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2287B1 - 퇴행성 무릎을 위한 밑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 - Google Patents

퇴행성 무릎을 위한 밑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2287B1
KR101252287B1 KR1020100079599A KR20100079599A KR101252287B1 KR 101252287 B1 KR101252287 B1 KR 101252287B1 KR 1020100079599 A KR1020100079599 A KR 1020100079599A KR 20100079599 A KR20100079599 A KR 20100079599A KR 101252287 B1 KR101252287 B1 KR 101252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
support member
knee
shoe
out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9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7115A (ko
Inventor
박훈
박해수
Original Assignee
(주)인투스에이치씨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투스에이치씨앤 filed Critical (주)인투스에이치씨앤
Priority to KR1020100079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2287B1/ko
Publication of KR20120017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7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2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2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fixed flat-foot insertions, metatarsal supports, ankle flaps or the like
    • A43B7/223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fixed flat-foot insertions, metatarsal supports, ankle flap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의 저면에 부착되는 밑창에 있어서, 밑창의 중간영역에 지면과 이격되어 발바닥의 아치부에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지지부재; 지지부재의 상부에 지지부재의 상부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쿠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창 이를 구비한 신발을 구현한바, 무릎의 일부분에 편향되게 가해지던 하중을 균일하게 분산시켜 퇴행성 무릎 관절염의 통증을 완화하고, 무릎 관절염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정상적인 하지 골격 정렬에서 벗어난 "O"자형 무릎과 "X"자형 무릎을 갖는 사람의 경우에는 다리 형태에 맞는 밑창을 선택하고, 이를 적용한 신발 착화가 가능하여 잘못된 다리의 정렬을 교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잘못된 다리 형태가 교정되면서 바른 보행 자세와 올바른 신체 구조가 확립된다. 또한, 발바닥 아치부에 구비된 지지부재에 의해 나무토막 자갈 등을 밟는 효과를 얻음으로써, 발바닥의 혈액순환 및 마사지 기능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충격흡수 부재가 보행 중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여 무릎 등의 골격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반발탄성 부재의 반발탄성력을 이용하여 보행자의 자연스러운 구름보행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퇴행성 무릎을 위한 밑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Outsole for Degenerative Osteoarthritis of Knee Joint and Shoes Therefor}
본 발명은 퇴행성 무릎을 위한 밑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부재에 형성된 경사면에 의해 발이 내측 또는 외측으로 미끄러지면서 비정상적인 하지 골격 정렬이 교정되고, 충격흡수 부재에 의해 충격 흡수 및 반발탄성을 향상시키 위한 퇴행성 무릎을 위한 밑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에 관한 것이다.
무릎관절은 인간이 네 발로 지탱해야할 몸의 무게를 두 발로 지탱하여 쓰러지지 않고 서 있을 수 있도록 균형을 잡아주는 부위이다. 그러므로 무릎관절은 우리가 의식하지 못하는 순간에도 몸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조금씩 움직이고 있다.
이때, 가장 이상적으로 몸무게의 중심이 무릎관절의 중심을 지나야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은 몸무게의 중심이 무릎관절의 중심을 지나지 않아 무릎관절의 한 부분으로 큰 하중이 지속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로 인해, 무릎관절은 나이가 들면서 퇴행성 변화가 가장 잘 발생하는 부위 중 하나이다. 또한, 잘못된 보행 습관으로 인해 비정상적인 하지 골격 정렬을 갖게 되고, 이로 인해, 무릎관절의 한 부분으로 큰 하중이 지속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퇴행성 무릎 관절염은 일어서려고 하면 무릎이 아프거나, 서 있을 때 무릎이 부들부들 떨리거나, 무릎을 굽히거나 펼 때 소리가 난다거나, 바르게 선 자세에서 무릎 사이에 주먹이 하나 이상 들어갈 정도로 벌어지는 증상이 나타난다. 또한, 계단을 내려갈 때 통증이 특히 심하거나, 걷고 난 후에 생긴 통증이 2일 내지 3일 이상 지속되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의심해 볼 수 있는 질환이다.
관절염의 치료 목표는 통증경감과 관절의 유연성을 증가시키는 것인데 대부분의 관절염은 완치가 불가능하다. 경미한 증상인 경우에는 지속적인 물리치료, 약물요법 또는 체중감소 등을 통해 통증 및 뻣뻣한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그러나 증상이 심한 관절염 환자는 수술을 통해 통증을 감소시키거나 재건술을 통해 관절 기능을 회복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술은 비용이 많이들 뿐만 아니라 번거롭기 때문에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도 1은 "O"자형 무릎의 오른쪽 하지 정렬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X"자형 무릎의 오른쪽 하지 정렬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O"자형 무릎을 가진 사람의 하지 정렬(1)과 "X"자형 무릎을 가진 사람의 하지 정렬(9)에서 기계적 축(50)은 대퇴골두 중심(3)에서 거골두 중심(5)을 연결한 선을 나타내고, 휨 축(70)은 대퇴골두 중심(3)과 무릎관절 중심(7)을 연결한 선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O"자형 무릎이라고 말하는 내반슬(Genu Varum)은 휨 축(70)이 기계적 축(50)의 바깥쪽으로 기울어진 경우로 두 다리를 한 데 모으고 섰을 때 무릎이 서로 붙지 않고 "O"자 모양으로 구부러진 다리를 일컫는다. "X"자형 무릎이라고 말하는 외반슬(Genu Valgum)은 휨 축(70)이 기계적 축(50)의 안쪽으로 기울어진 경우로 두 다리를 한데 모으고 섰을 때 무릎관절에서 밖으로 굴곡된 상태의 다리를 일컫는다. 휨 축(70)과 기계적 축(50) 사이의 경사각(β)의 값이 클수록 "O"자형 무릎과 "X"자형 무릎의 정도가 심한 것이다.
이러한 "O"자형 무릎과 "X"자형 무릎 같이 비정상적인 하지 골격 정렬은 선천적인 요인 혹은 후천적인 요인으로 인하여 발생하여 무릎관절이 한 부분에 하중이 집중되므로 퇴행성 무릎 관절염이 발생하거나 무릎관절이 닳아 없어지는 일이 발생한다.
이렇듯 퇴행성 무릎 관절염의 고통을 완화, 예방하고 비정상적인 하지 골격 정렬을 교정하기 위해서 보행시 발이 내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된 신발을 이용한다. 이러한 신발은 발이 신발의 내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된 밑창과 갑피가 포함된 신발을 형성하여 신발을 신고 지면을 보행하였을 때 발과 다리 자체가 신발의 내측으로 기울어지게 하고, 무릎을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회전력을 유발하는 방법으로 비정상적인 하지 골격 정렬을 교정하거나 퇴행성 무릎 관절염을 치료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신발을 신고 보행하면 밑창의 기울어짐으로 인하여 발이 내측으로 과도하게 미끄러지기 때문에 발목과 무릎관절에 과도한 전단력이 발생하고, 발이 미끄러지지 않으려고 다리에 과다한 힘을 주게 되면 발의 안쪽부위와 무릎에 강한 하중이 작용하여 퇴행성 무릎관절염이 오히려 악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지지부재에 형성된 경사면에 의해 발이 내측 또는 외측으로 미끄러지면서 비정상적인 하지 골격 정렬이 교정되고, 충격흡수 부재에 의해 충격 흡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퇴행성 무릎을 위한 밑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신발의 저면에 부착되는 밑창에 있어서, 밑창의 중간영역에 지면과 이격되어 발바닥의 아치부에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지지부재; 지지부재의 상부에 지지부재의 상부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쿠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창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재는 발바닥의 아치부에 대응되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지지부재의 하부면에는 보조 지지부재 또는 보조 쿠션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더 구비된다.
또한, 보조 지지부재 또는 보조 쿠션부재는 지지부재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쿠션부재는, 전방영역에 구비되어 반발탄성을 향상하기 위한 반발탄성 부재; 및 반발탄성 부재와 일체로 이루어지고, 후방영역에 구비되어 충격흡수 기능을 향상하기 위한 충격흡수 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지지부재는 내측 또는 외측이 타측보다 높게 경사면이 형성된다.
또한, 쿠션부재는 밑창의 후방 종단까지 확장형성된다.
또한, 밑창의 저면은 유선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밑창은 안창, 중창 및 겉창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지지부재 및 쿠션부재는 안창 내부, 중창 내부, 겉창 내부, 안창과 중창 사이 또는 중창과 겉창 사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다.
또한, 밑창의 전방, 내측 또는 외측 중 적어도 어느 한 영역은 타영역보다 고비중 부재로 형성된다.
다른 카테고리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밑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릎의 일부분에 편향되게 가해지던 하중을 균일하게 분산시켜 퇴행성 무릎 관절염의 통증을 완화하고, 무릎 관절염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정상적인 하지 골격 정렬에서 벗어난 "O"자형 무릎과 "X"자형 무릎을 갖는 사람의 경우에는 다리 형태에 맞는 밑창을 선택하고, 이를 적용한 신발 착화가 가능하여 잘못된 다리의 정렬을 교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잘못된 다리 형태가 교정되면서 바른 보행 자세와 올바른 신체 구조가 확립된다.
또한, 발바닥 아치부에 구비된 지지부재에 의해 나무토막 자갈 등을 밟는 효과를 얻음으로써, 발바닥의 혈액순환 및 마사지 기능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충격흡수 부재가 보행 중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여 무릎 등의 골격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반발탄성 부재의 반발탄성력을 이용하여 보행자의 자연스러운 구름보행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O"자형 무릎의 오른쪽 하지 정렬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X"자형 무릎의 오른쪽 하지 정렬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밑창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밑창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밑창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밑창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밑창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밑창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밑창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밑창의 구성>
(제 1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밑창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밑창(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창(100), 지지부재(200) 및 쿠션부재(30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밑창(100)은 안창, 중창 및 겉창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밑창(100)의 형상 및 재질은 일반적인 밑창과 유사한 형상 및 재질로 이루어짐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200)는 밑창(100)의 안창내부, 중창 내부, 겉창내부, 안창과 중창 사이, 중창과 겉창 사이 또는 겉창의 저면 중심부, 보다 상세하게는 발바닥의 아치부에 대응되는 부분에 구비된다. 이러한 지지부재(200)는 상면이 발바닥의 아치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면은 지면과 평행하게 이루어져 아치부를 전체적으로 채우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바닥 아치부에 대응되는 판형상 부재로 하부가 비어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부재(200)의 재질은 착화자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강성이 큰 재질이 좋고, 바람직하게는 사출 플라스틱 또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때, 지지부재(200)는 폭 방향으로 내측 또는 외측 중 일측이 타측보다 높게 경사면이 형성된다. 이러한 경사면은 신발(500)을 착화하는 사람의 하지 골격 정렬에 따라 내측 또는 외측이 높게 경사면이 형성된다. 일예로써, 지지부재(200)의 폭 방향 내측의 높이와 외측의 높이가 1 : 1.5 내지 1 : 2의 비율, 즉, 내측의 높이가 1cm일 때 외측의높이가 1.5cm 내지 2cm가 되도록 형성한다. 이러한 지지부재(200)의 경사면 방향 및 높이는 신발(500)을 착화하는 사람의 골격 정렬 상태 또는 무릎의 통증 정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지지부재(200)의 경사면이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높아지도록 제작하여 "O"자형 무릎을 갖는 사람이 착화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이러한 지지부재(200)가 구비된 신발(500)을 신고 보행하면 착용자의 발이 자연스럽게 밑창(100)의 내측으로 평행하게 미끄러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재(200)가 구비된 신발(500)을 지속적으로 신고 보행하면 무릎과 발이 몸의 내측으로 미끄러지면서 "O"자형 무릎이 교정된다.
이와 반대로, "X"자형 무릎을 갖는 사람이 착화하기 위해서는 지지부재(200)의 경사면이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제작한다. 이렇게 경사면의 최저부가 외측을 향하도록 형성하면 "O"자형 무릎을 갖는 사람을 위한 지지부재(200)와 같은 원리로 착화자의 발이 밑창(100)의 외측으로 미끄러지게 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지지부재(200)에 의해 "O"자형 무릎과 "X"자형 무릎이 교정되면 무릎 내측 또는 외측에 집중되어 있던 하중이 무릎 전체로 분산되어 퇴행성 무릎 관절염을 예방하고, 그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쿠션부재(300)는 지지부재(200)의 상부면, 즉, 지지부재(200)와 밑창(100) 사이에 지지부재(200)의 상부를 감싸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쿠션부재(300)의 형상은 지지부재(200)의 상부면과 대응되는 면적으로 지지부재(200)의 상부를 덮거나, 지지부재(200)보다 넓게 형성되어 지지부재(200) 및 지지부재(200)와 인접한 영역을 동시에 덮을 수 있다. 또한, 재질은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하는 재질이라면 어떠한 재질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폴리우레탄. TPR, 고무 등과 같은 연질의 합성수지를 사용한다.
(제 2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밑창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밑창(100)은 전체적으로 제 1 실시예와 유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밑창(100) 및 쿠션부재(300)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형상 및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200)는 제 1 실시예 중 발바닥의 아치부를 전체적으로 채우는 형상이 아닌 판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지지부재(200)의 하부의 빈공간에는 착화자의 하중을 보다 용이하게 지지하기 위한 보조 지지부재(250)가 더 구비된다. 이러한 보조 지지부재(250)는 지지부재(200)의 하부에 형성된 빈공간을 채우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지지부재(250)는 지지부재(200)와 인서트 사출 또는 이중 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작되어 폴리머 접착제 또는 기타 접착 수단을 이용하여 접착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밑창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밑창(1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제 2 실시예에 따른 보조 지지부재(250)가 구비되는 위치에 보조 지지부재(250) 대신 충격흡수 또는 반발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조 쿠션부재(350)가 구비된다. 이러한 보조 쿠션부재(350)는 제 2 실시예의 보조 지지부재(250)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반발탄성율은 '한국산업표준(KS)'에 따른 'KS M ISO 8307:2008(명칭 : 연질 발포 고분자 재료 - 볼 반발 탄성 측정 방법)'에 기재된 측정 장치 및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한다. 또한, 에너지보존법칙에 따라 충격흡수율은 "100-반발탄성율(%)"의 수식에 의해 도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쿠션부재(350)는 지지부재(200)와 인서트 사출 또는 이중 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작되어 폴리머 접착제 또는 기타 접착 수단을 이용하여 접착할 수 있다.
또한, 변형예로써 보조 지지부재(250) 및 보조 쿠션부재(350)가 동시에 구비될 수도 있다.
(제 4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밑창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밑창(100) 및 지지부재(200)는 제 1 실시예 내지 제 3 실시예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형상 및 재질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제 4 실시예에 따른 쿠션부재(3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발탄성 부재(360) 및 충격흡수 부재(37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반발탄성 부재(360)는 착화자의 추진 동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보행 동작 시 지면과 최후로 떨어지는 발가락 영역에 인접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반발탄성 부재(360)는 반발탄성(반발탄성율 51% 내지 100%)이 우수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폴리우레탄, TPR, 고무 등과 같은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 부재(370)는 보행 시 충격흡수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보행 동작 시 지면과 최초로 접촉하는 뒤꿈치 영역과 인접한 쿠션부재(300)의 후방영역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러한 충격흡수 부재(370)는 충격흡수(반발탄성율 0% 내지 50%) 기능이 우수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폴리우레탄. TPR, 고무 등과 같은 연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이때, 충격흡수 부재(370)는 반발탄성 부재(36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형성되어 폴리머 접착제 또는 기차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접착할 수 있다. 또한, 충격흡수 부재(370) 및 반발탄성 부재(360)는 인서트 사출 또는 이중 사출을 이용하여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쿠션부재(300)는 최초 지면과 접촉하는 후방영역이 충격흡수 기능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져 충격 흡수를 보다 용이하게 하고, 지면과 최후로 떨어지는 전방영역은 반발 탄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져 지면을 튕겨줌으로써 보행자의 추진 동작을 용이하게 한다.
(제 5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밑창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밑창(100) 및 지지부재(200)는 제 1 실시예 내지 제 4 실시예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형상 및 재질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제 5 실시예에 따른 쿠션부재(3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과 최초 접지되는 뒤꿈치 부분의 충격흡수를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밑창(100)의 후방 종단부분까지 확장 형성된다. 이러한 제 5 실시예에 따른 쿠션부재(300)는 제 1 실시예 또는 제 4 실시예와 유사한 구성 및 재질로 이루어진다.
(제 6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밑창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밑창(100), 지지부재(200) 및 쿠션부재(300)는 제 1 실시예 내지 제 5 실시예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형상 및 재질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제 5 실시예에 따른 밑창(100)의 저면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화자의 구름 동작을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유선형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밑창(100)의 저면이 유선형으로 형성되면 착화자의 구름 동작에 대응되도록 저면 중심부가 전방 밑 후방보다 두껍게 유선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자연스럽게 구름 동작을 유도한다.
(제 7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밑창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밑창(100), 지지부재(200) 및 쿠션부재(300)는 제 1 실시예 내지 제 6 실시예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형상 및 재질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밑창(100)의 전방영역, 내측영역 또는 외측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은 타 영역보다 고비중 재질로 형성된다.
이때, 전방영역이 고비중 재질로 이루어지면 착화자의 보행 동작 중 운동효과를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내측영역 또는 외측영역이 고비중 재질로 이루어지면 신발(500)의 전체적인 내측 또는 외측의 무게가 무거워 짐에 따라 "O"자형 무릎 또는 "X"자형 무릎의 교정 효과를 향상한다.
또한, 전방영역과 내측영역 또는 전방영역과 외측영역을 동시에 고비중 부재(150)로 형성하여 운동효과 및 교정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
(변형예)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재(200)는 발바닥의 아치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지만, 혈액순환을 용이하게 하고, 마사지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부면에 복수의 돌기부가 형성되거나, 아치부에 대응되도록 만곡된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신발의 구성>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의 측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발(500)은 본 발명에 따른 밑창(100)의 상부에 갑피(400)를 폴리머 접착제 또는 기타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장착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O"자형 무릎을 가진 사람의 하지
3 : 대퇴골두 중심
5 : 거골두 중심
7 : 무릎관절 중심
9 : "X"자형 무릎을 가진 사람의 하지
50 : 기계적 축
70 : 휨축
100 : 밑창
150 : 고비중 부재
200 : 지지부재
250 : 보조 지지부재
300 : 쿠션부재
350 : 보조 쿠션부재
360 : 반발탄성 부재
370 : 충격흡수 부재
400 : 갑피
500 : 신발

Claims (10)

  1. 신발(500)의 저면에 부착되는 밑창(100)에 있어서,
    상기 밑창(100)의 중간영역에 지면과 이격되어 발바닥의 아치부에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지지부재(200);
    상기 지지부재(200)의 상부에 상기 지지부재(200)의 상부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쿠션부재(30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200)는 발바닥의 아치부에 대응되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부재(200)의 재질은 사출 플라스틱 또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부재(200)의 하부면에는 보조 지지부재(250) 또는 보조 쿠션부재(350)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비되고,
    상기 쿠션부재(300)는,
    전방영역에 구비되어 반발탄성을 향상하기 위한 반발탄성 부재(360); 및
    상기 반발탄성 부재(360)와 일체로 이루어지고, 후방영역에 구비되어 충격흡수 기능을 향상하기 위한 충격흡수 부재(37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200)는 내측 또는 외측이 타측보다 높게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행성 무릎을 위한 밑창.
    (여기서, 반발탄성율은 '한국산업표준(KS)'에 따른 'KS M ISO 8307:2008(명칭 : 연질 발포 고분자 재료 - 볼 반발 탄성 측정 방법)'에 기재된 측정 장치 및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함. 또한, 에너지보존법칙에 따라 충격흡수율은 "100-반발탄성율(%)"의 수식에 의해 도출함.)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지지부재(250) 또는 보조 쿠션부재(350)는 상기 지지부재(20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행성 무릎을 위한 밑창.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재(300)는 밑창(100)의 후방 종단까지 확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행성 무릎을 위한 밑창.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100)의 저면은 유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행성 무릎을 위한 밑창.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100)은 안창, 중창 및 겉창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부재(200) 및 쿠션부재(300)는 상기 안창 내부, 상기 중창 내부, 상기 겉창 내부, 상기 안창과 중창 사이 또는 상기 중창과 겉창 사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행성 무릎을 위한 밑창.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100)의 전방, 내측 또는 외측 중 적어도 어느 한 영역은 타영역보다 고비중 부재(150)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행성 무릎을 위한 밑창.
  10. 제 1항, 제 3항, 제 6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밑창(1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KR1020100079599A 2010-08-18 2010-08-18 퇴행성 무릎을 위한 밑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 KR101252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9599A KR101252287B1 (ko) 2010-08-18 2010-08-18 퇴행성 무릎을 위한 밑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9599A KR101252287B1 (ko) 2010-08-18 2010-08-18 퇴행성 무릎을 위한 밑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7115A KR20120017115A (ko) 2012-02-28
KR101252287B1 true KR101252287B1 (ko) 2013-04-05

Family

ID=45839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9599A KR101252287B1 (ko) 2010-08-18 2010-08-18 퇴행성 무릎을 위한 밑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22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1517B1 (ko) * 2021-04-13 2021-11-03 이정식 무릎 재활운동용 신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1396A (ja) * 1996-07-23 2002-01-15 アーテミス・イノヴェーション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グラインディングプレートを備えた履物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822631B2 (ja) * 2003-10-17 2006-09-20 株式会社アシックス 強化構造を備えた靴底
JP4248580B2 (ja) * 2004-11-18 2009-04-02 株式会社 日元倶楽部 足底板の製造方法
KR20100087098A (ko) * 2007-09-18 2010-08-03 이소울즈, 엘.엘.씨. 멀티 컴포넌트 풋베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1396A (ja) * 1996-07-23 2002-01-15 アーテミス・イノヴェーション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グラインディングプレートを備えた履物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822631B2 (ja) * 2003-10-17 2006-09-20 株式会社アシックス 強化構造を備えた靴底
JP4248580B2 (ja) * 2004-11-18 2009-04-02 株式会社 日元倶楽部 足底板の製造方法
KR20100087098A (ko) * 2007-09-18 2010-08-03 이소울즈, 엘.엘.씨. 멀티 컴포넌트 풋베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7115A (ko) 2012-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20168B (zh) 具有改进型鞋底的鞋
RU2489069C2 (ru) Подошва для полуботинка,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кроссовки
KR101423025B1 (ko) 무릎 부하를 경감시키는 미드솔
US20110061268A1 (en) Sole having the tilt surface and the knee joint-protecting shoe comprising the same
KR910008958B1 (ko) 테니스 및 다른 코트경기용 운동화
US20130291404A1 (en) Recovery shoe
TW201410172A (zh) 籃球鞋墊及其製造方法
KR19980018221A (ko) 신발 충격흡수시스템
US20120285040A1 (en) Spring shoe sole device
JP2009512525A (ja) 一体型の中足骨部起伏部を有する履物
US7832122B2 (en) Shoe heel cup and shoe equipped with one such heel cup
JP5677417B2 (ja) 健康靴および方法
KR101252287B1 (ko) 퇴행성 무릎을 위한 밑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
KR100758678B1 (ko) 기능성 신발 안창
US6321468B1 (en) Footwear outsole having arcuate inner-structure
KR20110112975A (ko) 신발 밑창
KR100984263B1 (ko) 경사면을 갖는 밑창 및 이를 포함하는 무릎 관절화
JP5458257B2 (ja) インソール及びインソールを製造する方法
KR100639503B1 (ko) 원형신발바닥에 에어백이 내장된 건강 흔들 신발
KR101245973B1 (ko) 신발 중창
KR102130147B1 (ko) 기능성 인솔
CN218635428U (zh) 护足守正鞋
CN210227075U (zh) 一种儿童功能鞋
KR101222850B1 (ko) 경도조절 및 교체가 용이한 뒷굽체를 구비한 신발
KR100979262B1 (ko) 이중 힐 구조의 헬스 슈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