고 상기 슬롯홈(31a)은 상기 고정판(3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공급헤더(130)와 상기 배출헤더(140)의 양측방향으로 위치하며, 상기 공급헤더(130) 및 상기 배출헤더(140)의 크기에 맞춰 양측에 배치된다.
상기 결합부재(32)는 상기 공급헤더(130) 및 상기 배출헤더(140)를 감싸도록 각각 설치되며, 양측단이 상기 슬롯홈(31a)에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결합부재(32)는 "∩" 형상을 통해 상기 공급헤더(130) 및 상기 배출헤더(140)의 외면을 감싸도록 삽입된 후 끝단이 상기 슬롯홈(31a)에 체결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32)는 나사결합을 통해 상기 슬롯홈(31a)에 체결되되, 상기 냉각관의 수축 및 팽창에 맞춰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와셔 등을 부가하여 이동가능하게 체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30)는 상기 냉각관(150)의 수축 및 팽창에 의해 전체 길이가 변화시 길이 변화에 맞춰 상기 공급헤더(130) 및 상기 배출헤더(140)의 위치가 이동할 수 있도록 고정한다.
이를 통해 상기 빙면(111) 생성 및 유지 시 발생된 냉기에 의해 상기 냉각관(150)이 수축 및 팽창시 상기 공급헤더(130) 및 상기 배출헤더(140)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냉각관(150)과 상기 공급헤더(130) 및 상기 배출헤더(140)를 견고하게 고정하며, 위치이동에 따른 손상 및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각 구성의 설치 및 사용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중앙부분이 함몰되어 상기 빙면구역(110)을 가지며, 상기 빙면구역(1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상기 설치부(120)를 형성하여 상기 공급헤더(130) 및 상기 배출헤더(14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내부에는 상기 철근부재(11)가 삽입되되, 상기 철근부재(11)는 상기 빙면구역(110)을 이루는 경계부분에 일정부분 노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펜스고정부재(12)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펜스고정부재(12)의 상부면에 상기 펜스부재(18)를 상기 스트롱앙카부(19)를 통해 탈착가능하게 고정한다.
이를 통해 상기 펜스부(10)는 상기 빙면구역(110)의 사용목적 및 경기 종류에 따라 상기 펜스부재(18)를 선택적으로 설치하거나, 위치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펜스부(10)의 탈착시 상기 펜스고정부재(12)가 시공되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이 손상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내측면에 결합된 상기 가이드패널(40)을 통해 빙면에서 발생된 냉각수를 상기 드레인찬넬(20)로 유도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패널(40)은 빙면의 팽창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이 파손 및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단열재(42)를 통해 냉기가 전달되어 손상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레인찬넬(20)로 유입된 냉각수는 상기 빙면구역의 외부로 배출하여 냉각수에 의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파손, 손상을 방지하며, 상기 냉각관(150)에서 발생되는 냉기의 온도변화 없이 빙면에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드레인찬넬(20)은 높이조절을 통해 냉각수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경사를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코팅층(50)을 통해 드레인찬넬(20)과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 사이의 유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드레인찬넬(20) 주변의 냉각수 또는 발생된 물이 콘크리트 구조물(100)에 흡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통해 냉각수에 의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이 손상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냉각관(150)의 냉기가 용이하게 전달되어 상기 빙면(111)을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30)는 상기 냉각관(150)의 수축 및 팽창시 변화하는 길이에 맞춰 상기 공급헤더(130) 및 상기 배출헤더(140)의 위치이동가능하게 고정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30)는 상기 설치부(120)에 배치된 다수개의 상기 고정판(31) 상단에 위치한 후, 상기 결합부재(32)를 고정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32)는 상기 고정판(31)에 형성된 상기 슬롯홈(31a)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냉각관(150)의 수축 및 팽창시 상기 슬롯홈(31a)의 범위 내에서 상기 공급헤더(130) 및 상기 배출헤더(140)의 위치를 조절한다.
이를 통해 상기 냉각관(150)의 수축 및 팽창시 상기 공급헤더(130) 및 상기 배출헤더(140)와 결합된 부분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냉각관(150), 상기 공급헤더(130) 및 상기 배출헤더(140)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펜스부 11: 철근부재 12: 펜스고정부재
13: 제1종단부재 14: 제2종단부재
15: 제3종단부재 16: 수직부재
17: 횡단부재 18: 펜스부재
19: 스트롱앙카부
20: 드레인찬넬 21: 배출프레임 21a: 제1배출라인
21b: 제2배출라인 21c: 제3배출라인
22: 지지대 23: 고정부재
23a: 제1장홈 24: 이동부재
24a: 가이드홈 24b: 제2장홈
25: 체결부재
30: 지지부 31: 고정판 31a: 슬롯홈
32: 결합부재
40: 가이드패널 41: 지지판 42: 단열재
43: 삽입공
50: 코팅층
60: 냉각관슬리브
100: 콘크리트 구조물 101: 유입공 110: 빙면구역
111: 빙면 120: 설치부
130: 공급헤더 140: 배출헤더
150: 냉각관
13: 제1종단부재 14: 제2종단부재
15: 제3종단부재 16: 수직부재
17: 횡단부재 18: 펜스부재
19: 스트롱앙카부
20: 드레인찬넬 21: 배출프레임 21a: 제1배출라인
21b: 제2배출라인 21c: 제3배출라인
22: 지지대 23: 고정부재
23a: 제1장홈 24: 이동부재
24a: 가이드홈 24b: 제2장홈
25: 체결부재
30: 지지부 31: 고정판 31a: 슬롯홈
32: 결합부재
40: 가이드패널 41: 지지판 42: 단열재
43: 삽입공
50: 코팅층
60: 냉각관슬리브
100: 콘크리트 구조물 101: 유입공 110: 빙면구역
111: 빙면 120: 설치부
130: 공급헤더 140: 배출헤더
150: 냉각관
Claims (6)
- 지면에 타설되어 빙산경기장을 형성되며, 내부가 함몰되어 빙면구역(110)을 가지는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함몰 형성된 설치부(120)에 브라인을 공급 및 배출하는 공급헤더(130)와 배출헤더(140)가 설치되며, 상기 공급헤더(130)의 브라인을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내부에 형성된 빙면구역(110)으로 순환시켜 배출헤더(140)로 유입되는 냉각관(150)이 결합된 냉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한 다목적 빙상경기장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빙면구역(110)과 콘크리트 구조물(10) 사이의 경계를 따라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상면에 설치된 펜스부(10);
상기 빙면구역(110)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빙면(111)에서 발생된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찬넬(20);
상기 설치부(120)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헤더(130) 및 배출헤더(140)가 상기 냉각관(1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지지부(30);로 이루어지되,
상기 드레인찬넬(20)은,
상기 빙면구역(110)의 하부면에서 테두리와 내부를 구획하여 설치되어 냉각수를 배출하는 수로가 형성된 배출프레임(21)과,
상기 빙면구역(110)이 형성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프레임(21)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22)로 이루어지되,
상기 배출프레임(21)은,
상기 빙면구역(110)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된 제1배출라인(21a)과,
상기 빙면구역(110)의 내면에 행렬방향으로 다수개 배치되어 냉각수를 상기 제1배출라인(21a)으로 유도하는 제2배출라인(21b)과,
상기 제1배출라인(21a)에 결합되어, 유입된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3배출라인(21c)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한 다목적 빙상경기장.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펜스부(10)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내부에 시공된 철근부재(11)와,
상기 빙면구역(110)과 맞닿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내측면과 상부면에 배치되어 상기 철근부재(11)에 결합되는 펜스고정부재(12)와,
상기 빙면구역(110)의 상면으로 일부가 노출되며, 상기 펜스고정부재(12)의 상부면에 스트롱앙카부(19)를 통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펜스부재(18)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한 다목적 빙상경기장.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펜스고정부재(12)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내측면 하단부분에서 상기 빙면구역(110)과 수평을 유지하며, 상기 빙면구역(110)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된 제1종단부재(13)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상부면 외측부분에서 상기 빙면구역(110)과 수평을 유지하며, 상기 빙면구역(110)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된 제2종단부재(14)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내측면과 상부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서 상기 빙면구역(110)과 수평을 유지하며, 상기 빙면구역(110)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된 제3종단부재(15)와,
상기 제1종단부재(13)와 상기 제3종단부재(15) 사이에 배치된 수직부재(16)와,
상기 제2종단부재(14)와 상기 제3종단부재 사이에 배치된 횡단부재(17)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한 다목적 빙상경기장.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빙면(111)에서 발생된 냉각수를 상기 드레인찬넬(20)로 유도하며, 상기 빙면구역(110)에서 발생된 냉기를 단열하고 상기 빙면(111)의 수축 및 팽창에 맞춰 이완되는 가이드패널(40)이 더 포함되되,
상기 가이드패널(40)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에 내측면에 설치된 지지판(41)과,
상기 지지판(41)의 일면에 설치되어 상기 빙면구역(110)의 냉기를 차단하는 단열재(4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한 다목적 빙상경기장.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30)는
상기 설치부(120)의 바닥면에서 상기 공급헤더(130) 및 상기 배출헤더(140)와 교차되는 수평방향로 설치되며, 상기 공급헤더(130) 및 상기 배출헤더(140)의 위치에 맞춰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슬롯홈(31a)이 형성된 고정판(31)과,
상기 공급헤더(130) 및 상게 배출헤더(140)를 감싸도록 각각 설치되며, 양측단이 상기 슬롯홈(31a)에 결합되는 결합부재(3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한 다목적 빙상경기장.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2218A KR102237972B1 (ko) | 2020-09-22 | 2020-09-22 | 냉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한 다목적 빙상경기장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2218A KR102237972B1 (ko) | 2020-09-22 | 2020-09-22 | 냉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한 다목적 빙상경기장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37972B1 true KR102237972B1 (ko) | 2021-04-08 |
Family
ID=75480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22218A KR102237972B1 (ko) | 2020-09-22 | 2020-09-22 | 냉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한 다목적 빙상경기장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37972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03534U (ko) * | 2008-09-24 | 2010-04-01 | 이태하 | 파이프 고정1,2,3,4,5열절연브라켓트 |
KR20100113428A (ko) * | 2009-04-13 | 2010-10-21 | 주식회사 세항 | 아이스링크 펜스 및 이의 설치방법 |
KR101456577B1 (ko) | 2013-09-25 | 2014-10-31 | 주식회사 세항 | 아이스링크 겸용 다목적 스포츠시설 |
KR101580456B1 (ko) * | 2015-06-18 | 2016-01-04 | 주식회사 휴먼씨 | 인공 빙하 연출 구조 및 그것의 제작 방법 |
KR102117571B1 (ko) * | 2020-03-10 | 2020-06-01 | 김경란 | 빙상경기장의 냉매순환 배관장치 |
-
2020
- 2020-09-22 KR KR1020200122218A patent/KR10223797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03534U (ko) * | 2008-09-24 | 2010-04-01 | 이태하 | 파이프 고정1,2,3,4,5열절연브라켓트 |
KR20100113428A (ko) * | 2009-04-13 | 2010-10-21 | 주식회사 세항 | 아이스링크 펜스 및 이의 설치방법 |
KR101456577B1 (ko) | 2013-09-25 | 2014-10-31 | 주식회사 세항 | 아이스링크 겸용 다목적 스포츠시설 |
KR101580456B1 (ko) * | 2015-06-18 | 2016-01-04 | 주식회사 휴먼씨 | 인공 빙하 연출 구조 및 그것의 제작 방법 |
KR102117571B1 (ko) * | 2020-03-10 | 2020-06-01 | 김경란 | 빙상경기장의 냉매순환 배관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71297B1 (ko) | 수축 및 팽창에 의한 바닥 콘크리트의 균열을 방지하는 다목적 빙상경기장 | |
US4703597A (en) | Arena floor and flooring element | |
KR101456577B1 (ko) | 아이스링크 겸용 다목적 스포츠시설 | |
EP1561495A1 (en) | Building and method for arranging sports facilities | |
KR100822456B1 (ko) | 이동식 아이스링크의 설치를 위한 냉각시스템 및 그설치방법. | |
US3986342A (en) | Method of securing a perimeter fence around an ice rink without embedding into ground | |
KR102237972B1 (ko) | 냉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한 다목적 빙상경기장 | |
US3636725A (en) | Apparatus for preparing and maintaining ice skating rinks | |
CA1153902A (en) | Air cooled ice rink construction | |
KR100796382B1 (ko) | 급속 냉각설비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 |
KR102161104B1 (ko) | 빙상경기장용 냉각수 배출장치 | |
KR102180897B1 (ko) | 아이스링크의 냉각 구조 | |
KR20170058037A (ko) | 빙상 경기장용 냉각장치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빙판 및 냉각 제어시스템 | |
KR20170058034A (ko) | 빙상 경기장용 빙판 결빙 시스템과 시공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빙판 | |
KR102117571B1 (ko) | 빙상경기장의 냉매순환 배관장치 | |
US3668885A (en) | Air cooled artificial ice rink | |
US3495415A (en) | Method for preparing and maintaining ice skating rinks | |
RU2224072C2 (ru) | Стадион с ледовой ареной и окружающими ее трибунами для зрителей, а также многоканальный элемент для системы воздушных каналов такого стадиона | |
KR20190072879A (ko) | 아이스링크의 브라인 냉각 온도별 가변 방식을 갖는 냉각시스템 | |
JP6683496B2 (ja) | 野球場における空調設備 | |
Qiao et al. | Design towards the conversion between land sports and ice sports in infield space of arena | |
JPH04309386A (ja) | 人工スキー場 | |
FI121481B (fi) | Monitoimihalli | |
JP7412245B2 (ja) | 冷凍施設 | |
JPH0354382Y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