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5033Y1 - 놀이터에 설치되는 물놀이용 기구 - Google Patents

놀이터에 설치되는 물놀이용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5033Y1
KR200455033Y1 KR2020090003155U KR20090003155U KR200455033Y1 KR 200455033 Y1 KR200455033 Y1 KR 200455033Y1 KR 2020090003155 U KR2020090003155 U KR 2020090003155U KR 20090003155 U KR20090003155 U KR 20090003155U KR 200455033 Y1 KR200455033 Y1 KR 2004550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otating body
playground
cent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31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9494U (ko
Inventor
문희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에이치에스엠엔조이워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에이치에스엠엔조이워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에이치에스엠엔조이워터
Priority to KR20200900031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5033Y1/ko
Publication of KR201000094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4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50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503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9/00Rolling drums turning somersaults with or without rolling sea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63G31/007Amusement arrangements involving water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놀이터에 설치되는 물놀이용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중심기둥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회전체를 형성하되, 상기 회전체는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는 중심 발란스 발판과, 손을 잡을 수 있는 손잡이를 양측방향에 각각 으로 형성하며, 상기 회전체 상측은 펌프와 연결된 배출구를 통하여 공급되는 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에 저장되는 물이 흘려 내리지 않게 차단하기 위한 격벽을 형성한 후, 상기 회전체가 중심을 벗어나면 상기 공간부에 저장된 물이 일 측으로 흘러내려 기구에 타고 있는 어린이에게 바로 낙하 되면서 즐겁게 물놀이를 하게 되므로 무더운 여름날 더위를 식혀줄 수 있도록 구성되는 놀이터에 설치되는 물놀이용 기구에 관한 것이다.
물놀이용 기구, 놀이터용 물놀이 기구, 시소

Description

놀이터에 설치되는 물놀이용 기구{DEVICC FOR A RIPPLING}
본 고안은 놀이터에 설치되는 물놀이용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중심기둥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회전체를 형성하되, 상기 회전체는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는 중심 발란스 발판과, 손을 잡을 수 있는 손잡이를 양측방향에 각각 으로 형성하며, 상기 회전체 상측은 펌프와 연결된 배출구를 통하여 공급되는 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에 저장되는 물이 흘려 내리지 않게 차단하기 위한 격벽을 형성한 후, 상기 회전체가 중심을 벗어나면 상기 공간부에 저장된 물이 일 측으로 흘러내려 기구에 타고 있는 어린이에게 바로 낙하 되면서 즐겁게 물놀이를 하게 되므로 무더운 여름날 더위를 식혀줄 수 있도록 구성되는 놀이터에 설치되는 물놀이용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합공원에 설치되는 유희 시설물는 어린이용으로 그네, 미끄럼 틀, 철봉. 정글짐, 인조 돌산, 플레이 월(play wall), 놀이조각물, 도섭지, 시소, 사닥다리, 및 모래터 등이 있다.
이러한, 유희시설물은 공원 계획상 없어서는 안되는 항목으로 공원을 이용하는 시민과 어린이들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시소나, 널뛰기는 어린이용 놀이 기수의 일종으로, 2인이 1조가 되어 지지 프레임 상에 중심이 힌지 고정된 평균대의 양끝에 앉아 서로의 무게를 느끼며 균형감각 및 조정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말하며, 동네의 놀이터등에서도 흔히 발견할 수 있는 널리 알려진 놀이기구이다.
한편, 상기 놀이시설이 설치된 바닥에는 모래를 전체적으로 깔아 충격에 대비하게 되며, 또한 상기 모래는 어린이들이 손으로 만지면서 가지고 노는 실정이다.
한편, 놀이터에는 사람 외에도 개, 고양이 등과 같은 동물들이 수시로 출입하게 되고, 또한 동물들이 배설한 배설물이 바닥에 깔린 모래 속에 파묻히게 된다.
따라서, 모래 속에는 사람 눈에는 보이지 않는 세균들이 기생하게 되면서 어린이들의 손을 통하여 인체에 바로 감염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놀이터에 설치되는 철봉, 그네, 시소 등은 목재 및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어린이들이 사용하고 있으나 어린이들에게 흥미를 유발시키지 못하여 쉽게 싫증을 느끼게 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날씨가 무더운 여름철의 경우에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각종 놀이시설에 태양열이 바로 전달되면서 뜨거워지므로 인하여 어린이들의 화상 염려도 함께 발생하게 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어 린이들이 즐겁게 노는 종래의 놀이터에서 벗어나 다양한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유희를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놀이터에 설치되는 물놀이용 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놀이터에 설치되는 물놀이용 기구는 중심기둥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회전체를 형성하되, 상기 회전체는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는 중심 발란스 발판과, 손을 잡을 수 있는 손잡이를 양측방향에 각각 으로 형성하며, 상기 회전체 상측은 펌프와 연결된 배출구를 통하여 공급되는 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에 저장되는 물이 흘려 내리지 않게 차단하기 위한 격벽을 형성한 후, 상기 회전체가 중심을 벗어나면 상기 공간부에 저장된 물이 일 측으로 흘러내려 기구에 타고 있는 어린이에게 바로 낙하 되면서 즐겁게 물놀이를 하게 되므로 무더운 여름날 더위를 식혀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놀이터에 설치되는 널뛰기의 부가 기능은 물론, 여름철에 물놀이를 겸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물을 낙하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널뛰기를 타는 어린이에게 물을 자동으로 낙하시키는 수단을 통하여 흥미와 재미를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요부가 조립된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가 작동하는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가 조립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가 조립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본 고안의 물놀이용 기구는 중심기둥(10)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회전체(11)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회전체(11)에는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는 중심 발란스 발판(12)과, 손을 잡을 수 있는 손잡이(13)를 양측방향에 각각으로 형성시킨 후,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무게 중심이 변화되는 널뛰기 방식으로 사용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회전체(11) 상측은 펌프(19)와 연결된 배출구(14)를 통하여 공급되는 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공간부(15)(15')와, 상기 공간부(15)(15')에 저장된 물이 한번에 흘려 내리지 않게 차단하기 위한 격벽(16)을 형성하게 되며, 또 한 상기 격벽(16)을 기준으로 양측에는 커버(20)를 구성하여 물이 측면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구성하였다.
이때, 회전체(11)가 도 2와 같이 무게 중심을 벗어나면 상기 공간부(15)에 저장된 물이 일 측으로 흘러내려 기구에 타고 있는 어린이에게 바로 낙하 되면서 즐겁게 물놀이를 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타측의 공간부(15')에 저장된 물 또한, 동시에 흘러내리면서 흥미와재미를 배가시킬 수 있다.
여기서, 회전체(11) 부분이 회전하는 경우, 안전바(21)는 상기 회전체(11)가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기능을 갖게 되며, 또한 안전바(21)는 충격을 어느 정도 흡수할 수 있는 쿠션 부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회전체(11) 부분이 원위치 되는 경우, 도 1 및 도 4 와 같이 펌프(19)와 연결된 배출구(14)를 통하여 물이 계속 유입되면서 공간부(15)(15')에 다시 채워진다, 이때 사용하는 어린이들이 없는 경우, 물은 계속적으로 흘러내리면서 폭포의 기능을 하게 된다.
그리고, 바닥에 흘러내리는 물은 별도의 배수관(미도시됨)을 통하여 저장조로 바로 유입된 후, 여과장치와 공급펌프의 작동에 의해 재차 공급되어 재사용되는 구성이다.
또한, 중심기둥(10)에 형성되는 회전체(11)는 베어링(18) 및 플랜지(23)와 일체로 고정된 중심축(17)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안정성을 보장받을 수 있으며, 또한 회전체(11) 내측에는 다수의 지지바(22)를 고정하게 되므로 견고함을 유 지하는데 아무런 문제는 없게 된다.
따라서, 회전체(11)가 도 1 및 도 4와 같이 배출구(14)를 통하여 배출되는 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경우, 폭포의 기능을 하게 됨과 아울러, 도 2와 같이 사용자 무게에 의해 중심이 흐트러지면서 기울어지는 상황이 발생할 때는 한 번에 많은 양의 물이 흘러내리면서 상대에게 물을 퍼붓게 되므로 물놀이의 재미를 배가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회전체(11)에 형성된 발란스 발판(12)과, 손잡이(13)를 잡은 상태로 올라타 무게 중심을 변화시키는 널뛰기 방식으로 사용하면서 회전체(11) 상측의 배출구(14)를 통하여 공급되는 물이 공간부(15)(15')에 저장된 상태로 일 측으로 흘러내려 기구에 타고 있는 어린이에게 바로 낙하 되면서 즐겁게 물놀이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물이 한번에 흘려 내리지 않게 차단하기 위한 격벽(16)을 형성하게 되며, 또한 상기 격벽(16)을 기준으로 양측에는 커버(20)를 구성하여 물이 측면으로는 흘러내리지 않도록 구성하였다.
즉, 회전체(11)가 도 2와 같이 무게 중심을 벗어나면 상기 공간부(15)(15')에 저장된 물이 일 측으로 흘러내려 기구에 타고 있는 사용자에게 바로 낙하 되면서 즐겁게 물놀이를 하게 됨은 물론, 타측의 공간부(15')에 저장된 물 또한, 동시에 흘러내리면서 흥미와 재미를 더욱 배가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에 따르면 놀이터에 설치되는 널뛰기의 부가 기능은 물론, 여름철에 물놀이를 겸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물을 낙하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 다.
전술한 본 고안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결합 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요부가 조립된 상태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가 작동하는 상태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가 조립된 상태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가 조립된 상태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중심기둥 11. 회전체
12. 발판 13. 손잡이
14. 배출구 15,15'. 공간부
16. 격벽 17. 중심축
18. 베어링 19. 펌프
20. 커버 21. 안전바
22. 지지바 23. 플랜지

Claims (5)

  1. 중심기둥(10)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회전체(11)를 형성하되,
    상기 회전체(11)는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는 중심 발란스 발판(12)과, 손을 잡을 수 있는 손잡이(13)를 양측방향에 각각으로 형성하며,
    상기 회전체(11) 상측은 펌프(19)와 연결된 배출구(14)를 통하여 공급되는 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공간부(15)(15')와,
    상기 공간부(15)(15')에 저장되는 물이 흘려 내리지 않게 차단하기 위한 격벽(16)과 커버(20)를 형성함과 아울러 사용자 무게에 의해 회전체(11)의 무게 중심이 중심기둥(10)의 중심을 벗어나면서 상기 공간부(15)(15')에 저장된 물이 일 측으로 흘러내려 기구에 타고 있는 사용자에게 바로 낙하 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터에 설치되는 물놀이용 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11)에 안전바(21)를 형성하여 회전하는 회전체(11)가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잡아주게 됨과 아울러 상기 안전바(21)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쿠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터에 설치되는 물놀이용 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기둥(10)에 형성되는 회전체(11)는 베어링(18) 및 플랜지(23)와 일 체로 고정된 중심축(17)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회전체(11) 내측에는 다수의 지지바(22)를 고정하여 견고함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놀이터에 설치되는 물놀이용 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19)와 연결된 배출구(14)를 통하여 유입되는 물이 채워지는 공간부(15)(15')는 물이 흘러내리는 폭포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터에 설치되는 물놀이용 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을 낙하시키는 회전체(11)는 사용자 체중에 의한 무게 중심 변화에 의해 회전되면서 널뛰기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터에 설치되는 물놀이용 기구.
KR2020090003155U 2009-03-19 2009-03-19 놀이터에 설치되는 물놀이용 기구 KR2004550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3155U KR200455033Y1 (ko) 2009-03-19 2009-03-19 놀이터에 설치되는 물놀이용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3155U KR200455033Y1 (ko) 2009-03-19 2009-03-19 놀이터에 설치되는 물놀이용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494U KR20100009494U (ko) 2010-09-29
KR200455033Y1 true KR200455033Y1 (ko) 2011-08-11

Family

ID=44199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3155U KR200455033Y1 (ko) 2009-03-19 2009-03-19 놀이터에 설치되는 물놀이용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503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7220B1 (ko) * 2012-06-26 2013-08-16 (주)디자인가교 회전물놀이기구
KR101297219B1 (ko) * 2012-06-26 2013-08-16 (주)디자인가교 물이 방출되는 시소놀이기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0048A (ko) * 1998-11-14 2000-06-05 최동안 회전이 자유로운 자이로 캡슐 놀이기구
KR20010049213A (ko) * 1999-11-18 2001-06-15 최영민 균형추를 이용한 부양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0048A (ko) * 1998-11-14 2000-06-05 최동안 회전이 자유로운 자이로 캡슐 놀이기구
KR20010049213A (ko) * 1999-11-18 2001-06-15 최영민 균형추를 이용한 부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494U (ko) 201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7926B2 (en) Fluid chamber inflatable apparatus
US3451672A (en) Amusement and physical fitness device
JP6454670B2 (ja) テーマ遊び施設と食・飲料提供施設を備えた親子カフェ
US7611427B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ayer competitive recreation
KR200455033Y1 (ko) 놀이터에 설치되는 물놀이용 기구
KR200452930Y1 (ko) 놀이터에 설치되는 물놀이용 시소
KR200445606Y1 (ko) 회전 시소
KR101278084B1 (ko) 형상 가변형 놀이시설물
JP2004208844A (ja) 空気膜マットを用いた遊戯具
US6764408B1 (en) Inflatable structure with suspended features
JP2011030944A (ja) 遊具
CN208405896U (zh) 一种互动晃板健身装置
CN211328131U (zh) 一种双塔游乐设施
RU2553009C1 (ru) Качели самовращающиеся, рычажные
KR200429261Y1 (ko) 외줄타기용 민속운동기구
KR20100009543U (ko) 놀이터에 설치되는 물놀이용 기구
KR101297220B1 (ko) 회전물놀이기구
KR200329196Y1 (ko) 종합놀이대
KR102208038B1 (ko) 실내 키즈카페 시설
JP2000070433A (ja) スポーツ施設
KR100977913B1 (ko) 유희용 승마기구
CN206128710U (zh) 学院制儿童乐园结构
CN207462658U (zh) 一种带有攀登架的攀爬桥
Karoff et al. The Interactive Trampoline-Safety and Enjoyment
Hope et al. Play: Canberra destination playground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