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6709B1 - 안전패딩 - Google Patents

안전패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6709B1
KR101916709B1 KR1020180059162A KR20180059162A KR101916709B1 KR 101916709 B1 KR101916709 B1 KR 101916709B1 KR 1020180059162 A KR1020180059162 A KR 1020180059162A KR 20180059162 A KR20180059162 A KR 20180059162A KR 101916709 B1 KR101916709 B1 KR 101916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ushion
vertical plate
hook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9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희
Original Assignee
(주)스포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포트리 filed Critical (주)스포트리
Priority to KR1020180059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67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6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6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9/00Design or layout of playing courts, rinks, bowling greens or areas for water-skiing; Covers therefor
    • A63C19/06Apparatus for setting-out or dividing cou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20Shock or vibration absorb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안전한 스포츠 경기를 위해 경기장의 벽면이나 펜스에 설치되는 안전패딩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한 면적과 두께를 가지며, 탄성 재질로 제작되는 장방형의 쿠션(11)과, 쿠션(11) 외부를 둘러싸는 외피(13) 및, 쿠션(11) 배면에 결합되며 통기구가 형성되는 판재(12)로 이루어지는 충격 흡수체(10)와, 상기 판재(12) 배면에 결합되는 후크부재(20)로 구성되어, 충격 흡수체(10)가 충격을 받는 경우 충격 흡수체(10) 내부의 공기가 통기구를 통하여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 될 수 있는 안전패딩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안전패딩{Safety padding}
본 발명은 안전패딩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전한 스포츠 경기를 위해 경기장의 벽면이나 펜스에 설치되는 안전패딩에 관한 것이다.
각종 스포츠 경기장의 펜스는 스포츠 선수들이 경기 도중에 격렬한 충돌이 빈번하게 발생되므로 선수들의 안전을 위해 탄성 재질의 안전패딩으로 마감된다.
이러한 안전패딩이 스포츠 선수들의 안전을 최대한 보장시키기 위해서는 순간적인 충돌에서 선수에게 가해지는 충격이 최소화될 필요가 있다.
안전패딩에 스포츠 선수가 충돌하는 순간은 극히 짧은 시간이므로 안전패딩을 이루는 탄성 소재의 신축 또한 순간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또한 극히 짧은 시간 동안 최대한 충격이 흡수되어야 한다. 하지만 종래의 안전패딩 소재는 충격을 받을 때 극히 미세한 조직이 순차적으로 수축되어 나가므로 순간적인 충격 상황에서 충격 흡수가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여 운동선수에게 반동이 가해지는 문제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세 조직에 스펀지와 같이 너무 많은 공극이 있는 소재 단독으로 안전패딩이 제작되면 탄성 회복률이 너무 작아 수축은 신속하게 이루어지지만 충격 흡수 효과는 작은 문제가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3229호(출원일자: 2015. 10. 28)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6364호(출원일자: 2002. 11. 13)
이에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써, 신속한 수축을 위하여 안전 패딩 내부에 중공이 형성됨에 있어, 안전 패딩에 충격이 가해지는 상황에서 안전패딩 내부의 공기가 신속하게 배출됨으로써 안전 패딩의 수축이 신속하게 일어나면서도, 외부의 물은 내부로 침투되지 못하는 수단이 구비되고, 또한 신속한 수축이 일어나면서도 동시에 완충작용도 함께 일어날 수 있는 중공 구조를 가지는 안전패딩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패딩은 일정한 면적과 두께를 가지며, 탄성 재질로 제작되는 장방형의 쿠션(11)과, 쿠션(11) 외부를 둘러싸는 외피(13) 및, 쿠션(11) 배면에 결합되며 통기구가 형성되는 판재(12)로 이루어지는 충격 흡수체(10)와, 상기 판재(12) 배면에 결합되는 후크부재(20);로 구성되어, 충격 흡수체(10)가 충격을 받는 경우 충격 흡수체(10) 내부의 공기가 통기구를 통하여 신속하게 배출된다.
또한 후크부재(20)에는 통기 홀(26)이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후크부재(20)는 상기 통기구와 통기 홀(26)이 서로 연통되게 설치됨으로써, 충격 흡수체(10)가 충격을 받는 경우 충격 흡수체(10) 내부의 공기가 통기구와 통기 홀(26)을 통하여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내부에 중공 통로(45)가 형성되는 부재로서, 상기 통기구에 삽입 설치되거나 또는 통기구와 통기 홀(26)을 동시에 관통하여 삽입되는 통기유닛(40);이 설치되어, 충격 흡수체(10)가 충격을 받는 경우 충격 흡수체(10) 내부의 공기가 통기 유닛(40)을 통하여 신속하게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통기 유닛(40)은 바람직하게는 판재(12)에 수밀하게 삽입되는 몸통(41)과, 판재(12) 외부에서 외경이 확장되는 헤드(42)로 구성되며, 상기 헤드(42)에는 물의 침투를 방지시키는 차양 부재가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차양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헤드(42) 내부의 중공 통로(45) 단부를 수평으로 가로지르는 경사판(43)이 일정 간격을 두고 층을 이루게 설치되며, 상기 경사판(43)의 경사는 헤드(42) 내부에서 외부를 향하여 하향으로 형성된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재(12)에 부착되는 제1부착판(22)과, 제1부착판(22)으로부터 돌출되다가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1수직판(24)으로 이루어져서 하나 이상이 일정 간격을 두고 층을 이루게 설치되는 후크 부재(20)와, 체육시설의 벽면 또는 펜스에 부착되며 후크 부재(20)와 조립되는 후크 정착 브래킷(30);이 마련되어, 후크 부재(20)가 후크 정착 브래킷(30)에 걸리는 형태로 조립됨으로써 충격 흡수체(10)가 용이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후크 정착 브래킷(30)은 바람직하게는 체육시설의 벽면 또는 펜스에 부착되는 제2부착판(31)과, 제2부착판(31)의 하단으로부터 일체로 돌출되다가 상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2수직판(3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후크 부재(20)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후크 정착 브래킷(30);으로 구성되어, 제1수직판(24)이 제2부착판(31)과 제2수직판(33) 사이로 삽입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수직판(24)은 하부가 후크 정착 브래킷(30)을 향하여 일정한 각도로 경사가 형성되게 절곡됨으로써, 제2수직판(33)의 상단 내측 모서리에 제1수직판(24) 하부의 경사면이 접촉됨으로써 제1수직판(24)의 삽입이 용이하게 수행 가능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부착판(22)은 상부가 90도와 180도 사이의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보호 루프(21)가 형성됨으로써, 상부에서 떨어지는 물이 상기 쿠션(11) 내부로 침투되는 현상이 방지되며, 후크 정착 브래킷(30)에는 제2부착판(31)과 제2수직판(33)의 연결 부위를 관통하는 낙수공이 복수개가 형성된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쿠션(11)에서 중공의 내면을 이루는 네 개의 벽면 중 면적이 큰 두 개의 서로 마주보는 벽면에는 각각 골과 마루가 연속되어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고, 마주보는 골과 마루는 각각 골과 골이 서로 정면으로 대향되고 마루와 마루가 서로 정면으로 대향되게 배치된다.
이 경우 상기 쿠션(11)은 두께의 절반 부위가 분리된 두 개의 쿠션(11)이 상기 톱니 형상이 서로 마주보게 접합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쿠션(11)의 중공에서 톱니 형상이 형성된 부위에는 충격 흡수체(10)의 미세 조직내부에 충진 되어 충격 흡수체(10)의 탄성계수를 증대시키는 충진제가 주입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 패딩은 신속한 수축을 위하여 안전 패딩 내부에 중공이 형성됨에 있어, 안전 패딩에 충격이 가해지는 상황에서 안전패딩 내부의 공기가 신속하게 배출됨으로써 안전 패딩의 수축이 신속하게 일어나면서도, 외부의 물은 내부로 침투되지 못하는 수단이 구비되고, 또한 신속한 수축이 일어나면서도 동시에 완충작용도 함께 일어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패딩의 외관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패딩의 단면도,
도 3은 후크 부재의 사진,
도 4는 후크 부재와 후크 정착 브래킷의 결합 단면도,
도 5a는 제1통기유닛의 사진,
도 5b는 제2통기유닛의 사시도,
도 5c는 제1통기유닛과 결합된 후크 부재의 사진,
도 6은 쿠션의 사시도,
도 7은 톱니 형상의 작용 개념도,
도 8은 쿠션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충진재가 적용된 쿠션의 사시도,
도 10은 코어 쿠션이 적용된 충격 흡수체의 투과 사시도,
도 11은 쿠션과 코어 쿠션의 결합 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패딩은 매트리스 형태의 충격 흡수체(10)와, 판재(12) 배면에 결합되는 후크부재(20) 및, 통기구에 삽입 설치되거나 또는 통기구와 통기 홀(26)을 동시에 관통하여 삽입되는 통기유닛(4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충격 흡수체(10)는 일정한 면적과 두께를 가지며, 탄성 재질로 제작되는 장방형의 쿠션(11)과, 쿠션(11) 외부를 둘러싸는 외피(13) 및, 쿠션(11) 배면에 결합되는 판재(1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쿠션(11)은 완충 작용이 있는 재질이라면 재질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그리고 판재(12)는 완충 작용이 없으며 쿠션(11)의 배면에서 지지 하는 작용을 한다. 판재(12)는 목재나 플라스틱일 수 있으며, 지지 작용이 가능하다면 재질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다만 판재(12) 배면에는 통기구가 형성되어 충격 흡수체(10)가 충격을 받는 경우 충격 흡수체(10) 내부의 공기가 통기구를 통하여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된다.
이 경우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후크부재(20)에는 통기 홀(26)이 형성되고, 후크부재(20)는 상기 통기구와 통기 홀(26)이 서로 연통되게 설치됨으로써, 충격 흡수체(10)가 충격을 받는 경우 충격 흡수체(10) 내부의 공기가 통기구와 통기 홀(26)을 통하여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후크 부재(20)와 후크 정착 브래킷(30)이 설치된다.
후크 부재(20)는 후술하게 될 후크 정착 프레임과 함께 작용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 흡수체(10)가 운동시설의 실내 또는 실외 경기장 등의 벽체에 설치될 수 있게 하는 작용을 한다.
후크 부재(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재(12)에 부착되는 제1부착판(22)과, 제1부착판(22)으로부터 돌출되다가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1수직판(24)으로 이루어져서 하나 이상이 일정 간격을 두고 층을 이루게 충격 흡수체(10)에 설치된다.
그리고 후크 정착 프레임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육시설의 벽면 또는 펜스에 부착되는 제2부착판(31)과, 제2부착판(31)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되다가 상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2수직판(3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후크 부재(20)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제1수직판(2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 후크 정착 브래킷(30)을 향하여 일정한 각도로 경사가 형성되게 절곡됨으로써, 제2수직판(33)의 상단 내측 모서리에 제1수직판(24) 하부의 경사면이 접촉됨으로써 제1수직판(24)의 삽입이 용이하게 수행 가능하다. 여기서 경사가 형성된 부위를 '하부 절곡판(25)'이라 칭하기로 한다.
즉 하부 절곡판(25)이 형성되지 않는다면, 제1수직판(24)이 제2수직판(33)과 제2부착판(31) 사이로 삽입됨에 있어 제1수직판(24) 하단이 제2수직판(33) 상단과 간섭이 일어날 수 있으나, 하부 절곡판(25)이 형성됨으로써, 삽입 과정에서 제2수직판(33) 상단 내측 모서리는 하부 절곡판(25)의 경사면에 접촉되면서 제1수직판(24) 전체가 미끄러지듯이 삽입 가능하므로 결국 충격 흡수체(10) 전체의 설치 과정이 극히 용이해진다.
특히 충격 흡수체(10)를 벽면에 설치하는 과정에서는 충격 흡수체(10)의 배면 상황이 육안으로 확인되기 힘들므로 이와 같이 하부 절곡판(25)이 형성되지 않는다면 어디서 뭐가 어떻게 걸렸는지 원인을 모른 채 계속 무거운 충격 흡수체(10)를 들고 위치를 조정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렇게 제1수직판(24)이 제2수직판(33)과 제2부착판(31) 사이로 삽입되면서 제2수직판(33) 상단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돌출판(23) 저면과 밀착됨으로써 후크 부재(20)가 후크 정착 브래킷(30)에 안착된다. 이 경우 도시되진 않았지만 후크 정착 프레임의 하부를 이루는 제2수직판(33)과 제2부착판(31) 사이의 부재(이하에서 '제2돌출판(32)'이라 칭하기로 한다.)에는 물이 상부로부터 쏟아질 때 물이 차는 것을 방지시키기 위해 낙수공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쿠션(11) 내부에는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가지며 길이 방향이 쿠션(11)의 장변 방향을 향하는 장방형의 중공이 형성된다. 이 경우 제1부착판(22)에는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통기 유닛(40)과 연통되는 통기 홀(26)이 형성됨으로써, 충격 흡수체(10)가 충격을 받는 경우 중공 내부의 공기가 통기 홀(26)과 통기 유닛(40)를 통하여 신속하게 배출된다. 따라서 충격 흡수체(10)가 신속하게 수축되는 것이 가능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전패딩에 충돌되는 사람의 운동에너지가 충돌되면서 전환되는 충격에너지를 반작용으로 인해 그대로 다시 받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 경우 쿠션(11) 자체는 신축성을 위해 미세한 다공질 재질로 형성되므로 쿠션(11)에는 별도의 통기구는 필요 없을 수 있으며, 다만 보다 신속한 공기 배출을 위해 추후에 별도의 통기구가 통기 유닛(40) 및 통기 홀(26)과 연통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부착판(22)은 상부에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90도와 180도 사이의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보호 루프(21)가 형성됨으로써, 상부에서 떨어지는 물이 쿠션(11) 내부로 침투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특히 이러한 물 침투는 야외 경기장의 경우 우천시에 발생될 수 있다. 쿠션(11) 내부에 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단이 없는 경우에는 쿠션(11) 내부의 중공(이하에서는 후술하게 될 코어 쿠션(60)에 형성되는 제2중공과 구별되기 위해 쿠션(11)에 형성되는 중공은 '제1중공(15)'이라 칭하기로 한다)에 습기가 차게 되어 곰팡이가 생길 수도 있어 위생상으로도 좋지 않고, 충격 흡수를 위한 신속한 수축 능력이 반감될 수 있으며, 안전 패딩의 내구성이 감소될 수 있다.
한편,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통기 홀(26)에는 통기 홀(26)에 수밀하게 삽입되는 통기 유닛(40)이 마련된다. 통기 홀은 판재(12)에 형성되는 상기 통기구에 바로 삽입 설치될 수도 있고, 또는 판재(12)에 형성된 통기구가 후크부재(20)에 형성된 통기 홀(26)과 연통되는 경우에는 통기구와 통기 홀(26)을 동시에 관통하는 형태로 삽입 설치된다.
통기 유닛(40)은 도 5a 또는 도 5b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통기 유닛(40)이 없다면 쿠션(11) 내부에서 빠져나오는 공기가 통기 홀(26)로 바로 빠져 나오지 않고 일부가 제1부착판(22)과 판재(12) 사이 공간으로 새어나올 수가 있고, 특히 제1부착판(22)과 판재(12) 사이로 스며드는 물이 쿠션(11)을 통하여 제1중공(15)으로 침투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통기 홀(26)의 선단이 제1부착판(22)의 외면 보다 더 돌출되게 설치됨으로써 물이 침투될 우려가 방지될 수 있다.
특히, 통기 유닛(40)에는 물의 침투 방지를 위한 차양 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차양 부재는 두 가지 실시예가 있을 수 있는데, 첫 번째 차양 부재의 실시예는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헤드(42) 내부의 중공 통로(45) 단부를 수평으로 가로지르는 경사판(43)이 일정 간격을 두고 층을 이루게 설치되되 경사판(43)의 경사는 헤드(42) 내부에서 외부를 향하여 하향으로 형성되는 형태이고, 두 번째 차양 부재의 실시예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 유닛(40)의 헤드(42) 선단의 상부 반원이 커버될 수 있게 돌출되는 커버 루프(44)의 형태이다.
이와 같이 경사판(43) 또는 커버 루프(44)가 통기 유닛(40)에 설치됨으로써, 통기 유닛(40)은 충격 흡수체(10)와 후크 부재(20) 사이의 수분 침투 없이 쿠션(11) 내부 중공으로 공기 출입을 원활하게 시켜준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 패딩에서 제1중공(15)의 내면을 이루는 벽면 중 충격 흡수체(10)의 두께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벽면, 즉 제1중공(15)의 4개의 내벽 중 폭이 큰 두 마주보는 내벽에는 각각 골(101)과 마루(102)가 연속되어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고, 마주보는 골(101)과 마루(102)는 각각 골(101)과 골(101)이 서로 정면으로 대향되고 마루(102)와 마루(102)가 서로 정면으로 대향되게 배치된다.
이렇게 이루어지는 톱니 형상의 골(101)과 마루(102)는 충격 흡수와 신속한 수축이라는 두 가지 서로 상반되는 작용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는 형태의 구성이다. 보다 자세한 작용은 아래와 같다.
안전패딩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최초에는 도 7의 제일 위 도면과 같이 쿠션(11)의 에어스페이스 내벽 즉, 제1중공(15)의 내벽에 형성되는 두 톱니 형상의 마주보는 내벽이 서로 가까워진다.
그리고 두 톱니 형상의 마주보는 내벽이 보다 더 가까워지면서 마주보는 골(101)의 단부끼리 서로 접촉이 시작된다. 이때 접촉이 시작되는 초기에는 골(101) 주변의 부피가 팽창되면서 서로 밀착이 이루어진다. 이때 전체 안전패딩의 수축 속도는 완만하면서 순간적인 충격 흡수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밀착이 진행되다가 골(101) 자체의 형상으로 인하여 마주보면서 서로 접촉되는 두 골(101) 중 어느 하나가 비껴나가면서 마주보는 마루(102)를 향하여 골(101)이 삽입되며 이때 전체 안전패딩의 수축은 급격하게 이루어진다.
그 다음에 어느 한 내벽의 골(101)이 마주보는 내벽의 마루(102)로 삽입되면 다시 전체 안전패딩의 수축 속도는 다시 완만해진다. 이때 2차 충격 흡수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안전패딩의 수축이 이루어진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안전패딩의 수축은 골(101)과 골(101)이 서로 최초로 접촉되어 수축이 진행되다가 골(101)과 골(101)이 서로 비껴나가면서 급속한 수축이 되는 점에서, 종래에 골(101)과 마루(102) 구조 없이 에어스페이스만 형성된 경우에 비해 두 단계의 충격 흡수와, 충격 흡수 사이의 급속한 수축이 따르므로 수축 속도는 신속하면서도, 충돌로 인한 최초의 큰 충격이 흡수되어 완충 작용 또한 이루어지는 것이다.
만일 이러한 골(101)과 마루(102)로 이루어지는 톱니 구조가 없다면 완충 없이 급속한 수축만 이루어져 실질적인 충격 흡수가 되지 못하여 안전패딩에 충돌되는 선수의 운동에너지가 변환된 충격에너지가 고스란히 큰 반발력 되어 운동선수에게 가해진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골(101)과 골(101)이 최초 접촉된 후 서로 비껴나가면서 어느 하나의 골(101)이 맞은편의 마루(102)로 삽입되기 전 과정 동안에 골(101)과 골(101)의 충돌로 인한 충격 흡수가 이루어지고, 이러한 충격 흡수가 신속한 수축에 방해 되지 않게 골(101)과 골(101)이 비껴나가면서 급속도로 수축이 이루어지므로 강력한 충격 흡수와 신속한 수축이 모두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원리는 절벽에서 떨어지는 사람이 높은 나무가 자라는 숲에 떨어질 때 나무 가지와 잎으로 완충된 후 최종적으로 바닥에 떨어지는 순간에는 가속으로 인한 힘의 대부분이 소멸되어 큰 충격을 받지 않는 것과 같은 원리이다.
특히 골(101)과 골(101)이 접촉되면서 이루어지는 완충은 골(101) 자체의 형상이 좁고 예리하다가 점차 두께가 증대되는 형상이므로 충격 흡수가 골(101)과 골(101)의 최초 접촉 순간에는 미약하게 이루어지다가 골(101)과 골(101)의 밀착이 진행되면서 점차 충격 흡수 효과가 커진 다음에 골(101)과 골(101)이 서로 비껴나가게 되기 때문에 실제로 충격 흡수 자체가 점진적으로 이루어져 효과적이면서도 충격 흡수가 이루어지는 순간은 극히 짧으므로, 신속한 수축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골(101)과 골(101)이 최초 접촉되자마자 비껴나가지 않고 일정한 순간동안 밀착되면서 완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골(101)의 첨두부인 예리한 부위가 미세하게 절개되는 형상을 가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미도시) 이로써 골(101)과 골(101)은 만나자마자 비껴나가지 않고 짧은 순간이나마 밀착 면이 증대되면서 완충 작용이 급격하게 이루어진 다음 신속한 수축을 위해 서로 비껴나가게 된다.
한편, 이러한 골(101)과 마루(102)로 이루어지는 완충 작용에서 골(101)과 골(101)이 최초 접촉부터 비껴나가는 순간까지 충격 흡수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골(101)이 어느 정도 이상의 탄성력이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신속한 수축이 재질 자체에서 이미 이루어질 수 있도록 탄성력이 작은 쿠션(11)보다 골(101)의 탄성력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101) 부위의 탄성력을 높이기 위해 골(101)을 이루는 재질의 미세 조직에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실리콘과 같은 충진재(50)를 주입시켜 골(101) 부위의 탄성력을 높일 수 있다. 이 경우 충진재(50)는 반드시 실리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쿠션(11)은 최대한 단순한 공정으로 제작되기 위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11)은 쿠션(11)의 폭 방향의 절반을 기준으로 각각 따로 제작되어 합체되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골과 마루로 형성되는 톱니 형상의 구조로 신속한 수축과 완충 작용이 동시에 일어날 수 있는 형태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가 도 10과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기본적인 원리는 앞서의 실시 예에서와 동일하게 도 7에 도시된 원리는 동일하게 적용되지만, 톱니 형상의 구조가 제1중공(15)의 내벽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제1중공(15)에 삽입되는 코어 쿠션(60) 내부에 형성된 제2중공(603)의 내벽에 형성되는 차이가 있다.
여기서 골(601)과 마루(602)로 이루어지는 충격 흡수 및 신속한 수축의 동시 작용 원리는 제1실시예 에서와 동일하다.
다만 이러한 작용이 쿠션(11)이 아닌 코어 쿠션(60)에서 일어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안전패딩이 다년간 사용되어 반복된 완충 및 수축 작용으로 인해 톱니구조의 형상이 노후된 경우에 코어 쿠션(60)만 빼서 교체하면 되므로 유지 보수를 위해 기존 안전패딩을 전부 교체하지 않아도 되므로 유지 보수가 극히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또한 쿠션(11)과 코어 쿠션(60)이 이중으로 설치되면, 앞서 서술된 실시예에서 골(101) 부위의 미세 조직에 탄성력 강화를 위한 충진재(50)를 별도로 주입시킬 필요 없이 코어 쿠션(60)의 재질을 쿠션(11)보다 큰 탄성력을 지니는 소재로 선택하게 되면 제작 및 설치 과정이 오히려 더 단순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한편,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쿠션(60)은 외벽에 탄성 재질의 외벽돌기(621)가 외벽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외벽돌기(621)은 제2중공 내벽에 형성되는 골(601)과 마루(602) 구조로 이루어지는 톱니 형상의 돌기와 형상은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이때 외벽돌기(621)의 돌출 길이는 제2중공(603) 내벽에 형성되는 골(601)의 돌출 길이보다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외벽돌기(621)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패딩에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질 때 1차적으로 충격을 흡수시킴과 동시에 수축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패딩에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만약 외벽돌기(621)가 형성되지 않는다면, 골(601)과 마루(602)로 이루어지는 톱니 형상의 돌기 구조로 인한 수축과 충격 흡수 작용이 일어나기 전에 골(601)과 마루(602)로 충격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순간적인 반동이 충격시키는 사람에게 전달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쿠션(11)과 코어 쿠션(60)이 직접 접촉되기 보다는 일정한 간격을 두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단지 간격만 있을 경우에는 수축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충격 흡수 작용은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흡수와 수축이 동시에 신속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돌출될수록 구경이 감소되는 형태의 외벽돌기(621)가 형성된다.
다만 주된 충격흡수와 신속한 수축 작용은 코어 쿠션(60) 내부의 골(601)과 마루(602)로 이루어진 서로 마주보는 제2중공(603)의 내벽이 만나면서 이루어지므로, 코어 쿠션(60)의 외벽에 형성되는 외벽돌기(621)는 돌출 길이는 골(601)의 돌출 길이보다 작고, 외벽돌기(621)의 폭은 마루(602)와 마루(602)사이의 간격 보다 작게 형성되어 보조적인 수축의 신속화 및 충격 흡수 작용을 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 충격 흡수체 11 : 쿠션
12 : 판재 13 : 외피
15 : 제1중공 20 : 후크 부재
21 : 보호 루프 22 : 제1부착판
23 : 제1돌출판 24 : 제1수직판
25 : 하부 절곡판 26 : 통기 홀
27 : 제1고정 볼트 30 : 후크 정착 브래킷
31 : 제2부착판 32 : 제2돌출판
33 : 제2수직판 34 : 제2고정볼트
40 : 통기 유닛 41 : 몸통
42 : 헤드 43 : 경사판
44 : 커버 루프 45 : 중공 통로
50 : 충진재 60 : 코어 쿠션
101, 601 : 골 102, 602 : 마루
603 : 제2중공 621 : 코어 표면 요철

Claims (12)

  1. 일정한 면적과 두께를 가지며, 탄성 재질로 제작되는 장방형의 쿠션(11)과, 쿠션(11) 외부를 둘러싸는 외피(13) 및, 쿠션(11) 배면에 결합되며 통기구가 형성되는 판재(12)로 이루어지는 충격 흡수체(10)와;
    상기 판재(12) 배면에 결합되는 후크부재(20); 및,
    내부에 중공 통로(45)가 형성되는 부재로서, 상기 통기구에 삽입 설치되거나 또는 통기구와 통기 홀(26)을 동시에 관통하여 삽입되는 통기유닛(40);으로 구성되되,
    상기 후크부재(20)에는 통기 홀(26)이 형성되고, 후크부재(20)는 상기 통기구와 통기 홀(26)이 서로 연통되게 설치됨으로써, 충격 흡수체(10)가 충격을 받는 경우 충격 흡수체(10) 내부의 공기가 통기구와 통기 홀(26)에 설치된 통기 유닛(40)을 통하여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패딩.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 유닛(40)은 판재(12)에 수밀하게 삽입되는 몸통(41)과, 판재(12) 외부에서 외경이 확장되는 헤드(42)로 구성되며,
    상기 헤드(42)에는 물의 침투를 방지시키는 차양 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패딩.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 부재는 헤드(42) 내부의 중공 통로(45) 단부를 수평으로 가로지르는 경사판(43)이 일정 간격을 두고 층을 이루게 설치되며,
    상기 경사판(43)의 경사는 헤드(42) 내부에서 외부를 향하여 하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패딩.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부재(20)는 판재(12)에 부착되는 제1부착판(22)과, 제1부착판(22)으로부터 돌출되다가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1수직판(24)으로 이루어져서 하나 이상이 일정 간격을 두고 층을 이루게 설치되고,
    체육시설의 벽면 또는 펜스에 부착되며 후크 부재(20)와 조립되는 후크 정착 브래킷(30);이 마련되어,
    후크 부재(20)가 후크 정착 브래킷(30)에 걸리는 형태로 조립됨으로써 충격 흡수체(10)가 용이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패딩.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정착 브래킷(30)은
    체육시설의 벽면 또는 펜스에 부착되는 제2부착판(31)과, 제2부착판(31)의 하단으로부터 일체로 돌출되다가 상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2수직판(3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후크 부재(20)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후크 정착 브래킷(30);으로 구성되어, 제1수직판(24)이 제2부착판(31)과 제2수직판(33) 사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패딩.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직판(24)은 하부가 후크 정착 브래킷(30)을 향하여 일정한 각도로 경사가 형성되게 절곡됨으로써, 제2수직판(33)의 상단 내측 모서리에 제1수직판(24) 하부의 경사면이 접촉됨으로써 제1수직판(24)의 삽입이 용이하게 수행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패딩.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착판(22)은 상부가 90도와 180도 사이의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보호 루프(21)가 형성됨으로써, 상부에서 떨어지는 물이 상기 쿠션(11) 내부로 침투되는 현상이 방지되며,
    후크 정착 브래킷(30)에는 제2부착판(31)과 제2수직판(33)의 연결 부위를 관통하는 낙수공이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패딩.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11)에서 중공의 내면을 이루는 네 개의 벽면 중 면적이 큰 두 개의 서로 마주보는 벽면에는 각각 골과 마루가 연속되어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고, 마주보는 골과 마루는 각각 골과 골이 서로 정면으로 대향되고 마루와 마루가 서로 정면으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패딩.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11)은 두께의 절반 부위가 분리된 두 개의 쿠션(11)이 상기 톱니 형상이 서로 마주보게 접합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패딩.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11)의 중공에서 톱니 형상이 형성된 부위에는 충격 흡수체(10)의 미세 조직내부에 충진 되어 충격 흡수체(10)의 탄성계수를 증대시키는 충진제가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패딩.
KR1020180059162A 2018-05-24 2018-05-24 안전패딩 KR101916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162A KR101916709B1 (ko) 2018-05-24 2018-05-24 안전패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162A KR101916709B1 (ko) 2018-05-24 2018-05-24 안전패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6709B1 true KR101916709B1 (ko) 2018-11-12

Family

ID=64398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162A KR101916709B1 (ko) 2018-05-24 2018-05-24 안전패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670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888B1 (ko) * 2012-11-21 2013-04-09 현승효 벽면 부착용 안전보호매트
KR101278537B1 (ko) * 2013-04-01 2013-06-25 주식회사 씨에이이테크놀러지 경기장용 안전펜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888B1 (ko) * 2012-11-21 2013-04-09 현승효 벽면 부착용 안전보호매트
KR101278537B1 (ko) * 2013-04-01 2013-06-25 주식회사 씨에이이테크놀러지 경기장용 안전펜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32023B2 (en) Protective headgear with improved shell construction
US9739053B2 (en) Multi-tiered recoiling energy absorbing system with lateral stabilizer
US8069498B2 (en) Protective arrangement
US6598365B2 (en) Impact and energy absorbing product for floors, walls, and other flat surfaces
US7344460B2 (en) Lacrosse head with cushioned sidewalls
US20190274388A1 (en) Helmet comprising surface reinforcing component with embedded anchors
JP5654575B2 (ja) エネルギー吸収・伝達部材
US7089602B2 (en) Multi-layered, impact absorbing, modular helmet
US5137769A (en) Vibration dampening means for strung or spoked equipment
US6481024B1 (en) Protective chin strap for helmets
CA2917881C (en) Energy absorbing sports board assembly
KR101916709B1 (ko) 안전패딩
CA2871193C (en) Impact absorbing dasherboard
CN108057204A (zh) 一种蹦床帐篷
KR101828565B1 (ko) 빙상장용 안전휀스
KR101851947B1 (ko) 안전패딩
KR101269503B1 (ko) 건축물 벽체에 구비된 충격 흡수부재
CN105517638A (zh) 气垫
ES2808524T3 (es) Sistema de suelo flotante
KR200473053Y1 (ko) 미세 타공판 및 이를 이용한 방음장치
KR200366324Y1 (ko) 골프 연습용 스크린 부스
KR20120032728A (ko) 원활한 디봇 형성이 가능한 골프 연습용 매트
JPH0646941U (ja) 衝撃吸収マット
JPH11350710A (ja) 床構造
WO1995005874A1 (en) Limb protectors/guar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