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2588Y1 - 절첩식 요람 - Google Patents

절첩식 요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2588Y1
KR930002588Y1 KR2019910005331U KR910005331U KR930002588Y1 KR 930002588 Y1 KR930002588 Y1 KR 930002588Y1 KR 2019910005331 U KR2019910005331 U KR 2019910005331U KR 910005331 U KR910005331 U KR 910005331U KR 930002588 Y1 KR930002588 Y1 KR 9300025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radle
shaft
fasteners
mosquito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53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9067U (ko
Inventor
구명은
Original Assignee
구명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명은 filed Critical 구명은
Priority to KR20199100053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2588Y1/ko
Publication of KR9200190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90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25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5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9/00Cradles ; Bassinets
    • A47D9/005Cradles ; Bassinets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9/00Nets for protection against insects in connection with chairs or beds; Bed canopies
    • A47C29/006Mosquito 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절첩식 요람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측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상부회전부의 분해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상부회전부의 결합상태의 확대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하단 절첩지지부의 확대 사시도.
제7도는 본 고안의 하단 절첩지지부의 절첩예시도.
제8도는 본 고안의 요람측면지지대의 절첩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 지지대 2, 2′: 연결대
3 : 지지관 4 : 연결관
5, 6 : 절취홈 7, 8 : 안내홈
9, 10 : 축보울트 11, 12 : 안내핀
13 : 받침대 14 : 고무켑
15 : 바퀴 16, 17 : 암수체결구
18. 18′ : 측면지지대 19, 19′ : 지지판
20, 20′ : 유삽공 21, 21′ : 보울트
22 : 회전대 23 : 걸이구
24, 24′ : 몸체지지대 25 : 덮개
26 : 모기장 27, 27′ : 쟉크
28 : 요람몸체 29, 30 : 틀체
31 : 받침판
본 고안은 유아용의 침대 및 그네를 겸용한 것으로서 일정장소에 설치하였다가 다른곳으로 이동이 용이하고, 보관 및 운반시에는 부피가 적게 접을 수 있도록 안출한 절접식 요람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여러종류의 침대, 그네, 흔들침대 및 요람등이 유아용으로 안출 되거나 개발된것이 다수있으나, 이들은 한결같이 한가지만의 기능을 갖게되며, 절첩식이거나 분해 조힙하는것이 아니어서 운반, 보관 및 실내에서의 이동시에는 상당한 불편과 번거로움이 따르게 되었으며 이들은 각각의 한가지 기능을 가짐으로서 필요에 따라 여러종류를 구입하여야하는 번거로움과 불편 및 비경제적인 결점이 따르게되였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결점을 근본적으로 해결 및 보완하고자 장기간동안 각종 연구와 실험을 거듭하여 안출한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측면지지대(18)(18′)를 입설하고 횡지지대를 횡착하여 그네줄로서 틀체(29)(30)에 받침판(31)을 받친 그네 몸체를 메달아서 구성된것에 있어서, 지지대(1)(1′)와 연결대(2)(2') 및 받침대(13)를 절취홈(5)(6)과 안내홈(7)(8)에 축보울트(9)(10)와 안내핀(11)(12)으로 안내절첩되게 4개의 T형으로 구성한 지지관(3)과 연결관(4)에 지지연결토록하고, 4개의 받침대(13)에는 고무켑(14)과 상면으로 바퀴(15)를 구성하며, 각 연결관(4) 내향에는 축보울트(10)에 고정한 체결구(16)는 요람몸체(28)에 고정된 숫체결구(17)와 체결고정 되게하며, 각 지지관(3) 표면으로 입설한 측면지지대(18)(18′)의 상단에 유삽공(20)(20′)을 형성한 지지판(19)(19′)을 용접 하고 몸체 지지대(24)(24′) 상단부를 걸도록된 걸이구(23)을 양측에 고착한 회전대(22) 양단을 유삽공(20)(20′)에 끼워, 보울트(21)(21′)를 조여서 고정하고, 덮개(25)를 부착한 모기장(26)을 씌우되 양측 쟉크(27)(27')로서 개폐되게하여서 된것이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할때는, 제1도, 제2도 및 제3도와 같이 조립하여 방이나 거실, 야외등 임의 장소에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일단 설치한후 장소를 이동할때는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4개의 각 받침대(13)를 일점선 도시와 같이 화살표 방향의 아래로 접어주면 축보울트(9)를 기점으로 접어지는데, 이단 받침대(13)가 지지관(3)쪽으로 밀어주거나 측면지지대(18)를 잡고 지지관(3)을 지지대(1)쪽으로 밀어주면 안내핀(11)이 절취홈(5)에 위치되며, 안내홈(7)에 의해 축보울트(9) 역시 반대쪽 위치로 이동된후 받침대(13)를 하향으로 제쳐주면 제7도의 일점선 도시와 같이 꺽여져서 바퀴(15)가 지면에 닿게되며 4곳의 받침대(13) 전체를 이렇게 꺽어서 체쳐준 다음 밀면 전체가 바퀴(15)에 의해 쉽사리 이동시킬 수 있고 이동된 후에는 상기순서를 역으로 행하여 원위치 시키면된다.
그리고 사용하지 않고 운반 또는 보관하고자 할때에는 모기장(26)을 벗긴다음 보울트(21)(21′)를 돌려서 빼고 회전대(22)를 양측면지지대(18)(18′)의 지지판(19)(19′)에 구성된 유삽공(20)(20′)에서 탈리시키고 양측 걸이구(23)에 걸려있던 몸체지지대(24)(24′) (여기서 몸체지지대는 철봉상의 구경이 적은 파이프나 철선붕으로 구성되는것이 적합함)을 벗긴다음 전체를 들어낸다.
다음에 양측면 지지대(18)(18′)를 내향쪽으로 접어주는데, 먼저 연결대(2)(2′)일측 연결관(4)을 지지관(3)과 함께 외향으로 밀어주면 축보울트(10)은 안내홈(8) 반대쪽으로 이동하고 동시에 안내핀(12) 역시 절취홈(6)의 개구부쪽으로 이동되면 측면지지대 (18)를 내향으로 눌러서 접어준다음, 타측도 동일하게 이동시켜서 측면지지대(18′)를 내향으로 눌러주면 절첩이 원활히 이루어 진다. 그위에 회전대(22)를 얹어두고 몸체지지대(24)(24′)는 요람몸체(28)쪽으로 접어주고 틀체(29)(30)는 상하부 공히 통상의것과 같이 연결끈이 망으로 구성되여 있으므로 상하틀체(29)(30)는 자연스럽게 접어져서 중첩되며, 이를 회전대(22) 위에 중첩하고 모기장(26)을 접어서 그위에 놓고 포장상자등에 넣어서 포장하여 운반과 보관을 용이하게 한다.
여기서 모기장(26)은 삼각텐트를 치는것과 같이 구성하는데 상부는 회전대(22)에 걸치기 용이하도록 덮개(25)를 형성하고 전면쪽 양측으로는 쟉크(27)(27′)를 부착하여 개방과 밀폐가 용이하도록 구성하였다.
또 요람몸체(28)내에 유아를 눕히고 정면 또는 후면에서 밀어주면 회전대(22)가 유삽공(20) (20′)의 베아링장치에 의하여 용이하게 유등, 회전되면 따라서 걸이구(23)의 홈에 끼워진 몸체지지대(24)(24′)도 회전대(22)의 왕복운동에 따라 왕복작용을 하고 요람몸체(28) 역시 전후 왕복작용이 별도의 힘을 연속적으로 가해주지 않아도 요람몸체(28)내의 유아의 무게에 의해 전후 왕복운동을 그네와 같이 왕복운동의 힘이 소멸되는 일정시간동안 왕복, 유동됨으로 그동안 유아가 쉽사리 잠들수가 있다. 일단 잠이든 다음에는 다시 요람몸체(28)를 밀어서 왕복, 유동시킬 필요가 없게 되는데 왕복운동소멸시간내에 대부분 유아들은 잠이 들게되면 잠든 다음에는 유아가 깨지 않고 편안히 잠들 수 있도록 요람몸체(28)를 고정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4개의 각 축보울트(10) 내측에 밸트로 고정된 암체결구(16)를 요람몸체(28)의 하부틀체(30) 4곳에 밸트로 고정된 숫체결구(17)와 결함시켜 고정하면 요람몸체(28)은 고정되여 유동 또는 흔들리지 않게되며, 각 체결구(16)(17)의 밸트는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은 고정자체가 조립, 해체하여 절첩하여 보관, 운송이 간편하면서 견고하고 안전성이 있으며 그네와 침대를 겸용할 수 있고 수출시장에서 경쟁력에 앞설 수 있는 효과적인 것이다.

Claims (5)

  1. 측면지지대(18)(18′)를 입설하고 횡지지대를 횡착하여 그네줄로서 몸체(29)(30)에 받침판(31)을 받친 그네몸체를 메달아서 구성된것에 있어서, 지지대(1)(1′)와 연결대(2)(2′) 및 받침대 (13)를 절취홈(5)(6)과 안내홈(7)(8)에 축보울트(9)(10)와 안내핀(11)(12)으로 안내 절첩되게 4개의 T형으로 구성한 지지판(3)과 연결판(4)에 지지연결토록하고 4개의 받침대(13)에는 고무켑(14)과 상면으로 바퀴(15)를 구성하며 각 연결관(4) 내향에는 축보울트(10)에 고정한 체결구(16)는 요람몸체(28)에 고정된 숫체결구(17)와 체결 고정되게 하며 각 지지관(3) 표면으로 입설한 측면지지대(18)(18′)의 상단에 유삽공(20)(20')을 형성한 지지판(19)(19′)을 용접하고 몸체지지대(24)(24') 상단부를 걸도록된 걸이구(23)을 양측에 고착한 회전대(22) 양단을 유삽공(20)(20′)에 끼워, 보울트(21)(21')를 조여서 고정하고 덮개(25)를 부착한 모기장(26)을 씌우되 양측 쟉크(27)(27′)로서 개폐되게한 절첩식 요람.
  2. 각 지지대(1)(1′)양단의 지지관(3)을 내향쪼기으로 측면지지대(8)을 잡고 밀에서 질취홈(5)의 개구부쪽과 안내홈(7) 쪽으로 안내핀(11)과 축보울트(9)가 이동되게하여 축보울트(9)를 기점으로 받침대(13)가 아래로 접어저서 바퀴(15)가 지면에 접속토록 되게한 청구범위 제1항 기재의 절첩식 요람.
  3. 각 지지대(2)(2′)양단에 연결관(4)을 외향쪽으로 측면지지대(18)를 잡고 미렁서 안내핀(12)과 축보울트(10)가 절취홈(6) 개구부쪽과 안내홈(8)타측으로 이동되게하여 축보울트(10)를 기점으로 지지관(3)과 연결관(4) 및 측면지지대(18)가 내측으로 제쳐져서 접어지도록한 청구범위 제1항 기재의 절첩식 요람.
  4. 각 축보울트(10)의 내측에 벨트를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한 체결구(16)와 요람몸체(28)의 하부틀체(30) 4곳에 밸트로 고정된 체결구(17)를 암수로서 체결하여 요람몸체(28)의 유동과 흔들림을 방지케한 청구범위 제1항기재의 절첩식 요람.
  5. 삼각 텐트 형상으로 구성한 모기장(26)의 상부는 덮개(25)를 봉침하고 정면 양측단에는 쟉크(27)(27′)를 형성하여 모기장(26)를 개폐되게한 청구범위 제1항 기재의 절첩식 요람.
KR2019910005331U 1991-04-17 1991-04-17 절첩식 요람 KR9300025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5331U KR930002588Y1 (ko) 1991-04-17 1991-04-17 절첩식 요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5331U KR930002588Y1 (ko) 1991-04-17 1991-04-17 절첩식 요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9067U KR920019067U (ko) 1992-11-16
KR930002588Y1 true KR930002588Y1 (ko) 1993-05-17

Family

ID=19312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5331U KR930002588Y1 (ko) 1991-04-17 1991-04-17 절첩식 요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258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0290B1 (ko) * 2001-06-22 2004-09-24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자동이륜차에 있어서의 프레임 구조
KR200445606Y1 (ko) * 2008-12-04 2009-08-17 윤주현 회전 시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0290B1 (ko) * 2001-06-22 2004-09-24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자동이륜차에 있어서의 프레임 구조
KR200445606Y1 (ko) * 2008-12-04 2009-08-17 윤주현 회전 시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9067U (ko) 1992-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77173B2 (en) Multi-purpose convertible play yard
RU2389423C2 (ru) Детская кроватка
US8024825B2 (en) Collapsible crib
US4679261A (en) Telescopic bed
US5694655A (en) Rocking collapsible bassinet
US7458114B2 (en) Clips for mounting accessories to play yard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US4739527A (en) Portable foldable playpen
US7036161B2 (en) Collapsible structures
US20060225204A1 (en) Rockable sleeping compartments attachable to play yard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US3837019A (en) Modular cradle-like structure
US643922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portable preassembled grill
US7503085B2 (en) Collapsible crib
US6687928B1 (en) Portable child's bed
US2254939A (en) Collapsible structure
US20130214574A1 (en) Collapsible infant support
US6482066B1 (en) Mobile mobiles
KR930002588Y1 (ko) 절첩식 요람
KR200483429Y1 (ko) 캠핑용 테이블
US1062950A (en) Collapsible cot-hammock.
US6817047B2 (en) Collapsible cot with wall members
WO1986005081A1 (en) A portable cot
US3177825A (en) Sportsman's chair
US4251890A (en) Baby cradle
JPH0135747Y2 (ko)
CN114587109B (zh) 一种儿科助睡婴儿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