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3408B1 - 전천후 실외 아이스링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천후 실외 아이스링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3408B1
KR101783408B1 KR1020150121190A KR20150121190A KR101783408B1 KR 101783408 B1 KR101783408 B1 KR 101783408B1 KR 1020150121190 A KR1020150121190 A KR 1020150121190A KR 20150121190 A KR20150121190 A KR 20150121190A KR 101783408 B1 KR101783408 B1 KR 101783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water
spray
link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1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5169A (ko
Inventor
유종현
황유안
Original Assignee
유종현
주식회사 포에이치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종현, 주식회사 포에이치글로벌 filed Critical 유종현
Priority to KR1020150121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3408B1/ko
Publication of KR20170025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5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3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3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E04H3/14Gymnasiums; Other sporting build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9/00Design or layout of playing courts, rinks, bowling greens or areas for water-skiing; Cov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9/00Design or layout of playing courts, rinks, bowling greens or areas for water-skiing; Covers therefor
    • A63C19/10Ice-skating or roller-skating rinks; Slopes or trails for skiing, ski-jumping or tobogga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천후 실외 아이스링크 시스템에 있어서, 아이스링크의 수평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하부의 바닥 구조물; 바닥 구조물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면에 분무층이 형성된 빙면; 및 빙면으로 조사되는 직사광선을 차단하는 천막 구조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래사장과 같은 연약 지반에 구현이 가능하고, 천막 구조물이 빙면으로 조사되는 직사광선을 차단하며, 따뜻한 날씨에도 빙면의 결빙 유지를 용이하게 하고 사용자의 부상 위험도를 감소시키는 분무층이 빙면에 형성됨으로써, 여름철 수영복이나 짧은 복장으로 피부가 노출된 사용자가 아이스링크를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전천후 실외 아이스링크 시스템{ALL WEATHER OUTDOOR ICE-RINK SYSTEM}
본 발명은 전천후 실외 아이스링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해변가의 모래사장과 같이 지반이 불안정하고, 피부가 노출되는 여름철 환경에도 안전하게 스케이팅이 가능한 실외 아이스링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아이스 스케이팅은 전 세계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즐기는 운동중의 하나이며, 아이스링크는 스케이트 등의 빙상 스포츠를 할 수 있는 공간을 말한다. 종래의 아이스링크는 실외 링크장 또는 실내 링크장의 형태로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실외 링크장의 경우, 외부 기후나 날씨에 따라 건축 및 빙면의 관리가 어려워 기온이 낮은 겨울철에 제공된다. 반면, 실내 링크장은 외부의 기후나 날씨에 좌우되지 않으며, 냉각 시스템에 의해서 약 영하 5ㅀ의 실내온도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사계절 제공될 수 있다.
실외이든 실내이든 아이스링크는 사용자의 스케이팅시 스케이트 날과의 마찰로 빙면의 표면에 지속적인 상처가 생기게 된다. 약 영하 5ㅀ의 실내온도에서 형성된 빙면의 상처는 그 표면 상태가 매우 거칠어서 사용자가 넘어졌을 때 부상의 위험도가 높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링크장의 낮은 온도 및 부상 위험도 때문에 두터운 복장을 착용하게 된다.
또한, 빙면의 거칠기는 사용자의 스케이트 날을 어긋나게 하여 사용자가 쉽게 넘어질 수 있다. 아이스링크의 빙면은 매끄럽도록 지속적으로 유지되어야 하고, 스케이트를 타기에 충분하도록 주기적으로 표면을 정빙해야 한다.
한편, 따뜻한 계절인 여름철에는 일반적으로 가볍고 짧은 복장을 착용하게되어 피부가 노출된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부상의 위험도가 높고 정빙이 어려운 여름철 실외 링크장은 제공되고 있지 않다. 실내 링크장 역시, 실내 기온이 영하로 유지되기 때문에 여름철에 이용하는 사용자는 별도의 복장을 지참하여야 한다.
피부가 노출된 사용자가 넘어져도 부상의 위험도가 적으면서, 높은 기온에도 결빙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빙면을 형성할 경우, 실외 링크장을 여름철에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름철의 실외 링크장은 겨울 스포츠로 인식된 아이스링크를 색다른 느낌으로 즐길 수 있게 하여 고객을 흡인하기 용이하다. 특히, 여름철 약 70만의 인파가 찾게 되는 해운대와 같은 휴양지에 아이스링크를 구현할 수 있다면, 링크장의 펜스나 천막 등을 통해 막대한 광고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름철 부상의 위험도를 낮추면서, 해운대와 같이 연약 지반에도 아이스링크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고정식 콘크리트 구조물과 달리 결합, 철거가 용이하고, 지반의 수평을 보강할 수 있어야 하며, 효율적인 전력으로 결빙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하고, 빙면이 거칠지 않으면서 넘어졌을시 부상의 위험이 적어야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0448644호
본 발명은 모래사장과 같은 연약 지반에 구현이 가능하고, 사계절 이용 가능한 실외 아이스링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여름철 수영복이나 짧은 복장으로 피부가 노출된 사용자의 부상 위험도를 감소시키면서 빙면의 결빙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실외 아이스링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천후 실외 아이스링크 시스템에 있어서, 아이스링크의 수평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하부의 바닥 구조물; 바닥 구조물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면에 부상방지를 위한 분무층이 형성된 빙면; 및 빙면으로 조사되는 직사광선을 차단하는 천막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천막 구조물은 상호 이격되어 지면으로부터 상향 설치된 복수개의 외벽 프레임; 외벽 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되어 지붕 구조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천정 프레임; 및 지붕 프레임의 상면에 씌워지는 단열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다른 실외 아이스링크 시스템은 천막 구조물에 개폐가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방풍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바닥 구조물은 연약 지반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골격을 형성하고 바닥과 하기의 데크를 이격시키는 복수의 지주; 지주의 상단에 결합되어 지반의 지지력을 확보하는 데크(deck); 및 데크(deck)의 상부에 적층되어 바닥의 수평을 보강하는 수평 보강재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바닥 구조물은 수평 보강재의 상부에 적층되어 온도변화에 따른 지반 구조물의 팽창과 수축을 감쇄시키는 단열 보온재; 및 내부에 냉매재가 흐르고, 단열 보온재의 상부에 배치되어 빙면을 형성시키는 복수의 아이스롤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지주는 유로폼으로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실외 아이스링크 시스템은 물을 입자 형태로 분사하여 상기 분무층을 형성하는 물 분사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물 분사 장치는 물을 가압 공급하는 공급로; 및 공급로에서 가압 공급된 물을 입자 형태의 분무수로 변환하는 미세 분무구가 형성된 하나 이상의 분사 노즐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물 분사 장치는 몸체의 중앙에 미세 분무구가 노출되도록 분사 노즐이 인입 고정된 팬(fan)을 더 구비하고, 팬은 날개가 회전하여 송풍되는 공기로 분사 노즐에서 분무되는 분무수를 빙면 상에 고르게 퍼뜨릴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분사 노즐은 천막 구조물에 설치되고, 빙면이 형성된 수직방향으로 분무수를 분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분사 노즐은 외벽 프레임에 설치되어 빙면이 형성된 내측 방향으로 분무수를 분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래사장과 같은 연약 지반에 구현이 가능하고, 천막 구조물이 빙면으로 조사되는 직사광선을 차단하며, 따뜻한 날씨에도 빙면의 결빙 유지를 용이하게 하고 사용자의 부상 위험도를 감소시키는 분무층이 빙면에 형성됨으로써, 여름철 수영복이나 짧은 복장으로 피부가 노출된 사용자가 아이스링크를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로써, 장소 및 계절의 제약이 존재하는 아이스링크장을 여름철 다수의 피서객이 찾게 되는 해변가에 설치하여 펜스 및 천막을 통해 효과적인 광고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외 아이스링크 시스템을 도시한 모습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막 구조물을 도시한 모습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 구조물을 도시한 모습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 분사 장치를 도시한 모습이다.
도 5a는 도 4에 따른 물 분사 장치가 천막 구조물의 상부에 배치된 실시예이고, 도 5b는 도 4에 따른 물 분사 장치가 천막 구조물의 측면에 배치된 실시예를 도시한 모습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 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외 아이스링크 시스템(1)을 도시한 모습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천후 실외 아이스링크 시스템(1)은 천막 구조물(103), 방풍막(109), 바닥 구조물(101), 분무층이 형성된 빙면(15), 냉동기(105), 냉동관(151, 도 3), 물 분사 장치(108), 및 정빙차(1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실외 아이스링크 시스템(1)은 계절과 장소의 제약 없이 스케이트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서, 여름철 다수의 사람들이 찾게 되는 해변가와 같이 넓은 공간이 확보된 지역에서 스케이트장의 구현이 가능하다. 이 경우, 스케이트장은 수영복과 같이 신체의 피부가 노출된 사용자들이 넘어져도 크게 다치지 않도록 빙면을 형성해야 하고, 다량의 염분과 고온 다습한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 하며, 직사광선을 차단할 수 있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막 구조물(103)을 도시한 모습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천막 구조물(103)은 외벽 프레임(1031), 천정 프레임(1033), 세로 보(1036), 가로 보(1035) 및 단열 부재(1037)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천막 구조물(103)은 직사 광선 및 바람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면서, 설치 및 철거가 용이해야 한다.
외벽 프레임(1031)은 상호 이격되어 지면으로부터 상향 설치될 수 있다. 외벽 프레임(1031)은 천막 구조물(103)의 지주로서, 아이스링크(100)의 길이 방향으로 등간격 설치될 수 있다.
천정 프레임(1033)은 외벽 프레임(1031)의 상단에 결합되어 지붕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외벽 프레임(1031) 및 천정 프레임(1033)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형강 또는 파이프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천정 프레임(1033)은 외벽 프레임(1031)의 상단에 결합시, 천정 구조를 이루는 결합각 모양의 연결부재가 천정 프레임(1033)과 외벽 프레임(1031)의 사이에 삽입되어 조립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천정 프레임(1033)의 지붕 구조는 삼각 모양으로 도시되었으나, 평면 또는 돔 형상으로 제공되어도 무방하다. 천막 구조물(103)은 천정 프레임(1033)의 강성 및 외골격을 견고히 할 수 있도록, 가로 보(1035) 및 세로 보(1036)로 보강될 수 있다.
단열 부재(1037)는 지붕 프레임(1033)의 상면에 씌워진다. 단열 부재(1037)로는 빙면(15)으로 입사되는 직사광선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건축 단열재 또는 천막 시트가 이용될 수 있다.
방풍막(109)은 천막 구조물(103)에 개폐가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방풍막(109)은 해변가의 고온 다습한 바람 및 직사광선을 차단할 수 있다. 여름철 스케이트장의 결빙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직사광선의 차단이 필수적이다. 이 경우, 단열 부재(1037)는 빙면(15)으로 입사되는 수직 방향의 직사광선은 효율적으로 차광할 수 있으나, 태양의 이동에 따라 아이스링크(100)의 측방향으로 조사되는 직사광선은 차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에 따라 방풍막(109)은 단열 소재로 제공되고, 아이스링크(100) 측방향의 직사광선을 차광할 수 있도록 천정 프레임(1033) 하부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방풍막(109)은 소정의 간격으로 관입된 외벽 프레임(109) 사이마다 개폐가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방풍막(109)은 지면과의 수직 방향으로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방풍막(109)은 원통형 롤러에 권취된 상태로 천정 프레임(1033)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천막 구조물(103)의 좌측 또는 우측의 방풍막(109) 높이를 조절하여 아이스링크(100) 내부를 차광 및 방풍한다.
본 실시예에서 방풍은 물 분사 장치(108)가 분무하는 미세 분무수가 외풍에 의해 날아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는 빙면(15)에 수막을 형성하여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하고, 결빙 상태를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미세 분무수가 빙면(15) 상에 지속적으로 공급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방풍막(109)은 낮과 밤따라 바람 방향이 바뀌는 해변에서 해풍 또는 육풍의 방향에 따라 개폐 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 구조물(101)을 도시한 모습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바닥 구조물(101)은 복수의 지주(1011), 데크(deck)(1013), 수평 보강재(1015), 단열 보온재(미도시), 방수 필름(1016), 및 아이스롤(1017)을 포함할 수 있다.
지주(1011)는 연약 지반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골격을 형성하고 바닥과 데크(1013)를 이격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로, 연약 지반은 해변과 같은 모래사장이 될 수 있다. 데크(1013)는 지주(1011)에 의해서 바닥과 이격되므로 지열의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다. 지주(1011)는 도 3a와 같이 지반 내로 관입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로서 지주(1011)는 도 3b와 같이 지반 상에 눕혀진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 본 실시예로, 지주(1011)는 조립 및 철거가 용이하도록 유로폼으로 제공될 수 있다.
데크(1013)는 지주(1011)의 상단에 결합되어 지반의 지지력을 확보한다. 수평 보강재(1014)는 데크(1013)의 상부에 적층되어 바닥의 수평을 보강한다. 수평 보강재(1014)의 상부에는 단열 보온재(미도시) 및 방수 필름(1016)이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방수 필름(1016) 및 단열 보온재(미도시)는 온도변화에 따른 지반 구조물의 팽창과 수축을 감쇄시킬 수 있다.
바닥 구조물(101)의 최상부에는 아이스롤(1017)이 배열될 수 있다. 아이스롤(1017)은 냉동관(1051)과 연결되어 냉동기(105)로부터 공급된 냉매제가 내부에 흐르는 파이프로 이해될 수 있다. 아이스롤(1017)은 다수로 제공되고, 방수 필름(1016) 상부에 등간격으로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로 냉매제로는 암모니아수가 사용될 수 있다.
약 영하 40도의 냉매제가 흐르는 아이스롤(1017)의 위로 물을 뿌리게 되면 빙면(15)이 형성된다. 이러한 빙면(15)은 전술한 바와 같이 표면이 매우 거칠어 이용자들이 넘어졌을시 다치게 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빙면(15)의 표면 마찰력을 감소시키면서도 결빙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수단이 요구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링크 시스템(1)은 빙면(15)에 분무층(151)을 형성시킴으로써, 빙면(15)의 표면 마찰력을 감소시킨다. 본 명세서에서 지칭하는 분무층(151)은 얇은 수막으로 이해될 수 있다. 분무층(151)은 너무 두꺼우면 빙면(15) 위에서 물층이 형성되어 질척 거리고, 스케이팅이 어렵게 되므로 얇고 고르게 분사되어야 한다.
물 분사 장치(108)는 물을 입자 형태로 분사하여 빙면(15)상에 분무층(151)을 형성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두가지 실시예에 따른 물 분사 장치(108)를 도시한 모습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물 분사 장치(108)는, 물을 가압 공급하는 공급로(1081); 및 공급로(1081)에서 가압 공급된 물을 입자 형태의 분무수로 변환하는 미세 분무구가 형성된 복수개의 분사 노즐(1083)을 구비할 수 있다.
도면상에는 하나의 공급로(1081) 및 분사 노즐(1083)만 도시하였으나, 공급로(1081) 및 분사 노즐(1083)은 복수개가 단일 물 공급로(또는 물 펌프)(17)에 연결되어 제공될 수 있다. 공급로(1081)는 분기되는 지점 마다 원격으로 개폐가 가능한 벨브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미세 분무수는 빙면(15)에 분무층(151)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기화열에 의해 아이스링크(100) 내부 공간을 냉각할 수 있고, 사람의 피부에 직접 닿아 피부 위에서 순간적으로 증발하여 기화열을 빼앗음으로써 청량감을 부여할 수 있다. 미세 분무수는 이와 같이 스케이트 이용자에게 맑고 시원한 느낌을 주면서, 빙면(15)의 결빙 상태를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고, 분무층(151)을 형성하여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4b는 물 분사 장치(108)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모습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물 분사 장치(108)는 물을 가압 공급하는 공급로(1081); 공급로(1081)에서 가압 공급된 물을 입자 형태의 분무수로 변환하는 미세 분무구가 형성된 복수개의 분사 노즐(1083); 및 몸체의 중앙에 미세 분무구가 노출되도록 분사 노즐(1083)이 인입 고정된 팬(1085)을 포함할 수 있다.
팬(1085)은 중공이 형성된 몸체, 몸체를 회전 시키는 모터, 몸체에 연결된 날개 및 팬 덮개를 구비할 수 있다. 분사 노즐(1083)은 중공형의 몸체에 인입 고정될 수 있다. 팬(1085)은 날개가 회전하여 송풍되는 공기로 분사 노즐(1083)에서 분무되는 분무수를 빙면(15) 상에 고르게 퍼뜨릴 수 있다.
도 5a는 도 4에 따른 물 분사 장치(108)가 천막 구조물(103)의 상부에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5a를 참조하면, 분사 노즐(1083)은 천막 구조물(103)의 상부에 설치되어 빙면(15)이 형성된 수직방향으로 분무수를 분무할 수 있다. 이 경우, 분사 노즐(1083)은 가로 보(1035)에 하면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5b는 도 4에 따른 물 분사 장치(108)가 천막 구조물(103)의 측면에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5b를 참조하면, 분사 노즐(1083)은 외벽 프레임(1031)에 설치되어 빙면(15)이 형성된 내측 방향으로 분무수를 분무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도 5a와 달리 분사 노즐(1083)이 아이스링크(100)의 외측에 설치되어 측방향으로 분무수를 분무한다.
정빙차(13)는 빙면(15)의 거칠어진 표면을 매끄럽게 하는 연마 패드; 물이 담지되고, 담지된 물을 연마 패드로 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링크 시스템(1)은 충분한 공간만 확보되면 계절 및 장소의 제약 없이 스케이트장을 제공할 수 있다. 천막 구조물(103)은 외부에서 아이스링크(100)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일면이 오픈되어 있어, 여름철 해변가를 찾아온 다수의 관광객을 흡입하기 용이하고, 천막(1037)이나 펜스(104)의 외측에 광고물을 부착하여 효율적인 홍보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 아이스링크 시스템 11: 연약 지반
13: 정빙차 15: 빙면
17: 물탱크 151: 분무층
100: 아이스링크 101: 바닥 구조물
1011: 지주 1013: 데크
1014: 수평 보강재 1015: 단열 보온재
1016: 방수 필름 1017: 아이스롤
103: 천막 구조물 1031: 외벽 프레임
1033: 천정 프레임 1035: 가로 보
1036: 세로 보 1037: 단열 부재
104: 펜스 105: 냉동기
1051: 냉동관 108: 물 분사 장치
1081: 공급로 1083: 분사 노즐
1085: 팬 109: 방풍막

Claims (11)

  1. 전천후 실외 아이스링크 시스템에 있어서,
    아이스링크의 수평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하부의 바닥 구조물;
    상기 바닥 구조물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면에 부상방지를 위한 분무층이 형성된 빙면;
    개폐가 가능하도록 방풍막이 마련되어 하기의 물 분사 장치에서 분사된 입자 형태의 물이 아이스링크의 외부로 방사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빙면으로 조사되는 직사광선을 차단하는 천막 구조물; 및
    상기 천막 구조물에 고정되고 물을 입자 형태로 분사하여 상기 분무층을 형성하는 물 분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물 분사 장치는 상기 빙면에 지속적으로 물을 분사하여 사용자의 아이스링크 이용중 상기 분무층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 아이스링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천막 구조물은,
    상호 이격되어 지면으로부터 상향 설치된 복수개의 외벽 프레임;
    상기 외벽 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되어 지붕 구조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천정 프레임; 및
    상기 천정 프레임의 상면에 씌워지는 단열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 아이스링크 시스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구조물은,
    연약 지반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골격을 형성하고 바닥과 하기의 데크를 이격시키는 복수의 지주;
    상기 지주의 상단에 결합되어 지반의 지지력을 확보하는 데크(deck); 및
    상기 데크(deck)의 상부에 적층되어 바닥의 수평을 보강하는 수평 보강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 아이스링크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구조물은,
    상기 수평 보강재의 상부에 적층되어 온도변화에 따른 지반 구조물의 팽창과 수축을 감쇄시키는 단열 보온재; 및
    내부에 냉매재가 흐르고, 상기 단열 보온재의 상부에 배치되어 빙면을 형성시키는 복수의 아이스롤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 아이스링크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는 유로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 아이스링크 시스템.
  7. 삭제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물 분사 장치는,
    물을 가압 공급하는 공급로; 및
    상기 공급로에서 가압 공급된 물을 입자 형태의 분무수로 변환하는 미세 분무구가 형성된 하나 이상의 분사 노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 아이스링크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물 분사 장치는,
    몸체의 중앙에 상기 미세 분무구가 노출되도록 상기 분사 노즐이 인입 고정된 팬(fan)을 더 구비하고,
    상기 팬은 날개가 회전하여 송풍되는 공기로 상기 분사 노즐에서 분무되는 분무수를 상기 빙면 상에 고르게 퍼뜨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 아이스링크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노즐은 상기 천막 구조물에 설치되고, 상기 빙면이 형성된 수직방향으로 분무수를 분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 아이스링크 시스템.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노즐은,
    상기 외벽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빙면이 형성된 내측 방향으로 분무수를 분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 아이스링크 시스템.
KR1020150121190A 2015-08-27 2015-08-27 전천후 실외 아이스링크 시스템 KR101783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1190A KR101783408B1 (ko) 2015-08-27 2015-08-27 전천후 실외 아이스링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1190A KR101783408B1 (ko) 2015-08-27 2015-08-27 전천후 실외 아이스링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169A KR20170025169A (ko) 2017-03-08
KR101783408B1 true KR101783408B1 (ko) 2017-10-10

Family

ID=58403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1190A KR101783408B1 (ko) 2015-08-27 2015-08-27 전천후 실외 아이스링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340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644Y1 (ko) * 2009-07-31 2010-05-04 (주)에스지티엔에이 스케이트장 패널 지지장치 및 그 지지장치를 포함한 실내외 전전후 사계절 스케이트장
KR101456577B1 (ko) * 2013-09-25 2014-10-31 주식회사 세항 아이스링크 겸용 다목적 스포츠시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8644B1 (ko) 2002-04-12 2004-09-13 에버테크노 주식회사 휴대폰 에이징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644Y1 (ko) * 2009-07-31 2010-05-04 (주)에스지티엔에이 스케이트장 패널 지지장치 및 그 지지장치를 포함한 실내외 전전후 사계절 스케이트장
KR101456577B1 (ko) * 2013-09-25 2014-10-31 주식회사 세항 아이스링크 겸용 다목적 스포츠시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169A (ko) 201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0227445B2 (en) Above-ground, compact, multi-purpose pool for practicing stationary swimming
AU2013284994B2 (en) A device to shade persons from bright sunshine dynamically from large height by matching shade pattern to presence
US4551985A (en) Rink covering structure
JP6266505B2 (ja) 芝用格子
WO2014102716A1 (en) A dwelling
KR101937381B1 (ko) 빙상 트랙 운용을 위한 돔 시스템
JP5758849B2 (ja) 外構部材および外構構造物
KR101783408B1 (ko) 전천후 실외 아이스링크 시스템
US4467619A (en) Method of using frozen salt water to maintain a low cost, low energy consuming indoor or outdoor ice rink
US3636725A (en) Apparatus for preparing and maintaining ice skating rinks
WO2020230430A1 (ja) 半地下式農業用ハウス
US20100212232A1 (en) Unified multiple use stadium structure
JP2020080816A (ja) 温室
US3495415A (en) Method for preparing and maintaining ice skating rinks
WO2018013059A1 (en) A shelter and a method of forming the same
CN214364233U (zh) 具备保温功能的组合式墙
KR20120116300A (ko) 인공 빙벽 제조장치
JP2528428B2 (ja) トンネルを利用した地下スポ―ツ施設
RU2625843C1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ое сооружение "узел спорта на открытом воздухе"
JP3316152B2 (ja) 移動式天然芝グランドシステム装置およびその移動式天然芝パレット
WO2016159785A1 (en) A dwelling temperature management system
US20080040985A1 (en) Structural Sky Roof
JP2816670B2 (ja) 人工スキー場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H0424376A (ja) 複合レジャー施設
JP2012237142A (ja) 面状構造体と潅水構造体とこれらを用いた潅水システム及び潅水システムを用いる地表面温度の低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