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1104B1 - 빙상경기장용 냉각수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빙상경기장용 냉각수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1104B1
KR102161104B1 KR1020200029611A KR20200029611A KR102161104B1 KR 102161104 B1 KR102161104 B1 KR 102161104B1 KR 1020200029611 A KR1020200029611 A KR 1020200029611A KR 20200029611 A KR20200029611 A KR 20200029611A KR 102161104 B1 KR102161104 B1 KR 102161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cooling water
ice
discharge line
concrete sl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9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란
김석우
Original Assignee
김경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란 filed Critical 김경란
Priority to KR1020200029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11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1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1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9/00Design or layout of playing courts, rinks, bowling greens or areas for water-skiing; Covers therefor
    • A63C19/10Ice-skating or roller-skating rinks; Slopes or trails for skiing, ski-jumping or tobogga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1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for artificial surfaces for outdoor or indoor practice of snow or ice s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3/00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ice or snow for winter sports or similar recreational purposes, e.g. for sporting installations; Producing artificial snow
    • F25C3/02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ice or snow for winter sports or similar recreational purposes, e.g. for sporting installations; Producing artificial snow for ice ri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2Freezing surface st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C2500/06Spillage or flooding of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빙상경기장용 냉각수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빙상경기장에 바닥면에 형성되어, 빙면 및 온도차에 의해 발생한 냉각수를 배출시켜 빙상경기장 내부에 냉각수가 고이는 것을 방지하는 빙상경기장용 냉각수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빙상경기장용 냉각수 배출장치{Cooling water discharge device for ice field}
본 발명은 빙상경기장용 냉각수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빙상경기장에 바닥면에 형성되어, 빙면 및 온도차에 의해 발생한 냉각수를 배출시켜 빙상경기장 내부에 냉각수가 고이는 것을 방지하는 빙상경기장용 냉각수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겨울철 운동으로 인식되어 왔던 스케이팅은 실외 및 실내 활동을 통해 4계절 운동으로 행해지고 있으며, 대중운동으로 널리 보급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스케이팅 운동은 4계절에 할 수 있도록 실내 빙상 경기장의 건설이 늘어나고 있으나, 현재까지 국내에 건설된 실내 빙상 경기장의 수가 적어 설계에 대한 기술이 널리 알려지지 못한 경향이 있다.
따라서 국내 빙상경기장은 외국의 시공기술을 들여와 시공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외국은 땅의 원래상태로 시공하기 때문에 모래를 깔아도 내부에서 발생하는 물을 자연스럽게 땅속으로 스며들고 있으나, 국내는 땅 위에 콘크리트 구조를 시공하여 기본바닥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내부에서 발생하는 물이 땅속으로 스며들지 않아 물을 배출할 수 없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국내의 빙상경기장은 아이스하키, 컬링, 스피드스케이팅, 피겨스케이팅, 대중용 다양한 용도에 맞춰 나누어지며, 스포츠 종류에 따라 그 크기가 결정하며, 링크 바닥구조에 따라 또 다른 분류가 이루어진다.
이때, 빙상경기장은 신속한 설치 및 철거가 요구되는 조립방식을 통해 이동하여 원하는 위치에 설치하는 가동식 방식과, 설치 후 철거가 이루어지지 않는 바닥구조를 가지는 고정식 방식으로 구성된다.
이때, 고정식 바닥 구조는 영구형, 개방형, 모래충진형, 철판형 등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의 주요사항은 다음과 같다.
상기 영구형바닥은 바닥면을 다목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냉각관을 바닥 콘크리트 속에 매설하고 바닥표면을 깨끗하게 마감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 소비량이 많은 하절기에 타용도의 체육관으로 활용하기 구조로써, 바닥이 고르고 수평이며 집중하중에 강한 이점이 있지만, 얼음의 결빙, 융해의 반복으로 인해 균열이 발생할 우려가 많다.
그리고 개방형 바닥 또는 모래충진형바닥은 냉각관을 바닥면에 노출하고 모래를 충진하는 방식으로 스케이팅 이외에 다른 목적으로는 사용하지 않으며 건설비를 저렴하게 하고자 하거나 비 사용시에 테니스장과 같은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냉각관을 떼어낼 필요가 있는 경우에 사용된다.
이러한 개방형바닥 또는 모래충진형바닥은 설치가 용이하고 설비비가 싸고 냉각관의 철거 및 설치가 간단하지만 빙면의 형성에 시간이 걸리고 수평유지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철판형 바닥은 냉각관을 바닥면 위에 설치하고 그 위에 철판 마감을 하는 방식으로 단시간에 결빙하여야 할 경우, 링크와 수영장을 겸용으로 하고자 할 경우, 한 여름에 옥외 빙상 경기장를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 채용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종래기술로 "빙상 경기장용 냉각장치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빙판 및 냉각 제어시스템"이 제시된 바 있다.
종래기술은 냉각수단을 통해 빙판이 만들어질 공간을 구분한 각 빙판구역의 빙판 온도를 감지하여 적정 빙판의 온도를 유지시키기 위해 각 냉각수단에 브라인의 유량 또는 브라인의 냉각온도를 차별하여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냉각기와, 상기 냉각기에 연결되어 냉각된 브라인을 주입 및 배출하여 브라인을 순환시키는 주입파이프 및 배출파이프와, 상기 주입파이프와 배출파이프를 통해 브라인을 내부에 순환시켜 냉각 온도를 갖도록 하는 냉각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냉각수단을 통해 빙판이 만들어질 공간을 구분한 각 빙판구역의 빙판 온도를 센싱하여 적정 빙상의 온도를 유지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고정식 바닥구조를 가지며, 콘크리트 슬라브 위에 외국 방식의 시공이 이루어져 정빙기를 통해 주기적으로 정빙하면서 계속 발생되는 물이 내부로 흘러들어가는 물과, 빙상 및 온도차에 의해 발생되는 냉각수를 배출할 수 없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장기간 사용시 정빙기를 통해 발생된 물과, 온도차에 의해 발생된 냉각수 등이 콘크리트 슬라브에 고여있어 장기간 방치시 냉각수에 의한 콘크리트 슬라브의 균열 등이 발생한다.
또한, 콘크리트 슬라브에 저장된 상태에서 발생하는 온도에 의해 빙판을 빙결하기 위해 전달되는 냉각관의 온도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58037호(2017.05.2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빙상경기장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바닥면에 고이는 냉각수를 배출하는 빙상경기장용 냉각수 배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입된 냉각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일방향으로 흐를 수 있는 경사면이 형성된 빙상경기장용 냉각수 배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높낮이 및 각도를 조절하여 냉각수의 유입 및 배출을 유도할 수 있는 빙상경기장용 냉각수 배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냉각수가 틈새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빙상경기장용 냉각수 배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기를 통해 유입된 냉각수가 어는 것을 방지하고, 얼은 냉각수를 녹이며, 공기를 분사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빙상경기장용 냉각수 배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앙부분에 냉각관이 삽입되는 함몰부가 형성된 콘크리트 구조체의 상부의 빙판구역에 타설되어 콘크리트 슬라브에 설치되어 냉각수를 배출하는 빙상경기장용 냉각수 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의 테두리에 설치되어 상부면이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의 상면과 일치하며,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수로가 형성된 드레인찬넬로 이루어지되, 상기 드레인찬넬은, 상기 빙판구역의 테두리에 형성된 제1배출라인과, 상기 함몰부의 테두리에 형성된 제2배출라인과, 상기 함몰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배출라인과 상기 제2배출라인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제3배출라인과, 상기 냉각관의 유입되는 상기 함몰부의 끝단에서 상기 제2배출라인과 연결되어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4배출라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드레인찬넬은,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에서 형성된 냉각수를 배출하는 배출프레임과, 상기 배출프레임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프레임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지지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는 상기 드레인찬넬의 상부면과 평탄하게 시공되며, 상기 드레인찬넬과 인접한 지점에는 방수코팅이 도포된 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배출라인의 상기 수로는 상기 빙판구역에서 상기 함몰부를 향해 냉각수가 이동할 수 있도록 제1하향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2배출라인의 수로는 상기 함몰부에서 상기 제4배출라인으로 냉각수를 이동할 수 있도록 제2하향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대는, 상기 배출프레임의 하단면에서 하부로 돌출되며, 외측면에서 관통된 상하방향의 제1장홈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설치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가 상하방향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장홈과 대응하는 위치의 외측면에서 관통된 제2장홈이 형성되고 하단면이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에 고정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제1장홈 및 상기 제2장홈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고정하는 체결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빙상경기장용 냉각수 배출장치에 따르면, 빙상경기장의 빙면 및 온도차에 의해 발생된 냉각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빙상경기장의 테두리에 라인을 형성한 드레인찬넬을 통해 냉각수를 배출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드레인찬넬의 수로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유입된 냉각수가 자연스럽게 일방향으로 흘러 배출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드레인찬넬의 높낮이 및 각도를 조절하여 냉각수의 유입 및 배출을 유도하며, 보조프레임을 통해 수로를 확장시켜 많은 양의 물을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냉각수가 콘크리트와 드레인찬넬의 틈새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코팅층을 도포하여, 콘크리트의 균열 및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조프레임을 통해 콘크리트 슬라브의 타설높이에 맞춰 콘크리트가 수로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평탄하게 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사부를 통해 공기를 수로로 분사하여, 유입된 냉각수가 어는 것을 방지하고 얼은 냉각수를 녹이면서 냉각수를 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콘크리트 구조체 위에 일정하게 배치되어 타설되는 콘크리트 슬라브의 레벨가이드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빙상경기장용 냉각수 배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레인찬넬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로의 경사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사부를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드레인찬넬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프레임을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온공기의 분사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빙상경기장용 냉각수 배출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빙상경기장용 냉각수 배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레인찬넬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로의 경사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사부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드레인찬넬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프레임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온공기의 분사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빙상경기장용 냉각수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빙상경기장에 바닥면에 형성되어, 빙면 및 온도차에 의해 발생한 냉각수를 배출시켜 빙상경기장 내부에 냉각수가 고이는 것을 방지하는 빙상경기장용 냉각수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빙상경기장에서 발생된 냉각수가 바닥면에서 배출될 수 있도록 드레인찬넬(100)이 구성된다.
상기 드레인찬넬(100)은 콘크리트 슬라브(220)와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콘크리트 구조체(210)의 외각에 설치되어, 상부가 개방되도록 수로(111)가 형성되어 빙상경기장(200) 내에서 발생한 냉각수를 배출한다.
이러한 상기 드레인찬넬(100)은, 상기 빙판구역의 테두리에 형성된 제1배출라인(112)과, 상기 함몰부(211)의 테두리에 형성된 제2배출라인(113)과, 상기 함몰부(211)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배출라인(112)과 상기 제2배출라인(113)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제3배출라인(114)과, 상기 냉각관(300)의 유입되는 상기 함몰부(211)의 끝단에서 상기 제2배출라인(113)과 연결되어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4배출라인(115)으로 구분한다.
또한, 상기 드레인찬넬(100)은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210)에 설치되는 지지대(120)와, 상기 지지대(120)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수로(111)가 형성되어 냉각수를 배출하는 배출프레임(110)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배출프레임(110)은 상기 빙상경기장(200)의 외측에 형성되어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120)에 의해 타설되는 콘크리트 슬라브(220)와 상면이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배출프레임(110)을 지지한다.
이때,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210)는 빙판구역의 경계로 외부가 돌출되고 중앙부분에는 냉각관(300)이 삽입되는 함몰부(211)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함몰부(211)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210)의 일면이 개방되어 냉매가 유입되는 배관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찬넬(100)에는 유입된 냉각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1배출라인(112)의 상기 수로(111)는 빙판구역에서 상기 함몰부(211)를 향해 냉각수가 이동할 수 있도록 제1하향경사면(112a)이 형성되며, 상기 제2배출라인(113)의 수로는 상기 함몰부(211)에서 상기 제4배출라인(115)으로 냉각수를 이동할 수 있도록 제2하향경사면(113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4배출라인(115)은 상기 함몰부(211)의 개방된 일면으로 냉각수를 배출한다.
따라서 상기 제1하향경사면(112a)은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220)에서 유입된 냉각수를 상기 제3배출라인(114)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하향경사면(113a)은 상기 제4배출라인(115)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경사면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하향경사면(112a)은 상기 제1배출라인(112)의 중앙부분에서 양측단으로 냉각수가 이동하여 상기 제3배출라인(114)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하향경사면(113a)은 상기 제4배출라인(115)이 연결된 지점으로 냉각수가 이동할 수 있도록 경사면이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220)의 상면으로 유입된 냉각수는 상기 제1 및 제2 하향경사면(112a, 113a)을 따라 흐르면서, 상기 제1 내지 4 배출라인(112, 113, 114, 115)을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120)는 상기 배출프레임(110)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고정부재(121), 이동부재(122) 및 체결부재(123)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재(121)는 상기 배출프레임(110)의 하단면에서 하부로 돌출되며, 외측면에서 관통된 상하방향의 제1장홈(121a)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프레임(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설치된다.
상기 이동부재(122)는 상기 고정부재(121)가 상하방향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제1장홈(121a)과 대응하는 위치의 외측면에서 관통된 제2장홈(122a)이 형성되고 하단면이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210)에 고정된다.
상기 체결부재(123)는 상기 제1장홈(121a) 및 상기 제2장홈(122a)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재(121)의 고정한다.
즉, 상기 고정부재(121)는 상기 배출프레임(110)의 하단에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122)는 상기 고정부재(121)의 하단에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이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210)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121) 및 상기 이동부재(122)를 통해 높낮이 상기 배출프레임(110)의 높이조절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121) 및 상기 이동부재(122)의 내부에서 일정간격 유격을 형성하여, 경사각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부재(121)는 상기 이동부재(122)의 내부에서 간격조절이 가능함에 따라 상기 배출프레임(110)의 높낮이 및 유격 내에서 각도 조절이 가능하여, 상기 배출프레임(110)이 높낮이 및 경사각을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고정부재(121) 및 상기 이동부재(122)를 통해 상기 배출프레임(110)의 높낮이 및 각도를 조절한 후 상기 체결부재(123)를 통해 고정한다.
이를 통해 상기 배출프레임(110)의 상단면은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220)가 타설되는 높이에 맞춰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220)가 밀착되는 상기 배출프레임(110) 일면에 설치되어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220)의 상면과 일치하여 평탄하게 배치되는 보조프레임(131)이 더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프레임(131)은 상기 배출프레임(110)의 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배출프레임(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배치된 가이드홈(110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프레임(131)은 상기 배출프레임(110)의 상기 가이드홈(110a)에 삽입되는 삽입돌기(131)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110a)을 따라 상하방향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220)의 상면과 평탄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보조프레임(131)은 상기 가이드홈(110a) 및 상기 삽입돌기(131)를 통해 높낮이 및 경사를 조절한 후 별도의 볼트, 접착제 등을 통해 고정한다.
이를 통해 상기 배출프레임(110)의 경사각을 조절하여 냉각수가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설치하며, 콘크리트 슬라브(220) 타설 시 상기 보조프레임(131)에 의해 콘크리트 슬라브(220)가 상기 수로(11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용이하게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220)를 타설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프레임(1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유입된 냉각수가 냉매의 냉기에 의해 빙결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공기를 공급하는 분사부(140)가 더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 분사부(140)는 외부에서 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배출프레임(110)에 분사하여 냉기에 의해 얼은 냉각수를 녹이면서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분사부(140)는 공급관(141) 및 분사노즐(143)로 이루어진다.
상기 공급관(141)은 상기 배출프레임(110)의 양 측면 중 상단부분에 형성되어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다수개의 배출공(142)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공급관(141)은 내부에 공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관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배출프레임(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고 하부 및 측면에 선택적으로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다수개의 배출공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공급관(141)은 상기 배출프레임(110)의 측면을 절곡시켜 내부에 공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거나, 별도의 호스, 관 등을 설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배출공(142)은 상기 배출프레임(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형성하여 상기 공급관(141)로 유입된 공기를 배출한다.
상기 분사노즐(143)은 다수개의 상기 배출공(142)에 각각 형성되어 유입된 공기를 고압으로 배출한다.
따라서 상기 분사노즐(143)은 상기 공급관(141)으로 공급된 공기가 일정 압 이상을 유지하면 상기 수로(111)를 향해 고압으로 배출시킨다.
즉, 상기 공급관(141)은 상기 제1 내지 제4 배출라인(112, 113, 114, 115)을 따라 형성되며, 수로(111)를 향해 다수개의 상기 배출공(142)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외부에서 공기가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분사노즐(143)은 다수개의 상기 배출공(142)에 결합되며, 상기 공급관(141)으로 유입된 공기가 일정압력 이상 유지시 상기 수로를 향해 고압으로 공급하여 수로에 있는 냉각수를 녹이면서 외부로 배출한다.
이때, 공기는 상기 빙상경기장(200)의 빙면에 전달되는 냉매의 냉기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상기 배출프레임(110)에 유입된 냉각수를 녹일 수 있는 정도의 온도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기는 상기 배출프레임(110)에 유입된 냉각수를 공기의 압력에 의해 배출할 수 있는 정도로 조절한다.
이를 통해 공기는 상기 드레인찬넬(100)로 유입된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분사노즐(143)을 통해 공급되며, 상기 빙상경기장(200)에 공급되는 냉기에 의해 빙결된 냉각수를 녹여 배출한다.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220)는 상기 드레인찬넬(100)의 상부면과 평탄하게 시공되며, 상기 드레인찬넬(100)과 인접한 지점에는 방수코팅이 도포된 상기 코팅층(22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코팅층(221)은 상기 드레인찬넬(100)과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220)에 동시에 도포되어 냉각수가 상기 드레인찬넬(100)과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220) 사이의 틈으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220) 상단에 배치되는 상기 단열재(230)가 평탄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얇게 도포된다.
이러한 상기 코팅층(221)은 상기 드레인찬넬(100)의 상면과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220)의 상면에 도포되되,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220)에는 상기 드레인찬넬(100)과 인접하는 일정구역에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방수코팅은 우레탄, 에폭시, 페인트 등과 같이 콘크리트에 도포되어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드레인찬넬(100)로 유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코팅층(221)은 방수코팅 이외에 시트지 등을 접착하여 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찬넬(200)의 내부공간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배치되어 냉각수를 배출하는 보조프레임(150)이 더 포함된다.
이러한 상기 보조프레임(150)은, 상기 빙상경기장(200)의 외측에서 상기 함몰부(211)로 배출되어, 상기 빙상경기장에서 발생되는 냉각수를 배출되도록 설치한다.
즉, 상기 보조프레임(150)은 상기 제1배출라인(112)인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배치시킨 후 상기 제1배출라인(112)과 연결되어 상부에서 발생되는 냉각수를 상기 제3배출라인(114)을 이동하여 상기 제2배출라인(113)으로 유도한다.
따라서 상기 빙상경기장(200)의 넓은 면적에서 발생되는 냉각수를 일정한 간격내에서 상기 배출프레임(110) 및 상기 보조프레임(150)을 따라 자연스럽게 흘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빙상경기장의 내부 지면에 냉각수가 고이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드레인찬넬(100)은 상기 배출프레임(110)과 상기 보조프레임(150)이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210)의 상단에 일정한 간격에 맞춰 균일한 높이로 설치됨에 따라, 이후 타설되는 콘크리트 슬라브(220)의 높이 및 수평을 맞출 수 있도록 레벨가이드가 이루어진다.
즉, 타설된 콜크리트 슬라브(220)의 레벨은 ±7mm 오차범위로 시공되는 정밀한 작업으로, 상기 배출프레임(110) 및 상기 보조프레임(150)이 콜크리트의 레벨가이드를 통해 정교한 시공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드레인찬넬(100) 설치 후 타설되는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220)를 위해 별도의 공정 없이 편리하게 시공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220)가 타설된 후 선택적으로 상기 보조프레임(150)의 주변에 상기 코팅층(221)이 시공된다.
이는, 냉각수에 의해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220)와 상기 보조프레임(150) 사이로 냉각수가 유입되어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220)의 파손을 방지하고, 냉각수가 용이하게 상기 보조프레임(150)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드레인찬넬(100)은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210)의 상부에 안착되며, 측벽에 밀착된 상태로 시공되어 벽면에서 흐르는 냉각수가 상기 수로(111)로 유입되되, 벽면의 팽창 및 수축에 맞춰 대응하여 밀착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상기 드레인찬넬(100)은 온도변화에 따라 수축 및 팽창하는 콘크리트에 용이하게 밀착되어 냉각수를 배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 및 작동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빙상경기장(200)을 건설하기 위해 지면에 콘크리트 구조체(210)를 시공한다.
이때,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210)의 중앙부분에는 상기 빙상경기장(200)의 바닥에서 냉매를 공급 및 배출하여 순환시키는 냉기를 전달하는 냉각관(300)이 설치되는 함몰부(211)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210)의 테두리 및 상기 함몰부(211)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상기 드레인찬넬(100)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드레인찬넬(100)은 상기 지지대(120)를 통해 상기 배출프레임(11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상기 배출프레임(110)의 상면이 타설되는 콘크리트 슬라브(220)의 상면과 동일선상에서 평탄하게 배치한다.
여기서 상기 드레인찬넬(100)의 제1 및 제2 배출라인(112, 113)에는 상기 제3 및 제4 배출라인(112, 113)으로 냉각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하향경사면(112a, 113a)이 위치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배출프레임(110)에 경사가 형성되면, 상기 보조프레임(131)의 높낮이 및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220)의 상면과 상기 보조프레임(131)의 상면이 동일선상에서 평탄하게 배치한다.
아울러,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220)와 상기 드레인찬넬(100)이 밀착되는 지점에는 방수코팅을 통해 상기 코팅층(221)을 형성하여 냉각수에 의해 콘크리트 슬라브(220)의 균열 및 파손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상기 드레인찬넬(100)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 슬라브(220)를 타설한 후, 단열재 및 냉각관(300)을 빙상경기장의 시공에 맞춰 순차적으로 설치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찬넬(100)에는 분사부(140)가 형성된다.
즉, 상기 분사부(140)는 상기 드레인찬넬(100)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분사노즐(143)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배출한다.
이때,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여 일정 압력이상 유지되면 상기 분사노즐(143)을 통해 상기 수로(111)로 분사한다.
따라서 공기가 상기 수로(111)로 분사시켜 상기 드레인찬넬(100)로 유입된 냉각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배출되고 냉기에 의해 얼은 부분은 공기에 의해 녹여 배출이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상기 드레인찬넬(100)을 통해 상기 빙상경기장(200)의 내부에서 발생된 냉각수를 배출하여 냉각수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체(210) 및 슬라브(220)의 파손 및 균열을 방지한다.
또한, 공기 온도를 조절하여 빙상을 형성하기 위해 전달되는 냉기에 영향을 받지 않는 온도로 조절하여 균일한 냉기를 전달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0: 드레인찬넬 110: 배출프레임 110a: 가이드홈
111: 수로 112: 제1배출라인
112a: 제1하향경사면 113: 제2배출라인
113a: 제2하향경사면 114: 제3배출라인
115: 제4배출라인
120: 지지대 121: 고정부재
121a: 제1장홈 122: 이동부재
122a: 제2장홈 123: 체결부재
130: 보조프레임 131: 삽입돌기
140: 분사부 141: 공급관
142: 배출공 143: 분사노즐
150: 보조프레임
200: 빙상경기장 210: 콘크리트 구조체 211: 함몰부
220: 콘크리트 슬라브 221: 코팅층
300: 냉각관

Claims (5)

  1. 중앙부분에 냉각관(300)이 삽입되는 함몰부(211)가 형성된 콘크리트 구조체(210)의 상부의 빙판구역에 타설되어 콘크리트 슬라브(220)에 설치되어 냉각수를 배출하는 빙상경기장용 냉각수 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220)의 테두리에 설치되어 상부면이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220)의 상면과 일치하며,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수로(111)가 형성된 드레인찬넬(100)로 이루어지되,
    상기 드레인찬넬(100)은,
    상기 빙판구역의 테두리에 형성된 제1배출라인(112)과,
    상기 함몰부(211)의 테두리에 형성된 제2배출라인(113)과,
    상기 함몰부(211)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배출라인(112)과 상기 제2배출라인(113)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제3배출라인(114)과,
    상기 냉각관(300)의 유입되는 상기 함몰부의 끝단에서 상기 제2배출라인(113)과 연결되어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4배출라인(115)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드레인찬넬(100)은,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220)에서 형성된 냉각수를 배출하는 배출프레임(110)과, 상기 배출프레임(110)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210)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프레임(11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지지대(1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상경기장용 냉각수 배출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220)는 상기 드레인찬넬(100)의 상부면과 평탄하게 시공되며, 상기 드레인찬넬(100)과 인접한 지점에는 방수코팅이 도포된 코팅층(2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상경기장용 냉각수 배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출라인(112)의 상기 수로(111)는 상기 빙판구역에서 상기 함몰부(211)를 향해 냉각수가 이동할 수 있도록 제1하향경사면(112a)이 형성되며,
    상기 제2배출라인(113)의 상기 수로(111)는 상기 함몰부(211)에서 상기 제4배출라인(115)으로 냉각수를 이동할 수 있도록 제2하향경사면(113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상경기장용 냉각수 배출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20)는,
    상기 배출프레임(110)의 하단면에서 하부로 돌출되며, 외측면에서 관통된 상하방향의 제1장홈(121a)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프레임(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설치된 고정부재(121)와,
    상기 고정부재(121)가 상하방향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장홈(121a)과 대응하는 위치의 외측면에서 관통된 제2장홈(122a)이 형성되고 하단면이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에 고정되는 이동부재(122)와,
    상기 제1장홈(121a) 및 상기 제2장홈(122a)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재(121)의 고정하는 체결부재(12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상경기장용 냉각수 배출장치.
KR1020200029611A 2020-03-10 2020-03-10 빙상경기장용 냉각수 배출장치 KR102161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611A KR102161104B1 (ko) 2020-03-10 2020-03-10 빙상경기장용 냉각수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611A KR102161104B1 (ko) 2020-03-10 2020-03-10 빙상경기장용 냉각수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1104B1 true KR102161104B1 (ko) 2020-09-29

Family

ID=72661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9611A KR102161104B1 (ko) 2020-03-10 2020-03-10 빙상경기장용 냉각수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110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6434A (ko) * 2004-03-30 2005-10-06 김창근 기초바닥 영구배수 구조 및 영구배수 공법
KR101456577B1 (ko) * 2013-09-25 2014-10-31 주식회사 세항 아이스링크 겸용 다목적 스포츠시설
KR20170058037A (ko) 2015-11-18 2017-05-26 주식회사 세항 빙상 경기장용 냉각장치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빙판 및 냉각 제어시스템
KR101893097B1 (ko) * 2018-05-17 2018-08-29 (주)솔방이엔지 결로수 배출이 용이한 물탱크
KR101975862B1 (ko) * 2018-10-23 2019-05-07 주식회사 지구코퍼레이션 경사 조절 구조를 갖는 배수용 수로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6434A (ko) * 2004-03-30 2005-10-06 김창근 기초바닥 영구배수 구조 및 영구배수 공법
KR101456577B1 (ko) * 2013-09-25 2014-10-31 주식회사 세항 아이스링크 겸용 다목적 스포츠시설
KR20170058037A (ko) 2015-11-18 2017-05-26 주식회사 세항 빙상 경기장용 냉각장치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빙판 및 냉각 제어시스템
KR101893097B1 (ko) * 2018-05-17 2018-08-29 (주)솔방이엔지 결로수 배출이 용이한 물탱크
KR101975862B1 (ko) * 2018-10-23 2019-05-07 주식회사 지구코퍼레이션 경사 조절 구조를 갖는 배수용 수로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6577B1 (ko) 아이스링크 겸용 다목적 스포츠시설
AU625226B2 (en) Snow making equipment
KR102171297B1 (ko) 수축 및 팽창에 의한 바닥 콘크리트의 균열을 방지하는 다목적 빙상경기장
CN108411734B (zh) 室内滑冰场
KR102161104B1 (ko) 빙상경기장용 냉각수 배출장치
CA1153902A (en) Air cooled ice rink construction
KR101190418B1 (ko) 빗물활용이 가능한 보도블럭 조립체
JP2000039163A (ja) 透水性コンクリート表層を有する冷暖房構造
KR102237972B1 (ko) 냉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한 다목적 빙상경기장
KR102117571B1 (ko) 빙상경기장의 냉매순환 배관장치
KR20170058037A (ko) 빙상 경기장용 냉각장치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빙판 및 냉각 제어시스템
CZ30499A3 (cs) Povrch sportovního hřiště a způsob jeho úpravy
KR102180897B1 (ko) 아이스링크의 냉각 구조
KR20170058034A (ko) 빙상 경기장용 빙판 결빙 시스템과 시공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빙판
KR20210070536A (ko) 터널 내 누수에 의한 고드름 피해 예방을 위한 히팅 유도배수 라이닝 시스템
JP2623423B2 (ja) 屋内人工スキー場の床部構造
RU2413559C2 (ru) Ледяная дорожка для катка
JP3070978B2 (ja) 人工スキー場
JP3402182B2 (ja) 雪遊び施設における融雪防止および積雪締固め方法
CN214831657U (zh) 一种用于人造草坪的高透水性结构
JP2848387B2 (ja) 雪遊び施設における融雪防止および積雪締固め方法および装置
CN111172842B (zh) 一种赛道冰面的制备工具及工艺
KR20190072879A (ko) 아이스링크의 브라인 냉각 온도별 가변 방식을 갖는 냉각시스템
WO2022157419A1 (en) Arrangement for constructing playing court
JP2816670B2 (ja) 人工スキー場並びに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