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5862B1 - 경사 조절 구조를 갖는 배수용 수로관 - Google Patents

경사 조절 구조를 갖는 배수용 수로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5862B1
KR101975862B1 KR1020180126919A KR20180126919A KR101975862B1 KR 101975862 B1 KR101975862 B1 KR 101975862B1 KR 1020180126919 A KR1020180126919 A KR 1020180126919A KR 20180126919 A KR20180126919 A KR 20180126919A KR 101975862 B1 KR101975862 B1 KR 101975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grating
water channel
longitudinal direction
drain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6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제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구코퍼레이션
주식회사 예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구코퍼레이션, 주식회사 예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구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80126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58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E03F3/046Open sewage chan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Abstract

본 발명은 경사 조절 구조를 갖는 배수용 수로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빗물을 집수하고 집수된 빗물이 배수될 수 있도록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수로가 관통형성되고, 상기 수로와 연통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개구된 집수구가 형성된 수로관에 있어서, 집수구의 개구부 양측에 한 쌍의 'L'자형 앵글부재를 장착하고, 한 쌍의 앵글부재 상부 내측으로 그레이팅 받침대를 구비하되, 앵글부재 수직면에는 장공형의 높이조절홈을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하고, 그레이팅 받침대 하부면에는 상기 다수개의 높이조절홈에 각각 대응되는 다수개의 관통공을 형성하여, 높이조절홈과 관통공을 관통하는 볼트-너트 결합에 의해 상호 결합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앵글부재와 그레이팅 받침대의 결합위치를 원하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배수용 수로관에서 지면에 노출되는 그레이팅 상부를 수평으로 유지하면서도 그레이팅 하부에 형성되는 수로는 일정 경사를 갖도록 설치되어 평지에서도 효과적인 배수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경사 조절 구조를 갖는 배수용 수로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경사 조절 구조를 갖는 배수용 수로관{Drainage conduit having inclined gradient control structure}
본 발명은 경사 조절 구조를 갖는 배수용 수로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빗물을 집수하고 집수된 빗물이 배수될 수 있도록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수로가 관통형성되고, 상기 수로와 연통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개구된 집수구가 형성된 수로관에 있어서, 집수구의 개구부 양측에 한 쌍의 'L'자형 앵글부재를 장착하고, 한 쌍의 앵글부재 상부 내측으로 그레이팅 받침대를 구비하되, 앵글부재 수직면에는 장공형의 높이조절홈을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하고, 그레이팅 받침대 하부면에는 상기 다수개의 높이조절홈에 각각 대응되는 다수개의 관통공을 형성하여, 높이조절홈과 관통공을 관통하는 볼트-너트 결합에 의해 상호 결합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앵글부재와 그레이팅 받침대의 결합위치를 원하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배수용 수로관에서 지면에 노출되는 그레이팅 상부를 수평으로 유지하면서도 그레이팅 하부에 형성되는 수로는 일정 경사를 갖도록 설치되어 평지에서도 효과적인 배수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경사 조절 구조를 갖는 배수용 수로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수로는 주차장, 공원, 도로 등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빗물이 원활히 흘러가도록 하는 구조물로서, 유로를 갖는 콘크리트 블록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배수로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복수개의 수로관 유닛을 연속적으로 배치하여 서로 연결함으로써 형성하게 되는데, 물의 집수뿐만 아니라 수로관의 내부에 형성된 수로를 통해 집수된 물이 원활하게 흐르도록 하기 위해서는 연결되어 이어지는 수로관이 적당한 경사를 가지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그러나, 통상의 배수용 수로관 유닛은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장시간의 양생시간이 필요함에 따라 공장에서 일정한 크기와 형상으로 대량생산되어 현장으로 운반한 후 설치되고 있으며, 양산성을 위해 동일구조 동일형상으로 제조됨에 따라 배수용 수로관 유닛 단위 각각에 경사를 주어 생산하는 데는 많은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이에 따라, 자연경사로 이루어진 지면이 아니면 배수가 잘 되지 않아 수로관 바닥에 오염된 잔류물이 남아 환경적으로 불량하며, 정기적으로 청소를 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운동장이나 주차장 등의 지면이 평지인 지형에서는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이와 같은 문제가 더욱 두드러지게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등록특허 758,560에서는 블럭을 1m 내지 3m 단위로 모듈화시키며, 블럭을 수평 지면에 대하여 하단 배수부가 3% 이하의 경사각을 이루는 배수부를 갖도록 하는 프리캐스트 트랜치 구조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1m 내지 3m 단위로 모듈화 되어, 모듈화된 단위길이 안에서만 경사가 적용됨에 따라, 주방이나 욕실 등 작은 공간 내에서는 용이하게 적용이 가능하나 주차장, 공원, 도로 등 비교적 넓은 지역의 수평지면에는 유용하게 적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수로관이 설치되는 바닥길이에 맞춰 모듈화된 블록을 개별적으로 각각 제조해야 함에, 제작이 복잡하고 대량생산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758,560호 (등록일 : 2007년 9월 7일) "구배 프리캐스트 트렌치 구조"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집수구의 개구부 양측에 한 쌍의 'L'자형 앵글부재를 장착하고, 한 쌍의 앵글부재 상부 내측으로 그레이팅 받침대를 구비하되, 앵글부재 수직면에는 장공형의 높이조절홈을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하고, 그레이팅 받침대 하부면에는 상기 다수개의 높이조절홈에 각각 대응되는 다수개의 관통공을 형성하여, 높이조절홈과 관통공을 관통하는 볼트-너트 결합에 의해 상호 결합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앵글부재와 그레이팅 받침대의 결합위치를 원하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배수용 수로관에서 지면에 노출되는 그레이팅 상부를 수평으로 유지하면서도 그레이팅 하부에 형성되는 수로는 일정 경사를 갖도록 설치되어 평지에서도 효과적인 배수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경사 조절 구조를 갖는 배수용 수로관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 본 발명은,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수로가 관통형성된 블록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부에는 상기 수로와 연통되며 상방으로 개구된 집수구가 형성된 수로본체; 상기 집수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집수구의 개구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L'자 형태의 한 쌍의 앵글부재; 및 한 쌍의 일자형 프레임과 상기 일자형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는 그레이팅 지지대로 이루어져, 상기 한 쌍의 앵글부재 내측 상부에 연결되어, 수로관 상부에 설치되는 배수용 그레이팅을 지지하는 그레이팅 받침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L'자형으로 형성된 상기 한 쌍의 앵글부재 수직부에는 높이방향으로 형성된 장공형의 높이조절홈이 앵글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형성되고, 그레이팅 받침대를 형성하는 상기 한 쌍의 일자형 프레임 하부면에는 상기 높이조절홈에 대응되는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높이조절홈과 관통공을 관통하는 볼트와 너트의 결합에 의해 상기 앵글부재와 그레이팅 받침대가 결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앵글부재와 그레이팅 받침대의 결합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조절 구조를 갖는 배수용 수로관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경사 조절 구조를 갖는 배수용 수로관은, 앵글부재와 그레이팅 받침대의 결합위치를 원하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배수용 수로관에서 지면에 노출되는 그레이팅 상부를 수평으로 유지하면서도 그레이팅 하부에 형성되는 수로는 일정 경사를 갖도록 설치되어 평지에서도 효과적인 배수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배수용 수로관은 동일구조 동일형상의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양산성을 가지며, 배수용 수로관에서 지면에 노출되는 그레이팅 상부가 수평으로 유지됨에 따라 운동장, 아파트 단지 내 주차공간 등과 같이 넓은 지역의 수평지면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더불어, 본 발명은 수로본체 하부에 단턱부가 형성되어 있어, 수로관 운반이나 시공 과정 등에서 배수용 수로관을 올리거나 내리는 인양작업을 간편하고 안정감 있게 실시할 수 있으며, 배수용 수로관을 와이어로프에 매달아 인양하여 원하는 지점에 내려놓는 방식의 작업에도 와이어로프에 배수용 수로관을 안정감 있게 매달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용 수로관의 외부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용 수로관에서 수로본체 상부에 위치하는 앵글부재와, 그레이팅 받침대 및 그레이팅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볼트를 통한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볼트를 통한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용 수로관 하부에 단턱부가 형성된 형상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용 수로관이 지면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용 수로관을 일정 경사로 연속하여 복수개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 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용 수로관의 외부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용 수로관에서 수로본체 상부에 위치하는 앵글부재와, 그레이팅 받침대 및 그레이팅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수로관은 수로본체(100)와, 수로본체(100) 상부에 장착되는 한 쌍의 앵글부재(200), 상기 한 쌍의 앵글부재(200) 상부의 내측으로 구비되는 그레이팅 받침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앵글부재(200)와 그레이팅 받침대(300)는 볼트(410)와 너트(420)를 통해 결합된다.
수로본체(100)는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수로가 관통형성된 블록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부에는 도로나 노면 등으로부터 흘러내리는 빗물이 수로로 유도되도록, 상기 수로와 연통되는 집수구(110)가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되어 형성된다. 또한, 수로본체 내부에 형성되는 수로의 단면은 원형, 타원 또는 사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수로본체(100)의 길이방향 양측단부에는 서로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수로본체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서로 맞대어지는 수로본체 연결부위에는 패킹(미도시)이 설치되어 누수를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앵글부재(200)는 집수구(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L'자 형태로 형성되며, 수직부(210)에는 장공형태의 높이조절홈(212)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높이조절홈(212)은 수로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부(210)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된다.
이러한 앵글부재(200)는 수로본체(100) 상부에 형성된 집수구(110)의 개구부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이를 위해 앵글부재(200)의 'L'자형 하부는 지지대(220)를 형성하고, 지지대(220)에는 앵글부재(200)가 앵커볼트(미도시)에 의해 수로본체(100) 상부에 설치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수로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체결공(222)이 형성된다.
그레이팅 받침대(300)는 그레이팅(500)의 안착을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그레이팅 받침대(300)는 한 쌍의 일자형 프레임(310)과 상기 한 쌍의 일자형 프레임(310)을 연결함과 아울러 안착되는 그레이팅(500)을 지지하는 다수의 그레이팅 지지대(320)로 이루어진다. 또한, 그레이팅 받침대(300)의 일자형 프레임(310) 하부면에는 상기 앵글부재(200)에 형성된 다수개의 높이조절홈(212)에 각각 대응되는 다수개의 관통공(312)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높이조절볼트(410)와 너트(420)를 통해 앵글부재(200)와 그레이팅 받침대(300)를 결합시킴으로써 앵글부재(200)와 그레이팅 받침대(300)의 결합위치를 원하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높이조절볼트(410)가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에서 높이조절홈(212)을 관통하여 관통공(312)에 끼워진 상태에서 너트(420)에 의하여 조여지거나 풀리면서 결합됨에 따라, 앵글부재(200)에 그레이팅 받침대(300)를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조절하여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그레이팅 받침대(300)의 높이 조절은 앵글부재(200)의 높이조절홈(212)이 형성된 부위별로 각각 조절가능함에 따라, 사용자는 그레이팅 받침대(300)가 원하는 경사를 갖도록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전체적으로 배수용 수로의 윗면은 수평을 유지하면서도 아랫면이 일정각도록 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배수용 수로관에서 지면에 노출되는 그레이팅 상부는 수평을 유지하면서도 그레이팅 하부에 형성되는 수로는 일정 경사를 갖도록 설치되어 평지에서도 효과적인 배수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볼트를 통한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볼트를 통한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볼트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앵글부재에서 좌측의 앵글부재(200a)에 형성된 다수개의 높이조절홈(212a)별로 각각의 높이조절볼트(410a)가 구비되고, 우측의 앵글부재(200b)에 형성된 다수개의 높이조절홈(212b)별로 각각의 높이조절볼트(410b)가 구비되어, 상기 그레이팅 받침대를 형성하는 한 쌍의 일자형 프레임을 한 쌍의 앵글부재와 각각 볼트와 너트로 나사결합 시킬 수 있다.
즉, 한 쌍의 앵글부재에 대응되어 형성된 한 쌍의 높이조절홈 별로 한 쌍의 높이조절볼트가 각각 구비되어, 높이조절볼트(410)가 우측과 좌측의 앵글부재에 각각 형성된 높이조절홈 (212a, 212b)외측으로 개별적으로 삽입되며, 우측의 앵글부재(200a)에 형성된 높이조절홈(212a)을 관통한 높이조절볼트(410a)는 그레이팅 받침대의 우측 프레임(310a) 하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한 후 너트(420)와 결합되어 고정되고, 좌측의 앵글부재(200b)에 형성된 높이조절홈(212b)을 관통한 높이조절볼트(410b)는 그레이팅 받침대의 좌측 프레임(310b) 하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한 후 너트(420)와 나사결합되어 고정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조절볼트(410)가 장봉형으로 이루어져 양측 끝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한 쌍의 앵글부재에서 좌측 앵글부재(200a)와 우측 앵글부재(200b)에 대응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높이조절홈(212)별로 하나의 높이조절볼트(410)가 구비되어, 장봉형의 높이조절볼트를 통해 상기 한 쌍의 앵글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한 쌍의 일자형 프레임을 일체로 관통시켜 너트와 나사결합 시킬 수 있다.
즉, 한 쌍의 앵글부재에 대응되어 형성된 한 쌍의 높이조절홈(212) 별로 한개의 높이조절볼트(410)가 구비되어, 장봉형의 높이조절볼트(410)가 일측의 앵글부재에 형성된 높이조절홈(212)을 따라 외측으로 삽입되어 그레이팅 받침대와 타측의 앵글부재를 각각 관통한 후 앵글부재 내부와 외부 양측에서 각각 너트(420)와 나사결합되어 고정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봉형의 높이조절볼트를 이용하는 경우, 앵글부재의 좌측과 우측에서 각각 고정되는 그레이팅 받침대의 결합높이가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음과 동시에 좌우측 앵글부재의 이격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용 수로관 하부에 단턱부가 형성된 형상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일반적으로 배수용 수로관의 중량은 적어도 100kg을 초과하며, 큰 것의 경우 800kg에 달해, 이를 운반 및 시공하는 과정에서 로프 및 걸쇠 등을 이용하여 중량(重量)의 수로관을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배수용 수로관의 경우, 장형의 블록형으로 형성되어 배수관 저면이 밋밋한 평면으로 이루어져 있음에 따라 로프에 연결된 걸쇠가 배수관 저면에 제대로 걸림 고정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승강이나 하강 작업 중에 배수관 저면에서 걸쇠가 풀려 이탈하는 등의 사건이 종종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로본체(100) 하부 양측 모서리부분에 내측으로 함몰된 단턱부(130)를 형성하여 수로본체를 구성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로프 및 걸쇠 등을 이용하여 수로관을 승·하강 또는 이송을 수행하는 경우, 인양용 로프에 연결된 걸쇠를 수로본체의 단턱부(130)에 삽입하여 걸리도록 고정하여, 작업공정 중 걸쇠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배수용 수로관 이송이나 시공 과정에서의 수로관 이탈로 인한 사고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배수용 수로관은, 현장에서 시공되어 매립되는 경우, 시공 후의 지면 다짐을 위해 투입되는 잡석이나 버팀용으로 타설되는 몰탈 등이 상기 단턱부(130)에 유입되어 충진됨에 따라, 시공 후 배수용 수로관이 지표하에서 더욱 공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용 수로관이 지면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용 수로관을 일정 경사로 연속하여 복수개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수로관은 굴삭기 등을 이용하여 시공대상 지면을 일정한 폭과 깊이로 굴착시키고, 굴착된 지반위에 혼합석 다짐을 한 뒤 일정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 기초콘크리트(600)를 타설한 후, 이러한 기초콘크리트(600) 위에 배수용 수로관을 배치한다.
이후, 배수용 수로관 양측의 기초 콘크리트(600) 상부에 몰탈(700)을 충진하여 굳혀줌으로써 기초콘크리트 상에 배수용 수로관을 고정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배수용 수로관을 종대로 이어서 배치한 후에는 각각의 배수용 수로관의 앵글부재(200)와 그레이팅 받침대(300)의 결합위치를 높이조절볼트(410)를 통해 원하는 높이로 조절함으로써, 길이 방향으로 따라 연속하여 설치된 다수개의 배수용 수로관이 일정한 경사를 갖도록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앵글부재(200)와 그레이팅 받침대(300)의 결합위치 조절이 완료되면, 그레이팅 받침대(300)에 그레이팅(500)을 배치하고, 앵글부재(300)와 그레이팅 받침대(200)가 위치하는 수로관 본체(100) 주위를 흙이나 자갈(800) 등으로 충진함으로써, 배수용 수로관의 자리이탈과 흔들림을 방지하고, 그레이팅 받침대(300)의 높이 조절 상태의 고정력을 더욱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수로관 본체 상부와 그레이팅 사이의 공간에는 흙, 모래, 블럭 등으로 이루어지는 지지층(900)을 형성하여 결과적으로 형성된 지지층(900)의 상면이 그레이팅의 상면과 동일면으로 이어지도록 하여, 배수용 수로관 상면에 위치하는 그레이팅(500)만이 지면에 노출된 상태로 배수용 수로관이 매립 설치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배수용 수로관에서 지면에 노출되는 그레이팅 상부는 수평을 유지하면서도 그레이팅 하부에 형성되는 수로는 일정 경사를 갖도록 설치되어 평지에서도 효과적인 배수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경사불량을 방지하고 배수용 수로관의 설치를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하다 할 것이다.
100 : 수로본체 110 : 집수구
120 : 수로 130 : 단턱부
200 : 앵글부재 210 : 수직부
212 : 높이조절홈 220 : 지지대
222 : 체결공 300 : 그레이팅 받침대
310 : 일자형 프레임 320 : 그레이팅 지지대
410 : 높이조절볼트 420 : 너트
500: 그레이팅 600 : 기초콘크리트
700 : 몰탈 800 : 흙, 자갈
900 : 지지층

Claims (7)

  1. 지표면 하부에 매립되어 배수로를 형성하는 배수용 수로관에 있어서,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수로가 관통형성된 블록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부에는 상기 수로와 연통되며 상방으로 개구된 집수구가 형성된 수로본체;
    상기 집수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집수구의 개구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L'자 형태의 한 쌍의 앵글부재; 및
    한 쌍의 일자형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일자형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일자형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는 그레이팅 지지대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앵글부재 내측 상부에 연결되어, 수로관 상부에 설치되는 배수용 그레이팅을 지지하는 그레이팅 받침대;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L'자형으로 형성된 상기 한 쌍의 앵글부재 수직부에는 높이방향으로 형성된 장공형의 높이조절홈이 앵글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형성되고,
    그레이팅 받침대를 형성하는 상기 한 쌍의 일자형 프레임 하부면에는 상기 높이조절홈에 대응되는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높이조절홈과 관통공을 관통하는 볼트와 너트의 결합에 의해 상기 앵글부재와 그레이팅 받침대가 결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앵글부재와 그레이팅 받침대의 결합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조절 구조를 갖는 배수용 수로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L'자 형태의 앵글부재 하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을 관통하는 앵커볼트에 의해 상기 수로본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조절 구조를 갖는 배수용 수로관.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로본체에 형성되는 수로의 단면은,
    원형, 타원형 또는 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조절 구조를 갖는 배수용 수로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레이팅 받침대를 형성하는 한 쌍의 일자형 프레임은,
    볼트와 너트의 결합을 통해 상기 한 쌍의 앵글부재와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조절 구조를 갖는 배수용 수로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레이팅 받침대를 형성하는 한 쌍의 일자형 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앵글부재를 관통하고, 양측끝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장봉형의 볼트를 통해 상기 한 쌍의 앵글부재 사이에 일체로 너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조절 구조를 갖는 배수용 수로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로본체 하부 모서리 양측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형상의 단턱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조절 구조를 갖는 배수용 수로관.
KR1020180126919A 2018-10-23 2018-10-23 경사 조절 구조를 갖는 배수용 수로관 KR101975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919A KR101975862B1 (ko) 2018-10-23 2018-10-23 경사 조절 구조를 갖는 배수용 수로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919A KR101975862B1 (ko) 2018-10-23 2018-10-23 경사 조절 구조를 갖는 배수용 수로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5862B1 true KR101975862B1 (ko) 2019-05-07

Family

ID=66656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6919A KR101975862B1 (ko) 2018-10-23 2018-10-23 경사 조절 구조를 갖는 배수용 수로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58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85200A (zh) * 2019-10-21 2020-01-14 中铁四院集团岩土工程有限责任公司 定位装置、水沟成型组件及水沟成型施工方法
KR102161104B1 (ko) * 2020-03-10 2020-09-29 김경란 빙상경기장용 냉각수 배출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2679A (ja) * 2000-03-17 2001-09-26 Hokushiyou Cement Kogyosho:Kk 側溝におけるグレーチングの取付構造
KR100758560B1 (ko) 2006-08-17 2007-09-13 주식회사 계림폴리콘 구배 프리캐스트 트렌치 구조
JP4498638B2 (ja) * 2001-06-19 2010-07-07 株式会社伊田屋本店 排水溝構造
KR20130015926A (ko) * 2011-08-05 2013-02-14 길현만 평판형 원형 수로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2679A (ja) * 2000-03-17 2001-09-26 Hokushiyou Cement Kogyosho:Kk 側溝におけるグレーチングの取付構造
JP4498638B2 (ja) * 2001-06-19 2010-07-07 株式会社伊田屋本店 排水溝構造
KR100758560B1 (ko) 2006-08-17 2007-09-13 주식회사 계림폴리콘 구배 프리캐스트 트렌치 구조
KR20130015926A (ko) * 2011-08-05 2013-02-14 길현만 평판형 원형 수로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85200A (zh) * 2019-10-21 2020-01-14 中铁四院集团岩土工程有限责任公司 定位装置、水沟成型组件及水沟成型施工方法
KR102161104B1 (ko) * 2020-03-10 2020-09-29 김경란 빙상경기장용 냉각수 배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00621A (en) Apparatus for forming a trench
US499387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trench
US6578333B1 (en) Integrated precast footings
US7076925B2 (en) Integrated footings
US20060239773A1 (en) Trench drain frame and grate assembly
KR101975862B1 (ko) 경사 조절 구조를 갖는 배수용 수로관
US5586416A (en) Concrete form with integral drain
KR20100110470A (ko) 배수기능이 향상된 옹벽 및 옹벽의 시공방법
KR100982819B1 (ko) 조립식 배수로
EP3420138A1 (en) Anchoring device for a fence
KR102612755B1 (ko) 저심도 어플리케이션에 사용되는 유체의 지하 관리를 위한 모듈 및 어셈블리
KR101978908B1 (ko) 경사 조절 구조를 갖는 배수용 수로관
KR101526461B1 (ko) 기능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수로암거
KR102180213B1 (ko) 상하수도관 설치용 콘크리트재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상하수도관 시공방법
US20150135612A1 (en) Apparaturs and Method for Supporting Headstones
JP6095840B1 (ja) 排水枡及びu形側溝並びに施工方法
KR100487838B1 (ko) 조립식 콘크리트 옹벽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827009B1 (ko) 상하수도관 매설용 토류판
KR100593187B1 (ko) 친환경적 비탈면 보호시설
KR100665986B1 (ko) 적정수압 유지를 위한 배수로 시공방법
KR100964721B1 (ko) 도로 확장 블록 시공방법
KR100561716B1 (ko) 측구
KR102247570B1 (ko) 인공암을 이용한 인공성벽 시공방법 및 인공성벽 구조
JP2008231756A (ja) ガードレール等を支持する為の支柱の沈下防止装置及び支柱の施工方法。
KR100639253B1 (ko) 하수도 침하방지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