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1947B1 - 안전패딩 - Google Patents

안전패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1947B1
KR101851947B1 KR1020170170195A KR20170170195A KR101851947B1 KR 101851947 B1 KR101851947 B1 KR 101851947B1 KR 1020170170195 A KR1020170170195 A KR 1020170170195A KR 20170170195 A KR20170170195 A KR 20170170195A KR 101851947 B1 KR101851947 B1 KR 101851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hollow
shock absorber
wall
troug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0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희
Original Assignee
(주)스포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포트리 filed Critical (주)스포트리
Priority to KR1020170170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19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1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1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9/00Design or layout of playing courts, rinks, bowling greens or areas for water-skiing; Covers therefor
    • A63C19/06Apparatus for setting-out or dividing cou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20Shock or vibration absorb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기장의 벽면에 설치되어 스포츠 경기에서 충격을 완화시키는 안전패딩으로서, 일정한 면적과 두께를 가지며, 탄성 재질인 장방형의 충격 흡수체(10)와; 충격 흡수체(10)의 외부를 둘러싸는 외피(20);로 구성되되, 상기 충격 흡수체(10)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제1중공(15)이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형성되고, 제1중공(15)의 내면을 이루는 벽면 중 충격 흡수체(10)의 두께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벽면에는 각각 골(101)과 마루(102)가 연속되어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고, 마주보는 골(101)과 마루(102)는 각각 골(101)과 골(101)이 서로 정면으로 대향되고 마루(102)와 마루(102)가 서로 정면으로 대향되게 배치됨으로써, 충돌 상황이 발생될 때 신속한 수축이 가능하면서도 충격흡수 또한 동시에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제작 및 유지보수가 간편한 안전패딩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안전패딩{Shock prevention padding}
본 발명은 안전패딩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전한 스포츠 경기를 위해 경기장의 벽면이나 펜스에 설치되는 안전패딩에 관한 것이다.
각종 스포츠 경기장의 펜스는 스포츠 선수들이 경기 도중에 격렬한 충돌이 빈번하게 발생되므로 선수들의 안전을 위해 탄성 재질의 안전패딩으로 마감된다.
이러한 안전패딩이 스포츠 선수들의 안전을 최대한 보장시키기 위해서는 순간적인 충돌에서 선수에게 가해지는 충격이 최소화될 필요가 있다.
안전패딩에 스포츠 선수가 충돌하는 순간은 극히 짧은 시간이므로 안전패딩을 이루는 탄성 소재의 신축 또한 순간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또한 극히 짧은 시간 동안 최대한 충격이 흡수되어야 한다. 하지만 종래의 안전패딩 소재는 충격을 받을 때 극히 미세한 조직이 순차적으로 수축되어 나가므로 순간적인 충격 상황에서 충격 흡수가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여 운동선수에게 반동이 가해지는 문제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세 조직에 스펀지와 같이 너무 많은 공극이 있는 소재 단독으로 안전패딩이 제작되면 탄성 회복률이 너무 작아 수축은 신속하게 이루어지지만 충격 흡수 효과는 작은 문제가 있다.
이러한 충격 보호 매트는 유명한 운동선수뿐만 아니라 일반인들 및 체육활동이 많은 학교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만큼 신속한 수축이 가능하면서도 충격흡수 또한 동시에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안전패딩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청되는 상황이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3229호(출원일자: 2015. 10. 28)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6364호(출원일자: 2002. 11. 13)
이에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써, 신속한 수축이 가능하면서도 충격흡수 또한 동시에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안전패딩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패딩은 경기장의 벽면에 설치되어 스포츠 경기에서 충격을 완화시키는 안전패딩으로서, 일정한 면적과 두께를 가지며, 탄성 재질인 장방형의 충격 흡수체(10)와, 충격 흡수체(10)의 외부를 둘러싸는 외피(20);로 구성되되, 상기 충격 흡수체(10)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제1중공(15)이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형성되고, 제1중공(15)의 내면을 이루는 벽면 중 충격 흡수체(10)의 두께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벽면에는 각각 골(101)과 마루(102)가 연속되어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고, 마주보는 골(101)과 마루(102)는 각각 골(101)과 골(101)이 서로 정면으로 대향되고 마루(102)와 마루(102)가 서로 정면으로 대향되게 배치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골(101)과 마루(102)는 삼각기둥이 제1중공(15)의 상기 벽면에 평행하게 밀집 배열되는 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삼각뿔이나 원뿔 형상이 제1중공(15)의 상기 벽면 전체에 걸쳐 종횡으로 연속되게 배열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충격 흡수체(10)는 바람직하게는 충격 흡수체(10) 두께의 절반에 해당되는 두께를 가지며,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톱니 형상이 형성된 홈이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두 개의 벽체가 상기 톱니 형상이 서로 마주보게 접합되어 형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충격 흡수체(10)에서 톱니 형상이 형성된 부위에는 충격 흡수체(10)의 미세 조직내부에 충진 되어 충격 흡수체(10)의 탄성계수를 증대시키는 충진제(40)가 주입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중공(15)에는 충격 흡수체(10) 보다 탄성률이 더 작은 코어 충격 흡수체(50)가 삽입된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패딩은 경기장의 벽면에 설치되어 스포츠 경기에서 충격을 완화시키는 안전패딩으로서, 일정한 면적과 두께를 가지는 탄성 재질의 장방형 벽체 형상으로서,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장방형 기둥 형상의 복수개의 제1중공(15)이 나란하게 형성되는 충격 흡수체(10)와; 충격 흡수체(10)의 외부를 둘러싸는 외피(20); 및, 상기 제1중공(15)과 동일한 형상과 크기인 장방형의 기둥 형태로서, 기둥 형태의 내부에는 기둥 형태의 좌우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제2중공(35)이 형성되는 탄성 재질의 내부 충격 흡수체(30);로 구성되되, 상기 제2중공(35)의 내면을 이루는 벽면 중 내부 충격 흡수체(30)의 두께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벽면에는 각각 골(301)과 마루(302)가 연속되어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고, 마주보는 골(301)과 마루(302)는 각각 골(301)과 골(301)이 서로 정면으로 대향되고 마루(302)와 마루(302)가 서로 정면으로 대향되게 배치된다.
이 경우 상기 골(301)과 마루(302)는 삼각기둥이 제2중공(35)의 상기 벽면에 평행하게 밀집 배열되는 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삼각뿔이나 원뿔 형상이 제2중공(35)의 상기 벽면 전체에 걸쳐 종횡으로 연속되게 배열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 충격 흡수체(30)의 탄성 계수가 충격 흡수체(10)의 탄성 계수보다 크게 제작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중공(35)에는 내부 충격 흡수체(30) 보다 탄성률이 더 작은 코어 충격 흡수체(50)가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내부 충격 흡수체(30)의 외벽 중 길이가 긴 장변 외벽 전체에 걸쳐 탄성 재질의 외벽돌기(321)가 형성되되,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벽돌기(321)는 돌출될수록 구경이 감소되어 첨두부가 형성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벽돌기(321)의 돌출 길이는 골(301)의 돌출 길이보다 작고, 외벽돌기(321)의 폭은 마루(302)와 마루(302)사이의 간격 보다 작게 제작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패딩은 충돌 상황이 발생될 때 신속한 수축이 가능하면서도 충격흡수 또한 동시에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제작 및 유지보수가 간편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패딩의 제1실시예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패딩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충격 흡수체의 작용을 시간 순서대로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골과 마루로 이루어지는 톱니구조 형상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진,
도 6은 도 2에서 탄성력 강화용 충진재가 적용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2에서 코어 충격 흡수체가 적용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패딩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분해사시도,
도 10은 도 8에 코어 충진재가 적용된 것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11은 도 8에서 외벽돌기가 추가된 투시도,
도 12는 도 11의 평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패딩은 충격 흡수체와, 외피로 이루어지는 실시예와, 충격 흡수체와 내부 충격 흡수체 및 외피로 이루어지는 실시예로 설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두 가지 실시예를 차례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
제1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안전패딩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 흡수체(10)와, 외피(20)로 이루어진다.
외피(20)는 방습 피복으로 마감되는 쿠션 재질의 부재이다. 또는 외피(20) 전체가 마감재용 가죽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의 외피(20)는 종래 안전패딩에서의 외피와 특별한 차이는 없다.
충격 흡수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양 측으로 길게 형성되는 벽체 형상이다. 그리고 충격 흡수체(10)의 내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제1중공(15)이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형성된다. 여기서의 제1중공(15)은 에어스페이스 라고도 하며, 종래의 에어스페이스와 달리 신속한 수축 작용뿐만 아니라 급격한 충격 흡수 또한 극히 짧은 순간에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때 제1중공(15)의 내면을 이루는 벽면 중 충격 흡수체(10)의 두께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벽면, 즉 제1중공의 4개의 내벽 중 폭이 큰 두 마주보는 내벽에는 각각 골(101)과 마루(102)가 연속되어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고, 마주보는 골(101)과 마루(102)는 각각 골(101)과 골(101)이 서로 정면으로 대향되고 마루(102)와 마루(102)가 서로 정면으로 대향되게 배치된다.
또한 골(101)과 마루(102)가 연속되는 톱니 형상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기둥이 제1중공(15)의 벽면 즉 내면에 평행하게 밀집 배열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도 5의 이미지에 표현된 것과 같은 삼각뿔이나 원뿔 형상이 제1중공(15)의 상기 벽면 전체에 걸쳐 종횡으로 연속되게 배열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렇게 이루어지는 톱니 형상의 골(101)과 마루(102)는 충격 흡수와 신속한 수축이라는 두 가지 서로 상반되는 작용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는 형태의 구성이다. 보다 자세한 작용은 아래와 같다.
안전패딩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최초에는 도 4의 제일 위 도면과 같이 충격 흡수체(10)의 에어스페이스 내벽 즉, 제1중공(15)의 내벽에 형성되는 두 톱니 형상의 마주보는 내벽이 서로 가까워진다.
그리고 두 톱니 형상의 마주보는 내벽이 보다 더 가까워지면서 마주보는 골(101)의 단부끼리 서로 접촉이 시작된다. 이때 접촉이 시작되는 초기에는 골(101) 주변의 부피가 팽창되면서 서로 밀착이 이루어진다. 이때 전체 안전패딩의 수축 속도는 완만하면서 순간적인 충격 흡수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밀착이 진행되다가 골(101) 자체의 형상으로 인하여 마주보면서 서로 접촉되는 두 골(101) 중 어느 하나가 비껴나가면서 마주보는 마루(102)를 향하여 골(101)이 삽입되며 이때 전체 안전패딩의 수축은 급격하게 이루어진다.
그 다음에 어느 한 내벽의 골(101)이 마주보는 내벽의 마루(102)로 삽입되면 다시 전체 안전패딩의 수축 속도는 다시 완만해진다. 이때 2차 충격 흡수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안전패딩의 수축이 이루어진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안전패딩의 수축은 골(101)과 골(101)이 서로 최초로 접촉되어 수축이 진행되다가 골(101)과 골(101)이 서로 비껴나가면서 급속한 수축이 되는 점에서, 종래에 골(101)과 마루(102) 구조 없이 에어스페이스만 형성된 경우에 비해 두 단계의 충격 흡수와, 충격 흡수 사이의 급속한 수축이 따르므로 수축 속도는 신속하면서도, 충돌로 인한 최초의 큰 충격이 흡수되어 완충 작용 또한 이루어지는 것이다.
만일 이러한 골(101)과 마루(102)로 이루어지는 톱니 구조가 없다면 완충 없이 급속한 수축만 이루어져 실질적인 충격 흡수가 되지 못하여 안전패딩에 충돌되는 선수에게 큰 반발력이 가해진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골(101)과 골(101)이 최초 접촉된 후 서로 비껴나가면서 어느 하나의 골(101)이 맞은편의 마루(102)로 삽입되기 전 과정 동안에 골(101)과 골(101)의 충돌로 인한 충격 흡수가 이루어지고, 이러한 충격 흡수가 신속한 수축에 방해 되지 않게 골(101)과 골(101)이 비껴나가면서 급속도로 수축이 이루어지므로 강력한 충격 흡수와 신속한 수축이 모두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원리는 절벽에서 떨어지는 사람이 높은 나무가 자라는 숲에 떨어질 때 나무 가지와 잎으로 완충된 후 최종적으로 바닥에 떨어지는 순간에는 가속으로 인한 힘의 대부분이 소멸되어 큰 충격을 받지 않는 것과 같은 원리이다.
특히 골(101)과 골(101)이 접촉되면서 이루어지는 완충은 골(101) 자체의 형상이 좁고 예리하다가 점차 두께가 증대되는 형상이므로 충격 흡수가 골(101)과 골(101)의 최초 접촉 순간에는 미약하게 이루어지다가 골(101)과 골(101)의 밀착이 진행되면서 점차 충격 흡수 효과가 커진 다음에 골(101)과 골(101)이 서로 비껴나가게 되기 때문에 실제로 충격 흡수 자체가 점진적으로 이루어져 효과적이면서도 충격 흡수가 이루어지는 순간은 극히 짧으므로, 신속한 수축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골(101)과 골(101)이 최초 접촉되자마자 비껴나가지 않고 일정한 순간동안 밀착되면서 완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골(101)의 첨두부인 예리한 부위가 미세하게 절개되는 형상을 가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미도시) 이로써 골(101)과 골(101)은 만나자마자 비껴나가지 않고 짧은 순간이나마 밀착 면이 증대되면서 완충 작용이 급격하게 이루어진 다음 신속한 수축을 위해 서로 비껴나가게 된다.
한편, 이러한 골(101)과 마루(102)로 이루어지는 완충 작용에서 골(101)과 골(101)이 최초 접촉부터 비껴나가는 순간까지 충격 흡수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골(101)이 어느 정도 이상의 탄성력이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신속한 수축이 재질 자체에서 이미 이루어질 수 있도록 탄성력이 작은 충격 흡수체(10)보다 골(101)의 탄성력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골(101) 부위의 탄성력을 높이기 위해 골(101)을 이루는 재질의 미세 조직에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실리콘과 같은 충진재를 주입시켜 골(101) 부위의 탄성력을 높일 수 있다. 이 경우 충진재는 반드시 실리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충격 흡수체(10)는 최대한 단순한 공정으로 제작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 흡수체(10)는 충격 흡수체(10)의 폭 방향의 절반을 기준으로 각각 따로 제작되어 합체되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충격 흡수체(10)의 완충 작용을 보다 강화시키기 위해서 제1중공(15) 내부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충격 흡수체(50)로 채워질 수 있다.
코어 충격 흡수체(50)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패딩의 충격흡수 작용과 신속한 수축 작용 중에서 충격흡수 작용을 보다 강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다만 이 경우에도 골(101)과 골(101)이 만나서 이루어지는 충격 흡수 작용 또한 이루어지려면, 골(101) 부위의 탄성력 보다 코어 충격 흡수체(50)의 탄성력이 작아야 할 것이다.
<제2실시예>
제2실시예는 충격 흡수체(10) 내부의 제1중공(10) 자체의 내벽이 골(101)과 마루(102)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중공(10)은 내부 형상이 장방형의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중공(10)에 삽입되는 내부 충격 흡수체(30)가 추가로 마련되어, 내부 충격 흡수체(30)에 형성되는 제2중공(35)의 내벽에 골(301)과 마루(302)가 형성된다.
여기서 골(301)과 마루(302)로 이루어지는 충격 흡수 및 신속한 수축의 동시 작용 원리는 제1실시예 에서와 동일하다.
다만 이러한 작용이 충격 흡수체(10)가 아닌 내부 충격 흡수체(30)에서 일어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안전패딩이 다년간 사용되어 반복된 완충 및 수축 작용으로 인해 골(101)의 형상이 노후된 경우에 내부 충격 흡수체(30)만 빼서 교체하면 되므로 유지 보수를 위해 기존 안전패딩을 전부 교체하지 않아도 되므로 유지 보수가 극히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또한 충격 흡수체(10)와 내부 충격 흡수체(30)가 이중으로 설치되면, 앞서 제1실시예에서 골(101) 부위의 미세 조직에 탄성력 강화를 위한 충진재(40)를 별도로 주입시킬 필요 없이 내부 충격 흡수체(30)의 재질을 충격 흡수체(10)보다 큰 탄성력을 지니는 소재로 선택하게 되면 제작 및 설치 과정이 오히려 더 단순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충격 흡수체(30) 내부의 제2중공(35)에도 코어 충격 흡수체(50)로 채워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코어 충격 흡수체(50)의 탄성력은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한 이유로 내부 충격 흡수체(30)보다 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충격 흡수체(30)는 외벽에 탄성 재질의 외벽돌기(321)이 외벽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외벽돌기(321)은 제2중공 내벽에 형성되는 골(301)과 마루(302) 구조로 이루어지는 톱니 형상의 돌기와 형상은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이때 외벽돌기(321)의 돌출 길이는 제2중공(35) 내벽에 형성되는 골(301)의 돌출 길이보다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외벽돌기(32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패딩에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질 때 1차적으로 충격을 흡수시킴과 동시에 수축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패딩에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만약 외벽돌기(321)가 형성되지 않는다면, 골(301)과 마루(302)로 이루어지는 톱니 형상의 돌기 구조로 인한 수축과 충격 흡수 작용이 일어나기 전에 골(301)과 마루(302)로 충격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순간적인 반동이 충격시키는 사람에게 전달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충격 흡수체(10)와 내부 충격 흡수체(30)가 직접 접촉되기 보다는 일정한 간격을 두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단지 간격만 있을 경우에는 수축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충격 흡수 작용은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흡수와 수축이 동시에 신속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돌출될수록 구경이 감소되는 형태의 외벽돌기(321)가 형성된다.
다만 주된 충격흡수와 신속한 수축 작용은 내부 충격 흡수체(30) 내부의 골(301)과 마루(302)로 이루어진 서로 마주보는 제2중공(35)의 내벽이 만나면서 이루어지므로, 내부 충격 흡수체(30)의 외벽에 형성되는 외벽돌기(321)은 돌출 길이는 골(301)의 돌출 길이보다 작고, 외벽돌기(321)의 폭은 마루(302)와 마루(302)사이의 간격 보다 작게 형성되어 보조적인 수축의 신속화 및 충격 흡수 작용을 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 충격 흡수체 15 : 제1중공
20 : 외부 충격 흡수체 30 : 내부 충격 흡수체
35 : 제2중공 40 : 충진재
50 : 코어 충격 흡수체 101,301 : 골
102,302 : 마루 321 : 외벽돌기

Claims (10)

  1. 경기장의 벽면에 설치되어 스포츠 경기에서 충격을 완화시키는 안전패딩으로서,
    일정한 면적과 두께를 가지며, 탄성 재질인 장방형의 충격 흡수체(10)와;
    충격 흡수체(10)의 외부를 둘러싸는 외피(20);로 구성되되,
    상기 충격 흡수체(10)의 내부에는 제1중공(15)이 형성되고,
    제1중공(15)의 내면을 이루는 벽면 중 충격 흡수체(10)의 두께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벽면에는 각각 골(101)과 마루(102)가 연속되어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고, 마주보는 골(101)과 마루(102)는 각각 골(101)과 골(101)이 서로 정면으로 대향되고 마루(102)와 마루(102)가 서로 정면으로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기 충격 흡수체(10)는 두 개의 벽체가 어느 한 면에 골(101)과 마루(102)가 연속되어 형성되는 톱니 형상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톱니 형상이 서로 마주보게 접합 되어 형성됨으로써,
    충격이 가해질 경우 골(101)과 골(101)이 서로 최초로 접촉되어 수축이 진행되다가 골(101)과 골(101)이 서로 비껴나가면서 급속한 수축이 되어 두 단계로 충격 흡수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패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101)과 마루(102)는 삼각기둥이 제1중공(15)의 상기 벽면에 평행하게 밀집 배열되는 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삼각뿔이나 원뿔 형상이 제1중공(15)의 상기 벽면 전체에 걸쳐 종횡으로 연속되게 배열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패딩.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체(10)에서 톱니 형상이 형성된 부위에는 충격 흡수체(10)의 미세 조직내부에 충진 되어 충격 흡수체(10)의 탄성계수를 증대시키는 충진제(40)가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패딩.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중공(15)에는 충격 흡수체(10) 보다 탄성률이 더 작은 코어 충격 흡수체(50)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패딩.
  6. 경기장의 벽면에 설치되어 스포츠 경기에서 충격을 완화시키는 안전패딩으로서,
    일정한 면적과 두께를 가지는 탄성 재질의 장방형 벽체 형상으로서,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장방형 기둥 형상의 복수개의 제1중공(15)이 나란하게 형성되는 충격 흡수체(10)와;
    충격 흡수체(10)의 외부를 둘러싸는 외피(20); 및,
    상기 제1중공(15)과 동일한 형상과 크기인 장방형의 기둥 형태로서, 기둥 형태의 내부에는 기둥 형태의 좌우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제2중공(35)이 형성되는 탄성 재질의 내부 충격 흡수체(30);로 구성되되,
    상기 제2중공(35)의 내면을 이루는 벽면 중 내부 충격 흡수체(30)의 두께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벽면에는 각각 골(301)과 마루(302)가 연속되어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고, 마주보는 골(301)과 마루(302)는 각각 골(301)과 골(301)이 서로 정면으로 대향되고 마루(302)와 마루(302)가 서로 정면으로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기 내부 충격 흡수체(30)는 두 개의 벽체가 어느 한 면에 골(301)과 마루(302)가 연속되어 형성되는 톱니 형상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톱니 형상이 서로 마주보게 접합 되어 형성됨으로써,
    충격이 가해질 경우 골(301)과 골(301)이 서로 최초로 접촉되어 수축이 진행되다가 골(301)과 골(301)이 서로 비껴나가면서 급속한 수축이 되어 두 단계로 충격 흡수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패딩.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골(301)과 마루(302)는 삼각기둥이 제2중공(35)의 상기 벽면에 평행하게 밀집 배열되는 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삼각뿔이나 원뿔 형상이 제2중공(35)의 상기 벽면 전체에 걸쳐 종횡으로 연속되게 배열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패딩.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충격 흡수체(30)의 탄성 계수가 충격 흡수체(10)의 탄성 계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패딩.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중공(35)에는 내부 충격 흡수체(30) 보다 탄성률이 더 작은 코어 충격 흡수체(50)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패딩.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충격 흡수체(30)의 외벽 중 길이가 긴 장변 외벽 전체에 걸쳐 탄성 재질의 외벽돌기(321)가 형성되되, 상기 외벽돌기(321)는 돌출될수록 구경이 감소되어 첨두부가 형성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패딩.
KR1020170170195A 2017-12-12 2017-12-12 안전패딩 KR101851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0195A KR101851947B1 (ko) 2017-12-12 2017-12-12 안전패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0195A KR101851947B1 (ko) 2017-12-12 2017-12-12 안전패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1947B1 true KR101851947B1 (ko) 2018-04-24

Family

ID=62084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0195A KR101851947B1 (ko) 2017-12-12 2017-12-12 안전패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19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69570A (zh) * 2020-12-31 2021-03-30 佳木斯大学 一种冰雪体育建筑比赛场地防撞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5557A (ja) * 1996-12-16 1998-06-23 Houkou Sangyo Kk 緩衝性フェンス
KR20100087873A (ko) * 2009-01-29 2010-08-06 (주)현광 소음저감용 완충부재 및 이를 이용한 소음저감용 구조물
KR20100104038A (ko) * 2009-03-16 2010-09-29 윤경석 충격 흡수 신발 솔
KR20110045439A (ko) * 2009-10-27 2011-05-04 박무영 다방향으로의 충격 흡수가 가능한 신발창
KR20120136258A (ko) * 2011-06-08 2012-12-18 권경애 반발탄성과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신발창
KR101278537B1 (ko) * 2013-04-01 2013-06-25 주식회사 씨에이이테크놀러지 경기장용 안전펜스
JP2015202364A (ja) * 2014-04-16 2015-11-16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緩衝構造ユニット、及び、緩衝フェンス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5557A (ja) * 1996-12-16 1998-06-23 Houkou Sangyo Kk 緩衝性フェンス
KR20100087873A (ko) * 2009-01-29 2010-08-06 (주)현광 소음저감용 완충부재 및 이를 이용한 소음저감용 구조물
KR20100104038A (ko) * 2009-03-16 2010-09-29 윤경석 충격 흡수 신발 솔
KR20110045439A (ko) * 2009-10-27 2011-05-04 박무영 다방향으로의 충격 흡수가 가능한 신발창
KR20120136258A (ko) * 2011-06-08 2012-12-18 권경애 반발탄성과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신발창
KR101278537B1 (ko) * 2013-04-01 2013-06-25 주식회사 씨에이이테크놀러지 경기장용 안전펜스
JP2015202364A (ja) * 2014-04-16 2015-11-16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緩衝構造ユニット、及び、緩衝フェンス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69570A (zh) * 2020-12-31 2021-03-30 佳木斯大学 一种冰雪体育建筑比赛场地防撞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62842B2 (en) Head protection for reducing linear acceleration
US20230248102A1 (en) Layered materials and structures for enhanced impact absorption
US8826468B2 (en) Helmet pads
US7832023B2 (en) Protective headgear with improved shell construction
US7089602B2 (en) Multi-layered, impact absorbing, modular helmet
US10376009B2 (en) Impact protection and shock absorbing system and method
US8069498B2 (en) Protective arrangement
US3251076A (en) Impact absorbing mat
US20170196291A1 (en) Impact absorbing structures for athletic helmet
US7727433B2 (en) Hearing protective devic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WO2012045169A1 (en) Shock absorbing layer with independent elements
KR101851947B1 (ko) 안전패딩
US6567993B2 (en) Soccer headband
JP2016023400A (ja) 緩衝ヘルメット
JP2022028917A (ja) エラストマ表面下構造を有する衝撃吸収パディングシステム
US20140373256A1 (en) Helmet pads
EP3185974A1 (en) A bat for playing ball games
US5865459A (en) Ski structure
US3362032A (en) Energy absorbing padding
CA2759915C (en) Shock absorbing layer with independent elements, and protective helmet including same
KR101916709B1 (ko) 안전패딩
KR101550000B1 (ko) 충격흡수 스프링
JP3342102B2 (ja) 鉄筋キャップ
RU2175513C1 (ru) Защитная каска
RU2213512C1 (ru) Защитная каскет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