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8537B1 - 경기장용 안전펜스 - Google Patents

경기장용 안전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8537B1
KR101278537B1 KR1020130035477A KR20130035477A KR101278537B1 KR 101278537 B1 KR101278537 B1 KR 101278537B1 KR 1020130035477 A KR1020130035477 A KR 1020130035477A KR 20130035477 A KR20130035477 A KR 20130035477A KR 101278537 B1 KR101278537 B1 KR 101278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ce
unit
stadium
wall
cushio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5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호택
고순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에이이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에이이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에이이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130035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85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8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8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9/00Design or layout of playing courts, rinks, bowling greens or areas for water-skiing; Covers therefor
    • A63C19/12Removable protective covers for courts, rinks, or game pitche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enc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기장용 안전펜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충격 방향에 따라 중공 형태가 변형되며 중공 내부에 유동 가능한 복수의 완충부재를 구성하여 충격 지점에 대한 중공의 변형에 따른 완충과 완충부재의 유동 및 완충부재 자체에 따른 완충 기능을 가지며 유지보수 및 광고 게재가 용이한 안전펜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겹층된 복수의 쿠션층 중 일부 쿠션층에 하나 이상의 중공을 형성하고 중공 내에서 유동 가능한 복수의 에어볼을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방향으로 동시에 전달되는 충격에 대해서 복수의 에어볼이 이동하여 각 충격방향에 대한 완충성을 제공하고 각 에어볼의 충격분산에 따라 낮은 반발성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어 경기장용 안전펜스에 충돌한 인체를 안정적으로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은 복수의 단위펜스부를 조립식으로 적층하여 경기장용 안전펜스를 구성할 수 있어, 경기장의 벽체 높이에 맞춤식으로 제작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일부 단위펜스부가 손상된 경우 이를 용이하게 교체하고 재조립할 수 있어 제조비용 및 유지보수 비용을 크게 절감하는 동시에 관리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경기장용 안전펜스{A safety fence for stadium}
본 발명은 경기장용 안전펜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충격 방향에 따라 중공 형태가 변형되며 중공 내부에 유동 가능한 복수의 완충부재를 구성하여 충격 지점에 대한 중공의 변형에 따른 완충과 완충부재의 유동 및 완충부재 자체에 따른 완충 기능을 가지며 유지보수 및 광고 게재가 용이한 안전펜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기장에는 선수를 보호하기 위한 펜스 시설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선수가 관성에 따라 움직임을 제어하지 못하여 벽체와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고, 펜스를 통해 인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여 부상을 방지하는 동시에 안심하고 운동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충격흡수를 위한 펜스 시설은 완충재를 벽체에 부착하여 구성하며, 해당 완충재는 일반적으로 발포고무나 스폰지 등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발포고무나 스폰지로 구성된 완충재는 넓은 면적으로 충격이 가해질때 충격이 분산되면서 기본적인 완충효과가 보장되나 좁은 면적으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이를 적절하게 분산하지 못하게 되면서 완충효과가 급격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최근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등록특허 제0576651호의 구성에 따른 펜스시설(2000)과 같이 복수의 완충재(220, 230)를 서로 다른 재질로 구성하거나, 완충재 내부 구조를 허니콤(honeycomb)이나 격자 등의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하는 등의 방식으로 좁은 범위로 가해지는 충격을 집중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완충재 좁은 범위의 충격에 대해서 어느정도 효과가 보장되나 완충재(220, 230)에 가해지는 충격방향이 항상 완충재(220, 230)와 수직으로 가해지는 것이 아니며 일반적으로 완충재(220, 230)의 탄성력이 수직방향에 대하여 작용하므로, 측방향의 충격에 대해서는 완충재(220, 230)가 고정된채로 충격방향으로 밀려나 오히려 응력이 작용하므로 충격이 흡수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더군다나, 다방향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밀린 완충재(220, 230)의 표면이 뭉치게 되므로 응집도가 더욱 커져 완충기능이 더욱 떨어진다.
한편, 야외 경기장의 경우 내후성 확보를 위해 현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재(220, 230)를 별도의 외피(210)로 감싸고 있는데, 이러한 외피를 EPDM과 같은 표층고무시트(210)로 구성하여 완충재(220, 230)와 함께 일체로 강하게 고정시키는 방식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표층고무시트(210)로 인하여 완충재(220, 230)가 압축되므로 내부에 위치한 완충재(220, 230)의 충격흡수력을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야구장과 같이 상업적인 경기시설에는 외곽면을 따라 상기 표층고무시트(210)로 감싼 완충재(220, 230)를 펜스시설(2000)로 설치하고 해당 펜스시설(2000)을 통해 광고를 진행해야 하는데, 기존 펜스시설(2000)은 상기 표층고무시트(210)가 벽체에 직접 고정되어 상기 내부 완충재(220, 230)를 지지하는 구성을 가지므로 광고변경시마다 매번 탈부착할 수가 없어 표층고무시트(210)에 직접 각종 광고물을 부착하거나 도료를 페인팅하여 광고를 진행해야 한다.
그러나, 상기 표층고무시트(210)에 광고물을 부착하는 경우 광고물 표면이 미끄럽기 때문에 선수 안전에 위협이 될 수 있다.
또한, 표층고무시트(210)에 도료를 페인팅하는 경우 페인팅된 부분에 대하여 국부적으로 경화되는 현상을 나타내어 부상의 위험이 커지게 되며, 광고를 교체해야 하는 경우 기존 광고를 지우고 덧칠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이 상당하고 페인트로 덧칠된 표층고무시트(210)는 고무 특유의 부드러운 성질을 잃어버리고 합판처럼 굳어져 충격완화기능을 상실하는 문제점이 있어 주로 대형 장기 광고에만 적용되고 단기광고를 회피하게 되어 광고 수익성이 크게 악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군다나, 잦은 충돌로 인하여 표층고무시트(210)가 쉽게 파손되는데, 이러한 표층고무시트(210)를 교체하는 번거로움과 비용이 상당하며, 파손된 부분을 일부 보수하는 경우 보수된 부분에 있어서 쿠션감이 상실되며 미관상에도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더하여, 상기 표층고무시트(210)를 완충재(220, 230)를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사용하므로 외벽체의 크기가 서로 다른 경기장의 경우 각 경기장의 외벽체 크기에 맞추어 각 경기장마다 서로 다른 크기의 표층고무시트(210) 및 완충재(220, 230)를 제작하여야 하므로 제조비용이 상당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존 펜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구조를 가지는 안전 펜스의 개발이 요구된다.
등록특허 제0576651호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경기장용 안전펜스는 넓은 범위의 충격 뿐 아니라 국부적인 충격이나 측방향의 충격 및 다양한 방향에서의 동시다발적인 충격을 모두 안정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안전펜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기장용 안전펜스는 경기장의 외벽체 크기에 대응하여 안전펜스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여 제조비용을 크게 절감하는 동시에 일부 파손시 파손된 부분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유지 보수 비용 또한 크게 절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경기장용 안전펜스는 완충재의 내후성을 보장하기 위한 상기 완충재를 감싸는 외피를 용이하게 탈부착이 가능하고 광고 인쇄물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하여, 대형 장기 광고 뿐만 아니라 단기광고에도 용이하게 적용하여 광고 수익성을 향상시키며 유지보수가 편리하여 경기장의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기장의 벽체에 설치되어 외부 충격에 대한 완충기능을 제공하는 경기장용 안전펜스는, 합판부재와, 일면이 상기 합판부재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 1 쿠션층과, 상기 제 1 쿠션층의 타면에 일면이 결합되며, 하나 이상의 중공을 포함하는 제 2 쿠션층과, 상기 외부 충격에 따라 유동가능하도록 상기 제 2 쿠션층의 각 중공 내에 채워지며 완충성을 가지는 복수의 완충부재와, 상기 제 2 쿠션층의 타면에 결합되며,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제 3 쿠션층을 포함하는 복수의 단위펜스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단위펜스부를 적층 구성하여 상기 벽체의 일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완충부재는 내부 공기를 통해 쿠션감을 제공하는 에어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합판부재는 벽체의 일면에 설치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레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레임은 길이방향이 상기 합판부재의 너비방향과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경기장용 안전펜스는 상기 벽체에 일측이 고정되며, 적층된 복수의 단위펜스부 중 어느 하나의 단위펜스부에 구성된 프레임과 연결되는 타측이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된 벽체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벽체 연결부의 타측은 상기 적층된 복수의 단위펜스부 중 최하단에 위치한 단위펜스부에 연결되며, 상기 최하단에 위치한 단위펜스부의 프레임에 형성된 중공에 삽입되어 상기 적층된 복수의 단위펜스부를 일체로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경기장용 안전펜스는 벽체에 고정되며 중공이 형성된 걸림부와, 일측과 타측이 각각 상기 걸림부의 중공 및 상기 적층된 복수의 단위펜스부 중 최상단에 위치한 단위펜스부의 프레임에 형성된 중공에 삽입되는 걸림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상부와 하부에 각각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경기장용 안전펜스는 일측과 타측이 각각 서로 상이한 단위펜스부의 프레임에 형성된 중공에 삽입되어 적층된 상기 각 단위펜스부를 인접한 하나 이상의 다른 단위펜스부와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프레임은 파이프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각 프레임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구조물 또는 상기 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스토퍼가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를 통해 상기 단위펜스부의 하중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밖에, 상기 경기장용 안전펜스는 적층된 복수의 단위펜스부를 감싸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단위펜스부 일부에 탈부착되는 접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는 광고 인쇄가 가능한 인쇄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적층된 복수의 단위펜스부는 상기 경기장의 벽체 높이에 따라 상이한 개수의 단위펜스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겹층된 복수의 쿠션층 중 일부 쿠션층에 하나 이상의 중공을 형성하고 중공 내에서 유동 가능한 복수의 에어볼을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방향으로 동시에 전달되는 충격에 대해서 복수의 에어볼이 이동하여 각 충격방향에 대한 완충성을 제공하고 각 에어볼의 충격분산에 따라 낮은 반발성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어 경기장용 안전펜스에 충돌한 인체를 안정적으로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충격형태에 맞추어 에어볼이 신속히 이동 및 변형되어 안정적으로 직접적인 충격이 발생하는 쿠션층의 변형을 방해하지 않으며, 에어볼의 이동에 따라 채워진 중공 내 공기를 통해 충격부위에 대한 추가적인 완충작용을 보장하고 관통홀을 통한 공기배출을 통해 낮은 반발성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어 강한 충격이나 측방향의 충격에 대해서도 안정적으로 인체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은 외피역할을 하는 커버부재를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어 일부에 손상이 발생하더라도 용이하게 커버부재를 분리하여 다른 커버부재로 교체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에 대한 비용을 크게 절감하며, 이러한 손쉬운 교체에 따라 커버부재를 이용한 광고에 있어서 대형장기 광고 뿐만 아니라 단기광고도 용이하게 적용 가능하여 광고 유치에 따른 수익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은 복수의 단위펜스부를 조립식으로 적층하여 경기장용 안전펜스를 구성할 수 있어, 경기장의 벽체 높이에 맞춤식으로 제작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일부 단위펜스부가 손상된 경우 이를 용이하게 교체하고 재조립할 수 있어 제조비용 및 유지보수 비용을 크게 절감하는 동시에 관리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경기장용 안전펜스를 각종 경기장의 벽체에 대하여 연결 및 분리가 용이한 연결구조를 제공하여, 경기 중간에도 안전펜스에 손상이 발생한 경우 즉시 교체가 가능하며 커버부재를 언제든지 교체하여 광고효과를 크게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펜스시설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기장용 안전펜스를 구성하는 단위펜스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기장용 안전펜스를 구성하는 단위펜스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기장용 안전펜스를 구성하는 단위펜스부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기장용 안전펜스를 구성하는 단위펜스부의 충격흡수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기장용 안전펜스를 구성하는 단위펜스부의 제 2 쿠션층에 대한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기장용 안전펜스를 구성하는 단위펜스부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단위펜스부를 적층하여 구성되는 경기장용 안전펜스의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기장용 안전펜스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기장용 안전펜스를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펜스부의 연결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기장용 안전펜스의 프레임 및 연결구조물에 대한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경기장용 안전펜스의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기장용 안전펜스의 커버부재 교체에 대한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기장용 안전펜스의 벽체 연결 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기장용 안전펜스의 야구장 적용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기장용 안전펜스에 대한 상세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상기 경기장용 안전펜스는 복수의 단위펜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단위펜스부를 적층하여 상기 경기장용 안전펜스를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라,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기장용 안전펜스를 구성하는 단위펜스부(100)를 설명하면, 도 2는 상기 단위펜스부(100)의 분해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1)쪽으로 설치되는 합판부재(40)와, 상기 벽체(1)와 반대쪽으로 상기 합판부재(40)의 일면에 일면이 결합되는 제 1 쿠션층(30)과, 상기 제 1 쿠션층(30)의 타면에 일면이 결합되며, 하나 이상의 중공(22)을 포함하는 제 2 쿠션층(20)과, 상기 제 2 쿠션층(20)의 타면에 일면이 결합되며, 다수의 관통홀(11)이 형성된 제 3 쿠션층(1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1 내지 제 3 쿠션층(10, 20, 30)은 폴리에틸렌이나 폴리우레탄 재질을 이용하여 완충성을 제공하며 이에 따라 외부 충격을 흡수하고, 충격이 해제되는 경우 원래 형태로 복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내지 제 3 쿠션층 중 일부는 폴리에틸렌으로 구성하고, 나머지 일부는 폴리우레탄 재질로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 2 쿠션층(20)의 각 중공(22) 내에는 완충성을 가지는 복수의 에어볼(21)이 채워지며, 상기 복수의 에어볼(21)은 각 중공(22) 내에 일부 빈 공간이 형성되도록 채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충격에 따라 상기 복수의 에어볼(21)이 중공(22) 내에서 유동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에어볼(21)은 내부 공기를 통해 쿠션감을 제공하는 다양한 완충부재로 대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3 쿠션층(10, 20, 30) 사이에 상기 제 2 쿠션층(20)이 구성되어 상기 중공(22) 내의 에어볼(21)이 중공(22)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3 쿠션층(10)의 타면을 통해 외부충격이 전달되는 경우 상기 제 2 쿠션층(20)의 중공 내에 채워진 상기 복수의 에어볼(21)이 충격방향에 대응하여 각 중공(22) 내에서 유동하게 된다. 즉, 상기 복수의 에어볼(21)은 상기 제 3 쿠션층(10)의 외부충격에 따른 변형에 따라 각 에어볼(21)이 밀려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각 에어볼(21)이 밀려난 이후에도 외부 충격의 일부가 잔존하는 경우 내부에 공기가 채워진 각 에어볼(21)은 자체적인 완충성을 제공하므로, 밀려난 위치에 고정된 채로 지속되는 충격을 각 에어볼(21)이 분산하여 흡수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제 3 쿠션층(10)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홀(11)은 공기 순환을 통해 단위펜스부(100) 내부의 습기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기 제 1 내지 제 3 쿠션층(10, 20, 30)의 완충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완충기능을 오랜 시간동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쿠션층(10)의 복수의 관통홀(11)은 상기 제 2 쿠션층(20)의 각 중공(22)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 3 쿠션층(10)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쿠션층(20)의 중공(22)이 복수인 경우 각 중공(22)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제 3 쿠션층(10)의 영역마다 복수의 관통홀(11)이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쿠션층(20)의 중공(22) 내의 공기가 내외부로 순환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외부 충격에 따라 상기 제 2 쿠션층(20)의 중공 내 공기가 상기 관통홀(11)을 통해 외부로 서서히 배출되면서 상기 공기가 추가적인 쿠션역할을 제공할 수 있으며 충격해제시 낮은 반발력을 가지고 복원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는 상기 도 2의 구성에 따른 상기 단위펜스부(100)의 사시도 및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위펜스부(100)는 벽체(1)에 설치되는 상기 합판부재(40)와, 상기 벽체와 반대쪽으로 상기 합판부재(40)에 상기 제 1 내지 제 3 쿠션층(10, 20, 30)이 차례대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합판부재(40)는 상기 벽체(1)에 설치되기 위해 상기 벽체(1)와 마주보는 면에 하나 이상의 프레임(4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각 프레임(41)을 벽체(1)에 부착하거나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41)은 상기 프레임(41)의 길이방향이 상기 합판부재(40)의 너비방향과 평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위펜스부의 충격흡수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단위펜스부(100)는 상기 제 3 쿠션층(10)이 외부 충격이 발생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합판부재(40)가 벽체쪽으로 설치된다. 일례로, 야구 경기장의 경우 상기 제 3 쿠션층(10)은 운동장쪽으로 설치되며, 상기 합판부재(40)는 펜스쪽으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3 쿠션층(10)의 타면(충격흡수면)에 대하여 운동선수(200)의 충돌과 같은 외부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충격에 따른 상기 제 3 쿠션층(10)의 변형에 따라 상기 제 1 내지 제 2 쿠션층(20, 30)의 형태가 변형되어 충격을 흡수하며, 상기 합판부재(40) 역시 탄성을 제공하여 상기 제 1 내지 제 3 쿠션층(10, 20, 30)보다 미세한 변형을 통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이후, 외부 충격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제 1 내지 제 3 쿠션층(10, 20 ,30) 및 상기 합판부재(40)는 자체 탄성을 가지며, 충격을 모두 흡수한 경우 원래 형태로 복원된다.
한편,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3 쿠션층(10)에 가해진 외부 충격에 따라 상기 제 3 쿠션층(10)이 상기 제 2 쿠션층(20)쪽으로 밀리게 되며, 상기 제 2 쿠션층(20)은 자체 완충성을 제공하여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쿠션층(10)이 상기 제 2 쿠션층쪽으로 밀리면서 상기 제 2 쿠션층(20)에 형성된 중공 공간을 침범하여 중공 공간이 협소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쿠션층(20)의 중공(22) 내에 채워진 각 에어볼(21)이 상기 제 3 쿠션층(10)의 침범 공간을 중심으로 외곽으로 밀려나면서 충격을 흡수한다.
또한, 각 에어볼(21)이 밀려나면서 생기는 빈공간이 공기로 채워지게 되어 상기 공기가 추가적인 완충 기능을 제공하며, 완충에 따라 흡수한 충격량에 의해 압축된 공기의 반발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제 3 쿠션층(10)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홀(11)을 통해 상기 공기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적인 변화는 복수의 에어볼(21)이 충격지점을 중심으로 순간적으로 외곽으로 이동하여 충격이 발생한 제 3 쿠션층(10)이 안정적으로 후방으로 밀릴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각 에어볼(21)은 이동된 위치에서 고정되어 변형저항성을 가지고 충격방향을 다양한 방향으로 분산시켜 충격을 분산하여 흡수함으로써 안정적인 완충성을 보장한다.
또한, 충격에 따른 각 에어볼(21)의 이동에 따라 충격지점에 대응하는 중공(22) 일부에 채워진 공기 역시 완충성을 제공하며, 완충 기능과 동시에 상기 관통홀(11)을 통해 배출되어 낮은 반발성을 가지고 복원되어 반발력으로 인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한편, 충격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제 2 쿠션층(20)의 중공(22) 공간이 복원되면서 각 에어볼(21)은 원위치로 유동하며 형태가 복원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펜스에 가해지는 충격이 운동선수나 유아 등에 의한 격렬한 운동에 의해 발생하는 점을 고려하면, 넓은 범위로 고른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보다 국부적으로 집중적인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가 더욱 많다.
따라서, 충격부위와 충격정도에 대응하여 외부 충격을 받은 순간에는 쿠션층이 낮은 변형저항성을 가지고 충격방향으로 밀려나면서 신속한 변형이 이루어져야만 효과적인 완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충격이 흡수된 이후에는 서서히 복원되어 낮은 반발력을 인체에 전달하여야만 인체에 대한 완전한 보호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기존의 펜스들은 단순 매트리스 재질의 쿠션층을 복수로 구성하는 것으로서, 외부 충격이 발생한 쿠션층이 충격방향으로 밀리면서 후방에 위치한 다른 쿠션층을 밀어야 하므로 후방에 위치하는 다른 쿠션층의 높은 저항성에 의해 외부 충격이 발생한 쿠션층의 변화가 더디며 이에 따라 충격을 모두 흡수하지 못한 채 일부 충격을 인체로 고스란히 전달하게 된다.
다시말해, 기존 펜스들은 외부 충격이 발생한 쿠션층의 형태 변화정도에 대비하여 후방의 쿠션층이 형태 변화정도가 더디므로, 이에 따라 쿠션층의 충격발생에 따른 형태변화를 저지함으로서 완충기능이 상실된다.
또한, 복수의 쿠션층이 후방으로 밀리는 경우 복원되면서 높은 반발력이 인체에 작용하여 인체에 충격을 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존 펜스와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경기장용 안전펜스를 구성하는 단위펜스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쿠션층(20)의 중공(22) 내에 위치한 에어볼(21)이 충격부위를 중심으로 서로 다른방향으로 밀려나 제 3 쿠션층(10)이 신속히 변형될 공간을 제공하는 동시에 각 에어볼(21)이 충격형태와 충격방향에 맞추어 변형되어 복수의 에어볼(21)을 통해 충격을 분산하여 흡수함으로써 안정적인 충격완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에어볼(21)이 밀려나 생성된 충격지점에 대응되는 중공 공간이 공기로 채워져 제 3 쿠션층(10)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안정적으로 흡수함과 동시에 충격완화 이후 에어볼(21)의 유동과 상기 제 3 쿠션층(10)의 관통홀(11)을 통한 상기 공기의 배출에 의해 반발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인체에 가해지는 반발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a)와 같이 국부적으로 집중되는 충격에 대해서도 상기 제 2 쿠션층(20)은 중공(22) 내에 복수의 에어볼(21)이 밀려나면서 충격완화를 제공하는 동시에 각 에어볼(21)이 밀려난 위치에서 고정된 채로 충격형태에 맞추어 변형되어 다양한 방향에서 완충함으로써 충격을 분산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에어볼(21)이 밀려난 공간에 채워진 공기 역시 추가적인 완충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상기 제 3 쿠션층(10)의 변형에 낮은 저항성을 제공하여 제 3 쿠션층(10)의 신속한 변형에 따라 인체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하여,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위펜스부(10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제 3 쿠션층(10)의 충격 흡수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이외에도 상기 제 3 쿠션층(10)의 충격 흡수면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상기 제 2 쿠션층(20)의 중공(22) 내에 채워진 복수의 에어볼(21)은 충격 방향에 대응하여 밀려나며, 각 에어볼(21)은 밀려난 위치에 고정되어 측방향의 충격형태에 맞추어 변형됨으로써 효과적으로 충격을 분산 흡수할 수 있다.
한편, 선수가 단위펜스부(100)에 부딪히는 경우 일반적으로 인체 형태에 따라 동시 다발적으로 다양한 방향에서 외부 충격이 가해진다. 이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단위펜스부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방향에서 가해지는 충격형태에 맞추어 각 에어볼(21)이 중공(22) 내에서 밀려나면서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충격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변형저항성을 제공하여 충격형태에 맞추어 가장 완충성이 좋은 방향으로 변형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다양한 방향에서의 동시 충격에 대해서도 효과적으로 완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일반적인 넓은 범위의 충격 뿐만 아니라 국부적인 충격이나 측방향의 충격 또는 다양한 방향에서의 동시 충격에 대해서도 안정적인 충격완화와 반발성을 보장하여 인체에 대한 완벽한 보호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위펜스부의 단면도로서, 도 2 내지 도 6에서 상기 각 에어볼(21)은 2차원적인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나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쿠션층(20)의 두께를 증가시켜 에어볼(21)의 수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쿠션층(20)의 중공(22) 내에서 상기 에어볼(21)이 3차원적인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에어볼(21)에 의한 완충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쿠션층(20)의 중공(22) 내에 구성된 복수의 에어볼(21) 중 일부 에어볼의 크기를 다른 에어볼과 상이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충격방향을 완화시키는 방향을 더욱 세분화된 방향으로 분할할 수 있어 완충성을 높일 수 있다. 일례로, 복수의 에어볼(21)이 구형태인 경우 일부 에어볼의 직경을 다른 에어볼과 상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위펜스부(100)의 구성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위펜스부(100)를 복수로 구성하고, 복수의 단위펜스부(101, 102, 103)를 순차 적층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기장용 안전펜스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단위펜스부(101, 102, 103)를 적층시 너비방향으로 적층시킬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서로 다른 단위펜스부에 구성된 프레임이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적층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기장용 안전펜스의 사시도로서, 도 9(a)는 상기 경기장용 안전펜스(1000)의 정면측 사시도이며, 도 9(b)는 상기 경기장용 안전펜스(1000)의 배면측 사시도이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기장용 안전펜스(1000)는 복수의 상기 단위펜스부(101, 102, 103)가 너비방향으로 차례대로 적층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단위펜스부(101, 102, 103) 상호간을 접착시키거나 물리적인 연결부를 통해 연결시켜 적층 및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단위펜스부(101, 102, 103)의 상기 합판부재(40)에 형성된 프레임(41a, 41b, 41c)을 통해 인접한 단위펜스부 상호간을 연결할 수도 있다.
그러나, 프레임을 상호 접착시키거나 단위펜스부를 물리적인 연결부를 통해 연결시켜 단위펜스부를 고정시키는 경우 어느 하나의 단위펜스부가 충격에 의해 손상되면 손상된 단위펜스부만 교체하기 어려우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기장용 안전펜스(1000)는 도 10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0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기장용 안전펜스(1000)의 연결 구성도를 설명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단위펜스부(105, 106, 107)에 형성된 프레임(41e, 41f, 41g)은 도시된 바와 같이 육면체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부와 하부에 각각 중공(43, 4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레임(41e, 41f, 41g)에 형성된 중공(43, 44)은 내부에서 각각 서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에 따라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스토퍼(45)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공(43, 44)에 삽입되는 연결 구조물(42)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단위펜스부(105, 106)를 적층하여 연결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결구조물(42)은 일측이 하단에 위치한 단위펜스부(105)에 형성된 각 프레임의 상부 중공(43)에 삽입되며, 이에 따라 상기 하단에 위치한 단위펜스부의 프레임(41e)에 형성된 상기 스토퍼(45)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연결구조물(42)의 타측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구조물(42)의 타측은 상기 하단의 단위펜스부(105)에 적층되는 상단의 단위펜스부(106)에 형성된 프레임(41f)의 하부 중공(44)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하단의 단위펜스부(105)와 상단의 단위펜스부(106)를 상호 연결할 수 있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펜스부에 복수의 프레임이 형성된 경우 상호 일직선상에 위치한 서로 다른 단위펜스부에 구성된 프레임 상호간을 상술한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단위펜스부(105, 106, 107)에 형성된 프레임(41e, 41f, 41g) 상호간을 상기 연결구조물(42a, 42b)을 통해 연결시킴으로써 적층되는 복수의 단위펜스부(105, 106, 107)를 연결고정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경기장용 안전펜스(1000)를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에 따라, 적층된 복수의 단위펜스부 중 어느 하나가 외부 충격에 의해 손상된 경우 적층된 단위펜스부를 연결구조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며, 손상된 단위펜스부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단위펜스부에 복수의 프레임이 형성된 경우 프레임의 개수에 따라 연결구조물을 복수로 연결하여 적층된 단위펜스부를 강하게 고정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프레임 구조는 상술한 실시예에 이외에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41)과 연결구조물(42)을 파이프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과 연결구조물 중 적어도 하나에 스토퍼(50) 구조를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일례로,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구조물의 외주면에 상기 프레임의 중공 직경보다 큰 스토퍼(50)를 형성하거나,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의 중공 내부에 물리적인 스토퍼(50)를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구조물(42)의 일측이 상기 프레임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스토퍼(50)에 의해 상기 연결구조물(42)의 일측이 지지되어 타측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펜스부를 적층하여 고정시키는데 적용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기장용 안전펜스의 커버 부재(110)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기장용 안전펜스는 상기 적층된 복수의 단위펜스부(1000)를 감싸는 커버부재(11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커버부재(110)는 일부가 개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110)는 적층된 복수의 단위펜스부(111)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110)는 개구부의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날개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날개부(120)는 하나 이상의 접착부(121)가 구성되어 적층된 복수의 단위펜스부(1000) 일부에 탈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착부(121)는 벨크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부재(100)로 상기 적층된 복수의 단위펜스부(1000)를 감싸 상술한 프레임을 이용한 별도의 연결구조 없이도 강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중인 커버부재(111)가 노후되거나 외부 충격에 의해 손상이 발생한 경우 상기 적층된 복수의 단위펜스부(10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여 다른 커버부재(112)로 교체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커버부재(110)는 광고를 제공하기 위한 인쇄물(인쇄필름 등)로 구성할 수 있으며, 방수형 폴리머계열 필름으로 고주파 가공하여 필름의 두께를 최소화하여 적용성을 높일 수 있는 동시에 내부 구성요소에 대한 내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야구 경기장에서 상기 단위펜스부(100)를 적층하여 안전펜스로 적용하는 경우 상기 커버부재(110)를 광고물로 구성하여 광고를 진행할 수 있으며, 또한 커버부재(110)의 교체가 용이하여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광고로 교체가 가능한 동시에 손상이 발생한 경우에도 언제든지 쉽게 교체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대형 장기 광고 이외에도 단기 광고를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어 광고 유치에 따른 수익성 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기장용 안전펜스의 벽체와의 연결 구성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기장의 벽체(1)에 일측(310)이 고정되며, 상기 경기장용 안전펜스(1000)를 구성하는 적층된 복수의 단위펜스부 중 어느 하나의 단위펜스부에 구성된 프레임(41a)과 연결되는 타측(320)이 상기 일측(310)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된 벽체연결부(300)가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경기장용 안전펜스(1000)에 구성된 복수의 단위펜스부 중 최하단에 위치한 단위펜스부에 구성된 프레임(41a)의 하부 중공에 상기 벽체연결부(300)의 타측(320)을 연결하고, 상기 벽체연결부(300)의 타측(320)을 회동시켜 상기 경기장용 안전펜스(1000)를 일체로 회동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경기장용 안전펜스(1000)를 벽체(1)와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벽체연결부(300)의 타측(320)이 고정회동되도록 하여 상기 경기장용 안전펜스(1000)가 벽체(1)와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위치되는 경우 상기 벽체연결부(300)의 타측(320)이 고정되어 상기 경기장용 안전펜스(1000)를 고정지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벽체 연결부(300)의 타측(320)은 회동이 가능하여 벽체(1)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경기장용 안전펜스(1000)를 상기 벽체연결부로(300)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벽체 연결부(300)만으로 안정적인 고정이 힘드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벽체 연결부(300)는 벽체(1)의 외면 하단에 연결되도록 구성하고, 벽체(1)의 외면 상단에 상기 경기장용 안전펜스(1000)의 상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구성을 추가할 수 있다.
상기 고정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벽체(1)의 외면 상단에 고정되어 중공(410)이 형성된 걸림부(400)와, 일측(510)과 타측(520)이 각각 상기 걸림부(400)의 중공(410) 및 상기 경기장용 안전펜스(1000)를 구성하는 적층된 복수의 단위펜스부 중 최상단에 위치한 단위펜스부의 프레임(41c)에 형성된 중공에 삽입되는 걸림쇠(500)가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걸림쇠(500)의 일측(510)을 상기 경기장용 안전펜스에 구성된 단위펜스부 중 최상단에 위치한 단위펜스부에 형성된 프레임(41c)의 상부 중공에 삽입하고, 타측(520)을 상기 걸림부(400)의 중공(410)에 삽입하여 상기 벽체연결부(300)와 함께 벽체(1)에 대하여 상기 경기장용 안전펜스(1000)를 강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상기 경기장용 안전펜스(1000)에 손상이 발생하거나 커버부재(110)를 다른 커버부재로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걸림쇠(500)를 분리하고 상기 벽체연결부(300)의 타측(320)을 회동시켜 벽체(1)로부터 상기 경기장용 안전펜스(100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 관리 편의성을 보장한다.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벽체 연결부(300)의 일측(310)과 타측(320)을 서로 직교하도록 고정시켜, 상기 경기장용 안전펜스를 상기 벽체연결부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경기장용 안전펜스가 적용된 야구장에 대한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기장용 안전펜스(1000)는 야구장의 외야 벽체, 측면벽체, 홈플레이트 쪽 벽체 등과 같이 선수의 충돌위험이 있는 위치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상술한 구성에 따라 벽체(1)와의 충돌에 따른 충격으로부터 선수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기장용 안전펜스는 복수의 단위펜스부를 적층하여 조립할 수 있어, 경기장마다 상이한 높이의 벽체에 맞추어 적층되는 단위펜스부의 개수를 조절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존에 경기장마다 벽체 높이에 맞추어 안전펜스를 제작함으로써 발생하는 제조비용을 크게 경감시킬 수 있으며 단위펜스부 단위로 교체 및 유지보수를 할 수 있어 관리 비용 역시 크게 경감시킬 수 있다.
1: 벽체 10: 제 3 쿠션층
20: 제 2 쿠션층 21: 에어볼
22: 중공 30: 제 1 쿠션층
40: 합판부재 41: 프레임
42: 연결구조물 50: 스토퍼
100: 단위펜스부 110: 커버부재
120: 날개부 121: 접착부
300: 벽체연결부 400: 걸림부
500: 걸림쇠

Claims (13)

  1. 경기장의 벽체에 설치되어 외부 충격에 대한 완충기능을 제공하는 경기장용 안전펜스에 있어서,
    합판부재;
    일면이 상기 합판부재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 1 쿠션층;
    상기 제 1 쿠션층의 타면에 일면이 결합되며, 하나 이상의 중공을 포함하는 제 2 쿠션층;
    상기 외부 충격에 따라 유동가능하도록 상기 제 2 쿠션층의 각 중공 내에 채워지며 완충성을 가지는 복수의 완충부재; 및
    상기 제 2 쿠션층의 타면에 결합되며,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제 3 쿠션층
    을 포함하는 복수의 단위펜스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단위펜스부를 적층 구성하여 상기 벽체의 일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장용 안전펜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내부 공기를 통해 쿠션감을 제공하는 에어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장용 안전펜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합판부재는 벽체의 일면에 설치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레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장용 안전펜스.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길이방향이 상기 합판부재의 너비방향과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장용 안전펜스.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벽체에 일측이 고정되며, 적층된 복수의 단위펜스부 중 어느 하나의 단위펜스부에 구성된 프레임과 연결되는 타측이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된 벽체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장용 안전펜스.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벽체 연결부의 타측은 상기 적층된 복수의 단위펜스부 중 최하단에 위치한 단위펜스부에 연결되며, 상기 최하단에 위치한 단위펜스부의 프레임에 형성된 중공에 삽입되어 상기 적층된 복수의 단위펜스부를 일체로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장용 안전펜스.
  7. 청구항 5에 있어서,
    벽체에 고정되며 중공이 형성된 걸림부; 및
    일측과 타측이 각각 상기 걸림부의 중공 및 상기 적층된 복수의 단위펜스부 중 최상단에 위치한 단위펜스부의 프레임에 형성된 중공에 삽입되는 걸림쇠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장용 안전펜스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부와 하부에 각각 중공이 형성되며,
    일측과 타측이 각각 서로 상이한 단위펜스부의 프레임에 형성된 중공에 삽입되어 적층된 상기 각 단위펜스부를 인접한 하나 이상의 다른 단위펜스부와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구조물을 더 포함하는 경기장용 안전펜스.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파이프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각 프레임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구조물 또는 상기 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스토퍼가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를 통해 상기 단위펜스부의 하중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장용 안전펜스.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층된 복수의 단위펜스부를 감싸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경기장용 안전펜스.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단위펜스부 일부에 탈부착되는 접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장용 안전펜스.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광고 인쇄가 가능한 인쇄필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장용 안전펜스.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층된 복수의 단위펜스부는 상기 경기장의 벽체 높이에 따라 상이한 개수의 단위펜스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장용 안전펜스.
KR1020130035477A 2013-04-01 2013-04-01 경기장용 안전펜스 KR101278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5477A KR101278537B1 (ko) 2013-04-01 2013-04-01 경기장용 안전펜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5477A KR101278537B1 (ko) 2013-04-01 2013-04-01 경기장용 안전펜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8537B1 true KR101278537B1 (ko) 2013-06-25

Family

ID=48867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5477A KR101278537B1 (ko) 2013-04-01 2013-04-01 경기장용 안전펜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8537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4228B1 (ko) * 2013-07-17 2014-02-18 엄기석 탈부착식 충격흡수펜스
KR20160140342A (ko) * 2015-05-27 2016-12-07 (주) 릴리펏 실내 키즈카페에 설치하는 유아 놀이용 무동력 자동차트랙
KR101748769B1 (ko) 2016-09-13 2017-07-04 강미선 운동 경기장용 안전매트
KR101828565B1 (ko) 2016-04-27 2018-02-13 (주)제이에이에스 빙상장용 안전휀스
KR101851947B1 (ko) * 2017-12-12 2018-04-24 (주)스포트리 안전패딩
US10022611B2 (en) 2015-07-02 2018-07-17 Young Il OH Safety fence support device with flexibility
KR101916709B1 (ko) * 2018-05-24 2018-11-12 (주)스포트리 안전패딩
WO2020023466A1 (en) * 2018-07-26 2020-01-30 Musco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esign and installation of a customizable soccer mini-pitch system
KR102122826B1 (ko) 2019-05-10 2020-06-15 허성수 벽치기 경기장
KR102318285B1 (ko) * 2021-04-28 2021-10-28 이창주 두께와 밀도 가변성의 스케이트 링크용 보조 펜스
EP4115959A1 (en) * 2021-07-07 2023-01-11 Molcaworld, S.L. Protective structure for fences and fixing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5126A (ja) * 1997-05-02 1998-11-17 Mizuno Corp 衝撃吸収フェンス
KR0133790Y1 (ko) * 1996-06-21 1999-02-18 최광원 완충식 도로분리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3790Y1 (ko) * 1996-06-21 1999-02-18 최광원 완충식 도로분리대
JPH10305126A (ja) * 1997-05-02 1998-11-17 Mizuno Corp 衝撃吸収フェンス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4228B1 (ko) * 2013-07-17 2014-02-18 엄기석 탈부착식 충격흡수펜스
KR20160140342A (ko) * 2015-05-27 2016-12-07 (주) 릴리펏 실내 키즈카페에 설치하는 유아 놀이용 무동력 자동차트랙
KR101687567B1 (ko) 2015-05-27 2016-12-19 (주) 릴리펏 실내 키즈카페에 설치하는 유아 놀이용 무동력 자동차트랙
US10022611B2 (en) 2015-07-02 2018-07-17 Young Il OH Safety fence support device with flexibility
KR101828565B1 (ko) 2016-04-27 2018-02-13 (주)제이에이에스 빙상장용 안전휀스
KR101748769B1 (ko) 2016-09-13 2017-07-04 강미선 운동 경기장용 안전매트
KR101851947B1 (ko) * 2017-12-12 2018-04-24 (주)스포트리 안전패딩
KR101916709B1 (ko) * 2018-05-24 2018-11-12 (주)스포트리 안전패딩
WO2020023466A1 (en) * 2018-07-26 2020-01-30 Musco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esign and installation of a customizable soccer mini-pitch system
US10920437B2 (en) 2018-07-26 2021-02-16 Musco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esign and installation of a customizable soccer mini-pitch system
GB2590320A (en) * 2018-07-26 2021-06-23 Musco Corp Apparatus and method for design and installation of a customizable soccer mini-pitch system
JP2021531124A (ja) * 2018-07-26 2021-11-18 ミュスコ コーポレーション カスタマイズ可能なミニサッカーピッチシステムの設計および設置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JP7201789B2 (ja) 2018-07-26 2023-01-10 ミュスコ コーポレーション カスタマイズ可能なミニサッカーピッチシステムの設計および設置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GB2590320B (en) * 2018-07-26 2023-01-11 Musco Corp Apparatus and method for design and installation of a customizable soccer mini-pitch system
US11761223B2 (en) 2018-07-26 2023-09-19 Musco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esign and installation of a customizable soccer mini-pitch system
JP7397158B2 (ja) 2018-07-26 2023-12-12 ミュスコ コーポレーション カスタマイズ可能なミニサッカーピッチシステムの設計および設置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KR102122826B1 (ko) 2019-05-10 2020-06-15 허성수 벽치기 경기장
KR102318285B1 (ko) * 2021-04-28 2021-10-28 이창주 두께와 밀도 가변성의 스케이트 링크용 보조 펜스
EP4115959A1 (en) * 2021-07-07 2023-01-11 Molcaworld, S.L. Protective structure for fences and fix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8537B1 (ko) 경기장용 안전펜스
US10806203B2 (en) Helmet with external shock wave dampening panels
US10039338B2 (en) Impact absorbing apparatus
US9439468B1 (en) Protective athletic helmet
US10143256B2 (en) Protective helmet for lateral and direct impacts
US9370216B2 (en) Safety helmet
CN107847002B (zh) 头盔全向能量管理系统及方法
CN102483124A (zh) 能量吸收和分配材料
US8795106B2 (en) Sports safety padding
JP2008173465A (ja) 衝撃吸収フェイスマスク取付け組立体
US20120036698A1 (en) Sports safety padding
US20160051854A1 (en) Physical training apparatus
KR102548281B1 (ko) 트램펄린 서스펜션 장착 및 연결 시스템
US9283469B2 (en) Impact absorbing dasherboard
US7727609B1 (en) Sectional interlocking T-foam impact barrier wall
KR100947968B1 (ko) 골프 연습용 매트
WO2016183651A1 (pt) Aperfeiçoamento aplicado em ringue para a prática de artes marciais
ES2923662T3 (es) Panel de tablero
KR101278536B1 (ko) 유동 에어볼을 구비한 완충장치
CA2770978C (en) Protective device for sports equipment
JP2013524034A (ja) 保護パッドを形成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674356B1 (ko) 복층구조의 에어셀을 이용한 충격 흡수부재
US20240206582A1 (en) Impact absorbing structure
KR200483485Y1 (ko) 보호가드가 구성되는 운동시설용 휀스
JP5429669B2 (ja) 野球又はソフトボール用プロテクターの緩衝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