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161Y1 - 놀이기구 - Google Patents

놀이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161Y1
KR200489161Y1 KR2020170004695U KR20170004695U KR200489161Y1 KR 200489161 Y1 KR200489161 Y1 KR 200489161Y1 KR 2020170004695 U KR2020170004695 U KR 2020170004695U KR 20170004695 U KR20170004695 U KR 20170004695U KR 200489161 Y1 KR200489161 Y1 KR 2004891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rod
base member
case
rod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46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0655U (ko
Inventor
김종수
손기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레이타임그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레이타임그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레이타임그룹
Priority to KR20201700046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161Y1/ko
Publication of KR201900006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6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1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1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1/00Roundabouts
    • A63G1/12Roundabouts rotated by the passengers themselv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4/00Accessories for roundabouts not restricted to one of groups A63G1/00 or A63G3/00

Landscapes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놀이기구는, 베이스 부재; 길쭉한 봉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서 회전되는 봉 부재; 및 상기 봉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봉 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봉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중앙으로부터 상기 베이스 부재의 주변부를 향하여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놀이기구{PLEASURE APPARATUS}
본 고안은 놀이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키즈 카페(kids cafe)라 함은, 어린 자녀를 둔 엄마 또는 부모들 또는 일시적으로 어린이를 맡아서 돌보고 있는 보호자가 부득이한 약속이 있을 때, 보호 중인 어린이를 약속장소에 데리고 나와서 어른들끼리의 만남의 갖는 한편 어린이는 어린이대로 보호자의 가시권 내에서 자유롭게 놀 수 있도록 실내에 놀이시설을 갖춘 장소를 말한다.
특히, 키즈 카페는 어린 자녀를 둔 지역의 부모들이 어린 자녀와 동반하여 자녀는 자녀대로 시설이 갖춰진 실내에서 자유롭게 놀 수 있도록 하여 건강을 증진시키는 목적과, 부모들은 자녀들을 가시권 내에 두고 살피면서 가볍게 차를 마시거나 식사를 하면서 자녀에 대한 정보를 교환하는 목적, 그리고 이웃 간의 친분을 위해 만남을 가지는 장소이기도 하다.
실내에 설치할 수 있도록 된 어린이 놀이방 구조물은 일반적으로 사출 또는 압출성형으로 규격화된 조립식 미끄럼틀 또는 원통 구조물을 이용한 미끄럼 틀과 사다리구조물 등이 있음을 알 수 있고, 어떤 경우에는 수많은 작은 고무공들을 구획된 공간 안에 채워서 구성하는 볼풀(ball pool)이 널리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는 정글짐이라는 구조물이 사용되면서 알려지고 있다.
예를 들어, 2016년 1월 15일에 출원된 KR10-2016-0005523에는 '실내 키즈카페 테마놀이방 시설'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아이들의 흥미 또는 재미를 유도할 수 있는 놀이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아이들이 회전하는 봉 부재를 피하도록 함으로써 활동량 또는 운동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놀이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사용자(예를 들어, 키즈카페의 직원 또는 아르바이트생)가 직접 페달을 밟으면서 아이들이 노는 모습을 가까이에서 볼 수 있으므로, 아이들이 보다 안전하게 놀이를 즐길 수 있는 놀이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놀이기구는, 베이스 부재; 길쭉한 봉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서 회전되는 봉 부재; 및 상기 봉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봉 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봉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중앙으로부터 상기 베이스 부재의 주변부를 향하여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구동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중앙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양측면에 돌출되어 사용자가 발로 밟는 페달; 및 상기 페달의 회전력을 상기 케이스에 전달하는 베벨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페달의 회전력이 상기 베벨 기어를 통해서 상기 케이스에 전달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봉 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서 상기 페달보다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봉 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회전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사용자가 앉도록 구성된 시트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트 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일측과 마주보는 타측에 연결되고, 상하 방향으로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사용자가 손을 잡을 수 있도록 마련된 손잡이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 부재는 상기 시트 부재의 전방에서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구동 부재는, 사용자가 발로 밟는 페달; 상기 페달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페달의 회전력을 상기 플레이트에 전달하는 운동 전달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페달의 전방에는 상기 봉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페달의 후방에는 상기 플레이트가 배치되며, 상기 페달의 회전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 및 상기 봉 부재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플레이트의 상단에는 사용자가 앉는 시트 부재가 연결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하단에는 휠이 장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놀이기구에 의하면,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아이들의 흥미 또는 재미를 유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놀이기구에 의하면, 아이들이 회전하는 봉 부재를 피하도록 함으로써 활동량 또는 운동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놀이기구에 의하면, 사용자(예를 들어, 키즈카페의 직원 또는 아르바이트생)가 직접 페달을 밟으면서 아이들이 노는 모습을 가까이에서 볼 수 있으므로, 아이들이 보다 안전하게 놀이를 즐길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놀이기구를 도시한다.
도 2는 구동 부재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다.
도 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놀이기구를 도시한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놀이기구를 도시하고, 도 2는 구동 부재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제1 실시예에 따른 놀이기구(10)는, 베이스 부재(100), 봉 부재(110), 구동 부재(120), 시트 부재(130) 및 손잡이 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100)는 아이들이 뛰어 놀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 부재(100)는 매트로 마련되어, 베이스 부재(100) 위에서 아이들이 놀다가 넘어지더라도 외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100) 상에는 봉 부재(11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봉 부재(110)는 길쭉한 봉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공기 등의 유체의 유입에 의해 팽창 또는 수축되는 튜브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아이들이 봉 부재(110)에 걸려 넘어지더라도 크게 다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봉 부재(110)의 일단은 베이스 부재(100)의 중앙에 배치되고, 봉 부재(110)의 타단은 베이스 부재(100)의 주변부를 향하여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부재(100)가 원형으로 마련된 경우, 봉 부재(110)의 일단은 베이스 부재(100)의 중심에 배치되고, 봉 부재(110)의 타단은 베이스 부재(100)의 외주면을 향하여 방사상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봉 부재(110)는 베이스 부재(100) 상에 회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봉 부재(110)에는 구동 부재(12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동 부재(120)는 베이스 부재(100)의 중앙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으며, 구동 부재(120)의 일측에 봉 부재(110)가 연결될 수 있다.
특히, 도 2를 참조하여, 구동 부재(120)는 케이스(122), 페달(124) 및 베벨 기어(1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22)는 내부에 베벨 기어(128)가 수용되기에 충분한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22)의 일측에는 봉 부재(110)가 연결되고, 케이스(122)의 일측과 마주보는 타측에는 시트 부재(130)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122)의 하면은 베이스 부재(100) 상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한편, 페달(124)은 케이스(122)의 양측면으로부터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페달(124)은 사용자(예를 들어, 키즈 카페의 직원 또는 아르바이트생)가 발로 밟을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케이스(122)의 하면 및 페달(124) 사이에는 베벨 기어(126)가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페달(124)의 회전력이 베벨 기어(126)를 통해서 케이스(122)에 전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페달(124)이 A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베벨 기어(126)에 의해서 B 방향으로 회전 방향이 전환되어 케이스(122)가 B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베벨 기어(126)를 통해서 페달(124)의 회전력이 케이스(122)에 전달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페달(124)의 회전력 또는 회전 운동을 케이스(122)에 전달할 수 있는 운동 전달 요소라면 어느 것이든지 가능하다.
한편, 시트 부재(130)는 사용자가 앉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트 부재(130)는 자전거의 안장으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트 부재(130)는 케이스(122)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하 방향으로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보다 안정적으로 페달(124)을 밟을 수 있다.
또한, 시트 부재(130)가 케이스(122)에 직접 연결되어, 케이스(122)의 회전에 의해서 시트 부재(130)가 동일한 방향으로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 부재(140)는 시트 부재(130)에 앉은 사용자가 손을 잡을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손잡이 부재(140)는 시트 부재(130)의 전방에서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전술된 제1 실시예에 따른 놀이기구는 다음과 같이 구동될 수 있다.
우선, 사용자가 페달(124)을 제1 방향으로 밟으면, 베벨 기어(126)를 통해서 케이스(122)가 베이스 부재(100)에 대해서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케이스(122)의 회전에 의해 케이스(122)에 연결된 봉 부재(110)와 시트 부재(130)가 함께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반면, 사용자가 페달(124)을 제2 방향으로 밟으면, 베벨 기어(126)를 통해서 케이스(122)가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 중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케이스(122)의 회전에 의해 케이스(122)에 연결된 봉 부재(110)와 시트 부재(130)가 함께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놀이기구가 구동될 때, 베이스 부재(100) 위에 있는 아이들은 회전하는 봉 부재(110)에 걸려 넘어지지 않기 위해 봉 부재(110)를 뛰어넘는 놀이는 즐길 수 있다.
이상 제1 실시예에 따른 놀이기구에 대하여 설명되었으며, 이하에서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놀이기구에 대하여 설명된다.
도 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놀이기구를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놀이기구(20)는, 베이스 부재(200), 봉 부재(210), 구동 부재(220), 시트 부재(230) 및 손잡이 부재(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200)는 아이들이 뛰어 놀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 부재(200)는 매트로 마련되어, 베이스 부재(200) 위에서 아이들이 놀다가 넘어지더라도 외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200) 상에는 봉 부재(21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봉 부재(210)는 길쭉한 봉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공기 등의 유체의 유입에 의해 팽창 또는 수축되는 튜브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아이들이 봉 부재(210)에 걸려 넘어지더라도 크게 다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봉 부재(210)의 일단은 베이스 부재(210)의 중앙에 배치되고, 봉 부재(210)의 타단은 베이스 부재(200)의 주변부를 향하여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부재(200)가 원형으로 마련된 경우, 봉 부재(210)의 일단은 베이스 부재(200)의 중심에 배치되고, 봉 부재(210)의 타단은 베이스 부재(200)의 외주면을 향하여 방사상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봉 부재(210)는 베이스 부재(200) 상에 회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봉 부재(210)에는 구동 부재(22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동 부재(220)는 베이스 부재(200)의 중앙에 장착될 수 있으며, 구동 부재(220)의 일측에 봉 부재(210)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 부재(220)는 페달(222), 플레이트(224) 및 휠(22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페달(222)은 사용자가 발로 밟을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고, 플레이트(224)는 페달(222)의 회전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이때, 페달(222)의 전방에는 봉 부재(210)가 연결되고, 페달(222)의 후방에는 플레이트(224)가 연결되어, 페달(222)의 회전에 의해 플레이트(224) 및 봉 부재(210)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페달(222)의 전방은 시트 부재(130)에 앉은 사용자의 시선으로 전방을 가리킨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페달(222) 및 플레이트(224) 사이에는 페달(222)의 회전력을 플레이트(224)에 전달하도록 베벨 기어와 같은 운동 전달 요소가 연결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3에는 봉 부재(210) 및 플레이트(224)의 연결 구조가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기는 하나, 봉 부재(210) 및 플레이트(224)의 연결 구조는 서로 동시에 회전이 가능하다면 어느 것이든지 가능하고, 봉 부재(210) 및 플레이트(224)가 직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224)의 하단에는 휠(226)이 장착될 수 있고, 플레이트(224)의 상단에는 사용자가 앉도록 구성된 시트 부재(230)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플레이트(224)의 회전 시 시트 부재(230)가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휠(226)에 의해서 시트 부재(230)가 보다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트 부재(230)는 자전거의 안장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손잡이 부재(240)는 시트 부재(230)에 앉은 사용자가 손을 잡을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손잡이 부재(240)는 시트 부재(230)의 전방에서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전술된 제2 실시예에 따른 놀이기구는 다음과 같이 구동될 수 있다.
우선, 사용자가 페달(222)을 제1 방향으로 밟으면, 플레이트(224)가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플레이트(224)의 회전에 의해 봉 부재(210)와 시트 부재(230)가 함께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반면, 사용자가 페달(222)을 제2 방향으로 밟으면, 플레이트(224)가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 중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플레이트(224)의 회전에 의해 봉 부재(210)와 시트 부재(230)가 함께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놀이기구가 구동될 때, 베이스 부재(200) 위에 있는 아이들은 회전하는 봉 부재(210)에 걸려 넘어지지 않기 위해 봉 부재(210)를 뛰어넘는 놀이는 즐길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20: 놀이기구
100, 200: 베이스 부재
110, 210: 봉 부재
120, 220: 구동 부재
122: 케이스
124: 페달
126: 베벨 기어
222: 페달
224: 플레이트
226: 휠
130, 230: 시트 부재
140, 240: 손잡이 부재

Claims (7)

  1. 베이스 부재;
    길쭉한 봉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서 회전되는 봉 부재; 및
    상기 봉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봉 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봉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중앙으로부터 상기 베이스 부재의 주변부를 향하여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구동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중앙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양측면에 돌출되어 사용자가 발로 밟는 페달; 및
    상기 페달의 회전력을 상기 케이스에 전달하는 베벨 기어;
    를 포함하고,
    상기 페달의 회전력이 상기 베벨 기어를 통해서 상기 케이스에 전달되는 놀이기구.
  2. 삭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봉 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서 상기 페달보다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봉 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놀이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앉도록 구성된 시트 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트 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일측과 마주보는 타측에 연결되고, 상하 방향으로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마련된 놀이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손을 잡을 수 있도록 마련된 손잡이 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 부재는 상기 시트 부재의 전방에서 상부에 배치되는 놀이기구.
  6. 베이스 부재;
    길쭉한 봉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서 회전되는 봉 부재; 및
    상기 봉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봉 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봉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중앙으로부터 상기 베이스 부재의 주변부를 향하여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구동 부재는,
    사용자가 발로 밟는 페달;
    상기 페달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페달의 회전력을 상기 플레이트에 전달하는 운동 전달 요소;
    를 포함하고,
    상기 페달의 전방에는 상기 봉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페달의 후방에는 상기 플레이트가 배치되며,
    상기 페달의 회전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 및 상기 봉 부재가 함께 회전하는 놀이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상단에는 사용자가 앉는 시트 부재가 연결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하단에는 휠이 장착되는 놀이기구.
KR2020170004695U 2017-09-05 2017-09-05 놀이기구 KR2004891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695U KR200489161Y1 (ko) 2017-09-05 2017-09-05 놀이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695U KR200489161Y1 (ko) 2017-09-05 2017-09-05 놀이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655U KR20190000655U (ko) 2019-03-13
KR200489161Y1 true KR200489161Y1 (ko) 2019-09-09

Family

ID=65728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695U KR200489161Y1 (ko) 2017-09-05 2017-09-05 놀이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161Y1 (ko)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강정보입구에 있는 로보트놀이기구, [online], 2016.03.08., [2018.03.05. 검색], 인터넷 : <URL : http://diet980.tistory.com/22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655U (ko) 2019-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33587A (en) Infant{40 s toy
US20170203217A1 (en) Kids cafe having themed play facilities and food-and-beverage offering facilities
US4210322A (en) Portable tumbling mat
KR101490293B1 (ko) 키즈카페 테마놀이방
US9398835B2 (en) Interactive training device
KR200489161Y1 (ko) 놀이기구
US5520597A (en) Trainer for learning to walk
Walsh Frog boy and the American monkey: The body in Japanese early schooling
KR200457746Y1 (ko) 페달의 위치가 변하는 사이클링 운동기구
KR200455033Y1 (ko) 놀이터에 설치되는 물놀이용 기구
KR102493300B1 (ko) 멀티 탄성 블럭
KR20160097597A (ko) 영아용 슬라이딩 놀이기구
KR102493301B1 (ko) 멀티 탄성 블럭
KR100782141B1 (ko) 다중 사용자형 운동기구
KR100977913B1 (ko) 유희용 승마기구
US9403098B1 (en) Polygonal swing assembly
KR102208038B1 (ko) 실내 키즈카페 시설
KR102614336B1 (ko) 승마운동기구용 안전발판
KR101179224B1 (ko) 휴먼에너지를 이용한 운동 및 놀이장치
KR102268289B1 (ko) 영유아 탑승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
KR101101275B1 (ko) 허리운동기구
KR200291418Y1 (ko) 동물형 탈것의 기어가는 장치
JP2006037435A (ja) 飲食施設
JP2021106652A (ja) 多数の流動球体を用いる遊戯ゲーム機
US7114734B1 (en) Novelty riding toy for childr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