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4038A - 충격 흡수 신발 솔 - Google Patents

충격 흡수 신발 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4038A
KR20100104038A KR1020090022174A KR20090022174A KR20100104038A KR 20100104038 A KR20100104038 A KR 20100104038A KR 1020090022174 A KR1020090022174 A KR 1020090022174A KR 20090022174 A KR20090022174 A KR 20090022174A KR 20100104038 A KR20100104038 A KR 201001040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absorbing
domino
elastic plate
plate
sh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2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경석
Original Assignee
윤경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경석 filed Critical 윤경석
Priority to KR1020090022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04038A/ko
Publication of KR20100104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40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6Pieced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6Differential cushioning region, e.g. cushioning located under the ball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요철구조 또는 톱니구조가 연속배열된 단면을 가지는 경질 탄성소재로 된 경질 탄성판과; 상기 경질 탄성판의 상층부에 충진 적층되는 연질 탄성소재로 된 연질 탄성판으로 구성된 도미노식 충격 흡수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신발 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러닝 시 뒤꿈치에서 발생하는 부하를 감소시키고, 충격을 흡수 및 분산하며, 러닝시 안정성을 높여주는 충격 흡수 신발 솔이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신발 솔, 도미노, 족저압력, 압력등고선, 전족부, 후족부

Description

충격 흡수 신발 솔{Shoes Sole with shock absorber}
본 발명은 요철구조 또는 톱니구조가 연속배열된 단면을 가지는 경질 탄성소재로 된 경질 탄성판과; 상기 경질 탄성판의 상층부에 충진 적층되는 연질 탄성소재로 된 연질 탄성판으로 구성된 도미노식 충격 흡수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신발 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 생활환경에서 신발은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을 완화하는 유효한 수단을 가지는 것이 제1목적으로 하면서 운동기능 강화를 위한 반발탄성, 통기성, 운동을 지속적으로 하기 위한 경량성, 안정선, 일정한 사용시간을 위한 내구성 등의 복합적인 기술력을 요구하고 있다.
현재, 이러한 기술력 수준 차이에 따라 스포츠화 시장의 75%는 나이키(And 컨버스)와 아디다스(And 솔로몬)가 잠식하고 있으며 Air, SHOX, A3 등 대표적인 구조물의 진화를 통한 브랜드 마케팅으로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루고 있다.
러닝시 반복되는 뒷꿈치의 충격과 과도한 움직임으로 인한 상해와의 관련성은 러닝화의 주된 설계 특징인 뒤꿈치 쿠셔닝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으며(Nigg and Kerr 1983, Frederick 1984, Nigg 1986, Lake 2000), 모든 러닝화 브랜드들은 다양한 쿠셔닝 시스템인 에어, 젤, 특수재료, 스프링 메카니즘, 다양한 구조체 기술을 보유하여 기술적 우위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한국 신발 브랜드 기업들은 이러한 기술력의 벤치마킹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다양한 기술력을 집약한 구조물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러닝시 반복되는 뒷꿈치의 충격과 과도한 움직임으로 부터 발을 보호하기 위해 러닝화의 뒤꿈치 쿠셔닝을 제공하는 새로운 구조체의 충격 흡수 구조체를 제시하고 이를 적용한 충격 흡수 신발 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요철구조 또는 톱니구조가 연속배열된 단면을 가지는 경질 탄성소재로 된 경질 탄성판과; 상기 경질 탄성판의 상층부에 충진 적층되는 연질 탄성소재로 된 연질 탄성판으로 구성된 도미노식 충격 흡수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신발 솔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도미노식 충격 흡수판은 상기 경질 탄성판을 형성시키는 연속배열된 요철구조 또는 톱니구조가 10°~ 90°의 기울기 경사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신발 솔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충격 흡수 신발 솔은 솔(sole)을 전족부와 후족부로 구분하여 상기 도미노식 충격 흡수판을 상기 구분된 부분에 분리 장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신발 솔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충격 흡수 신발 솔은 상기 전족부에 삽입되는 도미노식 충격 흡수판의 경질 탄성판 단면구조 배열방향과 상기 후족부에 삽입되는 도미노식 충격 흡수판의 경질 탄성판 단면구조 배열방향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 수 신발 솔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족부에 삽입되는 도미노식 충격 흡수판의 경질 탄성판 단면구조 배열방향은 신발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후족부에 삽입되는 도미노식 충격 흡수판의 경질 탄성판 단면구조 배열방향은 신발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신발 솔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후족부에 삽입되는 도미노식 충격 흡수판의 경질 탄성판은 상기 제2항에서 제시한 기울기 경사각이 신발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구분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신발 솔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후족부에 삽입되는 도미노식 충격 흡수판의 경질 탄성판은 좌우 경도 차이를 가지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신발 솔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도미노식 충격 흡수판은 상기 경질 탄성판의 요철구조 또는 톱니구조의 평면배열모양을 지면과 발의 충격량이 서로 다른 스포츠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변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신발 솔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여, 러닝 시 뒤꿈치에서 발생하는 부하를 감소시키고, 충격을 흡수 및 분산하며, 러닝시 안정성을 높여주는 충격 흡수 신발 솔이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의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솔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전족부에 삽입되는 도미노식 충격 흡수판의 경질 탄성판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후족부에 삽입되는 도미노식 충격 흡수판의 경질 탄성판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경질 탄성판이 적용된 때의 도미노식 충격 흡수판의 단면 구조도이며, 도 6은 도 4의 경질 탄성판이 적용된 때의 도미노식 충격 흡수판의 단면 구조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작용을 도시한 구조도이며, 도 8은 발바닥의 압력분포도(족저압력선)이며, 도 9는 정지시 발의 각도를 찍은 도면 대용 사진이며, 도 10은 러닝시 발의 각도를 찍은 도면 대용 사진이며,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경질 탄성판 평면배열모양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충격 흡수를 위한 기능성 소재를 포함한 신발 솔(sole)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상기 기능성 소재는 도미노식 충격 흡수판(20)으로 구성된다.
상기 도미노식 충격 흡수판(20)은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질 소재의 복층구조 탄성판으로 형성되어지는데, 하층부를 이루는 경질 탄성판(220)과 상층부를 이루는 연질 탄성판(210)으로 구성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질 탄성판(220)은 요철구조 또는 톱니구조가 마치 도미노처럼 연속배열된 단면을 가지는 경질 탄성소재로 된 밑판이다.
상기 연질 탄성판(210)은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질 탄성판(220)의 상층부에 충진 적층되는 연질 탄성소재로 된 상판이다.
상기 경질 탄성판(220)과 연질 탄성판(210)은 PU, PVC, 플라스틱, 실리콘, 우레탄, TPR, TPU와 같은 탄성 소재로 구성되는 공통점과 경질 탄성판(220)은 경질소재이고 연질 탄성판(210)은 연질소재라는 차이점을 가지는데, 상기 연질 탄성판(210)으로 압력이 전달되면 연질 탄성판(210)은 1차적으로 압력을 분산시키고, 상기 경질 탄성판(220)은 상기 연질 탄성판(210)을 통해 전달되는 압력을 상기 요철구조 또는 톱기 구조의 형태를 변형시키면서 제거시킨다.
본 발명에서 충격 흡수를 위한 기능성 소재를 도미노식 충격 흡수판이라 하는 것은 상기 요철구조 또는 톱니구조가 마치 도미노처럼 연속 배열되며, 상층부의 압력에 대하여 마치 도미노처럼 순차적으로 무너지듯이 그 형태를 변형시키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발바닥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을 이루고 있으므로, 발의 착지시에 발바닥으로 전달되는 힘도 발바닥의 곡면에 따라 압력 등고선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도미노식 충격 흡수판(20)에 상기와 같은 압력 등고선을 가지는 충격이 가해지면, 발바닥의 곡면에 의하여 압력 등고선을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경질 탄성판(220)이 무너지게 되며, 이러한 경질 탄성판(220)의 순차적인 모양의 변형은 제공된 압력을 제거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어서, 본 발명에 의하면 발의 착지시에 발생되는 것과 같은 압력 등고선을 가지는 충격에 대하여 효과적인 압력의 제거가 가능해진다.
한편, 상측으로 부터의 압력이 제거되면 상기 연질 탄성판(210)과 경질 탄성판(220)의 반발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요철구조와 톱니구조의 형태가 복원되어 다시 도미노의 형태를 가지게 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도미노식 충격 흡수판(20)은 상층부에서 가압되는 압력이 연질 탄성판(210)에서 분산되면서 경질 탄성판(220)에 전달되고 상기 경질 탄성판(220)은 상층 압력등고선에 따라 순차적으로 반응함으로서 상층부에서 전달되는 전체 압력이 균등하게 흡수되도록 하는 특징을 가진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경질 탄성판(220)의 형태가 도미노처럼 무너지면서 압 력을 흡수하므로 상기 경질 탄성판(220)이 상층 압력에 대하여 더욱 효율적으로 무너질 수 있는 구조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경질 탄성판(220)을 형성시키는 연속배열된 요철구조 또는 톱니구조가 10°~ 90°의 기울기 경사각을 가지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경질 탄성판(220)이 수직(90°)으로 서 있을 때에도 원할한 충격 흡수성을 가지지만, 경사를 가지면 상층부의 가압에 대하여 좀 더 민감한 반응을 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도미노식 충격 흡수판(20)을 신발의 솔(10)에 부착시키면, 착지시마다 발의 압력을 흡수하여 발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운동 역학을 고려하여 신발의 솔을 살펴보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시 착지에 의한 발의 압력(이를 특히 '족저압력'이라고 함)은 발바닥 전체가 아니라, 발바닥의 앞부분이 닿는 전족부(110)와 발바닥의 뒷부분이 닿는 후족부(120)에서 집중적으로 분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충격 흡수 신발 솔은 솔(sole)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족부(110)와 후족부(120)로 구분하여 상기 도미노식 충격 흡수판(20)을 상기 구분된 부분에 분리 장착시킨다.
한편, 상기 족저압력을 분석하면 러닝시 충격흡수와 관련있는 부분은 후족 부(120)이며, 추진력 및 반발탄성과 관련된 부분은 전족부(110)로 나타난다
따라서 이러한 족저압력의 차이를 고려하여 족저압력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의 상기 충격 흡수 신발 솔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족부(110)에 삽입되는 도미노식 충격 흡수판(20)의 경질 탄성판(220) 단면구조 배열방향과 상기 후족부(120)에 삽입되는 도미노식 충격 흡수판의 경질 탄성판(220) 단면구조 배열방향이 서로 다르도록 구성한다.
특히 상기한 충격흡수와 추진력 및 반발탄성의 차이를 효과적으로 흡수하기 위해서 상기 전족부(110)에 삽입되는 도미노식 충격 흡수판(20)의 경질 탄성판(220) 단면구조 배열방향은 신발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시키고, 상기 후족부(120)에 삽입되는 도미노식 충격 흡수판(20)의 경질 탄성판(220) 단면구조 배열방향은 신발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형성시킨다.
한편, 러닝시에는 후족부(120)에 충격이 수직의 상방 압력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이를 효과적으로 분산시키기 위해서는 발의 뒷꿈치에서 힘이 전달되는 중심부분을 중심으로 대칭적 형상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서 상기 후족부(120)에 삽입되는 도미노식 충격 흡수판(20)의 경질 탄성판(220)은 요철구조 또는 톱니구조의 기울기 경사각이 신발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구분 형성되도록 한다.
이하, 도 8과 도 9는 정지시와 러닝시 발의 착지 각도 사진이며, 이를 참조 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8과 도 9는 러닝화 착용 후 러닝 시 발생하는 하지의 움직임을 2D로 촬영하여 하지의 관절 움직임을 조사한 결과로서, 족저압 분석을 통하여 가장 일반적인 보행패턴을 보이는 피험자 1인을 대상으로 하여 하퇴와 발의 변화를 조사한 것이다.
도 8과 도 9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정지시와 러닝시 발의 관절각에 의하여 후족부의 좌우 압력이 서로 다르게 발생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후족부(120)의 좌우 압력차이를 효과적으로 균등 흡수하기 위해서 후족부(120)에 삽입되는 도미노식 충격 흡수판(20)의 경질 탄성판(220)은 좌우 경도 차이를 가지면서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여러가지 스포츠의 착지 형태에 따라 상기한 착지 각도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의 상기 도미노식 충격 흡수판(20)은 상기 경질 탄성판(220)의 요철구조 또는 톱니구조의 평면배열모양을 적용할 스포츠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하도록 한다.
즉, 농구나 축구, 마라콘과 같이 서로 다른 스포츠는 지면에 닿는 발의 충격량과 충격부위도 서로 다르므로, 본 발명을 적용할 스포츠의 종류에 따라 상기 경질 탄성판(220)의 요철구조 또는 톱니구조의 평면배열모양을 도 11 내지 도 15에서 예시하는 바와 같이 직선 평행무늬와 사선 무늬의 조합, 물결무늬, 동심원 무늬, 삼각파도무늬, 점선 무늬 등으로 다양하게 변형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도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구체화되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가 실현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조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솔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족부에 삽입되는 도미노식 충격 흡수판의 경질 탄성판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후족부에 삽입되는 도미노식 충격 흡수판의 경질 탄성판 사시도
도 5는 도 3의 경질 탄성판이 적용된 때의 도미노식 충격 흡수판의 단면 구조도
도 6은 도 4의 경질 탄성판이 적용된 때의 도미노식 충격 흡수판의 단면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의 작용을 도시한 구조도
도 8은 발바닥의 압력분포도(족저압력선)
도 9는 정지시 발의 각도를 찍은 도면 대용 사진
도 10은 러닝시 발의 각도를 찍은 도면 대용 사진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경질 탄성판 평면배열모양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솔(sole) 110 : 전족부
120 : 후족부
20 : 도미노식 충격 흡수판
210 : 연질 탄성판 220 : 경질 탄성판

Claims (8)

  1. 요철구조 또는 톱니구조가 연속배열된 단면을 가지는 경질 탄성소재로 된 경질 탄성판과;
    상기 경질 탄성판의 상층부에 충진 적층되는 연질 탄성소재로 된 연질 탄성판으로
    구성된 도미노식 충격 흡수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신발 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미노식 충격 흡수판은
    상기 경질 탄성판을 형성시키는 연속배열된 요철구조 또는 톱니구조가
    10°~ 90°의 기울기 경사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신발 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 신발 솔은
    솔(sole)을 전족부와 후족부로 구분하여 상기 도미노식 충격 흡수판을 상기 구분된 부분에 분리 장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신발 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 신발 솔은
    상기 전족부에 삽입되는 도미노식 충격 흡수판의 경질 탄성판 단면구조 배열 방향과 상기 후족부에 삽입되는 도미노식 충격 흡수판의 경질 탄성판 단면구조 배열방향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신발 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족부에 삽입되는 도미노식 충격 흡수판의 경질 탄성판 단면구조 배열방향은 신발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후족부에 삽입되는 도미노식 충격 흡수판의 경질 탄성판 단면구조 배열방향은 신발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신발 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후족부에 삽입되는 도미노식 충격 흡수판의 경질 탄성판은
    상기 제2항에서 제시한 기울기 경사각이 신발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구분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신발 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족부에 삽입되는 도미노식 충격 흡수판의 경질 탄성판은
    좌우 경도 차이를 가지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신발 솔.
  8.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도미노식 충격 흡수판은
    상기 경질 탄성판의 요철구조 또는 톱니구조의 평면배열모양을
    지면과 발의 충격량이 서로 다른 스포츠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변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신발 솔.
KR1020090022174A 2009-03-16 2009-03-16 충격 흡수 신발 솔 KR201001040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2174A KR20100104038A (ko) 2009-03-16 2009-03-16 충격 흡수 신발 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2174A KR20100104038A (ko) 2009-03-16 2009-03-16 충격 흡수 신발 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038A true KR20100104038A (ko) 2010-09-29

Family

ID=43008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2174A KR20100104038A (ko) 2009-03-16 2009-03-16 충격 흡수 신발 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0403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97243A (zh) * 2012-06-27 2012-10-03 茂泰(福建)鞋材有限公司 一种减震鞋底和鞋
CN102835781A (zh) * 2012-09-19 2012-12-26 茂泰(福建)鞋材有限公司 设有倾斜弹性板的减振防滑鞋大底
KR101232819B1 (ko) * 2011-08-17 2013-02-15 이정현 보행특성을 향상시키는 신발 중창
KR101851947B1 (ko) * 2017-12-12 2018-04-24 (주)스포트리 안전패딩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819B1 (ko) * 2011-08-17 2013-02-15 이정현 보행특성을 향상시키는 신발 중창
CN102697243A (zh) * 2012-06-27 2012-10-03 茂泰(福建)鞋材有限公司 一种减震鞋底和鞋
CN102835781A (zh) * 2012-09-19 2012-12-26 茂泰(福建)鞋材有限公司 设有倾斜弹性板的减振防滑鞋大底
KR101851947B1 (ko) * 2017-12-12 2018-04-24 (주)스포트리 안전패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0376B2 (en) Shoe spring and shock absorbing system
KR101165793B1 (ko) 충격 흡수성과 분산성 및 유연성이 강화된 신발창
US20060123664A1 (en) Insole having multiple energy sources
JP2018516733A (ja) 履物および中足衝撃部用の靴底
US20110232128A1 (en) Shoe Soles With Damping Foot Pads
KR101047352B1 (ko) 충격흡수와 반발탄성력을 강화시킨 신발창
US20140310981A1 (en) Sole construction for biomechanical stability and afferent feedback
KR101166466B1 (ko) 내구성이 뛰어난 충격흡수수단을 구비한 신발
KR20100104038A (ko) 충격 흡수 신발 솔
US20140259746A1 (en) Sole Construction for Elastic Energy Return
KR101208487B1 (ko) 보행추진부재가 내장된 신발
KR101258604B1 (ko) 완충기능을 갖는 신발
KR101483775B1 (ko) 전방추진강화 및 충격흡수가 가능한 러닝 신발
KR101452162B1 (ko) 족부피로저감과 체압분산형 지지패드가 설치된 신발안창
KR100802318B1 (ko) 측면홈이 형성된 구름운동 건강신발용 미드솔
JP2009072540A (ja) 靴の裏当材
KR20130117104A (ko) 충격 흡수형 신발 구조
ES2942295T3 (es) Mejoras en o relacionadas con el calzado
KR102024770B1 (ko) 트램펄린 구조를 갖는 신발바닥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CN216753687U (zh) 一种足弓支撑鞋底
KR101252287B1 (ko) 퇴행성 무릎을 위한 밑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
KR200467738Y1 (ko) 충격을 흡수하고 압력집중을 완화하는 밑창 및 이를 포함하는 당뇨화
KR102001997B1 (ko) 기능성 신발 밑창을 구비하는 신발
KR100885066B1 (ko) 벌집형 충격흡수층이 중창에 구비된 신발
KR101796171B1 (ko) 통풍과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신발밑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