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5606Y1 - 회전 시소 - Google Patents

회전 시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5606Y1
KR200445606Y1 KR2020080016122U KR20080016122U KR200445606Y1 KR 200445606 Y1 KR200445606 Y1 KR 200445606Y1 KR 2020080016122 U KR2020080016122 U KR 2020080016122U KR 20080016122 U KR20080016122 U KR 20080016122U KR 200445606 Y1 KR200445606 Y1 KR 2004456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wheel
cylindrical body
plate
sees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61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주현
Original Assignee
윤주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주현 filed Critical 윤주현
Priority to KR20200800161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6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6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60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11/00See-saw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1/00Roundabouts
    • A63G1/12Roundabouts rotated by the passengers themselv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3/00Rotating or rocking pots, e.g. by moving the whole body

Landscapes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회전 시소에 관한 것으로, 시소의 수평판 양 끝단에 안장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안장에 착석한 후 상기 수평판 양 끝단이 승강 및 하강함과 동시에 상기 수평판이 회전됨으로 인해 즐거움을 얻을 수 있는 회전 시소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회전 시소는,
양측 끝단에 앉을 수 있는 시트부와, 파지가능한 손잡이가 구비되고, 수평 판 형태를 갖는 판몸체와, 상기 판몸체 하부 중앙 일단과 힌지 연결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의 하부가 내부에 수직으로 일부 삽입되어, 상기 힌지부가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수직관이 상부에 구비된 원통 형태의 원통몸체와, 상기 원통몸체의 상면과 상기 판몸체 하부에 수직 연결된 회동보조부로 구성된다.
판몸체, 시트부, 손잡이, 힌지부, 연결판, 힌지관, 수평힌지축, 수직중심축, 원통몸체, 수직관, 회동보조부, 회동바퀴, 가이드로드, 바퀴, 브레이크

Description

회전 시소{ROTATE SEESAW}
본 고안은 회전 시소에 관한 것으로, 시소의 수평판 양 끝단에 안장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안장에 착석한 후 상기 수평판 양 끝단이 승강 및 하강함과 동시에 상기 수평판이 회전됨으로 인해 즐거움을 얻을 수 있는 회전 시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공간에서 사용되는 놀이기구는 블록형, 그네형, 뛰기형, 차량형 등이 있다.
이 가운데 뛰기형 기구는, 널판지 판넬이나 긴 봉의 양단을 지지하고 그 위를 넘어 뛰거나 판넬 위를 걸을 수 있도록 하는 놀이기구로서, 보통 널뛰기, 중심잡기, 시소놀이 등이 있다.
이러한 놀이기구는 구조적으로 조립과 분해 등의 사용이 쉽고, 고장 및 손상이나 파손이 쉽게 되지 않으며, 놀이기구 사용중 사용자가 다치게 될 수 있는 부분을 고려해서 만들어져야 하고, 실내사용이 가능하도록 소음이 적고 실내 바닥 등을 훼손하지 않는 구조를 구비해야 할 것이다.
특히, 시소는, 양쪽 끝단에 안장이 있고 철재로 된 막대 판 형태의 수평판 중심 하부에 수직으로 세워진 중심축을 힌지로 연결해서 상기 안장에 사용자가 앉아 상기 수평판 양끝단이 승강 및 하강 되면서 사용자가 즐거움을 얻게 되는 운동 놀이기구 이다.
이러한 시소 놀이는, 시소의 무게와 거리의 관계를 고려해야 한다는 점에서 한국의 민속놀이인 널뛰기와 원리가 같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고 몸의 평형기능, 리듬감, 협동심 등을 기르는 데 적합한 운동 놀이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놀이용 시소는 좌우 안장에 각각의 사람이 앉아 발구름에 의해 상하로 승강 및 하강운동하는 단순한 구조이기 때문에, 다양한 즐거움을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시소는 구조상 수평판 중심 하부를 지지하는 중심축이 지면에 고정되어야 하기 때문에, 일정 장소에 시소를 구비하게 되면 다른 장소로 유동시키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시소의 특성상 그 부피가 크기 때문에 실내에서 보관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회전 시소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수평판 양끝단에 사용자가 앉아 발을 구르면서 수평판 양끝단이 번갈아 승강 및 하강하면서 즐거움을 얻음과 동시에 수평판이 회동을 하기 때문에 더욱 배가된 즐거움을 얻을 수 있고, 상기 수평판 중심 하부를 지지하는 중심축이 지면에 고정되지 않아 용이하게 유동 가능하며, 시소가 간편하게 분해 조립되어 그 보관이 용이한 회전 시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회전 시소는,
양측 끝단에 앉을 수 있는 시트부와, 파지가능한 손잡이가 구비되고, 수평 판 형태를 갖는 판몸체와, 상기 판몸체 하부 중앙 일단과 힌지 연결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의 하부가 내부에 수직으로 일부 삽입되어, 상기 힌지부가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수직관이 상부에 구비된 원통 형태의 원통몸체와, 상기 원통몸체의 상면과 상기 판몸체 하부에 수직 연결된 회동보조부로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힌지부는, 상기 연결판의 하부 중앙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되 중앙이 단절된 관 형태의 힌지관과, 상기 힌지관에 수평방향으로 힌지 연결되는 수평힌지축과, 상기 수평힌지축의 중심축에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수직관에 일부 삽입되는 수직중심축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회동보조부는, 상기 연결판의 하부 양 끝단에 형성된 힌지편에 힌지 연결되되, 수직 막대형태를 갖고 하부에 회동바퀴가 구비된 회동암과, 상기 회동암의 회동바퀴가 밀착된 채로 안내되도록 상기 원통몸체의 상부에 음각으로 형성된 가이드로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판몸체의 중앙 하부에는, 고정볼트로 고정결합된 수평 판 형태의 연결판이 형성된다.
이어서, 상기 원통몸체는, 상부가 경사지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원통몸체의 하부에는, 상기 원통몸체가 유동 및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바퀴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퀴부는, 상기 원통몸체 하부에 사방으로 수평 연장된 막대 형태의 지지암과, 상기 지지암의 말단에 연결된 바퀴와, 상기 바퀴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바퀴의 회동을 멈추도록 하는 브레이크를 포함한다.
실내에서도 간편하게 조립 및 분해하여 다수명의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어 보관 및 사용이 용이하면서도 승강 및 하강의 즐거움뿐만 아니라 시소가 회전되어 그 즐거움이 배가되는 사용상의 효과가 있고, 시소가 유동 및 고정가능하도록 제작되어 실내뿐만 아니라 실외에서도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에서 간편하게 조립설치 및 분해하여 사용가능한 그 사용상의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 시소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 시소의 측면을 나타낸 측면도 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 시소의 요부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 시소의 요부를 분리한 분리 사시도 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 시소의 요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 시소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실시도 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 시소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 시소의 다른 실시를 나타낸 실시예 이다.
이러한 회전 시소는, 다수의 인원이 동시에 사용하면서 그 사용상의 즐거움을 배가시키고, 간편하게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여 실내 또는 실외에서 간편하게 조립설치하여 사용하고, 용이하게 보관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회전 시소는,
수평 판 형태를 갖는 판몸체(100)와, 상기 판몸체(100) 하부 중앙 일단과 힌지 연결되는 힌지부(120)와, 상기 힌지부(120)의 하부가 내부에 수직으로 일부 삽입되어, 상기 힌지부(120)가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수직관(152)이 상부에 구비된 원통 형태의 원통몸체(150)와, 상기 원통몸체(150)의 상면과 상기 판몸체(100) 하부에 수직 연결된 회동보조부(160)로 구성된다.
이어서, 상기 판몸체(100)는, 금속이나 목재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판몸체(100)의 양측 끝단에 앉을 수 있도록 된 다수 개의 시트부(102)를 구비하여, 다수 명의 사용자가 상기 판몸체(100)의 시트부(102)에 앉을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시트부(102)가 위치된 상기 판몸체(100)의 양측 끝단에 다수 개의 손잡이(104)가 구비되어 상기 시트부(102)에 앉은 사용자가 사익 손잡이(104)를 잡아 기구사용중의 안전을 도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판몸체(100)의 중앙하부에는, 고정볼트(112)로 고정결합된 수평 판 형태의 연결판(110)이 형성되는데, 상기 판몸체(100)는, 금속이나 목재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판(110) 하부에는, 상기 힌지부(120)와, 상기 회동보조부(160)의 상부가 각각 연결되며, 상기 힌지부(120)와, 상기 회동보조부(160) 각각의 하부에는 상기 원통몸체(150)의 상부가 연결된다.
도 2내지 도 6에 도시된 도면을 토대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원통 형태의 원통몸체(150)의 상부에는, 상기 힌지부(120)의 하부가 내부에 수직으로 일부 삽입되어, 상기 힌지부(120)가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수직관(152)이 구비된다.
이어서, 상기 힌지부(120)는, 상기 연결판(110)의 하부 중앙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되 중앙이 단절된 관 형태의 힌지관(122)과, 상기 힌지관(122)에 수평방향으로 힌지 연결되는 수평힌지축(124)과, 상기 수평힌지축(124)의 중심축에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수직관(152)에 일부 삽입되는 수직중심축(126)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회동보조부(160)는, 상기 연결판(110)의 하부 양 끝단에 형성된 힌지편(162)에 힌지 연결되되, 수직 막대형태를 갖고 하부에 회동바퀴(164)가 구비된 회동암(165)과, 상기 회동암(165)의 회동바퀴(164)가 밀착된 채로 안내되도록 상기 원통몸체(150)의 상부에 음각으로 형성된 가이드로드(168)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회동보조부(160)는, 상기 가이드로드(168)에 안내되어 유동 되되, 상기 판몸체(100)의 일측이 하강하고, 다른 일측은 승강하게 되면 승강 된 상기 판몸체(100) 측의 상기 회동바퀴(164)가 상기 가이드로드(168)를 수직방향으로 벗어난 후, 승강 된 상기 판몸체(100) 측이 다시 하강하게 되면 상기 가이드로드(168)를 벗어난 상기 회동바퀴(164)가 다시 상기 가이드로드(168)로 수직하강하게 되어 상기 가이드로드(168)에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통몸체(150)는, 상부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원통몸체(150)의 상면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로드(168)도 상기 원통몸체(150)의 상면의 형상에 의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로드(168)의 음각 안내에 따라 유동 되는 상기 회동바퀴(164)는 상기 판몸체(100)의 회동시 상기 가이드로드(168)의 경사진 음각을 따라 유동 되어, 상기 회동바퀴(164)를 포함하는 회동보조부(160)와 연결된 상기 판몸체(100)가 승강 및 하강 되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원통몸체(150)의 하부에는, 상기 원통몸체(150)가 유동 및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바퀴부(17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퀴부(170)는, 상기 원통몸체(150) 하부에 사방으로 수평 연장된 막대 형태의 지지암(171)과, 상기 지지암(171)의 말단에 연결된 바퀴(172)와, 상기 바퀴(172)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바퀴(172)의 회동을 멈추도록 하는 브레이크(174)를 갖는다.
그렇게 때문에, 상기 지지암(171)에 의해 상기 원통몸체(150)는, 보다 안정적으로 지면에 지지가능하게 되고, 상기 바퀴(172)를 이용하여 상기 원통몸체(150)를 포함한 상기 판몸체(100)를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로 이동하여 사용 가능하고, 상기 판몸체(100)를 사용시 상기 브레이크(174)를 이용하여 상기 바퀴(172)가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원통몸체(150)가 유동 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상기 판몸체(100)를 사용하게 된다.
특히, 본 고안의 회전 시소를 사용한 후, 일정한 장소에 보관시에는, 상기 판몸체(100)를 상기 연결판(110)에서 분리하고, 상기 힌지부(120)를 상기 원통몸체(150)에서 분리하여 용이하게 보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상태에 따른 본 고안의 회전 시소를 살펴보면, 상기 판몸체(100) 양 끝단에 구비된 상기 시트부(102)에 각각 사용자가 앉아 상기 손잡이(104)를 파지하여 사용자가 안전하게 회전 시소를 이용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판몸체(100)는, 한쪽이 승강하면 다른 한쪽은 하강하게 되는데, 하강한 쪽에 위치한 사용자가 지면에 발을 구르게 되면, 상기 판몸체(100)는, 유동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판몸체(100)에 연결된 회동보조부(160)의 회동바퀴(164)가 상기 원통몸체(150)의 경사진 상면에 구비된 가이드로드(168)를 따라 안내되면서, 하강한 쪽에 위치한 사용자는 승강하게 된다.
이렇게, 본 고안의 회전 시소는, 승강과 하강을 반복함과 동시에 360°회동을 하기 때문에, 사용자로 하여금 즐거움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몸체(100)는, 복수 개의 판몸체(100)를 교 차 연결되도록 한 후 사용하여, 다수 명의 사람이 동시에 사용가능하도록 할 수 있어, 다수 명의 사람이 동시에 즐길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고안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 시소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 시소의 측면을 나타낸 측면도 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 시소의 요부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 시소의 요부를 분리한 분리 사시도 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 시소의 요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 시소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실시도 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 시소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 시소의 다른 실시를 나타낸 실시예 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판몸체 102 : 시트부
104 : 손잡이
110 : 연결판 112 : 고정볼트
120 : 힌지부 122 : 힌지관
124 : 수평힌지축 126 : 수직중심축
150 : 원통몸체 152 : 수직관
160 : 회동보조부 162 : 힌지편
164 : 회동바퀴 165 : 회동암
168 : 가이드로드
170 : 바퀴부 171 : 지지암
172 : 바퀴 174 : 브레이크

Claims (7)

  1. 양측 끝단에 앉을 수 있는 시트부(102)와, 파지가능한 손잡이(104)가 구비되고, 수평 판 형태를 갖는 판몸체(100)와;
    상기 판몸체(100) 하부 중앙 일단과 힌지 연결되는 힌지부(120)와;
    상기 힌지부(120)의 하부가 내부에 수직으로 일부 삽입되어, 상기 힌지부(120)가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수직관(152)이 상부에 구비된 원통 형태의 원통몸체(150)와;
    상기 원통몸체(150)의 상면과 상기 판몸체(100) 하부에 수직 연결된 회동보조부(160);로 구성되고,
    상기 판몸체(100)의 중앙 하부에는,
    고정볼트(112)로 고정결합된 수평 판 형태의 연결판(110)이 더 형성되며,
    상기 회동보조부(160)는,
    상기 연결판(110)의 하부 양 끝단에 형성된 힌지편(162)에 힌지 연결되되, 수직 막대형태를 갖고 하부에 회동바퀴(164)가 구비된 회동암(165)과, 상기 회동암(165)의 회동바퀴(164)가 밀착된 채로 안내되도록 상기 원통몸체(150)의 상부에 음각으로 형성된 가이드로드(168)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원통몸체(150)의 하부에는,
    상기 원통몸체(150)가 유동 및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바퀴부(170)가 형성되며,
    상기 바퀴부(170)는,
    상기 원통몸체(150) 하부에 사방으로 수평 연장된 막대 형태의 지지암(171)과, 상기 지지암(171)의 말단에 연결된 바퀴(172)와, 상기 바퀴(172)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바퀴(172)의 회동을 멈추도록 하는 브레이크(17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120)는,
    상기 연결판(110)의 하부 중앙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되 중앙이 단절된 관 형태의 힌지관(122)과, 상기 힌지관(122)에 수평방향으로 힌지 연결되는 수평힌지축(124)과, 상기 수평힌지축(124)의 중심축에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수직관(152)에 일부 삽입되는 수직중심축(1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시소.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몸체(150)는,
    상부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시소.
  6. 삭제
  7. 삭제
KR2020080016122U 2008-12-04 2008-12-04 회전 시소 KR2004456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122U KR200445606Y1 (ko) 2008-12-04 2008-12-04 회전 시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122U KR200445606Y1 (ko) 2008-12-04 2008-12-04 회전 시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5606Y1 true KR200445606Y1 (ko) 2009-08-17

Family

ID=41352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6122U KR200445606Y1 (ko) 2008-12-04 2008-12-04 회전 시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606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63772A (zh) * 2013-05-13 2013-08-28 苏州益童游乐设备有限公司 一种旋转跷跷板
KR101332281B1 (ko) 2011-11-02 2013-11-22 주식회사 알론 회전 및 상,하작동이 가능한 시소 조립체
CN105214312A (zh) * 2015-10-09 2016-01-06 广西职业技术学院 一种多功能跷跷板
KR101750719B1 (ko) 2016-08-19 2017-06-27 (주) 예술무대산 세차운동을 하는 시소
CN107441715A (zh) * 2015-10-19 2017-12-08 连万强 一种便于移动和放置的跷跷板
KR20200042679A (ko) * 2018-10-16 2020-04-24 김철수 놀이기구
KR102132202B1 (ko) 2020-02-27 2020-07-09 (주)하늘이와 재영이 그네와 시소로 사용 가능한 하이브리드 놀이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96877A (en) 1988-08-15 1990-01-30 The Quaker Oats Company Incrementally rotatable teeter-totter
KR930002588Y1 (ko) * 1991-04-17 1993-05-17 구명은 절첩식 요람
KR0121292Y1 (ko) * 1994-10-20 1998-10-15 이광명 회전완력장력 시이소
KR200194493Y1 (ko) * 2000-03-14 2000-09-01 안효찬 놀이용 회전시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96877A (en) 1988-08-15 1990-01-30 The Quaker Oats Company Incrementally rotatable teeter-totter
KR930002588Y1 (ko) * 1991-04-17 1993-05-17 구명은 절첩식 요람
KR0121292Y1 (ko) * 1994-10-20 1998-10-15 이광명 회전완력장력 시이소
KR200194493Y1 (ko) * 2000-03-14 2000-09-01 안효찬 놀이용 회전시소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281B1 (ko) 2011-11-02 2013-11-22 주식회사 알론 회전 및 상,하작동이 가능한 시소 조립체
CN103263772A (zh) * 2013-05-13 2013-08-28 苏州益童游乐设备有限公司 一种旋转跷跷板
CN105214312A (zh) * 2015-10-09 2016-01-06 广西职业技术学院 一种多功能跷跷板
CN107441715A (zh) * 2015-10-19 2017-12-08 连万强 一种便于移动和放置的跷跷板
KR101750719B1 (ko) 2016-08-19 2017-06-27 (주) 예술무대산 세차운동을 하는 시소
KR20200042679A (ko) * 2018-10-16 2020-04-24 김철수 놀이기구
KR102161664B1 (ko) 2018-10-16 2020-10-05 김철수 놀이기구
KR102132202B1 (ko) 2020-02-27 2020-07-09 (주)하늘이와 재영이 그네와 시소로 사용 가능한 하이브리드 놀이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5606Y1 (ko) 회전 시소
AU2019236724B2 (en) Modular Play Set
US6162061A (en) Multiple trampoline simulation apparatus and method
US4126326A (en) Training roll-on ball with balancing supports
US5292296A (en) Balance board
US7097590B2 (en) Gym equipment, particularly for the training of movements on the high bar
JP6133933B2 (ja) 乗馬用運動器具
US20100035730A1 (en) Inflatable jumping device
US8529362B1 (en) Elevated hand-held merry-go-round
US8821302B1 (en) Rotatable amusement apparatus
US20080318733A1 (en) Acrobatic elevated-path amusement device
CN210355996U (zh) 一种儿童玩具用机械木马椅
US7717799B2 (en) Glider teeter-totter
CN211010577U (zh) 一种器材底座
KR101873523B1 (ko) 그네
JP2011030944A (ja) 遊具
CN208405896U (zh) 一种互动晃板健身装置
CN218944324U (zh) 一种不稳定状态下的滑雪训练机
CN201135294Y (zh) 儿童秋千
US4068842A (en) Child recreation structure
KR101057979B1 (ko) 어린이 놀이기구
KR101416968B1 (ko) 트램펄린 및 이를 이용한 점프 운동구
KR102190107B1 (ko) 2인 협력식 익사이팅 체험시설
CN103767372A (zh) 坐式多向转动摆摇椅
CN202128893U (zh) 一种简易秋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5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