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2728A - 원활한 디봇 형성이 가능한 골프 연습용 매트 - Google Patents

원활한 디봇 형성이 가능한 골프 연습용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2728A
KR20120032728A KR1020100094214A KR20100094214A KR20120032728A KR 20120032728 A KR20120032728 A KR 20120032728A KR 1020100094214 A KR1020100094214 A KR 1020100094214A KR 20100094214 A KR20100094214 A KR 20100094214A KR 20120032728 A KR20120032728 A KR 201200327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absorbing
absorbing layer
golf practice
divo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4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1063B1 (ko
Inventor
모홍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제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제이
Priority to KR1020100094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1063B1/ko
Publication of KR20120032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2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1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1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1Mats for golf practice, e.g. mats having a simulated turf, a practice tee or a green are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 A63B2071/0063Shock absorb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겨울에도 사용이 가능하고, 올바른 스윙 궤도 연습이 가능하며,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된 원활한 디봇 형성이 가능한 골프 연습용 매트가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바닥면에 안착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상부에 부착되고 끼움삽입홈이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끼움삽입홈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바닥판의 상부에 안착되며, 메모리폼으로 구성되는 제 1 충격흡수층과, 상기 끼움삽입홈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 1 충격흡수층의 상부에 안착되며, 고무 스펀지로 구성되는 제 2 충격흡수층, 및 상기 고정판 및 제 2 충격흡수층의 상부에 부착되는 인조잔디층을 포함하는 원활한 디봇 형성이 가능한 골프 연습용 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손목에 부상을 입을 걱정 없이 실제 필드에서 디봇을 형성할 수 있는 올바른 스윙 궤도를 갖는 스윙 자세를 연습할 수 있게 도와준다.

Description

원활한 디봇 형성이 가능한 골프 연습용 매트{GOLF PRACTICE MAT}
본 발명은 골프 연습용 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올바른 궤도의 스윙 연습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신체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켜줄 수 있으며, 현저히 향상된 내구성을 가지는 골프 연습용 매트에 관한 것이다.
골프연습장에는 일반적으로 필드와 비슷한 조건에서 연습을 위해 다수개의 골프매트가 설치된다. 따라서, 골퍼들은 상기 골프매트에 골프공을 올려놓고 드라이브샷, 아이언샷, 우드샷 등 다양한 샷을 연습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골프매트에 직접 또는 티(tee)에 골프공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샷을 구사하기 때문에 상기 골프매트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게 된다. 즉, 골퍼가 아이언 샷을 연습하는 과정에서 표준적인 스윙 궤도에 따라 스윙을 하는 경우 디봇(divot)이 형성될 수 있는데, 골프 연습장에서 디봇이 형성될 수 있는 스윙 궤도로 상기 골프매트를 강하게 치게 되면 손목, 팔꿈치, 갈비뼈, 허리, 무릎 등에 부상을 당하거나 근육 및 인대가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골프매트에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스펀지층, 고무층, 또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먼저, 상기 스펀지층이 구비된 골프매트는 손목으로 전달되는 충격이 일부분 감소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스펀지층은 바닥면에 안착되는 바닥판과 인조잔디층의 사이에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스펀지층을 접착시키기 위해서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해야 되었다. 그러나 상기 골프매트를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접착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게 되어 인조잔디층이 스펀지층으로부터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상기 스펀지층과 인조잔디층이 떨어지면 작업자가 일일이 접착제를 사용하여 스펀지층을 접착시켜야 하는 불편이 있다. 또한, 상기 스펀지층은 일반적으로 강성이 높지 않아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스펀지층의 일부가 떨어져 나가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스펀지층이 분리되어 일부가 떨어지면 스펀지층의 충격흡수력이 약화되고 외관도 좋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고무층이 구비된 골프매트는 골프채에 의한 충격의 일부를 흡수할 수 있지만, 연습이 많이 필요한 사용자가 받을 충격을 감안한다면 충분한 충격흡수 기능을 감당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낮은 온도에서는 경화될 수 있는 단점을 가진다.
아울러, 스프링이 구비된 골프매트는 상기 스프링이 골프채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여 사용자의 손목을 통해 느껴지는 고통을 최소화시킬 수 있지만, 내구성이 떨어져 장기간 사용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복잡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조가 어려운 단점을 가진다.
이 밖에도 최근에는 바닥판과 인조잔디층 사이에 구비되는 충격흡수재로 라텍스 등을 이용하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일예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0081963호(2009년07월29일 공개)에는 바닥면에 안착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접착되고, 라텍스로 구성되는 라텍스층과, 상기 라텍스층와 일체를 형성하도록 접착되는 인조잔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라텍스층에는 다수개의 수축공이 상하방으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수축공은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매트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골프매트는 골프채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여 사용자의 손목을 통해 느껴지는 고통을 최소화시킬 수 있지만, 골프채가 매트의 표면을 타격하는 경우 골프채의 헤드가 적당한 깊이 이상으로 함몰되어 올바른 스윙 궤도를 갖기 위한 스윙 연습이 어려운 단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골프매트는 고온이나 저온에 노출되거나 직사광선에 노출되면 라텍스가 경화되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될 뿐만 아니라, 적정 수준의 강성 및 탄성을 가지는 라텍스는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높은 제조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골프매트는 디봇을 형성하는 스윙 궤도를 연습하는데 적합하지 못하기 때문에, 디봇을 형성할 수 있는 올바른 스윙 궤도를 연습하기 위한 새로운 골프 연습용 매트에 대한 개발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골프채로 직접 타격 시에 신체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정한 반발력을 제공하여 디봇을 형성하는 올바른 스윙 궤도를 갖기 위한 스윙 연습이 가능하고, 여름이나 겨울과 같이 외부 환경에 무관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내구성이 향상된 골프 연습용 매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바닥면에 안착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상부에 부착되고 끼움삽입홈이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끼움삽입홈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바닥판의 상부에 안착되며, 메모리폼으로 구성되는 제 1 충격흡수층과, 상기 끼움삽입홈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 1 충격흡수층의 상부에 안착되며, 고무 스펀지로 구성되는 제 2 충격흡수층, 및 상기 고정판 및 제 2 충격흡수층의 상부에 부착되는 인조잔디층을 포함하는 골프 연습용 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골프채의 헤드 부분이 표면을 직접 타격하여도 충격을 흡수하여 사용자의 손목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충격을 흡수하는 메모리폼의 상부에 고무 스펀지를 구비함으로써 골프채가 메모리폼 내부로 함몰되지 않는 수준의 탄성력을 제공하여 골프채의 운동방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손목에 부상을 입을 걱정 없이 실제 필드에서 디봇을 형성할 수 있는 올바른 스윙 궤도를 갖는 스윙 자세를 연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간단한 조작을 통해 낮은 온도의 환경에서도 충격흡수층이 경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겨울철에도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천연 잔디 위에서 골프공을 치는 것과 같은 타격감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잔디층의 표면이 팽팽하게 유지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잔디층이 골프채의 타격에 의해 쉽게 파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충격흡수용으로 설치된 고무 스펀지와 메모리폼이 서로 부착되지 않는 상태로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고무 스펀지에 외력이 작용하여도 고무 스펀지와 메모리폼 사이의 접촉면에 파열이 형성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고무 스펀지와 메모리폼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연습용 매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연습용 매트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 연습용 매트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골프 연습용 매트를 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윙 임팩트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한 골프 연습용 매트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연습용 매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연습용 매트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연습용 매트는 바닥면에 안착되는 바닥판(10)과, 상기 바닥판(10)의 상부에 부착되며 끼움삽입홈(22)이 형성된 고정판(20)과, 상기 끼움삽입홈(22)에 삽입되고 바닥판(10)의 상부에 안착되는 제 1 충격흡수층(30)과, 상기 끼움삽입홈(22)에 삽입되고 제 1 충격흡수층(30)의 상부에 안착되는 제 2 충격흡수층(40), 및 상기 고정판(20) 및 제 2 충격흡수층(40)의 상부에 부착되는 인조잔디층(50)을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골프 연습용 매트는 바닥판(10)을 포함한다.
상기 바닥판(10)은 바닥면에 안착되는 것으로서, 직육면체 형상으로 약 3㎜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판(10)에는 복수개의 관통홈(12)이 형성된다. 이러한 관통홈(12)은 제 1 충격흡수층(30)에 충격이 전달되어 충격에 의해 상기 제 1 충격흡수층(30)이 압축될 때 제 1 충격흡수층(30)의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관통홈(12)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충격흡수층(30)의 내부에 존재하던 공기가 배출되어 제 1 충격흡수층(30)이 원활하게 압축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1 충격흡수층(30)에 전달된 충격이 사라지면, 관통홈(12)을 통해 제 1 충격흡수층(30)이 복원되도록 공기가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관통홈(12)은 바닥판(10)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바닥판(10)의 길이방향 및 너비방향으로 복수개가 일정간격으로 배치된다. 또한, 관통홈(12)은 20 내지 30㎜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관통홈(12)은 타공기 등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바닥판(10)은 내부에 복수개의 관통홈(12)이 형성되도록 가공된 상태로 상부에 안착되는 구성요소들에 지지력을 제공하기 위해 고무, 바람직하게는 생고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연습용 매트는 고정판(2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판(20)은 바닥판(10)의 상부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골프채의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층(30, 40)이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끼움삽입홈(22)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판(20)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10 내지 20㎜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끼움삽입홈(22)은 고정판(20)의 내부에 고정판(20)보다 작은 길이와 너비의 직육면체 형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고정판(20)과 바닥판(10) 사이는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서로 부착된다.
이러한 끼움삽입홈(22)은 골프채의 스윙 궤도에 따라 골프채를 통해 충격흡수층(30, 40)으로 전달된 충격이 고정판(20)에 전달되어도 고정판(20)의 일부가 파손되지 않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끼움삽입홈(2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20)의 일측면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끼움삽입홈(22)이 도 2와 같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충격흡수층(30, 40)에 외력이 작용하여 상기 충격흡수층(30, 40)의 좌측으로 압력이 작용하면 고정판(20)의 좌측 부분은 상기 압력에 의해 파열될 수 있다. 그러나 끼움삽입홈(22)이 도 3과 같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충격흡수층(30, 40)의 좌측으로 압력이 작용하여도 상기 충격흡수층(30, 40)의 좌측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상기 압력이 외부로 발산되어 고정판(20)은 충격흡수층(30, 40)에 의해 파열되는 부분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고정판(20)의 일측면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 끼움삽입홈(22)은 골프채의 올바른 스윙 궤도를 방해하는 차단물(고정판의 좌측 부분)이 제거되어 골프채의 스윙 진행을 매끄럽게 도와주며, 잔디에서처럼 손에 근사값을 만들어주기 위한 압력의 배출구 역할을 한다.
한편, 고정판(20)은 골프채가 제 2 충격흡수층(40)이 구비되지 않는 인조잔디층(50)을 타격할 경우에도 상기 골프채의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반발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충격흡수 소재인 고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판(20)은 생산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구비된 것이므로, 비교적 가격이 저가이며 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는 폐타이어 분말 등을 소재로 하여 성형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연습용 매트는 제 1 충격흡수층(3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충격흡수층(30)은 끼움삽입홈(22)에 삽입된 상태로 바닥판(10)의 상부에 안착되는 것으로서, 골프채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메모리폼으로 구성된다. 이때, 메모리폼은 우레탄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충격흡수층(30)은 사용자의 손목을 보호하기 위해 밀도가 45 내지 55 ㎏/㎡이고, 신장율이 87 내지 93%이며, 압축경도(25%)가 3.2 내지 4.2 ㎏/314㎤ 이고, 인장강도가 0.82 내지 1.42㎏/㎠인 메모리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충격흡수층(30)은 영구압축줄음율이 70℃, 22hrs, 50%def 조건하에서 8 내지 12%이며, 인열강도가 0.4 내지 0.7 ㎏/㎝인 메모리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충격흡수층(30)은 끼움삽입홈(22)에 삽입되어 바닥판(10)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끼움삽입홈(22)의 크기에 알맞게 성형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 1 충격흡수층(30)은 끼움삽입홈(22)과 동일한 길이 및 너비의 직육면체 형상으로 7 내지 19㎜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충격흡수층(30)은 골프채의 타격 시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를 바닥판(10)의 관통홈(12)으로 배출하면서 압축되고, 이를 통해 충격을 흡수한다. 또한, 압축된 메모리폼은 바닥판(10)의 관통홈(12)에 존재하는 공기를 흡수하면서 복원된다.
한편, 메모리폼으로 구성된 제 1 충격흡수층(30)은 라텍스 소재나 고무 소재로 구성된 종래의 충격흡수층과 같이 온도가 낮아지면 경화될 수 있다. 그러나 제 1 충격흡수층(30)은 메모리폼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윙 연습을 시작하기 전에 수회 내지 수십회 밟으면 경화되기 전의 상태로 회복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연습용 매트는 충격흡수 소재인 메모리폼이 비록 낮은 온도에서 경화되지만, 간단한 조작에 의해 그 기능이 회복되므로, 겨울에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연습용 매트는 제 2 충격흡수층(40)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충격흡수층(40)은 끼움삽입홈(22)에 삽입된 상태로 제 1 충격흡수층(30)의 상부에 안착되는 것으로서, 사용자에 의한 스윙 연습 시 골프채가 상기 메모리폼 내부로 함몰되지 않도록 상기 골프채에 반발력을 제공하기 위해 고무 스펀지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 1 충격흡수층(30)을 통해 골프채로부터 발생된 충격은 대부분 흡수할 수 있지만, 상기 제 1 충격흡수층(30)만으로는 반발력을 제어할 수 없기 때문에 제 2 충격흡수층(40)이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제 2 충격흡수층(40)은 제 1 충격흡수층(30)에 전달되는 충격을 저감시켜 제 1 충격흡수층(3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충격흡수 소재로 메모리폼만을 사용하면 골프채의 충격에 의해 상기 메모리폼이 쉽게 파손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충격흡수 소재로 메모리폼과 고무 스펀지를 함께 사용하기 때문에 메모리폼이 충격에 직접 노출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 2 충격흡수층(40)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 EVA) 스펀지, 클로로프렌 고무(Chloroprene Rubber : CR) 스펀지,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 EPDM) 스펀지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 2 충격흡수층(40)은 제 1 충격흡수층(30)을 보호하고 적당한 반발력을 제공하기 위해 밀도가 0.046 내지 0.18 ㎏/㎤이고, 경도가 14 내지 45 ㎏/314㎤이며, 인장강도가 5 내지 15 ㎏/㎠인 고무 스펀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충격흡수층(40)은 피라밋형 형상, 프로파일 계란판형 형상, 또는 타공판형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 2 충격흡수층(40)은 상기 제 1 충격흡수층(30)이 끼움삽입홈(22)에 삽입될 수 있도록 끼움삽입홈(22)의 크기에 알맞게 성형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 2 충격흡수층(40)은 제 1 충격흡수층(30)과 동일한 길이와 동일한 너비를 갖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2 내지 9㎜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 2 충격흡수층(40)이 제 1 충격흡수층(30)에 부착되지 않는 상태로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골프채에 의한 충격이 작용하여도 제 2 충격흡수층(40)과 제 1 충격흡수층(30) 사이의 접촉면에는 파열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내부 손상이 최소화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존의 골프 연습용 매트보다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연습용 매트는 인조잔디층(50)을 포함한다.
상기 인조잔디층(50)은 골프장에 있는 천연잔디의 느낌을 제공하기 위해 구비된 것으로서, 상기 고정판(20) 및 제 2 충격흡수층(40)의 상부에 부착된다. 이때, 고정판(20) 및 인조잔디층(50)과 제 2 충격흡수층(40) 및 인조잔디층(50)은 접착제 등을 통해 서로 접착되어 장기간 사용하여도 서로 분리되지 않는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인조잔디층(50)은 메쉬층(미도시)과 상기 메쉬층에 접착제로 접착된 인조잔디(미도시)로 구성되어, 필드의 잔디와 같은 효과를 골퍼에게 전달하는 것이다.
상기 메쉬층은 격자 간격이 0.1 내지 2㎜이고, 그 두께는 0.5 내지 1.5㎜의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폴리에스테르(polyester), 나일론(nylon), 또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조잔디는 나일론(nylon),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또는 폴리염화비닐리덴(polyvinylidene chloride)으로 구성되며, 사용 조건에 따라 그 높이를 12mm 내지 17mm로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필드의 여러 가지 효과를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인조잔디의 직조 구조는 라셀(raschel), 직모 또는 이들의 혼합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인조잔디층(5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20) 및 제 2 충격흡수층(40) 상부에 곡면을 갖도록 구비되어 골프채에 의한 충격에 의해 쉽게 파열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인조잔디층(50)은 팽팽한 상태가 유지되지 않도록 구비되어 있어 골프채가 일부분을 타격하여도 해당 부분이 이동하면서 충격의 일부를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찢어지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판(20)의 두께는 제 1 충격흡수층(30)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20)의 두께는 제 1 충격흡수층(30) 및 제 2 충격흡수층(40)의 두께를 결합한 수치보다 작게 형성된다. 즉, 제 1 충격흡수층(30) 및 제 2 충격흡수층(40)이 결합된 높이는 고정판(20)의 높이보다 높기 때문에 상기 제 2 충격흡수층(40)의 상부에 위치한 인조잔디층(50)은 고정판(20)의 상부에 위치한 인조잔디층(50)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윙 임팩트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연습용 매트는 사용자가 인조잔디층(50)의 상부에 배치된 골프공을 통해 올바른 스윙 궤도로 타격을 연습하면, 디봇(B)을 원활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되며, 천연잔디에서 디봇이 형성될 때 느껴지는 느낌과 유사한 느낌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제 1 충격흡수층(30)을 통해 골프채에 의한 충격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고, 제 2 충격흡수층(40)을 통해 골프장과 유사한 반발력을 제공하여 올바른 스윙 궤도(디봇을 형성하는 스윙 궤도)를 갖기 위한 스윙 연습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바닥판 12 : 관통홈
20 : 고정판 22 : 끼움삽입홈
30 : 제 1 충격흡수층 40 : 제 2 충격흡수층
50 : 인조잔디층 B : 디봇

Claims (9)

  1. 바닥면에 안착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상부에 부착되고 끼움삽입홈이 형성된 고정판;
    상기 끼움삽입홈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바닥판의 상부에 안착되며, 메모리폼으로 구성되는 제 1 충격흡수층;
    상기 끼움삽입홈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 1 충격흡수층의 상부에 안착되며, 고무 스펀지로 구성되는 제 2 충격흡수층; 및
    상기 고정판 및 제 2 충격흡수층의 상부에 부착되는 인조잔디층을 포함하는 원활한 디봇 형성이 가능한 골프 연습용 매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삽입홈은
    상기 고정판의 일측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활한 디봇 형성이 가능한 골프 연습용 매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에는
    상하 방향으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일정간격으로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관통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활한 디봇 형성이 가능한 골프 연습용 매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폼은
    밀도가 45 내지 55㎏/㎡이고, 신장율이 87 내지 93%이며, 압축경도(25%)가 3.2 내지 4.2 ㎏/314㎤ 이고, 인장강도가 0.82 내지 1.4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활한 디봇 형성이 가능한 골프 연습용 매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스펀지는
    EVA 스펀지, CR 스펀지, 또는 EPDM 스펀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활한 디봇 형성이 가능한 골프 연습용 매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스펀지는
    밀도가 0.046 내지 0.18 ㎏/㎤이고, 경도가 14 내지 45 ㎏/314㎤이며, 인장강도가 5 내지 1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활한 디봇 형성이 가능한 골프 연습용 매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의 두께는 10 내지 20㎜의 범위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충격흡수층의 두께는 7 내지 19㎜의 범위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충격흡수층의 두께는 2 내지 9㎜의 범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활한 디봇 형성이 가능한 골프 연습용 매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의 두께는 제 1 충격흡수층의 두께보다 크게, 제 1 충격흡수층 및 제 2 충격흡수층의 두께를 결합한 수치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활한 디봇 형성이 가능한 골프 연습용 매트.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은
    폐타이어 분말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활한 디봇 형성이 가능한 골프 연습용 매트.
KR1020100094214A 2010-09-29 2010-09-29 원활한 디봇 형성이 가능한 골프 연습용 매트 KR101221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4214A KR101221063B1 (ko) 2010-09-29 2010-09-29 원활한 디봇 형성이 가능한 골프 연습용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4214A KR101221063B1 (ko) 2010-09-29 2010-09-29 원활한 디봇 형성이 가능한 골프 연습용 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2728A true KR20120032728A (ko) 2012-04-06
KR101221063B1 KR101221063B1 (ko) 2013-01-11

Family

ID=46135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4214A KR101221063B1 (ko) 2010-09-29 2010-09-29 원활한 디봇 형성이 가능한 골프 연습용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10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47339A1 (ko) * 2012-03-28 2013-10-03 Mo Hong Jin 원활한 디봇 형성이 가능한 골프 연습용 매트
KR101821681B1 (ko) * 2017-08-23 2018-03-08 신성현 골프 디포트 체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8829B1 (ko) 2013-12-30 2015-09-01 김영득 디봇 연습용 골프 클럽 헤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860Y1 (ko) 2003-02-25 2003-05-16 김재건 골프연습용 매트
KR20050107468A (ko) * 2003-02-26 2005-11-11 필립 조지 시어 골프용 매트
KR20040085811A (ko) * 2003-04-01 2004-10-08 김성모 골프연습용 매트
KR20100000443U (ko) * 2008-07-04 2010-01-13 신성대 골프연습용 매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47339A1 (ko) * 2012-03-28 2013-10-03 Mo Hong Jin 원활한 디봇 형성이 가능한 골프 연습용 매트
KR101821681B1 (ko) * 2017-08-23 2018-03-08 신성현 골프 디포트 체크장치
EP3673962A4 (en) * 2017-08-23 2021-05-26 KS Electronics.Co.,Ltd GOLF DIVOT VERIFIC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1063B1 (ko) 2013-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21582B2 (ko)
US6439476B1 (en) Underground sprinkler head cover assembly
US6705953B2 (en) Viscous golf practice turf
KR100947968B1 (ko) 골프 연습용 매트
US9254431B1 (en) Golf mat
KR101221063B1 (ko) 원활한 디봇 형성이 가능한 골프 연습용 매트
CN102078682B (zh) 高尔夫练习用沙坑垫
US20190282883A1 (en) Driving range mat
US4928966A (en) Ground simulator
KR101198114B1 (ko) 골프연습용 매트
US5888147A (en) Divot hit/portable golf practice mat
KR100694182B1 (ko) 골프연습용 매트
KR200410268Y1 (ko) 분리되며 충격 흡수가 되는 골프 연습 매트
KR20130109535A (ko) 원활한 디봇 형성이 가능한 골프 연습용 매트
KR101221064B1 (ko) 입체감이 부여된 매트 및 이를 이용한 디봇 자국을 확인할 수 있는 골프 매트
WO2013147339A1 (ko) 원활한 디봇 형성이 가능한 골프 연습용 매트
KR20100000443U (ko) 골프연습용 매트
KR200219844Y1 (ko) 골프연습용 골프티매트
US6974390B2 (en) Golf practice system
KR100905672B1 (ko) 골프 연습용 매트
KR20140039106A (ko) 스포츠 시설 안전 펜스 보호 매트
CN208685400U (zh) 高弹缓冲塑胶跑道
JP2007130340A (ja) パター練習台
KR100929537B1 (ko) 골프 연습용 매트
KR100842173B1 (ko) 휴대형 정권단련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