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8034A - 빙상 경기장용 빙판 결빙 시스템과 시공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빙판 - Google Patents

빙상 경기장용 빙판 결빙 시스템과 시공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빙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8034A
KR20170058034A KR1020150161739A KR20150161739A KR20170058034A KR 20170058034 A KR20170058034 A KR 20170058034A KR 1020150161739 A KR1020150161739 A KR 1020150161739A KR 20150161739 A KR20150161739 A KR 20150161739A KR 20170058034 A KR20170058034 A KR 201700580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cooling
brine
ma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1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항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항
Priority to KR1020150161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8034A/ko
Publication of KR20170058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80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3/00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ice or snow for winter sports or similar recreational purposes, e.g. for sporting installations; Producing artificial snow
    • F25C3/02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ice or snow for winter sports or similar recreational purposes, e.g. for sporting installations; Producing artificial snow for ice rin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9/00Design or layout of playing courts, rinks, bowling greens or areas for water-skiing; Covers therefor
    • A63C19/10Ice-skating or roller-skating rinks; Slopes or trails for skiing, ski-jumping or tobogga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41/003
    • F25B41/046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빙상 경기장용 빙판 결빙 시스템과 시공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빙판은 냉각수단을 통하여 빙면을 이룰 수 있는 동결온도를 제공하도록 하여 LED모듈이 내장된 빙상 경기장을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동계 스포츠 공연 연출을 위한 빙상 경기장 빙판을 제공하도록, 빙상 경기장의 바닥면에 상호 연접되게 안치되는 냉각수단과, 상기 냉각수단층의 표면에 온수를 분사시켜 하나 이상의 층으로 동결시킨 빙면층과, 상기 빙면층 사이에 복수개로 설치되는 LED모듈을 더 포함하여, 빙판 상층 및 하층의 창의적인 공연 예술 연출로 몰입도 높은 관객 호응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빙상 경기장용 빙판 결빙 시스템과 시공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빙판{Ice rink cooling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and ice}
본 발명은 빙상 경기장용 빙판 결빙 시스템과 시공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빙판에 관한 것으로서, 냉각수단을 통하여 빙면을 이룰 수 있는 동결온도를 제공하도록 하여 LED모듈이 내장된 빙면층을 형성하여 빙상 경기장을 통해 동계 스포츠 공연 연출을 하기 위한 빙상 경기장 빙판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레져에 대한 관심이 급증함에 따라 일반적으로 겨울철 운동으로만 인식되어 왔던 스케이팅이 4계절 운동으로 행해지고 있으며, 대중운동으로 널리 보급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스케이팅을 위한 장소인 실내 빙상 경기장의 건설이 늘어나고 있으나, 현재까지 국내에 건설된 실내 빙상 경기장의 수가 적어 설계에 대한 기술이 널리 알려지지 못한 경향이 있다.
이러한 빙상 경기장는 설치 위치에 따라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빙상 경기장와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 빙상 경기장로 나누어진다.
여기서, 실내 빙상 경기장는 아이스하키용 링크, 컬링 curling 경기용 링크, 스피드스케이팅용 링크, 대중용 링크로 나누어진다. 상기 실내 빙상 경기장의 스포츠 종류에 따라 그 크기가 결정되며, 실내빙상 경기장의 링크 바닥구조에 따라 또 다른 분류가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빙상 경기장 바닥에 따른 분류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빙상 경기장의 바닥구조는 고정식과 가동식으로 대별할 수 있으며, 가동식은 무대에서 아이스쇼를 하는 경우와 같이 신속한 설치 및 철거가 요구될 때 이동하여 조립할 수 있는 바닥구조를 말하고, 고정식은 설치 후 거의 이동을 하지 않은 바닥구조를 말한다.
다시 말해, 고정식 바닥구조는 영구형, 개방형, 모래충진형, 철판형 바닥구조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의 주요사항은 다음과 같다.
상기 영구형바닥은 바닥면을 다목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냉각관을 바닥 콘크리트 속에 매설하고 바닥표면을 깨끗하게 마감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 소비량이 많은 하절기에 타용도의 체육관으로 활용하기 구조로써, 바닥이 고르고 수평이며 집중하중에 강한 이점이 있지만, 얼음의 결빙, 융해의 반복으로 인해 균열이 발생할 우려가 많다.
바닥콘크리트의 수축에 의한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링크의 주변에 줄눈을 설치하고 충진재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개방형 바닥 또는 모래충진형바닥은 냉각관을 바닥며에 노출하고 모래를 충진하는 방식으로 스케이팅 이외에 다른 목적으로는 사용하지 않으며 건설비를 저렴하게 하고자 하거나 비 사용시에 테니스장과 같은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냉각관을 떼어낼 필요가 있는 경우에 사용된다.
이러한 개방형바닥 또는 모래충진형바닥은 설치가 용이하고 설비비가 싸고 냉각관의 철거 및 설치가 간단하지만 빙면의 형성에 시간이 걸리고 수평유지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철판형 바닥은 냉각관을 바닥면 위에 설치하고 그 위에 철판 마감을 하는 방식으로 단시간에 결빙하여야 할 경우, 링크와 수영장을 겸용으로 하고자 할 경우, 한 여름에 옥외 빙상 경기장를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 채용되는 구조이다.
철판 하부에 철판 칸막이, 형강, 강관 등을 설치하고 그 속에 브라인을 순환시켜서 빙면을 형성하여 열전도율이 좋아 동력비 절감이 가능하고 빙질이 깨끗하며 얇게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고정식 바닥구조는 냉각관이 콘크리트속에 매립되므로 보수가 힘들고, 바닥콘리트의 자체 신축에 의한 균열이 발생할 수 있으며, 초기 투자비가 많이 소요된다.
또한, 냉각관이 노출되므로 손상의 우려가 있고, 빙면의 형성에 시간이 걸리며, 빙명의 수평유지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상기와 같은 고정식 바닥구조는 냉동기의 증발기에서 냉매와 열교환된 저온의 브라인을 링크의 바닥에 배관된 철재로 이루어진 냉각관에 보내어 동결하는 간접제빙방식으로 빙판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열교환손실로 인해 시스템 효율이 떨어지고, 브라인펌프의 운전으로 동력비가 크고. 동결시간이 긴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동식 빙상 경기장는 고정식 바닥구조에 비하여 설치 및 철거가 용이한 장점은 있지만, 열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보온층의 적층구조 또한 복잡하고 철거시 여러층의 보온재의 재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가동식 빙상 경기장의 보온층은 단열, 방수, 평탄화 기능을 갖도록 모래, 아스팔트 및 목재 등을 복수 적층하여 적용하기 때문에 철거시 재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동식 바닥구조에 적용되는 플라스틱 냉각관은 일반적으로 보일러 배관식으로 설치하기 때문에 플라스틱 냉각관을 순환방식으로 설치하는 단계가 다소 복잡하고, 플라스틱 냉각관의 재질의 특성상 강도에 취약하고 순환방식을 이루는 이음 연결부분의 연결 상태가 확실하지 않을 경우 브라인의 누수를 발생시킬 수 있어 빙상 경기장의 유지 관리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35795호.(2012.04.16)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132368호.(2009.12.30)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냉각수단을 통하여 빙면을 이룰 수 있는 동결온도를 제공하도록 하여 LED모듈이 내장된 빙상 경기장을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동계 스포츠 공연 연출을 하기 위한 빙상 경기장 빙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탄성을 갖는 매트의 형상을 갖으며 순환식 냉각공을 형성시킨 냉각매트를 통하여 빙면을 이룰 수 있는 동결온도를 제공하도록 하여 빙상 경기장를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철거가 용이한 빙상 경기장용 빙판 결빙 시스템과 시공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빙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 강관 및 플라스틱 냉각관을 통하여 보일러 순환 방식으로 설치하는 방법이 아닌 매트의 형상을 갖는 냉각매트를 빙상 경기장의 설치공간에 연접되게 깔고 상기 냉각매트의 선측과 끝측을 부분 절개하여 상호 연결시켜 브라인의 순환을 위한 냉각공의 연결방법을 손쉽게 이룰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열효과 및 평면화 보온재의 역할을 꾀하도록 하는 동시에 브라인의 순환방식을 동시에 취할 수 있도록 하는 빙상 경기장용 빙판 결빙 시스템과 시공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빙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체 탄성을 갖는 냉각매트를 귄취시킬 수 있도록 하여 휴대성 및 재활용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빙상 경기장의 설치 또는 철거에 대한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빙상 경기장용 빙판 결빙 시스템과 시공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빙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온재와 고무매트층을 더 포함하여 적층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빙면 하부의 열소실을 더욱 감소시키고 빙면의 평면화을 보다 정밀하게 꾀하며 외부의 충격력을 감쇠시킬 수 있도록 하는 빙상 경기장용 빙판 결빙 시스템과 시공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빙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냉각매트 및 냉각장치의 설치 후 온수를 분사하여 얇은 두께의 빙판을 갖도록 하는 방법을 반복하여 강도, 투명도를 만족하는 빙판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빙상 경기장용 빙판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더불어, 본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빙상경기장의 빙판을 구역별로 제빙시키거나 구획된 빙판구역의 빙질을 동일하게 유지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빙상 경기장의 설치를 위한 냉각시스템은 빙상 경기장용 빙판 결빙 시스템에 있어서, 냉각기와, 상기 냉각기에 연결되어 냉각된 브라인을 주입 및 배출하여 브라인을 순환시키는 주입파이프 및 배출파이프와, 상기 빙상 경기장의 바닥면에 안치되는 냉각수단은 주입파이프와 배출파이프에 교번적으로 연결시키고 끝측은 상호 연통되게 연결하여 브라인을 순환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냉각수단은, 상기 빙상 경기장의 바닥면에 상호 연접되게 안치되는 매트 형상의 냉각매트로 브라인이 순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냉각매트는, 바닥면이 평탄하고 자체 탄성을 갖으며 자유 굴곡이 가능한 매트의 상부면에 일체로 반호 형상의 냉각돌기를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 돌출되게 형성시키고 상기 복수개의 냉각돌기를 순차적으로 이격시킨 다음 냉각돌기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냉각공을 관통되게 형성하여 주입파이프 및 배출파이프와 연결되게 설치시 복수개로 배치된 냉각돌기의 사이 공간 매트의 선측과 끝측 단부를 부분 절개시킨 다음 냉각돌기가 독립적으로 자유 절곡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냉각매트는, 주입파이프와 배출파이프의 외주연에 복수개로 분기시킨 노즐과 냉각매트의 선측에 위치한 냉각공을 교번적 연결하고, 냉각공으로 브라인이 공급되는 냉각돌기와 연접된 측방에 위치한 냉각돌기의 끝측을 마주보게 만곡시킨 다음 연결밸브로 상호 냉각공이 연통되도록 하여 주입파이프를 통하여 주입된 브라인이 배출파이프로 배출되어 순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냉각수단은, 중공의 관로가 복수로 절곡되어 일측은 주입파이프로 연결되고 타측은 배출파이프로 연결되어 브라인이 순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냉각기와 주입파이프 및 배출파이프는 연결라인으로 상호 연결하고 상기 연결라인에는 펌프를 각각 설치하여 주입파이프를 통하여 냉각수단으로 브라인을 압송 공급함으로써 냉각수단이 빙면을 이룰 수 있는 동결 온도를 갖도록 하고, 브라인이 연접된 냉각공을 통하여 배출파이프로 배출되면 연결라인을 통하여 냉각기 사이에 설치된 예비탱크로 동결온도가 떨어진 브라인을 임시로 집수시킬 수 있도록 한 다음 펌프를 통하여 다시 냉각기로 집수된 브라인을 공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브라인은 물과 부동액을 60 : 40 비율로 혼합 냉각기를 통하여 브라인을 -10℃ 내지 -13℃의 동결 온도로 냉각매트로 주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빙상 경기장용 빙판에 있어서, 상기 빙상 경기장의 바닥면에 상호 연접되게 안치되는 냉각수단과, 상기 냉각수단층의 표면에 온수를 분사시켜 하나 이상의 층으로 동결시킨 빙면층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빙면층은, 상기 냉각수단의 표면에 온수를 분사시켜 동결시킨 1차빙면층과, 상기 1차빙면층의 표면에 온수를 분사시켜 동결시킨 2차빙면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1차빙면층과 2차빙면층 사이에 복수개로 설치되는 LED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2차빙면층 상부면에는 LED모듈에서 조사되는 빛의 분산을 방지하기 위해 도포한 산란방지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산란방지층 표면에 온수를 분사시켜 동결시킨 3차빙면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빙판층은 0.4mm 내지 0.6mm두께의 층을 반복적으로 동결시켜 140mm 내지 160mm 두께를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온수는 60℃ 내지 8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3차빙면의 표면은 -2℃ 내지 -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냉각수단은, 상기 빙상 경기장의 바닥면에 상호 연접되게 안치되는 매트 형상의 냉각매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냉각매트는, 바닥면이 평탄하고 자체 탄성을 갖으며 자유 굴곡이 가능한 매트의 상부면에 일체로 반호 형상의 냉각돌기를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 돌출되게 형성시키고 상기 복수개의 냉각돌기를 순차적으로 이격시킨 다음 냉각돌기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냉각공을 관통되게 형성하여 주입파이프 및 배출파이프와 연결되게 설치시 복수개로 배치된 냉각돌기의 사이 공간 매트의 선측과 끝측 단부를 부분 절개시킨 다음 냉각돌기가 독립적으로 자유 절곡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냉각매트는, 주입파이프와 배출파이프의 외주연에 복수개로 분기시킨 노즐과 냉각매트의 선측에 위치한 냉각공을 교번적 연결하고, 냉각공으로 브라인이 공급되는 냉각돌기와 연접된 측방에 위치한 냉각돌기의 끝측을 마주보게 만곡시킨 다음 연결밸브로 상호 냉각공이 연통되도록 하여 주입파이프를 통하여 주입된 브라인이 배출파이프로 배출되어 순환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냉각수단은, 중공의 관로가 복수로 절곡되어 일측은 주입파이프로 연결되고 타측은 배출파이프로 연결되어 브라인이 순환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빙상 경기장 설치 방법에 있어서, 빙상 경기장가 설치될 시공공간을 외부 공간과 구획시킬 수 있도록 빙상 경기장의 설치 규모에 맞추어 바닥면에 세 개 이상의 선분으로 둘러싸인 평면 도형으로 격벽을 설치하는 공간구획 단계와, 빙상 경기장의 바닥면의 평탄화 작업 이후 경질의 염화비닐을 씌우는 기초지반 단계와, 상기 빙상 경기장의 격벽 외부에 주입파이프와 배출파이프를 배치시킨 다음 브라인을 동결 온도로 떨어뜨리는 냉각기와 연결라인으로 연결 설치하는 냉각준비단계와, 상기 염화비닐이 씌워진 빙상 경기장 공간 바닥에 냉각수단을 깔아두는 냉각수단 설치단계와, 상기 냉각수단의 일측을 상기 주입파이프의 노즐과 연결하여 브라인이 주입되도록 하고, 상기 냉각수단의 타측을 배출파이프의 노즐에 연결하여 브라인이 냉각수단에서 순환되어 배출파이프로 배출되도록 하는 냉각수단 연결단계와, 상기 냉각기의 가동과 더불어 펌프를 통하여 브라인을 압송시켜 냉각수단에 브라인을 순환시킬 수 있도록 하는 냉각 가동단계와, 상기 냉각수단이 빙면 형성을 위한 동결 온도로 셋팅되면 냉각수단 표면에 온수를 분사시켜 빙면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빙면층 형성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냉각수단 설치단계는, 상기 염화비닐이 씌워진 빙상 경기장 공간 바닥에 복수개의 냉각공을 종방향으로 형성시킨 매트 형상의 냉각매트를 상호 연접되게 깔아두는 냉각매트 설치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냉각수단 연결단계는, 복수개의 냉각공을 종방향으로 형성시킨 매트 형상의 냉각매트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복수개로 연접된 냉각돌기 사이의 선측과 끝측을 부분 절개시켜 냉각공을 갖는 냉각돌기의 선측과 끝측이 독립적으로 자유 절곡 되도록 한 다음 냉각매트 선측에 위치한 냉각공을 교번적 순서로 주입파이프의 노즐과 연결하여 브라인이 주입되도록 하고, 상기 브라인이 주입되는 냉각공의 끝측은 연접된 냉각돌기의 끝측 냉각공과 연결밸브로 교번적 순서로 연통되게 연결시키며 배출파이프의 노즐에 상기 연접된 냉각돌기의 냉각공 선측을 연결하여 브라인이 냉각매트에서 순환되어 배출파이프로 배출되도록 하는 냉각 매트 연결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냉각 가동단계 이후 상기 냉각수단이 빙면 형성을 위한 동결 온도로 셋팅되면 온수를 분사시켜 빙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1차빙면층 형성단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1차빙면층 형성단계 이후 상기 1차빙면층 상부에 복수개의 LED모듈을 설치하는 LED모듈 설치단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LED모듈 설치단계 이후 1차빙면층과 LED모듈 표면에 온수를 분사시켜 빙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2차빙면층 형성단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2차빙면층 형성단계 이후 상기 2차빙면층 표면에 LED모듈에서 조사되는 빛의 분산을 방지하는 페인트를 도포하는 산란방지층 도포단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산란방지층 도포단계 이후 상기 산란방지층 표면에 온수를 분사시켜 3차빙면층이 이루어져 평면의 빙면을 이루도록 하는 빙면 완성 단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기초지반 단계를 통하여 염화비닐을 씌우기 전 빙상 경기장의 시공 공간 바닥면 체적내에 독립 기포수가 작고 치밀한 복수개의 보온재를 연접 배치하여 빙면 하부의 열손실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보온재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고무매트를 적층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빙면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감쇠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빙상 경기장용 빙판 결빙 시스템과 시공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빙판은 냉각수단을 통하여 빙면을 이룰 수 있는 동결온도를 제공하도록 하여 LED모듈이 내장된 빙상 경기장을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동계 스포츠 공연 연출을 하기 위한 빙상 경기장 빙판을 제공하도록, 빙상 경기장의 바닥면에 상호 연접되게 안치되는 냉각수단과, 상기 냉각수단층의 표면에 온수를 분사시켜 하나 이상의 층으로 동결시킨 빙면층과, 상기 빙면층 사이에 복수개로 설치되는 LED모듈을 더 포함하여, 빙판 상층 및 하층의 창의적인 공연 예술 연출로 몰입도 높은 관객 호응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빙상 경기장용 빙판 결빙 시스템과 시공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빙판은 탄성을 갖는 매트의 형상을 갖으며 순환식 냉각공을 형성시킨 냉각매트를 통하여 빙면을 이룰 수 있는 동결온도를 제공하도록 하여 빙상 경기장의 설치 및 철거를 보다 신속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빙상 경기장용 빙판 결빙 시스템과 시공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빙판은 기존 강관 및 플라스틱 냉각관을 통하여 보일러 순환 방식으로 설치하는 방법이 아닌 매트의 형상을 갖는 냉각매트를 빙상 경기장의 설치공간에 연접되게 깔고 상기 냉각매트의 선측과 끝측을 부분 절개하여 상호 연결시켜 브라인의 순환을 위한 냉각공의 연결방법을 손쉽게 이룰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열효과, 빙면의 평면화 작업을 동시에 이룰 수 있도록 하여 빙상 경기장 설치 시스템의 간소화를 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빙상 경기장용 빙판 결빙 시스템과 시공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빙판은 자체 탄성을 갖는 냉각매트를 귄취 가능하도록 하여 냉각매트의 휴대성을 향상시키고 및 재활용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빙상 경기장의 설치 또는 철거에 대한 효율성을 향상시켜 빙상 경기장의 설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빙상 경기장용 빙판 결빙 시스템과 시공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빙판은 보온재와 고무매트층을 더 포함하여 적층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빙면 하부의 연소실을 더욱 감소시키고, 빙면의 평면화을 보다 정밀하게 꾀하며, 외부의 충격력을 감쇠시킬 수 있도록 하여 양질의 빙면을 제공하면서 빙면의 외부적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빙상 경기장용 빙판 결빙 시스템과 시공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빙판은 냉각수단 및 냉각장치의 설치 후 온수를 분사하여 얇은 두께의 빙판을 갖도록 하는 방법을 반복하여 강도, 투명도를 만족하는 빙판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빙상 경기장용 빙판의 냉각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빙상 경기장용 빙판 결빙 시스템과 시공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빙판은 냉각기를 통해 저온의 브라인을 구역별로 설치된 냉각수단으로 순환시켜 공급되는 물을 결빙시켜 빙판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빙판은 냉각수단을 통해 각각의 냉각수단에 의해 빙판구역을 갖도록 이루어지도록 하여 빙상경기장의 빙판을 구역별로 제빙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빙상 경기장 설치단계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빙상 경기장 설치단계를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빙상 경기장 다른 실시예의 설치단계를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빙상 경기장 다른 실시예의 설치단계를 나타낸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빙상 경기장용 빙판의 냉각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빙상 경기장용 빙판의 냉각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빙상 경기장 냉각시스템의 냉각매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빙상 경기장 냉각시스템의 냉각매트를 나타낸 단면도.
도 9은 본 발명의 빙상 경기장 빙면층을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빙상 경기장용 빙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빙상 경기장용 빙판의 냉각 장치를 통해 제조되는 빙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빙상 경기장용 빙판의 냉각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의 빙상 경기장용 빙판의 빙판구역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빙상 경기장 설치단계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빙상 경기장 설치단계를 나타낸 블럭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빙상 경기장 다른 실시예의 설치단계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빙상 경기장 다른 실시예의 설치단계를 나타낸 블럭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빙상 경기장용 빙판의 냉각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빙상 경기장용 빙판의 냉각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빙상 경기장 냉각시스템의 냉각매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빙상 경기장 냉각시스템의 냉각매트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9은 본 발명의 빙상 경기장 빙면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빙상 경기장용 빙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빙상 경기장용 빙판의 냉각 장치를 통해 제조되는 빙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빙상 경기장용 빙판의 냉각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빙상 경기장용 빙판의 빙판구역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빙상 경기장의 설치를 위한 냉각시스템은 다음과 같다.
냉각기 110와, 상기 냉각기 110에 연결되어 냉각된 브라인을 주입 및 배출하여 브라인을 순환시키는 주입파이프 120 및 배출파이프 130와, 상기 냉각기 110와 주입파이프 120 및 배출파이프 130를 연결하여 브라인을 압송시키는 연결라인 150 및 펌프 170와, 상기 빙상 경기장의 바닥면에 안치되는 냉각수단 140은 주입파이프와 배출파이프에 교번적으로 연결시키고 끝측은 상호 연통되게 연결하여 브라인을 순환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냉각수단 140은 매트 형상의 냉각매트와 중공의 관로가 복수로 절곡되어 연결된다.
특히, 상기 주입파이프 120 및 배출파이프 130에 연결되고 빙상 경기장의 시공 공간에 연접되게 깔아 외부에서 제공되는 브라인을 빙면을 이루는 동결 온도로 순환시키는 냉각매트 140로 구성한다.
상기 주입파이프 120 및 배출파이프 130는 빙상 경기장이 설치될 시공 공간에 배치되고, 외주연에 복수개로 노즐 125을 각각 설치하여 연결라인 150으로 압송되는 브라인이 주입파이프 120의 내부로 제공되면 분기된 노즐 125로 각각 브라인을 공급하도록 하고, 냉각매트 141에서 순환된 브라인은 배출파이프 13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여기서, 배출파이프 130로 거쳐 배출된 동결온도가 떨어진 브라인은 연결라인 150을 통하여 예비탱크 160로 집수된다.
상기 냉각수단 140은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로 구분된다.
먼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의 냉각수단 140은 중공의 관로 146가 복수로 절곡되어 일측은 주입파이프 120로 연결되고 타측은 배출파이프 130로 연결되어 브라인이 순환되도록 한다.
상기 관로 146는 빙상 경기장이 설치될 공간 바닥에 지그재그 방식으로 절곡되어 브라인의 냉각온도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로 146로 전달시키도록 한다.
또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의 냉각수단 140은 비상경기장의 바닥면에 상호 연접되게 안치되는 매트 형상의 냉각매트 141로 이루어진다.
상기 냉각매트 14는 바닥면이 평탄하고 자체 탄성을 갖으며 자유 굴곡이 가능한 매트의 상부면에 일체로 반호 형상의 냉각돌기 142를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 돌출되게 형성시키고 상기 복수개의 냉각돌기 142를 순차적으로 이격되도록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냉각돌기 142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냉각공 143을 관통되게 형성하여 상기 냉각공 143의 일측을 주입파이프 120와 배출파이프 130에 교번적으로 연결시키고, 상기 냉각공 143의 끝측은 상호 연통되게 연결한다.
그리고, 냉각매트 140는 세로와 가로의 길이가 다른 직사각형의 매트 141 형상으로 자체 탄성을 갖으며, 바닥면이 평탄한 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또한, 냉각매트 140의 상부면에는 일체로 반호 형상의 냉각돌기 142를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 돌출되게 형성시키고, 상기 복수개의 냉각돌기 142를 순차적으로 일정간격을 이루도록 이격시킨다.
아울러,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냉각돌기 142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냉각공 143을 관통되게 형성하여 주입파이프 120 및 배출파이프 130와 연결되게 설치시 복수개로 배치된 냉각돌기 142의 사이 공간 매트 141의 선측과 끝측 단부를 부분 절개시켜 냉각돌기 142가 독립적으로 자유절곡 된다.
이를 통해, 주입파이프 120의 노즐 125과 냉각매트 140의 선측에 위치한 냉각공 143을 교번적 연결을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냉각공 143으로 브라인이 공급되는 냉각돌기 142와 연접된 냉각돌기 142의 끝측을 마주보게 만곡시킨 다음 연결밸브 145로 상호 냉각공 143이 연통되도록 하여 주입파이프 120를 통하여 주입된 브라인이 배출파이프 130로 배출하여 순환된다.
다시 말해, 냉각매트 140는 상기 빙상 경기장의 바닥면에 상호 연접되게 안치되어 주입파이프 120와 배출파이프 130에 복수개로 형성된 냉각공 143의 선측과 끝측을 상호 교번적으로 연결하여 브라인을 순환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냉각매트 141를 통한 브라인의 순환은 자유 굴곡이 가능하고 바닥면이 평탄한 매트 141의 상면에 일체로 복수개의 냉각공 143을 횡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격시켜 주입파이프 120의 외주연에 복수개로 분기시킨 노즐 125과 냉각매트 140의 선측에 위치한 냉각공 143을 교번적으로 연결한다.
또한, 상기 브라인이 주입되는 냉각공 143의 끝측은 측방에 위치한 다른 냉각공 143 의 끝측과 연통되게 연결한 다음 연결된 냉각공 143의 선측을 배출파이프 130와 연결되도록 하여 냉각매트 140에서 브라인이 순환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냉각기 110와 주입파이프 120 및 배출파이프 130는 연결라인 150으로 상호 연결하고 상기 연결라인 150에는 펌프 170를 각각 설치하여 주입파이프 120를 통하여 냉각수단 140로 브라인을 압송 공급함으로써, 냉각수단 140에 공급한 물을 제빙시키기 위한 동결 온도를 갖도록 한다.
그리고, 브라인이 연접된 냉각공 143을 통하여 배출파이프 130로 배출되면 연결라인 150을 통하여 냉각기 110 사이에 설치된 예비탱크 160로 동결온도가 떨어진 브라인을 임시로 집수시킬 수 있도록 한 다음 펌프 170를 통하여 다시 냉각기 110로 집수된 브라인을 공급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빙상 경기장의 냉각시스템을 이용한 빙면은 다음과 같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빙상 경기장의 바닥면에 상호 연접되게 안치되는 냉각수단 140과, 상기 냉각수단층의 표면에 온수를 분사시켜 하나 이상의 층으로 동결시킨 빙면층 300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빙면층 300은 상기 냉각수단의 표면에 온수를 분사시켜 동결시킨 1차빙면층 310과 상기 1차빙면층 310의 표면에 온수를 분사시켜 동결시킨 2차빙면층 33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1차빙면층 310과 2차빙면층 330 사이에 복수개로 설치되는 LED모듈 320을 더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2차빙면층 330 상부면에는 LED모듈 320에서 조사되는 빛의 분산을 방지하기 위해 도포한 산란방지층 340을 더 포함한다.
더불어, 상기 산란방지층 340 표면에 온수를 분사시켜 동결시킨 3차빙면층 350을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빙판층 300은 0.4mm 내지 0.6mm두께의 층을 반복적으로 동결시켜 140mm 내지 160mm 두께를 갖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온수는 60℃ 내지 80℃이다.
특히, 상기 3차빙면 350의 표면은 -2℃ 내지 -3℃로 유지된다.
결국, 본 발명의 빙상 경기장용 빙판 결빙 시스템과 시공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빙판은 냉각수단을 통하여 빙면을 이룰 수 있는 동결온도를 제공하도록 하여 LED모듈이 내장된 빙상 경기장을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동계 스포츠 공연 연출을 위한 빙상 경기장 빙판을 제공하도록, 빙상 경기장의 바닥면에 상호 연접되게 안치되는 냉각수단 140과, 상기 냉각수단의 표면에 온수를 분사시켜 하나 이상의 층으로 동결시킨 빙면층 300과, 상기 빙면층 300 사이에 복수개로 설치되는 LED모듈 320을 더 포함하여, 빙판 상층 및 하층의 창의적인 공연 예술 연출로 몰입도 높은 관객 호응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빙상 경기장의 냉각시스템을 이용한 설치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간 구획단계를 통하여 빙상 경기장가 설치될 시공공간을 외부 공간과 구획시킬 수 있도록 하되, 빙상 경기장의 설치 규모에 맞추어 바닥면에 세 개 이상의 선분으로 둘러싸인 평면 도형으로 격벽 230을 설치한다. S10
상기 공간 구획단계는 아이스하키용 링크, 컬링 curling 경기용 링크, 스피드스케이팅용 링크, 대중용 링크 등으로 시공될 빙상 경기장의 용도에 따라 그 크기가 결정되어지며, 통상적으로 각각의 격벽 230을 장방형 형상으로 각 격벽 230의 끝단이 상호 연결되도록 한다.
이후, 빙상 경기장의 바닥면을 평탄화시켜 차후 시공될 빙면의 평탄화를 꾀할 수 있도록 한 다음 시공공간에 경질의 염화비닐 210을 씌워 방수 기능을 갖도록 하는 기초지반 단계를 거친다. S20
여기서,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초지반 단계를 통하여 염화비닐 210을 씌우기 전 빙상 경기장의 시공 공간 바닥면 체적내에 독립 기포수가 작고 치밀한 복수개의 보온재 220를 연접 배치하여 빙면 하부의 열손실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상기 보온재 220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고무매트 240를 적층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도록 하여 빙면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감쇠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행할 수 있다. S11,S13
여기서, 염화비닐 210, 보온재 220, 고무매트 240, 냉각수단 140는 방수효과, 보온효과, 빙면의 평면화 효과 및 충격력 흡수 효과를 갖는다.
다음으로 상기 염화비닐 210이 씌워진 빙상 경기장 공간 바닥에 냉각수단 140을 깔아두는 냉각수단 설치단계를 행한다. S40
이때, 빙상 경기장의 격벽 230 외부에 주입파이프 120와 배출파이프 130를 배치시킨 다음 브라인을 동결 온도로 떨어뜨리는 냉각기 110와 연결라인 150으로 연결 설치하는 냉각준비단계 S30를 행한 후 선택적으로 적층된 염화비닐 210, 보온재 220 또는 고무매트 240이 적층된 상부면에 복수개의 냉각공 143을 종방향으로 형성시킨 매트 141 형상의 냉각수단 140을 상호 연접되게 깔아두는 냉각수단 140 설치단계로 대체할 수 있다. S45
또한, 냉각매트 140에 길이방향으로 형성시킨 복수개로 연접된 냉각돌기 142 사이의 선측과 끝측을 부분 절개시켜 냉각공 143을 갖는 냉각돌기 142의 선측과 끝측이 독립적으로 자유 절곡 되도록 한 다음 냉각매트 140 선측에 위치한 냉각공 143을 교번적 순서로 주입파이프 120와 배출파이프 130의 노즐 125과 연결하여 주입파이프 120에 연결된 냉각공 143으로 브라인이 주입되도록 하고, 상기 브라인이 주입되는 냉각공 143의 끝측은 연접된 냉각돌기 142의 끝측 냉각공 143과 연결밸브 145로 교번적 순서로 연통되게 연결시키는 냉각매트 연결단계를 거쳐 주입파이프 120를 통하여 주입되는 브라인이 냉각매트 140를 순환하여 배출파이프 130로 배출되도록 하는 순환기능을 갖도록 한다. S55
이후, 냉각기 110와 펌프 170를 가동시켜 브라인을 압송시킴으로서 냉각매트 140에 동결온도를 갖는 브라인을 순환시킬 수 있도록 하는 냉각 가동단계를 거친다. S60
여기서, 상기 브라인은 물과 부동액을 60 : 40 비율로 섞어 냉각기를 통하여 브라인을 -10℃ 내지 -13℃의 동결 온도로 냉각수단 140으로 주입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브라인의 공급을 통하여 상기 냉각수단 140을 빙면 형성을 위한 동결 온도로 셋팅한다.
이후, 냉각수단 140 표면에 60℃ 내지 80℃의 온도를 갖는 온수를 분사하여 물을 동결시켜 빙면층 300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빙면층 형성단계로 이루어진다. S70
상기와 같은 온수 분사 및 동결 단계를 복수회 반복적으로 행하여 하나 이상의 빙판층으로 형성하여 결빙 강도를 안정화시키고 투명도가 높고 빛의 산란도가 낮은 빙질을 갖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물의 온도는 빙질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는 결빙 시간, 물의 용존산소량, 불순물 함유량이 빙면의 거칠기와 얼음의 조밀도에 영향을 준다.
물의 온도가 낮은 경우에는 얼음의 조밀도가 떨어지고 빙면이 거칠어지게 되는 반면 결빙시간에는 큰 차이가 없다.
온도를 갖는 물을 통해 얼음을 얼리는 과정은 음펨바 효과를 통해 입증된다.
즉, 음펨바 효과(Mpemba effect)는 특정한 상황에서 고온의 물이 저온의 물보다 더 빨리 어는 현상 또는 그 효과를 말한다.
상기 음펨바 효과의 원리는 물분자 H2O는 산소원자와 수소원자 사이에 수소 결합이 발생한다. 상기 수소결합이 물 분자의 에너지 축과 방출에도 관여한다.
물을 끓이면 물 분자 사이 간격이 벌어지면서 수소결합도 더 길어지게 된다.
이때, 뜨거운 물을 냉각하면 공유 결합 길이가 다시 줄어들며 축적했던 에너지를 방출한다.
결국, 뜨거운 물은 축적된 에너지 양이 많아지면서 더 빠른 속도로 에너지를 방출한다.
물이 에너지를 방출하는 과정과 방출 비율은 물이 지닌 최초 온도에 따른 분자 간격인 에너지 상태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뜨거운 물이 더 빨리 얼게 되는 원리이다.
상기와 같은 온수 분사 및 동결 단계를 통해 얇은 두께의 빙판을 복수회 적층되도록 반복하여 결빙 강도를 안정화시키고 투명도가 높고 빛의 산란도가 낮은 빙질을 갖도록 한다.
한편, 도 3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냉각 가동단계 이후 상기 냉각수단 140이 빙면 형성을 위한 동결 온도로 셋팅되면 온수를 분사시켜 빙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1차빙면층 형성단계를 더 포함한다. S75
나아가, 상기 1차빙면층 형성단계 이후 상기 1차빙면층 310 상부에 복수개의 LED모듈 320을 설치하는 LED모듈 설치단계를 더 포함한다. S80
또한, 상기 LED모듈 설치단계 이후 1차빙면층 310과 LED모듈 320 표면에 온수를 분사시켜 빙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2차빙면층 형성단계를 더 포함한다. S90
더불어, 상기 2차빙면층 형성단계 이후 상기 2차빙면층 330 표면에 LED모듈 320에서 조사되는 빛의 분산을 방지하는 페인트를 도포하는 산란방지층 도포단계를 더 포함한다. S100
덧붙어, 상기 산란방지층 도포단계 이후 상기 산란방지층 340 표면에 온수를 분사시켜 3차빙면층 350이 이루어져 평면의 빙면을 이루도록 하는 빙면 완성 단계를 더 포함한다. S110
도 10 및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의 빙판의 제조단계를 거쳐 완성되는 빙상 경기장용 빙판은 제어부 300를 통해 상기 냉각수단 140을 통해 빙판이 만들어질 공간을 구분한 각 빙판구역 1210의 빙판 온도를 센싱하여 적정 빙판의 온도를 유지시키기 위해 각 냉각수단 140에 브라인의 유량 또는 브라인의 냉각온도를 차별하여 공급한다.
도 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빙판구역 1210은 병렬로 연접된 하나 이상의 빙판구역 1210으로 이루어져 각 냉각수단 140에 상기 주입파이프 1230 및 배출파이프 1240를 통해 브라인을 순환시켜 각 빙판구역 2100 별로 냉각 온도를 갖는다.
여기서, 냉각수단 140은 중공의 관로가 복수로 절곡되어 일측은 주입파이프120로 연결되고 타측은 배출파이프 1240로 연결되어 브라인이 순환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설명될 빙판구역 1210은 제1구역 1210a, 제2구역 1210b, 제3구역 1210c 및 제4구역 1210d이 상호 연접되게 냉각수단 140이 설치되어 주입파이프 1230와 배출파이프 1240를 통해 각기 냉각수단 140으로 브라인을 다른 온도 및 공급량을 결정할 수 있다.
도 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의 빙판구역 1210은 외부트랙 1101과 내부트랙 1103으로 구분되고, 상기 외부트랙 1101은 이등분하여 일측 외부트랙 1101에 제1빙판구역 1210a과 제2빙판구역 1210b을 설치하고 타측 외부트랙 1101에 제3빙판구역 1210c과 제4빙판구역 1210d을 설치하며, 상기 내부트랙 1103을 이등분하고 일측 내부트랙 1103에 제5빙판구역 1210e과 제6빙판구역 1210f을 설치하고 타측 내부트랙 1103에 제7빙판구역 1210g과 제8빙판구역 1210h을 설치하여 상기 제1빙판구역 1210a, 제2빙판구역 1210b, 제3빙판구역 1210c, 제4빙판구역 1210d, 제5빙판구역 1210e, 제6빙판구역 1210f, 제7빙판구역 1210g 및 제8빙판구역 1210h의 냉각수단 140이 외부트랙 1101의 둘레에 설치한 주입파이프 1230 및 배출파이프 1240에 연결된다.
상기 빙상 경기장용 빙판구역 1210은 외부트랙 1101과 내부트랙 1103으로 구획된다.
이러한, 빙판구역 1210은 제1빙판구역 1210a 내지 제8빙판구역 1210h으로 나누어져 있다.
즉, 외부트랙 1101을 이등분하고 일측 외부트랙 1101에 제1빙판구역 1210a과 제2빙판구역 1210b을 배관하고 타측 외부트랙 1101에 제3빙판구역 1210c과 제4빙판구역 1210d을 배관한다.
더불어, 내부트랙 1103을 이등분하고 일측 내부트랙 1103에 제5빙판구역 1210e과 제6빙판구역 1210f을 배관하고 타측 내부트랙 1103에 제7빙판구역 1210g과 제8빙판구역 1210h을 배관한다.
아울러, 빙판구역 1210의 외측에는 관로 146 끝단이 각각 연결되어 냉각기 1210를 통해 냉각된 브라인을 빙판구역 1210으로 순환시키는 주입파이프 1230 및 배출파이프 1240를 복수개 배치하여 빙판구역 1210에 선택적으로 빙판이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도 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빙판구역 1210은 분기관 1250에 냉각매트 1213가 연결될 수도 있다.
즉, 냉각매트 1213는 세로와 가로의 길이가 다른 직사각형의 매트 형상으로 자체 탄성을 갖으며, 바닥면이 평탄한 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또한, 냉각매트 1213의 상부면에는 일체로 반호 형상의 냉각돌기 1217를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 돌출되게 형성시키고, 상기 복수개의 냉각돌기 1217를 순차적으로 일정간격을 이루도록 이격시킨다.
아울러, 냉각돌기 1217의 내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냉각공(미도시)을 관통되게 형성하여 주입파이프 1230 및 배출파이프 240와 연결되게 설치시 복수개로 배치된 냉각돌기 1217의 사이 공간 매트의 선측과 끝측 단부를 부분 절개시켜 냉각돌기 1217가 독립적으로 자유절곡 되도록 한다.
또한, 주입파이프 1230의 노즐 1215과 냉각매트 1213의 선측에 위치한 냉각공을 교번적 연결을 가능하도록 하고, 냉각공으로 브라인이 공급되는 냉각돌기 1217와 연접된 냉각돌기 1217의 끝측을 마주보게 만곡시킨 다음 연결밸브 1219로 상호 냉각공이 연통되도록 하여 주입파이프 1230를 통하여 주입된 브라인이 배출파이프 1240로 배출하여 순환되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 냉각매트 1213는 상기 빙상 경기장의 바닥면에 상호 연접되게 안치되어 주입파이프 1230와 배출파이프 1240에 복수개로 형성된 냉각공의 선측과 끝측을 상호 교번적으로 연결하여 브라인을 순환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냉각매트 1213를 통한 브라인의 순환은 자유 굴곡이 가능하고 바닥면이 평탄한 매트의 상면에 일체로 복수개의 냉각공을 횡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격시켜 주입파이프 1230의 외주연에 복수개로 분기시킨 노즐 1215과 냉각매트 1213의 선측에 위치한 냉각공을 교번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브라인이 주입되는 냉각공의 끝측은 측방에 위치한 다른 냉각공의 끝측과 연통되게 연결한 다음 연결된 냉각공의 선측을 배출파이프 1240와 연결되도록 하여 냉각매트 1213에서 브라인이 순환되도록 한다.
나아가, 냉각기 1220와 주입파이프 1230 및 배출파이프 1240는 연결라인 1260으로 상호 연결하고 상기 연결라인 1260에는 펌프 1270를 각각 설치하여 주입파이프 1230를 통하여 냉각매트 1213로 브라인을 압송 공급한다.
이를 통해, 냉각매트 1213가 빙면을 이룰 수 있는 동결 온도를 갖도록 하고, 브라인이 연접된 냉각공을 통하여 배출파이프 1240로 배출되면 연결라인 1260을 통하여 냉각기 1220 사이에 설치된 예비탱크 1280로 동결온도가 떨어진 브라인을 임시로 집수시킬 수 있도록 한 다음 펌프 1270를 통하여 다시 냉각기 1220로 집수된 브라인을 공급하도록 한다.
결국,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로 구획된 빙판구역 1210을 묶음 조합하여 동계 및 하계스포츠를 겸용으로 운용할 수 있다.
(a)는 빙판구역 1210의 전체이고, (b)는 외부트랙 1101인 제1빙판구역 1210a 내지 제4빙판구역 1210d이며, (c)는 내부트랙 1103인 제5빙판구역 1210e 내지 제8빙판구역 1210h로써, 외부트랙 1101 또는 내부트랙 1103 또는 빙상 경기장 전체를 선택적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d)는 제2,3,6,7빙판구역 1210b,c,f,g이고, (e)는 제1,4,5,8빙판구역 1210a,d,e,h로써, 빙상경기장을 횡방향으로 절반의 면적으로 구분할 수 있다.
아울러, (f)는 제1,2,5,6빙판구역 1210a,b,e,f이고, (g)는 제3,4,7,8빙판구역 1210c,d,g,h로써, 빙상 경기장을 종방향으로 절반의 면적으로 구분할 수 있다.
더불어, (h)는 제1,2,3,5,6,7빙판구역 1210a,b,c,e,f,g이고, (i)는 제1,3,4,5,7,8빙판구역 1210a,c,d,e,g,h로써, 빙상 경기장의 모서리 일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빙판구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결국, 빙상 경기용 빙판은 복수로 구획되어 관리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상기 빙판구역 1210의 전체 또는 선택적으로 빙판구역을 구분하여 형성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구역별로 빙판을 운용할 수 있어서 빙상 경기장의 빙질을 항상 균일한 빙질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빙상 경기장 냉각장치
110 : 냉각기 120 : 주입파이프
125 : 노즐 130 : 배출파이프
140 : 냉각수단 141 : 매트
142 : 냉각돌기 143 : 냉각공
145 : 연결밸브 150 : 연결라인
160 : 예비탱크 170 : 펌프
210 : 염화비닐 220 : 보온재
230 : 격벽 240 : 고무매트
300 : 빙면층 310 : 1차빙면층
320 : LED모듈 330 : 2차빙면층
340 : 산란방지층 350 : 3차빙면층

Claims (29)

  1. 빙상 경기장용 빙판 결빙 시스템에 있어서,
    냉각기와,
    상기 냉각기에 연결되어 냉각된 브라인을 주입 및 배출하여 브라인을 순환시키는 주입파이프 및 배출파이프와,
    상기 빙상 경기장의 바닥면에 안치되는 냉각수단은 주입파이프와 배출파이프에 교번적으로 연결시키고 끝측은 상호 연통되게 연결하여 브라인을 순환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상 경기장용 빙판 결빙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단은,
    상기 빙상 경기장의 바닥면에 상호 연접되게 안치되는 매트 형상의 냉각매트로 브라인이 순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상 경기장용 빙판 결빙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매트는,
    바닥면이 평탄하고 자체 탄성을 갖으며 자유 굴곡이 가능한 매트의 상부면에 일체로 반호 형상의 냉각돌기를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 돌출되게 형성시키고 상기 복수개의 냉각돌기를 순차적으로 이격시킨 다음 냉각돌기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냉각공을 관통되게 형성하여 주입파이프 및 배출파이프와 연결되게 설치시 복수개로 배치된 냉각돌기의 사이 공간 매트의 선측과 끝측 단부를 부분 절개시킨 다음 냉각돌기가 독립적으로 자유 절곡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상 경기장용 빙판 결빙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매트는,
    주입파이프와 배출파이프의 외주연에 복수개로 분기시킨 노즐과 냉각매트의 선측에 위치한 냉각공을 교번적 연결하고, 냉각공으로 브라인이 공급되는 냉각돌기와 연접된 측방에 위치한 냉각돌기의 끝측을 마주보게 만곡시킨 다음 연결밸브로 상호 냉각공이 연통되도록 하여 주입파이프를 통하여 주입된 브라인이 배출파이프로 배출되어 순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상 경기장용 빙판 결빙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단은,
    중공의 관로가 복수로 절곡되어 일측은 주입파이프로 연결되고 타측은 배출파이프로 연결되어 브라인이 순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상 경기장용 빙판 결빙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기와 주입파이프 및 배출파이프는 연결라인으로 상호 연결하고 상기 연결라인에는 펌프를 각각 설치하여 주입파이프를 통하여 냉각수단으로 브라인을 압송 공급함으로써 냉각수단이 빙면을 이룰 수 있는 동결 온도를 갖도록 하고, 브라인이 연접된 냉각공을 통하여 배출파이프로 배출되면 연결라인을 통하여 냉각기 사이에 설치된 예비탱크로 동결온도가 떨어진 브라인을 임시로 집수시킬 수 있도록 한 다음 펌프를 통하여 다시 냉각기로 집수된 브라인을 공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상 경기장용 빙판 결빙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인은 물과 부동액을 60 : 40 비율로 혼합 냉각기를 통하여 브라인을 -10℃ 내지 -13℃의 동결 온도로 냉각매트로 주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상 경기장용 빙판 결빙 시스템.
  8. 빙상 경기장용 빙판에 있어서,
    상기 빙상 경기장의 바닥면에 상호 연접되게 안치되는 냉각수단과,
    상기 냉각수단층의 표면에 온수를 분사시켜 하나 이상의 층으로 동결시킨 빙면층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상 경기장용 빙판.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빙면층은,
    상기 냉각수단의 표면에 온수를 분사시켜 동결시킨 1차빙면층과,
    상기 1차빙면층의 표면에 온수를 분사시켜 동결시킨 2차빙면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상 경기장용 빙판.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1차빙면층과 2차빙면층 사이에 복수개로 설치되는 LED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상 경기장용 빙판.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2차빙면층 상부면에는 LED모듈에서 조사되는 빛의 분산을 방지하기 위해 도포한 산란방지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상 경기장용 빙판.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방지층 표면에 온수를 분사시켜 동결시킨 3차빙면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상 경기장용 빙판.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빙판층은 0.4mm 내지 0.6mm두께의 층을 반복적으로 동결시켜 140mm 내지 160mm 두께를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상 경기장용 빙판.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는 60℃ 내지 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상 경기장용 빙판.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3차빙면의 표면은 -2℃ 내지 -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상 경기장용 빙판.
  16.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단은,
    상기 빙상 경기장의 바닥면에 상호 연접되게 안치되는 매트 형상의 냉각매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상 경기장용 빙판 결빙 시스템.
  17.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매트는,
    바닥면이 평탄하고 자체 탄성을 갖으며 자유 굴곡이 가능한 매트의 상부면에 일체로 반호 형상의 냉각돌기를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 돌출되게 형성시키고 상기 복수개의 냉각돌기를 순차적으로 이격시킨 다음 냉각돌기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냉각공을 관통되게 형성하여 주입파이프 및 배출파이프와 연결되게 설치시 복수개로 배치된 냉각돌기의 사이 공간 매트의 선측과 끝측 단부를 부분 절개시킨 다음 냉각돌기가 독립적으로 자유 절곡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상 경기장용 빙판 결빙 시스템.
  18.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매트는,
    주입파이프와 배출파이프의 외주연에 복수개로 분기시킨 노즐과 냉각매트의 선측에 위치한 냉각공을 교번적 연결하고, 냉각공으로 브라인이 공급되는 냉각돌기와 연접된 측방에 위치한 냉각돌기의 끝측을 마주보게 만곡시킨 다음 연결밸브로 상호 냉각공이 연통되도록 하여 주입파이프를 통하여 주입된 브라인이 배출파이프로 배출되어 순환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상 경기장용 빙판 결빙 시스템.
  1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단은,
    중공의 관로가 복수로 절곡되어 일측은 주입파이프로 연결되고 타측은 배출파이프로 연결되어 브라인이 순환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상 경기장용 빙판 결빙 시스템.
  20. 빙상 경기장 설치 방법에 있어서,
    빙상 경기장가 설치될 시공공간을 외부 공간과 구획시킬 수 있도록 빙상 경기장의 설치 규모에 맞추어 바닥면에 세 개 이상의 선분으로 둘러싸인 평면 도형으로 격벽을 설치하는 공간구획 단계와,
    빙상 경기장의 바닥면의 평탄화 작업 이후 경질의 염화비닐을 씌우는 기초지반 단계와,
    상기 빙상 경기장의 격벽 외부에 주입파이프와 배출파이프를 배치시킨 다음 브라인을 동결 온도로 떨어뜨리는 냉각기와 연결라인으로 연결 설치하는 냉각준비단계와,
    상기 염화비닐이 씌워진 빙상 경기장 공간 바닥에 냉각수단을 깔아두는 냉각수단 설치단계와,
    상기 냉각수단의 일측을 상기 주입파이프의 노즐과 연결하여 브라인이 주입되도록 하고, 상기 냉각수단의 타측을 배출파이프의 노즐에 연결하여 브라인이 냉각수단에서 순환되어 배출파이프로 배출되도록 하는 냉각수단 연결단계와,
    상기 냉각기의 가동과 더불어 펌프를 통하여 브라인을 압송시켜 냉각수단에 브라인을 순환시킬 수 있도록 하는 냉각 가동단계와,
    상기 냉각수단이 빙면 형성을 위한 동결 온도로 셋팅되면 냉각수단 표면에 온수를 분사시켜 빙면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빙면층 형성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상 경기장용 빙판 시공 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단 설치단계는,
    상기 염화비닐이 씌워진 빙상 경기장 공간 바닥에 복수개의 냉각공을 종방향으로 형성시킨 매트 형상의 냉각매트를 상호 연접되게 깔아두는 냉각매트 설치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상 경기장용 빙판 시공 방법.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단 연결단계는,
    복수개의 냉각공을 종방향으로 형성시킨 매트 형상의 냉각매트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복수개로 연접된 냉각돌기 사이의 선측과 끝측을 부분 절개시켜 냉각공을 갖는 냉각돌기의 선측과 끝측이 독립적으로 자유 절곡 되도록 한 다음 냉각매트 선측에 위치한 냉각공을 교번적 순서로 주입파이프의 노즐과 연결하여 브라인이 주입되도록 하고, 상기 브라인이 주입되는 냉각공의 끝측은 연접된 냉각돌기의 끝측 냉각공과 연결밸브로 교번적 순서로 연통되게 연결시키며 배출파이프의 노즐에 상기 연접된 냉각돌기의 냉각공 선측을 연결하여 브라인이 냉각매트에서 순환되어 배출파이프로 배출되도록 하는 냉각 매트 연결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상 경기장용 빙판 시공 방법.
  23.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가동단계 이후 상기 냉각수단이 빙면 형성을 위한 동결 온도로 셋팅되면 온수를 분사시켜 빙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1차빙면층 형성단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상 경기장용 빙판 시공 방법.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1차빙면층 형성단계 이후 상기 1차빙면층 상부에 복수개의 LED모듈을 설치하는 LED모듈 설치단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상 경기장용 빙판 시공 방법.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LED모듈 설치단계 이후 1차빙면층과 LED모듈 표면에 온수를 분사시켜 빙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2차빙면층 형성단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상 경기장용 빙판 시공 방법.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2차빙면층 형성단계 이후 상기 2차빙면층 표면에 LED모듈에서 조사되는 빛의 분산을 방지하는 페인트를 도포하는 산란방지층 도포단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상 경기장용 빙판 시공 방법.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방지층 도포단계 이후 상기 산란방지층 표면에 온수를 분사시켜 3차빙면층이 이루어져 평면의 빙면을 이루도록 하는 빙면 완성 단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상 경기장용 빙판 시공 방법.
  28.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지반 단계를 통하여 염화비닐을 씌우기 전 빙상 경기장의 시공 공간 바닥면 체적내에 독립 기포수가 작고 치밀한 복수개의 보온재를 연접 배치하여 빙면 하부의 열손실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상 경기장용 빙판 시공 방법.
  2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재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고무매트를 적층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빙면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감쇠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상 경기장용 빙판 시공 방법.
KR1020150161739A 2015-11-18 2015-11-18 빙상 경기장용 빙판 결빙 시스템과 시공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빙판 KR201700580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1739A KR20170058034A (ko) 2015-11-18 2015-11-18 빙상 경기장용 빙판 결빙 시스템과 시공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빙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1739A KR20170058034A (ko) 2015-11-18 2015-11-18 빙상 경기장용 빙판 결빙 시스템과 시공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빙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8034A true KR20170058034A (ko) 2017-05-26

Family

ID=59052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1739A KR20170058034A (ko) 2015-11-18 2015-11-18 빙상 경기장용 빙판 결빙 시스템과 시공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빙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803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937U (ko) * 2018-02-20 2018-04-04 (주)알앤알스포츠 빙면광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빙상 스포츠설비
CN110160299A (zh) * 2019-05-29 2019-08-23 天津大学 一种可独立制冰的模块式人工冰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937U (ko) * 2018-02-20 2018-04-04 (주)알앤알스포츠 빙면광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빙상 스포츠설비
CN110160299A (zh) * 2019-05-29 2019-08-23 天津大学 一种可独立制冰的模块式人工冰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6577B1 (ko) 아이스링크 겸용 다목적 스포츠시설
US3893507A (en) Apparatus for creating and maintaining an ice slab
US6021646A (en) Floor system for a rink
US4703597A (en) Arena floor and flooring element
KR100822456B1 (ko) 이동식 아이스링크의 설치를 위한 냉각시스템 및 그설치방법.
CN110904782A (zh) 一种大型人工室内冰场及其施工方法
WO2011129035A1 (ja) アイスリンクの冷却設備
CN108411734B (zh) 室内滑冰场
US20110099926A1 (en) Novel sustanable building model
KR20170058034A (ko) 빙상 경기장용 빙판 결빙 시스템과 시공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빙판
CN110388019B (zh) 一种装配式架空找平地面及其生产方法和安装方法
CN105525557B (zh) 用于室内临时冰场冰面支承转换的结构体系及其施工方法
CN211571260U (zh) 一种大型人工室内冰场
KR20170058037A (ko) 빙상 경기장용 냉각장치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빙판 및 냉각 제어시스템
US20130133858A1 (en) Construction modul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said module
KR100796382B1 (ko) 급속 냉각설비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WO2020073989A9 (zh) 一种装配式制冷装置
CN110359337A (zh) 一种低温场所的地坪
KR101580456B1 (ko) 인공 빙하 연출 구조 및 그것의 제작 방법
KR20190072879A (ko) 아이스링크의 브라인 냉각 온도별 가변 방식을 갖는 냉각시스템
USRE29438E (en) Apparatus for creating and maintaining an ice slab
KR102117571B1 (ko) 빙상경기장의 냉매순환 배관장치
US2069811A (en) Skating rink
KR102237972B1 (ko) 냉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한 다목적 빙상경기장
KR102161104B1 (ko) 빙상경기장용 냉각수 배출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